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241A - Detachable tractor fasteners for work tools - Google Patents
Detachable tractor fasteners for work too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90241A KR20110090241A KR1020100009919A KR20100009919A KR20110090241A KR 20110090241 A KR20110090241 A KR 20110090241A KR 1020100009919 A KR1020100009919 A KR 1020100009919A KR 20100009919 A KR20100009919 A KR 20100009919A KR 20110090241 A KR20110090241 A KR 201100902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ce
- tube
- binding
- coupled
- tra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02—Devices for adjusting 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tools or wheels
- A01B63/004—Lateral adjustment of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쟁기, 회전경운기, 배토기, 파종기, 중경제초기, 비료살포기, 붐스프레이, 트레일러 등 다양한 형태, 구조, 간격 및 크기로 이루어지는 작업기에 트랙터 결속구가 자유롭게 결합되어지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tractor binding device for a work machine, in particular, a tractor binding device for a work machine having various shapes, structures, intervals and sizes, such as a plow, a rotary tiller, a plowing machine, a seeding machine, an early middle economy, a fertilizer spreader, a boom spray, and a trailer. Is to be combined freely.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농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 편리한 구조와 특성을 갖는 트랙터가 사용 되어지고 있으며, 트랙터는 차체, 엔진, 동력전달장치, 주행장치, 동력취출장치, 작업기 연결장치, 유압장치 및 전기장치로 이루어져 있다.In general, a tractor having a convenient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is used as a method for performing various agricultural works, and the tractor has a body, an engine, a power transmission device, a traveling device, a power take-off device, a working device connection device, a hydraulic device, and an electric device. Consists of
트랙터의 후방에 플라우(Plow), 해로우(Harrow), 로터베이터 등의 작업기를 부착하여 경운, 쇄토작업, 병충해방제, 양수 및 탈곡 등 각종 농작업에 사용되어지고 있다.Work tools such as plow, harrow, and rotorbator are attached to the rear of the tractor, and are used for various agricultural works such as tillage, harrowing, pest control, pumping and threshing.
작업기는 전방에 별도의 작업기 연결부가 구비되어 트랙터의 후방에 결합된 톱링크(T-1), 톱링크(T-1)의 양측 하부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좌우 리프트로드 및 좌우 리프트로드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로워링크(T-2)로 이루어진 트랙터 연결부에 의하여 3점 히치로 결합되어지고, 작업기의 구동축은 동력취출장치(PTO:Power Take Off)에 결합되어 구동되어질 수 있게 된다.The work machin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work machine connection part at the front, and the top link (T-1) coupled to the rear of the tractor, the left and right lift rod and the left and right lift rod, in which one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lower portions of the top link (T-1). It is coupled to the three-point hitch by the tractor connecting portion consisting of a lower link (T-2)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and the drive shaft of the work machine is coupled to the power take off (PTO) to be driven do.
그러나 트랙터에 작업기를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된 톱링크(T-1), 좌우 리프트로드 및 로워링크(T-2)로 이루어진 트랙터 연결부와 작업기에 결합된 작업기 연결부의 형태와 구조 및 간격이 제조사별로 상이함으로써, A사의 트랙터에 B사의 작업기를 결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자가 A사의 트랙터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 A사에서 지정해주는 작업기만 사용할 뿐 B사의 다른 작업기를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없어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the shape, structure, and spacing of the tractor connection part consisting of the top link (T-1), the left and right lift rods, and the lower link (T-2) provided to couple the tractor to the tractor and the worker connection coupled to the work machine are different for each manufacturer. By doing so,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combine the work machine B company with the tractor A company. That is, when the worker has a tractor A company,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 because there is no compatibility to use other work machines of B company only use the work machine designated by company A.
또한,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작업기 연결부위가 마모나 변형 및 파손되었을 경우, 부분적인 점검과 수리 및 교환에 어려움이 있었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work machine connection part is worn, deformed, or broken in the course of long-term use, there is a difficulty in partial inspection, repair, and replacement, and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time.
