[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22037A -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2037A
KR20110122037A KR1020100041827A KR20100041827A KR20110122037A KR 20110122037 A KR20110122037 A KR 20110122037A KR 1020100041827 A KR1020100041827 A KR 1020100041827A KR 20100041827 A KR20100041827 A KR 20100041827A KR 20110122037 A KR20110122037 A KR 20110122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ignal
frequency band
reference signal
ti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진
홍성권
권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PCT/KR2011/00332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139082A2/ko
Priority to US13/696,237 priority patent/US8965434B2/en
Publication of KR20110122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037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비주기적 송신의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기지국이 제 1 사용자 단말에 대한 비주기적 사운딩 기준 신호의 송신을 결정하는 단계와,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할당된 주파수 대역 및 시간동안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에 의한 상기 비주기적 사운딩 기준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1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할당된 주파수 대역 및 시간동안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전송될 신호의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하도록 지시하는 제2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1지시 정보와 제2지시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본 명세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OF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의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비주기적(aperiodic) 송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준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을 뿐 아니라, 정보 손실의 감소를 최소화하고, 시스템 전송 효율을 높임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오류검출 방식이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또한, 현재의 여러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를 통하여 통신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상대 장치에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제어 신호를 사용하며, 제어 신호의 일 실예로 기준신호(Reference Signal) 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방법 중에 하나인 LTE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Uplink) 전송시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이라 함)의 채널상태를 나타내는 채널 추정 기준신호로서 사운딩 기준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를 기지국 장치로 전송한다. 한편, 하향링크(Downlink) 전송시 채널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참조신호 또는 기준신호(Reference Signal)인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를 매 서브프레임(subframe)마다 전송한다.
한편, 이러한 채널 추정 등을 위한 기준신호(Reference Signal)들은 기준신호의 송신장치, 즉 상향링크 기준신호인 경우에는 UE, 하향링크 기준신호인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가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기준신호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통신 시스템의 유연성 등을 이유로 비주기적으로 채널 추정 기준신호 등을 전송하고자 하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구체적인 방식 등은 정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현재 통신 시스템에서는, 비주기적 채널 추정 기준 신호의 구체적인 송신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송신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인 송신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비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하여 전체 대역폭을 이용할 경우, 전체 대역폭에서 다른 기준 신호와의 충돌을 최소화하는 송신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통신 시스템에서, 전체 대역폭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를 비주기적으로 송신하며, 송신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지 않는 대역폭 또는 사용되는 대역폭에 중첩하여 보낼 수 있는 송신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기준 신호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비주기적인 사운딩 기준 신호의 송신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기준 신호와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사운딩 기준 신호를 전송하도록 이를 지시하는 정보를 시그널링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SRS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방법은 기지국이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할당된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동안 제 1 사용자 단말이 비주기적 SRS 신호를 송신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시간에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SRS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시간 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지시 정보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SRS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 정보가 일정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동안 비주기적 SRS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시간 동안 상기 비주기적 SRS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가 이전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시간 동안 신호의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할당된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동안 제 1 사용자 단말이 비주기적 SRS 신호를 송신할 것을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시간에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SRS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시간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지시 정보 생성부, 상기 지시 정보들이 포함된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코딩부, 및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SRS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SRS 신호를 생성하는 SRS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무선 신호에서 상기 지시 정보를 추출하는 지시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가 일정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동안 비주기적 SRS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SRS 신호 생성부는 상기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시간 동안 비주기적으로 송신될 SRS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지시 정보가 이전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시간 동안 상기 송수신부는 신호의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전송데이터의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임-슬롯의 일반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 SRS(Periodic SRS) 송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비주기적 SRS(Aperiodic SRS)의 일 예인 원샷(one-shot)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DM-RS를 경유하여 비주기적 채널 추정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USCH 영역에서 비주기적 채널 추정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DM-RS를 사용한 SRS와 PUSCH 영역을 사용하는 SRS를 조합하여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DM-RS 영역과 기존 SRS 영역을 사용하여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 8에서 사용되는 PUSCH 영역 또는 기존 SRS 심볼의 펑처링 또는 홀드를 위해 송신되는 시그널링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이어 1인 DM-RS를 이용하여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이어 1인 DM-RS를 이용하여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또는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또는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맷 0의 0/1A field를 이용하여 SRS 전송을 제어하는 지시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도시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과 기지국(2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시예와 같은 확장된 채널주정용 기준신호 생성기술을 적용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10)은 무선 통신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10)과 기지국(20)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상향링크 및/또는 하향링크 HARQ를 지원할 수 있으며, 링크 적응(link adaptation)을 위해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다중 접속 방식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예컨데, 하향링크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고, 상향링크는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같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제1계층(L1), 제2 계층(L2), 제3 계층(L3)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송신데이터의 서브프레임 및 타임 슬롯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하나의 라디오프레임(Radioframe) 또는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210)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202, 203)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송신의 기본단위는 서브프레임 단위가 되며, 서브프레임 단위로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의 스케줄링이 이루어진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심볼과 주파수 영역(주파수 밴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슬롯은 7 또는 6개의 OFDM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서브프레임은 2개의 타임 슬롯으로 이루어지면, 각 타임 슬롯은 시간영역에서 7개의 심볼과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서브캐리어 또는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나의 슬롯으로 정의되는 시간-주파수 영역을 리소스 블록 또는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로 부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GPP LTE 시스템에서, 프레임의 송신 시간은 1.0㎳ 지속시간의 TTI(송신 시간 간격)로 나뉘어진다. "TTI" 및 "서브프레임(sub-frame)"이라는 용어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프레임은 10㎳ 길이로서, 10개의 TTI를 포함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임-슬롯의 일반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TTI는 기본송신 단위(basic transmission unit)로서, 하나의 TTI는 동일 길이의 두 개의 타임-슬롯(202, 203)을 포함하며, 각 타임-슬롯은 0.5㎳의 지속시간을 갖는다.
도 2b를 참조하면, 타임-슬롯(202)은 심볼에 대한 7개의 롱 블록(long block:LB)(211)을 포함한다. LB는 사이클릭 프리픽스(cyclic prefixes:CP)(212)로 분리된다. 종합하면, 하나의 TTI 또는 서브프레임은 14개의 LB 심볼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는 이와 같은 프레임, 서브프레임 또는 타임-슬롯 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현재의 무선통신 방식 중 하나인 LTE 통신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에 복조 기준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및 사운딩 기준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이하 'SRS' 또는 '사운딩 기준신호'라 함)가 정의되어 있다.
