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590A - Vault Door Opens Inside - Google Patents
Vault Door Opens Insid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92590A KR20110092590A KR1020100012085A KR20100012085A KR20110092590A KR 20110092590 A KR20110092590 A KR 20110092590A KR 1020100012085 A KR1020100012085 A KR 1020100012085A KR 20100012085 A KR20100012085 A KR 20100012085A KR 20110092590 A KR20110092590 A KR 201100925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tch
- door
- link assembly
- link
- m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6—Clos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4—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with inner rigid member and outer cover or cov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구성은 외체를 이루고 있는 문틀프레임; 상기 문틀프레임의 내측에 옆으로 밀어서 여닫도록 설치되는 문짝판; 상기 문짝판을 고정 또는 해방하는 빗장수단; 상기 빗장수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빗장링크 조립체;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개폐손잡이; 잠금 시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잠금수단; 상기 잠금수단이 온된 때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가 상기 잠금수단의 스토퍼에 걸려 상기 빗장수단을 해방위치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걸쇠뭉치;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를 이동시킬 때 상기 걸쇠뭉치가 상기 스토퍼와 걸리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작동링크; 및 상기 작동링크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내부개방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작하는 내부개방 손잡이에서 잠금수단과 함께 잠금을 이루는 걸림뭉치에 이르는 과정이 짧고, 관여하는 부품이 적기 때문에 오작동의 소지가 적고 따라서 내부개방의 작동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한편, 수리나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 수요도 줄일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 door that can be opened inside,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door frame frame forming an outer body; A door plate installed to open and close by sliding to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frame; A latch means for fixing or releasing the door plate; A latch link assembly for moving the latch means up and down; An opening and closing handle configured to move the latch link assembly; Locking means adapted to prevent movement of the latch link assembly upon locking; A latch bundle preventing the latch link assembly from being caught by the stopper of the locking means when the locking means is turned on so that the latching means cannot move to the release position; An actuating link for moving the latch link assembly apart from the stopper without catching the latch link; And an inner opening handle configured to move the operation link.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of reaching the latching unit that locks together with the locking means in the inner opening handle operated by the user is short. Since there are few parts involved, there is less possibility of malfunction,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internal opening and reducing the demand for maintenance due to repair or replace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부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금고 또는 수장고 내부에 사람을 남겨 둔 채로 잠금수단을 온시켜 바깥쪽에서 금고문 또는 수장고 문을 잠금한 경우 안쪽에 갇힌 사람이 내부개방 손잡이를 이용해 손쉽게 잠금을 해제하고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한 내부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 door that can be opened inside, more specifically, a person trapped inside to lock the safe door or storage door from the outside by turning on the locking means while leaving a person inside the large safe or storage It's about a vault door that can be opened inside so that it can be easily unlocked and pulled out using the opening handle.
일반적으로, 대형금고 또는 수장고는 금고비 또는 수장고비라고도 하며, 은행이나 박물관 등에서 각종 금품 또는 문화재 등을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이들 금고는 대형이므로 사용자가 내부로 직접 출입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바, 사용 부주의로 금고 내부에 사용자를 남겨 둔 채로 외부에서 금고문을 폐쇄하고, 잠금장치를 가동시키는 경우 내부에 남은 사용자는 자력으로 금고를 빠져나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Generally, a large safe or a storage bin is also called a safe or a storage bin, and is used to store various kinds of money or cultural assets in banks and museums. Since these safes are large, the user is allowed to enter and exit the inside of the bar. In case of inadvertent use, the safe door is closed while the user is left inside the safe and the lock is activated.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get out of the saf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전에는 금고문을 금고 내에서 개방할 수 있도록 내부개방 핸들을 구비한 금고문이 제안된 바 있다. 이 금고문은 도 1 및 도 2에 도면부호 2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개방용 손잡이(203)가 배면 일측에 설치되고, 그 선단에 랙기어(205)와 피니언기어(207)가 구비되며, 피니언기어(207)와 일체로 원추형 작동구(20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추형 작동구(209) 상측에 잠금작동간(211)과 중간작동간(213)이 설치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vault door having an internal opening handle has been proposed to open the vault door in the vault. 1 and 2, the vault door has an
