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20759A -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 - Google Patents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759A
KR20110120759A KR1020100040322A KR20100040322A KR20110120759A KR 20110120759 A KR20110120759 A KR 20110120759A KR 1020100040322 A KR1020100040322 A KR 1020100040322A KR 20100040322 A KR20100040322 A KR 20100040322A KR 20110120759 A KR20110120759 A KR 20110120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sulfide
absorbent
absorption
reaction
impr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1264B1 (ko
Inventor
민병무
한근희
이종섭
최원준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40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264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26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93Selection of liquid materials for use as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20Organic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4Hydrogen sulf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산업공정이나 석탄가스화공정에서 발생하는 황화수소의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개선시키는 흡수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흡수제는 제 3급 알카놀아민, 반응활성화제 및 수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황화수소 흡수성능을 개선시키는 흡수제는 황화수소의 흡수속도를 촉진시키고, 흡수율을 높이는 등 흡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적은 양의 흡수제를 사용하여 흡수효과를 높일 수 있어 비용면에서도 경쟁력이 있다.

Description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ABSORBENT FOR IMPROVING ABSORBENT VELOCITY AND ABSORBENT CAPABILITY OF HYDROGEN SULFATE}
본 발명은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시 발생하는 합성가스 중 황화수소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석탄가스화복합발전에서 가스화로부터 발생하는 합성가스 중 터빈과 장치에 부식을 야기하는 황화수소(H2S)를 선택적으로 흡수 제거하는 황화수소 흡수능을 개선시키는 흡수제에 관한 것이다.
산성비의 원인 물질로는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과 공장이나 발전소, 가정에서 사용하는 석탄, 석유 등의 연료가 연소되면서 나오는 황산화물이 있다. 이들이 대기 중에 축적되어 대기의 수증기와 만나면 황산이나 질산으로 바뀌고 이러한 물질들은 강산성이므로 비의 pH를 낮추게 된다.
이런 산성비는 토양오염, 수질오염, 농작물의 피해 등을 야기시키고 대리석으로 만든 문화재, 철로 만든 조형물 등을 부식을 초래한다.
이러한 산성비에 의한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 연소배기가스와 석탄가스화에서 발생하는 합성가스와 같은 혼합가스 중 이산화탄소나 황화수소를 분리 및 제거하기 위한 기술로서 흡수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흡수법에 사용되는 흡수제에는 이산화탄소를 흡수 및 분리하는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과 같은 제 1급 알카놀아민이나 황화수소를 흡수 및 제거하는 메틸디에탄올아민(methyldiethanolamine, MDEA)과 같은 제 3급 알카놀아민이 있다.
특히 메틸디에탄올아민은 황화수소와 빠른 반응을 하며, 이산화탄소와 황화수소 모두를 함유하고 있는 가스에서 황화수소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메틸디에탄올아민은 증기압이 낮아 증발에 의한 용매의 손실이 없이 없고 역적· 화학적 변성에 강하고, 부식이 없으며, 열용량 및 이산화탄소와의 반응열이 작아 합성가스나 천연가스에서 이산화탄소의 벌크 분리에도 유용하다.
그리고 이산화탄소와 직접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압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의해서도 어느 정도의 탈거가 가능하다. 그리고 가열에 의한 탈거시에도 에너지 요구량이 모노에탄올아민이나 다이에탄올아민에 비하여 대단히 작아, 흡수식 분리법의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경제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강점에도 불구하고 황화수소의 흡수능을 높이기 위해 다량의 흡수제를 사용하여야 하거나, 길이가 높고 직경이 큰 충전탑을 이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흡수제의 열화 및 흡수제 재생에 필요한 별도 에너지원 공급으로 인한 경제적인 문제와 장치의 부식성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그리하여 알카놀아민을 이용한 가스 흡수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1) 새로운 화학구조를 갖는 아민을 사용하는 방법, 2) 첨가제의 혼합을 이용한 기존 흡수제의 개선, 3) 공정 설계변수 및 운전 방법의 최적화에 의한 흡수제의 열화 및 손실 저감 및 4) 열화된 아민의 리클레이밍(reclaiming) 방법의 개선 등의 방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들 방법 중 공정 설계 변경과 리클레이밍(reclaiming) 개선의 방법은 새로 설치될 공정의 적용을 검토하여야 하기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흡수장치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흡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흡수제의 개발 및 기존 흡수제의 문제점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만일 새로운 흡수제를 개발하는 경우, 그에 따른 문제점 도출 등 추후 진행되어야 할 문제들이 많기 때문에, 최단 시일 내에 실제 공정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첨가제를 혼합한 흡수제의 개선방법이 가장 유리할 것이다.
