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15723A -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5723A
KR20110115723A KR1020100035205A KR20100035205A KR20110115723A KR 20110115723 A KR20110115723 A KR 20110115723A KR 1020100035205 A KR1020100035205 A KR 1020100035205A KR 20100035205 A KR20100035205 A KR 20100035205A KR 20110115723 A KR20110115723 A KR 20110115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eiling
fixed
duct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동호
서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에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에어
Priority to KR1020100035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5723A/ko
Publication of KR20110115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723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렛덕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ㄱ'자형 브라켓을 이용하여 천정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플렛덕트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공기의 누설 또는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한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는,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에서 플렛덕트를 삽입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구가 구비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연결구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중앙에 브라켓삽입공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브라켓장착부와; 일측이 상기 브라켓장착부의 브라켓삽입공에 삽입 결합되고, 타측은 천정에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본체를 천정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FIXED-ON-CELING TYPE FLAT DUCT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플렛덕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ㄱ'자형 브라켓을 이용하여 천정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플렛덕트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공기의 누설 또는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한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오피스텔 또는 상가, 사무실 등 공동건물에는 실내 공기의 환기를 위한 환기덕트가 구비된다. 이러한 환기덕트는 여름철 냉방 및 겨울철 난방, 그리고 실내 밀폐로 인한 실내 공기의 오염과 실내 마감재의 오염물질에 의한 실내 공기 오염 등의 폐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실내 공기를 강제 환기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환기덕트는 원형덕트, 오발덕트 등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덕트가 존재하는데, 최근에는 대체로 단면이 납작한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 공간 점유율이 낮고 천정 설치가 용이한 플렛덕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 에는 통상적인 플렛덕트의 설치구조가 도시된다.
도 1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플렛덕트(1)는 직관 형태의 다수개의 플렛덕트(1)가 연결장치(2)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분기 연결되며, 철제클립(3)에 의해 천정에 고정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장치(2)는 납작한 중공의 함체로서,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에서 플렛덕트(1)를 삽입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철제클립(3)은 중앙이 대체로 'ㄷ'자 형상으로 만곡되며, 양단부가 외측으로 수평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어, 중앙 만곡부에 플렛덕트(1)가 끼워져 플렛덕트(1)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양단부는 천정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나 직결피스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연결구에 결합된 각 플렛덕트(1)가 철제클립(3)에 의해 천정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연결장치(2)는 각 플렛덕트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플렛덕트(1)의 설치 구조에 따르면, 각 플렛덕트(1)는 철제클립(3)에 의해 고정되되, 연결장치(2)는 별도로 천정에 고정되지 않고 각 플렛덕트(1)에 의해 공중에 지지되는 형국이 된다. 이에 따라, 도 1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렛덕트(1)의 단부에 하중이 걸리게 되어 플렛덕트(1)가 하방으로 처지거나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연결부위의 실링(sealing)에 문제가 초래되어 내부의 공기가 누설되거나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어 쾌적하고 건강한 환경을 유지하려는 환기덕트 시스템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플렉덕트 말단의 피로도 증가로 인하여 내구성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연결장치(2)를 공중에 미고정 상태로 배치한 후 플렛덕트(1)를 연결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매우 불편한 단점 또한 야기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플렛덕트 설치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ㄱ'자형 브라켓을 이용하여 연결장치를 천정에 고정설치함으로써, 플렛덕트의 피로도를 경감시키고, 공기의 누설 또는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한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는,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에서 플렛덕트를 삽입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구가 구비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연결구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중앙에 브라켓삽입공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브라켓장착부와; 일측이 상기 브라켓장착부의 브라켓삽입공에 삽입 결합되고, 타측은 천정에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본체를 천정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장착부의 브라켓삽입공에 끼움결합되며, 하부 말단에 후크부재가 구비된 수직편과; 상기 수직편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부 표면이 천정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수평편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수직편 전면측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결합부의 외측 중앙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장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의 수평편 하부측의 좌우 양측에는 보강편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레일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의 수평편 상측 후방에는 상기 본체의 연결구 상측 모서리 부분에 걸려 지지되는 지지편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의 연결구와 플렛덕트 사이에 패킹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되, 상기 패킹부재는 연결구 내측에 삽입되고, 내측 둘레에는 플렛덕트의 삽입 결합시 플렛덕트 외부 표면에 밀착 접촉되는 실링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의 후방 단부측에는 삽입되는 플렛덕트의 