따라서, 금고 내부에 갇힌 사용자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고문(201)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내부개방용 손잡이(203)를 잡아당겨 원추형 작동구(209)에 의해 잠금작동간(211)을 들어 올림과 동시에, 피니언기어(207)가 랙기어(205)와 맞물림되게 한다. Therefore, the user trapped inside the vault pulls the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상태에서 잠금작동간(211)이 들어 올려짐으로써 다이얼박스(215)와 키박스(217)에 의한 잠금이 해제되고, 계속해서 내부개방용 손잡이(203)를 회전시킴으로써 메인잠금장치(21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내부개방식 금고문(201)은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내부개방용 손잡이(203)로부터 잠금봉(219)이 해제되기까지의 과정이 길고, 복잡하며, 이 과정에 관여하는 부품이 많고, 크기 때문에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고, 제작이나 유지관리가 까다로우며, 따라서 제작단가는 물론 A/S나 유지관리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internal open typ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내부개방식 금고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금고문을 내부에서 개방할 수 있도록 하되, 내부개방에 관여하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고, 내부개방조작에서 실제 내부개방이 실현되는 과정을 단축시킴으로써 내부개방 구조의 작동신뢰성을 높이고, 유지관리 수요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조작의 편리성까지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internal open type safe door as described above, to allow the safe door to be opened from the inside, to minimize the number of parts involved in the internal opening, in the internal open oper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orten the process of actual internal opening and to increase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internal opening structure, reduce the demand for maintenance, and at the same time, facilitate the operation.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체를 이루고 있는 문틀프레임; 상기 문틀프레임의 내측에 옆으로 밀어서 여닫도록 설치되는 문짝판; 상기 문짝판의 배면 일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일단의 빗장이 상기 문틀프레임 내측면의 빗장구멍에 삽탈되어 상기 문짝판을 고정 또는 해방하는 빗장수단; 상기 빗장수단의 타단에 연결되되, 상기 빗장수단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문짝판의 배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빗장링크 조립체;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문짝판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해 장착되어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개폐손잡이;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에 인접하며 상기 문짝판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해 장착되어 잠금 시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잠금수단; 상기 잠금수단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잠금수단이 온된 때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가 상기 잠금수단의 스토퍼에 걸려 상기 빗장수단을 해방위치로 이동하지 못하게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걸쇠뭉치; 상기 걸쇠뭉치와 결합되도록 상기 문짝판의 배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걸쇠뭉치를 통해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를 빗장수단 해방위치까지 이동시키되,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를 이동시킬 때 상기 걸쇠뭉치가 상기 스토퍼와 걸리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작동링크; 및 상기 문짝판의 후방을 감싸고 있는 배판의 후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문짝판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링크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내부개방 손잡이;로 이루어지는 내부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oor frame frame forming an outer body; A door plate installed to open and close by sliding to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frame; Mounting means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on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plate, the latch unit of the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bolt hol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frame frame to fix or release the door plate; A latch link assem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atch means, the latch link assembly being movably mounted to a rear surface of the door to move the latch means up and down; An opening and closing handle coupled to one side of the latch link assembly and mounted to penetrate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to move the latch link assembly; A locking means adjacent to the latch link assembly and mounted through a front surface of the door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latch link assembly upon locking; Mounted relative to the locking link assembly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cking means to prevent the latch link assembly from being caught by the stopper of the locking means to prevent the locking means from moving to the release position when the locking means is turned on. Clasp; The latch plate is movab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to engage with the clasp, and moves the clasp link assembly to the release means through the clasp, wherein the clasp is connected to the stopper when the clasp link assembly is moved. An actuating link to be spaced apart without being caught; And an internal opening handle mounted on the door plate to move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plate surrounding the rear of the door plate to move the operation link.
또한, 상기 작동링크는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나란하게 배열되어 상기 내부개방 손잡이에 의해 직선 이동할 때 상기 걸쇠뭉치를 통해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를 직선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ctuating link is preferably arranged side by side to mov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atch link assembly so as to linearly move the latch link assembly through the clasp when moved linearly by the inner opening handle.
또한, 상기 작동링크는 복귀방향 쪽 한 변이 복귀방향 쪽으로 경사져 올라간 빗면으로 되어 있는 슬롯이 일측에 관통되고, 상기 걸쇠뭉치는 상기 슬롯에 삽입되도록 수압봉이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작동링크가 작동될 때 상기 빗면에 의해 상기 수압봉을 상기 잠금수단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걸쇠뭉치가 상기 스토퍼에 의한 걸림상태에서 벗어나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를 빗장수단 해방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ctuating link has a slot having a comb surface in which one side of the actuating direction is inclined toward the actuating direction penetrates to one side, and the latch is protruded to one sid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lot so that the actuating link is operated. When the pressure bar is push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locking means by the comb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clasp bundle is to be able to move the latch link assembly to the release means release position from the locking state by the stopper. Do.
