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487A - Stone block for sidewalk pav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 Google Patents
Stone block for sidewalk pav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05487A KR20110105487A KR1020100024644A KR20100024644A KR20110105487A KR 20110105487 A KR20110105487 A KR 20110105487A KR 1020100024644 A KR1020100024644 A KR 1020100024644A KR 20100024644 A KR20100024644 A KR 20100024644A KR 20110105487 A KR20110105487 A KR 201101054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rtar
- stone block
- cement
- concrete
- sto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면에 몰탈이 일정부분 침투되어 요철결합될 수 있어 별도의 접착제 없이 건식 시공으로도 서로 물성이 다른 시멘트(콘크리트)와 석재블럭 간의 결합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도 위치 이탈(분리)이 억제되면서 충격 흡수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달성하긴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은 지면 바닥의 시멘트(콘크리트) 위로 석재블럭이 안착 설치되는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을 구성함에 있어서, 시멘트 쪽의 상기 석재블럭의 밑면으로 상기 시멘트(콘크리트) 위의 몰탈이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두께의 1/3~1/2 내외 깊이로 다수의 요철홈이 절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석재블럭은 밑면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홈으로 시공 작업 전에 몰탈의 윗면이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화된 상태에서 시공 작업시 시멘트(콘크리트) 위의 몰탈에 대해 상기 석재블럭 밑면의 몰탈이 결합 고정된 구성상의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ne block for paving paveme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nd the mortar may be partially penetrated by concave and convexity on the bottom surface, thereby providing a bonding force between cement (concrete) and stone block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even with dry construction without an adhesive. Significantly improved, it prevents the positional deviation (separation) even in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thereby double the shock absorption. As a technical means to achieve this,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paving stone block in which a stone block is seated and installed on a cement (concrete) of the ground floor, and mortar on the cement (concret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tone block on the cement side. A plurality of uneven grooves are cut out to a depth of about 1/3 to 1/2 of the thickness so as to be infiltrated and combined into an integrated structure. In addition, the stone block has a plurality of uneven groove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ortar of the mortar on the cement (concrete) is bonded and fixed to the mortar on the cement (concrete) during the construction work in a structured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mortar penetrated and filled before the construction work It has a configuration characteristic.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멘트와의 결합력을 구조적으로 강화시킨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면에 몰탈이 일정부분 침투되어 요철결합될 수 있어 별도의 접착제 없이 건식 시공으로도 서로 물성이 다른 시멘트(콘크리트)와 석재블럭 간의 결합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도 위치 이탈(분리)이 억제되면서 충격 흡수도 배가시킬 수 있는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ving stone block for structurally strengthening the bonding force with cement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mortar penetrates into the bottom part and can be unevenly coupled to each other in dry construction without an adhesive. Regarding the paving stone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hich can double the shock absorption while preventing the positional separation (separation)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cement (concrete) and the stone block with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will be.
현재 콘트리트 시멘트블럭을 대체하여 상대적으로 비용은 많이 들지만 내구성(강도) 및 장식성(석재 고유의 자연적인 질감 및 문양) 모두에서 그 효과가 우수한 석재블럭이 점차 도로 보도포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Currently, the replacement of concrete cement blocks is relatively expensive, but stone blocks, which are excellent in both durability (strength) and decorative properties (natural texture and patterns unique to stone), are increasingly used for road pavement.
보도포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석재블럭은 강도가 대략 1,600 정도로 시멘트블럭에 비해 월등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빗물과 같은 수분을 자체 흡수할 수 있는 흡수율은 0.3 정도에 그쳐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이나 수축이 구조적으로 적어 당연히 시멘트블럭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그 사용수명이 길다는 특징이 있다.The stone block used for paving paving is about 1,600 in strength and superior to cement blocks, and the absorption rate that absorbs moisture such as rainwater is only about 0.3. Of course, the service life is long enough that it is incomparable with cement blocks.