단부면이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걸림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장치가 먼저 천정에 고정된 상태에서 플렛덕트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플렛덕트 단부의 피로도가 감소함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며, 연결부위의 변형이 방지되어 공기의 누출 및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므로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 은 종래 플렛덕트의 설치구조가 나타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렛덕트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렛덕트 연결장치의 고정브라켓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렛덕트 연결장치의 고정 설치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렛덕트 연결장치의 실링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는, 본체(20), 브라켓장착부(24), 그리고 고정브라켓(3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20)는 종래 기술분야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에서 플렛덕트(1)를 삽입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구(20a)가 구비된 납작한 중공의 함체로서, 삼각, 사각, 오각형 등 다각형 형상이거나, 원형, 타원형 또는 엘보형 등 그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구(20a)는 단면이 사각인 플렛덕트(1)를 삽입할 수 있도록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장착부(24)는 후술하는 고정브라켓(30)이 삽입 장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연결구(20a)의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장착부(24)는 연결구(20a) 좌우 양측면에 고정브라켓(30)이 수직으로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중앙에 브라켓삽입공(24a)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며, 외측 중앙에는 후술하는 고정브라켓(30)의 결합돌기(32a)가 삽입 결합되어 고정브라켓(3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장홈(24b)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30)은 좌우 양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ㄴ'자로 절곡 형성되어 중앙에 브라켓삽입공(24a)이 형성되고, 내측 말단부가 일정 간격 상호 이격되어 결합장홈(24b)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좌우 양측의 한쌍의 돌출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장착부(24)의 형상은 브라켓삽입공(24a)과 결합장홈(24b)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고정브라켓(30)을 삽입 고정할 수만 있다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할 것이고, 그 작용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브라켓(30)은 일측이 상기 본체(20)의 브라켓장착부(24)에 삽입 결합되고, 타측이 천정에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어, 본체(20)를 천정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는 수직편(32)과 수평편(34)으로 구성되어 대체로 'ㄱ'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30)의 수직편(32)은 상기 브라켓장착부(24)의 브라켓삽입공(24a)에 끼움결합되는 부분으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측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 결합돌기(32a)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32a)의 하부 말단에는 고정브라켓(30)의 수직편(32)을 브라켓장착부(24)에 걸림 고정하기 위한 후크부재(32b)가 구비된다. 상기 후크부재(32b)에 의한 고정브라켓(30)의 걸림 고정 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30)의 수평편(34)은 상부 표면이 천정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 또는 직결피스 등의 체결구에 의해 천정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체결 작업이 용이하도록 본체(2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로 천정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수평편(34)의 표면에는 체결구가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관통공 없이 타격앙카나 에어타카 또는 직결피스 등을 타격하여 직접 수평편(34)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것이 시공 편의상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수평편(34)을 체결구의 타격에 의해 직접 관통 체결하는 경우, 대체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수평편(34)이 깨지거나 일방향으로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평편(34)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편(34)에는 보강편(40)이 끼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편(40)은 대체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평편(34)의 일측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편(34)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천정과 접촉되지 않는 하부측의 좌우 양측에는 보강편(40)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레일(34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편(34)의 상측 후방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연결구(20a) 상측 모서리 부분에 걸려 지지되는 지지편(34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 상기 본체(20)의 연결구(20a) 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딩처리됨에 따라, 상기 지지편(34b)도 상기 연결구(20a) 모서리 형상에 상응하도록 둥글게 라운딩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 본체(20)가 고정브라켓(30)과 끼움 및 후크 결합되고, 고정브라켓(30)이 천정에 체결 고정됨으로써, 연결장치 본체(20)가 천정에 고정 설치되며, 플렛덕트(1)의 단부가 연결장치 본체(20)의 연결구(20a)에 삽입되어 지지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플렛덕트(1)와 연결장치 연결부의 실링(sealing) 효과를 더욱 증대시킴과 아울러, 실링 작업의 용이성을 위하여, 연결장치의 연결구(20a)와 플렛덕트(1) 사이에 패킹부재(50)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패킹부재(50)는 연결장치의 연결구(20a)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구(20a)의 선단에 끼움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패킹부재(50)의 선단에는 상기 연결구(20a) 선단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내측에 연결구(20a) 선단이 끼워지는 결합부(50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50)의 내측 둘레에는 다수개의 실링돌기(50b)가 돌출형성되어, 플렛덕트(1)의 삽입 결합시 플렛덕트(1) 외부 표면에 밀착 접촉됨으로써, 플렛덕트(1)와 연결구(20a) 사이의 간극을 실링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50)의 후방 단부측에는 삽입되는 플렛덕트(1)의 단부면이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걸림구(50c)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구(50c)는 플렛덕트(1)의 단부면이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후크 형상으로 구성되며, 플렛덕트(1) 단부의 각 변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에는 이러한 패킹부재(50)에 의한 연결구(20a) 및 플렛덕트(1) 사이의 실링 구조가 단면도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재(50)는 연결구(20a)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패킹부재(50) 내측으로 플렛덕트(1)가 삽입되며, 플렛덕트(1)의 외부 표면에는 패킹부재(50) 내측 둘레에 형성된 실링돌기(50b)가 밀착 접촉된다.
