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243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13243A KR20110113243A KR1020100032514A KR20100032514A KR20110113243A KR 20110113243 A KR20110113243 A KR 20110113243A KR 1020100032514 A KR1020100032514 A KR 1020100032514A KR 20100032514 A KR20100032514 A KR 20100032514A KR 20110113243 A KR20110113243 A KR 201101132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main body
- button
- touch screen
- ke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스크린이 위치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전면에 터치스크린이 배치되고, 본체의 배면에 본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키버튼이 구비된 버튼군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여, 스크린이 배치된 본체의 전면 및 측면에 배치된 다수의 키버튼을 제거함으로써, 풀터치가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을 더욱 심플하고 깔끔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screen is located on a front surface, and a touch screen is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a main body, and a button group having one or more key buttons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control operation of the main body is disposed. By providing a terminal, by remo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disposed on the front and side of the main body on which the screen is dispos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capable of full touch can be more simply and neatly impleme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면에 스크린이 위치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screen is located on one surface.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일면에 터치스크린이 위치하여 다양한 기능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하고, 터치스크린의 터치 입력을 통해 이동 단말기를 다양한 방면으로 제어한다. 그리하여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일면 대부분을 차지하는 터치스크린이 장착되어 동작을 제어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Recently, a mobile terminal has a touch screen located on one surface to input various functions through the touch screen, and controls the mobile terminal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touch input of the touch screen. Therefore, the recent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that occupies most of one side is developing in the dire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이러한 이동 단말기 중에서도 음성통신이나 영상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 기능이 부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즉, 휴대폰에도 터치스크린을 통해 휴대폰의 동작 전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풀터치(Full Touch) 휴대폰의 형태로 발전되었다. 이와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이 가능하여 사용자들은 이동하면서 자유롭게 다른 사람들과의 음성통신이나 영상통신을 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Among these mobile terminal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dded to enable a voice communication or a video communication, that is, a mobile phone has been developed in the form of a full touch mobile phone to control the entir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through a touch screen. . As such, communication is possible while moving, so that users can freely make voice or video communication with others while moving, and can use various functions.
더욱이,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스마트폰이라 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으며, 컴퓨터나 노트북 등에서만 이용하였던, wifi 통신까지도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들은 음성 및 영상통화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까지도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발전하고 있다.Moreo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 smartphone can be installed with various applications, and also used for computers or laptops, and also enables wifi communication, so that users can freely use not only voice and video calls but also data communication. It is developing.
그렇지만, 이렇게 풀터치가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에 터치스크린만이 구비되는 것은 사용에 여러 가지 불편이 따른다. 이는 터치스크린이 가지는 장점이외에도 여러 가지 단점들이 있기 때문이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full touch, it is inconvenient to use that only the touch screen i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This is because there are various disadvantages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of the touch screen.
먼저, 터치스크린으로 인한 장점은 터치의 입력으로 인해 이동 단말기에 입력을 위한 많은 키버튼들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여 디자인적으로 심플(Simple)한 디자인이 가능하고, 터치스크린의 크기를 이동 단말기 본체의 크기와 비슷할 정도로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넓은 디스플레이화면을 제공한다.First of all, the advantage of the touch screen is tha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many key buttons for input to the mobile terminal due to the touch input, so that a simple design can be achieved and the size of the touch screen is the size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terminal. It can be made large enough to provide a wide display screen.
하지만, 터치스크린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불필요하게 입력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터치스크린이 비활성화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However, since the touch screen is unnecessarily input even when not in use, the touch screen should be able to be controlled to be inactiv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not used.
그리하여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는 별도의 키버튼(Key Button)이 구비되어, 터치스크린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할 수 있도록 홀드(Hold)버튼이 구비되어야 하고, 그 외에도 필요에 따라 전원버튼 및 음성/영상 통신이 가능한 통화버튼, 취소버튼 등이 구비되어 있다.Thus,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touch screen is provided with a separate key button, and a hold button must be provided for activating and deactivating the touch screen. It is equipped with a call button, a cancel button, and the like that enable video communication.
그로인해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는 터치스크린이 위치한 면에도 하나 이상의 키버튼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동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도 다양한 키버튼들이 배치되어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As a result, at least one key button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touch screen in the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touch screen, and various key buttons ar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을 해치지 않으면서 기존의 이동 단말기에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vide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functions required for an existing mobile terminal without spoiling the design of the mobile terminal.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태양으로 이동 단말기는 내부에 다수의 전자부품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터치에 의한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본체의 배면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키버튼(Key Button)을 구비하는 버튼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are accommodated; A touch screen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displaying the input electrical signal as an image and outputting an input by a touch as an electrical signal; And a button group position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one or more key butto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때, 상기 버튼군은 회전되어 상기 본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휠키(Wheel Ke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button grou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heel key (Wheel Key) that can be rota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키버튼은 전원버튼, 홀드(Hold)버튼, 통화버튼, 취소버튼, 홈(Home)버튼 및 볼륨(Volume)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ne or more key buttons may be any one or more of a power button, a hold button, a call button, a cancel button, a home button, and a volume button.