이와 같은 고유한 질감과 우수한 강도를 갖는 석재는 건축용, 토목용 및 공예용에 걸쳐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천연자재로서의 자연 고유의 색상들이 변질되지 않아 디자인 장식성이 높다는 특징적인 장점이 있다.Stones having such a unique texture and excellent strength ar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for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and crafts. In particular, natural intrinsic colors as natural materials are not deteriorated, and thus the decorative design is high.
한편, 보도포장용으로 적용되는 석재블럭은 통상 그 두께가 30-40㎜ 정도로 적용되는 것이 보통이며, 바닥 모래층 위의 콘크리트쪽으로 안착 설치되어 외부 노출되지 않고 숨겨지는 밑면의 경우 절삭면으로 #200 정도로 가공 처리된 상태에서 몰탈을 사이로 콘트리트 위에 설치 고정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one blocks applied for sidewalk paving are usually applied with a thickness of about 30-40mm, and the bottom surface hidden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being settled toward the concrete on the bottom sand layer is processed to a cutting surface of about # 200. It is installed and fixed on the concrete through mortar in the processed state.
그런데 보도포장용으로 적용 설치되는 석재블럭은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통상 바닥 모래층(40) 위의 콘크리트(30) 위로 설치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인 시공구조인데, 이는 바닥의 토질상태에 따라 시멘트(콘크리트)(30)의 일정 두께를 타설한 다음, 몰탈(20)을 이용하여 그 위에 석재블럭(10)을 올려놓는 접착공법으로 시공되고 있다.By the way, as shown in Figure 1, the stone block applied to the installation paving is a general construction structure that is combined to be installed on the
이러한 시멘트 접착공법으로 시공할 경우에도, 시공 후 몇년 지나지 않아 서로 물성(재질)이 다른 석재블럭(10)과 시멘트(30) 간의 접착된 결합부위가 이탈되어 많은 하자가 발생되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 전역이 동절기와 하절기 간의 온도 변화가 50-60℃ 정도로 그 간격이 큰 만큼 많은 변화에 따른 하자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Even in the case of the cement bonding method, many defects are generated because the bonded joints between the
결국 외부 노출된 석재블럭(10)의 온도를 바닥쪽에 위치한 시멘트(콘크리트)가 흡수해야 하나 서로간 강도의 차이로 열전도율이 떨어지며, 이와 같은 현상에서 석재블럭은 하절기 50도의 열이 발생될 경우에 시멘트가 50도의 열을 흡수해야 하나, 시멘트의 강도가 250 일때 1,500 : 250 비율의 강도 차이로 인해 열전도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Eventually, the temperature of the externally exposed
이때 취약할 수밖에 없는 석재블럭(10)과 시멘트(콘크리트)(30) 간의 접착부위(피막)가 쉽게 떨어지게 된다. 즉, 석재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과 함께 시멘트(콘크리트) 역시 온도 변화되면서 수축현상이 발생되어 서로 간의 접착상태가 불량해져 위치 고정된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석재블럭의 위치 이탈이 발생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hesive site (film) between the
특히 온도 변화가 상대적으로 심한 동절기의 경우, 시멘트의 높은 흡수율로 인해 팽창되는 현상이 더욱 심할 수밖에 없어, 동절기에 석재블럭의 위치 이탈현상이 더욱 문제될 수 있다.Particularly, in winter, when the temperature change is relatively high, the expansion phenomenon due to the high absorption rate of cement is inevitably worsened, and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stone block may be more problematic in winter.
또한 석재블럭의 시공구조에서 문제되는 것이 충격인데, 석재블럭은 강도가 강하여 전달되는 충격이 크다. 이와는 달리 시멘트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하여 충격 흡수가 적다. 따라서 습식 시공구조의 경우에도 석재블럭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석재블럭과 시멘트 간의 접착부위가 떨어지게 되어 하자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곤란하였다.In addition, the problem in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stone block is an impact, the stone block is a strong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strong. In contrast, cement is relatively weak in strength and thus has little impact absorption.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the wet construction structure,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stone block,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defect occurs because the adhesion between the stone block and cement falls.