종래에는 플렛덕트(1)와 연결구(20a) 사이의 실링을 위해, 연결구(20a) 내측에 실리콘을 도포한 후 플렛덕트(1)를 삽입하고, 외측에서 연결부위를 테이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실링 작업 및 교체, 그리고 재시공이 매우 불편하며, 실리콘 도포 및 테이핑으로 인한 교체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한편, 연결구(20a) 내측에 홈을 파고, 여기에 패킹을 끼워넣는 형태의 실링 방법도 제안되었으나, 이 경우 패킹의 변형에 의해 연결구(20a) 내측과 패킹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공기 누설 및 외부 이물질 유입, 그리고 환기 및 냉난방 효율 저하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링 방법에 따르면, 패킹부재(50)를 연결구(20a) 외측 둘레에 끼움 결합하고, 패킹부재(50) 내측에 플렛덕트(1)를 단순 끼움결합함에 따라 실링 작업이 완료되므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패킹의 교체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패킹부재(50) 표면에 구비된 실링돌기(50b)가 플렛덕트(1)의 외부 표면에 밀착 접촉되므로, 실링효과가 우수하여 환기 및 냉난방 효율이 향상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는 바, 이하에서는, 상술한 플렉덕트 연결장치를 이용한 플렛덕트의 설치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정브라켓(30)의 수직편(32)을 연결구(20a) 외측에 구비된 브라켓 장착부의 브라켓삽입공(24a) 입구에 삽입하고, 하방으로 힘을 가하여 밀어 넣는다. 그러면, 브라켓장착부(24),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양측의 돌출편이 탄성 변형되면서 브라켓삽입공(24a)이 확장되어 고정브라켓(30)의 수직편(32) 하단에 형성된 후크부재(32b)가 먼저 삽입되고, 이어서 전체 고정브라켓(30)의 수직편(32)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수직편(32)에 형성된 결합돌기(32a)가 브라켓장착부(24)의 결합장홈(24b)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브라켓(30)을 밀어넣는다. 고정브라켓(30)의 수직편(32)을 완전히 밀어넣으면, 수직편(32) 말단의 후크부재(32b)가 브라켓삽입공(24a)의 하부 말단 외측으로 노출되고, 이와 동시에 탄성 변형되었던 브라켓장착부(24), 구체적으로 돌출편이 복원되면서 브라켓삽입공(24a)이 수축되어, 후크부재(32b)가 브라켓삽입공(24a) 하부 말단 외측에 걸림 고정된다. 또한, 수직편(32)의 결합돌기(32a)는 브라켓장착부(24)의 결합장홈(24b)에 삽입 결합되므로, 고정브라켓(30)과 연결장치가 유동없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브라켓(30)과 연결장치의 결합이 완료되면, 연결장치의본체(20) 상부면을 천정(c)에 맞댄 상태에서, 고정브라켓(30)에 타격앙카 등의 체결구를 체결하여 고정브라켓(30)을 천정에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연결장치의 연결구(20a)에 패킹부재(50)를 끼움결합한 후 내측으로 플렛덕트(1)를 삽입 결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 2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 본체(20)가 천정에 고정된 상태에서 플렛덕트(1)가 연결장치 본체(20)의 연결구(20a)에 삽입 지지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설치되며, 고정브라켓(30)을 이용하여 연결장치를 천정에 먼저 고정 설치한 후에 플렛덕트(1)를 삽입 결합하므로 용이하게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에까지 미친다할 것이다.