한편, 하향링크에 3가지의 기준신호(Reference Signal; RS)가 정의되어 있으며, 셀고유 기준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와, MBSFN 기준신호 (Multicast/Broadcast over Single Frequency Network Reference Signal; MBSFN-RS) 및 단말 고유 기준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가 그것이다.
즉,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상향링크(uplink) 채널 정보를 기지국에 전달하기 위하여 기준신호의 일종인 상향링크 채널 추정용 기준신호를 단일의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채널추정 기준신호의 일 예로서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dvanced에서 사용되는 사운딩 기준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들 수 있으며, 이는 상향링크 채널에 대한 파일롯 채널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제어신호의 비주기적 송신을 제어하는 과정 및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어 신호의 일 실시 예로 채널추정 기준신호 및 그 일 실시예인 사운딩 기준신호(SRS)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SRS 또는 채널 추정 기준 신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SRS는 각 UE가 사용할 대역뿐 아니라 UE가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대역까지 포함하는 전 대역에 대한 상향링크 채널 정보를 기지국에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전 서브 캐리어 대역에 걸쳐 SRS를 송신하여야 한다.
현재의 LTE 표준에 의하면, SRS 시퀀스는 아래 수학식 1에 의하여 생성되며, 생성된 SRS 시퀀스는 소정의 기준에 의한 리소스 매핑을 거친 후 아래 표 1과 같은 서브프레임 설정에 따라 송신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기준신호 시퀀스의 길이이고,
Figure pat00003
이고, u는 PUCCH 시퀀스 그룹번호이고, v는 베이스 시퀀스 번호이며, 싸이클릭 시프트(Cyclic Shift; CS)
Figure pat00004
이다.
Figure pat00005
는 0 내지 7 중 하나의 정수 값으로서 상위 계층에 의하여 각 UE마다 설정된다.
Figure pat00006
위의 표 1은 LTE에 정의되어 있는 FDD 사운딩 기준신호의 서브프레임 설정표로서, 각 형식(srsSubframeConfiguration)은 4비트로 정의되며 각 경우 송신주기와 실제 송신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을 규정하고 있다. 즉, srsSubframeConfiguration 값이 8인 경우(바이너리로는 1000)를 예로 들면, 5 서브프레임마다 2, 3번째 서브프레임에 SRS를 송신함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 SRS(Periodic SRS) 송신의 일 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예로, srsSubframeConfiguration 값이 8인 경우(바이너리로는 1000), 5 서브프레임마다 2, 3번째 서브프레임에 SRS를 송신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SRS는 각 서브프레임의 가장 마지막 심볼에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4개의 심볼들(Normal Cyclic Prefix인 경우)로 구성될 경우, 14번째 심볼에서 SRS를 송신하며, 12개의 심볼들(Extended Cyclic Prefix인 경우)로 구성될 경우, 12번째 심볼에서 SRS를 송신한다. 물론, 본 명세서에서 SRS가 송신되는 심볼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표 1 및 도 3과 같은 SRS 설정에 의하면 SRS는 셀(기지국)마다 라디오 프레임 또는 송신주기마다 주기적(Periodic)으로 송신된다.
상기 표 1 중에서 srcSubframeConfiguration이 8인 경우, 간격(configuration period)는 5 서브프레임이며, 송신 오프셋(transmission offset)은 2, 3 이다.
도 3은 매 5개의 서브프레임마다 #2, #3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에 SRS(310)를 송신할 수 있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Figure pat00007
그러나, 통신 시스템의 진화에 따라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안테나(Multi Input Multi Output; MIMO)와 같이 안테나 개수가 증가하고, 협력형 다중 송수신 시스템(Cooperative MultiPoint Tx/Rx System; CoMP)과 등과 같이, 해당 사용자가 현재 주된 송수신을 하고 있는 서빙 셀(serving cell) 뿐만 아니라 인접 셀(neighbor cell)과도 참조 신호를 송수신 할 필요가 있는 통신 시스템 등이 등장함에 따라, 주기적인 SRS의 송신 방식으로는 충분한 SRS 커패시터 확보가 어렵게 되었으며, 그 결과 SRS 커패시터의 확장이 필요하다.
즉, 통신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SRS를 비주기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SRS의 스케줄링 유연성(Scheduling Flexibility)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른 SRS 커패시터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현재 LTE 통신시스템에서 비주기 SRS로 논의되고 있는 방식으로 원샷 SRS, DM-RS를 경유하는 SRS, PUSCH영역을 사용하는 SRS 등이 있으며, 각각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샷 방식의 비주기적 채널 추정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한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주기적 SRS(Aperiodic SRS)의 일 예인 원샷(one-shot)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각각의 서브프레임(411, 412, ..., 420) 내의 숫자는 해당 주파수 영역 내에서 SRS를 송신하는 UE를 의미한다.
상기 도 4의 서브프레임(411, 412, ..., 420) 중에서 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411, 412, 414, 415, 417, 418, 419, 420)에서는 UE#1, UE#2, UE#3, UE#4가 각각 할당받은 주파수 영역에서 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각 UE#1, UE#2, UE#3, UE#4마다 설정되는 고유 파라미터가 상이함에 따라, 각 UE#1, UE#2, UE#3, UE#4의 SRS 전송 대역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기적 SRS의 송신과 충돌을 피하며 주기적 SRS가 송신되지 않는 서브프레임(413, 416)에 각각 UE#1과 UE#3이 비주기적 SRS를 원샷(one-shot)으로 송신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반드시 주기적 SRS가 송신되지 않는 서브프레임에서만 비주기적 SRS가 송신되는 것은 아니며, 주기적 SRS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 비주기적 SRS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주기적 SRS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 비주기적 SRS를 송신할 경우는 우선순위(priority)를 주어 상황에 맞게 비주기적 또는 주기적 SRS 한가지만 송신할 수 있다.
