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103387A - Heat Pipes and Electronics - Google Patents

Heat Pipes and Electron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387A
KR20110103387A KR1020117007870A KR20117007870A KR20110103387A KR 20110103387 A KR20110103387 A KR 20110103387A KR 1020117007870 A KR1020117007870 A KR 1020117007870A KR 20117007870 A KR20117007870 A KR 20117007870A KR 20110103387 A KR20110103387 A KR 20110103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heat
capillary flow
vapor diffusion
flow p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78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가쯔야 쯔루따
린꼬오 후꾸나가
도시아끼 고따니
게이 미즈따
Original Assignee
몰렉스 기이레 코. 엘티디.
가고시마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기이레 코. 엘티디., 가고시마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몰렉스 기이레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10103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387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42Fillings or auxiliary member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selected or arranged to facilitate heating or cooling
    • H01L23/427Cooling by change of state, e.g. use of 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33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the conduit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non-circular cross-section, ann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4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tubes having a capillary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4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tubes having a capillary structure
    • F28D15/046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with tubes having a capillary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construction of the capillary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부에 배치되는 발광요소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이러한 결과로 협소 공간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실장할 수 있는 히트파이프 및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히트파이프는, 상부판 (3), 상부판 (3)과 대향하는 하부판 (4), 상부판 (3) 및 하부판 (4) 사이에 적층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중간판 (5), 상부판 (3), 하부판 (4) 및 중간판 (5)의 적층에 의해 형성되며 냉매를 봉입할 수 있는 본체부 (2), 기화 냉매를 확산 가능한 증기확산로 (6), 응축 냉매를 환류 가능한 모세관유로 (7)을 구비하고, 증기확산로 (6)는, 본체부의 제1 단부 (15)로부터 제1 단부 (15)와 대향하는 제2 단부 (16)를 향하여 형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 pipe and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efficiently cool a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at an end, and as a result can be efficiently mounted in a narrow space. The heat pipe includes a single plate or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5 and a top plate stacked between the top plate 3, the bottom plate 4 facing the top plate 3, the top plate 3, and the bottom plate 4. 3), the body part 2 formed by lamination of the lower plate 4 and the intermediate plate 5 to encapsulate the refrigerant, a vapor diffusion path 6 through which the vaporized refrigerant can be diffused, and a capillary flow path through which the condensed refrigerant can be refluxed (7), the vapor diffusion path (6) is formed from the first end (15) of the body portion toward the second end (16) facing the first end (15).

Description

히트파이프 및 전자기기{HEAT PIPE AND ELECTRONIC DEVICE}Heat Pipes and Electronics {HEAT PIPE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포괄적으로 히트파이프,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체를 냉각하는 히트파이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a heat pipe for cooling a heat pipe, more particularly a heating element.

전자기기에는, 내부를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체인 전자부품이 사용된다. 발열체의 발열이 일정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동작 보증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고, 전자기기의 다른 부품이 및 잠재적으로 박스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로 전자기기 성능 저하 가능성이 있다. As the electronic device, an electronic component that is a heating element that generates heat by an electric current flowing inside is used. If the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element becomes above a certain temperature, there is a problem that operation guarantee cannot be made, and other parts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potentially adversely affect the box.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of degrading electronic performance.

발열체 냉각을 위한 여러 제안들이 있었고, 예를 들면 봉입 냉매의 기화 및 응축에 의한 냉각 효과를 가지는 히트 파이프가 제안되었다. 본 예에서, 히트 파이프는 발열체로부터 열을 냉매로 전달하며, 냉매는 열과 접촉되어 기화되면서 열을 확산한다. 기화 냉매는, 방열에 의해 응축되고, 응축 냉매는 연속 폐순환으로 환류된다. 따라서 이러한 반복적인 기화 및 응축에 의해, 히트파이프는 발열체를 냉각한다. Several proposals have been made for cooling of heating elements, for example, heat pipes having a cooling effect by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of encapsulated refrigerant have been proposed. In this example, the heat pipe transfers heat from the heating element to the coolant, and the coolant diffuses heat as it vaporizes in contact with the heat. The vaporized refrigerant is condensed by heat radiation, and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refluxed in a continuous closed circulation. Therefore, by this repeated vaporization and condensation, the heat pipe cools the heating element.

히트파이프들의 전형적인 예들은 일본특허번호 제3233808호 및 일본특허공개번호 제11-101585호에 기재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808 특허는, 발열체로부터의 열을 방열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냉각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즉 808 특허는, 반도체집적회로와 같은 단순한 물체라도 발열량이 큰 발열체를 냉각 대상으로 하고, 발열체로부터의 열을, 수열부, 열전도요소, 방열부로 전도하여 발열체를 냉각한다. 다른 범주로, 585 출원은, 냉각 기능을 가지는 전자 기판을 개시하고 있다. Typical examples of heat pipes ar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3233808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101585. More specifically, the 808 patent discloses a cooling system for transferring heat from a heating element to a heat radiating member. That is, the 808 patent uses a heating element having a large amount of heat generation as a cooling target even for a simple object such as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conducts heat from the heating element to the heat receiving portion, the heat conductive element, and the heat radiating portion to cool the heating element. In another category, the 585 application discloses an electronic substrate having a cooling function.

최근에는, 냉각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발열체에서, 히트파이프가, 중앙연산처리장치 (CPU) 및 고밀도 반도체집적회로뿐 아니라, 발광소자 (LED)를 포함한 발광요소를 냉각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발광요소는 상당히 소형이며 복수의 소자들을 포함한 일조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서, 발광요소 및 히트파이프가 실장되는 공간은 협소 공간인 경우가 많다. In recent years, in various types of heating elements requiring cooling, heat pipes need to cool not only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high density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but also light emitting elements including light emitting elements (LEDs).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quite small and is often composed of a group including a plurality of elements. Here, the space in which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the heat pipe are mounted is often a narrow space.

808 특허에 개시되는 냉각시스템은, 수열부로부터 열전도요소를 향하여 열을 확산한다. 따라서 808 특허에 개시되는 냉각시스템은 발광요소를 수열부의 배면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냉각시스템 부재에 발광요소가 숨겨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하여, 냉각시스템을 거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한다면, 냉각시스템이 여분의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발광요소를 기점으로, 열은 방사 방향으로 확산하기 때문에, 발광요소를 기점으로 상하좌우로 냉각시스템 부재가 확장되기 때문이다. The cooling system disclosed in the 808 patent diffuses heat from the heat receiving portion toward the heat conducting element. Therefore, the cooling system disclosed in the 808 patent needs to arrange the light emitting element on the rear surface of the heat receiving portion.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hidden in the cooling system member. In order to avoid this, if the cooling system is installed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oling system takes up extra space. This is because the cooling system member extends up, down, left, and right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as the heat diffuses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as a starting point.

따라서 실장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발광요소를 냉각시스템 부재 단부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808 특허에 개시되는 냉각시스템에서는, 단부로부터 열전도요소로의 열 확산 성능이 낮고, 발광요소가 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냉각 능력이 낮은 문제가 있다. 이것은, 808 특허의 냉각시스템과 무관하게, 수열부, 수열부에 의해 기화된 냉매를 통과시키는 파이프, 및 파이프로부터 수취한 기화 냉매를 냉각하는 냉각부가 별개 부재들인 히트파이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실장 공간 감소를 위하여, 발광요소를 수열부 단부에 배치하고자 하여도, 종래 히트파이프 및 냉각시스템에서는, 냉각 능력이 충분하지 않다.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mounting space,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light emitting element at the end of the cooling system member. However, in the cooling system disclosed in the 808 pat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eat spreading performance from the end to the heat conductive element is low, and the cooling ability is low when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disposed at the end. The same is true of the heat pipes in which the heat receiving portion, the pipe passing the refrigerant vaporized by the heat receiving portion, and the cooling portion cooling the vaporized refrigerant received from the pipe are separate members, irrespective of the cooling system of the 808 patent. That is, in order to reduce the mounting space, even if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to be disposed at the heat receiving end portion, the cooling capacity is not sufficient in the conventional heat pipe and cooling system.

또한, 발광요소는 반도체집적회로에 비하고 소형이고 복수 개로 배치되므로, 발광요소가 수열부의 중앙 주위로 배치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elements are smaller and disposed in plural numbers than th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light emitting elements are difficult to be disposed around the center of the heat receiving portion.

또한, 585 출원의 전자 기판은, 복수의 작은 구멍이 정렬하고 있고, 발광요소를 단부에 배치하기 용이하지만, 작은 구멍들이 독립한다는 것 외에도, 기화 냉매의 확산 및 응축 냉매의 환류에 적합한 구성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585 출원의 전자 기판은, 단부에 배치되는 발광요소를 냉각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substrate of the 585 application has a configuration suitable for the diffusion of the vaporized refrigerant and the reflux of the condensation refrigerant, in addition to the plurality of small holes are aligned and easy to arrange the light emitting element at the end, but the small holes are independent. Not. Therefore, the electronic substrate of the 585 application is not suitable for cool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at the end.

상기된 바와 같이, 종래의 히트파이프 및 냉각시스템은 실장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소형의 발열체를 단부에 배치하고, 단부에 배치된 발열체를 고효율로 냉각할 수 없다. 특히, 종래의 히트파이프 및 냉각시스템은, 히트파이프 및 냉각시스템 전 부재들 (즉 체적 전체)을 활용하여, 단부에 배치되는 발열체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없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heat pipe and cooling system, in order to reduce the mounting space, a small heating element is disposed at the end, and the heating element disposed at the end cannot be cooled with high efficiency. In particular, the conventional heat pipe and cooling system cannot utilize the heat pipe and cooling system entire members (ie, the entire volume) to efficiently cool the heating element disposed at the end portion.

또한, 고휘도 LED와 같은 발광요소에서는, 푸리에(Fourier) 법칙을 감안하면, (1) 열을 고효율로 확산하여 열속 (heat flux)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즉, 높은 열속이 히트파이프로 유입되어도, 히트파이프가 드라이 아웃 (dry out)(기화 냉매가 응축될 수 없는 상태)하지 않고 냉각 기능을 계속할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2) 히트파이프에 의한 확산, 이에 따라 전달된 열을 냉각하는 방열부재와의 적합한 조합이 필요하다. In addition, in light emitting elements such as high-brightness LEDs, in consideration of Fourier's law, it is important to (1) reduce heat flux by diffusing heat efficiently. That is, even if a high heat flux flows into the heat pipe, it is necessary that the heat pipe can continue the cooling function without drying out (a state in which the vaporized refrigerant cannot condense). In addition, (2) a suitable combination with a heat radiating member for cooling the heat transmitted by the heat pipes and thus transmitted is required.

이러한 측면을 감안한다면, 808 특허의 냉각시스템에서는, 열교환판 요소가 금속판으로 제조되므로, 열 확산 효과가 불충분하고 열속 (heat flux)을 낮게 할 수 없다. 이 결과, 발열체 온도를 낮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열교환판 요소에 있어서, 발열체로부터 수취한 열이 온도 구배에 따라 방사 방향으로 열 전달되어, 열전달 경로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열을 유입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열이 열전달 경로에 효율적으로 유입될 수 없다. In view of this aspect, in the cooling system of the 808 patent, since the heat exchange plate element is made of a metal plate, the heat spreading effect is insufficient and the heat flux cannot be lowere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keep the heating element temperature low. In addition, in the heat exchange plate element, heat received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is heat-transmitted in the radi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gradient, and is not provided as a structure capable of actively introducing heat into the heat transfer path. Therefore, heat cannot be efficiently introduced into the heat transfer path.

585 출원의 전자 기판은, 일차원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을 뿐이다. 발열체로부터의 발열량이 100W(고휘도 LED에서는, 발열량이 100W에 이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에 이르는 경우에는, 전자 기판에 포함되는 냉매가 드라이 아웃하여(dry out), 발열체 냉각을 계속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전자 기판에 포함되는 냉매의 확산 방향 및 환류 방향이 일차원적이므로, 기화 냉매는, 충분히 냉각되기 어렵고, 드라이 아웃 (dry out)이 생기기 쉽다. The electronic substrate of the 585 application can only transfer heat one-dimensionally. When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 reaches 100 W (in high-brightness LEDs,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may reach 100 W), the refrigerant contained in the electronic substrate may dry out, and cooling of the heating element may not continue. have. Since the diffusion direction and the reflux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included in the electronic substrate are one-dimensional, the vaporized refrigerant is difficult to be sufficiently cooled, and dry out is likely to occur.

즉, 소형이지만 큰 발열량의 전자부품 또는 전자소자로부터 열을 효율적으로 확산 및 전달하여 방열할 수 있는 냉각기구가 요망된다. 이 경우, 발열체로부터의 열이 확산, 전달되는 때에, 열 유입을 방해하는 요소가 거의 없는 것이 중요하다. 동시에, 히트파이프의 케이싱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기화 냉매의 확산이 이루어져, 기화 냉매를 고효율로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That is, a cooling mechanism capable of dissipating heat by efficiently diffusing and transferring heat from an electronic component 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small but large heat generation amount is desired. In this case, it is important that there are few elements that hinder heat inflow when heat from the heating element is diffused and transferred.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use the casing of the heat pipe to diffuse the vaporized refrigerant, and it is necessary to cool the vaporized refrigerant with high efficiency.

즉, 발열량이 상당히 높은 소형 발광요소의 냉각에 있어서는, (1) 발열체인 발광요소를 단부에 실장하기 용이하고, (2) 단부에 실장하는 경우에 전체로서의 실장 공간이 너무 크지 않고, (3) 수취된 열의 확산 및 전달에 있어서 저해 요인이 적고, (4) 히트파이프 전체를 이용하여, 열을 확산 및 전달할 수 있고, (5) 기화 냉매의 확산 및 응축 냉매의 환류가, 히트파이프 전체를 삼차원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 That is, in the cooling of a small light emitting element having a very high heat generation amount, (1) it is easy to mount the light emitting element as a heating element at the end, and (2) the case where it is mounted at the end is not too large, and (3) There are few inhibitors in the diffusion and transfer of the received heat, and (4) the entire heat pipe can be used to diffuse and transfer the heat, and (5) the diffusion of the vaporized refrigerant and the reflux of the condensed refrigerant are three-dimensional throughout the heat pipe. It is necessary to use as an enemy.