그리고 경운, 두둑 및 고랑을 만드는 휴립, 파종, 표면을 얕게 갈아 잡초를 없애는 중경제초 등의 연이은 작업이 이루어지게 될 경우, 하나의 트랙터에 쟁기작업기, 회전경운작업기, 배토작업기, 파종작업기 및 중경체조작업기 등을 신속하게 결합시키지 못해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subsequent work such as tillage, sowing and digging of furrows, sowing, and heavy economy grass that shallowly cuts the surface to remove weeds, a plow machine, a rotary tiller, a soil tiller, a seeding machine and a medium weight gymnasium are used in a single tracto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ork time is delayed because the work machine is not quickly combined.
본 발명은 모든 형태와 구조 및 간격이 상이한 작업기에 길이가 자유롭게 가변되어지는 드랙터 결속구가 결합되어지도록 호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작업기에 결합된 트랙터 결속구가 트랙터에 결합된 작업기 결속구에 용이하게 결합되어지도록 하여 연이은 다른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부분적인 점검과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mpatibility so that the length is freely variable in the tractor binding sphere coupled to the work machine of all shapes, structures and intervals, and the tractor binding sphere coupled to the working machine is coupled to the tractor binding sphere coupled to the tractor It is to be easily combined so that successive other task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also to facilitate partial inspection and replacement.
본 발명은 트랙터에 결합된 작업기 결속구(100)에 작업기가 결속되어지는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200)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 결속구(200)는 걸림축(220)의 양단이 결합된 상부결속부재(210)와, 결속축(230)을 갖는 고정부재(231)가 양측으로 결합된 하부결속부재(250) 및 상기 하부결속부재(250)의 양측에 결합된 가변결합편(240)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상부결속부재(210)는 수평패널(211)의 양측에 상부로 향하는 연장편(212)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축(220)의 양단이 연장편(212) 사이에서 용접이음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연장편(212) 모서리에 제1관통홀(212a)을 형성하여 조절편(260)이 맞대어지며, 상기 조절편(260)은 양측으로 형성된 제2관통홀(261) 사이에 장홈(262)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편(212)에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가변결합편(240)은 U볼트홀(241a)이 형성된 맞대기편(241)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을 갖는 높이조절홀(242a)이 형성된 고정편(242)이 맞대어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편(242)에 맞대어져 볼트결합되어지는 가변편(243)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가변편(243)은 일측에 고정볼트홀(243a)이 형성되어지며, 타측에 작업기 고정볼트홀(243b)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홀(243a)이 높이조절홀(242a)에 일치되어 볼트(B)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tachable tractor binding sphere for the working machine to which the working machine is coupled to the working
또한, 상기 하부결속부재(250)는 중공인 각관(251)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각관(251)의 내부에 보강각관(252)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보강각관(252)이 삽입된 각관(251)의 양측에 마개편(253)이 삽입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는 상기 각관(251)의 전방모서리에서 상부로 직립되게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고정부재(231)의 내부에 각각 보강리브(232)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부재(231)의 외측에 각관(251)과 평행한 상기 결속축(230)이 용접이음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의 전방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된 프론트 가이드(233)가 절곡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또한, 상기 하부결속부재(250)는 중공인 각관(251)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각관(251)의 가운데가 좌,우로 분리되어 맞대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분리된 각관(251)의 내부에 보강각관(252)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보강각관(252)이 삽입된 각관(251)의 양측에 마개편(253)이 삽입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는 상기 각관(251)의 전방모서리에서 상부로 직립되게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고정부재(231)의 내부에 각각 보강리브(232)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부재(231)의 외측에 각관(251)과 평행한 상기 결속축(230)이 용접이음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의 전방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된 프론트 가이드(233)가 절곡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그리고 상기 상부결속부재(210)는 연장편(212)의 