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828A -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 Google Patents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13828A KR20110113828A KR1020100033125A KR20100033125A KR20110113828A KR 20110113828 A KR20110113828 A KR 20110113828A KR 1020100033125 A KR1020100033125 A KR 1020100033125A KR 20100033125 A KR20100033125 A KR 20100033125A KR 20110113828 A KR20110113828 A KR 201101138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ceiling
- assembly
- lifting
- ceiling wor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8—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setting wall or ceiling slabs or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천장의 앵커설치 등의 천장작업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쌍을 이루어 배치된 부재가 상호 교차하는 일측이 링크축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링크결합체의 각 단부가 회동축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각 단부의 확장과 수축에 대응하여 승강하는 링크결합체 어셈블리;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천장을 향하도록 직립 설치되는 천장 작업구; 및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 중 하단부측 링크결합체의 제1링크축과 그 상측에 배치된 제2링크축의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천장 작업구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천장작업용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perform ceiling work, such as ceiling anchor install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each end of the plurality of link coupling body is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rotation axis of one end of the pair of members arranged in pair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It is made, the link assembly assembly for lifting up and down correspon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each end; A ceiling work tool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link assembly assembly and installed upright to face a ceiling; And a lift control device for elevating the ceiling work tool in a vertical direction by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a first link shaft of a lower link link assembly and a second link shaft disposed above the link assembly assembly. To prov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장작업용 승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의 앵커설치 등의 천장작업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천장작업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work lif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iling work lifting device for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performing the ceiling work such as ceiling anchor installation.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옥내 천장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감추기 위한 별도의 의장품이 설치되고, 이러한 의장품들은 상기 천장 콘크리트에 고정되는 철골인 앵카에 현수되어 지지된다. In general, a separate design for concealing a concrete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indoor ceiling of a building, and these design items are suspended and supported by an anchor, which is steel frame fixed to the ceiling concrete.
도 1은 일반적인 건축물 등의 천장에 앵커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anchor on the ceiling of a general building.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천장(10)에 작업자가 사다리 등을 타고 올라가서 앵커홀 굴착용 드릴장치를 사용하여 드릴홈(11)을 굴착하여 형성한다. 이후, 상단부 내측에 쐐기(25)가 삽입되도록 앵커고정구(21)를 상기 드릴홈(11)에 삽입하고 망치 내지 컴프레셔장치 등을 사용하여 상기 앵커고정구(21)의 하단부를 타격한다. As shown in FIG. 1, in the related art, an operator climbs a ladder or the like on a
이를 통하여, 상기 쐐기(25)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앵커고정구(25)의 상단이 확관되면서 드릴홈(11)의 내주에 가압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앵커고정구(25)의 상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각도 간격을 가지고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확관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Through this, the upper end of the
이후, 상기 앵커고정구(25)의 하부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에 앵커(30)의 수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천장고정용 앵커(30)의 고정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Thereafter, fixing the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건축물 등의 천장에는 각종 의장품의 설치를 위해서는 사전에 천장에 앵커를 설치하여야 하지만, 드릴홈의 형성과정 및 앵커고정구의 타격과정 등에서 작업자는 별도의 사다리를 옮겨가면서 수분 내지 수시간 동안 고개를 천장을 향한 상태로 작업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nstall a variety of equipment on the ceiling of the building, such as anchors must be installed in advance, but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drill groove and the hitting of the anchor fixture, the worker moves a separate ladder, There was a difficulty to work with the head facing the ceiling for a while.
