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18365A -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 Google Patents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365A
KR20110118365A KR1020100037922A KR20100037922A KR20110118365A KR 20110118365 A KR20110118365 A KR 20110118365A KR 1020100037922 A KR1020100037922 A KR 1020100037922A KR 20100037922 A KR20100037922 A KR 20100037922A KR 20110118365 A KR20110118365 A KR 20110118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case
curtain wall
bet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1101B1 (ko
Inventor
서송원
황적현
윤정득
오명석
최태환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00037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101B1/ko
Publication of KR2011011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건물 외벽의 마감재로서 비내력벽을 구성하여 외부로부터의 열, 바람 등을 차단하는 커튼 월(curtain wall)이 실내공간의 공기를 실외공간으로 배출하고 실외공간의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은, 다층 건물 외벽의 마감재로서 비내력벽을 구성하여 외부로부터의 열, 바람 을 차단하는 커튼 월(curtain wall); 및 상기 커튼 월에 설치되어 외기와 내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Curtain wall with heat exchange unit}
본 발명은 커튼 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층 건물 외벽의 마감재로서 비내력벽을 구성하여 외부로부터의 열, 바람 등을 차단하는 커튼 월(curtain wall)이 실내공간의 공기를 실외공간으로 배출하고 실외공간의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열교환 유닛을 구비하도록 구성된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실내활동 시간의 증가 및 건물의 밀집화 경향에 따라 실내 환경과 공기 질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파트나 오피스텔과 같이 고층건물이 밀집한 주거형태에서는 외부의 오염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염려때문에 창호의 개방이 극히 곤란하다. 이에 따라 별도의 환기 수단이 마련되지 않는 한, 실내의 공기도 그 질적 저하를 피할 수 없다.
종래 환기 수단으로서, 자동차 등의 기계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미세먼지 등의 각종의 오염 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 이를 정화할 목적으로 공기청정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신선한 외부공기의 지속적인 유입을 차단한 채, 창호 등을 통하여 유입된 오염 공기를 정화하여 단순히 실내에서 반복하여 순환시키기 때문에 그 실효성에 의문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창호형 환기 장치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89001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에 개시된 창호형 환기 장치는 창호틀의 종부재(뮬리온, mullion)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횡류팬 및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횡류팬은 뮬리온의 상부를 통해 실외공간의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유입시키고 뮬리온의 하부를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를 실외공간으로 배출시킨다. 열교환기는 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글리콜 등의 열교환매체를 내부에 수용하고 뮬리온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되는 공기 간의 열교환은 열교환매체의 상하 왕복 유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75686호(이하, 선행문헌 2라 함) 또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기장치가 구비된 창을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 2에 개시된 환기장치가 구비된 창은 창호틀의 횡부재(트랜섬, transom)에 내장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실외공간으로 배출하기 위한 제1팬, 실외공간의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2팬, 실외공간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실외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 간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 실외공간으로 유입된 공기와 실외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 간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가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로는 핀(fin) 타입 또는 복수의 판체가 적층된 타입이 사용된다.
한편, 위와 같은 창호용 환기장치는 통상 창호틀의 서로 다른 단면 구조를 갖는 종부재 또는 횡부재에 내장 설치되는 바, 이 경우 설치에 따른 작업이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으며, 종래에는 설치의 용이함과 더불어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설치 구조에 대하여 개시된 바가 없었다. 특히 근래에 많이 사용되는 커튼 월에 접목시킨 창호용 환기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에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고, 비용의 감소가 가능한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튼 월에 접목시켜 사용하므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다층 건물 외벽의 마감재로서 비내력벽을 구성하여 외부로부터의 열, 바람 을 차단하는 커튼 월(curtain wall); 및 상기 커튼 월에 설치되어 외기와 내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교환 유닛은 상기 커튼 월의 창틀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교환 유닛은, 수납용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실외공간으로 배출되는 내기를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 내부의 내기를 상기 창호의 창호틀로 배출시키는 내기용 팬과;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호틀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 내부의 외기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외기용 팬과; 상기 케이스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외기와 내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 소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 덕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는, 내기가 배출되는 내기 배출 덕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의 단부에는, 상기 내기 배출 덕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외기 배출 덕트가 구비되어 외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면 일측에는, 내기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내기 유입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열교환 소자부는, 내기와 외기간 열교환을 1차적으로 수행하는 제 1열교환소자와; 상기 제 1열교환소자를 통과한 내기와 외기간 열교환을 2차적으로 수행하는 제 2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열교환소자는, 모두 현열 교환 소자로 이루어지거나, 모두 전열 교환 소자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현열 교환 소자 및 전열 교환 소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기가 상기 열교환소자부를 통과하기 전에 외기를 정화시키는 외기용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기가 상기 열교환소자부를 통과하기 전에 내기를 정화시키는 내기용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블랭크 프레임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보조 프로파일(sub-profile)이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에 따르면, 열교환 유닛이 커튼 월의 창틀에 설치되므로 설치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고, 비용의 감소가 가능하다.