하부에 형성된 수평패널(211)이 확관되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수평패널(211)은 하부가 개방된 상부공간부(213)가 형성되어지게 " "형태로 절곡되어지며, 상부에 다수개의 수평관통홀(214)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결속부재(250)는 중공인 각관(251)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각관(251)의 가운데가 좌,우로 분리되어 맞대어지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분리된 각관(251)에 다수개의 제2수평관통홀(251a)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분리된 각관(251)에 삽입되는 보강각관(252)에 상기 제2수평관통홀(251a)에 대응되는 제1수평장홀(252a)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분리되어 맞대어진 각각의 각관(251) 타측에 마개편(253)이 삽입되어 용접이음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는 상기 각관(251)의 전방모서리에서 상부로 직립되게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고정부재(231)의 외측에 각관(251)과 평행한 결속축(230)이 용접이음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의 전방에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된 프론트 가이드(233)가 절곡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의 상부에 상부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경사편(234)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경사편(234)의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하부공간부(235)가 형성되어지게 ""형태로 절곡되어지고, 상기 하부공간부(235)의 바닥에 다수개의 제2수평장홀(236)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부공간부(231)와 하부공간부(235)에 수직관통홀(271)을 갖는 중공결합부재(270)가 삽입되어 볼트(B)로 착탈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본 발명은 쟁기, 회전경운기, 배토기, 파종기, 중경제초기, 비료살포기, 붐스프레이, 트레일러 등의 작업기 전방으로 길이가 가변되어지는 트랙터 결속구가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작업기에 결합된 트랙터 결속구가 트랙터의 후방의 작업기 결속구에 결속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기의 호환성을 높여 모든 형태와 구조 및 간격이 상이한 작업기가 하나의 트랙터에 사용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coupled to the tractor binding sphere that is variable in length to the front of the work machine such as plow, rotary tiller, plowing machine, seeding machine, early middle economy, fertilizer spreader, boom spray, trailer, and the tractor binding device coupled to the work machine By being bound to the work machine binding sphere at the rear of the tractor, the work machine compatibility can be increased to obtain an effect that work machines of all shapes, structures and intervals can be used in one tractor.
또한, 이를 통해 작업기에 결합된 트랙터 결속구가 트랙터에 결합된 작업기 결속구에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연이은 다른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is allows the tractor binding sphere coupled to the work machine to be quickly coupled and separated from the working combiner engagement sphere coupled to the tractor, so that successive other tasks can be made quickly, thereby increasing workability. .
그리고 장기간 작업하는 과정에서 트랙터 결속구에 변형이 발생될 경우, 부분적인 점검과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And if the deformation occurs in the tractor engagement sphere during the long-term work, it is possible to obtain a further effect that the partial inspection and replacement can be easily mad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에 의하여 작업기가 트랙터에 결속되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2a,2b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가 결합되어지는 작업기 결속구의 결속축 언록킹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a~4c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가 트랙터에 결속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6a,6b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ork machine is bound to a tractor by a detachable tractor binding device for a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2b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tachable tractor fastener for the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binding shaft unlocking portion of the working tool binding sphere is coupled to the separate tractor binding tool for the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to 4c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tractor binding sphere for the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ound to the tractor.