이는 결국, 단순 형태의 석재블럭을 시멘트(콘크리트) 위에 설치 고정되는 시공구조에서는 시멘트로부터 석재블럭이 미끄러지는 현상과 기울어지는 현상을 막기 곤란하였다.As a result, in the construction structure in which a simple type of stone block is fixed on cement (concrete),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stone block from slipping and inclining.
또한 석재블럭을 시공하기 위해 현행 콘크리트(시멘트)를 타설하고 석재블럭를 시공할 경우, 제거 비용이 많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현재 사용중인 시멘트블럭을 사용할 경우에도 당연히 물성적으로 구조적으로 퇴색 등 파손으로 유지보수가 빈번할 수밖에 없다.In addition, when the existing concrete (cement) is poured in order to construct the stone block and the stone block is construct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lot of removal cost is incurred. The maintenance is inevitable.
따라서 본 발명은 단순 형태의 석재블럭으로서 물성이 다른 바닥쪽의 시멘트(콘크리트)에 설치 결합되어 강도 및 열전도율의 차이로 인해 시멘트로부터 쉽게 박리 이탈되는 기존 석재블럭의 제반 문제점을 구조적으로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시멘트 위로 석재블럭을 안착 설치함에 있어 석재블럭의 저면으로 접착제 및 완충재 역할을 하는 몰탈이 일정부분 침투되어 요철결합될 수 있어 석재블럭의 접착면적을 구조적으로 넓어질 수 있도록 하여, 물성이 다른 시멘트(콘크리트)와 석재블럭 간의 결합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바, 시공 후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과 같은 물성 변화는 물론 외부 충격에 대해서도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결합구조의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stone block invented to solve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existing stone block is easily peeled and separated from the cement due to the difference in strength and thermal conductivity is installed and bonded to the cement (concrete) of different floors In the installation of the stone block on the cement, the mortar, which acts as an adhesive and a buffer material, penetrates into the bottom part of the stone block and can be unevenly combined to allow the adhesive area of the stone block to be structurally widened. As a result, the bonding force between cement (stone) and stone block can be improved dramatically.The new bonding structure can maintain stable state against external impact as well as physical property change such as shrinkage and expans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after construc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aving stone blo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은, 지면 바닥의 시멘트(콘크리트) 위로 석재블럭이 안착 설치되는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을 구성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시멘트 쪽의 상기 석재블럭의 밑면으로 상기 시멘트(콘크리트) 위의 몰탈이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두께의 1/3~1/2 내외 깊이로 다수의 요철홈이 절결 형성된 구성상의 특징을 이룬다.The sidewalk paving ston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constituting the sidewalk paving stone block is installed on the cement (concrete) of the ground bottom, basical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ne block on the cement side Mortar on the cement (concre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grooves are cut out to a depth of 1/3 ~ 1/2 of the thickness so that the mortar penetrates and is combined into an integral structure.
또한 상기 석재블럭은 밑면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홈으로 시공 작업 전에 몰탈의 윗면이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화된 상태에서 시공 작업시 시멘트(콘크리트) 위의 몰탈에 대해 상기 석재블럭 밑면의 몰탈이 결합 고정된 응용 구조의 구성상 특징을 이룰 수 있다. 특히 상기 석재블럭 밑면에 시공 작업 전에 일체 구조화되는 몰탈은 상기 석재블럭의 두께와 동일 수준의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one block has a plurality of uneven groove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ortar of the mortar on the cement (concrete) is bonded and fixed to the mortar on the cement (concrete) during the construction work in a structured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mortar penetrated and filled before the construction work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pplication structure can be achieved. In particular, the mortar integrally structured before the construction work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ne block is preferably formed to the same thickness as the thickness of the stone block.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석재블럭을 적용시키는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의 시공방법은, 기본적으로 잘 다듬어진 지면 바닥 위로 모래층을 균일하게 포설하고, 상기 모래층 위를 시멘트(콘크리트)로 타설시키고 그 위로 몰탈을 도포시킨 다음, 밑면에 다수의 요철홈이 절결 형성된 석재블럭을 안착 설치하여 아래쪽의 상기 몰탈의 상측이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로 결합되도록 시공 처리한다.And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aving stone block applying the ston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nd layer is uniformly laid on the ground floor, which is basically polished, the sand layer is placed on the cement layer (concrete) and the mortar is applied thereon Then, a stone block formed with a plurality of recessed and recessed grooves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construction process is performed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mortar below is penetrated and combined into an integral structure.