최근 화석연료를 연소하여 에너지를 얻는 기술로서, 연소방법보다 이산화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이 이용되는데 이때 황화수소의 제거를 도모하기 위해 흡수제가 이용된다.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시 발생하는 황화수소는 가스터빈과 장치의 부식을 초래하여 장비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유해가스의 방출로 환경오염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그리하여 황화수소의 배출을 줄이기 위해 선택적으로 황화수소를 흡수제거할 수 있는 습식탈황장치에 흡수용액으로 사용되는 알카놀아민의 성능 개선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적은 양의 흡수제를 이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황화수소의 흡수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보다 경제적인 흡수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제 3급 알카놀아민의 석탄가스화 합성가스 속 황화수소 흡수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해 오던 중, 제 3급 알카놀아민에 헥사메틸렌다이아민을 첨가함으로써 황화수소의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빠른 시간 내에 황화수소의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황화수소 흡수능을 개선시키는 흡수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량의 흡수제 사용으로도 최대한의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갖는 경제적으로 유리한 흡수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3급 알카놀아민, 반응활성화제 및 수분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는 제 3급 알카놀아민 10 내지 15 wt%, 반응활성화제 5 내지 10 wt%, 나머지를 수분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3급 알카놀아민은 10 내지 15 wt%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급 알카놀아민의 농도가 10 wt% 미만인 경우에는 황화수소의 흡수율이 좋지 않고, 15 wt% 초과인 경우에는 황화수소의 흡수율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기에 경제적인 관점을 고려하여 볼 때 상기 범위 내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급 알카놀아민은 메틸디에탄올아민(methyldiethanolamine),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디메틸에탄올아민(dimethylethanolamine), 디에틸에탄올아민(diethylethanolamine) 및 메틸디이소프로판올아민(methyldiisopropanolamine)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3급 알카놀아민이 황화수소(H2S)를 제거하는 반응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제 3급 알카놀아민의 아민기는 염기성의 성질을 갖기에, 황화수소와 같은 산성 물질과 잘 반응하여 4차 암모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반응활성제는 5 내지 10 wt%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활성화제의 농도가 5 wt% 미만인 경우에는 제 3급 반응활성제의 반응 활성화에 영향이 미미하고, 10 wt% 초과인 경우에는 반응활성화제로써의 효율 증가율이 떨어지고 상기 범위 초과 첨가시 비용의 상승으로 인한 비경제성 문제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활성화제는 헥사메틸렌다이아민(Hexamethylenediamine),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 디에틸렌트리아민(Diethylenetriamine) 및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Tetraethylenepentamine)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반응활성화제는 화학구조상 양 끝단에 각각 하나의 제 1급 아민기를 가진 NH2-(CH2) m -NH2 또는 중간의 폴리메틸렌 구조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에 질소 원자가 치환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상기 반응활성화제로 환원성이 강하고 안정의 구조를 갖는 헥사메틸렌다이아민 (Hexamethylenediamine, HMDA, 분자량:116.2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반응활성화제는 제 3급 알카놀아민의 황화수소에 대한 흡수속도를 향상시켜, 반응 전체의 황화수소에 대한 흡수속도를 47 내지 110%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활성화제는 3급 알카놀아민의 황화수소에 대한 흡수능을 향상시켜, 반응 전체의 황화수소 흡수능을 18 내지 47%로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반응활성화제는 제 3급 알카놀아민의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켜, 반응 전체의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기체-액체 계면에서 황화수소와 직접 반응하여 황화수소를 흡수할 수 있고, 이 반응에 의한 반응 생성물은 농도 차에 기인한 확산에 의하여 벌크 액상으로 이동하여 메틸디에탄올아민과 반응할 수 있다.