또한, 상기 버튼군은 상기 본체의 배면 일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utton group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스크린이 배치된 본체의 전면 및 측면에 배치된 다수의 키버튼을 제거함으로써, 풀터치(Full Touck)가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디자인을 더욱 심플하고 깔끔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mo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disposed on the front and side of the main body on which the touch screen is disposed, the design of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full touch can be more simply and neatly implemented. There is an effect.
더욱이, 휠키(Wheel Key)를 이동 단말기의 배면 일 측에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파지하였을 때, 검지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휠키를 조작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이동 단말기의 제어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by arranging the wheel key on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user grips the mobile terminal, the wheel key is operated using an index finger or the like, so that the mobile terminal can be controlled more conveniently. have.
도1은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전면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배면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에 이용된 휠키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heel key used in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 technical part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본체(110), 터치스크린(120) 및 버튼군(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에 대하여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본체(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다수의 전자부품이 포함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여러 가지 기능들을 수행한다. 이러한 다수의 전자부품들의 구성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통신기능이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The
그리고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100)의 경우에는 본체(110)의 전면 상측에는 스피커가 구비되고, 전면의 하측에는 마이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하여 통신에 필요한 여러 부품들이 내장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를 도시한 도1 및 도2에서는 측면에 버튼이나 기타 단자 등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컴퓨터 등과 연결할 수 있는 USB단자나 이어폰 연결단자, 충전단자 등이 배치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터치스크린(120)은 본체(110)의 전면에 배치되고,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터치에 의한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20)이 배치되는 본체(110)의 전면에는 터치스크린(120)과 스피커를 제외하고는 다른 어떠한 것도 배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하여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형상을 살펴보면, 심플(Simple)한 디자인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터치스크린(120)이 배치되고, 터치스크린(120)의 주변 베젤(Bezel) 부분을 최소화시켜 이동 단말기(100)의 디자인을 더욱 깔끔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Thus, when looking at the front shape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20)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를 거의 완전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는 대부분 터치스크린(120)을 통해서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버튼군(130)은 본체(110)의 전면의 반대 면인 배면에 배치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터치스크린(120)이 배치된 면을 전면이라고 하면, 버튼군(130)은 배면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20)이 배치된 전면을 바라보았을 때, 버튼군(130)이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없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의 디자인이 더욱 깔끔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이때, 버튼군(130)에는 다수의 키버튼(Key Button, 131)이 마련되는 것이 가능한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키버튼(131)이 마련되고, 버튼군(130)의 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하여, 키버튼(131)이 형성된 부분이 회전되는 휠키(Wheel Key, 132)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이러한 버튼군(130)은 기존에 이동 단말기(100) 본체(1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던, 통화키버튼, 취소키버튼, 종료키버튼이나 전원키버튼, 또는, 홈키버튼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키버튼(131)들의 기능을 버튼군(130)에 구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20)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휠키(132)를 조작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그리고 터치스크린(120)을 통해 기능을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120)을 활성화시키거나 터치스크린(120)을 통해 입력이 되지 않도록 터치스크린(120)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는 홀드(Hold) 키버튼이 버튼군(130)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예로, 홀드 키버튼의 경우에는 버튼군(130)의 휠에 기능을 부여하여 터치스크린(120)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휠을 회전시키면 터치스크린(120)이 활성화가 되고, 터치스크린(12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휠을 회전시키면 터치스크린(120)이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Hold key buttons for activating the
또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버튼군(130)이 터치스크린(120)이 배치된 전면의 반대 면인 배면에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120)을 바라볼 때, 사용자는 배면에 배치된 버튼군(130)을 눈으로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버튼군(130)을 쉽게 조작하도록 하기 위해 배면의 일 측에 치우치도록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상기와 같이, 버튼군(130)을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20)을 바라보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검지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버튼군(130)을 조작하는 것이 더욱 편리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the
또한, 상기와 같이, 버튼군(130)을 휠키(132)로 형성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110)의 배면의 디자인을 더욱 심플하고 깔끔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휠키(132)는 단순한 디자인으로 구현하면서도 많은 키버튼(131)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휠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더욱 편리하게 이동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described below.