또한 상기 석재블럭은 시멘트(콘크리트)에 도포시킨 몰탈 위로 안착 결합시키기 전의 사전 작업으로 몰탈을 요철홈이 절결 형성된 상기 석재블럭의 밑면에 결합시켜 몰탈이 일체 구조화된 상태의 상기 석재블럭을 시멘트(콘크리트) 위의 몰탈에 대해 안착 설치하여 동일 재질인 상하 몰탈 간이 일체 결합되도록 시공 처리할 수도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In addition, the stone block is a pre-work before bonding to the mortar coated on the cement (concrete) by bonding the mortar to the bottom of the stone block formed with recessed grooves, the mortar is integrally structured to the stone block cement (concrete) ) Has a technical feature that can be installed by mounting the mortar above to be integrally coup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ortar of the same materi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은 기존의 석재블럭과는 달리, 기본적으로 밑면에 몰탈과의 접합면을 확장시킬 수 있는 요철홈을 절결 형성시킴으로서 시멘트와의 접착면을 구조적으로 강하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시공작업 전에 1차적으로 석재블럭의 밑면에 몰탈을 일체 구조화시킨 상태에서 동일 재질의 몰탈이 도포된 콘크리트에 대해 설치 시공함으로서 구조적으로 물성적으로 보다 확실한 결합 고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idewalk paving stone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existing stone block, basically bonded to the cement by forming a notch groove that can extend the joint surface with mortar on the bottom surface The surface can be structurally lowered, and furthermore, it is structurally more securely bonded by installing on the mortar coated concrete of the same material with the mortar on the bottom of the stone block. It can be kept fixed.
즉, 석재블럭의 저면에 몰탈이 일정부분 침투되어 요철결합될 수 있어, 별도의 접착제 없이 건식 시공으로도 서로 물성이 다른 시멘트(콘크리트)와 석재블럭 간의 결합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도 위치 이탈(분리)이 억제되면서 충격 흡수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In other words, mortar may be partially penetrated into the bottom of the stone block to be concave and convex, and thus, the adhesive force between cement (concrete) and the stone block, which have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can be greatly reduced even by dry construction without an adhesive. It is expected to provide an effect that doubles shock absorption while suppressing positional displacement (separation) even in overexpansion.
이는 기본적으로 석재블럭을 보도포장용으로 현장 시공함에 있어 석재블럭에 요철을 두어 접착면을 넓게 하여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바, 보도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가져올 수 있으며, 두껍게 석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의 시공방법으로는 콘크리트 타설로 건식 시공이 불가능하였으나 석재 밑면의 요철홈으로 시멘트 몰탈이 일정 깊이 묻히도록 함으로서, 자연적으로 상기 시멘트 몰탈의 굳어짐에 따라 고정핀 역할을 하도록 하여 침하, 진동 등이 발생하여도 견고하게 보도블럭체로서 석재블럭을 지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This basically puts the stone block on the site for sidewalk paving, which gives the stone block an uneven surface to widen the adhesive surface to enhance the adhesive strength, which can bring the convenience of sidewalk maintenance and eliminate the need for thick stone.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so far has not been possible to dry construction by concrete pouring, but the cement mortar is buried to a certain depth by the uneven groove of the bottom of the stone, so as to act as a fixing pin in accordance with the solidification of the cement mortar, sinking, Even if vibration or the like occurs, an effect that can firmly support the stone block as the sidewalk block can be provided.