본 발명의 내부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에 의하면, 내부개방 손잡이에 직결된 랙과 피니언을 통해 작동링크를 동작시키고, 이 작동링크는 또한 잠금을 이루는 걸림뭉치를 직접적으로 동작시켜 잠금수단과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바, 사용자가 조작하는 내부개방 손잡이에서 잠금수단과 함께 잠금을 이루는 걸림뭉치에 이르는 과정이 짧고, 관여하는 부품이 적기 때문에 그만큼 오작동의 소지가 적고 따라서 내부개방의 작동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한편, 수리나 교체에 따른 유지관리 수요도 줄일 수 있게 되며, 부품수가 줄어든 만큼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afe opening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link is operated through a rack and pinion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nal opening handle, and the operation link is also operated directly by a latch which forms a lock to lock the locking means. It is designed to release the bar, so the process from the user's internal handle to the locking unit together with the locking means is short, and there are few parts involved, so there is less possibility of malfunction and thus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internal opening can be improved.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demand due to repair or replacement,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s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뿐만 아니라, 금고 내부에서의 잠금 해제동작과 잠금이 해제된 이후 금고문을 개방하는 동작을 내부개방 손잡이에 의해 일거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내부개방 조작에 따른 사용 편리성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unlocking the inside of the safe and the operation of opening the safe door after the lock is released can be performed at once by the internal opening handle, the convenience of use according to the internal opening operation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도 1은 종래의 내부개방식 금고문을 도시한 부분 종단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을 내부에서 연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작동링크 주위를 상세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걸쇠뭉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이 잠금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Figure 1 is a partial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terior open type safe door.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door openab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opened.
4 is a front view of FIG. 3.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around the operation link shown in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clasp shown in FIG.
Figure 7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fe door can be opened in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afe door that is internally o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k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afe door that can be opened insi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내부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은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문틀프레임(3), 문짝판(5), 빗장수단(7), 빗장링크 조립체(9), 개폐손잡이(11), 잠금수단(13), 걸쇠뭉치(15), 작동링크(17), 및 내부개방 손잡이(19)로 이루어진다.3, the
여기에서, 먼저 상기 문틀프레임(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고문(1)의 외체를 이루는 직사각형의 프레임체로서, 문짝판(5)을 미닫이식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문짝판(5)의 약 2배가 되도록 좌우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하면에 문짝판(5)의 이동수단인 바퀴(35)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37)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과 하면의 일측 즉, 도면 상 우측 끝부분에 빗장수단(7) 상단 또는 하단의 빗장(21)이 삽탈되는 한 쌍의 빗장구멍(23)이 서로 마주보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다. Here, the
상기 문짝판(5)은 금고문(1)의 몸체로서 중량의 후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장착된 개폐손잡이(11)를 잡고, 문틀프레임(3) 안쪽에서 좌우로 밀거나 당겨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문짝판(5)은 하단에 좌우 한 쌍의 바퀴(35)가 장착되어 있고, 중간 부분에 개폐손잡이(11)와 복수의 잠금수단(13)을 은폐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수납홈(36)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홈(36) 위에는 내부에 수납된 개폐손잡이(11) 등을 은폐하기 위한 덮개판(38)이 미닫이 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door plate (5) consists of a heavy plate as a body of the vault door (1), as shown in Figures 3 and 4, holding the opening and
