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2201A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망 재진입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망 재진입 수행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92201A KR20110092201A KR1020100109519A KR20100109519A KR20110092201A KR 20110092201 A KR20110092201 A KR 20110092201A KR 1020100109519 A KR1020100109519 A KR 1020100109519A KR 20100109519 A KR20100109519 A KR 20100109519A KR 20110092201 A KR20110092201 A KR 201100922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ssage
- base station
- terminal
- network
- aai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기지국의 재시작(restart)에 따른 단말의 효율적인 망 재진입(Network Re-entry) 절차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망 재진입 수행 방법은, 기지국이 재시작할 때마다 값이 변경되는 재시작 카운트(restart count)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시작 카운트의 값을 이전에 저장된 기지국 카운트의 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두 카운트 값들이 상이한 경우 상기 단말의 연결 정보(context)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제 1 식별자 및 기지국 재시작에 의한 망 재진입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기지국의 재시작(restart)에 따른 단말의 효율적인 망 재진입(Network Re-entry) 절차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거나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ACK 또는 NACK)이 기지국으로 전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자원 보존 타이머(resource retain timer)를 트리거링하고 그 동안 단말의 연결 정보(context)를 저장하여 단말의 망 재진입(re-entry)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암시적(implicit)으로 제공되는데, 실제 이동 단말이 네트워크 영역(coverage)을 이탈했다고 기지국이 판단하는 시점 및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기지국은 불필요하게 단말의 연결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IEEE 802.16m 시스템에서는 이동 단말이 서빙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coverage)을 벗어 난 경우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동기(synchronization)가 어긋나게 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때문에 컨텍스트 보존 등록해제(DCR: Deregistration with Context Retention) 모드 및 영역 이탈 복구(Coverage loss recovery) 모드가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단말이 영역이탈(coverage loss) 여부를 탐지하여 망 재진입(network reentry)을 수행하거나 혹은 DCR 모드에서 망 재진입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레인징 요청(AAI_RNG-REQ) 메시지에 컨텍스트 보존 식별자(CRID: Context Retention Identifier)를 포함시켜 망 재진입 과정을 최적화(optimization) 하였다.
그런데, 심각한 요류(critical error)가 기지국에서 발생하거나 운용상의 필요에 따라 기지국이 재시작(ABS restart)될 수 있다. 기지국이 재시작하는 경우에도 단말의 연결정보가 기지국에서 사라질 수 있으므로, 단말이 기지국의 재시작 여부를 탐지하고, 그에 따른 단말의 망 재진입 절차를 최적화할 수 있는 절차가 정의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이 기지국의 재시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이 기지국의 재시작을 탐지한 경우, 효율적인 망 재진입 절차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망 재진입 수행 방법은, 기지국이 재시작할 때마다 값이 변경되는 재시작 카운트(restart count)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시작 카운트의 값을 이전에 저장된 기지국 카운트의 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두 카운트 값들이 상이한 경우 상기 단말의 연결 정보(context)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제 1 식별자 및 기지국 재시작에 의한 망 재진입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망 재진입에서 생략될 수 있는 절차를 지시하는 최적화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 레인징 코드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레인징 코드의 전송 결과를 포함하는 제 4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결과가 성공인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가 지시하는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메시지는 시스템 설정 기술자(AAI_SCD) 메시지이고,상기 제 2 메시지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_RNG-REQ) 메시지이며, 상기 제 3 메시지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AAI_RNG-RSP) 메시지이고, 상기 제 4 메시지는 레인징 긍정 응답 메시지(AAI_RNG-ACK) 메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 1 식별자는 컨텍스트 보존 식별자(CRID)이고, 상기 기지국 재시작에 의한 망 재진입을 지시하는 값은 0b1000이며, 상기 최적화 정보는 핸드오버 절차 최적화(HO Process Optimization) 필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재시작에 따라 기지국이 망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은, 기지국이 재시작하는 단계; 재시작 카운트(restart count)의 값을 증시키는 단계; 상기 증가된 재시작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방송하는 단계; 및 단말로부터 연결 정보(context)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제 1 식별자 및 기지국 재시작에 의한 망 재진입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의 연결 정보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개체에 상기 단말의 연결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개체로부터 상기 요청한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연결 정보에 따라 설정된 최적화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 레인징 코드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레인징 코드의 전송 결과를 포함하는 제 4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결과가 성공인 경우, 상기 단말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가 지시하는 상향링크 자원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메시지는 시스템 설정 기술자(AAI_SCD) 메시지이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_RNG-REQ) 메시지이며, 상기 제 3 메시지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AAI_RNG-RSP) 메시지이고, 상기 제 4 메시지는 레인징 긍정 응답 메시지(AAI_RNG-ACK) 메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 1 식별자는 컨텍스트 보존 식별자(CRID)이고, 상기 기지국 재시작에 의한 망 재진입을 지시하는 값은 0b1000이며, 상기 최적화 정보는 핸드오버 절차 최적화(HO Process Optimization) 필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망 