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94680A - 자전거 주차타워 - Google Patents

자전거 주차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4680A
KR20110094680A KR1020100014234A KR20100014234A KR20110094680A KR 20110094680 A KR20110094680 A KR 20110094680A KR 1020100014234 A KR1020100014234 A KR 1020100014234A KR 20100014234 A KR20100014234 A KR 20100014234A KR 20110094680 A KR20110094680 A KR 20110094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parking tower
parking
rotary column
bevel ge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욱우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이욱우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욱우, 김민수 filed Critical 이욱우
Priority to KR1020100014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4680A/ko
Publication of KR20110094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680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12Hanging-up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6Garages shaped as a wheel or drum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주차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적은 공간에 효과적으로 많은 자전거를 안전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자전거가 주차되는 원통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주차타워와 상기 주차타워에 자전거를 입출고 하기 위하여 내부에 자전거를 수직으로 승하강 시키는 리프트가 장착되는 승하강부로 구성되는 자전거 주차타워에 있어서;
상기 주차타워의 중심에는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입설되는 회전기둥과;
상기 회전기둥의 하부에 인접하여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기둥을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기둥에 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원형판넬과, 자전거의 바퀴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원형판넬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주차레일과, 상기 주차레일의 내측에 장착되어 자전거의 후방 바퀴를 지지하여 설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봉으로 이루어지는 자전거 보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전거 주차타워{The bicycle parking tower}
본 발명은 자전거 주차타워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은 공간에 효과적으로 많은 자전거를 안전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자전거 주차타워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의 역사는 오래되었지만 근래에 이르러서는 아동과 청소년층과 극히 일부 매니아들만이 주로 사용하던 적이 있었으나 최근에 고유가와 레져문화의 다양화에 따라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자전거도 그 종류에서의 다양화와 고급형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으며 보통 자전거의 수 십배가 넘는 고가의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전거를 레져용이 아닌 통학용이나 출퇴근용으로 활용할 경우 자전거의 도난에 대해서는 민감하지 않을 수 없다.
때문에 학교나 도로변 등에는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는 자전거 거치대를 마련하여 자전거를 보다 안전하고 외관상으로도 깜끔하게 정리하고자 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자전거가 외부에 노출되어 손상이 될 우려가 있어, 비교적 고가의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의 경우 안심하고 일반 자전거 거치대에 자전거를 보관하는 것을 기피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러한 거치대에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한 잠금장치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비교적 쉽게 커터로 절단이 되어 도난의 우려가 많으며, 특히 최근에 고급형 자전거의 경우 퀵레버의 형태로 별도의 공구없이 레버만 당겨서 돌리면 바퀴가 분해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앞바퀴를 제외하고 고가의 부분만 분리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도난 우려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량의 자전거를 좁은 공간에 효과적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자전거의 보관과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자전거 주차타워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전거가 주차되는 원통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주차타워와 상기 주차타워에 자전거를 입출고 하기 위하여 내부에 자전거를 수직으로 승하강 시키는 리프트가 장착되는 승하강부로 구성되는 자전거 주차타워에 있어서;
상기 주차타워의 중심에는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입설되는 회전기둥과;