Figures 5a, 5b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etachable tractor fastener for the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a, 6b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etachable tractor fastener for the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 결속구(200)는 도1 내지 도4a~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T)에 작업기(W)를 용이하게 결속하여 작업기(W)의 기능에 따라 여러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트랙터 결속구(200)는 작업기(W)의 전방에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트랙터(T)의 후방에 미리 결합된 작업기 결속구(100)에 원터치식으로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To this end, the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 결속구(200)를 설명하기에 앞서 이러한 트랙터 결속구(200)가 결속 또는 결합되어지는 작업기 결속구(100)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First, prior to describing the
상기 작업기 결속구(100)는 하부가 개방된 ∩형 작업기 결속 프레임(110)의 중간에 트랙터(T)에 구비된 톱링크(T-1)와 트랙터 결속구(200)의 걸림축(220)이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후크(120)가 결합되어 있다.The work
상기 걸림후크(120)는 다수개의 관통홀(121)이 형성된 결합편(122)의 일측이 작업기 결속 프레임(110) 중간 상부에서 트랙터 후방 연결부(T')를 향하여 2열로 상향 배열되어지게 결합되어 톱링크(T-1)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핀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상기 결합편(122)의 타측은 작업기 결속 프레임(110)의 중간에서 작업기(W)를 향하여 2열로 하향 배열되어지게 후크홈(123)이 형성된 후크편(124)이 일체로 형성되어 걸림축(220)이 걸려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The other side of the
상기 후크편(124)의 끝이 내측을 향하여 맞대어지게 절곡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 후크홈(123)이 벌어지거나 선단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The end of the
상기 작업기 결속 프레임(110)의 양측인 하부 외측에는 트랙터(T)에 구비된 로워링크(T-2)에 일측이 결합되어지며 타측이 트랙터 결속구(200)의 결속축(230)이 삽입 고정되어지는 기능을 갖는 결속축 언록킹 고정부(130)가 결합되어있다.One side is coupled to the lower link (T-2) provided in the tractor (T)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working
상기 작업기 결속 프레임(110)의 상측 하부공간에는 조인트축 고정부(300)가 가변되어지게 결합되어 PTO(P)의 구동력이 작업기(W)로 전달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The joint
상기 결속축 언록킹부(130)는 트랙터 결속구(200)의 고정부재(231)에 구비된 결속축(230)이 결속축 삽입홈(131a)에 삽입되어짐과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결속축 삽입홈(131a)이 형성된 결속축 고정판(131)의 상부 내측이 작업기 결속 프레임(110)의 하부 외측에 맞대어져 용접이음되어지고, 상기 결속축 고정판(131)의 외측으로 형성된 힌지축(131b)에 언록킹 후크편(132)이 스프링(133)에 의하여 회동되게 결합되어있다.The binding
상기 결속축 삽입홈(131a)의 상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확관형태를 갖는 리어가이드편(131f)이 절곡되어 후술하는 트랙터 결속구(200)의 고정부재(231)에 형성된 프론트가이드(233)가 용이하게 안내되어지면서 삽입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결속축 고정판(131)의 하부에는 링크결합축(131c)이 양측이 노출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언록킹후크편(132)이 결합된 힌지축(131b)과 링크결합축(131c)에 언록킹 커버판(134)이 결합되어 볼트(B)로 고정되어 있다.A
상기 언록킹 후크편(132)은 일측 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고리형 후크부재(132a)의 타측에 힌지홀(132b)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힌지홀(132b)이 형성된 고리형 후크부재(132a)의 상부에 핸들(135)에 삽입되어지는 핸들결합편(132c)이 형성되어있다.The
상기 언록킹 커버판(134)은 일측 상부가 결속축 삽입홈(131a)의 상부 형태와 일치되는 가이드 후크편(134a)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언록킹 커버판(134)의 타측에 힌지홀(134b)과 링크홀(134c)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있다.The
상기 힌지홀(134b)과 링크홀(134c) 사이의 양측에는 볼트홀(134d)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볼트홀(134d)이 형성된 언록킹 커버판(134)과 결속축 고정판(131) 사이에 중공스페이서(136)가 개재된 상태로 볼트(B) 결합되어 언록킹 후크편(132)이 작동되어지는 과정에서 상호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언록킹 커버판(134)의 타측 상부에는 관통홀(134e)을 갖는 고정편(134f)을 절곡하여 상기 고정편(134f)이 결속축 고정판(131)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편(131d)에 맞대어져 볼트(B) 결합되어지고, 상기 힌지축(131b)과 링크결합축(131c)에 링홈(131e)을 형성하여 C링(136)이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side of the