상기 빗장수단(7)은 문짝판(5)을 잠금/해제하는 하나의 링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또는 하단에는 원기둥 형태의 빗장(21)이 돌출되어 있고, 그 반대쪽 끝에는 빗장링크 조립체(9)가 핀(39)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문틀프레임(3) 상하부의 빗장구멍(23)으로 삽입되어 문짝판(5)을 고정하여 금고문(1)을 잠그거나 반대로 빗장구멍(23)에서 빠져나와 문짝판(5)을 해방함으로써 금고문(1)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빗장수단(7)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판(5)의 배면 일측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문짝판(5)이 닫힌 상태에서 문틀프레임(3)과 맞닿는 측벽면과 가까운 세로변에 빗장링크 조립체(9)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수직방향의 상하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핀(39)과 인접한 부위에 안내슬롯(41)이 절결되어 있고, 이 안내슬롯(41)에는 고정볼트(43)가 끼워져 있다. The latch means 7 is a link to lock / unlock the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9)는 개폐손잡이(11)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면서 일단에 연결된 한 쌍의 빗장수단(7)을 위아래로 짧게 승강시키는 수단으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푸시링크체(45)와 상하 한 쌍의 크랭크(47)로 이루어지는 바, 먼저 푸시링크체(45)는 도시된 것처럼 상하단 두 개의 링크(51,52)를 갖도록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두 링크(51,52)의 양단 등 적절한 위치에 장착 및 좌우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슬롯(53)이 절결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슬롯(53)에는 푸시링크체(45)를 문짝판(5) 배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하는 고정볼트(55)가 결합되어 있다. The
또한, 푸시링크체(45)는 하부링크(52)의 배면 일측에 랙기어(49)가 부착되는 바, 이 랙기어(49)가 개폐손잡이(11)의 후단에 연결된 피니언기어(61)와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개폐손잡이(11)를 회동시킬 때 정역회전하는 피니언기어(61)에 의해 랙기어(49)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푸시링크체(45)의 우측단 즉, 하부 링크(52)의 선단에는 상하 한 쌍의 크랭크(47)가 핀(57)에 의해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링크(51)에는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된 것처럼 걸쇠뭉치(15)가 상하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한 쌍의 크랭크(47)는 푸시링크체(45)의 좌우 수평이동을 빗장수단(7)의 상하 수직이동으로 바꾸어 주는 매개수단으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로 꺾여 있으며, 일단이 핀(57)을 통해 푸시링크체(45)의 하부링크(52) 선단에 피벗식으로 연결될 뿐 아니라, 중간의 절곡지점에 힌지축 역할을 하는 핀(59)이 결합되어 크랭크(47)가 이 핀(59)을 중심으로 피벗 회전 가능한 상태로 문짝판(5)에 힌지 결합되도록 한다. 반면, 크랭크(47)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단이 핀(39)을 통해 빗장수단(7)의 하단 또는 상단에 각각 피벗식으로 연결됨으로써, 빗장링크 조립체(9)에 의해 가압되어 서로 벌어질 때 빗장수단(7)을 위 또는 아래로 각각 이동시켜 빗장수단(7) 선단의 빗장(21)이 각각의 빗장구멍(23)에 삽입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상기 개폐손잡이(11)는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금고문(1)의 전면에장착되어 빗장링크 조립체(9)를 수평이동시킴으로써 빗장수단(7)을 통해 금고문(1)을 잠금/해제하는 수단으로서,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금고문(1)을 수동으로 밀어 움직일 때 파지할 수 있는 파지수단의 역할도 겸하도록 되어 있는 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문짝판(5) 전면의 수납홈(36) 안에 설치되어 그 회전축(미도시)이 문짝판(5)을 관통해 배면으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위 회전축의 후단에는 푸시링크체(45)의 랙기어(49)와 맞물림되는 피니언기어(61)가 부착되어 개폐손잡이(11)를 회동시키는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빗장링크 조립체(9)가 좌우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opening and
상기 잠금수단(13)은 금고문(1)이 잠금상태인 때 하기의 걸쇠뭉치(15)를 통해 빗장링크 조립체(9)의 수평이동을 저지함으로써 금고문(1)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시건장치로서, 개폐손잡이(11)와 마찬가지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판(5) 전면의 수납홈(36) 안에 예컨대 다이얼(63)이 설치되어 있고, 그 반대쪽 즉, 문짝판(5) 배면에는 다이얼(63)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되는 다이얼패드(65)가 장착되어 있는데, 이 다이얼패드(65)는 온된 상태에서 상면으로부터 스토퍼(25)가 돌출되며, 오프 상태에서는 돌출된 스토퍼(25)가 원래의 위치 즉, 다이얼패드(65) 내부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잠금수단(13)은 도 3에 2개가 사용되고 있는 것처럼, 잠금 보안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하나 이상 수개를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locking means 13 prevent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상기 걸쇠뭉치(15)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빗장링크 조립체(9)가 잠금수단(13)에 걸려 금고문(1)의 잠금이 해제되지 못하게 하는 일종의 고리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수단(13)의 위쪽에 인접 위치하도록 푸시링크체(45)의 상부링크(51) 안쪽에 상하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바, 잠금수단(13)이 온된 때 빗장링크 조립체(9)가 잠금수단(13)의 스토퍼(25)에 걸려 빗장수단(7)을 해방위치로 이동하지 못하게 저지하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부싱(67), 걸쇠(69), 걸쇠앵글(71), 및 수압봉(33)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여기에서, 상기 부싱(67)은 도 6에 상세 도시된 것처럼 푸시링크체(45)의 상부링크(51) 내측면에 용접 등에 의해서 수직하게 부착되는 바, 사용되는 잠금수단(13)과 동일한 수만큼 사용되며, 위쪽에서 끼워지는 걸쇠(69)를 수직방향으로 미끄럼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걸쇠(69)는 상기한 것처럼 부싱(67)에 끼워져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잠금수단(13)이 온된 때 다이얼패드(65)의 상면으로 돌출된 스토퍼(25)에 걸려 빗장링크 조립체(9)가 좌측으로 수평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반면, 상부링크(51)에 대해서는 부싱(67)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걸쇠앵글(71)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69)의 상단에 연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바, 걸쇠(69)가 부싱(67)에서 빠지지 못하게 하며, 수압봉(33)에 가해지는 힘을 걸쇠(69)로 매개하여 걸쇠(69)가 잠금수단(13) 즉, 스토퍼(25)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끝으로, 상기 수압봉(33)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걸쇠앵글(71)의 수직면에 돌출되어 작동링크(17)의 슬롯(31)에 끼워짐으로써 작동링크(17)가 내부개방 손잡이(19)에 의해 좌측으로 수평이동할 때 빗면(29)에 의해 위로 들려 걸쇠앵글(71)을 통해 걸쇠(69)를 들어 올리도록 되어 있다. Here, the