상기 회전기둥의 하부에 인접하여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기둥을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기둥에 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원형판넬과, 자전거의 바퀴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원형판넬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주차레일과, 상기 주차레일의 내측에 장착되어 자전거의 후방 바퀴를 지지하여 설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봉으로 이루어지는 자전거 보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자전거 보관부의 주차레일은 자전거가 뒷바퀴부터 레일을 따라 주차되고, 외측은 인접한 주차레일에 주차된 자전거의 핸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회전기둥의 하단에 인접하여 원판의 형상으로 장착되어 그 외측단에는 기어이가 형성되는 제1 베벨기어와, 상기 모터의 축과 연결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베벨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기둥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그 상단은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축 삽입홀과 상기 축 삽입홀의 상부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베어링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기둥의 상부에 삽입 고정되는 하우징과, 주차타워의 상단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축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1 고정축과, 상기 베어링 삽입홈에 삽입되는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회전기둥의 하단은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기둥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고정축과, 상기 회전기둥의 하단에 인접하여 원판의 형상으로 장착되어 그 외측단에는 기어이가 형성되는 제1 베벨기어와, 상기 고정축의 주위로 접선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로울러가 상기 제1 베벨기어의 저면과 밀착하여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지지플렌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기둥에는 제1 베벨기어의 상부로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로울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베벨기어에는 상기 로울러 삽입홀과 소폭 이격된 곳까지 연장되는 브라켓이 장착되어 상기 제1 브라켓에 장착된 로울러가 상기 로울러 삽입홀을 통하여 제2 고정축에 밀착 회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상 또는 지하에 형성된 원통형의 공간에서 중앙의 회전하는 회전기둥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와 비교해서 적은 공간에 더 많은 자전거를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타워와 연결된 승하강 리프트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에 자전거를 용이하게 보관하고 또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기둥 상부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기둥 하부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본원의 자전거 주차타워의 경우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한 원통형의 주차타워(1)와, 상기 주차타워(1)의 일측에 형성되어 하부에는 출입도어(22)가 형성되어 있는 승하강부(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주차타워(1)의 경우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지상에 설치될 수도 있고, 지하 또는 지상과 지하에 걸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설치될 장소와 미관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단면도로서, 자전거(3)가 주차되는 원통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주차타워(1)와 상기 주차타워(1)에 자전거(3)를 입출고 하기 위하여 내부에 자전거를 수직으로 승하강 시키는 리프트(21)가 장착되는 승하강부(2)로 구성되는 자전거 주차타워에 있어서;
상기 주차타워(1)의 중심에는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입설되는 회전기둥(4)과;
상기 회전기둥(4)의 하부에 인접하여 모터(51)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기둥(4)을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5)와;
상기 회전기둥(4)에 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원형판넬(61)과, 자전거(3)의 바퀴(31)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원형판넬(61)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주차레일(62)과, 상기 주차레일(62)의 내측에 장착되어 자전거(3)의 후방 바퀴(31)를 지지하여 설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봉(63)으로 이루어지는 자전거 보관부(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를 나타내었다.
일본에서는 이미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기출원된 기술에는 원통형의 공간에 수개 층으로 나뉘어져 자전거를 보관할 수 있는 기술이 이미 공지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공지된 기술은 원통형의 공간 중앙은 비어 있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자전거를 보관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리프트는 원통형의 공간 중앙에 형성되어 외관상으로는 단순한 원통형의 시설물이기에 심플한 감은 있으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앙에 회전기둥(4)을 중심으로 여러 층으로 구분되는 자전거 보관부(6)를 두어 자전거(3)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승하강부(2)는 주차타워(1)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하여 