이 반응 과정에서 헥사메틸렌다이아민에 의하여 흡수된 황화수소가 메틸디에탄올아민로 전달되고, 반응 생성물로 유리 헥사메틸렌다이아민을 생성하며, 생성된 유리 아민은 다시 황화수소와의 기체-액체 접촉 반응에 따라 황화수소를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체 반응에서 반응활성화제와 황화수소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2
이러한 흡수 메커니즘의 차이에 따라 황화수소 흡수반응 속도와 흡수능의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제 3급 알카놀아민과 황화수소가 1:1의 화학양론비로 반응하는데 비하여, 1몰의 반응활성화제는 2몰의 황화수소와 반응하기 때문에 흡수능 역시 증가하게 된다.
즉 제 3급 알카놀아민에 의한 황화수소 흡수반응 속도에 비하여 반응활성화제의 황화수소 흡수반응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제 3급 알카놀아민에 반응활성화제를 첨가시 흡수속도가 더욱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의 황화수소 흡수 속도 및 흡수능은 VLE(기-액 평형, Binary Vapor-Liquid Equilibrium)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상기 VLE(기-액 평형) 실험 장치는 가스 저장조와 흡수반응시 가스의 순환을 위한 가스 저장조 및 알카놀아민에 의한 황화수소 흡수 반응이 일어나는 흡수 반응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험장치는 실험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공기 항온조 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기체-액체 접촉을 통한 평형점에 빨리 도달할 수 있도록 전동기를 구동할 수 있고 내경 2.5 ㎝, 행정거리 3 ㎝ 실린더형 피스톤 펌프를 이용하여 가스를 순환시킬 수 있다.
그리고 흡수 반응기 하단에는 주입되는 황화수소의 분산을 위하여 글래스 비드(glass bead)를 충진시키고, 가스의 순환을 확인하기 위하여 흡수 반응기에 뷰셀(view cell)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저장조 및 흡수 반응기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되고, 양단 부분은 원추형의 플랜지를 이용하여 가스 이송관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흡수반응기 및 가스 저장조에 0.001 ㎏f/㎠의 정밀도를 가지는 3개의 압력변화기를 설치하고, 온도 측정을 위하여 흡수 반응기의 기상 및 액상온도와 저장조에 K형 열전대(thermo-couple)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온도와 압력은 30 채널 하이브리드 레코더(30 Channel Hybrid Recorder: Model HR2300)를 이용하여 기록하며 이를 전송하여 컴퓨터에 데이터 파일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 상의 황화수소 농도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Model HP5890A)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가스 상에 존재하는 흡수제의 응축을 위하여 가스시료 채취부분에 응축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벤트(Vent)밸브를 열어준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질소가스를 가스 저장조 및 흡수 반응조에 주입함으로써, 내부의 공기 및 불순 기체를 제거하고 질소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설비된 VLE(기-액 평형)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 따른 흡수제의 석탄가스화 합성가스 속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는 황화수소를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제 3급 알카놀아민에 반응활성제를 첨가한 것으로, 황화수소의 흡수속도 및 흡수율을 증진시켜 유해한 가스 기체의 방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는 적은 양으로도 최대한의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율을 얻을 수 있어 비용면에서도 경제적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는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 합성 가스 제조공정, 석유화학 및 원유정제공정, 상용급 습식탈황 등 탈황할 수 있는 분야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황화수소의 흡수 반응 시간에 따른 계 내의 압력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수제의 황화수소에 대한 흡수평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로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5 wt% 메틸디에탄올아민(Aldrich), 5 wt% 헥사메틸렌디아민(Aldrich) 및 80 wt% 수분을 혼합하여 얻은 흡수제를 VLE(기-액 평형, Binary Vapor-Liquid Equilibrium)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황화수소 흡수평형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VLE 실험 장치의 흡수제 주입구에 흡수제를 주입한 후, 가스 순환용 펌프를 작동시키면서 실험 온도로 승온시켜 이때의 평형 압력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평형온도 및 압력에 도달한 후, 황화수소 주입용 가스 저장조의 밸브를 열어 일정량의 황화수소를 주입하고, 펌프를 작동시켜 기체-액체 접촉을 통한 황화수소 흡수반응을 개시하였다.