재진입(Network Re-entry)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외부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RF)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이 재시작할 때마다 값이 변경되는 재시작 카운트(restart count)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재시작 카운트의 값을 이전에 저장된 기지국 카운트의 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두 카운트 값들이 상이한 경우 상기 단말의 연결 정보(context)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제 1 식별자 및 기지국 재시작에 의한 망 재진입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가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망 재진입에서 생략될 수 있는 절차를 지시하는 최적화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핸드오버 레인징 코드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핸드오버 레인징 코드의 전송 결과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전송 결과가 성공인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가 지시하는 상향링크 자원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메시지는 시스템 설정 기술자(AAI_SCD) 메시지이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_RNG-REQ) 메시지이며, 상기 제 3 메시지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AAI_RNG-RSP) 메시지이고, 상기 제 4 메시지는 레인징 긍정 응답 메시지(AAI_RNG-ACK) 메시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 1 식별자는 컨텍스트 보존 식별자(CRID)이고, 상기 기지국 재시작에 의한 망 재진입을 지시하는 값은 0b1000이며, 상기 최적화 정보는 핸드오버 절차 최적화(HO Process Optimization) 필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망 재진입 절차를 통하여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방송되는 시스템 설정 기술자(AAI_SCD) 메시지의 재시작 카운트를 비교하여 효율적으로 해당 기지국의 재시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망 재진입 절차를 통하여 단말은 재시작한 기지국에 최적화된 망 재진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의 영역 이탈 탐지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기지국의 재시작을 판단하는 과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망 재진입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단 및 수신단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기지국의 재시작을 판단하는 과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망 재진입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단 및 수신단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무선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 재시작 이후 단말의 효율적인 망 재진입 방법들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구조를 개시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가 있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MS: Mobile Station)'은 UE(User Equipment), SS(Subscriber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또는 단말(Mobile Terminal)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송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전송하는 노드를 말하고, 수신단은 데이터 또는 음성 서비스를 수신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송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수신단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향링크에서는 단말이 수신단이 되고, 기지국이 송신단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IEEE 802.16 시스템의 표준 문서인 P802.16-2004, P802.16e-2005 및 P802.16Rev2 문서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IEEE 802.16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특히, 이하에서 등장하는 단말은 IEEE802.16m 표준에서 정의하는 규격을 만족하는 AMS(Advanced Mobile Station)인 것으로, 기지국은 동일 표준 규격의 ABS(Advanced Base Station)인 것으로 각각 가정한다.
영역 이탈 (Coverage Loss)
기지국의 재시작 상황은 영역 이탈 상황과 유사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먼저 "영역 이탈(coverage loss)"을 정의한다.
영역 이탈이란, 단말이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즉, coverage)을 벗어나는 지역으로 이동하여 페이딩이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잠정적 시그널 손실(temporary signal loss)이 발생하는 상황을 말한다.
다음으로, 액티브 기지국 타이머(active_ABS_timer)를 정의한다.
액티브 기지국 타이머는 기지국이 각 단말에 대하여 유지하는 타이머를 말한다. 액티브 기지국 타이머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등록 요청/응답(AAI_REG-REQ/AAI_REG-RSP) 메시지 교환의 완료에 따른 망 초기 진입(completion of initial network entry) 완료에 따라 시작될 수 있다. 또는, 액티브 기지국 타이머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핸드오버 프로세스 최적화(HO process Optimization)에 따른 망 재진입 완료(completion of network reentry)에 따라 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액티브 기지국 타이머는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리셋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의 예로는 MPDU(MAC PDU: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 또는 피드백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액티브 기지국 타이머가 시작되는 또 다른 경우로, 해당 기지국을 서빙 기지국으로 하는 단말이 다른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해당 기지국이 백본망을 통하여 네트워크로부터 핸드오버 완료 알림(HO completion notification)을 기 설정된 시점까지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시작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시점은 레인징 개시 데드라인(Ranging_Initiation_Deadline) 정보가 지시하는 시점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자원 유지 타이머(Resource Retain Timer)를 정의한다.
특정 단말에 대한 Active_ABS timer가 만료되면 기지국은 해당 단말의 영역 이탈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절차를 거치게 된다. 이러한 절차를 이하에서는 편의상 "영역 이탈 탐지(Coverage loss detection)"라 칭한다. 영역 이탈 탐지 동작의 자세한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절차를 마친 후에도 단말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 기지국은 자원유지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으며, 자원유지 타이머가 만료되면 기지국은 해당 단말의 컨텍스트 보관을 해제(context release)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단말 타이머(Active_AMS_Timer)를 정의한다.