상기 링크결합축(131c)은 트랙터(T)의 후방 하측으로 구비된 로워링크(T-2)에 결합되어지는 것으로 내,외측 단부에 스토퍼홀(137)을 형성하여 핀스토퍼(138)가 결합되어 로워링크(T-2)에서 링크결합축(131c)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핀스토퍼(138)는 핀스토퍼몸체(138a)의 상부에 양측으로 링삽입홈(138b)이 엇갈리게 형성된 핀스토퍼헤드(138c)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핀스토퍼몸체(138a)의 하부에 형성된 링홀(138d)에 일부가 절단된 링(138e)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링(138e)의 일측이 링홀(138b)에 삽입되어지며, 타측이 마주보는 다른 링홀(138b)에 삽입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Th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트랙터 결속구(200)는 쟁기, 회전경운기, 배토기, 파종기, 중경제초기, 비료살포기, 붐스프레이, 트레일러 등 모든 형태와 구조 및 간격이 상이하며 개별적인 작업이 가능한 다양한 모든 작업기(W)가 하나의 트랙터(T)에 신속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The tractor
이를 위해, 상기 트랙터 결속구(200)는 걸림축(220)의 양단이 결합된 상부결속부재(210)와, 결속축(230)을 갖는 고정부재(231)가 양측으로 결합된 하부결속부재(250) 및 상기 하부결속부재(250)의 양측에 결합된 가변결합편(240)으로 구성되어To this end, the
상기 상부결속부재(210)는 일측이 작업기 전방연결부(W')에 결합되어지면서 타측이 트랙터 후방연결부(T')에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수평패널(211)의 양측에 상부로 향하는 연장편(21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걸림축(220)의 양단이 연장편(212) 사이에서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 있다.The upper binding
상기 각각의 연장편(212) 모서리에는 제1관통홀(212a)을 형성하여 조절편(260)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일정 간격으로 각도가 조절되어 작업기 전방 연결부(W')에 용이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212a is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이를 위해, 상기 조절편(260)은 양측으로 형성된 제2관통홀(261) 사이에 장홈(262)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편(212)에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되어있다.To this end, the adjusting
상기 가변결합편(240)은 길이가 상이한 여러가지 형태의 작업기 전방 연결부(W')의 하부에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U볼트홀(241a)이 형성된 맞대기편(241)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을 갖는 높이조절홀(242a)이 형성된 고정편(242)이 맞대어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편(242)에 맞대어져 볼트결합되어지는 가변편(243)으로 구성되어있다.The
상기 가변편(243)은 일측에 고정볼트홀(243a)이 형성되어지며, 타측에 작업기 고정볼트홀(243b)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홀(243a)이 높이조절홀(242a)에 일치되어 볼트(B)로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하부결속부재(250)는 중공인 각관(251)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가변결합편(240)이 길이 방향을 따라 임의 길이로 가변되어지도록 한 것으로 상기 각관(251)의 내부에 보강각관(252)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보강각관(252)이 삽입된 각관(251)의 양측에 마개편(253)이 삽입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있다.The lower binding
상기 고정부재(231)는 각관(251)의 전방모서리에서 상부로 직립되게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의 내부에 각각 보강리브(232)가 결합되어있다.The fixing
상기 고정부재(231)의 외측에는 각관(251)과 평행한 상기 결속축(230)이 용접이음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의 전방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된 프론트 가이드(233)가 절곡되어 작업기 결속구(100)의 하부에 구비된 결속축 고정판(131)의 리어가이드(131f)에 안내되어지면서 결속축(230)이 결속축 삽입홈(131a)에 용이하게 삽입되어질 수 있게 된다.On the outside of the fixing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트랙터 결속구(200)를 이용하여 트랙터(T)에 작업기(W)가 결속되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binding the work machine (W) to the tractor (T) using the tractor binding hole (2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먼저, 트랙터(T)의 후방에 구비된 톱링크(T-1)에 작업기 결속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된 결합편(122) 사이가 삽입되어지도록 한 후 관통홀(121)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고정되어지도록 한다.First, the top link (T-1)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ractor (T-1) is inserted between the