상기 작동링크(17)는 걸쇠뭉치(15)를 좌측으로 밀면서 동시에 들어 올림으로써 잠금 상태인 금고문(1)의 잠금상태를 금고 안쪽에서도 해제할 수 있도록 해주는 부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z자 형태로 되어 있으나 직선이나 평판 형태로 될 수 있으며, 내부개방 손잡이(19)에 의해 직접적으로 동작되어 높이 변화 없이 수평하게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변 일측에 랙기어(73)가 부착되어 있고, z자 하변에 해당하는 몸체 하단부에 장착 및 좌우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슬롯(75)이 절결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슬롯(75)에는 작동링크(17)를 문짝판(5) 배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하기 위한 고정볼트(76)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링크(17)는 빗장링크 조립체(9)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나란하게 배열되어 내부개방 손잡이(19)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때 걸쇠뭉치(15)를 승강시킴면서 동시에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9)를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킨다.The
작동링크(17)는 특히, z자 상변에 해당하는 몸체 상단부에 슬롯(31)이 관통되어 있는 바, 이 슬롯(31)은 좌우로 길게 형성되면서 작동링크(17)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복귀방향 쪽으로 즉, 우측으로 경사져 올라간 빗면(29)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링크(17)는 작동할 때 즉, 우측으로 이동할 때 빗면(29)에 의해 걸쇠뭉치(15)의 수압봉(33)을 잠금수단(13)과 멀어지도록 이격되는 방향 즉, 위쪽으로 가압함으로써, 걸쇠뭉치(15)가 스토퍼(25)에 의한 걸림상태에서 벗어나도록 하며, 이에 따라 빗장링크 조립체(9)를 빗장수단 해방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
상기 내부개방 손잡이(19)는 위와 같은 작동링크(17)를 금고문(1) 안쪽에 갇힌 사람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판(5)의 후방을 감싸고 있는 배판(27)의 후면으로 노출되도록 문짝판(5)에 장착되는 바, 내부개방 손잡이(19) 선단에 연결된 피니언기어(77)가 랙기어(73)와 맞물림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동될 때 피니언기어(77)에 의해 랙기어(73) 및 작동링크(17)를 동시에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한편, 문짝판(5) 배면 하부에는 문짝판(5)을 반자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전동부(101)가 설치되는 바, 이 전동부(101)는 크게 조작손잡이(103), 전동링크 조립체(105), 모터 브래킷(107), 구동모터(109), 및 가동기어쌍(110,111)으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of the leaf plate (5) is provided with a
여기에서, 상기 조작손잡이(10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판(5)의 수납홈(36)에 개폐손잡이(11)와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 후단이 문짝판(5)을 관통하여 문짝판(5) 배면으로 노출되며, 이 후단에는 피니언기어(113)가 부착된다. Here, the operation handle 103 is installed to be adjacent to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11 in the receiving
상기 전동링크 조립체(10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손잡이(103)에 가해진 조작력을 모터 브래킷(107)까지 전달하여 구동모터(109)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바, 도시된 것처럼 작동링크(117), 크랭크(119), 및 가압링크(121)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여기에서, 작동링크(117)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문짝판(5) 배면에 수직하게 장착되며, 피니언기어(113)와 맞물림되는 랙기어(115)가 상단에 부착된다. 또, ㄱ자 형태의 크랭크(119)는 절곡지점의 중앙에 체결되는 핀(123)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문짝판(5)에 결합되며, 일단이 작동링크(117)의 하단에, 타단이 가압링크(121)의 일측에 각각 핀결합된다. 또한, 가압링크(121)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문짝판(5) 배면에 수평하게 장착되는 바, 일측에 크랭크(119)가 핀결합되며, 하변 중간 부분에 오목홈(125)이 형성되어 있다.Here, the
상기 모터 브래킷(10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9)를 둘러싸면서 지지하고 있는 지지프레임(127), 이 지지프레임(127)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수압롤(129), 그리고 아래로 눌린 지지프레임(127)을 들어 올려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귀환링크체(131)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또한, 상기 가동기어쌍(110,111)은 모터(109)의 회전 구동력을 바퀴(35)로 전달하여 바퀴(35)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모터축에 장착된 구동베벨기어(110)와 바퀴(35)의 회전축에 장착된 종동베벨기어(111)를 한 쌍으로 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ovable gear pairs 110 and 111 transmit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끝으로, 미설명부호 133은 모터(109)의 온오프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Finally,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1)의 작용을 설명한다.Now, the operation of the inner door can be open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금고문에서 도 7의 상태는 금고문이 잠겨져 있지 않고 단순히 닫혀져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도 7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금고문을 잠그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개폐손잡이(11)를 잡고 도 7의 화살표(A) 방향으로 돌리면, 피니언기어(6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랙기어(49)를 통해 빗장링크 조립체(9)를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와 동시에 상하 한 쌍의 크랭크(47)도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선단이 상호 이격되어 사이 간격이 최대한 벌어지는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크랭크(47) 선단에 각각 연결된 빗장수단(7)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가며, 빗장수단(7)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된 빗장(21)도 대응하는 각각의 빗장구멍(23) 안에 삽입된다.In the saf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 of FIG. 7 is a state in which the safe door is not locked but is simply closed. In this state of FIG. 7,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lock the vault door, when the user grasps the opening / closing