또한, 근래 많이 사용되는 커튼 월에 접목시켜 사용 가능하므로 커튼 월의 사용에 따른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유닛이 설치되는 커튼 월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 교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열 교환 유닛의 하면이 제거된 상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열 교환 유닛의 팬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열 교환 유닛을 횡으로 자른 후 상부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열 교환 유닛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 유닛이 설치되는 커튼 월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 교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열 교환 유닛의 하면이 제거된 상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열 교환 유닛의 팬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열 교환 유닛을 횡으로 자른 후 상부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열 교환 유닛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열교환 유닛(210)은 케이스(212)와, 이 케이스(212)에 각각 수용되는 외기용 필터(222), 내기용 필터(224), 열교환 소자(226, 228), 내기용 팬(236), 외기용 팬(238) 및 팬 커버(23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2)의 측면에는 실외공간의 공기(외기)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외기 유입 덕트(214)가 형성되고,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케이스(212)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외기 배출 덕트(220)가 형성되며,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간의 공기(내기)가 케이스(21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내기 배출 덕트(218)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212)의 하면에는 내기가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내기 유입 홀(216)(도 4 내지 도 6 참조)이 형성되고, 외기용 필터(222), 내기용 필터(224) 및 전열 교환 소자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개폐 또는 착탈 가능한 도어(미도시)가 형성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 유닛(210)은 커튼 월(100)의 창틀 프레임(120)에 장착된다. 즉, 창틀 프레임의 외측 하단에 열교환 유닛(210)의 일측이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외기용 필터(222)는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외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외기용 필터(222)는 외기가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직후 또는 외기가 케이스(212) 외부로 배출되기 직전에 정화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그대로 열교환 소자(226, 228)를 통과할 경우 열교환 소자(226, 228)가 막힐 수 있는바, 외기용 필터(222)는 외기가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직후 정화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외기용 필터(2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 유입 덕트(214)와 제 1열교환 소자(226) 사이에 설치된다.
내기용 필터(224)는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내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이다.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내기가 그대로 열교환 소자(226, 228)를 통과할 경우 열교환 소자(226, 228)가 막힐 수 있기 때문에 내기용 필터(224)가 설치된다. 내기용 필터(224)는 내기가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직후 정화되도록 설치된다. 즉, 내기용 필터(224)는 내기 유입 홀(216)과 제 1열교환 소자(226) 사이에 설치된다.
열교환 소자는 케이스(212)로 유입된 내기와 외기 간 온도 또는 온도 및 습도 교환을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열교환 소자(226) 및 제 2열교환 소자(228)를 포함한다. 이때, 제 1열교환 소자(226) 및 제 2열교환 소자(228)는 외기와 내기가 케이스(212) 내부에서 혼합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2개의 열교환 소자가 케이스(212) 내부에 포함될 경우, 제 1 및 제 2열교환 소자(226, 228)는 모두 현열 교환 소자로 이루어지거나, 모두 전열 교환 소자로 이루어지거나, 현열 교환 소자 및 전열 교환 소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열교환 시간의 충분한 보장을 위해 둘 중 적어도 하나(226)는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열교환 소자가 모두 사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열교환 소자의 개수도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열 교환 소자로 구비되거나, 경우에 따라서 3 이상의 개수로도 구비될 수 있다.