더욱이, 하나의 구획된 공간의 천장에는 이와 같은 앵커의 설치가 가수 개소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업자는 과로하게 됨으로써 안정적인 설치작업이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상대적으로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Moreover, since the installation of such anchors must be made at the singer points in the ceiling of one partitioned space, the worker is overworked through this process, making it difficult to perform stable installation work and having a relatively large labor cost.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천장의 앵커설치 등의 천장작업을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천장작업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to perform the ceiling work such as ceiling anchor installation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쌍을 이루어 배치된 부재가 상호 교차하는 일측이 링크축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링크결합체의 각 단부가 회동축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각 단부의 확장과 수축에 대응하여 승강하는 링크결합체 어셈블리;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천장을 향하도록 직립 설치되는 천장 작업구; 및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 중 하단부측 링크결합체의 제1링크축과 그 상측에 배치된 제2링크축의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천장 작업구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천장작업용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combining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link coupling body coupled to the link axis one side of the members arranged in pair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each end A link assembly assembly which is lifted in response to; A ceiling work tool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link assembly assembly and installed upright to face a ceiling; And a lift control device for elevating the ceiling work tool in a vertical direction by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a first link shaft of a lower link link assembly and a second link shaft disposed above the link assembly assembly. To provide
여기서, 상기 승강조절장치는, 상기 제1링크축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구조를 이루되,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프레임이 연장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링크축의 상하 방향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지지부와, 상기 연장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2링크축과 결합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Here, the elevating adjustment device is a lower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first link shaft, the support frame is extended to extend the rear extends, the guide support for guiding the lif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shaft,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xtension frame, one end is preferably made to include a lifting drive coupled to the second link shaft.
그리고, 상기 안내지지부에는 상기 제2링크축의 단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는 윤활제가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guide support is formed in the guide ho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end of the second link shaft to be movable up and down, it is preferable that a lubricant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또한, 상기 연장프레임과 상기 승강구동부의 사이에는 상기 승강구동부의 일단부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유체압을 제공하는 유체 실린더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fluid cylinder providing a fluid pressure in a direction of raising one end of the lifting driving part is connected between the extension frame and the lifting driving part.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링크축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호 연동작용을 안내하는 장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n end of the second link shaft may b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elevating driving part to form a long hole for guiding an interlocking action.
본 발명은 전술한 해결 수단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through the aforementioned solution.
첫째, 작업자는 천장에 드릴홈을 형성할 위치에 본 발명에 따른 천장작업용 승장장치를 고정한 후, 상기 천장 작업구로서 마련된 앵커홀 굴착용 드릴장치의 전원을 켜서 드릴이 구동시키면서 상기 승강구동부의 타단부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를 전체적으로 상승시키면서 상기 드릴의 단부가 천장을 굴착하도록 하면 되므로, 별도의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 작업할 필요가 없어 작업과정이 현저히 편리하고 효율화될 수 있고 각종 천장 작업의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First, after the worker secures the ceiling work elev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osition to form a drill groove in the ceiling, while turning the power of the drill hole drilling drill device provided as the ceiling work tool while driving the drill other lifting device Since the end of the drill to excavate the ceiling while pressing the end downward to raise the link assembly assembly as a whole, there is no need to climb up a separate ladder work process can be significantly convenient and efficient and various ceiling work The productivity of can be remarkably improved.
둘째, 상기 연장프레임과 상기 승강구동부의 사이에는 상기 승강구동부의 일단부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유체압을 제공하는 유체 실린더가 제공되어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의 하강시 상기 유체 실린더는 압축 에너지를 저장하여,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 및 상기 천장 작업구의 자중을 지탱하는데 사용됨과 아울러 지렛대 원리가 더해짐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의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기 승강구동부의 타단부측 손잡이를 하측으로 가압시 훨씬 적은 힘으로도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를 손쉽게 상승시킬 수 있어 작업성 및 에너지 효율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Second, a fluid cylinder is provided between the elongated frame and the lift driver to provide a fluid pressure in a direction of raising one end of the lift driver so that the fluid cylinder stores compressive energy when the link assembly assembly is lowered. In addition to being used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linkage assembly and the ceiling work tool, the lever principle is added so that the operator can press the handle of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drive downward to raise the linkage assembly. The assembly assembly can be easily raised to significantly improve workability and energy efficiency.
도 1은 일반적인 건축물 등의 천장에 앵커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작업용 승강장치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작업용 승강장치의 승강구동부와 제2링크축 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작업용 승강장치에 적용되는 안내지지부의 일 형태를 나타낸 상측에서 바라본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작업용 승강장치의 도면.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anchor on the ceiling of a typical building.