도 1은 기존의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을 적용시킨 석재블럭의 시공구조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을 적용시킨 석재블럭의 시공구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의 시공구조에 적용되는 기본 실시예의 석재블럭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에 의한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을 적용시킨 석재블럭의 시공구조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의 시공구조에 적용되는 응용 실시예의 석재블럭 사시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struction structure of a stone block to which the conventional paving stone blocks are applie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stone block to which the stone block for paving paving according to the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ne block of the basic embodiment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paving ston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of the stone block to which the stone block for paving pa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ne block of an embodiment of the application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paving ston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시멘트와의 접착면을 구조적으로 강화시켜 미끄러지는 현상을 억제시킬 뿐만 아니라, 충격 흡수와 흡수율을 향상 및 천연소재로서의 장식성까지도 향상되어 건식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보도포장용 석재블럭 및 그 시공방법의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원리를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설명 편의상 본 발명의 석재블럭이 설치되는 바닥쪽의 콘트리트에 대해서는 시멘트와 혼용하여 기재한다.Hereina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o suppress the sliding phenomenon by structurally strengthening the adhesive surface with the cement, but also to improve the impact absorption and absorption rate and the decorative properties as a natural material, paving stone blocks for dry construction and Detailed configuration relations and principles of the constru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preferred embodiments. For referenc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ncrete on the bottom side where the ston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will be described mixed with cement.
우선 본 발명은 도 3 및 도 5의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지면 바닥의 시멘트(콘크리트) 위로 석재블럭이 안착 설치되면서 서로 다른 이종재질의 아래쪽 콘크리트(20a)와 위쪽 석재블럭(10) 간에 구조적으로 강한 접착면을 형성하여 확실하게 일체 구조화될 수 있도록 상기 석재블럭(10)이 형성된다.First, as shown in the drawings of FIGS. 3 and 5, the stone blocks are installed on cement (concrete) of the ground floor, and structurally between the
즉,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석재블럭(10)은 콘크리트(30) 쪽의 상기 석재블럭의 밑면(16)으로 상기 시멘트(콘크리트) 위에 접착(결합)수단으로 도포시킨 몰탈(20a)이 자연스럽게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석재블럭(10) 자체 두께의 1/3~1/2 내외 깊이로 다수의 요철홈(12)이 밑면(16)에 절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철홈(12)은 석재블럭(10)의 밑면 내측에 요홈되기 보다는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되게 절결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석재블럭(10)의 재질 특성상 경제성과 작업성을 높이고자 하기 위함이다.That is, the
이와 같이 밑면을 밋밋한 단순 직육면체의 형상이 아닌 밑면(16)이 다수의 요철홈(12)을 형성한 본 발명의 석재블럭(10)은 당연히, 콘크리트(30)에 도포된 몰탈(20a) 위로 안착 설치되면 하중에 의해 상기 몰탈(20a)이 자연스럽게 요철홈(12) 내부로 침투되어 충진되면서 경화되어 확실하게 일체 구조화될 수 있으며, 이는 ㄱ결과적으로 굳이 습식 시공방법을 적용시키지 않고도 단순히 건식 시공방법을 통해서도 간단하게 재질이 상이한 콘크리트(30) 위에 구조적으로 확실하게 상기 석재블럭(10)을 압착 결합시켜 일체 구조화시킬 수 있다.Thus, the