상술한 액티브 기지국 타이머와 같이, 액티브 단말 타이머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 등록 요청/응답(AAI_REG-REQ/AAI_REG-RSP) 메시지 교환의 완료에 따른 망 초기 진입(completion of initial network entry) 완료에 따라 단말에서 시작될 수 있다. 또는, 액티브 기지국 타이머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핸드오버 프로세스 최적화(HO process Optimization)에 따른 망 재진입 완료(completion of network reentry)에 따라 시작될 수 있다. 액티브 단말 타이머가 유지되는 동안(즉, 만료되기 전까지) 단말은 자신의 연결 정보(context)가 네트워크에 보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텍스트 보존 식별자(CRID)를 정의한다.
CRID는 등록 응답(AAI_REG-RSP) 메시지를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할당될 수 있다. CRID는 네트워크 상에서(특히, 기지국 또는 해당 단말의 연결 정보(context)를 보존하는 개체(예를 들어, Authenticator ASN-GW) 에서 해당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식별자이다. 또한, CRID는 컨텍스트 보존 등록해제(DCR: Deregistration with Context Retention)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CRID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등록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에 할당될 수 있으며, 망 재진입(Network Re-entry)시 레인징 응답(AAI_RNG-RSP) 메시지 또는 DCR 모드 진입시 등록해제 응답(AAI_DREG-RSP) 메시지를 통하여 갱신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정의된 타이머들을 이용한 단말과 기지국의 영역 이탈 탐지 방법들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의 영역 이탈 탐지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의 망 초기 진입(completion of initial network entry) 완료 또는 망 재진입 완료(completion of network reentry)에 따라 기지국은 해당 단말에 대한 액티브 기지국 타이머를, 단말은 액티브 단말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S101).
이때, 망 초기 진입은 사이에 등록 요청/응답(AAI_REG-REQ/AAI_REG-RSP) 메시지 교환의 완료에 의해 완료될 수 있고, 망 재진입은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핸드오버 프로세스 최적화(HO process Optimization)에 따라 완료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망 초기 진입의 경우, 등록 응답(AAI_REG-RSP) 메시지를 통하여 컨텍스트 보존 식별자(CRID)가 단말에 할당될 수 있으며, 망 재진입의 경우 레인징 응답(AAI_RNG-RSP) 메시지를 통하여 새로운 CRID가 단말에 할당될 수 있다.
이때, 해당 단말에 대한 액티브 기지국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 기지국은 해당 단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향링크 버스트를 할당(grant UL burst)할 수 있다(S102).
단말은 그에 대한 응답으로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UL grant)을 통하여 MPDU 또는 요청 대역 크기가 0인 대역 요청 헤더(BR Header)를 전송할 수 있는데, 기지국이 이를 수신하면 액티브 기지국 타이머는 리셋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이 소정 개수(NCLD_UL_Grant)의 연속되는 UL grant(영역 이탈 탐지 상향링크 그랜트: Coverage Loss Detection UL grants)가 지시하는 상향링크 자원을 통해서도 단말로부터 어떠한 데이터(데이터를 포함하는 MAC PDU 또는 BR 헤더)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S103, S104).
이러한 경우, 기지국은 단말로 비요청 레인징 응답(Unsolicited AAI_RNG-RSP)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로 하여금 주기적 레인징 코드(periodic ranging code)를 이용한 주기적 레인징(periodic ranging)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은 레인징 응답 메시지의 레인징 요청 비트(Ranging Request bit)를 '1'로 설정할 수 있다(S105).
이때, 기지국은 레인징의 확인을 위한 메시지(AAI_RNG-CFM)의 수신을 대기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예를 들어, 재시도(retry) 타이머 또는 T58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기지국의 레인징 요청에 따라 단말은 주기적 레인징 코드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106).
기지국은 레인징 코드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에 레인징 긍정응답(AAI_RNG-ACK) 메시지를 전송한다(S107). 이때, 레인징 긍정응답 메시지에는 레인징 성공여부를 지시하는 정보(ranging status) 및 단말이 전송한 해당 레인징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레인징 확인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에 레인징 확인(AAI_RNG-CFM)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08). 이때 단말은 자신의 스테이션 식별자(STID)를 레인징 확인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레인징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액티브 기지국 타이머를 갱신할 수 있다(S109).
만일, T58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AAI_RNG-CFM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기지국은 자원 보존 시간(Resource Retain Time)을 시작하고, 해당 단말의 동적 컨텍스트를 해제(release)하고, 정적 컨텍스트를 단말의 컨텍스트를 보관하는 네트워크 개체로 옮긴다.
한편, 단말의 입장에서는 기지국과의 물리 계층 동기(PHY synchronization), 하향링크 동기(DL sync) 또는 상향링크 동기(UL sync)를 잃은 경우 영역이탈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기 설정된 횟수(NLOST-SFH)만큼의 수퍼프레임 헤더(SFH)를 기지국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영역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의 재시작 탐지 및 망 재진입 수행 절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기지국의 재시작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기지국이 재시작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효율적인 망 진입 방법이 개시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재시작 여부 판단 방법을 설명한다.