Figure 2 is a view of the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lifting drive unit and the second link shaft of the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top view as seen from the top showing one form of the guide support applied to the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of the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작업용 승강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작업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작업용 승강장치(100)는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 천장 작업구(170), 그리고 승강조절장치(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 2, the
여기서,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는 쌍을 이루어 배치된 부재(121,122)가 상호 교차하는 중앙부 일측이 링크축(123)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링크결합체(120)의 각 단부가 상하방향을 따라서 회동축(125)의 반복적인 결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인접하는 링크결합체(120)의 회동축(125) 간의 거리가 확장 또는 수축됨에 대응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가 승강하도록 구비된다. Here, the
또한,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의 상단부에는 천장을 향하도록 직립 설치되는 천장 작업구(170)가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천장 작업구(170)는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체(171)와, 상기 지지체(171)의 상면에 천장을 향하도록 직립되어 고정설치된 작업장치(1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소정폭을 갖는 지지체(17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의 각 부재(121,122)는 소정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거나,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가 한 쌍 이상의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작업장치(172)는 앵커고정용 드릴홈(도 1의 11)을 굴착하기 위한 드릴이 구비된 앵커홀 굴착용 드릴장치 내지 앵커고정구(도 1의 21)를 타격하기 위한 컴프레셔장치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작업장치(172)는 천장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승강됨에 따라 각종 작업의 수행하는 장치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장치(172)의 원격 구동을 위해 조작신호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173)은 하부로 연장되어 작업자가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러(미도시)와 연결되도록 한다. Here, the
한편,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는 각 링크결합체(120)가 상호 연동하여 승강되므로, 이러한 승강을 위한 외력은 어느 일부의 링크결합체(120)에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승강조절장치(150)는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 중 하단부측 링크결합체의 제1링크축(126)과 그 상측에 배치된 제2링크축(127)의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천장 작업구(172)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상세히, 상기 승강조절장치(150)는 지지프레임(151), 안내지지부(160), 그리고 승강구동부(1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detail, the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51)은 상기 제1링크축(126)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구조를 이루되, 그의 후방에는 연장프레임(152)이 연장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51)의 하단부에는 작업자가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이동식 바퀴(155)가 복수 개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작업자가 원하는 작업위치에서는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식 바퀴(155)를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이 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그리고, 상기 안내지지부(160)는 상기 제2링크축(127)의 상하 방향 승강을 안내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안내지지부(160)는 상기 제2링크축(127)의 단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안내홀(161)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홀(161)의 내측에는 윤활제가 충진 내지 도포됨으로써 상기 제2링크축(127)의 단부와의 접촉면을 윤활하여 상하방향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165)는 상기 연장프레임(152)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일단부(165a)가 상기 제2링크축(127)과 결합되며 타단부(165b)는 연장되어 작업자가 취부하여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부(165)의 타단부(165b)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조작하면 상기 제2링크축(127)이 상기 안내지지부(160)의 안내홀(161)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가 전체적으로 상승된다. 반면에, 상기 승간구동부(165)의 타단부(165b)를 상측으로 조작하면 상기 제2링크축(127)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가 전체적으로 하강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2, when the
예컨대, 작업자는 천장에 드릴홈을 형성할 위치에 본 발명에 따른 천장작업용 승장장치(100)를 고정한 후, 상기 천장 작업구(170)로서 마련된 앵커홀 굴착용 드릴장치의 전원을 켜서 드릴을 구동시키면서 상기 승강구동부(165)의 타단부(165b)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드릴의 단부가 천장을 굴착하도록 하면 되므로, 작업과정이 현저히 편리하고 효율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하나의 구획된 공간의 천장에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orker fixes the ceiling
여기서,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가 한 쌍으로 구비된 경우에 상기 승강구동부(165)가 한 쌍의 링크결합체 어셈블리의 각 제2링크축(127)에 결합되도록, 그의 일단부(165a)는 "Y" 자 형태로 분지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whe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작업용 승강장치의 승강구동부와 제2링크축 간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lifting drive unit and the second link shaft of the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부(165)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링크축(127)의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승강구동부(165)의 일단부(165a)와 상기 제2링크축(127) 간의 연동작용을 가이드하는 장공(165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승강구동부(165)의 시소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2링크축(127)의 승강 작동이 기구학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3, an end of the
이를 위하여, 상기 장공(165c)은 상기 승강구동부의 일단부(165a)에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기본적으로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되 경우에 따라서는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승강구동부(165)와 상기 제2링크축(127)의 기구학적 연동이 가능한 구조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To this end, the long hole (165c) is formed to extend in one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작업용 승강장치에 적용되는 안내지지부의 연결구조 상측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top view as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guide support applied to the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지지부(160)에는 상기 제2링크축(127)의 단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안내홀(161)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ure 4, the