주차타워(1)의 내부로 들어가야하는 불편함과 이에 따른 도난 우려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승하강부(2)에는 출입도어(22)를 형성하여 이를 통하여 자전거를 입출고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실시 예이며 사용자가 출입도어를 통하여 직접 들어갈 필요없이 상기 리프트(21)는 수평이동기능을 추가로 하여 출입도어(22)가 열리면서 리프트(21)가 외부로 나와 사용자가 자전거를 리프트에 싣거나 또는 리프트(21)와 함께 나온 자전거를 꺼낼 수 있도록 하면 보다 그 사용이 편리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추가적인 실시 예로 상기 자전거 보관부(6)의 주차레일(62)은 자전거(3)가 뒷바퀴부터 레일을 따라 주차되고, 외측은 인접한 주차레일(62)에 주차된 자전거(3)의 핸들(32)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자전거는 일반 자전거에서 싸이클, 산악용자전거 등 갈수록 그 종류가 다양해져 있기 때문에 자전거 주차타워를 자동화 시스템으로 하기 위해서는 가장 효율적으로 주차를 하여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든 자전거(3)가 앞부분에 핸들(32)이 있어 후방보다 폭이 증가한다는 것을 주차공간에 활용하여 보다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한 것으로 본원의 경우 종래 주차타워와 비교하면 원기둥 형태의 주차타워(1)의 직경이 대폭 줄어드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기둥 상부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기둥 하부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구동부(5)는 회전기둥(4)의 하단에 인접하여 원판의 형상으로 장착되어 그 외측단에는 기어이가 형성되는 제1 베벨기어(52)와, 상기 모터(51)의 축과 연결되는 감속기(53)와, 상기 감속기(53)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베벨기어(52)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베벨기어(54)로 구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힘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하여 제1 베벨기어(52)는 그 외경이 클수록 상기 회전기둥(4)이 안정적이고 천천히 회전하게 되며 모터(51)의 출력도 상대적으로 적은 출력으로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형성한 실시 예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기둥(4)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그 상단은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축 삽입홀(411)과 상기 축 삽입홀(411)의 상부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베어링 삽입홈(41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기둥(4)의 상부에 삽입 고정되는 하우징(41)과, 주차타워(1)의 상단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축 삽입홀(411)에 삽입되는 제1 고정축(42)과, 상기 베어링 삽입홈(412)에 삽입되는 베어링(4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회전기둥(4)의 하단은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기둥(4)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고정축(44)과, 상기 회전기둥(4)의 하단에 인접하여 원판의 형상으로 장착되어 그 외측단에는 기어이가 형성되는 제1 베벨기어(52)와, 상기 제2 고정축(44)의 주위로 접선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로울러(45)가 상기 제1 베벨기어(52)의 저면과 밀착하여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지지플렌지(46)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실시 예와;
상기 회전기둥(4)에는 제1 베벨기어(52)의 상부로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로울러 삽입홀(47)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베벨기어(52)에는 상기 로울러 삽입홀(47)과 소폭 이격된 곳까지 연장되는 브라켓(48)이 장착되어 상기 브라켓(48)에 장착된 로울러(49)가 상기 로울러 삽입홀(47)을 통하여 제2 고정축(44)에 밀착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회전기둥(4)이 회전하는데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대한 줄여 적은 힘으로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회전기둥(4)과 자전거 구동부(6) 및 주차된 자전거(3)에 의한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면서도 회전기둥(4)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 : 주차타워
2 : 승하강부
21 : 리프트 22 : 출입도어
3 : 자전거
31 : 바퀴 22 : 핸들
4 : 회전기둥
41 : 하우징 411 : 축 삽입홀
412 : 베어링 삽입홈 42 : 제1 고정축
43 : 베어링 44 : 제2 고정축
45 : 로울러 46 : 지지플렌지
47 : 로울러 삽입홀 48 : 브라켓
49 : 로울러
5 : 구동부
51 : 모터 52 : 제2 베벨기어
53 : 감속기 54 : 제2 베벨기어
6 : 자전거 보관부
61 : 원형판넬 62 : 주차레일
63 : 가이드봉

Claims (5)

  1. 자전거(3)가 주차되는 원통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주차타워(1)와 상기 주차타워(1)에 자전거(3)를 입출고 하기 위하여 내부에 자전거를 수직으로 승하강 시키는 리프트(21)가 장착되는 승하강부(2)로 구성되는 자전거 주차타워에 있어서;
    상기 주차타워(1)의 중심에는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입설되는 회전기둥(4)과;
    상기 회전기둥(4)의 하부에 인접하여 모터(51)의 구동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기둥(4)을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5)와;