이때 빗장링크 조립체(9)는 우사점에 이르게 되며, 이와 동시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장링크 조립체(9)의 상부링크(51)에 장착된 걸림뭉치(15)도 빗장링크 조립체(9)와 함께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이얼(63)을 돌려 잠금수단(13)을 온시키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스토퍼(25)가 돌출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걸쇠(69)가 스토퍼(25)에 걸리게 되므로, 빗장링크 조립체(9)는 더 이상 도면 상 좌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빗장수단(7)도 상하로 이동한 이격상태를 벗어날 수 없게 되므로, 금고문(1)은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그러나, 위와 같이 금고문(1)이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하더라도, 즉 금고 안에 사용자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금고문(1)이 위와 같이 잠금 상태가 되더라도, 사용자는 내부개방 손잡이(19)를 조작하여 쉽게 금고문(1)의 잠금을 풀고, 개방할 수 있게 된다.However, even if the
즉,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내부개방 손잡이(19)를 화살표(F)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피니언기어(7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랙기어(73)를 통해 작동링크(17)를 화살표(G)로 표시된 작동방향으로 이동시킨다. That is, when the
이와 같이, 작동링크(17)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슬롯(31)의 빗면(29)이 수압봉(33)을 밀어 올리게 되며, 이에 따라 걸쇠뭉치(15)의 걸쇠앵글(71)도 위로 상승한다. 곧이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압봉(33)이 빗면(29)의 상단에 걸리게 되면, 걸쇠앵글(71)은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대신에 좌측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걸쇠앵글(71)은 푸시링크체(45)와 함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걸쇠(69)는 걸쇠앵글(71)과 함께 상승한 상태이므로 위로 돌출된 잠금수단(13)의 스토퍼(25)를 피해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잠금수단(13)을 오프하지 않고도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빗장링크 조립체(9)를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빗장수단(7)을 풀고 금고문(1)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이 상태에서 내부개방 손잡이(19)의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여 좌측으로 당기면 빗장수단(7)이 풀린 문짝판(5)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비로소 사용자는 열린 금고문(1)을 통해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내부개방 손잡이(19)를 놓게 되면, 작동링크(17)는 인장스프링(79)의 복원력에 의해 우측으로 당겨지며, 이에 따라 걸쇠뭉치(15)도 하강하여 걸쇠(69)가 스토퍼(25) 일측에 살짝 걸리게 된다. 따라서, 걸림뭉치(15)가 좌사점에 있을 때 걸쇠(69)가 스토퍼(25) 좌측으로 넘어가 빗장링크 조립체(9)가 우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는 즉, 금고문(1)을 잠금할 수 없게 되는 오조작의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ile maintaining the posture of the
또한,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개폐손잡이(11)를 화살표(D) 방향으로 돌린 채 우측으로 잡아당기면 문짝판(5) 전체가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하여 문틀프레임(3)의 우단에 이르게 되며, 이렇게 해서 금고문(1)을 재차 폐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ure 3 by turning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1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and pulled to the right, the entire door plate (5)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to the right end of the door frame frame (3) In this way, the
한편, 금고문(1)은 수동개폐를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수압롤(129)이 오목홈(125) 안으로 삽입된 거리만큼 모터 브래킷(107)이 상승해 있으므로, 모터(109) 회전축에 직결되어 있는 구동베벨기어(110)와 바퀴(35)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종동베벨기어(111)가 단락되어 모터(109)에 의해 바퀴(35)를 구동시킬 수 없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afe door (1) when the manual opening and closing, as shown in Figure 3, since the
따라서, 금고문(1)을 반자동으로 개폐하고자 하는 때는 조작손잡이(103)를 도 3의 화살표(E)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피니언기어(113)와 랙기어(115)의 물림에 의해 작동링크(117)가 상승하면, 크랭크(11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링크(121)를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가압링크(121)는 하변에 의해 오목홈(125)과의 높이차만큼 수압롤(129)을 내리누르게 되며, 이에 따라 구동모터(109)가 하강하여 구동베벨기어(110)와 종동베벨기어(111)를 맞물림시킨다.Therefore,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그리고 나서, 제어부(133)에 연결된 스위치를 통해 모터(109)를 구동시키면 금고문(1)을 반자동으로 여닫을 수 있게 된다. 모터(109)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문틀프레임(3) 내측에 리미트 스위치가 장착된다.Then, when the
1 : 금고문 3 : 문틀프레임
5 : 문짝판 7 : 빗장수단
9 : 빗장링크조립체 11 : 개폐손잡이
13 : 잠금수단 15 : 걸쇠뭉치
17 : 작동링크 19 : 내부개방 손잡이
21 : 빗장 23 : 빗장구멍
25 : 스토퍼 27 : 배판
29 : 빗면 31 : 슬롯
33 : 수압봉 35 : 바퀴
45 : 푸시링크체 47 : 크랭크
49 : 랙기어 61 : 피니언기어
63 : 다이얼 65 : 다이얼패드
69 : 걸쇠 71 : 걸쇠앵글1: vault door 3: door frame
5: door 7: latch means
9: clasp linkage assembly 11: opening and closing handle
13: locking means 15: latch
17: operation link 19: internal opening handle
21: bar 23: bar