심각한 요류(critical error)가 기지국에서 발생하거나 운용상의 필요에 따라 기지국이 재시작(ABS restart)될 수 있다. 기지국이 재시작되는 경우, 기지국은 자신이 재시작할 것임을 소정의 방송 메시지 등을 통하여 미리 단말들에 알릴 수도 있으나,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는 단말이 수면 구간(sleep window)으로 동작하는 사이에 재시작 절차가 수행되거나, 상술한 영역 이탈 상태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의 재시작 여부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의 재시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기지국에서는 재시작이 있을 때마다 재시작한 횟수를 나타내는 카운트를 운용하며, 이를 소정의 방송 메시지를 통하여 방송할 것을 제안한다.
이때, 재시작 횟수를 나타내는 카운트는 이하 편의상 "재시작 카운트(restart count 또는 BS_Restart_Count)"라 칭한다. 또한, 재시작 카운트 값을 단말들에 알리기 위한 방송 메시지로는 시스템 설정 기술자(AAI_SCD)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AAI_SCD 메시지는 해당 기지국의 시스템 설정(system configuration)을 정의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방송되는 메시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재시작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AAI_SCD 메시지 형태의 일례를 아래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AI_SCD 메시지 형태의 일부를 나타낸다.
표 1을 참조하면, AAI_SCD 메시지에는 BS_Restart_Count 필드가 포함되어 소정 범위 내에서(예를 들어 0부터 15까지) 기지국이 재시작될 때마다 1 씩 증가되어, 이를 수신하는 개체(예를 들어, 단말 또는 중계국 등)에 기지국 재시작 카운트를 알릴 수 있다.
단말은 주기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 방송되는 AAI_SCD 메시지를 수신하여 BS_Restart_Count 필드 값을 저장하고, 이후 AAI_SCD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전에 저장된 BS_Restart_Count 필드 값과 현재 수신된 AAI_SCD 메시지의 BS_Restart_Count 필드 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BS_Restart_Count 필드 값이 상이한 경우, 단말은 기지국이 재시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 절차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기지국의 재시작을 판단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은 기지국에 망 초기 진입 절차의 일 과정으로 등록 요청/응답(AAI_REG-REQ/AAI_REG-RSP)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며, 해당 절차에서 컨텍스트 보존 식별자(CRID)가 단말에 할당될 수 있다(S201).
이후, 기지국은 해당 단말의 연결 정보(context 또는 static context)를 소정의 네트워크 개체로 전달할 수 있다(S202). 이때, 단말의 연결 정보 전송은 기지국이 단말의 망 초기/재진입이 종료됨에 따라 수행할 수도 있고, 기지국이 재시작을 수행하기로 결정한 이후 재시작 전에 수행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자신의 재시작 카운트(여기서는 'n'이라 가정)를 AAI_SCD 메시지를 통해 방송할 수 있고, 단말은 획득한 재시작 카운트 값을 저장할 수 있다(S203).
치명적 오류가 발생하거나 운용상의 이유로 기지국이 재시작하는 경우, 기지국은 재시작 카운트 값을 1 증가시키고(S204), AAI_SCD 메시지의 재시작 카운트 값을 1 증가시켜(즉, BS_Restart_Count= 'n+1') 방송한다(S205).
단말은 S205 단계에서 AAI_SCD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된 재시작 카운트 값(n+1)을 이전에 저장된 재시작 카운트 값(n)과 비교하고, 그 값이 상이하므로 기지국이 재시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206).
이하에서는, 기지국이 재시작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단말의 망 재진입 절차를 설명한다.
단말이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기지국의 재시작을 탐지한 경우, 단말은 핸드오버 레인징 코드를 이용하여 망 재진입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기지국이 단말의 연결 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네트워크 개체로부터 해당 단말의 연결 정보를 찾아올 수 있다면 망 재진입 절차가 최적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망 재진입 절차에서 레인징 요청(AAI_RNG-REQ) 메시지를 전송할 때 CRID를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또한, 레인징 요청 메시지의 레인징 목적 지시(Ranging Purpose Indication) 필드를 재시작 카운트의 불일치에 따른 망 재진입 수행을 지시하는 값(예를 들어, 0b1000)으로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이때, 재시작 카운트의 불일치에 따른 망 재진입 수행을 지시하는 값은 영역 이탈 복구절차에 따른 망 재진입 수행을 지시하는 값과 동일할 수도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AAI_RNG-REQ 메시지 구조를 표 2 및 표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AI_RNG-REQ 메시지 포맷의 일부를 나타낸다.