도 4에서 2번째와 3번째 주기적 SRS송신 주기(412와 414) 사이에 413과 같이 UE#1이 비주기적 원샷 SRS를 송신하고 있다. 원래 주기적 SRS로 송신하게 될 경우 UE#1은 전체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Bandwidth, BW)를 8로 나눈 만큼의 BW로 SRS를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8번의 SRS를 송신해야 전체 BW를 사운딩(sounding)을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도 4와 같이 2번째와 3번째 주기적 SRS 사이에 원샷으로 SRS를 송신했기 때문에, 이 시점에 기지국은 UE#1에 대한 채널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DM-RS를 경유하여 비주기적 채널 추정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의 한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평문 및 비사용 DM-RS(uncoded and unused DM-RS)를 경유하여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것으로, 4개의 UE(UE #1, UE #2, UE #3, UE #4)가 자원을 할당 받은 상태이며, 각 UE는 할당 받은 자원의 영역만큼 서브프레임당 2개의 DM-RS를 송신하게 된다.
도 5에서 첫 서브프레임(501)의 마지막 심볼(515)에 UE 1에게 4개의 RE(Resource Element, 510)에 대하여 주기적 SRS가 할당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SRS로 할당되는 자원은 각 UE에게 할당되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자원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에서 두 번째 서브프레임(502)의 UE#4에게 할당된 DM-RS위치에 531과 같이 평문 및 비사용 DM-RS를 사용하여 SRS를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OCC(Orthogonal Cover Code)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이기 때문에, 평문 및 비사용 DM-RS는 각 UE에게 할당된 PUSCH 자원의 영역을 벗어날 수 없다.
하지만 OCC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제한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OCC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둘 이상의 UE에게 할당된 PUSCH만큼 평문 및 비사용 DM-RS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PUSCH 영역에서 비주기적 채널 추정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PUSCH를 사용하는 SRS의 경우를 예로 든 것으로, 이는 620과 같은 DM-RS의 심볼 위치 이외의 영역, 즉, 도 6의 610의 PUSCH 영역(region)을 사용하여 SRS 전송을 수행한다. 즉, 상기 PUSCH 영역(region)의 첫 번째 심볼 영역을 펑쳐링(puncturing)하여 해당 위치에 630과 같이 SRS 심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PUSCH 영역에서도 꼭 필요한 제어 데이터가 송신되는 위치를 제외한 순수 데이터를 펑처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601)내에 PUSCH 영역 중 제일 앞쪽 심볼을 SRS를 송신하는데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도 4, 5, 6에서는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SRS 송신을 비주기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SRS의 스케쥴링의 유연성(scheduling flexibility)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른 SRS 커패시티(capacity)향상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상기 도 4, 5, 6의 기법들은 실제의 자원 운용에 있어서 비효율적 문제가 발생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이유로 직접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비주기적 SRS 방식은 빠른 시간 내에 채널 추정이 가능하다는 강점이 있다.
그러나, 주기적 SRS가 설정되어 있지 않는 서브 프레임에서만 원샷 SRS를 보낼 수 있도록 스케줄러가 충돌(collision)을 피하면서 원샷 SRS의 송신 시점을 스케쥴할 수 있으나, 앞서 살펴본 표 1의 설정 중 srsSubframeConfigration이 0인 경우와 같이 매 서브프레임에 SRS를 송신할 수 있도록 설정된 셀(cell)도 존재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항상 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UE가 존재하므로, 충돌 없이 원샷 SRS송신할 수 없다.
따라서, 주기적 SRS를 듬성듬성 송신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원샷 SRS를 송신하기 위해 많은 수의 서브프레임을 피해야 하기 때문에 수 ms를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주기적 SRS가 전송되는 subframe 이외의 자원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PUSCH를 이용하여 SRS를 전송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puncturing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DM-RS를 사용하는 비주기적 SRS의 송신을 살펴본 도 5의 경우, 다른 사용자들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그러나, OCC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일정 부분 대역폭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으나, OCC를 사용하게 되더라도 SU-MIMO(Single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의 레이어(layer)가 적어도 2이상이거나, 또는 MU-MIMO(Multiple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에서는 상기 OCC를 사용하더라도 상이한 레이어 또는 다중 사용자를 위한 각 OCC의 구분이 서로간에 불가능하여, 사실상 OCC를 사용하는 효과를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OCC의 사용 제약 때문에 DM-RS를 사용하는 SRS의 경우, 도 5와 같이 전체 시스템 BW의 채널을 사운딩 하기 위해서는 수 개의 서브프레임, 즉 수 ms가 소요될 수 있다. 이 경우, 비주기적 SRS의 기본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을 수 있게 된다.
또한, PUSCH를 사용하여 SRS를 송신하는 도 6의 경우, 기존 SRS이외의 자원을 활용한다는 장점과 기존의 SRS와의 충돌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PUSCH 영역에만 의존하는 경우, PUSCH 데이터 펑처링에 의한 데이터 손실이 심각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PUSCH 영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펑처링을 통한 데이터 복구가 잘 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즉, 코딩율(coding rate)이 낮게 걸리거나 또는 modulation order를 낮게 하여, 디코딩이 잘 이루어지는 주파수 영역에서만 상기 펑처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DCI format 0의 MCS field를 이용하여 코딩율과 modulation order를 임의로 낮추어, 해당 주파수 대역에 대해 펑처링을 통한 데이터 복구의 효율성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일정 기간동안 버스트하게 SRS를 송신하는 방식(Burst SRS)의 경우에는 또 다른 주기적 SRS의 성향을 가지고 있어, 비주기적 SRS의 특징을 제공하기 어렵다.
즉, 도 4, 5, 6의 실시 예에서 살펴본 비주기적 SRS는 고유의 강점들은 가지고 있지만, 현재 통신 시스템에서 실제 자원할당과 관련하여 필요로 하는 조건들을 갖추고 있지는 못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현재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들이 안테나 4개를 사용하여 기존의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사용자보다 4배의 SRS 자원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경우에 하나의 안테나를 위한 SRS 방식(scheme)으로 상기 4개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충분한 SRS 자원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여, 4개의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비주기 SRS 전송의 자원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비주기적 SRS가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i) 기존 SRS의 자원 이외의 자원을 적극 활용하여야 하며, ii) 원샷(서브프레임 1개의 시간) 또는 충분히 짧은 시간 내에 채널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하며, iii) 기존 PDCCH의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아야 하며, iv) PUSCH의 데이터 손실을 최소한으로 해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각각의 비주기적 SRS의 송신 기법을 네트워크 상황에 적합하도록 결합하여 비주기 SRS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살펴본다. 이에, 상기 언급한 i)~iv)의 조건들을 최대한 충족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살펴본 비주기적 SRS중 자원 할당의 관점에서 현실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은 DM-RS를 사용하는 방식이 될 수 있는데, 우선 기존의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SRS를 전송하며, 이외의 자원을 사용하면서도 PUSCH 자원을 소비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PUSCH의 자원 손실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DM-RS 심볼의 위치를 사용하는 방식은 몇 가지 제약조건을 가지게 된다. OCC(Orthogonal Cover Sequence)를 사용하여 BW의 제약 없이 SRS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긴 하지만, 해당 BW에서 DM-RS를 송신하는 사용자는 SU-MIMO로 제한되어야 하며, 또한 레이어 1 또는 레이어 2이하의 사용자이어야 한다. SU-MIMO 환경에서의 레이어 3이상의 사용자 또는 MU-MIMO 환경에서의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BW에 대해서는 DM-RS를 이용한 SRS를 송신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서는 DM-RS를 사용하여 SRS를 보낼 수 있는 최대한의 주파수 대역에서만 DM-RS를 이용한 SRS를 송신하고 나머지 대역에서는 펑처링을 이용한 PUSCH 영역 또는 기존 SRS 심볼 영역을 사용하는 조합(combination) 방식으로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방식을 제시한다.