그리고 초기 상태의 황화수소 분압은 황화수소 주입 전후의 압력으로부터 계산하였으며, 황화수소 주입 이전의 평형 압력은 질소 가스압, 수증기압 및 아민 증기압의 합을 말한다. 그리고 주입된 황화수소 양은 황화수소 주입 전후의 황화수소 주입용 가스 저장조의 압력변화로부터 계산하였다.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흡수 반응기 및 저장조 내부의 압력은 알카놀아민 수용액에 대한 황화수소의 흡수에 따라 감소하게 되며, 더 이상의 압력변화가 나타나지 않아서 반응이 흡수 평형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때의 압력을 측정하여 황화수소의 평형 부하 및 분압을 계산하였다.
실시예 2
10 wt% 메틸디에탄올아민(Aldrich), 10 wt% 헥사메틸렌디아민(Aldrich) 및 80 wt% 수분을 혼합하여 얻은 흡수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비교예 1
20 wt% 메틸디에탄올아민(Aldrich) 및 80 wt% 수분을 혼합하여 얻은 흡수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비교예 2
20 wt% 헥사메틸렌디아민(Aldrich) 및 80 wt% 수분을 혼합하여 얻은 흡수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상기 실험을 수행한 결과, 반응활성화제는 반응 전체의 황화수소에 대한 흡수속도를 47 내지 110 % 향상시키고, 반응 전체의 황화수소에 대한 흡수능을 18 내지 47%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겉보기 속도상수(k app ) 및 촉진인자(E) 이론과 함께 도 1 및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가) 흡수반응속도의 향상
황화수소의 분압이 매우 크거나 흡수액의 전환율이 높은 경우가 아니라면, 액상 흡수액의 벌크 농도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액상 계면에서의 흡수액의 농도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하기와 같이 황화수소 분압에 대한 가역 의사 1차 반응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위 식을 적분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6
여기서, r : 아민과 황화수소(H2S)의 흡수속도, k app : 상대흡수속도, C o H2S : 용액에서의 초기 황화수소(H2S) 농도, C * H2S : 용액에서의 평형 황화수소(H2S) 농도이다.
또한, 상기 수학식 4는 하기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k app : 상대흡수속도, P o H2S : 용액에서의 초기 황화수소(H2S) 분압, P * H2S : 용액에서의 평형 황화수소(H2S) 분압이다.
흡수용액에 의한 황화수소의 겉보기 속도상수의 도출을 위하여 초기압력 P=510 ㎪, 황화수소의 분율 y=0.765의 조건에서 흡수에 따른 시간에 대한 황화수소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평형 도달시의 황화수소 분압을 10초 간격으로 측정하고 저장된 황화수소 분압과 수학식 5로부터 Marquardt-Leverberg 회귀분석법을 사용하여 겉보기 속도상수(k app )를 최적화하였다.