본 발명은, 이러한 요건을 감안하고, 단부에 배치되는 발광요소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이 결과 협소 공간에 발열요소를 효율적으로 실장할 수 있는 히트파이프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view of these requirement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pipe and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efficiently cool a light emitting element disposed at an end portion, and as a result, can efficiently mount a heat generating element in a narrow space. .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는, 상부판; 상부판과 대향하는 하부판; 상부판 및 하부판 사이에 적층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중간판; 상부판, 하부판 및 중간판 적층에 의해 형성되며 냉매를 봉입 가능한 본체부; 기화 냉매를 확산 가능한 증기확산로; 및 응축 냉매를 환류 가능한 모세관유로를 구비하고, 증기확산로는 본체부 제1 단부로부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향하여 형성된다.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hea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plate; A bottom plate opposite the top plate; Single or plural intermediate plates stack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 main body portion formed by laminating an upper plate, a lower plate and an intermediate plate and capable of encapsulating a refrigerant; A vapor diffusion furnace capable of diffusing the vaporized refrigerant; And a capillary flow path capable of refluxing the condensed refrigerant, wherein the vapor diffusion path is formed from the first end of the main body toward the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는, 고휘도 LED와 같은 소형의 전자부품인 발열체를, 단부에 실장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는, 발열체가 실장되는 단부로부터, 상기 단부와 대향하는 단부를 향하여 효율적으로 열을 확산할 수 있다. 특히, 히트파이프 전체를 삼차원적으로 활용하여 기화 냉매의 확산 및 응축 냉매 환류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기화 냉매 냉각도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The heat pipe of this invention is easy to mount the heat generating body which is a small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 high brightness LED, in an edge part. Moreover, the heat pipe of this invention can spread | diffuse heat efficiently toward the edge part which opposes the said edge part from the edge part in which the heat generating body is mounted. In particular, since the entire heat pipe may be utilized in three dimensions, the diffusion of the vaporized refrigerant and the reflux of the condensed refrigerant may be performed, thereby effectively cooling the vaporized refrigerant.

이러한 결과로서, 상당히 높은 발열량을 가지는 고휘도 LED 등을 단부에 실장한 경우도,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는, 드라이 아웃(dry out)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냉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is, even when a high-brightness LED or the like having a considerably high heat generation amount is mounted at an end portion, the hea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cooling function without causing dry out or the lik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이점들과 함께 구조 및 동작의 구성 및 방식은 동일 부호는 동일 요소들을 표기한 첨부 도면들과 함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최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히트파이프의 내면도;
도 2는 도 1 히트파이프의 단면도;
도 3은 도 1 히트파이프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 1 히트파이프의 내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일부의 내면도;
도 6은 도 1 히트파이프의 변형 예를 보이는 내면도;
도 7은 3 예시들을 보이는 개략도;
도 8은 케이스 1의 예시 1~3의 히트파이프 표면 온도 분포도;
도 9는 케이스 2의 예시 1~3의 히트파이프 표면 온도 분포도;
도 10은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히트파이프의 사시도;
도 12는 만곡 형상을 가지는 도 1 히트파이프의 실장도;
도 13은 도 1 히트파이프의 실장도;
도 14는 도 1 히트파이프의 분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The structure and manner of construction and operation together with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st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like reference characters designate like elements:
1 is an inner view of a heat pip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 pipe of FIG. 1;
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 pipe of FIG. 1;
4 is an inner view of the heat pipe of FIG. 1;
5 is an internal view of a portion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inner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heat pipe of FIG.
7 is a schematic showing three examples;
8 is a heat pipe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diagram of Examples 1 to 3 of Case 1;
9 is a heat pipe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diagram of Examples 1 to 3 of Case 2;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experimental results;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mounting view of the heat pipe of FIG. 1 having a curved shape;
13 is a mounting view of the heat pipe of FIG. 1;
14 is an exploded view of the heat pipe of FIG. 1;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른 형태들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들로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원리의 예시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을 도시된 바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상하좌우 앞뒤 등과 같은 방향의 표기는 본 발명의 구조 및 여러 요소들 이동설명을 위한 것이며 절대적이지 않고 상대적인 것이다. 이러한 표기들은 요소들이 도면상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적합하다. 요소들 위치 설명이 바뀌는 경우, 이러한 표기들도 이에 따라 바뀌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of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specific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as show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notation of directions such as up, down, left, right, front, back, etc. i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movement of the various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absolute but relative. These notations are appropriate when the elements are in the positions shown in the figures. If the elements location description chang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se notations change accordingly.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히트파이프는, 상부판; 상부판과 대향하는 하부판; 상부판 및 하부판 사이에 적층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중간판; 상부판, 하부판 및 중간판 적층에 의해 형성되며 냉매를 봉입 가능한 본체부; 기화 냉매를 확산 가능한 증기확산로; 및 응축 냉매를 환류 가능한 모세관유로를 구비하고, 증기확산로는 본체부 제1 단부로부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향하여 형성된다.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pipe includes: an upper plate; A bottom plate opposite the top plate; Single or plural intermediate plates stack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 main body portion formed by laminating an upper plate, a lower plate and an intermediate plate and capable of encapsulating a refrigerant; A vapor diffusion furnace capable of diffusing the vaporized refrigerant; And a capillary flow path capable of refluxing the condensed refrigerant, wherein the vapor diffusion path is formed from the first end of the main body toward the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상기 구성에 의하여, 히트파이프는, 제1 단부에 배치되는 발열체로부터의 열을 효율적으로 제2 단부에 확산할 수 있다. 또한, 히트파이프는, 그 전체를 이용하고 기화 냉매 확산 및 응축 냉매 환류가 가능하고, 확산 및 환류를 서로 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히트파이프 전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단부에 배치되는 발열체의 열을 확산할 수 있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eat pipe can efficiently diffuse heat from the heat generator disposed at the first end portion to the second end portion. In addition, the heat pipe can use the whole and vaporize refrigerant diffusion and condensation refrigerant reflux, and does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heat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disposed at the end can be diffused using the entire heat pipe efficiently.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한 히트파이프에서는, 제1 양태에 추가하여, 증기확산로의 제2 단부에 있어서 폭은, 제1 단부에 있어서 폭보다도 넓다. In the heat pipe which concerns on the 2nd aspect of this invention, in addition to a 1st aspect, the width | variety in the 2nd end part of a vapor diffusion path is larger than the width in a 1st end part.

상기 구성에 의하여, 발열체가 배치되는 제1 단부에서 기화 냉매는, 방해받지 않고 제2 단부를 향하여 확산할 수 있다. 따라서 히트파이프의 제 1단부로부터 제2 단부에 걸친 열 확산 능력이 향상된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aporized refrigerant can diffuse toward the second end without being disturbed at the first end where the heat generating element is disposed. Thus, the heat spreading capability from the first end to the second end of the heat pipe is improved.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의한 히트파이프에서는, 제2 양태에 추가하여, 증기확산로는,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에 걸쳐 확장된다. In the heat pipe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second aspect, the vapor diffusion path extends from the first end to the second end.

상기 구성에 의하여, 발열체가 배치되는 제1 단부에서 기화 냉매는, 저해됨이 없이 제2 단부를 향하여 확산할 수 있다. 따라서 히트파이프의 제1 단부로부터 제2단부에 걸친 열 확산 능력이 향상된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aporized refrigerant can diffuse toward the second end without being impeded at the first end where the heating element is disposed. Thus, the heat spreading capability from the first end to the second end of the heat pipe is improved.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의한 히트파이프에서는, 제1 양태에 추가하여, 증기확산로의 제2 단부에 있어서 폭은, 제1 단부에 있어서 폭과 거의 동일하다. In the heat pipe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first aspect, the width at the second end of the vapor diffusion pat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dth at the first end.

상기 구성에 의하여, 발열체가 배치되는 제1 단부에서 기화 냉매는, 저해되는 것이 없이 제2 단부를 향하여 확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응축 냉매도 저해되는 것이 없이 환류할 수 있다. 즉, 기화 냉매의 확산 및 응축 냉매의 환류는, 최적 균형 (balance)을 이루고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서, 히트파이프는, 단부에 배치되는 발열체로부터의 열을 효율적으로 확산할 수 있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aporized refrigerant can be diffused toward the second end without being impeded at the first end where the heating element is arranged, and can be refluxed without being impaired. That is, the diffusion of the vaporized refrigerant and the reflux of the condensed refrigerant can move in an optimal balance. As a result of this, the heat pipe can diffuse the heat | fever from the heat generating body arrange | positioned at the edge part efficiently.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의한 히트파이프에서는, 제1 내지 제4 양태의 어느 하나에 추가하여, 중간판은, 절결 부분과 내부 관통공을 가지고, 절결 부분은 증기확산로를 형성하고, 내부 관통공은 모세관 유로를 형성한다. In the heat pipe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aspects, the intermediate plate has a cutout portion and an inner through hole, and the cutout portion forms a vapor diffusion path, and the inside penetration The ball forms a capillary flow path.

상기 구성에 의하여, 평면 및 두께 방향으로 기화 냉매를 확산할 수 있는 증기확산로, 및 수직 또는 수직 및 평면 방향으로 응축 냉매를 환류할 수 있는 모세관유로는, 박형 히트파이프의 내부라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a vapor diffusion path capable of diffusing the vaporized refrigerant in the plane and thickness directions, and a capillary flow path capable of refluxing the condensation refrigerant in the vertical, vertical, and planar directions can be easily formed even inside the thin heat pipe. Can be.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의한 히트파이프에서는, 제5 양태에 추가하여, 중간판은 복수이고, 복수의 중간판 각각에 제공되는 내부 관통공들은 일부만이 겹쳐지고, 내부 관통공의 수평 방향의 단면적보다도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모세관 유로가 형성된다. In the heat pipe 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fifth aspect, there are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and only some of the inner through hole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overlap each other, and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inner through holes is overlapped. A capillary flow path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상기 구성에 의하여, 보다 미세한 유로를 가지는 모세관 유로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a capillary flow path having a finer flow path can be easily formed.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의한 히트파이프에서는, 제1 내지 제6 양태의 어느 하나에 추가하여, 상부판 및 하부판 각각은, 모세관 유로 및 증기확산로의 적어도 일부와 연통하는 오목부를 더욱 구비한다. In the heat pipe 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aspects, each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further includes a recess communicating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capillary flow path and the vapor diffusion path.

상기 구성에 의하여, 증기확산로는, 평면 방향뿐 아니라 두께 방향에도 기화 냉매를 확산할 수 있다. 또한, 기화 냉매가 접하는 표면적이 커지고, 기화 냉매의 냉각도 촉진된다. 또한, 모세관유로로의 응축 냉매 환류도 촉진된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vapor diffusion path can diffuse the vaporized refrigerant not only in the planar direction but also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addition, th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the vaporized refrigerant is increased, and the cooling of the vaporized refrigerant is also promoted. In addition, reflux of the condensed refrigerant into the capillary flow path is also promoted.

본 발명의 제8 양태에 의한 히트파이프에서는, 제1 내지 제7 양태의 어느 하나에 추가하여, 증기확산로는, 기화 냉매를 평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확산하고, 모세관유로는, 응축 냉매를 수직 또는 수직 및 평면 방향으로 환류시킨다. In the heat pipe 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any one of the first to seventh aspects, the vapor diffusion passage diffuses the vaporized refrigerant in the planar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capillary flow passage vertically condenses the refrigerant. Or reflux in the vertical and planar directions.

상기 구성에 의하여, 히트파이프는,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에 걸쳐 고효율로 열 확산을 실현할 수 있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eat pipe can realize heat diffusion with high efficiency from the first end to the second end.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히트파이프란, 내부 공간에 봉입되는 냉매가, 발열체로부터 열을 받고 기화하고, 기화 냉매가 냉각되고 응축하는 것을 반복하여, 발열체를 냉각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부재, 부품, 장치, 기구를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 heat pipe is a member, component, and apparatus which realizes the function which cools a heat generating body by repeating cooling of the refrigerant | coolant enclosed in an internal space with heat from a heat generating body, and cooling and condensing a vaporizing refrigerant. Means appliance.

실시예 1 - 히트파이프 개념 설명Example 1-Heatpipe Concept Description

먼저, 히트파이프 개념에 관하여 설명한다. First, the heat pipe concept will be described.

히트파이프는, 내부에 냉매를 봉입하고, 열을 수취하는 면이,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발열체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내부의 냉매는, 발열체로부터 열을 수취하고 기화하며, 기화될 때에 발열체의 열을 빼앗는다. 기화 냉매는, 히트파이프의 내부를 이동(확산)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하여 발열체의 열이 전달된다. 이동한 기화 냉매는 히트파이프의 방열 면 등에서 (또는 히트 싱크(heat sink) 또는 냉각 팬(fan) 등의 2차 냉각부재에 의하여) 냉각되고 응축한다. 응축하여 액화된 냉매는, 히트파이프 내부를 환류하고 다시 수열면으로 이동한다. 수열면으로 이동한 냉매는, 다시 기화하고 발열체 열을 수취한다. The heat pipe is configured such that a surface in which a refrigerant is sealed and heat is received is in contact with a heat generating element including an electronic component. The internal refrigerant receives heat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and vaporizes it, and when evaporated, takes the heat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he vaporized refrigerant moves (diffuses) the inside of the heat pipe. By this movement, heat of the heating element is transferred. The moved vaporized refrigerant is cooled and condensed on the heat dissipating side of the heat pipe (or by a secondary cooling member such as a heat sink or a cooling fan). The refrigerant condensed and liquefied flows back inside the heat pipe and moves back to the heat receiving surface. The refrigerant moved to the heat receiving surface vaporizes again to receive the heat generating element heat.

상기와 같은 냉매의 반복적 기화 및 응축에 따라서 히트파이프는 발열체를 냉각한다. 따라서 히트파이프는 그 내부에 기화 냉매를 확산하는 증기확산로, 및 응축 냉매를 환류시킨 모세관유로를 가질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the repeated vaporization and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as described above, the heat pipe cools the heating element. Therefore, the heat pipe needs to have a vapor diffusion path for diffusing the vaporized refrigerant therein and a capillary flow path for refluxing the condensed refrigerant.

히트파이프 예로서는, 튜브 형상을 가지고 수직 방향으로 기화 냉매를 확산시키고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 응축 냉매를 환류시키는 구조를 가지는 히트파이프, 및 발열체와 접하는 수열부 및 냉매를 냉각하는 냉각부가 별개 몸체이고 파이프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히트파이프가 있다. As a heat pipe example, a heat pipe having a tube shape and having a structure for diffusing vaporized refrigeran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refluxing the condensed refrigeran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eat receiving portion in contact with a heating element and a cooling portion for cooling the refrigerant are separate bodies and connected by pipes. There is a heat pipe that has a structure.

이들 구조를 가지는 히트파이프는, 수열부에 의해 수취된 열에 따라서 기화 냉매를, 파이프 등의 열전달 요소에 의해 전달하기 위한 복잡 형상을 가지고 있고, 발열체를 단부에 실장하기 어렵다. 따라서 평판형의 히트파이프가 요구된다. 그러나 평판형의 히트파이프 역시, 중앙으로부터 주변을 향하여 열을 확산하거나, 선형적이며 일차원적으로만 열을 확산하기 때문에, 큰 발열량의 발열체에 대하여, 드라이 아웃하지 (dry out) 않고 단부로부터의 열 확산을 실현할 수 없다. The heat pipes having these structures have a complicated shape for transferring vaporized refrigerant by heat transfer elements such as pipes according to the heat received by the heat receiving portion, and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heating element at the end. Therefore, a flat heat pipe is required. However, flat heat pipes also diffuse heat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or heat only linearly and one-dimensionally, so that heat from the ends is not dried out for a large heating element. The spread cannot be realized.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는, 단부에 발열체를 실장 가능하고 실장 공간을 필요하지 않고, 히트파이프 전체를 삼차원적으로 활용하여 열을 확산하고 발열체를 냉각할 수 있다.
The heat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unt a heat generating element at an end portion and does not require a mounting space, and can utilize the whole heat pipe in three dimensions to diffuse heat and cool the heat generating element.