다음, 결속축 언록킹부(130)에 구비된 링크결합축(131c)이 트랙터(T)의 후방에 구비된 로워링크(T-2)에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트랙터(T)의 후방에 작업기 결속구(100)가 결합되어지게 된다.Next, the linking
다음, 작업기(W)의 전방에 구비된 작업기 전방 연결부(W')에 트랙터 결속구(200)를 구성하는 상부결속부재(210)에 볼트(B)로 결합된 조절편(260)이 볼트로 고정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조절편(260)이 결합되어지는 과정에서 조절편(260)에 장홀(262)이 형성되어져 있음으로써 일정한 각도내에서 용이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게 된다.Next, the adjusting
다음, 하부결속부재(250)에 결합된 가변결합편(240)의 U볼트(244)를 풀어 맞대기편(241)이 하부결속부재(250)에 안내되어지면서 적당한 위치로 이동되어지도록 한 후 이때 가변편(243)에 형성된 작업기 고정볼트홀(243b)을 통해 볼트에 의하여 작업기(W)가 결합되어지도록 한 후 가변편(243)을 상하로 이동시켜 가변편(243)에 형성된 고정볼트홀(243a)과 고정편(242)에 형성된 높이조절홀(242a)을 일치시켜 볼트로 체결하는 것으로 트랙터 결속구(200)가 작업기(W)에 결합되어지게 된다.Next, after loosening the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각각 작업기 결속구(100)와 트랙터 결속구(200)가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트랙터(T)와 작업기(W)의 결합 과정은 다음과 같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coupling process of the tractor (T) and the working machine (W) in the state in which the working
먼저, 미도시한 유압실린더를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트랙터(T)의 후방에 구비된 톱링크(T-1)가 하부로 이동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기(W)의 전방에 구비된 트랙터 결속구(200)의 걸림축(220)이 후크편(124)의 선단에 걸려지도록 한 후 유압실린더를 다시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톱링크(T-1)가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선단에 걸려진 후크편(124)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후크홈(123)에 안착되어지게 된다(도3a에 도시됨).First, the tractor binding port provided in front of the work machine W in a state in which the top link T-1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ractor T is moved downward by driving the hydraulic cylinder not shown in the forward direction ( After the locking
다음, 후크편(124)이 후크홈(123)에 안착되어진 상태에서 유압실린더가 더 이동되면 결속축(230)이 결속축 고정판(131)의 결속축 삽입홈(131a)의 입구에 닫혀져 있는 고리형 후크부재(132a)를 상부로 밀어올림과 동시에 스프링(133)이 압축되어지면서 힌지축(131b)을 중심으로 고리형 후크부재(132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결속축 삽입홈(131a)의 입구측이 개방됨으로써, 결속축(230)이 삽입되어지게 된다.Next, when the hydraulic cylinder is further moved while the
다음, 결속축(230)이 삽입됨과 동시에 스프링(133)이 복원력에 의하여 고리형 후크부재(132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된 결속축 삽입홈(131a)의 입구측에 닫혀지게 됨에 따라 결속축(230)이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으로 트랙터(T)에 작업기(W)가 결합되어지게 된다.Next, as the
이후, 필요한 작업을 마친 후 트랙터(T)와 작업기(W)의 분리는 핸들(135)을 시계방향으로 누름과 동시에 역동작을 통해 분리되어지게 된다.Thereafter, after the necessary work is completed, the tractor T and the work machine W are separated by pressing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트랙터 결속구(200)를 구성하는 트랙터 결속부재(250)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각관(251)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관(251)이 분리된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상기 하부결속부재(250)는 중공인 각관(251)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각관(251)의 가운데가 좌,우로 분리되어 맞대어질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binding
상기 분리된 각관(251)의 내부에는 보강각관(252)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보강각관(252)이 삽입된 각관(251)의 양측에 마개편(253)이 삽입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 보강강관(252)가 분리됨과 동시에 외부로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 고정부재(231)는 상기 각관(251)의 전방모서리에서 상부로 직립되게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의 내부에 각각 보강리브(232)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부재(231)의 외측에 각관(251)과 평행한 상기 결속축(230)이 용접이음되어있다.The fixing