다시 설명하면, 본 명세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의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 특히, SRS의 비주기적(aperiodic) 송신 및 장치를 제공하며, 또한, 전체 대역폭에서 짧은 시간 내에 SRS의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여 무선 채널 및 사용자 단말의 상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비주기적 제어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비주기적 제어 신호와 다른 신호간에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DM-RS를 사용한 SRS와 PUSCH 영역을 사용하는 SRS를 조합하여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레이어 1은 하나의 레이어를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두 개의 UE가 있는 경우는, MU-MIMO의 일 실시예이다. 710이 지시하는 영역은 PUSCH 영역을 의미한다. 720이 지시하는 영역은 DM-RS를 송신하는 것으로 스케쥴링된 영역이다.
도 7에서는 UE 2(UE #2)가 DM-RS를 사용하여 SRS송신하는 방식과 PUSCH 영역을 사용하여 SRS를 송신하는 조합 방식을 보여준다. UE #1, UE #2, UE #3는 레이어 1의 SU-MIMO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해당 대역에서는 UE #2가 DM-RS를 이용하여 SRS를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SU-MIMO 레이어 1을 사용하는 대역의 경우에는 OCC의 사용이 가능하고, 따라서 DM-RS를 이용한 SRS를 복수 사용자의 대역 영역에 대해 송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UE #6과 같이 레이어 3이상을 사용하고 있거나 또는 UE #4, UE #5와 같이 MU-MIMO를 사용하는 대역에 대해서는 DM-RS를 이용한 SRS를 송신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UE #1, UE #2, UE #3이 사용하는 대역에 대해서만 750과 같이 DM-RS를 이용한 SRS를 송신하고 나머지 대역에 대해서는 760과 같이 PUSCH 영역을 이용한 SRS를 조합 송신한다.
이때, UE #2에 대해서 DM-RS를 이용한 SRS를 송신하라는 지시는 기존 DCI 포맷(format) 0를 조금 변형하여 시그널링을 할 수가 있다. DCI 포맷 0를 사용하여 UL 할당의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늘리지 않으면서 포맷 내에 남는 코드 포인트(code point)를 이용하여 1bit정도의 정보를 내재적(implicit)으로 추가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SPS(Semi-persistent scheduling)을 위해 1bit를 추가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시그널링 방식은 반드시 기존 DCI 포맷 0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포맷 0와 같은 방식의 새로운 DCI 포맷을 활용하는 것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SRS BW를 지정하는 방식은 실제 사용자에게 자원을 할당 하는 자원의 단위보다 크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RA(Resource Allocation)의 bit 정보보다 작은 bit 들로 SRS 자원의 BW 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현재 포맷 0에 남는 코드 포인트를 이용하여 SRS를 위한 BW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SPS를 사용하지 않고 매 서브프레임마다 자원이 할당되는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불필요한 PDCCH의 증가를 막기 위해 비주기적 SRS를 위한 SRS BW를 지정하는 DCI 포맷 0가 내려올 경우 이를 실제 데이터송신을 위한 리소스 할당이 아닌 SRS를 위한 리소스 할당으로 인지한 후 데이터를 위한 리소스는 이전 서브프레임에서 할당 받은 자원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식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DIC 포맷 0를 이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MHz(100 Resource Block, 100 RB) 대역에서 DCI 포맷 0로 내려오는 RA 필드는 13bits 정보를 가지고 내려온다. 하지만, 실제 사용되는 코드가 나타내고자 하는 정보는 0~5049이기 때문에 5050~8191까지의 남는 코드 포인트(약 11bit)를 사용할 수 있다.
SRS 송신에 사용되는 BW의 최소단위는 4RB이기 때문에 9bit의 정보만으로도 100RB 대역에서 충분히 SRS송신에 필요한 BW 지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남는 코드 포인트 (11bit)내에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실제 사용하고자 하는 정보에 소정의 수를 더하여 5050을 넘도록 하면 UE는 수신한 RA 필드의 값을 확인하여 5050이상인 경우, RA 필드의 값을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는데 있어 지시하는 지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상기 정보를 사용할 때는 수신된 값에서 5050를 뺀 값으로 사용한다.
DM-RS를 이용한 SRS가 송신되는 BW 이외의 나머지 BW에 대해서는 760과 같이 PUSCH 영역을 이용한 SRS를 송신하게 된다.
이때 PUSCH 영역을 이용하여 SRS가 송신되는 대역의 다른 사용자 단말(UE #4, UE #5, UE #6)에 대해서는 시그널링을 통해 해당 UE들에게 해당 심볼들을 펑처링 또는 홀딩(holding)할 것을 알려줘야 한다.
이때는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시그널링을 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 DCI 포맷 3/3A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동시에 전력 제어 비트(power control bit)을 송신하는 방식과 같은 포맷을 이용할 경우 PDCCH 오버헤드(overhead)의 증가를 막을 수 있다.