도 1은 황화수소 흡수 반응 시간에 따른 계 내의 압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고 겉보기 속도상수(k app )를 이용한 계산 값을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1을 통해 헥사메틸렌다이아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황화수소 흡수에 의한 압력강하가 급격히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는 헥사메틸렌다이아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황화수소 흡수 속도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3, 4의 겉보기 속도상수(k app )는 0.492~0.701 min-1 값을 나타내며, 이는 표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표 1을 통해 헥사메틸렌다이아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 전체의 황화수소 흡수 속도가 47~110% 정도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겉보기 속도상수(k app )
0.492 min-1

0.701 min-1

0.334 min-1

1.285 min-1
아울러 상기 흡수제에 대한 겉보기 속도상수(k app )를 사용하여 흡수반응에 따른 황화수소 분압의 계산값과 실측값을 비교한 결과, 각 혼합용액에 대한 백분율 평균편차는 2.1~4.6%를 나타냈다. 따라서 황화수소와 이들 흡수제의 반응속도는 가역 의사 1차 반응식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 평형 흡수능의 향상
도 2는 온도 50℃, 황화수소 분압 300 ㎪ 이내의 범위에서, 헥사메틸렌다이아민의 혼합비 증가에 따른 흡수평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통해, 헥사메틸렌다이아민의 혼합비 증가에 따른 황화수소의 흡수능은 100 ㎪ 이상의 분압에서 급격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헥사메틸렌다이아민를 혼합한 흡수제와 헤사메틸렌다이아민을 혼합되지 않은 흡수제의 흡수능을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정의되는 촉진인자(E) 값을 비교하도록 한다.
Figure pat00008
촉진인자 값은 동일한 황화수소 분압에서 헥사메틸렌다이아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한다. 황화수소 분압이 100 ㎪ 또는 270 ㎪일 때,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의 촉진인자 값을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냈다.
황화수소 분압이 100 ㎪인 경우, 헥사메틸렌다이아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촉진인자 값이 28.3~39.5 % 정도의 증가율을 나타낸다. 황화수소 분압이 270 kPa인 경우, 헥사메틸렌다이아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촉진인자 값이 18.3~47.1% 정도의 증가율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헥사메틸렌다이아민이 제 3급 알카놀아민의 화화수소 흡수능을 개선시켰음을 알 수 있다.
결국 반응활성화제는 제 3급 알카놀아민의 황화수소에 대한 흡수능을 향상시켜, 반응 전체의 황화수소 흡수능을 18 내지 47%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H2S 분압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100 kPa 28.3 39.5 0
270 kPa 18.3 47.1 0
이상에서 살펴본 실험결과를 통해, 메틸디에탄올아민의 황화 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이 헥사메틸렌다이아민에 의해 향상되었음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본 발명은 제 3급 알카놀아민의 황화수소 흡수 속도 및 흡수능을 개선시킨 새로운 황화수소 흡수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7)

  1. 제 3급 알카놀아민, 반응활성화제 및 수분의 혼합수용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급 알카놀아민는 10 내지 20 wt%, 상기 반응활성화제는 5 내지 10 wt%, 나머지는 수분으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급 알카놀아민는 메틸디에탄올아민(methyldiethanolamine),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디메틸에탄올아민(dimethylethanolamine), 디에틸에탄올아민(diethylethanolamine) 및 메틸디이소프로판올아민(methyldiisopropanolamine)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활성화제는 헥사메틸렌디아민(Hexamethylenediamine),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 디에틸렌트리아민(Diethylenetriamine) 및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Tetraethylenepentamine)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활성화제는 화학구조상 양 끝단에 각각 하나의 제 1급 아민기를 가진 NH2-(CH2) m -NH2 또는 중간의 폴리메틸렌 구조 중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에 질소 원자가 치환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활성화제는 제 3급 알카놀아민의 황화수소에 대한 흡수속도를 향상시켜, 반응 전체의 황화수소 흡수속도를 47 내지 110%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활성화제는 제 3급 알카놀아민의 황화수소에 대한 흡수능을 향상시켜, 반응 전체의 황화수소 흡수능을 18 내지 47%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
KR1020100040322A 2010-04-29 2010-04-29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 Expired - Fee Related KR101151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322A KR101151264B1 (ko) 2010-04-29 2010-04-29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322A KR101151264B1 (ko) 2010-04-29 2010-04-29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759A true KR20110120759A (ko) 2011-11-04