표 2에서는 본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제안되는 필드만을 표시하였으며, 그 외의 필드들은 일반적인 IEEE 802.16 시스템에서 정의되는 AAI_RNG-REQ 메시지 포맷과 동일/유사할 수 있다. 표 2를 참조하면, 레인징 목적 지시자 필드가 0b1000으로 설정되면, DCR 모드 해제, 영역 이탈 복구 또는 기지국 재시작으로 인한 망 재진입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AAI_SCD 메시지에 포함된 재시작 카운트 값이 이전에 단말에 저장된 값과 상이한 경우, 단말은 AAI_RNG-REQ 메시지에 필수적으로 CRID를 포함할 것이 정의될 수 있다.
표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AI_RNG-REQ 메시지 포맷의 일부를 나타낸다.
Name | Value | Usage |
~ | ||
Ranging Purpose Indication |
The presence of this item in the message indicates the following AMS action:
If Bit#0 is set to 1, it indicates that the AMS is currently attempting HO reentry, or, in combination with a Paging Controller ID, indicates that the MS is attempting network reentry from idle mode to the BS. In this case, Bit#1 shall be 0. If Bit#1 is set to 1, it indicates that the AMS is initiating the idle mode location update process, or, in combination with CRID, it indicates that the AMS is initiating DCR mode extension. In this case, Bit#0 shall be 0. If Bit#2 is set to 1, ranging request for emergency call setup. When this bit is set to 1, it indicates AMS action of Emergency Call process. If Bit#4 is set to 1, it indicates that the AMS is attempting to perform location update due to a need to update service flow management encodings for E-MBS flows. If Bit #5 is set to 1, it indicates that the AMS is initiating location update for transmission to DCR mode from idle mode. If Bit #6 is set to 1 in combination with ID of the network entity that assigns/retains the context, it indicates that the AMS is currently attempting reentry from DCR mode. If Bit#7 is set to 1, it indicates that the AMS is currently attempting network reentry after experiencing a coverage loss. If Bit#8 is set to 1, it indicates that the AMS is currently attempting network reentry from a IEEE802.16e only Legacy BS If Bit#9 is set to 1, it indicates that the AMS is currently attempting network reentry after detecting the different ABS restart count. |
It shall be included when the AMS is attempting to perform reentry, HO, location update or DCR mode extension. |
CRID | AMS identifier which the AMS has been assigned for coverage loss or DCR mode and are currently maintained |
It shall be included when the AMS is attempting to perform network reentry from coverage loss or DCR mode.
or It shall be included when the AMS detects the restart count in SCD message different from old one save in AMS. |
~ |
표 3에서도 본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제안되는 필드만을 표시하였으며, 그 외의 필드들은 일반적인 IEEE 802.16 시스템에서 정의되는 AAI_RNG-REQ 메시지 포맷과 동일/유사할 수 있다. 표 3을 참조하면, 레인징 목적 지시자 필드의 비트 9가 가 설정되면, 단말이 기지국 재시작 카운트 값의 불일치로 망 재진입을 시도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AAI_SCD 메시지에 포함된 재시작 카운트 값이 이전에 단말에 저장된 값과 상이한 경우, 단말은 AAI_RNG-REQ 메시지에 필수적으로 CRID를 포함할 것이 정의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CRID를 이용하여 단말의 연결 정보를 보관하는 네트워크 개체로부터 단말의 연결 정보를 획득하여 최적화된 망 재진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망 재진입 절차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망 재진입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절차가 수행된 이후에 후속되는 절차인 것으로 가정한다.
단말은 기지국의 재시작을 판단한 경우, 망 재진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은 핸드오버 레인징 코드(HO ranging code)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301).
기지국은 레인징 코드를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레인징 긍정응답(AAI_RNG_ACK) 메시지를 성공 상태(success status)로 설정하여 단말로 전송하고, 단말에 상향링크 대역(UL BW allocation)을 할당한다(S302, S303).
단말은 할당된 상향링크 자원을 통하여 레인징 목적 지시자를 기지국 재시작에 의한 망 재진입을 지시하는 값(예를 들어, 0b1000)으로 설정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S304). 이때, 단말은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CRID를 포함시키며, 보안 연결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식별자를 새로운 인증키(AK)로 생성한 사이퍼 기반 메시지 인증 코드(CMAC) 키로 보호할 수 있다.
기지국은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통해 전송된 CRID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의 연결정보를 보관하는 네트워크 개체(예를 들어, Authenticator ASN-GW)에 요청하여 단말의 연결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05).
기지국은 획득한 단말의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생략될 수 있는 MAC 제어 메시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핸드오버 최적화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레인징 응답(AAI_RNG-RSP)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S306).