20 : 본체 20a : 연결구
24 : 브라켓장착부 24a : 브라켓삽입공
24b : 결합장홈 30 : 고정브라켓
32 : 수직편 32a : 결합돌기
32b : 후크부재 34 : 수평편
34a : 레일 34b : 지지편
40 : 보강편 50 : 패킹부재
50a : 결합부 50b : 실링돌기
50c : 걸림구

Claims (7)

  1. 서로 다른 복수의 방향에서 플렛덕트를 삽입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구가 구비된 중공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연결구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중앙에 브라켓삽입공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브라켓장착부와;
    일측이 상기 브라켓장착부의 브라켓삽입공에 삽입 결합되고, 타측은 천정에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본체를 천정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장착부의 브라켓삽입공에 끼움결합되며, 하부 말단에 후크부재가 구비된 수직편과;
    상기 수직편의 상부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부 표면이 천정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수평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수직편 전면측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결합부의 외측 중앙에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장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수평편 하부측의 좌우 양측에는 보강편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수평편 상측 후방에는 상기 본체의 연결구 상측 모서리 부분에 걸려 지지되는 지지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연결구와 플렛덕트 사이에 패킹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되, 상기 패킹부재는 연결구 내측에 삽입되고, 내측 둘레에는 플렛덕트의 삽입 결합시 플렛덕트 외부 표면에 밀착 접촉되는 실링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의 후방 단부측에는 삽입되는 플렛덕트의 단부면이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걸림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KR1020100035205A 2010-04-16 2010-04-16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Abandoned KR20110115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205A KR20110115723A (ko) 2010-04-16 2010-04-16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205A KR20110115723A (ko) 2010-04-16 2010-04-16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723A true KR20110115723A (ko) 2011-10-24

Family

ID=4503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205A Abandoned KR20110115723A (ko) 2010-04-16 2010-04-16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57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011B1 (ko) * 2020-09-11 2021-03-22 김진수 친환경 및 고효율 공기조화시스템
KR20230108923A (ko) * 2022-01-12 2023-07-19 한국토지주택공사 위치 가변형 덕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011B1 (ko) * 2020-09-11 2021-03-22 김진수 친환경 및 고효율 공기조화시스템
KR20230108923A (ko) * 2022-01-12 2023-07-19 한국토지주택공사 위치 가변형 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7733B2 (en) Ceiling suspension structure
CN111051626A (zh) 金属挡板
CN102840653A (zh) 空调装饰条固定结构
JP6285874B2 (ja) 通気風道用の実用的な可撓性接続装置
KR20110115723A (ko) 천정 고정형 플렛덕트 연결장치
US6418689B1 (en) Removable wall system
CN209371396U (zh) 空调室外机装配组件及空调室外机
KR100878145B1 (ko) 패널용 천장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 패널 조립시스템
KR100796231B1 (ko) 연결덕트의 구조
KR101546921B1 (ko) 투습방수지를 이용한 건축물 외벽 단열구조
JP6254219B2 (ja) 配管用ダクトの建屋への接続構造
CN205878552U (zh) 挂壁式空调室内机及其上底盘
KR101389958B1 (ko) 천장 루버
KR100749904B1 (ko) 천장 판넬 및 설치 부재와 이를 이용한 천장 판넬 시공 방법
CN213755222U (zh) 一种机柜空调及其机柜
KR101666065B1 (ko)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CN113195844B (zh) 一种夹子
KR101027121B1 (ko) 가스배관 고정구
RU2813820C1 (ru) Профиль для монтажа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KR101367849B1 (ko) 처짐 방지용 천장패널
KR101363310B1 (ko) 천장 마감재용 고정구
KR20170053253A (ko) 천정 티바용 고정클립
KR101225489B1 (ko)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CN221143206U (zh) 一种便于安装的室内幕墙
CN208122124U (zh) 一种磁性复合屋顶结构以及建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8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