KR101151264B1 KR101151264B1 (ko) 2012-06-14

Family

ID=4539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32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1264B1 (ko) 2010-04-29 2010-04-29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2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051B1 (ko) * 2015-03-26 2016-03-28 현대제철 주식회사 탈황 배가스 처리용 흡수제
CN109952141A (zh) * 2016-11-22 2019-06-28 株式会社可乐丽 用于去除含硫化合物的组合物
KR102318776B1 (ko) 2020-05-28 2021-10-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철 킬레이트 흡수제를 사용한 초청정 산성가스 분리 시스템 및 방법
CN116550100A (zh) * 2023-05-30 2023-08-08 江苏太湖新材料控股有限公司 脱硫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7660A (en) * 1981-06-15 1983-08-09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the removal of H2 S and CO2 from a gas mixture
KR100516166B1 (ko) * 2003-08-08 2005-09-21 한국전력공사 연소배가스의 이산화탄소 흡수제
CA2576454C (en) 2005-04-04 2010-06-08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Absorbing solution that removes any one of co2 and h2s or both, and method and apparatus that uses the absorbing solution
KR101316173B1 (ko) * 2006-12-19 2013-10-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아민류를 이용한 고로 드라이 피트 슬래그 중의 황화수소제거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051B1 (ko) * 2015-03-26 2016-03-28 현대제철 주식회사 탈황 배가스 처리용 흡수제
CN109952141A (zh) * 2016-11-22 2019-06-28 株式会社可乐丽 用于去除含硫化合物的组合物
US11434433B2 (en) 2016-11-22 2022-09-06 Kuraray Co., Ltd. Composition for removal of sulfur-containing compound
KR102318776B1 (ko) 2020-05-28 2021-10-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철 킬레이트 흡수제를 사용한 초청정 산성가스 분리 시스템 및 방법
CN116550100A (zh) * 2023-05-30 2023-08-08 江苏太湖新材料控股有限公司 脱硫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264B1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7704C (en) Amine-containing absorption medium, process and apparatus for absorption of acid gases from gas mixtures
Li et al. Low-energy-consumption CO2 capture by liquid–solid phase change absorption using water-lean blends of amino acid salts and 2-alkoxyethanols
JP5679995B2 (ja) 酸性ガスの除去のための環式アミン含有吸収剤
JP2012530597A (ja) ストリッピング助剤を含有する吸収剤を用いる酸性ガスの除去
JP5506486B2 (ja) ガス中に含まれる二酸化炭素を効果的に吸収及び回収する水溶液
CN105289209A (zh) 一种通过相变捕集co2、so2酸性气体的混合有机溶液
JP2007527791A (ja) 煙道ガスから二酸化炭素を除去するための方法
EA034098B1 (ru) Смеси из ионной жидкости и растворителя для удаления сероводорода
AU2015309019B2 (en) Removal of carbon dioxide from a fluid flow, using a tert butylamine and an activator
KR100920116B1 (ko) 산성가스 분리용 고효율 흡수제
KR101151264B1 (ko) 황화수소 흡수속도 및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흡수제
CN105214445A (zh) 一种用于脱除混合气中二氧化硫的胺吸收剂
JP2016536115A (ja) 全有機硫黄除去及び全酸性ガス除去のための混成溶媒配合物
JP2016536115A5 (ko)
KR20160055207A (ko) 변성 폴리에틸렌글리콜 용액을 사용하여 기체 중의 SOx를 제거하는 방법
KR20180059782A (ko) 황화수소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흡수제 및 방법
KR101350902B1 (ko) 반응증진제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제
JP2009213974A (ja) ガス中の二酸化炭素を効率的に吸収、脱離回収する水溶液及び方法
KR102096862B1 (ko) 전이금속 산화물 촉매를 이용한 산성가스 제거용 흡수제의 재생방법
KR20150030262A (ko)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위한 오존 및/또는 과산화수소를 갖는 아민 함유 세정액
JP2017064645A (ja) Co2、h2s又はそれら双方の吸収液並びにそれを用いた装置及び方法
KR100259461B1 (ko) 반응활성화제 첨가에 의한 제3급 알칸올아민의 이산화탄소 흡수성능을 개선한 흡수제
Sisakht et al. CO2 chemical absorption from fluid catalytic cracking unit flue gases of Abadan Oil Refinery in Iran, using diethanolamine solvent
Nihmiya et al. Application of amines for natural gas sweetening
Abd et al. Investigation of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of CO2 absorption in packed Colum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