또한 DCI 포맷 3/3A와 같은 형태를 사용하게 될 경우 SPS로 스케줄링 되는 사용자에 대해서도 펑처링 또는 홀드할 수 있는 시그널링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포맷 0, 즉 UL(Uplink) 할당을 이용하는 시그널링의 경우, SPS 사용자에게는 매 서브프레임마다 시그널링할 수 없고, 반영구적으로(semi-persistent)하게 시그널링이 내려가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펑처링 또는 홀딩을 위한 포맷 3/3A와 같은 시그널링은 DCI 포맷 0를 이용해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포맷 3/3A를 사용하는 것보다 PDCCH를 송신하는 개수가 증가할 수도 있고, SPS 사용자에게는 시그널링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비주기적 DM-RS SRS 트리거링(triggering)과 펑처링(홀드)를 하나의 시그널링 포맷으로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구현의 간소화(simplicity)를 위해 DCI 포맷 0를 이용하여 펑처링 또는 홀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추가되는 펑처링(홀딩)을 지시하는 bit는 RA 필드의 남는 코드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고, DCI 포맷 0내의 다른 필드를 이용하여 내재적인 방식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남는 코드 포인트를 사용하게 될 경우 별도의 PDCCH의 증가 없이 해당 사용자에게 UL 할당을 줌과 동시에 해당 PUSCH 영역에 대해 펑처링 또는 홀딩하라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DM-RS를 이용한 SRS의 대역폭 지정과 PUSCH 영역에 대한 펑처링 또는 홀딩을 하나의 DCI 포맷 0와 같은 포맷에서 송신하려면 기존 RA 필드의 남는 코드 포인트를 분할하여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20MHz(100 RB)의 경우 남는 코드 포인트 5050~8191중 6000~7000 코드 포인트는 DM-RS를 이용하는 비주기적 SRS의 트리거링인 동시에 BW 지정용으로 사용하고 펑처링 또는 홀딩에 필요한 bit는 많지 않기 때문에 SPS 지정 bit 처럼 특정 bit를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현재 SPS로 "1111111111111"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1111111111110" 과 같은 특정 bit 포맷을 펑처링 또는 홀딩을 위한 특정 bit 포맷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방식은 원래 데이터(data) 영역을 할당(allocation)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른 방식으로는 기존 1RB 단위로 자원 할당(RA)를 하던 것은 2RB 또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RB단위로 RA를 시행하면, RA에 필요한 bit수가 감소하게 되고, 그에 따라 남게 되는 bit를 펑처링(puncturing) 정보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는 PDCCH DCI Format0에 항상 남게 되는 여분의 bit가 존재하게 되는데 그 중 1 bit을 활용하여 펑처링(puncturing) 정보 bit로 활용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20MHz(100RB)경우, 2RB를 최소단위로 하여 RA를 할 경우, 11bit만 있으면 모든 경우의 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남게 되는 최상위 bit 또는 최하위 bit를 펑처링(puncturing) bit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PUSCH 영역을 펑처링하는 포맷 0를 송신하는 경우 펑처링된 심볼이 잘 복원될 수 있도록 포맷 0의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필드를 이용하여 코딩율을 낮추거나 변조 레벨(modulation order)를 낮추어 데이터를 안정적(robust)으로 송신함으로써 복원이 잘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포맷 0를 사용하는 경우, 포맷 0의 기존 RA 필드를 data resource를 할당하는 정보로 사용하면서, implicit하게 puncturing 또는 holding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puncturing 또는 holding을 위한 시그널링 측면에서는 어떠한 overhead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20MHz(100RB)의 경우, RA의 최소단위를 2RB로 하면서, 기존 RA범위가 아닌 5050~8190까지의 11bit 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해당 포맷 0를 수신한 사용자는 해당 포맷 0가 puncturing 또는 holding 정보를 포함한 포맷으로 인지한다.
상기 11bit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13bit로 RA가 지정되는 것보다는 다소 rough하게 RA가 지정되나, Aperiodic SRS가 전송되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만 11bit로 RA가 지정되어 시행되기 때문에, RA와 관련하여 큰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맷 0의 0/1A field를 이용하여 Puncturing 또는 holding 정보를 지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0/1A field(1610)은, 전송되는 포맷이 포맷 0와 포맷 1A를 구분하는 지시자 필드이다. 즉, 해당 포맷이 업링크(format 0)용인지 다운링크(format 1A)용인지를 판단하는 지시자이다.
여기서, puncturing 또는 holding은, aperiodic SRS, 즉 uplink에서만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기 0/1A 필드를 다른 용도, 즉 puncturing 또는 holding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는 필드는 포맷 0 내에 다수개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필드로 aperiodic CQI 필드(1620)가 있다. 상기 aperiodic CQI 필드는 CQI 정보를 비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경우 사용된다. 여기서, 비주기적 SRS와 비주기적 CQI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상기 aperiodic CQI 필드도 puncturing 또는 holding 필드로 이용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Aperiodic SRS는 한 서브프레임 또는 최소의 서브프레임내에 수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서브프레임내에서 aperiodic CQI를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관련하여 FH(frequency hopping field)(1630)도, 또한 puncturing 또는 holding 필드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aperiodic SRS를 위해 puncturing 또는 holding 할 경우에는 FH를 하지 않는다는 선 조건이 필요하다. 이는 Aperiodic SRS가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최소의 서브 프레임내에 수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서브프레임내에서 주파수 호핑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 포맷 0내에는 포맷 1A와의 사이즈를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filler bit이 존재한다. 상기 Filler bit은 1~2bit이 BW 사이즈에 따라 정의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Aperiodic SRS를 위한 puncturing 또는 holding 필드로 상기 filler bit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puncturing 또는 holding 정보가 정해질 경우, UL grant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는 훼손하지 않은 채, 포맷 0를 통하여 전송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DM-RS 영역과 기존 SRS 영역을 사용하여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과 달리 PUSCH 영역 대신에 주기적 SRS 심볼 영역을 사용하는 것이다. 즉, 도 8은 DM-RS를 이용한 SRS 전송과 주기적 SRS 심볼을 이용하는 조합 기법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해당 서브프레임이 주기적 SRS로 configuration 되어 있는 서브프레임인 경우에는 주기적 SRS 심볼 위치이지만, 주기적 SRS로 configuration되어 있지 않는 서브프레임인 경우에는 일반 PUSCH 마지막 심볼이 된다.
도 8의 사용자는 도 7의 사용자 단말의 구성과 동일하게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UE #1, UE #2, UE #3은 레이어 1의 SU-MIMO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해당 대역에서는 UE #2가 850과 같이 DM-RS를 이용하여 SRS를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레이어 3이상을 사용하는 UE #6의 대역, 또는 UE #4, UE #5와 같이 MU-MIMO를 사용하는 대역에 대해서는 860과 같이 SRS 심볼을 사용한다.