전체 구성Full configuration

먼저, 히트파이프의 전체 구성에 관하여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First, the whole structure of a heat pipe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히트파이프 내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히트파이프 단면도이다. FIG. 1 is an internal view of the heat pipe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 pipe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히트파이프 내부를 상부로부터 투시한 도면을 나타내고, 도 2는, 히트파이프 단부로부터 관찰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FIG. 1: shows the figure which looked inside the heat pipe from the top, and FIG. 2 shows sectional drawing observed from the heat pipe edge part.

히트파이프 (1)는, 상부판 (3), 하부판 (4), 단수 또는 복수의 중간판 (5), 증기확산로 (6), 모세관유로 (7)로 구성된다. 하부판 (4)은, 상부판 (3)에 대향하고, 단수 또는 복수의 중간판 (5)은, 상부판 (3) 및 하부판 (4) 사이에 적층된다. 본체부 (2)는, 상부판 (3), 하부판 (4), 중간판(5)의 적층 및 접합에 의해 형성되고, 냉매 (11)를 봉입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가진다. 이러한 내부 공간에 봉입되는 냉매의 기화 및 응축에 의하여 히트파이프 (1)는, 발열체를 냉각할 수 있다. The heat pipe 1 is composed of an upper plate 3, a lower plate 4, a single or plural intermediate plates 5, a vapor diffusion path 6, and a capillary flow path 7. The lower plate 4 is opposed to the upper plate 3, and the single or plural intermediate plates 5 are laminated between the upper plate 3 and the lower plate 4. The main body part 2 is formed by lamination | stacking and joining of the upper board 3, the lower board 4, and the intermediate board 5, and has the internal space which can enclose the refrigerant | coolant 11. As shown in FIG. The heat pipe 1 can cool the heat generating element by vaporization and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enclosed in the internal space.

증기확산로 (6)는, 절결 부분 (8)에 의하여 형성되고, 모세관유로 (5)는, 내부 관통공 (9)에 의하여 형성된다. The vapor diffusion path 6 is formed by the notch 8, and the capillary flow path 5 is formed by the internal through hole 9.

증기확산로 (6)는, 기화 냉매를 확산한다. 기화 냉매는, 증기확산로 (6)를 경유하여 평면 방향 및 두께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확산한다. 특히, 증기확산로 (6)는, 상부판 (3)으로부터 하부판 (4)에 걸쳐 형성되고, 증기확산로 (6)의 적어도 일부가, 상부판 (3) 및 하부판 (4)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오목부(12)와 연통하므로, 발열체로부터의 열을 수취하여 기화된 냉매는, 평면 방향 및 두께 방향을 따라 삼차원적으로 확산한다. The vapor diffusion path 6 diffuses the vaporized refrigerant. The vaporized refrigerant diffuses in at least one direction in the planar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via the vapor diffusion path 6. In particular, the vapor diffusion path 6 is formed from the upper plate 3 to the lower plate 4,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vapor diffusion path 6 is provid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late 3 and the lower plate 4. Since it communicates with the recessed part 12 formed, the refrigerant | coolant which receives the heat from a heat generating body and vaporizes diffuses three-dimensionally along a planar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증기확산로 (6)는,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를 향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증기확산로 (6)는, 기화 냉매를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를 향하여 확산한다. 즉, 히트파이프 (1)는, 단부 (15)로부터 단부 (16)를 향한 열 확산 특성을 가진다. As is apparent from FIG. 1, the vapor diffusion path 6 is formed from the first end 15 toward the second end 16. Therefore, the vapor diffusion path 6 diffuses the vaporized refrigerant from the first end 15 toward the second end 16. In other words, the heat pipe 1 has a heat diffusion characteristic from the end portion 15 toward the end portion 16.

모세관유로 (7)는, 냉각되고 응축된 냉매를 환류한다. 모세관유로 (7)는, 응축 냉매를 수직 방향 또는 수직 및 평면 방향들로 환류시킨다. 즉, 모세관유로 (7)는, 증기확산로 (6)와 동일하게 삼차원적으로 응축 냉매를 이동시킨다. 이때, 모세관유로 (7)의 적어도 일부가 오목부 (12)의 일부와 연통되어, 상부판 (3)의 오목부 (12)로부터 모세관유로 (7)로 또는 그 반대로 응축 냉매가 이동한다. 따라서 냉매는 수직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세관유로 (7)는, 내부 공간에 있어서 2차원적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매는 평면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모세관유로 (7) 역시, 응축 냉매를 삼차원적으로 환류한다. The capillary flow path 7 refluxes the cooled, condensed refrigerant. The capillary flow path 7 refluxes the condensed refrigera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vertical and planar directions. That is, the capillary flow path 7 moves the condensed refrigerant three-dimensionally in the same manner as the vapor diffusion path 6. 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capillary flow path 7 communicates with a part of the concave part 12 so that the condensed refrigerant moves from the concave part 12 of the upper plate 3 to the capillary flow path 7 or vice versa. Therefore, the refrigerant can als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Similarly, since the capillary flow path 7 is formed two-dimensionally in the internal space, the refrigerant can also move in the planar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pillary flow path 7 also refluxs the condensed refrigerant three-dimensionally.

또한, 증기확산로 (6)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제1 단부 (15) 및 제2 단부 (16)에 걸쳐 모세관유로 (7)가 형성되므로, 모세관유로 (7)는, 제2 단부(16)로부터 제1 단부 (15)를 향하여, 응축 냉매를 환류한다. Further, since the capillary flow path 7 is formed over the first end 15 and the second end 16 so as to match the shape of the vapor diffusion path 6, the capillary flow path 7 is the second end 16. ), The condensation refrigerant is refluxed toward the first end 15.

이러한, 기화 냉매의 확산 및 응축 냉매의 환류가, 제1 단부 (15) 및 제2 단부 (16)와의 사이에서 진행되어, 제1 단부 (15)에 배치되는 발열체로부터의 열은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제1 단부 (15)에 의해 수취된 발열체로부터의 열은,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확산된다.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열이 확산되므로, 이러한 확산은, 히트파이프 (1) 전체를 사용하여 진행되는 것과 같다. 또한, 확산은 히트파이프 (1) 전체에서 삼차원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기화 냉매는 냉각되기 용이하다. 이것은, 기화 냉매가 히트파이프 (1) 전체를 사용하여 이동하고, 외부로 연결되는 부재 (상부판 (3), 하부판 (4) 및 측면)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이다. The diffusion of the vaporized refrigerant and the reflux of the condensed refrigerant proceed between the first end 15 and the second end 16 so that the heat from the heating element disposed at the first end 15 is efficiently cooled. . The heat from the heating element received by the first end 15 diffuses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Since heat spreads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this diffusion is as if proceeded using the entire heat pipe 1. In addition, since diffusion is performed three-dimensionally throughout the heat pipe 1, the vaporized refrigerant is easy to cool. This is because the vaporized refrigerant moves using the entire heat pipe 1, and the contact area with the members (upper plate 3, lower plate 4 and side surfaces) connected to the outside becomes wider.

동일하게, 모세관유로 (7)는, 응축 냉매를 제2 단부 (16)로부터 제1 단부 (15)로 이동시키므로, 응축 냉매는 제1 단부 (15)로 공급된다. 모세관유로 (7)는, 증기확산로 (6)와 분리되는 상태이므로, 모세관유로 (7)는, 확산하는 증기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응축 냉매를 환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응축 냉매의 환류 역시,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 이러한 결과로서, 발열체가 배치되는 제1 단부 (15)에는 응축 냉매가 반복적으로 공급된다. Similarly, the capillary flow path 7 moves the condensed refrigerant from the second end 16 to the first end 15, so that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supplied to the first end 15. Since the capillary flow path 7 is separated from the vapor diffusion path 6, the capillary flow path 7 can reflux the condensed refrigerant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vapor that diffuses. Therefore, the reflux of the condensed refrigerant also proceeds at a high speed. As a result of this, the condensation refrigerant is repeatedly supplied to the first end portion 15 on which the heating element is arranged.

특히 이러한 경우,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를 향하여 증기확산로 (6)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증기확산로 (6) 위치에 대응하도록 모세관유로 (7)가 제2 단부 (16)로부터 제1 단부 (15)를 향하고 형성되므로, 복수의 통로가 될 수 있는 복수의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가 제1 단부 (15) 및 제2 단부 (16)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증기확산로 (6) 및 하나의 모세관유로 (7)가 나란히 상호 인접하도록, 제1 단부 (15) 및 제2 단부 (16) 사이에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가 교대로 병렬적으로 위치하여,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로의 기화 냉매 확산 및 제2 단부 (16)로부터 제1 단부 (15)로의 응축 냉매 환류의 균형 (balance)이 도모된다. 히트파이프에 의한 발열체의 냉각에서는, 기화 냉매의 확산뿐만 아니라, 응축 냉매의 효율적인 환류도 요구된다. Particularly in this case, not only the steam diffusion path 6 is formed from the first end 15 toward the second end 16, but also the capillary flow path 7 is adapted to correspond to the vapor diffusion path 6 position. Since it is formed toward the first end 15 from 16, a plurality of vapor diffusion passages 6 and capillary flow passages 7, which may be a plurality of passages, are formed at the first end 15 and the second end 16. It is formed between. Further, as shown in FIG. 1, the vapor diffusion path between the first end 15 and the second end 16 so that one vapor diffusion path 6 and one capillary flow path 7 are adjacent to each other side by side. 6 and the capillary flow path 7 are alternately positioned in parallel to diffuse vaporization refrigerant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and from the second end 16 to the first end 15. Balance of reflux of condensed refrigerant is achieved. In the cooling of the heating element by the heat pipe, not only the diffusion of the vaporized refrigerant but also the efficient reflux of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required.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제1 단부 (15) 및 제2 단부 (16)에 걸쳐,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가 형성되어 (특히, 복수의 증기확산로 (6) 및 복수의 모세관유로 (7) 각각이, 교대로 나란히 형성되어), 실시예 1에 있어서 히트파이프 (1)는, 단부에 배치되는 발열체를, 고효율로 냉각할 수 있다. 물론, 히트파이프 (1) 전체를 사용하여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무용한 부분이 없고, 여분의 실장 공간을 필요하지 않는다. From this configuration, a vapor diffusion path 6 and a capillary flow path 7 are formed over the first end 15 and the second end 16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vapor diffusion paths 6 and a plurality of capillary tubes). Each of the flow paths 7 are alternately formed side by side, an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heat pipe 1 can cool the heat generating element disposed at the end with high efficiency. Of course, since the whole heat pipe 1 can be cooled, there is no useless portion and no extra mounting space is required.

본 경우에 있어서, 도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히트파이프 (1)는, 박형으로 평판형상이지만,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과 같은 여러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만곡 될 수 있다. In this case, as is apparent from FIG. 1, the heat pipe 1 is thin in shape of a flat plate but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elliptical, and polygonal. Of course, it can be curved.

또한, 히트파이프 (1)는, 사이즈(size)에 있어서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소정의 사이즈 범위 내인 것이 적당한 경우가 있다. In addition, the heat pipe 1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n size. However, in actual use, it may be appropriate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size range.

일례로서, 히트파이프 (1)는, 20㎜ 20 ㎜ 제곱 또는 200㎜ 200 ㎜ 제곱 이상의 직사각형을 가지고, 또한 1㎜ 이상 5㎜ 이하의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소정의 사이즈는, 냉각 대상 발열체인 전자부품의 사이즈, 회로 기판에의 실장상의 용이성 등으로부터 결정된다. 히트파이프 (1)가 본 경우에서 예로서 언급되는 사이즈(size)를 가지므로, 실장 및 냉각 균형이 적절히 달성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heat pipe 1 has a rectangle of 20 mm 20 mm square or 200 mm 200 mm square or more, and has a thickness of 1 mm or more and 5 mm or less. Such predetermined size is determined from the siz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that is the cooling target heating element, the ease of mounting on the circuit board, and the like. Since the heat pipe 1 has a size mentioned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mounting and cooling balance can be properly achieved.

물론, 히트파이프 (1)의 사이즈)는, 본 사이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조상의 요구, 사용상의 요구, 실장상의 요구 등 다양한 요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Of course, the size of the heat pipe 1) is not limited to this size, an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various requirements such as manufacturing requirements, usage requirements, and mounting requirements.

다음으로, 각 부분의 상세한 설명에 대하여도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히트파이프 분해 단면도이다. Nex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part is also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3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of the heat pipe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경우에, 제1 단부 (15) 및 제2 단부 (16)란, 편의상 "제1" 및 "제2"로 사용하며, 특별히 구분되는 것이 아니다. 발열체가 배치되는 측을 제1이라고 정의하는 것일 뿐이다.
In the present case, the first end 15 and the second end 16 are used as " first " and " second " for convenience and are not particularly distinguished. It is only to define the side in which the heating element is arrange | positioned as a 1st.

상부판Top plate

상부판 (3)은 평판형이고 소정의 형상 및 면적을 가진다. The upper plate 3 is flat and has a predetermined shape and area.

상부판 (3)은, 금속, 수지 등으로 형성되지만, 동, 알루미늄, 은, 알루미늄 합금, 철, 철 합금, 스테인리스(stainless)와 같은 높은 열전도율 또는 높은 녹방지성 (내구성)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판 (3)은 직사각형, 마름모,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여러 가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top plate 3 is formed of metal, resin, or the like, but is formed of metal of high thermal conductivity or high rust resistance (durability) such as copper, aluminum, silver, aluminum alloy, iron, iron alloy, stainless steel, etc. It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top plate 3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rectangular, rhombus, circular, elliptical, polygonal and the like.

상부판 (3)은, 중간판 (5)과 대향하는 일면에,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의 최소한 일부와 연통하는 오목부 (12)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 (12)가 모세관유로 (7)와 연통하므로, 응축 냉매가 상부판 (3)으로부터 모세관유로 (7)로 이송될 수 있다. 달리, 오목부 (12)가 증기확산로 (6)와 연통하므로, 기화 냉매가 상부판 (3)의 표면에서 넓은 면적과 접하기 쉬워지고, 기화 냉매의 방열이 촉진된다. 또한, 오목부 (12)가 증기확산로 (6)와 연통하므로, 기화 냉매는 평면 방향뿐만 아니라 두께 방향 (수직 방향)으로도 확산하게 되고, 기화 냉매는 삼차원적으로 확산된다. The upper plate 3 preferably has a concave portion 12 which communicates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vapor diffusion path 6 and the capillary flow path 7 on one surface facing the intermediate plate 5. Since the concave portion 12 communicates with the capillary flow path 7, condensation refrigerant can be transferred from the upper plate 3 to the capillary flow path 7. On the other hand, since the recessed portion 12 communicates with the vapor diffusion path 6, the vaporized refrigerant easily comes into contact with a large area on the surface of the upper plate 3, and heat dissipation of the vaporized refrigerant is promoted. Further, since the recessed portion 12 communicates with the vapor diffusion path 6, the vaporized refrigerant diffuses not only in the planar direction but also in the thickness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and the vaporized refrigerant diffuses in three dimensions.