25: stopper 27: backboard
29: slope 31: slot
33: hydraulic rod 35: wheels
45: push link body 47: crank
49: rack gear 61: pinion gear
63: dial 65: dial pad
69: clasp 71: clasp angle
Claims (3)
상기 문틀프레임(3)의 내측에 옆으로 밀어서 여닫도록 설치되는 문짝판(5);
상기 문짝판(5)의 배면 일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일단의 빗장(21)이 상기 문틀프레임(3) 내측면의 빗장구멍(23)에 삽탈되어 상기 문짝판(5)을 고정 또는 해방하는 빗장수단(7);
상기 빗장수단(7)의 타단에 연결되되, 상기 빗장수단(7)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문짝판(5)의 배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빗장링크 조립체(9);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9)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문짝판(5)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해 장착되어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9)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개폐손잡이(11);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9)에 인접하며 상기 문짝판(5)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해 장착되어 잠금 시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9)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잠금수단(13);
상기 잠금수단(13)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9)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잠금수단(13)이 온된 때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9)가 상기 잠금수단(13)의 스토퍼(25)에 걸려 상기 빗장수단(7)을 해방위치로 이동하지 못하게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걸쇠뭉치(15);
상기 걸쇠뭉치(15)와 결합되도록 상기 문짝판(5)의 배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걸쇠뭉치(15)를 통해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9)를 빗장수단 해방위치까지 이동시키되,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9)를 이동시킬 때 상기 걸쇠뭉치(15)가 상기 스토퍼(25)와 걸리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작동링크(17); 및
상기 문짝판(5)의 후방을 감싸고 있는 배판(27)의 후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문짝판(5)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링크(17)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내부개방 손잡이(1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 A door frame frame 3 forming an outer body;
Door plate (5) which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o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frame (3);
It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on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plate 5, the one end of the latch 21 is inserted into the latch hole 23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frame frame 3 to open the door plate (5) Fixing means 7 for fixing or releasing;
A latch link assembly (9)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atch means (7) and movably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door (5) to move the latch means (7) up and down;
An opening and closing handle 11 coupled to one side of the latch link assembly 9 and mounted to penetrate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plate 5 so as to move the latch link assembly 9;
A locking means (13) adjacent to the latch link assembly (9) and mounted to penetrate from the front of the door (5) to the rear to prevent movement of the latch link assembly (9) when locked;
When the locking means 13 is turned on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to the latch link assembly 9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cking means 13, the latch link assembly 9 stops the stopper of the locking means 13. A latch bundle 15 to stop the latch means 7 from moving to the release position;
The clasp 15 is movab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plate 5 so as to be coupled to the clasp 15 to move the clasp link assembly 9 to the latching means release position through the clasp 15. An actuating link (17) to allow the latch bundle (15)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topper (25) when moving the assembly (9); And
An inner opening handle 19 mounted to the door plate 5 so as to be expos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plate 27 surrounding the rear of the door plate 5 to move the operation link 17; Safe doors that can be opened inside.
상기 작동링크(17)는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9)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나란하게 배열되어 상기 내부개방 손잡이(19)에 의해 직선 이동할 때 상기 걸쇠뭉치(15)를 통해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9)를 직선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ctuating link 17 is arranged side by side to mov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atch link assembly 9 so that the latch link assembly 9 passes through the clasp 15 when linearly moved by the inner opening knob 19. The door can be opened inside, characterized in that to move the straight line.