도 8을 도 7과 비교할 때, 도 7은 하나의 서브프레임내의 첫번째 심볼을 사용하여 760과 같이 SRS를 송신하였으나, 도 8에서는 860과 같이 하나의 서브프레임내의 마지막 번째 심볼을 이용하여 SRS을 전송한다.
한편, 다른 단말을 위해 할당된 SRS자원 및 다른 신호를 위해 할당된 자원을 사용하는 경우, SRS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들간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후 설명할 도 9와 같은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들에게 해당 위치에서 SRS를 펑처링하거나 또는 홀드하라는 시그널링을 해줘야 한다.
한편, 도 7, 8의 빈 영역(blank)의 대역은 사용되지 않는 영역이므로, 별도의 펑처링 또는 홀드 시그널링을 할 필요가 없이 SRS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PUSCH 영역을 펑처링할지 기존 SRS 심볼 위치를 펑처링할지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미리 지정할 수 있으며, 또는 SPS와 같이 남는 코드 포인트의 특정 bit 포맷을 이용하여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111111111110" 은 PUSCH 영역 펑처링 또는 홀딩을 의미하고 "1111111111100"은 SRS 심볼 위치를 펑처링 또는 홀딩을 의미하는 특정 bit 포맷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도 7, 8에서 DM-RS를 이용한 SRS송신과 기존 주기적 SRS가 겹쳐지는 경우에 대해서는 주기적 SRS를 송신할 수도 있고, 송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것은 구현 과정에서 채널 상황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DM-RS를 이용한 SRS 인 경우는 연속성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중간에 펑처링될 수 없다. DM-RS를 이용한 SRS 부분을 펑처링하기 위해서는 기존 방식과는 다른 시퀀스 생성(sequence generation) 기법이 필요하게 된다.
도 9는 도 7, 8에서 사용되는 PUSCH 영역 또는 기존 SRS 심볼의 펑처링 또는 홀드를 위해 송신되는 시그널링의 예이다. 도 9는 DCI 포맷 3/3A와 같은 포맷의 일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DCI 포맷 3/3A와 같은 방식으로 여러 명의 사용자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DCI(Down 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3/3A는 1 또는 2비트(조정 비트)를 이용하여 PUSCH/PUCCH의 전송 파워를 제어할 수 있다.
즉, DCI 포맷 3/3A의 방식은 도 9와 같이 해당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려는 bit(s)를 순차적으로 나열한 후 해당 사용자 단말만 인지할 수 있도록 코딩을 걸어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들은 포맷 3/3A가 송신되는 PDCCH의 영역을 모두 검색(search)한 후 자신의 코딩과 같은 필드를 찾아낸 후 해당 정보를 인지하게 된다. 도 9에서 A(n), B(n), C(n)이라고 표시한 것은 임의의 정보를 나타낸 것이며, 1이상의 n-bit 정보를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인 UE #4, UE #5, UE #6에게 동시에 시그널링을 하여 PUSCH 영역에서 SRS를 송신하게 되는 심볼의 위치를 펑처링 또는 홀딩하게 한다. 물론, 사용되지 않는 빈 영역인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는 펑처링 또는 홀드 시그널링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이어 1인 DM-RS를 이용하여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케줄러에 의해 비주기적 SRS가 필요한 시점에서 DM-RS를 통한 SRS 송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들을 스케줄링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기지국에서 사용자 단말인 UE 2가 DM-RS를 이용한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시점에서 사용자 단말들의 스케줄링을 SU-MIMO 레이어 1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들로만 스케줄링할 경우 전체 대역폭에 대해 OCC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 대역폭에 대하여 DM-RS(1020)를 경유한 비주기적 SRS(1050)가 가능하게 된다. 즉, DM-RS를 이용한 비주기적 원샷 SRS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명세서에서 제시한 조합 기법이 아니더라도 DM-RS를 이용한 비주기적 원샷 SRS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비주기적 SRS의 조건을 만족하는 또 다른 기법이 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이어 1인 DM-RS를 이용하여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과 마찬가지로 DM-RS를 이용한 비주기적 SRS를 나타낸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 실제로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게 되는 사용자 단말 2에 대한 기존 주기적 SRS를 1130, 1140과 같이 그대로 송신하게 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 1110, 1120과 같이 DM-RS를 이용한 SRS를 송신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도 10과 달리 원샷 방식으로 SRS를 송신할 수는 없지만 도 11에서와 같이 두 서브프레임(1101, 1102)의 충분히 짧은 시간 내에 채널 사운딩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 2의 DM-RS 디코딩에 있어서는 간섭을 일으키는 부분이 없어진 형태이기 때문에 성능 개선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식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4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또 다른 형태의 기법이 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또는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이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할당된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동안 제 1 사용자 단말이 비주기적 SRS 신호를 송신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1210). 이는, 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원샷으로 또는 두 서브프레임 내에 원샷으로 특정 사용자 단말이 비주기적 SRS를 송신할 것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동안에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SRS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한다(S1220).
상기 지시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지시 정보는 DCI 포맷을 이용하거나 송신되거나, 또는 다른 채널의 데이터 영역을 통하여 상기 다른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거나/지시하는 정보 형태로 송신될 수 있다.
한편, 제 1 사용자 단말에 의해 SRS 신호가 송신될 영역은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이 아닌 제 2 사용자 단말(이는 제1 사용자 단말이 아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기지국은 상기 제 2 사용자에게 할당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신호 송신을 펑처링(puncturing) 또는 홀딩(holding)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한다(S1230).
상기 펑처링 또는 홀드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 역시, 도 9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시 정보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물론, 데이터에 포함되는 지시정보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지시 정보들을 송신한다(S1240).
여기서, 상기 지시 정보들은 제 1 사용자 단말에게 지시될 제1지시정보와 제 2 사용자 단말에 지시될 제2지시정보이며, 이는 상호간에 별도로 구별되어 송신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송신 방식으로 각각 송신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비주기적 제어 신호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정해진 시간 동안 수신한다(S1250).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비주기 SRS 전송 시간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이 복조 참조 신호, 즉 DM-RS를 송신하는 시점으로 스케쥴링 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 8에서는 다른 제 3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상기 주파수 대역이 제 3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시간은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 즉 PUSCH의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이는 제 2 사용자 단말이 도 7의 UE #1, #2, # 3이고, 제 3 사용자 단말이 도 7의 UE #4, #5, #6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물론 도 8과 같이 상기 주파수 대역은 제 3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시간은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이 주기적 제어 신호, 즉 SRS를 송신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이는 제 2 사용자 단말이 도 8의 UE #1, #2, # 3이고, 제 3 사용자 단말이 도 8의 UE #4, #5, #6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또는 도 11과 같이 다수의 사용자 단말(UE #1, #2, #3, #4, #5)이 DM-RS를 송신하는 시간을 이용할 수 있는데, 즉, 상기 주파수 대역은 제 3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시간은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이 복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으로 스케쥴된 경우 도 10과 같이 하나의 서브 프레임 내에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UE #1, #3, #4, #5)에 할당된 주파수 영역을 사용자 단말인 UE #2가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도록 진행될 수 있고, 도 11과 같이, 두 개의 서브 프레임 내에서 사용자 단말이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도록 진행될 수 있다.