    상기 회전기둥(4)에 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는 원형판넬(61)과, 자전거(3)의 바퀴(31)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원형판넬(61)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주차레일(62)과, 상기 주차레일(62)의 내측에 장착되어 자전거(3)의 후방 바퀴(31)를 지지하여 설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봉(63)으로 이루어지는 자전거 보관부(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보관부(6)의 주차레일(62)은 자전거(3)가 뒷바퀴부터 레일을 따라 주차되고, 외측은 인접한 주차레일(62)에 주차된 자전거(3)의 핸들(32)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5)는 회전기둥(4)의 하단에 인접하여 원판의 형상으로 장착되어 그 외측단에는 기어이가 형성되는 제1 베벨기어(52)와, 상기 모터(51)의 축과 연결되는 감속기(53)와, 상기 감속기(53)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베벨기어(52)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베벨기어(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둥(4)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그 상단은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된 축 삽입홀(411)과 상기 축 삽입홀(411)의 상부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베어링 삽입홈(41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기둥(4)의 상부에 삽입 고정되는 하우징(41)과, 주차타워(1)의 상단 중앙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축 삽입홀(411)에 삽입되는 제1 고정축(42)과, 상기 베어링 삽입홈(412)에 삽입되는 베어링(4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회전기둥(4)의 하단은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기둥(4)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고정축(44)과, 상기 회전기둥(4)의 하단에 인접하여 원판의 형상으로 장착되어 그 외측단에는 기어이가 형성되는 제1 베벨기어(52)와, 상기 제2 고정축(44)의 주위로 접선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로울러(45)가 상기 제1 베벨기어(52)의 저면과 밀착하여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지지플렌지(46)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둥(4)에는 제1 베벨기어(52)의 상부로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된 로울러 삽입홀(47)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베벨기어(52)에는 상기 로울러 삽입홀(47)과 소폭 이격된 곳까지 연장되는 브라켓(48)이 장착되어 상기 브라켓(48)에 장착된 로울러(49)가 상기 로울러 삽입홀(47)을 통하여 제2 고정축(44)에 밀착 회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주차타워.
KR1020100014234A 2010-02-17 2010-02-17 자전거 주차타워 Abandoned KR20110094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234A KR20110094680A (ko) 2010-02-17 2010-02-17 자전거 주차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234A KR20110094680A (ko) 2010-02-17 2010-02-17 자전거 주차타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680A true KR20110094680A (ko) 2011-08-24

Family

ID=44930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234A Abandoned KR20110094680A (ko) 2010-02-17 2010-02-17 자전거 주차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46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7875A (zh) * 2017-07-30 2017-09-29 江西理工大学 一种自行车立体停放系统
CN109826474A (zh) * 2019-03-18 2019-05-31 洛阳理工学院 一种平台分体环绕升降式的共享单车半地表立体车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7875A (zh) * 2017-07-30 2017-09-29 江西理工大学 一种自行车立体停放系统
CN109826474A (zh) * 2019-03-18 2019-05-31 洛阳理工学院 一种平台分体环绕升降式的共享单车半地表立体车库
CN109826474B (zh) * 2019-03-18 2023-09-19 洛阳理工学院 一种平台分体环绕升降式的共享单车半地表立体车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7413B1 (ko) 자전거 수직 보관대
WO2014184817A1 (en) Bicycle parking structure
CN1095019C (zh) 自行车车库
KR20130035303A (ko) 자전거 주차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94680A (ko) 자전거 주차타워
CN102661069A (zh) 地下自行车车库转台
KR101111243B1 (ko) 자전거 주차타워
KR101436401B1 (ko) 자전거 주차타워
CN200967510Y (zh) 多功能机械立式自行车存放装置
KR101123083B1 (ko) 카트리지형 자전거 보관대
KR101354612B1 (ko) 핸들바아 회전형 슬라이드식 자전거 주차랙
RU151713U1 (ru) Велогараж
KR101020092B1 (ko) 자전거 주차장치
KR101288702B1 (ko) 다단 주차 시스템
CN214273109U (zh) 一种便捷改道旋转式车库
CN210973719U (zh) 一种自动爬升行走小车及爬升组件
KR101257219B1 (ko) 주차금지 표시장치
CN215752750U (zh) 一种角度可调式摩托车龙头锁定装置
KR101062729B1 (ko) 자전거 거치대
CN108149987B (zh) 旋转式立体停车装置
CN210976778U (zh) 一种双层停车位
KR20100113311A (ko) 복층식 자전거 주차대
CN207406066U (zh) 停车架及自行车立体停车系统
KR101089166B1 (ko) 회전베어링을 갖는 자전거 거치대
CN1600626A (zh) 一种自行车停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9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