상기 작동링크(17)는 복귀방향 쪽 한 변이 복귀방향 쪽으로 경사져 올라간 빗면(29)으로 되어 있는 슬롯(31)이 일측에 관통되고, 상기 걸쇠뭉치(15)는 상기 슬롯(31)에 삽입되도록 수압봉(33)이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작동링크(17)가 작동될 때 상기 빗면(29)에 의해 상기 수압봉(33)을 상기 잠금수단(13)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걸쇠뭉치(15)가 상기 스토퍼(25)에 의한 걸림상태에서 벗어나 상기 빗장링크 조립체(9)를 빗장수단 해방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개방이 가능한 금고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ctuating link 17 has a slot 31, which is a comb surface 29 in which one side of the return direction is inclined upward, passes through one side thereof, and the latch 15 is inserted into the slot 31. The push bar 33 protrudes on one side, and when the actuating link 17 is operated, the pressure bar 33 presses the hydraulic bar 33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ocking means 13 by the inclined surface 29. The iron door (15) can be moved out of the locking state by the stopper (25) to move the latch link assembly (9) to the latching means release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 do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2085A KR101192549B1 (en) | 2010-02-09 | 2010-02-09 | Safe door being opened insid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2085A KR101192549B1 (en) | 2010-02-09 | 2010-02-09 | Safe door being opened insid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2590A true KR20110092590A (en) | 2011-08-18 |
KR101192549B1 KR101192549B1 (en) | 2012-10-17 |
Family
ID=4492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2085A Active KR101192549B1 (en) | 2010-02-09 | 2010-02-09 | Safe door being opened insid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254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67088A1 (en) * | 2014-04-29 | 2015-11-05 | 토안 기아 엔지니어링 매뉴팩추어링 앤드 트레이딩 서비스 코.,엘티디 | Fireproof safe manually opening/closing device, change of attachment position of manually opening/closing device,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exterior of fireproof safe doo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7480B1 (en) | 2000-09-09 | 2003-11-28 | 박동혁 | Opening and shutting device using safe door |
-
2010
- 2010-02-09 KR KR1020100012085A patent/KR101192549B1/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67088A1 (en) * | 2014-04-29 | 2015-11-05 | 토안 기아 엔지니어링 매뉴팩추어링 앤드 트레이딩 서비스 코.,엘티디 | Fireproof safe manually opening/closing device, change of attachment position of manually opening/closing device,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exterior of fireproof safe door |
KR20160102454A (en) * | 2014-04-29 | 2016-08-30 | 토안 기아 엔지니어링 매뉴팩추어링 앤드 트레이딩 서비스 코.,엘티디 | Fireproof Safe Manually Opening/Closing Device, Change of Attachment Position of Manually Opening/Closing Device,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Exterior of Fireproof Safe Door |
KR101869239B1 (en) * | 2014-04-29 | 2018-06-21 | 토안 기아 엔지니어링 매뉴팩추어링 앤드 트레이딩 서비스 코.,엘티디 | Fireproof Safe Manually Opening/Closing Device, Change of Attachment Position of Manually Opening/Closing Device,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Exterior of Fireproof Safe Do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92549B1 (en) | 2012-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29290B (en) | Multiple access door lock mechanism | |
KR100957102B1 (en) | Door latch mechanism for vehicle | |
KR101263446B1 (en) | Mortise door lock | |
AU2016287469B2 (en) | A load carrier comprising a lock arrangement | |
NO172553B (en) | DOERLAAS | |
DE19610346A1 (en) | Locking device | |
KR101075216B1 (en) | Safe door can be opened extraordinarily | |
KR101192549B1 (en) | Safe door being opened inside | |
KR20200099959A (en) | Latch bolt automatic unlocking type door lock mortise | |
KR101035121B1 (en) |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building using door closer | |
KR100823022B1 (en) | Lock and unlock device for sliding doors | |
KR101936332B1 (en) | Push Pull Door Lock | |
DE1678040A1 (en) | Lock for vehicle doors | |
EP2309093A1 (en) | Safety device for doors | |
KR101304840B1 (en) | Actuator for door locking apparatus and the door loc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KR101653784B1 (en) | Switch assembly for driving push-pull door lock | |
KR101398143B1 (en) | A door lock device | |
KR200456759Y1 (en) | Locks in drawer type fireproof cabinet | |
CN201810102U (en) | Safe capable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door | |
JP4509814B2 (en) | Garbage truck door lock device | |
KR100763820B1 (en) | Mortis Lock for Digital Door Lock | |
KR200473054Y1 (en) | Improved locking device for door | |
KR20200099948A (en) | Latch bolt automatic Retracting type door lock mortise | |
CN110939334B (en) | A two-way bolt automatic locking mechanism and a safe with the mechanism | |
KR102828106B1 (en) |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do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0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