상세히, 상기 안내지지부(160)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통 내지 다각형 단면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의 일측면에 종방향을 따라 개구된 안내홀(16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링크축(127)에는 링크결합체를 이루는 한 쌍의 부재(121,122)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승강구동부(165)의 일단부가 결합된다. In detail, the
또한, 상기 제2링크축(127)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이탈방지부(127a)는 상기 안내지지부(160)의 내측에 삽입되되, 그 단면 형상이 상기 안내지지부(160)를 이루는 관의 내주에 형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내지지부(160)의 내주에는 구리스 등과 같은 겔형 윤활제가 도포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2링크축(127)의 제1이탈방지부(127a)가 보다 안정적인 상하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2링크축(127)의 타단부에는 상기 부재 내지 승강구동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이탈방지부(127b)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제2링크축에 결합되는 상기 승강구동부의 일단부와 상기 안내지지부의 위치는 서로 교체되어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한편, 상기 안내지지부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안내홀을 이루는 테두리는 상기 제2링크축의 단부의 양면과 접촉되도록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안내부재로 변경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안내지지부는 원통형이 아니라 상기 제2링크축의 외주 양측을 구속하는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orm of the guide support, the edge forming the guide hole may be configured to be changed to a pair of guide member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end of the second link shaft. In other words, the guide support may be considered to be formed of a pair of members that are not cylindrical but constrai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link shaft.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2링크축의 단부는 상기 안내지지부를 이루는 한 쌍의 부재 사이에 형성된 안내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2링크축의 단부에 형성된 제1이탈방지부가 상기 안내홀의 폭보다 크게 구비되어, 제2링크축이 상기 안내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In this case as well, the end of the second link shaft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guide hole formed between the pair of members constituting the guide support portion, the first departure preventing portion formed in the end of the second link shaft than the width of the guide hole It is provided large, so that the second link shaft is not separated from the guide hol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작업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the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프레임(152)과 상기 승강구동부(165)의 사이에는 상기 승강구동부(165a)의 일단부를 상승 내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유체압을 제공하는 유체 실린더(181,182)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체 실린더(181,182)는 유압식 내지 공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압됨에 따라 압축되는 유체의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다가 팽창시 힘을 적게 들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s shown in FIG. 6, between the
상세히,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의 하강시 상기 유체 실린더(181,182)는 압축 에너지를 저장하여,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 및 상기 천장 작업구(170)의 자중을 지탱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유체 실린더(181,182)가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 및 상기 천장 작업구(170)의 자중을 지탱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의 상승시키기 위하여 상기 승강구동부(165)의 타단부(165b)측 손잡이를 하측으로 가압시 적은 힘으로도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110)를 손쉽게 상승시킬 수 있다. In detail,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유체 실린더는 상기 연장프레임(152)과 상기 승강구동부(165)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점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승강구동부(165)의 일단부(165a)측 내지 타단부(165b)측에 모두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As shown, such a fluid cylinder is preferably provided on either side of the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작업용 승강장치는 천장의 앵커설치를 위한 장치를 비롯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cluding the device for installing the anchor of the ceiling,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천장작업용 승강장치 110: 링크결합체 어셈블리
120: 링크결합체 126: 제1링크축
127: 제2링크축 150: 승강조절장치
151: 지지프레임 152: 연장프레임
160: 안내지지부 161: 안내홀
165: 승강구동부 170: 천장 작업구
181,182: 유체 실린더100: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110: link assembly assembly
120: link assembly 126: first link shaft
127: second link shaft 150: elevating control device
151: support frame 152: extension frame
160: guide support 161: guide hole
165: lifting drive unit 170: ceiling work tool
181,182: fluid cylinder
Claims (5)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천장을 향하도록 직립 설치되는 천장 작업구; 및
상기 링크결합체 어셈블리 중 하단부측 링크결합체의 제1링크축과 그 상측에 배치된 제2링크축의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천장 작업구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조절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천장작업용 승강장치. A link assembly assembly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end of a plurality of link members in which pairs of members arranged in pairs intersect with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rotation shaft, and move up and down corresponding to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each end portion;
A ceiling work tool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link assembly assembly and installed upright to face a ceiling; And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comprising a lifting control device for elevating the ceiling work tool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ink shaft of the lower link side link assembly of the link assembly assembly and the second link shaft disposed on the upper side. .