내기용 팬(236)은 내기를 내기 유입 홀(216)로 유입시키고 내기 배출 덕트(218)를 통해 케이스(212)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외기용 팬(238)은 외기를 외기 유입 덕트(214)를 통해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시키고 외기 배출 덕트(220)를 통해 케이스(212)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팬 커버(230)는 내기용 팬(236) 및 외기용 팬(238)을 덮도록 설치된다. 팬 커버(230)에는 제 2열교환 소자(228)를 통과한 외기와 내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벽(2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212)의 하면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윙(227)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윙(227)은 외기용 필터(222)와 제 1열교환 소자(226) 사이, 그리고 제 1열교환 소자와 제 2열교환 소자(228) 사이에 설치되어 외기 및 내기의 흐름을 안내한다. 또한, 가이드 윙(227)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며, 케이스(212)의 측면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원호 형태로 구비되고, 도 1 중 미설명 부호 110은 지지 프레임, 130은 유리 패널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열교환 유닛(210)은, 내기용 팬(236) 및 외기용 팬(238)이 작동하면, 외기는 외기 유입 덕트(214)를 통해 실외공간으로부터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후 외기용 필터(222)를 거쳐 제 1열교환 소자(226)로 유입되고, 내기는 내기 유입 홀(216)을 거쳐 케이스(212) 내부로 유입된 후 내기용 필터(224)를 거쳐 제 1열교환 소자(226)로 유입된다.
이후, 내기와 외기는 제 1열교환 소자(226)에서 혼합 없이 전열 또는 현열을 교환한 후 제 2열교환 소자(228)로 유입되고, 제 2열교환 소자에서 혼합 없이 전열 또는 현열을 교환한 후 팬 커버(230)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내기 및 외기는 혼합 없이 내기용 팬(236) 및 외기용 팬(238)을 각각 거치고, 내기는 내기 배출 덕트(218)를 통해 그리고 외기는 외기 배출 덕트(220)를 통해 케이스(212) 외부로 배출된다. 도 2, 도 4 내지 도 6에서 외기의 흐름은 실선 화살표로 표시되었고, 내기의 흐름은 점선 화살표로 표시되었다.
한편, 상기 열교환 유닛(210)을 감싸기 위한 'ㄷ'자형 단면의 덮개(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덮개가 이와 같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212)의 하면에 구비된 도어(미도시)를 개방한 후 외기용 필터(222), 내기용 필터(224) 및 전열 교환 소자를 교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열교환 유닛(210)이 커튼 월(100)의 창틀 프레임(120)에 밀착되게끔 장착되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설치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고, 설치에 따른 비용의 감소가 가능하다.
또한, 근래에 많이 사용되는 커튼 월(100)에 접목시켜 사용 가능하므로 커튼 월의 사용에 따른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환기장치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커튼 월 110 : 지지 프레임
120 : 창틀 프레임 130 : 유리 패널
212 : 케이스 220 : 외기 배출 덕트
222 : 외기용 필터 224 : 내기용 필터
226 : 제 1열교환소자 228 : 제 2열교환소자
230 : 팬 커버 236 : 내기용 팬
238 : 외기용 팬

Claims (11)

  1. 다층 건물 외벽의 마감재로서 비내력벽을 구성하여 외부로부터의 열, 바람 을 차단하는 커튼 월(curtain wall); 및
    상기 커튼 월에 설치되어 외기와 내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유닛은 상기 커튼 월의 창틀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유닛은,
    수납용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실외공간으로 배출되는 내기를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 내부의 내기를 상기 창호의 창호틀로 배출시키는 내기용 팬과;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창호틀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 내부의 외기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외기용 팬과;
    상기 케이스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외기와 내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 소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 덕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는,
    내기가 배출되는 내기 배출 덕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단부에는,
    상기 내기 배출 덕트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외기 배출 덕트가 구비되어 외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면 일측에는,
    내기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내기 유입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소자부는,
    내기와 외기간 열교환을 1차적으로 수행하는 제 1열교환소자와;
    상기 제 1열교환소자를 통과한 내기와 외기간 열교환을 2차적으로 수행하는 제 2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열교환소자는,