즉 첫번째 서브프레임에서는 UE #3, #4, #5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 및 시점에 UE #2가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고, 두번째 서브프레임에서는 UE #1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 및 시점에 UE #2가 비주기적 SRS를 송신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이 제 2 사용자 단말과 제 3 사용자 단말의 사용 주파수 대역으로 나뉘어지는 경우, 제 3 사용자 단말에게도 상기 시간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는 사용자 단말의 비주기적 SRS 전송에 대한 과정으로, 사용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S1310).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상기 지시 정보가 일정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동안 비주기적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확인한 경우(S1320), 정의된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동안 비주기적 SRS 신호를 송신한다(S1330).
한편, S1320에서 상기 지시 정보가 일정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동안 비주기적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지시 정보가 이전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펑처링 또는 홀드 지시 정보에 따라 정해진 시간 동안 SRS 신호의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한다(S1340).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은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SRS를 비주기적으로 송신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S1320 및 S1330 단계를 진행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SRS를 비주기적으로 송신하게 되므로, 상기 전체 주파수 대역 중 일부를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은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지시 정보에서 지시하는 바와 같이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수 있다.
이때, S1340 단계에서의 신호는 도 7, 8, 10, 11에서 DM-RS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의 PUSCH에서 데이터 신호가 될 수도 있으며, 도 8에서와 같이 주기적 SRS와 같은 신호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 11과 같이 모든 사용자 단말들의 DM-RS 신호가 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또는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는 기지국이 될 수 있다. 전체 구성은 결정부(1410), 지시 정보 생성부(1420), 코딩부(1430), 그리고 송수신부(1440)를 포함한다. 물론, 이외에도 기지국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장치는 기지국과 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결정부(1410)는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할당된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동안 제 1 사용자 단말이 비주기적 SRS 신호를 송신할 것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지시 정보 생성부(1420)는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시간에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SRS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시간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한다.
제 1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지시 정보와 제 2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지시 정보는 달리 생성될 수 있고, 서로 다른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시 정보의 생성은 반드시 동시에 진행될 것을 요구하지는 않으며, 동일 또는 별도의 과정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코딩부(1430)는 상기 지시 정보들이 포함된 무선 신호를 생성한다. 물론 상기 코딩부(1430)는 상기 지시 정보들을 각각 무선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1440)는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한다.
상기 결정부(1410)는 상기 시간을 결정함에 있어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이 복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도 7, 8, 10, 11의 경우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7의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주파수 대역은 제 3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도록 결정하며, 상기 시간은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을 포함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상기 주파수 대역이 제 3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시간은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 즉 PUSCH의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 2 사용자 단말이 도 7의 UE #1, #2, # 3이고, 제 3 사용자 단말이 도 7의 UE #4, #5, #6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물론 도 8과 같이 상기 주파수 대역은 제 3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시간은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이 주기적 제어 신호, 즉 SRS를 송신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이는 제 2 사용자 단말이 도 8의 UE #1, #2, # 3이고, 제 3 사용자 단말이 도 8의 UE #4, #5, #6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또는 도 11과 같이 다수의 사용자 단말(UE #1, #2, #3, #4, #5)이 DM-RS를 송신하는 시간을 이용할 수 있는데, 즉, 상기 주파수 대역은 제 3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시간은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이 복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으로 스케쥴된 경우 도 10과 같이 하나의 서브 프레임 내에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UE #1, #3, #4, #5)에 할당된 주파수 영역을 사용자 단말인 UE #2가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도록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과 같이, 두 개의 서브 프레임 내에서 사용자 단말이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도록 진행될 수 있다. 즉 첫번째 서브프레임에서는 UE #3, #4, #5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 및 시점에 UE #2가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고, 두번째 서브프레임에서는 UE #1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 및 시점에 UE #2가 비주기적 SRS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는 수신 장치 즉, UE가 될 수 있으며, 지시 정보 추출부(1510), SRS 신호 생성부(1520), 송수신부(153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송수신부(1530)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지시 정보 추출부(1510)는 상기 무선 신호에서 상기 지시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상기 지시 정보가 일정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동안 비주기적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SRS 신호 생성부(1520)는 상기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시간 동안 비주기적으로 송신될 SRS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지시 정보가 이전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시간 동안 상기 송수신부(1530)는 SRS 신호의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이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SRS를 비주기적으로 송신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상기 SRS 신호 생성부(1520)는 상기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시간 동안 비주기적으로 송신될 SRS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SRS를 비주기적으로 송신하게 되므로, 상기 전체 주파수 대역 중 일부를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은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지시 정보에서 지시하는 바와 같이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수 있다. 즉, 상기 시간 동안 상기 송수신부(1530)는 신호의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하게 된다.
즉, 도 15의 사용자 단말은 비주기적 SRS를 송신할 수도 있고, 또한 다른 사용자 단말의 비주기적 SRS와 충돌을 회피하기 위하여 다른 신호의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수 있다.
다른 신호의 송신의 일 실시예로는 복조 참조 신호가 될 수 있고, 또한, PUSCH에서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가 될 수 있으며, 또는 주기적 SRS가 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비주기적 SRS를 전송하여, UE의 채널 상태를 기지국에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기지국이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할당된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동안 제 1 사용자 단말이 비주기적 사운딩 기준신호를 송신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시간에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시간 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지시 정보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이 복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을 포함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은 제 3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시간은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을 포함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은 제 3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시간은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이 주기적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을 포함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은 제 3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시간은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이 복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을 포함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시간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방법.