즉,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따른 석재블럭(10)은 밑면(16)에 형성된 요철홈(12)으로 콘크리트(30)의 몰탈(20a)이 침투 충진되도록 하는 간단한 시공방법으로도, 이종 재질인 이들 콘크리트(30)와 석재블럭(1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외부 충격이나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도 별다른 문제없이 안정되게 일체 구조체로서 유지 보존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한편,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로서 형성되어 적용되는 석재블럭(10)은 도 2 및 도 3의 도면에서 보듯이, 기본적으로 잘 다듬어진 지면 바닥 위로 모래층(40)을 균일하게 포설시킨 다음, 상기 모래층(40) 위로 당연히 시멘트(콘크리트)(40)를 타설시키고 그 위에 석재블럭(10)을 안착 설치하기 전에 접착 및 완충수단으로 몰탈(20a)을 도포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밑면에 다수의 요철홈(12)이 절결 형성된 석재블럭(10)을 콘크리트(30) 위면의 몰탈(20a) 위로 올려놓고 압지시켜 설치하면, 자연스럽게 아래쪽의 상기 몰탈(20a)의 상측이 상기 석재블럭(10)의 요철홈(12)으로 침투 충진될 수 있다. And when the
이때 상기 몰탈(20a)은 대략 60㎜의 박판 구조인 석재블럭(10)에 대해 1/3 수준의 두께를 유지함으로서 외부 충격에 대한 완화층으로서도 보다 안정된 충격 흡수구조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모래층 위쪽의 바닥을 형성하는 콘크리트(30)는 대략 200㎜ 정도의 비교적 두터운 지지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의 기본 실시예와는 달리, 도 4 및 도 5의 응용 실시예의 도면에서와 같이 석재블럭(10)을 시공 작업 전에 미리 별도의 몰탈(20b)로서 제품화시켜 콘크리트(30) 위에 도포시키는 몰탈(20a)과 동일 재질로서 보다 확실하게 상호 결합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basic embodiment of Figures 2 and 3, as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application embodiment of Figures 4 and 5, the
즉, 석재블럭(10)을 기본 실시예에서 콘크리트(30)의 몰탈(20a)에 직접 결합시키는 두께의 구조라 아니라, 기본 실시예에 의한 석재블럭(10)과는 달리 반 정도의 두께인 대략 30㎜ 내외로 보다 얇은 박판 형태로서 사전에 1차적으로 별도의 몰탈(20b)을 요철홈(12)이 형성된 밑면으로 일체 결합시켜 이를 콘크리트(30)의 몰탈(20a)에 대해 동일 재질로서 확실하게 결합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이들 석재블럭(10)과 몰탈(20b)이 기본 실시예서의 독립적인 석재블럭(10)과 같은 60㎜ 수준의 두께로 다시 형성 유지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That is, the
10 : 석재블럭 12 : 요철홈
20a,20b : 몰탈 30 : 시멘트(콘크리트)
40 : 모래층10: stone block 12: uneven groove
20a, 20b: mortar 30: cement (concrete)
40: sand layer
Claims (5)
시멘트 쪽의 상기 석재블럭의 밑면으로 상기 시멘트(콘크리트) 위의 몰탈이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로 결합될 수 있도록 두께의 1/3~1/2 내외 깊이로 다수의 요철홈이 절결 형성된 구성상의 특징을 갖는 보도포장용 석재블럭.In constructing a sidewalk paving stone block in which the stone block is seated and installed on the cement (concrete) of the ground floor,
A feature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uneven grooves are cut to a depth of about 1/3 to 1/2 of a thickness so that mortar on the cement (concrete) is penetrated and fill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ne block on the cement side. Sidewalk paving stone blocks.
상기 석재블럭은 밑면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홈으로 시공 작업 전에 몰탈의 윗면이 침투 충진되어 일체 구조화된 상태에서 시공 작업시 시멘트(콘크리트) 위의 몰탈에 대해 상기 석재블럭 밑면의 몰탈이 결합 고정된 구성상의 특징을 갖는 보도포장용 석재블럭.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ne block is a plurality of concave-convex groove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rtar before the construction work is filled with the mortar of the bottom of the stone block against the mortar on the cement (concrete) in the construction work in a structured structure Paving stone blocks with topological features.
상기 석재블럭 밑면에 시공 작업 전에 일체 구조화되는 몰탈은 상기 석재블럭의 두께와 동일 수준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포장용 석재블럭.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mortar that is integrally structured before the construction work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ne block is formed with a thickness of the same level as the thickness of the stone block paving stone blocks.