즉, AAI_RNG-RSP 메시지의 Reentry Process Optimization 파라미터를 통해 생략 가능한 절차를 생략(Signaling, Control MAC message)하여 망 재진입 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이때, 레인징 응답 메시지에는 해당 기지국에서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스테이션 식별자(STID)가 포함될 수 있으며, CRID가 갱신되는 경우 새로운 CRID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전송한 레인징 요청 메시지의 CMAC 값이 유효한 경우 레인징 응답 메시지는 암호화되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그 후 단말은 최적화 파라미터에 따라서 망 재진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망 재진입 과정을 다시 정리하면,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AAI_SCD 메시지를 수신하여 ABS restart count가 자신(단말)이 가지고 있는 ABS restart count 값과 다른 경우, 단말은 coverage loss로 판단하고 coverage loss recovery (즉, network reentry)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은 CRID를 포함하는 AAI_RNG-REQ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단말이 올린 CRID를 바탕으로 Network reentry 과정을 optimization할 수 있다.
단말 및 기지국 구조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수행될 수 있는 단말 및 기지국(FBS, MBS)을 설명한다.
단말은 상향링크에서는 송신기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수신기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상향링크에서는 수신기로 동작하고, 하향링크에서는 송신기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단말 및 기지국은 정보 또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 및 수신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서, 모듈, 부분 및/또는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송신기 및 수신기는 메시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모듈(수단), 암호화된 메시지를 해석하기 위한 모듈,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단과 수신단의 일례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단 및 수신단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측은 송신단의 구조를 나타내고, 우측은 수신단의 구조를 나타낸다. 송신단과 수신단 각각은 안테나(5, 10), 프로세서(20, 30), 전송모듈(Tx module(40, 50)), 수신모듈(Rx module(60, 70)) 및 메모리(80, 9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는 서로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안테나(5, 10)는 전송모듈(40, 50)에서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모듈(60, 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중 안테나(MIMO) 기능이 지원되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 전송모듈 및 수신모듈은 함께 무선통신(RF)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0, 3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 전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콘트롤러 기능, 서비스 특성 및 전파 환경에 따른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 가변 제어 기능, 핸드오버(Hand Over) 기능, 인증 및 암호화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0, 3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기지국 재시작 탐지 및 그에 따른 망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의 프로세서는 기지국이 방송하는 AAI_SCD 메시지가 수신되면 재시작 카운트 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이후 수신되는 AAI_SCD 메시지에 포함된 재시작 카운트 값과 비교하여, 상이한 경우 기지국이 재시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의 재시작을 탐지하면, 이동 단말기의 프로세서는 해당 기지국으로 CRID 및 기지국 재시작에 따른 망 재진입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를 포함하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기지국으로부터 레인징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에 포함된 핸드오버 최적화(HO Process Optimization) 필드의 값에 따라 최적화된 망 재진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단말의 프로세서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개시된 동작 과정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송 모듈(40, 50)은 프로세서(20, 30)로부터 스케쥴링되어 외부로 전송될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부호화(coding) 및 변조(modulation)를 수행한 후 안테나(10)에 전달할 수 있다.
수신 모듈(60, 70)은 외부에서 안테나(5, 10)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한 복호(decoding) 및 복조(demodulation)을 수행하여 원본 데이터의 형태로 복원하여 프로세서(20, 30)로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80, 90)는 프로세서(20, 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재시작 카운트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80, 9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기 위한 콘트롤러 기능,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패킷 스케줄링, 시분할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패킷 스케줄링 및 채널 다중화 기능, 서비스 특성 및 전파 환경에 따른 MAC 프레임 가변 제어 기능, 고속 트래픽 실시간 제어 기능, 핸드오버(Handover) 기능, 인증 및 암호화 기능,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패킷 변복조 기능, 고속 패킷 채널 코딩 기능 및 실시간 모뎀 제어 기능 등이 상술한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행하거나,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 모듈 또는 부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5)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단말의 망 재진입 수행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재시작할 때마다 값이 변경되는 재시작 카운트(restart count)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시작 카운트의 값을 이전에 저장된 기지국 카운트의 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두 카운트 값들이 상이한 경우 상기 단말의 연결 정보(context)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제 1 식별자 및 기지국 재시작에 의한 망 재진입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 재진입 수행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 재진입에서 생략될 수 있는 절차를 지시하는 최적화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망 재진입 수행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핸드오버 레인징 코드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레인징 코드의 전송 결과를 포함하는 제 4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결과가 성공인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가 지시하는 상향링크 자원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재진입 수행 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시스템 설정 기술자(AAI_SCD) 메시지이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_RNG-REQ) 메시지이며,
상기 제 3 메시지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AAI_RNG-RSP) 메시지이고,
상기 제 4 메시지는 레인징 긍정 응답 메시지(AAI_RNG-ACK)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재진입 수행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자는 컨텍스트 보존 식별자(CRID)이고,