  7. 사용자 단말이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 정보가 일정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동안 비주기적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시간 동안 상기 비주기적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가 이전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시간 동안 신호의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가 이전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신호는 복조 참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가 이전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신호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가 이전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신호는 주기적 사운딩 기준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11.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할당된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동안 제 1 사용자 단말이 비주기적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할 것을 결정하는 결정부;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 및 시간에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시간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지시 정보 생성부;
    상기 지시 정보들이 포함된 무선 신호를 생성하는 코딩부; 및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 및 제 2 사용자 단말에게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시간이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이 복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을 포함하도록 결정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주파수 대역이 제 3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도록 결정하며, 상기 시간이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을 포함하도록 결정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주파수 대역이 제 3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도록 결정하며, 상기 시간이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이 주기적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을 포함하도록 결정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주파수 대역이 제 3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도록 결정하며, 상기 시간이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이 복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을 포함하도록 결정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장치.
  16. 제 11항 내지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 3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시간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비주기적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장치.
  17.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사운딩 기준 신호를 생성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무선 신호에서 상기 지시 정보를 추출하는 지시 정보 추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가 일정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동안 비주기적 사운딩 기준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사운딩 기준 신호 생성부는 상기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시간 동안 비주기적으로 송신될 사운딩 기준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지시 정보가 이전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시간 동안 상기 송수신부는 신호의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가 이전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신호는 복조 참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가 이전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신호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가 이전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 시간 동안 신호 송신을 펑처링 또는 홀드할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신호는 주기적 사운딩 기준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업링크 다운링크제어정보 포맷 0 또는 다운링크 다운링크제어정보 포맷 1A의 타입을 식별하는 제1필드, 비주기적으로 채널 상태 정보(CQI)를 전송하기 위한 제2필드, 주파수 호핑 여부를 지시하는 제3필드, 또는 상기 포맷 0와 포맷 1A의 사이즈를 맞추기 위해 정의되는 비트를 위한 제4 필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필드를 이용하여, 상기 펑처링 또는 홀딩을 지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및 충돌을 회피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

KR1020100041827A 2010-05-03 2010-05-04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방법 및 장치 Withdrawn KR20110122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3321 WO2011139082A2 (ko) 2010-05-03 2011-05-03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3/696,237 US8965434B2 (en) 2010-05-03 2011-05-03 Method and apparatus for aperiodical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ounding reference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1595 2010-05-03
KR1020100041595 2010-05-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037A true KR20110122037A (ko) 2011-11-09

Family

ID=4539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827A Withdrawn KR20110122037A (ko) 2010-05-03 2010-05-04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65434B2 (ko)
KR (1) KR201101220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5145A1 (ko) * 2012-04-30 2013-1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140101856A (ko) * 2011-12-31 2014-08-2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Tag 재구성의 경우에 업링크 간섭 회피를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248B1 (ko) * 2010-02-11 2016-08-30 주식회사 팬택 채널추정 기준신호의 주기/비주기 전송 스위칭 방법, 그를 이용한 채널추정 기준신호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699493B1 (ko) 2010-05-03 2017-01-26 주식회사 팬택 Mimo 환경에서 직교성을 제공하는 사이클릭 쉬프트 파라메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445283B2 (en) * 2013-08-23 2016-09-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Channel sounding for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
CN105814963B (zh) * 2014-05-27 2019-09-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设备及系统
US9455923B2 (en) * 2014-06-06 2016-09-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Network policy and network device control
MY190449A (en) 2014-06-24 2022-04-21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pparatuses for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3370468B1 (en) * 2015-06-11 2023-02-22 Apple Inc. Enhanced overlai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US10172118B2 (en) * 2015-12-09 2019-01-01 Qualcomm Incorporated Decoupled mode for a common uplink burst transmission in a time division duplex subframe structure
US10122559B2 (en) * 2016-03-21 2018-11-06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hannel quality measurement using a subframe with high-intensity reference signal bursts
WO2018043960A1 (ko) * 2016-09-01 2018-03-08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 무선 액세스 망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528172B2 (en) * 2017-07-21 2022-12-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ultiplexing between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EP3692643B1 (en) 2017-10-02 2023-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fficient srs resource indication methods
US10374768B2 (en) * 2017-10-02 2019-08-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fficient SRS resource indication methods
EP3905577B1 (en) * 2019-02-08 2023-04-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5653A (ko) 2007-03-19 2008-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기준신호 전송방법
EP2103017B1 (en) 2007-03-29 2014-0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14601B1 (ko) 2007-04-16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사운딩 신호 전송 제어방법
KR100913106B1 (ko) 2007-08-14 200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Phich 전송 자원 영역 정보 획득 방법 및 이를 이용한pdcch 수신 방법
KR101441147B1 (ko) 2008-08-12 201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r 전송 방법
US8848520B2 (en) * 2010-02-10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1856A (ko) * 2011-12-31 2014-08-2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Tag 재구성의 경우에 업링크 간섭 회피를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3165145A1 (ko) * 2012-04-30 2013-1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53083A1 (en) 2013-02-28
US8965434B2 (en) 201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22037A (ko)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 방법 및 장치
KR101529899B1 (ko) 제어 채널 준비 및 시그널링
US93505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52248B1 (ko) 채널추정 기준신호의 주기/비주기 전송 스위칭 방법, 그를 이용한 채널추정 기준신호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5432210B2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下り制御チャネル受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201300447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or aperiodic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
JP5396427B2 (ja) 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3085335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674328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短い送信時間間隔を支援する端末のための上りリンク信号送信又は受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WO2013011933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10114753A (ko) 제어 신호의 비주기적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036574B2 (en) Method for expansively transmitting channel estimation reference signal an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hannel estimation reference signal using same
KR20120000482A (ko)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및 주기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04846A (ko) 다중 요소반송파를 이용하는 tdd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의 전송방법 및 처리방법, 그 기지국, 그 단말
US101039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244636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ADDRESS TIMING RELATED ISSUES IN BEAM MANAGEMENT FOR B52 GHz COMMUNICATIONS
KR20120080492A (ko) 다중 요소 반송파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비주기적 참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30018074A (ko)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방법과 장치, 및 그를 위한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지시 방법과 장치
CN110114997B (zh) 针对下一代无线接入网络分配数据信道资源的方法和设备
KR20120023200A (ko) Mimo 환경에서의 시퀀스 및 시퀀스 그룹 호핑 정보를 이용한 참조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20015226A (ko) 자원의 충돌없이 채널 측정용 기준 신호를 비주기적으로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15985A (ko) 비주기적 기준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10138971A (ko) 사운딩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08902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