상기 석재블럭은 시멘트(콘크리트)에 도포시킨 몰탈 위로 안착 결합시키기 전의 사전 작업으로 몰탈을 요철홈이 절결 형성된 상기 석재블럭의 밑면에 결합시켜 몰탈이 일체 구조화된 상태의 상기 석재블럭을 시멘트(콘크리트) 위의 몰탈에 대해 안착 설치하여 동일 재질인 상하 몰탈 간이 일체 결합되도록 시공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포장용 석재블럭의 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4,
The stone block is a cement (concrete) in which the mortar is integrally structured by combining mortar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ne block in which the uneven groove is formed by preliminary work before mounting and bonding the mortar coated on cement (concrete).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stone block for paving pa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process is install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mortar between the same material is integrally installed by seating on the morta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4644A KR101190767B1 (en) | 2010-03-19 | 2010-03-19 | Ston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 Of For Side Walk Pack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4644A KR101190767B1 (en) | 2010-03-19 | 2010-03-19 | Ston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 Of For Side Walk Pack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5487A true KR20110105487A (en) | 2011-09-27 |
KR101190767B1 KR101190767B1 (en) | 2012-10-12 |
Family
ID=4495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4644A Active KR101190767B1 (en) | 2010-03-19 | 2010-03-19 | Ston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 Of For Side Walk Pack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076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95192A (en) * | 2019-01-15 | 2019-04-30 | 济南城建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slabstone building block paving structure suitable for traffic loadings at different levels |
CN110409243A (en) * | 2019-08-15 | 2019-11-05 | 苏州金螳螂园林绿化景观有限公司 | An outdoor stone surface permeable pavement structure |
CN115233932A (en) * | 2022-08-11 | 2022-10-25 | 厦门万里石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 Novel marble stone paving method |
-
2010
- 2010-03-19 KR KR1020100024644A patent/KR101190767B1/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95192A (en) * | 2019-01-15 | 2019-04-30 | 济南城建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slabstone building block paving structure suitable for traffic loadings at different levels |
CN110409243A (en) * | 2019-08-15 | 2019-11-05 | 苏州金螳螂园林绿化景观有限公司 | An outdoor stone surface permeable pavement structure |
CN115233932A (en) * | 2022-08-11 | 2022-10-25 | 厦门万里石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 Novel marble stone pav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90767B1 (en) | 2012-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796956A1 (en) | Transferring loads across joints in concrete slabs | |
WO2002040806A2 (en) | Processes of finishing slits of surface layer of airplane runway | |
JP2019529754A (en) | Concrete system reinforced road structure covered with asphalt | |
WO2017000087A1 (en) | Bridge deck paving block, bridge paved with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bridge deck paving block | |
KR101190767B1 (en) | Ston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 Of For Side Walk Packing | |
CN107237232B (en) | high-durability cement concrete pavement expansion joi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156419B1 (en) | Footpath block of crosswalk with a sliding safety function | |
CN209742297U (en) | Terrace coating structure of carborundum wear-resistant paint for garage | |
KR20150024634A (en) | The Road To Recovery Materials Using Glassfiber Reinforced Polyester Cemen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WO2000001890A1 (en) | PROCESS FOR THE ARTICULATED IMBRICATION OF CONCRETE SLABS ¢i(IN SITU) | |
ES2741834T3 (en) | Surface coating | |
CN106894319B (en) | Grooving method for cement concrete pavement | |
KR101016193B1 (en) | Low ground power | |
US6491472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protecting the airplane runway surface from being cracked to spit out crush stones | |
KR20180000397U (en) | Elastic joint band for boundary stone and boundary stone assembly having the same | |
CN113944293A (en) | panel | |
KR101126695B1 (en) | Road on Low Supporting Force Ground | |
KR101115082B1 (en) | Hybrid waterproof panel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2010013893A (en) | End structure of elastic pavement material and method of processing end of elastic pavement material | |
KR20160035282A (en) | block | |
KR101826319B1 (en) | Expansion joints and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s with floor using the expansion joints | |
CN214941975U (en) | Expansion joint anti-deformation device for paving floor panel | |
CN211947763U (en) | High-durability double-lane concrete road structure | |
CN112227650B (en) | Terrazzo ground structure | |
CN215054918U (en) | Steel fiber concrete terra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0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