상부판 (3)은, 중간판 (5)과 접합되는 돌기부 또는 접착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판 (3)은, 편의상 "상부"라고 호칭되어 있지만; 물리적으로 상부의 위치에 존재하여야 한다는 것은 아니고, 하부판 (4)과 특별히 구별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상부판 (3)은 발열체와 접하는 면이거나, 발열체와 대향하는 면일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plate 3 has a protrusion or an adhesive portion to be joined to the intermediate plate 5. The upper plate 3 is called "upper" for convenience; It does not have to be physically in the upper position, nor is it specifically distinguished from the lower plate 4. In addition, the upper plate 3 may be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or may be a surface facing the heating element.

또한, 상부판 (3)은, 냉매의 주입구 (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판 (3), 중간판 (5), 하부판 (4)이 적층되고 접합되면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 공간에는, 냉매를 봉입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부판 (3) 등의 접합 후에 주입구 (10)로부터 냉매가 채워진다. 주입구 (10)는, 냉매가 채워지고 봉입되어 내부 공간은 밀봉된다. In addition, the upper plate 3 may be provided with a coolant injection port 10. When the upper plate 3, the intermediate plate 5, and the lower plate 4 are laminated and joined together, an internal space is formed. Since it is necessary to enclose a coolant in such an internal space, the coolant is filled from the injection port 10 after joining the upper plate 3 or the like. The inlet 10 is filled with a refrigerant and sealed to seal the internal space.

본 경우에, 냉매는, 적층 후에 주입구 (10)로부터 봉입될 수 있고, 상부판 (3), 하부판 (4), 중간판 (5)이 적층되는 때 냉매가 봉입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coolant may be sealed from the inlet 10 after lamination, and the coolant may be sealed when the upper plate 3, the lower plate 4, and the intermediate plate 5 are laminated.

하부판Bottom plate

하부판 (4)은, 상부판 (3)과 대향하면서 단수 또는 복수의 중간판 (5)을 개재시킨다. The lower plate 4 is interposed with the single or plural intermediate plates 5 while facing the upper plate 3.

하부판 (4)은, 금속, 수지 등으로 형성되지만, 동, 알루미늄, 은, 알루미늄 합금, 철, 철 합금, 스테인리스(stainless)와 같은 높은 열전도율 또는 높은 녹방지성 (내구성)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판 (3)은 직사각형, 마름모,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여러 가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부판 (3)과 대향하면서 본체부 (2)를 형성하므로, 상부판 (3)과 동일한 형상 및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plate 4 is made of metal, resin, or the like, but is made of metal of high thermal conductivity or high rust resistance (durability) such as copper, aluminum, silver, aluminum alloy, iron, iron alloy, stainless steel. desirable. In addition, the top plate 3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rectangular, rhombus, circular, elliptical, polygonal, etc .; However, since the main body portion 2 is formed while facing the top plate 3,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same shape and area as the top plate 3.

하부판 (4)은, 중간판 (5)과 대향하는 일면에,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과 연통하는 오목부 (12)를 가지는 것이 적합하다. 오목부 (12)가 모세관유로 (7)와 연통하므로, 응축 냉매가 상부판 (3)으로부터 모세관유로 (7)로 전달되기 용이하다. 달리, 오목부 (12)가 증기확산로 (6)와 연통하므로, 기화 냉매가, 상부판 (3)의 표면에서 넓은 면적과 접하기 쉬워지고, 기화 냉매의 방열이 촉진된다. 또한, 오목부 (12)가 증기확산로 (6)와 연통하므로, 기화 냉매는 평면 방향뿐만 아니라 두께 방향 (수직 방향)으로도 확산하게 되고, 기화 냉매는, 삼차원적으로 확산된다. 이것은, 상부판 (3)에 오목부 (12)가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의의를 가진다. The lower plate 4 preferably has a concave portion 12 communicating with the vapor diffusion path 6 and the capillary flow path 7 on one surface of the lower plate 4 that faces the intermediate plate 5. Since the concave portion 12 communicates with the capillary flow path 7,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easily transferred from the upper plate 3 to the capillary flow path 7. In contrast, since the concave portion 12 communicates with the vapor diffusion path 6, the vaporized refrigerant easily comes into contact with a large area on the surface of the upper plate 3, and heat dissipation of the vaporized refrigerant is promoted. In addition, since the recess 12 communicates with the vapor diffusion path 6, the vaporized refrigerant diffuses not only in the planar direction but also in the thickness direction (vertical direction), and the vaporized refrigerant diffuses in three dimensions. This has the same meaning as that in which the recessed portion 12 is provided in the upper plate 3.

하부판 (4)은, 편의상 "하부"라고 호칭으로 되어 있지만; 물리적으로 하부의 위치에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상부판 (3)과 특별히 구별되는 것도 아니다. The lower plate 4 is called "lower" for convenience; It is not physically present at the lower position, and is not particularly distinguished from the upper plate 3.

하부판 (4)은, 중간판 (5)과 접합되는 돌기부 또는 접착부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plate 4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or an adhesive portion to be joined to the intermediate plate 5.

또한, 하부판 (4)은 발열체와 접하거나 접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plate 4 may or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중간판Midboard

중간판 (5)은, 단수 또는 복수의 부재들로 구성된다. 도 3에서, 히트파이프 (1)는, 4장의 중간판들 (5)을 가진다. 중간판들 (5)은 상부판 (3) 및 하부판 (4) 사이에 적층된다. The intermediate plate 5 is composed of one or more members. In FIG. 3, the heat pipe 1 has four intermediate plates 5. The intermediate plates 5 are laminated between the upper plate 3 and the lower plate 4.

중간판 (5)은, 금속, 수지 등으로 형성되지만, 동, 알루미늄, 은, 알루미늄 합금, 철, 철 합금, 스테인리스와 같은 높은 열전도율 또는 높은 녹방지성 (내구성)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판 (5)은 직사각형, 마름모,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과 같은 여러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상부판 (3) 및 하부판 (4) 사이에 개재되어 본체부 (2)를 형성하므로, 상부판 (3) 및 하부판 (4)과 동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판 (3) 및 하부판 (4) 사이에 끼이기 때문에, 중간판 (5) 면적은, 상부판 (3) 및 하부판 (4)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을 수 있다. The intermediate plate 5 is formed of metal, resin, or the like, but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or high rust resistance (durability) such as copper, aluminum, silver, aluminum alloy, iron, iron alloy, or stainless steel. .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plate 5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rectangular, rhombus, round, oval, or polygonal; Since it forms between the upper board 3 and the lower board 4, and forms the main-body part 2,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he same shape as the upper board 3 and the lower board 4. As shown in FIG. Also, because of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plate 3 and the lower plate 4, the area of the intermediate plate 5 may be the same as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upper plate 3 and the lower plate 4.

또한, 중간판 (5)은, 상부판 (3) 및 하부판 (4)과 접합될 때 이용되는 돌기부 또는 접착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중간판 (5)은,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내부 관통공 (9)을 가진다. 이러한 내부 관통공 (9)은 모세관유로 (7)를 형성한다.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plate 5 may have protrusions or adhesive portions used when bonding with the upper plate 3 and the lower plate 4.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plate 5 has an internal through hole 9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These inner through holes 9 form a capillary flow path 7.

마지막으로, 상부판 (3) 및 하부판 (4) 사이에 중간판 (5)이 적층되고 접합되어 본체부 (2)가 형성된다. 중간판 (5) 개수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본 경우에, 하기와 같이,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모세관유로 (7)를 형성하기 위하여, 중간판 (5) 개수는 복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Finally, the intermediate plate 5 is laminated and bonded between the upper plate 3 and the lower plate 4 to form the body portion 2. The number of intermediate plates 5 may be singular or plural. In this case, in order to form the capillary flow path 7 which has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as follows,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intermediate plates 5 is plural.

본체부Main body 및 단부 And end

본체부 (2)는, 상부판 (3), 하부판 (4) 및 상부판 (3) 그리고 하부판 (4) 사이에 끼워지는 중간판 (5)이 적층되고 접합되어 형성된다. 본체부 (2)는, 히트파이프 (1)의 기본 몸체가 되는 부분이다. 본체부 (2)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내부 공간에는 냉매가 봉입된다. 또한, 내부 공간은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가 제공된다. The main body portion 2 is formed by stacking and joining the upper plate 3, the lower plate 4 and the upper plate 3, and the intermediate plate 5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plate 4. The main body part 2 is a part which becomes the basic body of the heat pipe 1. The main body 2 has an inner space, and a refrigerant is sealed in the inner space. In addition, the internal space is provided with a vapor diffusion path 6 and a capillary flow path 7.

즉, 본체부 (2)는, 히트파이프 (1)에 있어서 히트파이프로서 기능한다. That is, the main body part 2 functions as a heat pipe in the heat pipe 1.

제1 단부 (15)는, 본체부 (2)의 일 단부이고, 제2 단부 (16)는, 제1 단부 (15)와 대향하는 위치의 단부 (즉 제1 단부 (15)와 반대 측의 단부)이다. 증기확산로 (6)는,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로 향하여 형성된다. The first end 15 is one end of the main body 2, and the second end 16 is located at an end of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first end 15 (that is,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end 15). End). The vapor diffusion path 6 is formed toward the second end 16 from the first end 15.

이 경우, 제1 단부 (15) 및 제2 단부 (16)에 있어서 "단부"란, 본체부 (2)의 엄격한 단면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부 (2) 표면 끝의 위치를 가리킨다. 즉, 본체부 (2)에 있어서 끝 주변의 위치를, 단부로서 칭한다. In this case, in the 1st end part 15 and the 2nd end part 16, the "end part" does not mean only the strict cross section of the main body part 2, but refers to the position of the surface part of the main body part 2 surface. That is, the position around the end in the main body 2 is referred to as an end.

또한, 제1 단부 (15) 및 제2 단부 (16) 사이 대향 상태 편성은 도 1에 도시된 것과는 다를 수 있다. 본체부 (2)에 있어서, 제1 단부 (15) 또는 제2 단부 (16)로부터 금속판 등이 연장 또는 돌출하는 경우도, 본체부 (2)가 가지는 내부 공간 끝은, 돌출하는 연장되는 판 단부가 아니더라도, 단부로서 간주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posite state knitting between the first end 15 and the second end 16 may be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1. In the main body 2, even when a metal plate or the like extends or protrudes from the first end 15 or the second end 16, the inner space end of the main body 2 has an extended plate end that protrudes. If not, it may be regarded as an end.

중간판, Intermediate Plate, 증기확산로Steam diffusion furnace  And 모세관유로Capillary flow path

다음으로,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에 관하여 설명한다. 중간판 (5)은 기화 냉매를 평면 방향 및 두께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확산하는 증기확산로 (6) 및, 응축 냉매를 수직 방향 또는 수직 및 평면 방향으로 환류시키는 모세관유로 (7)를 형성한다. Next, the vapor diffusion path 6 and the capillary flow path 7 will be described. The intermediate plate 5 forms a vapor diffusion path 6 for diffusing the vaporized refrigerant in at least one direction in the planar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capillary flow path 7 for refluxing the condensed refrigera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vertical and planar directions. do.

먼저, 증기확산로 (6)에 관하여 설명한다. First, the vapor diffusion path 6 will be described.

중간판 (5)은, 절결 부분 (8) 및 내부 관통공 (9)을 가진다. The intermediate plate 5 has a notch 8 and an internal through hole 9.

절결 부분 (8)은 증기확산로 (6)를 형성한다. 상부판 (3) 및 하부판 (4) 사이에 중간판 (5)이 적층되는 경우에, 절결 부분 (8)은 빈틈 (gap)을 형성한다. 이러한 빈틈이 증기확산로 (6)가 된다. The notch part 8 forms the vapor diffusion path 6. In the case where the intermediate plate 5 is laminated between the upper plate 3 and the lower plate 4, the cutout portion 8 forms a gap. This gap becomes the vapor diffusion path (6).

이 경우에, 절결 부분 (8)은, 하부판 (4)으로부터 상부판 (3)에 걸쳐 빈틈을 형성하므로, 증기확산로 (6)는, 하부판 (4)으로부터 상부판 (3)에 걸쳐 형성된다. 또한, 증기확산로 (6)는, 상부판 (3) 및 하부판 (4)에 형성되는 오목부 (12)와 연통하기 때문에, 기화 냉매는, 증기확산로 (6)로부터 오목부 (12)로 이동할 수 있다. 오목부 (12)에 도달한 기화 냉매는, 다시 증기확산로 (6)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기화 냉매는, 평면 방향뿐만 아니라, 두께 방향으로도 확산하면서,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를 향하여 확산한다. In this case, since the notch part 8 forms a gap from the lower plate 4 to the upper plate 3, the vapor diffusion path 6 is formed from the lower plate 4 to the upper plate 3. . In addition, since the vapor diffusion path 6 communicates with the recesses 12 formed in the upper plate 3 and the lower plate 4, the vaporized refrigerant is transferred from the vapor diffusion path 6 to the recesses 12. I can move it. The vaporized refrigerant that has reached the recess 12 can move back to the vapor diffusion path 6. As described above, the vaporized refrigerant diffuses from the first end 15 toward the second end 16 while diffusing not only in the planar direction but also in the thickness direction.

상기된 바와 같이, 증기확산로 (6)는,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형성된다. 이러한 증기확산로 (6) 이외의 부분에 모세관유로 (7)가 형성되기 때문에,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는, 본체부 (2)의 내부에서 가로줄 무늬와 같이 교대로 병렬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vapor diffusion path 6 is formed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Since the capillary flow path 7 is formed in the portions other than the vapor diffusion path 6, the vapor diffusion path 6 and the capillary flow path 7 are alternately arranged in parallel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2, like horizontal stripes. do.

히트파이프 (1)는, 그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확장되는 증기확산로 (6)를 가진다. 즉, 제1 단부 (15)측에서의 평면 방향의 증기확산로 (6)의 단면적보다도, 제2 단부 (16)측에서의 평면 방향의 증기확산로 (6)의 단면적이 넓다. 이러한 증기확산로 (6)의 형상 및 구조는, 중간판 (5)의 절결 부분 (8)에 의하여 정해진다. The heat pipe 1 has, as an example, a vapor diffusion path 6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as shown in FIG. 1. That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apor diffusion path 6 in the planar direction on the second end 16 side is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apor diffusion path 6 in the plane direction on the first end 15 side.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is vapor diffusion path 6 are determined by the notch part 8 of the intermediate plate 5.

상기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의 증기확산로 (6)에 의하여 히트파이프 (1)는,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로 향하는 열 확산 특성을 가진다. 본 경우 도 1에서, 증기확산로 (6)가 단부를 향한 확장 형상을 가지지만;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굽힘 및 변곡이 있을 수 있고, 단면적 증감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eat pipe 1 is formed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by the vapor diffusion path 6 having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s widened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It has a heat spreading characteristic towards the end 16. In this case in FIG. 1, the vapor diffusion path 6 has an expanded shape towards the end;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there may be bending and inflection, and there may be a change in cross-sectional area change.