    모두 현열 교환 소자로 이루어지거나, 모두 전열 교환 소자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현열 교환 소자 및 전열 교환 소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기가 상기 열교환소자부를 통과하기 전에 외기를 정화시키는 외기용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기가 상기 열교환소자부를 통과하기 전에 내기를 정화시키는 내기용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KR1020100037922A 2010-04-23 2010-04-23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KR101261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922A KR101261101B1 (ko) 2010-04-23 2010-04-23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922A KR101261101B1 (ko) 2010-04-23 2010-04-23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365A true KR20110118365A (ko) 2011-10-31
KR101261101B1 KR101261101B1 (ko) 2013-05-06

Family

ID=4503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922A KR101261101B1 (ko) 2010-04-23 2010-04-23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1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0735A (zh) * 2014-07-02 2014-09-24 李哲先 通风横锁式单元幕墙系统
KR20160125847A (ko) 2015-04-22 2016-11-01 (주)두린 창호용 단열구조
CN108951974A (zh) * 2018-08-30 2018-12-07 陈正军 一种玻璃幕墙窗单元及其装配方法
CN110044001A (zh) * 2019-04-07 2019-07-23 张祖超 一种可进行调节孔位大小的建筑幕墙通风器
KR20220036746A (ko) * 2020-09-16 2022-03-23 (주)엘엑스하우시스 유리 창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9947B (zh) * 2013-10-10 2015-06-24 沈阳远大铝业工程有限公司 横龙骨集成自然通风明框幕墙
KR102734621B1 (ko) 2024-04-20 2024-11-26 주식회사알파큐 단열 및 내진 설계 구조의 커튼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497A (ja) 1999-04-16 2000-10-24 Kajima Corp 外壁体
KR200377212Y1 (ko) * 2004-08-02 2005-03-11 주식회사 라이다텍 선택적 환기 기능이 구비된 창
KR100652129B1 (ko) * 2004-12-13 2006-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켓을 사용한 단열 구조를 가진 은폐식 커튼월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0735A (zh) * 2014-07-02 2014-09-24 李哲先 通风横锁式单元幕墙系统
KR20160125847A (ko) 2015-04-22 2016-11-01 (주)두린 창호용 단열구조
CN108951974A (zh) * 2018-08-30 2018-12-07 陈正军 一种玻璃幕墙窗单元及其装配方法
CN108951974B (zh) * 2018-08-30 2023-09-12 江苏晶天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玻璃幕墙窗单元及其装配方法
CN110044001A (zh) * 2019-04-07 2019-07-23 张祖超 一种可进行调节孔位大小的建筑幕墙通风器
KR20220036746A (ko) * 2020-09-16 2022-03-23 (주)엘엑스하우시스 유리 창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101B1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101B1 (ko) 열교환 유닛을 구비한 커튼 월
KR20110118367A (ko) 공기청정 기능을 구비한 창호용 환기 장치
KR20110118369A (ko) 하이브리드 통풍 방식의 창호용 환기 장치
KR101237259B1 (ko) 실내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필터 및 열교환기가 내장된 창문형 환기장치
KR101293802B1 (ko) 히트 파이프를 구비한 창호용 환기장치
RU2531735C2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кон
RU2594454C1 (ru) Окно, имеющее систему вентиляции
KR101293852B1 (ko) 창호용 환기 장치의 열교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환기 장치
KR20110118363A (ko) 창호용 환기 장치
KR20110118364A (ko) 창호용 환기 장치
KR101259671B1 (ko) 창호용 환기 장치에서의 급배기 조합을 이용한 환기 극대화 방법
KR101307645B1 (ko) 창호용 환기 장치의 창호틀 공기유로 차단부재
KR101273019B1 (ko) 창호용 환기 장치
KR101272994B1 (ko) 창호용 환기 장치의 열교환 모듈
KR101338547B1 (ko) 창호용 환기 장치의 열교환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 모듈
KR101254413B1 (ko) 창호용 환기 장치의 배기 모듈
KR101274838B1 (ko) 창호용 환기 장치와 주방 후드의 급배기 조합을 이용한 환기 극대화 방법
KR101330447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급배기부 구조
KR102067232B1 (ko) 벽부형 전열교환기
KR20110118343A (ko) 창틀프레임 일체형 창호용 환기장치
KR101263991B1 (ko) 창호용 환기 장치와 결합하는 창호틀
KR20110118368A (ko) 창호용 환기 장치
KR20110111682A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교차오염 방지 구조체
KR102280520B1 (ko) 유리창 대체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KR200426731Y1 (ko) 환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5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4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