상기 승강조절장치는,
상기 제1링크축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구조를 이루되,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프레임이 연장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링크축의 상하 방향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지지부와,
상기 연장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2링크축과 결합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작업용 승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ifting control device,
A lower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first link shaft, the support frame having an extended extension frame extending backward;
A guide support for guiding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second link shaft;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xtension frame, one end of the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ing drive coupled to the second link shaft.
상기 안내지지부에는 상기 제2링크축의 단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안내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는 윤활제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작업용 승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support is formed in the guide ho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end of the second link shaft to be movable up and down, the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lubricant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상기 연장프레임과 상기 승강구동부의 사이에는 상기 승강구동부의 일단부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유체압을 제공하는 유체 실린더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작업용 승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id cylinder for providing a fluid pressure in the direction of raising the one end of the lifting drive portion between the extension frame and the lifting drive portion.
상기 승강구동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링크축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동운동을 안내하는 장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작업용 승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One end of the elevating drive unit is an end of the second link shaft is inserted into the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 hole is formed to guide the interlocking move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3125A KR20110113828A (en) | 2010-04-12 | 2010-04-12 |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3125A KR20110113828A (en) | 2010-04-12 | 2010-04-12 |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3828A true KR20110113828A (en) | 2011-10-19 |
Family
ID=4502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3125A Abandoned KR20110113828A (en) | 2010-04-12 | 2010-04-12 |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13828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60495A (en) * | 2020-11-03 | 2022-05-11 | (주)지안씨엔에스 | Under-tensioned formwork support structure and non-pos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CN115717466A (en) * | 2021-08-25 | 2023-02-28 |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 Ceiling working device and method |
CN118564021A (en) * | 2024-08-01 | 2024-08-30 | 国惠智能科技(江苏)有限公司 | A lifting system for assembled decoration ceiling |
-
2010
- 2010-04-12 KR KR1020100033125A patent/KR20110113828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60495A (en) * | 2020-11-03 | 2022-05-11 | (주)지안씨엔에스 | Under-tensioned formwork support structure and non-pos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CN115717466A (en) * | 2021-08-25 | 2023-02-28 |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 Ceiling working device and method |
CN118564021A (en) * | 2024-08-01 | 2024-08-30 | 国惠智能科技(江苏)有限公司 | A lifting system for assembled decoration ceil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67693B2 (en) | Core drill equipment for excavator installation | |
US8439604B2 (en) | Pipe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underground pipe ramming | |
US20080149395A1 (en) | Drilling or Service Rig | |
JPS627355B2 (en) | ||
CN111365041A (en) | A suspended self-moving full-circumferential rotary installation machine and using method | |
KR20110113828A (en) | Lifting device for ceiling work | |
EP1336026B1 (en) | Power tong frames | |
JP5686649B2 (en) | Ultra-low head drilling device, kelly rod used for the drill, its drilling reaction force acquisition method and its moving device | |
JP4377311B2 (en) | Pile column erection device | |
WO2012098492A2 (en) | Drill rig | |
CN111421509A (en) | Building electric hammer lifting support | |
CN108202162B (en) | Flexible multi-hole drilling machine and cutting method for support beam | |
JP4310583B2 (en) | Steel tower lifting device | |
CN113107400A (en) | Mining rig manipulator that trades | |
JP5851774B2 (en) | Low head drilling rig with variable feed stroke | |
KR20110019806A (en) | Mobile Elevated Ladder Truck | |
JP6620992B2 (en) | Building demolition machine and building demolition method | |
CN206707651U (en) | A kind of Telescopic arm for iron driller | |
CN219219009U (en) | Positioning pile driving equipment | |
CN215468288U (en) | Rotatable electric punching tool | |
JP5304289B2 (en) | Tuyere puller | |
CN216743499U (en) | Device applied to mounting of support and hanger | |
CN116005690B (en) | Foundation pit support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209856662U (en) | Movable device for fixing electric drill | |
CN113186918B (en) | A piling equipment for construction enginee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8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