다음으로, 모세관유로 (7)에 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capillary flow path 7 will be described.

중간판 (12)은, 내부 관통공 (9)을 가진다. 내부 관통공 (9)은 미소(minute) 관통공이고, 응축 냉매가 환류하는 모세관유로 (7)를 형성한다. 중간판 (5)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 부분 (8)을 가지는 경우에는, 절결 부분 (8) 이외의 부분에 내부 관통공 (9)이 형성된다. The intermediate plate 12 has an inner through hole 9. The inner through hole 9 is a minute through hole and forms a capillary flow path 7 through which the condensed refrigerant flows. In the case where the intermediate plate 5 has a cutout portion 8 as shown in FIG. 3, an inner through hole 9 is formed in a portion other than the cutout portion 8.

여기에서, 중간판 (5)이 단수의 경우에는, 중간판 (5)에 마련된 내부 관통공 (9)이 그대로 모세관유로 (7)가 된다. Here, when the intermediate | middle plate 5 is single, the internal through hole 9 provided in the intermediate | middle plate 5 turns into the capillary flow path 7 as it is.

반대로, 중간판 (5)이 복수인 경우에는, 복수의 중간판 (5) 각각에 제공되는 내부 관통공 (9) 일부만이 겹쳐지고, 내부 관통공 (9) 평면 방향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모세관유로 (7)이 형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중간판 (5)이 복수인 경우에는, 내부 관통공 (9) 그 자체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모세관유로 (7)가 형성되기 때문에, 모세관유로 (7)에 있어서 응축 냉매를 보다 효과적으로 환류할 수 있다. 모세관 단면적이 작으므로, 모세관 현상에 의한 액체 이동이 촉진된다. On the contrary, in the case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5, only a part of the inner through holes 9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5 overlaps, and has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through holes 9 in the plane direction. A capillary flow path 7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5, since the capillary flow path 7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through hole 9 itself is formed, the condensed refrigerant in the capillary flow path 7 Can be refluxed more effectively. Since the capillary cross-sectional area is small, liquid movement by capillary phenomenon is promoted.

또한, 여기에서, 중간판 (5) 각각에는, 복수의 내부 관통공 (9)이 제공된다. 복수의 내부 관통공 (9)은 복수의 유로를 가지는 모세관유로 (7)를 형성할 수 있다. Here, each of the intermediate plates 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ternal through holes 9. The plurality of inner through holes 9 may form a capillary flow path 7 having a plurality of flow paths.

내부 관통공 (9)은, 중간판 (5) 표면으로부터 배면에 걸쳐 관통하며, 그 형상은 원형도 타원형,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슬릿(slit) 형상일 수 있다. The inner through hole 9 penetrates from th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5 to the back side, and the shape may be formed into a circular oval, an ellipse, or a rectangle. Or it may be a slit (slit) shape.

내부 관통공 (9)은, 굴착, 프레스(press), 습식 식각 (wet etching), 건식 식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through hole 9 may be formed by excavation, press, wet etching, dry etching, or the like.

중간판 (5) 개수가 복수의 경우에는, 내부 관통공 (9)은, 복수의 중간판 (5)의 각각에 제공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중간판 (5)은, 이러한 내부 관통공 (9)의 일부만이 각각 겹쳐지도록 적층되기 때문에, 내부 관통공 (9)의 위치는, 인접하는 중간판 (5) 마다 적당히 비겨져야 (shift)한다. 예를 들면, 소정 중간판 (5)에 있는 내부 관통공 (9) 위치 및 상기 중간판 (5)과 인접하는 다른 중간판 (5)에 있는 내부 관통공 (9) 위치는, 내부 관통공 (9) 단면의 일부만이 중첩되도록 이동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중간판 (5)마다 내부 관통공 (9)의 위치가 빗나감으로써, 복수의 중간판 (5)이 적층되는 경우에, 내부 관통공 (9)의 평면 방향의 단면적보다도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모세관유로 (7)가 형성된다. When the number of the intermediate plates 5 is plural, the inner through holes 9 ar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5. Here, since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5 are laminated so that only a part of these internal through holes 9 overlap each other, the position of the internal through holes 9 should be appropriately lightened for each adjacent intermediate plate 5. (shift) For example, the position of the internal through hole 9 in the predetermined intermediate plate 5 and the position of the internal through hole 9 in the other intermediate plate 5 adjacent to the intermediate plate 5 may be defined as the internal through hole ( 9) Only part of the cross section is moved to overlap.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5 are laminated by the position of the inner through holes 9 in each adjacent intermediate plate 5 being cross-sectional area in the planar direction of the inner through holes 9. A capillary flow path 7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is formed.

모세관유로 (7)는, 복수의 중간판 (5)이 적층될 때, 내부 관통공 (9)의 일부가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내부 관통공 (9)의 평면 방향의 단면적보다도 작은 단면적을 가진다. 이와 같은 내부 관통공 (9)의 단면적보다도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구멍이, 히트파이프 (1)의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고, 수직 방향의 구멍들이 서로 연결되므로, 수직 방향의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수직 방향에 있어서 계단모양의 구멍이 생성되므로,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평면 방향으로도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 및 평면 방향에 형성되는 유로는, 그 단면적이 상당히 작고, 응축 냉매를, 수직 방향 또는 수직 및 평면 방향으로 환류시킨다. 또한, 모세관유로 (7)는, 오목부 (12)와 연통하기 때문에, 오목부 (12)에 있어서 냉각되고 응축되는 냉매가, 오목부 (12)로부터 모세관유로 (7)로 이동되고, 그대로 모세관유로 (7)를 통과하여 환류한다. 이처럼 오목부 (12) 및 모세관유로 (7)가 연통하고 있으므로, 응축 냉매의 환류가 촉진된다. When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5 are stacked, the capillary flow path 7 is configured so that a part of the inner through holes 9 overlap, and has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planar direction of the inner through holes 9. Holes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through hole 9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eat pipe 1, and the hol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 vertical flow path is formed. In addition, since a stepped hole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low path that can flow not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in the planar direction is formed. The flow paths formed in these vertical and planar directions are considerably smaller in cross section and reflux the condensed refrigera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in the vertical and planar directions. Moreover, since the capillary flow path 7 communicates with the recessed part 12, the refrigerant | coolant cooled and condensed in the recessed part 12 moves from the recessed part 12 to the capillary flow path 7, and it is a capillary tube as it is. It is refluxed through the flow path (7). Thus, since the recessed part 12 and the capillary flow path 7 communicate, the reflux of a condensation refrigerant | coolant is accelerated | stimulated.

또한, 내부 관통공 (9)의 일부만이 겹치도록 구성되어, 내부 관통공 (9)보다도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모세관유로 (7)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모세관유로 (7)를 직접 가공하는 것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when a part of the inner through hole 9 is formed so as to overlap and a capillary flow path 7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inner through hole 9 is formed, the capillary flow path 7 is not directly processed.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produced.

또한, 모세관유로 (7)는, 응축 냉매를 환류하지만, 기화 냉매를 통과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capillary flow path 7 refluxs the condensed refrigerant, it is also possible to pass the vaporized refrigerant.

또한, 모세관유로 (7), 오목부 (12)의 모서리부 또는 절결 부분 (8)의 모서리부는, 모 따기 처리되거나, 라운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세관유로 (7)의 단면은, 육각형,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다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모세관유로 (7)의 단면 형상은, 내부 관통공 (9)의 형상 및, 내부 관통공 (9) 사이의 중첩 방식에 따라 정해진다. 또한, 단면적도 동일한 방식으로 정해진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apillary flow path 7, the corner part of the recessed part 12, or the corner part of the notch part 8 is chamfered or rounded. The cross section of the capillary flow path 7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such as hexagon, circle, oval, rectangle, polygon, and the lik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apillary flow path 7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through hole 9 and the superposition method between the inner through holes 9. The cross sectional area is also determined in the same manner.

제조 과정Manufacturing process

다음, 히트파이프 (1) 제조 공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heat pipe (1) manufacturing process is demonstrated.

상부판 (3), 하부판 (4), 중간판 (5)이 적층되고 접합되어 히트파이프 (1)가 제조된다. The upper plate 3, the lower plate 4, and the intermediate plate 5 are laminated and joined to form a heat pipe 1.

제조 공정에 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manufactur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상부판 (3), 하부판 (4) 및 복수의 중간판 (5) (도 3에서는 4장의 중간판들 (12)) 각각이 동일 위치에서 겹쳐질 수 있는 위치에서 정렬된다. 또한, 복수의 중간판 (12)은, 복수의 중간판 (5)의 각각에 제공되는 내부 관통공 (9)의 각각의 일부만이 겹쳐질 수 있는 위치에서 정렬된다. Each of the upper plate 3, the lower plate 4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5 (four intermediate plates 12 in FIG. 3) are aligned at positions that can overlap at the same position.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12 are aligned at positions where only a part of each of the inner through holes 9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5 can overlap.

상부판 (3), 하부판 (4) 및 복수의 중간판 (5) 중 적어도 하나는 접합 돌기를 가진다. At least one of the upper plate 3, the lower plate 4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5 has a joining protrusion.

상부판 (3), 하부판 (4) 및 복수의 중간판 (5)이 배치되고 정렬된 후 적층되고, 히트 프레스로 직접 접합되어 일체화된다. 이때, 각 부재는, 접합 돌기에 의하여 직접 접합된다. The top plate 3, the bottom plate 4 and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5 are arranged, aligned and laminated, and are directly joined by a heat press and integrated. At this time, each member is directly joined by the joining protrusion.

여기에서, 직접 접합이란, 피-접합 두 부재들의 면을 밀착시킨 상태로 가압 열처리하는 것이고, 면들 사이에 작용하는 원자들 사이 힘에 기초하여 원자들 사이를 강하게 접합시키는 것이고,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두 부재들의 면을 일체화할 수 있다. 이때, 접합 돌기는 강한 접합을 달성한다. Here, direct bonding refers to pressure heat treatment in which the surfaces of two members to be joined are in close contact, and strongly bonds between atoms based on the force between atoms acting between the surfaces, without using an adhesive. It is possible to integrate the faces of the two members. At this time, the bonding projection achieves strong bonding.

히트 프레스(heat press)에 있어서 직접 접합의 조건으로서, 프레스(press) 압력은 40㎏/㎠ ~ 150㎏/㎠ 범위 내이고, 온도는 250~4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As a condition of direct bonding in a heat press, the press pressur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40 kg / cm 2 to 150 kg / cm 2 and the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250 to 400 ° C.

다음으로, 상부판 (3) 또는 하부판 (4) 일부에 제공되는 주입구 (10)를 통하여, 냉매가 주입된다. 이 후, 주입구 (10)가 밀봉되고 히트파이프 (1)가 완성된다. 이 경우, 냉매 봉입은 진공 또는 감압 하에서 진행된다. 진공 또는 감압 하에서 히트파이프 (1)의 내부 공간이 진공 또는 감압 상태가 되어 냉매가 채워진다. 감압 하에서, 냉매의 기화 및 응축 온도가 낮아지고, 냉매의 반복적 기화 및 응축이 활성화되는 이점이 있다.
Next, the refrigerant i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10 provided in the upper plate 3 or the lower plate 4. After that, the injection port 10 is sealed and the heat pipe 1 is completed. In this case, the refrigerant filling is carried out under vacuum or reduced pressure. Under vacuum or reduced pressure, the internal space of the heat pipe 1 is in a vacuum or reduced pressure state to fill the refrigerant. Under reduced press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aporization and condensation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is lowered, and the repeated vaporization and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is activated.

동작 설명Behavior description

다음으로, 히트파이프 (1)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heat pipe 1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히트파이프 내면도이다. 도 4의 히트파이프 (1)는 도 1과 동일 형상의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를 구비한다. 본체부 (2)의 제1 단부 (15)에 복수의 발열체 (20)가 배치된다. 4 is an inner view of a heat pipe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pipe 1 of FIG. 4 is provided with the vapor diffusion path 6 and the capillary flow path 7 of the same shape as FIG. A plurality of heat generators 20 are disposed at the first end 15 of the body portion 2.

여기에서, 발열체 (20)는, 소형이지만 큰 발열량의 고휘도 LED 등이다. 고휘도 LED는, 전기 장식 또는 자동차의 헤드램프와 같이 복수의 소자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15)에 복수의 발열체 (20)가 배치되는 일도 많다. Here, the heat generating body 20 is a small brightness | luminance high brightness LED etc. of a large heat generating amount. In the high-brightness LED, a plurality of elements are often used, such as an electric decoration or a headlamp of an automobile, and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20 are often disposed at the first end 15.

제1 단부 (15)에 배치되는 발열체 (20) 각각은 발열한다. 히트파이프 (1)는, 제1 단부 (15)에 있어서 상부판 (3) 또는 하부판 (4)을 이용하여 발열체 (20)로부터의 열을 수취한다. 수열에 의해 제1 단부 (15)에서 냉매가 기화한다. 냉매는 기화할 때에 발열체 (20)의 열을 탈취한다. 기화 냉매는, 증기확산로 (6)를 평면 및 두께 방향으로 확산한다. 증기확산로 (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확장되도록 형성되므로, 기화 냉매는, 고속으로 제2 단부 (16)를 향하여 확산한다. Each of the heating elements 20 arranged at the first end 15 generates heat. The heat pipe 1 receives heat from the heat generator 20 using the upper plate 3 or the lower plate 4 at the first end 15. The refrigerant vaporizes at the first end portion 15 by the heat sequence. When the refrigerant vaporizes, the heat of the heat generator 20 is deodorized. The vaporized refrigerant diffuses the vapor diffusion path 6 in the plane and thickness directions. Since the vapor diffusion path 6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as shown in FIG. 4, the vaporized refrigerant diffuses toward the second end 16 at high speed. do.

기화 냉매는, 증기확산로 (6)로 확산하며, 확산으로 인하여 오목부 (12) 등을 포함하는 넓은 면적에서 상부판 (3) 및 하부판 (4)과 접한다. 도 4에서 도시되지 않지만, 히트파이프 (1)의 표면 또는 제2 단부 (16) 주위에 설치되는 핀, 냉각 팬, 액체 냉각 재킷 등에 의해, 기화 냉매는 냉각된다. 냉각되면, 기화 냉매는 응축된다. 응축 냉매는, 제2 단부 (16)로부터 모세관유로 (7)를 통하여 수직 또는 수직, 평면 방향으로 환류한다. 환류되면, 응축 및 액화된 냉매는 다시 제1 단부 (15)에 도달한다. 제1 단부 (15)에 도달한 냉매는 다시 발열체 (20)로부터 열을 탈취하여 기화하고, 기화 냉매는 증기확산로 (6)을 통하여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로 확산된다. The vaporized refrigerant diffuses into the vapor diffusion path 6 and contacts the upper plate 3 and the lower plate 4 in a large area including the recesses 12 and the like due to the diffus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vaporized refrigerant is cooled by a fin, a cooling fan, a liquid cooling jacket, or the like provided around the surface of the heat pipe 1 or around the second end 16. Upon cooling, the vaporized refrigerant condenses. The condensed refrigerant flows back from the second end 16 through the capillary flow path 7 in the vertical, vertical, and planar directions. Once refluxed, the condensed and liquefied refrigerant again reaches the first end 15. The refrigerant reaching the first end 15 vaporizes heat again from the heating element 20 and vaporizes, and the vaporized refrigerant diffuses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through the vapor diffusion path 6. do.