상기 기지국 재시작에 의한 망 재진입을 지시하는 값은 0b1000이며,
상기 최적화 정보는 재진입 절차 최적화(Reentry Process Optimization)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재진입 수행 방법.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재시작에 따라 기지국이 망 재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재시작하는 단계;
재시작 카운트(restart count)의 값을 증시키는 단계;
상기 증가된 재시작 카운트 값을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방송하는 단계; 및
단말로부터 연결 정보(context)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제 1 식별자 및 기지국 재시작에 의한 망 재진입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 재진입 수행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연결 정보를 저장하는 네트워크 개체에 상기 단말의 연결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개체로부터 상기 요청한 연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연결 정보에 따라 설정된 최적화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망 재진입 수행 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핸드오버 레인징 코드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레인징 코드의 전송 결과를 포함하는 제 4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결과가 성공인 경우, 상기 단말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가 지시하는 상향링크 자원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재진입 수행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시스템 설정 기술자(AAI_SCD) 메시지이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_RNG-REQ) 메시지이며,
상기 제 3 메시지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AAI_RNG-RSP) 메시지이고,
상기 제 4 메시지는 레인징 긍정 응답 메시지(AAI_RNG-ACK)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재진입 수행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자는 컨텍스트 보존 식별자(CRID)이고,
상기 기지국 재시작에 의한 망 재진입을 지시하는 값은 0b1000이며,
상기 최적화 정보는 재진입 절차 최적화(Reentry Process Optimization)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재진입 수행 방법.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망 재진입(Network Re-entry)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외부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RF)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기지국이 재시작할 때마다 값이 변경되는 재시작 카운트(restart count)를 포함하는 제 1 메시지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재시작 카운트의 값을 이전에 저장된 기지국 카운트의 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두 카운트 값들이 상이한 경우 상기 단말의 연결 정보(context)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을 식별하기 위한 제 1 식별자 및 기지국 재시작에 의한 망 재진입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된 레인징 목적 지시 필드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가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말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망 재진입에서 생략될 수 있는 절차를 지시하는 최적화 정보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핸드오버 레인징 코드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상기 핸드오버 레인징 코드의 전송 결과를 포함하는 제 3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전송 결과가 성공인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 2 메시지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가 지시하는 상향링크 자원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시스템 설정 기술자(AAI_SCD) 메시지이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AAI_RNG-REQ) 메시지이며,
상기 제 3 메시지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AAI_RNG-RSP) 메시지이고,
상기 제 4 메시지는 레인징 긍정 응답 메시지(AAI_RNG-ACK)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자는 컨텍스트 보존 식별자(CRID)이고,
상기 기지국 재시작에 의한 망 재진입을 지시하는 값은 0b1000이며,
상기 최적화 정보는 재진입 절차 최적화(Reentry Process Optimization) 파라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3/023,456 US20110194531A1 (en) | 2010-02-08 | 2011-02-08 | Method of network re-entry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
EP11740075.4A EP2534770A4 (en) | 2010-02-08 | 2011-02-08 | Method of network re-entry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
CN201180008585.6A CN102754362B (zh) | 2010-02-08 | 2011-02-08 | 宽带无线接入系统中的网络重新登入的方法及设备 |
PCT/KR2011/000818 WO2011096779A2 (en) | 2010-02-08 | 2011-02-08 | Method of network re-entry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30247810P | 2010-02-08 | 2010-02-08 | |
US61/302,478 | 2010-02-08 | ||
US30695010P | 2010-02-23 | 2010-02-23 | |
US61/306,950 | 2010-02-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2201A true KR20110092201A (ko) | 2011-08-17 |
Family
ID=4492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9519A Withdrawn KR20110092201A (ko) | 2010-02-08 | 2010-11-05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망 재진입 수행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194531A1 (ko) |
EP (1) | EP2534770A4 (ko) |
KR (1) | KR20110092201A (ko) |
CN (1) | CN102754362B (ko) |
WO (1) | WO2011096779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16735A1 (en) * | 2010-03-05 | 2011-09-08 | Muthaiah Venkatachalam | Legacy and advanced access service network internetworking |
RU2573294C2 (ru) * | 2010-07-01 | 2016-01-20 | Интердиджитал Пэйтент Холдингз, Инк. | Протокол соединения/разъединения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связи (aludp) |
KR20120006259A (ko) * | 2010-07-12 | 2012-01-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송신 전력 상태 보고 장치 및 방법 |
US8774804B2 (en) * | 2011-10-31 | 2014-07-08 | Intel Corporation | Context-reten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ext retention in wirless access networks |
US9077772B2 (en) * | 2012-04-20 | 2015-07-07 | Cisco Technology, Inc. | Scalable replay counters for network security |
CN114079984B (zh) * | 2020-08-14 | 2023-08-04 |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mbs业务数据传输方法和网络侧装置及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20089994A1 (en) * | 2001-01-11 | 2002-07-11 | Leach, David J. | System and method of repetitive transmission of frames for frame-based communications |