100: 이동 단말기
110: 본체 120: 터치스크린
130: 버튼군
131: 키버튼 132: 휠키100: mobile terminal
110: main body 120: touch screen
130: button group
131: key button 132: wheel keys
Claims (4)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터치에 의한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본체의 배면에 위치되고, 상기 본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키버튼(Key Button)을 구비하는 버튼군;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A main body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components therein;
A touch screen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displaying the input electrical signal as an image and outputting an input by a touch as an electrical signal; And
A button group located on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button group including one or more key buttons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Mobile terminal.
상기 버튼군은 회전되어 상기 본체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휠키(Wheel Ke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The button grou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heel key (Wheel Key) to be rota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Mobile terminal.
상기 하나 이상의 키버튼은 전원버튼, 홀드(Hold)버튼, 통화버튼, 취소버튼, 홈(Home)버튼 및 볼륨(Volume)버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The one or more key buttons may be any one or more of a power button, a hold button, a call button, a cancel button, a home button, and a volume button.
Mobile terminal.
상기 버튼군은 상기 본체의 배면 일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The button group is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one side of the back of the main body
Mobile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2514A KR20110113243A (en) | 2010-04-09 | 2010-04-09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2514A KR20110113243A (en) | 2010-04-09 | 2010-04-09 | Mobi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3243A true KR20110113243A (en) | 2011-10-17 |
Family
ID=4502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2514A Ceased KR20110113243A (en) | 2010-04-09 | 2010-04-09 | Mobi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113243A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8171B1 (en) * | 2014-02-06 | 2014-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20140137670A (en) * | 2013-05-23 | 2014-1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WO2015005558A1 (en) * | 2013-07-08 | 2015-01-15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WO2015012463A1 (en) * | 2013-07-22 | 2015-0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20150017111A (en) * | 2013-08-06 | 2015-02-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CN105094225A (en) * | 2014-05-19 | 2015-11-25 | Lg电子株式会社 | Mobile terminal |
KR101585476B1 (en) * | 2014-07-08 | 2016-01-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2010
- 2010-04-09 KR KR1020100032514A patent/KR20110113243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137670A (en) * | 2013-05-23 | 2014-1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WO2015005558A1 (en) * | 2013-07-08 | 2015-01-15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US9924007B2 (en) | 2013-07-08 | 2018-03-20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US9912792B2 (en) | 2013-07-22 | 2018-03-06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WO2015012463A1 (en) * | 2013-07-22 | 2015-01-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CN105393459B (en) * | 2013-07-22 | 2018-10-09 | Lg电子株式会社 | Mobile terminal |
CN105393459A (en) * | 2013-07-22 | 2016-03-09 | Lg电子株式会社 | Mobile terminal |
KR20150017111A (en) * | 2013-08-06 | 2015-02-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101398171B1 (en) * | 2014-02-06 | 2014-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EP2947858A1 (en) * | 2014-05-19 | 2015-11-25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with rear-surface sensor |
US9629268B2 (en) | 2014-05-19 | 2017-04-18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CN105094225A (en) * | 2014-05-19 | 2015-11-25 | Lg电子株式会社 | Mobile terminal |
CN105094225B (en) * | 2014-05-19 | 2019-10-01 | Lg电子株式会社 | Mobile terminal |
KR101585476B1 (en) * | 2014-07-08 | 2016-01-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040220B (en) | Touch-screen mobile phone case | |
TWI426415B (en) | Keyboard device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 |
TWI410824B (en) | Electronic device with the module integrating display unit and input unit | |
CN203689264U (en) | Carrying device of flat-plate movable electronic device | |
CN107077168B (en) |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flexible hinge structure | |
CN202998218U (en) | touch screen phone | |
KR20110113243A (en) | Mobile terminal | |
US10386893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cradling function | |
CN106470275A (en) | Mobile terminal and its control method | |
CN107249380A (en) | Portable terminal box | |
JP2012226679A (en) | Electronic apparatus | |
JP2014099071A (en) | Portable terminal, lock state control program and lock state control method | |
JP2014235544A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input control method | |
EP3633961A1 (en) | Camera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 |
JP2011070347A (en) | Mobile terminal device | |
CN111567021B (en) | Terminal | |
TWM460314U (en) | Protecting device for electrical device | |
JP2016051331A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device | |
JP2011049805A (en) | Mobile terminal | |
EP3139241B1 (en) | Mobile terminal | |
US20090137281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102078618B1 (en) | Cover device having input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hereof | |
CN104754092B (en) | Terminal push implementation method, device and mobile terminal | |
CN203561916U (en) | Electronic instrument accessory and electronic instrument assembly | |
JP2013138438A (en) | Electronic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10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6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