상기와 같이, 실시예 1에 있어서 히트 파이프 (1)에서는, 본체부 (2)의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복수의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가 교대로 병렬 배치된다. 또한, 발열체가 배치되는 제1 단부 (15)에 있는 증기확산로 (6)의 단면적 보다, 제2 단부 (16)에 있는 증기확산로 (6)의 단면적이 더 넓은 형상으로 인하여, 기화 냉매의 확산 속도가 더 빨라진다. 상기 증기확산로 (6)의 일례는,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확장 형상을 가지는 증기확산로 (6)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heat pip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vapor diffusion paths 6 and the capillary flow paths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of the main body part 2 ( 7) alternately arranged in parallel. Furth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apor diffusion path 6 at the second end 16 is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apor diffusion path 6 at the first end 15 where the heating element is disposed, so that the vaporized refrigerant The diffusion rate is faster. One example of the vapor diffusion path 6 is a vapor diffusion path 6 having an expanded shape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as shown in Figs.

모세관유로 (7)는, 증기확산로 (6)가 형성되어 있는 이외의 영역에 형성된다.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단부로부터 단부로의 열 확산 및 열 확산의 결과에 의한 발열체의 냉각에서는, 기화 냉매의 확산속도를 응축 냉매의 환류에 대하여 우선시키면서, 그 균형을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 및 4에 도시된 형상의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에 의해, 히트 파이프 (1)는, 기화 냉매의 확산을 응축 냉매의 환류에 대하여 우선시키고 있다. 발열체의 배치 위치인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확장 형상을 가지는 증기확산로 (6)에서는, 기화 냉매의 이동 공간이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서서히 넓어지기 때문에, 증기확산로 (6)는 기화 냉매를 확산하기 쉽다. 결과적으로, 기화 냉매의 확산속도가 빨라지고, 히트파이프 (1)에 있어서, 제1 단부 (15)에 배치되어 있는 발열체의 열 확산 및 냉각에 우수하다. The capillary flow path 7 is form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vapor diffusion path 6 formed. According to the researches of the inventors, in cooling of the heating element resulting from thermal diffusion and thermal diffusion from end to end, it is preferable to balance the diffusion rate of the vaporized refrigerant while giving priority to the reflux of the condensation refrigerant. Therefore, by the vapor diffusion path 6 and the capillary flow path 7 of the shapes shown in FIGS. 1 and 4, the heat pipe 1 gives priority to diffusion of the vaporized refrigerant over reflux of the condensed refrigerant. In the vapor diffusion path 6 having an expanded shape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which i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heating element, the moving space of the vaporized refrigerant is moved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The vapor diffusion path 6 is likely to diffuse the vaporized refrigerant because it gradually widens over the gap. As a result, the diffusion rate of the vaporized refrigerant is increased, and the heat pipe 1 is excellent in thermal diffusion and cooling of the heating element arranged at the first end 15.

또한, 단부에 배치되는 발열체의 냉각능력이 우수하므로, 히트파이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여분의 실장공간이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일부의 내면도이다. 도 5에서는, 예를 들면 영사기 등의 투영부분의 일부를 도시한다. In addition, since the cooling ability of the heating element disposed at the end is excell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extra mounting space is not required in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heat pipe. 5 is an internal view of a part of the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a part of projection part, such as a projector, is shown, for example.

전자기기 (30)는, 박스 (33), 제어장치 (31), 투영용 렌즈 (32)를 구비하고, 투영용 렌즈 (32)에 빛을 투사하는 발광요소인 발열체 (20) 및 발열체 (20)를 냉각하는 히트파이프 (1)를 더욱 구비하고 있다. 발열체 (20)는, 히트파이프 (1)의 제1 단부 (15)에 배치되어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30 includes a box 33, a control device 31, a projection lens 32, and a heating element 20 and a heating element 20, which are light emitting elements that project light onto the projection lens 32. Is further provided with a heat pipe (1) for cooling. The heat generating body 20 is disposed at the first end 15 of the heat pipe 1.

렌즈 (32)는, 발열체 (20)인 발광요소로부터 빛을 받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발열체 (20)는, 렌즈 (32)의 대략 중심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장치 (31)는, 렌즈 (32)로부터 받는 빛 또는 영상을 기초로, 여러 가지의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어장치 (31)는, 렌즈 (32)의 일부와 대향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32)에 대향하는 영역에서는, 발열체 (20) 및 제어장치 (31) 실장 공간을 필요로 한다. Since the lens 32 needs to receiv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element which is the heat generating body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generating body 20 is arranged on the substantially centerline of the lens 3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since the controller 31 needs to perform various kinds of control based on the light or the image received from the lens 32, the controller 31 needs to face a part of the lens 32. have. Therefore, as shown in Fig. 5, in the region facing the lens 32, a space for mounting the heating element 20 and the control device 31 is required.

본 경우에, 발열체 (20)를 냉각하는 히트파이프가, 중앙으로부터 주변으로 향하여 열 확산하는 유형이거나, 수열부 및 열전도부로 나누어진 형태를 가지는 유형이라면, 렌즈 (32)와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히트파이프는 큰 실장공간을 차지한다. 이렇게 된다면, 제어장치 (31)의 실장 영역이 부족하거나, 렌즈 (32)로의 투영에 악영향을 미친다. In the present case, if the heat pipe for cooling the heating element 20 is of the type of heat diffusion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or of a type having a form divided into a heat receiving portion and a heat conducting portion, in the region facing the lens 32, Heat pipes take up a lot of mounting space. If so, the mounting area of the control device 31 is insufficient or adversely affects the projection to the lens 32.

반대로, 실시예 1에 있어서 히트파이프 (1)는,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열을 확산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단부 (15)에 발열체 (20)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발열체 (20)가 렌즈 (32)의 거의 중앙선 상에 있는 경우에는, 히트파이프 (1)의 제1 단부 (15)도 유사한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파이프 (1)는 렌즈 (32)의 중앙선 아래 공간만이 실장에 있어서는 필요할 뿐이다. On the contrary, since the heat pipe 1 can spread | diffuse heat from the 1st end part 15 to the 2nd end part 16 in Example 1, the heat generating body 20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1st end part 15. FIG. can do. As a result, when the heating element 20 is almost on the center line of the lens 32, the first end 15 of the heat pipe 1 may also exist in a similar position.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heat pipe 1 only needs space for mounting below the centerline of the lens 32.

상기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있어서 히트파이프 (1)는, 전자기기에 실장될 때에, 여분의 실장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heat pipe 1 has an advantage of not requiring an extra mounting space when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변형예Variant

다음, 히트 파이프 (1)의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히트파이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내면도이다. Next, a modification of the heat pipe 1 will be described. Fig. 6 is an inner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heat pip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히트파이프 (1)에서는, 제1 단부 (15)에 있어서 증기확산로 (6)의 폭 및 제2 단부 (16)에 있어서 증기확산로 (6)의 폭이 거의 동일하다. 또한, 증기확산로 (6)는,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동일 폭을 가질 수 있다. In the heat pipe 1 shown in FIG. 6, the width of the vapor diffusion path 6 at the first end 15 and the width of the vapor diffusion path 6 at the second end 16 are substantially the same. In addition, the vapor diffusion path 6 may have the same width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본 경우에도, 히트파이프 (1)는,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친 열 확산 특성을 가진다. 또한, 증기확산로 (6)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모세관유로 (7)가 형성된다. 또한, 증기확산로 (6)는,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굽힘 부분을 가지거나, 폭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거의 동일 폭의 증기확산로 (6) 및 이와 대응되는 모세관유로 (7)에 기초하여, 히트파이프 (1)는,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를 향한 열 확산 특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결과로, 고휘도 LED 등과 같은 소형의 높은 발열량의 발열체를 단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Also in this case, the heat pipe 1 has a heat spreading characteristic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In addition, the capillary flow path 7 is formed in portions other than the vapor diffusion path 6. In addition, the vapor diffusion path 6 may be curved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have a bent portion, or may have some difference in width.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vapor diffusion path 6 and the corresponding capillary flow path 7 of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the heat pipe 1, The heat spreading property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is excellen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ol in a state where a small, high heat generating element such as a high-brightness LED or the like is arranged at the end.

상기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있어서 히트파이프 (1) (변형예 포함)은, 다음과 같은 점들을 모두 충족한다. (1) 발열체인 발광요소를 단부에 장착하기 용이하다. (2) 단부에 실장해도 전체로서의 실장 공간을 너무 차지하지 않는다. (3) 열의 확산 및 전달에 있어서 저해 요인이 적다 (히트파이프 (1) 전체를 사용하여 기화 냉매의 확산 및 응축 냉매의 환류를 진행하고, 도중에 파이프와 같은 개별 부재에 열이 전도될 필요가 없기 때문). (4) 히트파이프 전체를 사용하여, 열을 확산, 수송할 수 있다 (히트파이프 내부 전체에 걸쳐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로 구성되며,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가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 (5) 기화 냉매의 확산 및 응축 냉매의 환류가, 히트파이프 전체를 이용하여 삼차원적으로 진행된다. (증기확산로 (6)는, 평면 및 두께 방향으로 기화 냉매를 확산하고, 모세관유로 (7)는, 수직 또는 수직 및 평면 방향에 응축 냉매를 환류하기 때문). As described above, the heat pipe 1 (including the modification) in Example 1 satisfies all of the following points. (1) It is easy to mount the light emitting element which is a heating element at the end. (2) Even if it mounts to the edge part, it does not occupy too much mounting space as a whole. (3) Inhibitors are small in the diffusion and transfer of heat (the entire heat pipe 1 is used to diffuse the vaporized refrigerant and reflux the condensed refrigerant, and heat does not need to be conducted to individual members such as pipes along the way. because). (4) The entire heat pipe can be used to diffuse and transport heat (consisting of a vapor diffusion path (6) and a capillary flow path (7) throughout the heat pipe, the vapor diffusion path (6) and a capillary flow path) (7) is arranged to be balanced). (5) The diffusion of the vaporized refrigerant and the reflux of the condensed refrigerant proceed in three dimensions using the entire heat pipe. (Because the vapor diffusion path 6 diffuses the vaporized refrigerant in the plane and thickness directions, and the capillary flow path 7 refluxs the condensed refrigerant in the vertical, vertical, and planar directions).

이러한 결과, 종래 기술과는 달리, 특히 발광요소와 같이 소형이며 배치 위치에 제한이 있는 발열체를 배치하고 냉각할 수 있다. As a result, unlike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arrange and cool a heating element which is particularly small and has a limited placement position, such as a light emitting element.

또한, 히트파이프 (1)는 본체부 (2)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는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를 구비하는 것으로, 복수의 발열체 (20)가 배치되는 경우에도, 복수의 발열체 (20) 각각을 냉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 pipe 1 is provided with the vapor-diffusion path 6 and the capillary flow path 7 which are alternately arrange | positioned in the main-body part 2, Even when several heat generating bodies 20 are arrange | positioned, Each of the heating elements 20 can be cooled.

실시예 2Example 2

다음에 실시예 2에 관하여 설명한다. Next, Example 2 will be described.

실시예 2에서는, 히트파이프 (1)의 우위성에 관한 실험결과를 설명한다. In Example 2, the experimental result regarding the superiority of the heat pipe 1 is demonstrated.

발명자들은, 히트파이프 (1)에서 구비되는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0)의 형상에 있어서, 어떠한 형상이 최적인지를 실험하였다. The inventors experimented with the shapes of the vapor diffusion path 6 and the capillary flow path 70 provided in the heat pipe 1 to determine which shape is optimal.

발명자들은, 예시 1-3들 히트파이프에 관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본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서, 어떠한 형상의 히트파이프가 최적인지를 검토하였다. 도 7은, 3개의 예시들을 표현하는 개략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예시 1, 예시 2, 예시 3이 도시된다.
The inventors ran simulations on the heat pipes of Examples 1-3. According to this simulation result, what kind of shape of heat pipe was optimal was examined. 7 is a schematic diagram representing three examples. In FIG. 7, Example 1, Example 2, and Example 3 are shown from the left.

예시 1Example 1

예시 1의 히트파이프 (40)는,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증기확산로 (6) 및 이에 대응하는 모세관유로 (7)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서서히 폭이 넓어지는 모세관유로 (7))을 구비하고 있다. The heat pipe 40 of Example 1 has a vapor diffusion passage 6 in which the width gradually narrows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and a corresponding capillary flow passage 7 (first end). The capillary flow path 7 which gradually widens from 15 to the 2nd end 16 is provided.

예시 2Example 2

도 1에 도시된 바와 동일 방식으로, 예시 2의 히트파이프 (41)는,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폭이 서서히 넓어지는 증기확산로 (6) 및 이에 대응하는 모세관유로 (7)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서서히 폭이 좁아지는 모세관유로 (7))을 구비하고 있다. 즉, 히트 파이프 (41)는, 제1 단부 (15)에 있어서 폭보다도, 제2 단부 (16)에 있어서 폭이 넓은 증기확산로 (6)를 구비하고 있다. In the same manner as shown in FIG. 1, the heat pipe 41 of Example 2 is a vapor diffusion path 6 which gradually widens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and corresponding thereto. The capillary flow path 7 (capillary flow path 7 which becomes narrow gradually from the 1st end part 15 to the 2nd end part 16) is provided. That is, the heat pipe 41 is equipped with the vapor diffusion path 6 which is wider in the 2nd end part 16 than the width in the 1st end part 15. As shown in FIG.

예시 3Example 3

도 6에 도시된 바와 동일 방식으로, 예시 3의 히트파이프 (42)는,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동일 폭을 가지는 증기확산로 (6) 및 이에 대응하는 모세관유로 (7)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동일 폭의 모세관유로 (7))을 구비하고 있다. 즉, 히트 파이프 (42)는, 제1 단부 (15)에 있어서 폭과 제2 단부 (16)에 있어서 폭이 거의 동일한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를 구비하고 있다. In the same way as shown in FIG. 6, the heat pipe 42 of Example 3 extends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with the same steam diffusion path 6 and the corresponding width. The capillary flow path 7 (capillary flow path 7 of the same width from the 1st end 15 to the 2nd end 16) is provided. That is, the heat pipe 42 is provided with the vapor diffusion path 6 and the capillary flow path 7 which the width | variety in the 1st edge part 15 and the width | variety in the 2nd edge part 16 are substantially the same.

예시 1-3들의 모든 히트파이프에 있어서, 열 확산이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로 향하도록 증기확산로 (6) 및 모세관유로 (7)가 형성된다.
In all the heat pipes of Examples 1-3, the vapor diffusion path 6 and the capillary flow path 7 are formed such that heat diffusion is directed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실험조건Experimental conditions

다음의 실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It carried out under the following experimental conditions.