KR100665425B1 (ko) * | 2003-03-08 | 2007-0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
KR101166765B1 (ko) * | 2004-05-07 | 2012-07-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Pv4 및 IPv6을 지원하기 위한 IP 주소 설정 |
KR100640479B1 (ko) * | 2004-06-07 | 2006-10-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절차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
KR100689575B1 (ko) * | 2004-06-11 | 2007-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네트워크 재진입시스템 및 방법 |
KR100594116B1 (ko) * | 2004-06-18 | 2006-06-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인접 기지국의 정보구성과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
KR101119096B1 (ko) * | 2004-11-04 | 2012-09-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시 적용되는 데이터전송 방법 |
US7369856B2 (en) * | 2004-11-24 | 2008-05-06 | Intel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to support fast hand-over of mobile subscriber stations in broadband wireless networks |
KR100617733B1 (ko) * | 2005-01-22 | 2006-08-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재진입 시스템 및 방법 |
KR100896280B1 (ko) * | 2005-03-30 | 2009-05-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의 상향링크 구간 할당 정보 송수신방법 |
KR100965672B1 (ko) * | 2005-07-06 | 2010-06-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상태 동기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KR100964842B1 (ko) * | 2005-08-25 | 2010-06-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시스템 및방법 |
JP5108244B2 (ja) * | 2006-03-30 | 2012-12-26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通信端末及び再送制御方法 |
CA2651868C (en) * | 2006-05-13 | 2014-11-25 | Lg Electronics Inc. | Method of performing procedures for initial network entry and handov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
KR20080079961A (ko) * | 2007-02-28 | 2008-09-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레인징 수행 방법 |
KR101015739B1 (ko) * | 2007-06-05 | 2011-02-22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시스템 및 방법 |
EP2277351A4 (en) * | 2008-04-30 | 2015-12-23 | Mediatek Inc | METHOD FOR LEADING A TRAFFIC ENCRYPTION KEY |
US8666077B2 (en) * | 2008-05-07 | 2014-03-04 | Alcatel Lucent | Traffic encryption key gen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KR101599855B1 (ko) * | 2009-05-24 | 2016-03-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컨텐트 보존 등록해제 모드 동작 방법 |
US8599768B2 (en) * | 2009-08-24 | 2013-12-03 | Intel Corporation | Distributing group size indications to mobile stations |
US8848542B2 (en) * | 2010-02-08 | 2014-09-30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efficiently performing coverage loss operation during sleep mod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
-
2010
- 2010-11-05 KR KR1020100109519A patent/KR20110092201A/ko not_active Withdrawn
-
2011
- 2011-02-08 US US13/023,456 patent/US2011019453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02-08 EP EP11740075.4A patent/EP2534770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1-02-08 WO PCT/KR2011/000818 patent/WO2011096779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2-08 CN CN201180008585.6A patent/CN10275436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754362B (zh) | 2016-01-06 |
WO2011096779A3 (en) | 2011-12-29 |
WO2011096779A2 (en) | 2011-08-11 |
US20110194531A1 (en) | 2011-08-11 |
CN102754362A (zh) | 2012-10-24 |
EP2534770A4 (en) | 2017-03-22 |
EP2534770A2 (en) | 2012-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51245B2 (en) |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handling timer operation | |
KR101531513B1 (ko) | 랜덤 접속의 접속 지연 재개 방법 | |
CN104602359B (zh) | 在无线通信系统中处理随机接入的方法 | |
CN115885576A (zh) | 用于小数据传输的用户设备和方法 | |
CN115398987A (zh) | 无线电资源控制(rrc)非活动状态下的小数据传输 | |
US8848542B2 (en) | Method for efficiently performing coverage loss operation during sleep mod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 |
KR101729558B1 (ko)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용도에 따른 효율적인 레인징 수행 방법 | |
US20190223162A1 (en) |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 |
US2013024465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random access in a wireless access system | |
US20190364539A1 (en) | Data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 |
US9468034B2 (en) | Method for detecting coverage loss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 |
US20240357502A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ing power-saving signal pattern, device and system | |
US9215573B2 (en) |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s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 |
CN110447268A (zh) | 一种指示信息的传输方法和装置 | |
KR20110092201A (ko)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망 재진입 수행 방법 | |
KR20220029749A (ko) |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와 통신 시스템 | |
JP7605963B2 (ja) | データ送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US20130272265A1 (en) | Method of changing a zon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 |
KR20110088434A (ko)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레인징 수행 방법 | |
KR101670749B1 (ko)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수면 모드에서의 영역 이탈 동작 수행 방법 | |
WO2020181431A1 (zh) | 随机接入响应的发送和接收方法、装置和系统 | |
KR20100138838A (ko)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변조 및 부호화 기법 결정 방법 | |
WO2024065529A1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pdcch monitoring enhancement mechanism for xr traffic | |
US2024018818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rx operation for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 |
KR20110102123A (ko) |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수면 모드 동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