열원: 2 X 7㎜ 사이즈를 가지는 열원을 제1 단부 (15)의 거의 중앙에 배치 Heat source: A heat source having a size of 2 X 7 mm is disposed about the center of the first end 15

열 접합제: 서멀 그리스 (thermal grease) (INEX Co., Ltd. 제조 PA-080)을 사용 Thermal bonding agent: thermal grease (PA-080 manufactured by INEX Co., Ltd.) is used

방열처리: 방열 측은, 스폿 에어컨 (spot cooler) (Daikin Industries, Ltd. 제조 Crisp)에 의한 강제 공기 냉각 Heat dissipation: The heat dissipation side is forced air cooling by spot cooler (Crisp manufactured by Daikin Industries, Ltd.)

상부면 온도 분포 측정: 서모그래피 (Nippon Avionics Co., Ltd. 제조 TVS-200)에 의해 상부면 온도 분포 측정 Top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ement: Top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ement by thermography (TVS-200 manufactured by Nippon Avionics Co., Ltd.)

열원의 히터 출력: 다음 두 케이스들로 실시 Heater output of heat source: carried out in two cases

케이스 1: 1W (=1MW/㎡) 실장되는 고휘도 LED의 발열량에 상당하는 열량 Case 1: Heat equivalent to the heat output of a high-brightness LED mounted at 1W (= 1MW / ㎡)

케이스 2: Ts=90℃가 되는 출력. Case 2: Discharge to Ts = 90 ° C.

비교대상: 예시 1-3들 히트파이프의 온도 변화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동판을 비교대상으로 설정. Comparative object: Examples 1-3 In order to grasp the temperature change state of the heat pipe, the copper plate is set as the comparison object.

이상의 조건으로, 예시 1-3들 각각의 히트파이프의 제1 단부 (15)의 거의 중앙에 열원을 배치하고 열 확산 상태를 계측하였다.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heat source was disposed almost at the center of the first end 15 of the heat pipe of each of Examples 1-3 and the heat diffusion state was measured.

도 8은, 케이스 1에서 본 발명 실시예 2의 예시 1-3의 히트파이프 표면의 온도 분포도이다. 도 8은, 케이스 1에서 시뮬레이션에 의해 계측되는 히트파이프 표면의 온도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예시 1-3들 히트파이프의 온도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판을 비교대상으로 설정한다. FIG. 8 is a temperature distribution diagram of the heat pipe surface of Example 1-3 of Inventive Example 2 in Case 1. FIG. 8 shows the temperature state of the heat pipe surface measured by the simulation in Case 1. FIG. Also, in order to confirm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heat pipes of Examples 1-3, the copper plate is set as a comparison object.

도 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비교예인 동판과 대비하여, 예시 1-3들 히트파이프는, 중앙 부근의 온도 및 주변 온도 차가 적고, 예시 1-3들 히트파이프는, 높은 열 확산 능력을 가진다. As is apparent from FIG. 8, in contrast to the copper plate as a comparative example, the Example 1-3 heat pipes have a small difference in temperature and ambient temperature near the center, and the Example 1-3 heat pipes have a high heat diffusion capability.

또한, 3개의 예시들 중에서는, 예시 1의 히트파이프 (40)는, 표면 온도가 가장 일정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케이스 2의 실험 결과를 보면, 이것은 드라이 아웃하여, 이러한 결과로서 온도가 일정 또는 낮게 보이는 것이라 생각된다. In addition, among the three examples, the heat pipe 40 of Example 1 appears to have the most constant surface temperature. However,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results of Case 2, it is considered that it is dry out, an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appears to be constant or low.

도 9는, 케이스 2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예시 1-3의 히트파이프 표면의 온도분포도이다. 9 is a temperature distribution diagram of the heat pipe surface of Example 1-3 of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ase 2. FIG.

도 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예시 1의 히트파이프 (40)의 상부면 온도는 낮고, 이것은 드라이 아웃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즉, 냉매가 기화하지만 응축할 수 없고, 히트파이프 (40)의 상부 면에 도달할 수 없다 (즉 열을 포함한 기화 냉매가 내부 공간에 체류해 버리고, 열이 상부 면에 도달할 수 없고, 상부면 온도는 비정상적으로 낮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비교 예로서의 동판보다도 상부면 온도가 낮은 것으로도 적당한 귀결이라고 생각된다. As apparent from Fig. 9, the upper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 pipe 40 of Example 1 is low, and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drying out. That is, the refrigerant vaporizes but cannot condense, and cannot reach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pipe 40 (i.e., the vaporized refrigerant containing heat remains in the interior space, and the heat cannot reach the upper surface, Cotton temperature is thought to be abnormally low). This is considered to be a suitable result even if the upper surfac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at of the copper plate as a comparative example.

한편, 예시 2 및 예시 3의 히트파이프 (41, 42) 각각은, 도 9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상부면 온도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다. 또한, 비교예인 동판은, 열원 부분의 온도가 주위보다도 높으므로, 열을 충분히 확산하고 있지 않다. 반대로 예시 1, 2의 히트파이프는, 온도 분포가 일정하므로, 열이 충분히 확산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each of the heat pipes 41 and 42 of Examples 2 and 3, the difference in the upper surface temperature is not so large, as is also apparent from FIG. Moreover, since the temperature of a heat source part is higher than surroundings, the copper plate which is a comparative example does not spread | disperse heat sufficiently. On the contrary, since the heat distribution of the heat pipes of Examples 1 and 2 is constant, heat is sufficiently diffused.

다음, 도 10에, 예시 1-3들 각각에 관하여 복수의 샘플을 제작하여, 동판과 대비하여 상부면 중앙의 온도 감소가 어느 정도가 되는가에 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실시예 2에 있어서 실험 결과를 보이는 설명도 이다. Next, in Fig. 10, a plurality of samples are produced for each of Examples 1-3, and the result regarding how much the temperature decrease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becomes as compared with the copper plate. FIG.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experimental results in Example 2. FIG.

도 10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예시 1의 효과는 낮지만, 예시 2, 3의 효과는 높다. 예시 2, 3을 비교한다면, 예시 3의 효과가 약간 높고, 제1 단부 (15)에 발열체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예시 3에 도시된 히트파이프 (42)가 최적이라고도 생각된다. 단, 예시 2, 3과의 차이는 크지 않고, 냉각 대상의 발열체의 특성에 따라, 예시 2의 히트파이프 (41) 및 예시 3의 히트파이프 (42)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As is apparent from FIG. 10, the effect of Example 1 is low, but the effect of Examples 2 and 3 is high. Comparing Examples 2 and 3, the effect of Example 3 is slightly higher, and when the heating element is disposed at the first end 15, it is also considered that the heat pipe 42 shown in Example 3 is optimal. However, the difference from Examples 2 and 3 is not large, and either the heat pipe 41 of Example 2 or the heat pipe 42 of Example 3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ting element to be cooled.

상기와 같이, 이러한 실험으로부터, 단부에 배치한 발열체의 냉각에 있어서는, 제1 단부 (15)로부터 제2 단부 (16)에 걸쳐, 폭이 서서히 넓어지거나 거의 동일인 형상을 가지는 증기확산로 (6) 및, 증기확산로 (6)의 형상에 대응하는 모세관유로 (7)로 가지는 히트파이프가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oling of the heating element disposed at the end from the above experiment, the vapor diffusion path 6 having a shape that gradually widens or has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from the first end 15 to the second end 16. And it turns out that the heat pipe which has the capillary flow path 7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vapor diffusion path 6 is suitable.

실시예 3Example 3

다음, 실시예 3에 관하여 설명한다. Next, Example 3 will be described.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 히트파이프의 사시도이다. 실시예 3에 있어서 히트파이프는 만곡된다.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 pipe in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In Example 3, the heat pipe is curved.

만곡 형상을 가지는 히트파이프 (50)는, 만곡 형상의 상부판 (51), 상부판 (51)과 대향하는 만곡 형상의 하부판 (52), 상부판 (51)과 하부판 (52) 사이에 적층되며 동시에 증기확산로 및 모세관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만곡 형상의 중간판 (53)을 가지는 본체부 (54)를 구비한다. 도 11은, 히트파이프 (50)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하므로, 내부는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도 11에서는, 증기확산로 및 모세관유로를 도시할 수 없지만, 본체부 (54)의 내부는,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증기확산로 및 모세관유로를 가진다. The heat pipe 50 having a curved shape is laminated between the curved upper plate 51, the curved lower plate 52 facing the upper plate 51, the upper plate 51 and the lower plate 52. At the same time, a main body portion 54 hav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curved intermediate plates 53 form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vapor diffusion passage and the capillary flow passage is provided. 11 show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heat pipe 50, so that the inside thereof is not visible. Therefore, although the vapor diffusion path and the capillary flow path cannot be shown in FIG. 11,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54 has a vapor diffusion path and the capillary flow path formed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도 1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체부 (54)는, 전체로서 만곡 형상을 가진다. 상기된 바와 같이, 만곡 형상을 가지는 히트파이프 (50)는, 협소 공간이나 복잡 공간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실장될 수 있다. As is apparent from FIG. 11, the main body portion 54 has a curved shape as a whole. As described above, the heat pipe 50 having a curved shape can be easily mounted even in a narrow space or a complicated space.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 형상을 가지는 히트파이프 (50)는, 만곡 형상을 활용하여, 배치하기 어려운 위치에 존재하는 발열체 (55)를 냉각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 만곡 형상을 가지는 히트파이프의 실장도 이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the heat pipe 50 which has a curved shape can utilize the curved shape, and can cool the heat generating body 55 which exists in the position which is difficult to arrange | position. 12 is a mounting diagram of a heat pipe having a curved shape in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히트파이프 (50)의 제1 단부에 발열체 (55)가 배치된다면, 히트파이프 (50)는,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향하여 (도면에서 화살표) 열을 확산한다. 팬 (58)이, 공기를 제2 단부에 대하여 송풍하여 제2 단부를 냉각한다. 제2 단부가 냉각되므로, 기화 냉매는 응축하고, 제2 단부로부터 제1 단부에 걸쳐 (도면에서 화살표의 반대 방향) 응축 냉매가 환류한다. If the heating element 55 is disposed at the first end of the heat pipe 50, the heat pipe 50 diffuses heat from the first end to the second end (arrow in the figure). The fan 58 blows air with respect to a 2nd end, and cools a 2nd end. Since the second end is cooled, the vaporized refrigerant condenses, and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refluxed from the second end to the first e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rrow in the figure).

상기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기술된 히트파이프 (1)가 만곡 히트파이프 (50)로 대체되므로, 발열체 (55) 또는 히트파이프를 배치하기 어려운 실장 상태에서도, 히트파이프 (50)는 단부에 배치되는 발열체 (55)를 냉각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eat pipe 1 described in Example 1 is replaced with the curved heat pipe 50, even in a mounted stat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arrange the heating element 55 or the heat pipe, the heat pipe 50 is provided at the end portion. The heating element 55 arranged can be cooled.

본 경우에서, 히트파이프 (55)가 실장하기 어려운 상태라는 것은 예로써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파이프 (55)의 옆에, 실장 기판 또는 다른 장치 (56)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만곡 형상을 가지는 히트파이프의 실장도 이다. In the present case, the state in which the heat pipe 55 is difficult to mount is, for example, when the mounting substrate or the other device 56 exists next to the heat pipe 55, as shown in FIG. Fig. 13 is a mounting diagram of a heat pipe having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에, 만곡 형상을 가지는 히트파이프 (5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heat pipe 50 which has a curved shape is demonstrated in detail.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 히트파이프의 분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만곡 형상을 가지는 히트파이프 (5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4 is an exploded view of a heat pipe in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14, the heat pipe 50 which has a curved shape is demonstrated in detail.

만곡 상부판 (51) 및 만곡 하부판 (52) 사이에, 만곡 중간판 (53)이 삽입되고 적층된다. 중간판 (53)은, 절결 부분 (60) 및 내부 관통공 (61)을 구비하고, 절결 부분 (60)은, 증기확산로 (64)를 형성하고, 내부 관통공 (61)은, 모세관유로 (65)를 형성한다. 또한, 상부판 (51) 및 하부판 (52)의 적어도 일부는 오목부 (62)를 가진다. Between the curved top plate 51 and the curved bottom plate 52, the curved intermediate plate 53 is inserted and laminated. The intermediate plate 53 has a cutout portion 60 and an inner through hole 61, the cutout portion 60 forms a vapor diffusion path 64, and the inner through hole 61 has a capillary flow path. Form 65. 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plate 51 and the lower plate 52 has a recess 62.

상부판 (51), 하부판 (52) 및 중간판 (53)의 적어도 하나는, 돌기부 (63)를 가지며, 상부판 (51), 하부판 (52) 및 중간판 (53) 사이가 접합될 때, 돌기부 (63)가 접착제로 기능한다. 접착제와 같이 돌기부 (63)를 사용하여 이들이 접합된다면, 만곡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 (54)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증기확산로 (64) 및 모세관유로 (65)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만곡 상부판 (51), 하부판 (52) 및 중간판 (53)이 접합되므로, 만곡 형상을 가지는 히트파이프 (50)가 형성된다. 히트파이프 (50)는, 내부에 냉매를 봉입하고, 기화 냉매는 증기확산로 (64)를 경유하여 본체부 (54) 내부를 확산하고, 응축 냉매는, 모세관유로 (65)를 경유하여 환류한다. 이러한 냉매의 기화 및 응축의 반복에 의하여, 만곡 형상을 가지는 히트파이프 (50)는, 발열체를 냉각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upper plate 51, the lower plate 52 and the intermediate plate 53 has a protrusion 63, and when the upper plate 51, the lower plate 52 and the intermediate plate 53 are joined, The projection 63 functions as an adhesive. If they are joined using the projections 63, such as an adhesive, a body portion 54 having a curved shape is formed, and a vapor diffusion path 64 and a capillary flow path 65 are formed therei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urved upper plate 51, the lower plate 52 and the intermediate plate 53 are joined, a heat pipe 50 having a curved shape is formed. The heat pipe 50 encloses a refrigerant inside, the vaporized refrigerant diffuses into the main body portion 54 via the vapor diffusion path 64, and the condensed refrigerant is refluxed through the capillary flow path 65. . By repeated vaporization and condensation of the refrigerant, the heat pipe 50 having a curved shape can cool the heating element.

상기된 바와 같이, 만곡 상부판 (51), 하부판 (52), 중간판 (53)을 적층하고 접합하여, 만곡 형상을 가지는 히트파이프 (50)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urved upper plate 51, the lower plate 52, and the intermediate plate 53 are laminated and bonded to obtain a heat pipe 50 having a curved shape.

만곡 형상 이외에서는 상부판 (51), 하부판 (52), 중간판 (53)은, 실시예 1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Except for the curved shape, the upper plate 51, the lower plate 52, and the intermediate plate 53 have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된 바와 같이,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의 열 확산이 우수한 히트파이프는 만곡형상을 가질 수 있고, 만곡 형상에 의한 실장상의 유연성(flexibility)이 높아지는 장점을 활용하면서도 단부에 배치되는 발열체의 냉각이 우수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heat pipe having excellent heat spreading from the first end to the second end may have a curved shape, and the heating element disposed at the end may be used while utilizing the advantage of increasing flexibility in mounting due to the curved shape.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oling is excellent.

실시예 4Example 4

다음, 실시예 4에 관하여 설명한다. Next, Example 4 will be described.

실시예 4에서는, 실시예 1~3에 기술된 히트파이프를 실장한 전자기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In Example 4, the electronic device which mounts the heat pipe described in Examples 1-3 is demonstrated.

전자기기의 일례가 도 15에 도시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있어서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전자기기 (82)는, 차량 텔레비전, 개인용 모니터 등과 같은 박형, 소형이 요구되는 전자기기이다.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is shown in FIG. 15.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device 82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required to be thin and small, such as a vehicle television and a personal monitor.

전자기기 (82)는, 디스플레이(display) (83), 발광요소 (84), 스피커 (85)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 (82) 내부에 히트파이프 (1)가 격납되고, 발열체를 냉각한다. The electronic device 82 includes a display 83, a light emitting element 84, and a speaker 85. The heat pipe 1 is stored inside such an electronic device 82 to cool the heating element.

상기 언급된 히트파이프 (1)가 사용되어,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박형을 저해하지 않고, 발열체의 냉각을 실현할 수 있다. 특히, 히트파이프 (1)는, 디스플레이 (83)에 요구되는 LED와 같은 단부에 실장되는 발열체를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 성능은 물론이고 여분의 실장 공간을 필요하지 않고 히트파이프 (1)가 실장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heat pipe 1 can be used to realize cooling of the heating element without hindering miniaturization and thinness of the electronic device. In particular, the heat pipe 1 can cool the heating element mounted at an end portion such as an LED required for the display 83. Therefore, the heat pipe 1 can be mounted without the need for cooling performance and extra mounting space.

이와 같은 관점에서, 히트파이프 (1)는,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휴대 단말기, 컴퓨터 단말기 등에 실장되어 있는 방열 핀 또는 액체 냉각 장치 등으로 대치하게 되거나, 자동차 또는 산업 기기의 라이트, 엔진, 제어 컴퓨터 부분에 실장되어 있는 방열 프레임이나 냉각 장치 등에, 바람직하게 대치될 수 있다. 히트파이프 (1)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방열 핀이나 방열 프레임보다 높은 냉각 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발열체에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고, 여러 전자부품들을 냉각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서, 히트파이프 (1)는, 넓은 적용범위를 가진다. From this point of view, the heat pipe 1 is replaced by a heat dissipation fin or a liquid cooling device mounted in a notebook personal computer, a portable terminal, a computer terminal, or the like, or used in a light, engine, control computer portion of an automobile or industrial device. The mounted heat dissipation frame, the cooling device, or the like can be preferably replaced. Since the heat pipe 1 has a higher cooling capacity than the heat radiating fin and the heat radiating frame which are conventionally used, miniaturization can be achieved. Furthermore, it can be applied flexibly to the heating element, and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targeted for cooling. As a result of this, the heat pipe 1 has a wide application range.

또한, 실시예 1~4로 기술되는 히트파이프 및 전자기기는, 본 발명의 범위를 설명하는 일례이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형 및 개조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heat pipes and electronic devices described in Examples 1 to 4 are examples illustra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들이 도시되고 기술되지만, 본 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여러 변경을 고안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preferred examples of the invention are shown and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escription and the appended claims.

Claims (19)

상부판;
상부판과 대향하는 하부판;
상부판 및 하부판 사이에 적층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중간판;
상부판, 하부판 및 중간판 적층에 의해 형성되며 냉매를 봉입할 수 있는 본체부;
기화 냉매를 확산할 수 있는 증기확산로;
응축 냉매를 환류할 수 있는 모세관유로를 포함하며,
증기확산로는 본체부의 제1 단부로부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향하여 형성되는 히트파이프.
Top plate;
A bottom plate opposite the top plate;
Single or plural intermediate plates stack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A main body portion formed by laminating an upper plate, a lower plate and an intermediate plate and capable of encapsulating a refrigerant;
A vapor diffusion furnace capable of diffusing the vaporized refrigerant;
A capillary flow path capable of refluxing the condensation refrigerant,
The steam diffusion path is formed from the first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toward the second end facing the first end.
제1항에 있어서, 증기확산로 제2 단부에 있어서 폭은, 제1 단부에 있어서 폭보다 더욱 넓은, 히트파이프.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dth at the second end of the vapor diffusion path is wider than the width at the first end. 제2항에 있어서, 증기확산로는,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에 걸쳐 확대되는, 히트파이프.The heat pipe of claim 2, wherein the vapor diffusion path extends from the first end to the second end. 제3항에 있어서, 중간판은, 절결 부분 및 내부 관통공을 가지고, 절결 부분은, 증기확산로를 형성하고, 내부 관통공은, 모세관유로를 형성하는, 히트파이프.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intermediate plate has a cutout portion and an inner through hole, the cutout portion forms a vapor diffusion path, and the inner through hole forms a capillary flow path. 제4항에 있어서, 중간판 개수는 복수이고, 복수의 중간판 각각에 제공되는 내부 관통공들은 일부만이 겹쳐지고, 내부 관통공 수평 방향의 단면적보다도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모세관유로가 형성되는, 히트파이프.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number of the intermediate plates is plural, and the inner through hole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the intermediate plates overlap only a part of the caps, and a capillary flow path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inner through holes is formed. . 제5항에 있어서, 상부판 및 하부판의 각각은, 모세관유로 및 증기확산로의 적어도 일부와 연통하는 오목부를 더욱 구비하는, 히트파이프.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each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further includes a recess communicating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capillary flow passage and the vapor diffusion passage. 제6항에 있어서, 증기확산로는, 기화 냉매를 평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확산하고, 모세관유로는, 응축 냉매를 수직 또는 수직 및 평면 방향으로 환류시키는, 히트파이프.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vapor diffusion path diffuses the vaporized refrigerant in the planar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capillary flow path refluxs the condensed refrigerant in the vertical, vertical, and planar directions. 제7항에 있어서, 발열체는 제1 단부에 실장 가능하고, 발열체의 열을,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향하여 확산할 수 있는, 히트파이프.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heat generating element is mountable at the first end, and is capable of diffusing heat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from the first end to the second end. 제1항에 있어서, 증기확산로의 제2 단부에 있어서 폭은, 제1 단부에 있어서 폭과 거의 동일한, 히트파이프.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dth at the second end of the vapor diffusion path is about the same as the width at the first end. 제9항에 있어서, 중간판은, 절결 부분 및 내부 관통공을 가지고, 절결 부분은, 증기확산로를 형성하고, 내부 관통공은, 모세관유로를 형성하는, 히트파이프.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intermediate plate has a cutout portion and an inner through hole, wherein the cutout portion forms a vapor diffusion path, and the inner through hole forms a capillary flow path. 제10항에 있어서, 중간판 개수는 복수이고, 복수의 중간판 각각에 제공되는 내부 관통공들은 일부만이 겹쳐지고, 내부 관통공 수평 방향의 단면적보다도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모세관유로가 형성되는, 히트파이프.11. 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number of the intermediate plates is plural, and the inner through hole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overlap only a part, and a capillary flow path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inner through holes is formed. . 제11항에 있어서, 상부판 및 하부판의 각각은, 모세관유로 및 증기확산로의 적어도 일부와 연통하는 오목부를 더욱 구비하는, 히트파이프.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each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further includes a recess communicating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capillary flow passage and the vapor diffusion passage. 제12항에 있어서, 증기확산로는, 기화 냉매를 평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확산하고, 모세관유로는, 응축 냉매를 수직 또는 수직 및 평면 방향으로 환류시키는, 히트파이프.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vapor diffusion path diffuses the vaporized refrigerant in the planar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capillary flow path refluxs the condensed refrigerant in the vertical, vertical, and planar directions. 제13항에 있어서, 발열체는 제1 단부에 실장 가능하고, 발열체의 열을,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향하여 확산할 수 있는, 히트파이프.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heat generating element is mountable at the first end, and is capable of diffusing heat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from the first end to the second end. 제1항에 있어서, 중간판은, 절결 부분 및 내부 관통공을 가지고, 절결 부분은, 증기확산로를 형성하고, 내부 관통공은, 모세관유로를 형성하는, 히트파이프.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mediate plate has a cutout portion and an inner through hole, the cutout portion forms a vapor diffusion path, and the inner through hole forms a capillary flow path. 제15항에 있어서, 중간판 개수는 복수이고, 복수의 중간판 각각에 제공되는 내부 관통공들은 일부만이 겹쳐지고, 내부 관통공 수평 방향의 단면적보다도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모세관유로가 형성되는, 히트파이프.16. 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number of the intermediate plates is plural, and the inner pipe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plates are partially overlapped, and a capillary flow path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through-hol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 제16항에 있어서, 상부판 및 하부판의 각각은, 모세관유로 및 증기확산로의 적어도 일부와 연통하는 오목부를 더욱 구비하는, 히트파이프.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each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further includes a recess communicating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capillary flow passage and the vapor diffusion passage. 제17항에 있어서, 증기확산로는, 기화 냉매를 평면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확산하고, 모세관유로는, 응축 냉매를 수직 또는 수직 및 평면 방향으로 환류시키는, 히트파이프.18. 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vapor diffusion path diffuses the vaporized refrigerant in the planar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capillary flow path refluxs the condensed refrigerant in the vertical, vertical, and planar directions. 제18항에 있어서, 발열체는 제1 단부에 실장 가능하고, 발열체의 열을,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향하여 확산할 수 있는, 히트파이프.19. The heat pipe according to claim 18, wherein the heat generating element is mountable at the first end and can diffuse the heat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from the first end to the second end.
KR1020117007870A 2008-09-05 2009-09-08 Heat Pipes and Electronics Ceased KR2011010338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28616A JP5334288B2 (en) 2008-09-05 2008-09-05 Heat pipes and electronics
JPJP-P-2008-228616 2008-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387A true KR20110103387A (en) 2011-09-20

Family

ID=4164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870A Ceased KR20110103387A (en) 2008-09-05 2009-09-08 Heat Pipes and Electronic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308772A1 (en)
JP (1) JP5334288B2 (en)
KR (1) KR20110103387A (en)
CN (1) CN102203939B (en)
WO (1) WO2010026486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26517A1 (en) * 2020-01-10 2023-01-26 Dai Nippon Printing Co., Ltd. Wick sheet for vapor chamber, vapor chamber, and electronic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1880A1 (en) * 2008-09-22 2010-03-25 Chul-Ju Kim Evaporator for looped heat pipe system
JP5666892B2 (en) * 2010-12-09 2015-02-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Thin sheet heat pipe
JP6191561B2 (en) * 2014-08-28 2017-09-06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Sheet type heat pipe
US20160131437A1 (en) * 2014-11-12 2016-05-12 Asia Vital Components Co., Ltd. Thin heat pipe structure
US9713286B2 (en) 2015-03-03 2017-07-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ctive control for two-phase cooling
KR102741008B1 (en) * 2018-12-19 2024-1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eat dissipating device of ultrafine-thin plate
CN112055502B (en) * 2019-06-05 2022-12-20 英业达科技有限公司 Cooling system
EP4113596A4 (en) * 2020-02-26 2024-03-27 Kyocera Corporation HEAT DISSIPATION ELEMENT
CN114980646A (en) * 2021-02-24 2022-08-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Heat dissipation module, terminal and heat dissipation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CN113179620A (en) * 2021-05-12 2021-07-27 江西展耀微电子有限公司 Vapor chamber and electronic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1037A (en) * 1996-02-12 1998-06-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rientation independent evaporator
US5642776A (en) * 1996-02-27 1997-07-01 Thermacore, Inc. Electrically insulated envelope heat pipe
US7051793B1 (en) * 1998-04-20 2006-05-30 Jurgen Schulz-Harder Cooler for electrical components
KR100294317B1 (en) * 1999-06-04 2001-06-15 이정현 Micro-cooling system
US6843308B1 (en) * 2000-12-01 2005-01-18 Atmostat Etudes Et Recherches Heat exchanger device using a two-phase active flui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device
JP2004060911A (en) * 2002-07-25 2004-02-26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heat pipe
SE0301381D0 (en) * 2003-05-12 2003-05-12 Sapa Ab Extruded heat sink with integrated thermosyphon
US6899165B1 (en) * 2004-06-15 2005-05-31 Hua Yin Electric Co., Ltd. Structure of a heat-pipe cooler
US7353860B2 (en) * 2004-06-16 2008-04-08 Intel Corporation Heat dissipating device with enhanced boiling/condensation structure
JP4112602B2 (en) * 2005-09-01 2008-07-02 株式会社渕上ミクロ heat pipe
US8534348B2 (en) * 2005-09-01 2013-09-17 Molex Incorporated Heat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8118357A (en) * 2006-11-02 2008-05-22 Sumitomo Electric Ind Ltd Optical transceiver with built-in heat pipe
CN101232794B (en) * 2007-01-24 2011-11-30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Soaking plate and heat radiat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26517A1 (en) * 2020-01-10 2023-01-26 Dai Nippon Printing Co., Ltd. Wick sheet for vapor chamber, vapor chamb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12256520B2 (en) * 2020-01-10 2025-03-18 Dai Nippon Printing Co., Ltd. Wick sheet for vapor chamber, vapor chamber,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03939B (en) 2014-07-09
CN102203939A (en) 2011-09-28
WO2010026486A3 (en) 2010-06-10
JP2010060243A (en) 2010-03-18
WO2010026486A2 (en) 2010-03-11
US20110308772A1 (en) 2011-12-22
JP5334288B2 (en)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3387A (en) Heat Pipes and Electronics
JP5714836B2 (en) Heat transport unit, electronic board, electronic equipment
JP5404261B2 (en) Cooling device, electronic board, electronic equipment
US7304842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oling electronic devices in computer systems
JP5180883B2 (en) Cool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917599B1 (en) Flat Plate Heat Dissipation Unit
CN202889855U (en) Heat transfer unit and electronics
US20100155030A1 (en) Thermal module
KR20080025365A (en) Heat transfer device
US20120111541A1 (en) Plate type heat pipe and heat sink using the same
WO2014157147A1 (en) Cooling apparatus
JP2011124456A (en) Cool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90058356A (en) Flat Plate Micro Heat Transfer Device
CN112188792A (en) Heat radiator
US20100012300A1 (en) Heat uniforming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JP2009076622A (en) Heat sink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80314554A1 (en) Heat dissipation device with a heat pipe
EP3518072B1 (en) Heat transferring module
US20100139888A1 (en) Heat spreader and heat dissipation device using same
US7584622B2 (en) Localized refrigerator apparatus for a thermal management device
JP5449801B2 (en) Heat transport unit and electronic equipment
JP5193403B2 (en) Waste heat socket
JP5624771B2 (en) Heat pipe and heat sink with heat pipe
JP2024055190A (en) Vapor chamber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735594B2 (en) Coo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4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9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6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