상기 고정부재(231)의 전방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된 프론트 가이드(233)가 절곡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각관(250)이 서로 분리되어져 있음으로써, 제조와 보관 및 결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부분적인 파손의 경우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트랙터 결속구(200)를 구성하는 트랙터 결속부재(250)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각관(251)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관(251)이 분리된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상기 상부결속부재(210)는 연장편(212)의 하부에 형성된 수평패널(211)이 확관되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수평패널(211)은 하부가 개방된 상부공간부(213)가 형성되어지게 " "형태로 절곡되어지며, 상부에 다수개의 수평관통홀(214)이 형성되어있다.The upper binding
상기 하부결속부재(250)는 중공인 각관(251)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각관(251)의 가운데가 좌,우로 분리되어 맞대어지게 형성되어있다.The lower binding
상기 분리된 각관(251)에는 다수개의 제2수평관통홀(251a)이 형성되어지며,상기 분리된 각관(251)에 삽입되는 보강각관(252)에 상기 제2수평관통홀(251a)에 대응되는 제1수평장홀(252a)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볼트(B)로 결합되어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second horizontal through
상기 분리되어 맞대어진 각각의 각관(251) 타측에 마개편(253)이 삽입되어 용접이음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는 상기 각관(251)의 전방모서리에서 상부로 직립되게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있다.The
상기 고정부재(231)의 외측에는 각관(251)과 평행한 결속축(230)이 용접이음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의 전방에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된 프론트 가이드(233)가 절곡되어 있다. On the outer side of the fixing
상기 고정부재(231)의 상부에는 상부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경사편(234)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경사편(234)의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하부공간부(235)가 형성되어지게 ""형태로 절곡되어지고, 상기 하부공간부(235)의 바닥에 다수개의 제2수평장홀(236)이 형성되어 있다.An upper portion of the fixing
상기 상부공간부(231)와 하부공간부(235)에 수직관통홀(271)을 갖는 중공결합부재(270)가 삽입되어 볼트(B)로 착탈되게 결합되어 있다.The
이러한 경우, 트랙터 결속구의 제조와 보관 및 결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결속강도가 더 높아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부분적인 파손의 경우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manufacture and storage of the tractor fasteners and the binding and easy to be made at the same time the binding strength can be higher, and in the case of partial breakage can be made easy to check and replace.
200:트랙터 결속구 210:상부결속부재
211:수평패널 212:연장편
212a:제1관통홀 220:걸림축
230:결속축 231:고정부재
240:가변결합편 241:맞대기편
241a:U볼트홀 242:고정편
242a:높이조절홀 243:가변편
243a:고정볼트홀 243b:고정볼트홀
250:하부결속부재 260:조절편
261:제2관통홀 262:장홈200: tractor binding port 210: upper binding member
211: horizontal panel 212: extension
212a: first through hole 220: jamming shaft
230: binding shaft 231: fixing member
240:
241a: U bolt hole 242: fixed
242a: Height adjustment hole 243: Variable version
243a: Fixed
250: lower binding member 260: adjustment piece
261: second through hole 262: long groove
Claims (4)
상기 트랙터 결속구(200)는 걸림축(220)의 양단이 결합된 상부결속부재(210)와, 결속축(230)을 갖는 고정부재(231)가 양측으로 결합된 하부결속부재(250) 및 상기 하부결속부재(250)의 양측에 결합된 가변결합편(240)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상부결속부재(210)는 수평패널(211)의 양측에 상부로 향하는 연장편(212)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축(220)의 양단이 연장편(212) 사이에서 용접이음되어지고, 상기 각각의 연장편(212) 모서리에 제1관통홀(212a)을 형성하여 조절편(260)이 맞대어지며, 상기 조절편(260)은 양측으로 형성된 제2관통홀(261) 사이에 장홈(262)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편(212)에 맞대어져 볼트(B)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가변결합편(240)은 U볼트홀(241a)이 형성된 맞대기편(241)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을 갖는 높이조절홀(242a)이 형성된 고정편(242)이 맞대어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편(242)에 맞대어져 볼트결합되어지는 가변편(243)으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가변편(243)은 일측에 고정볼트홀(243a)이 형성되어지며, 타측에 작업기 고정볼트홀(243b)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홀(243a)이 높이조절홀(242a)에 일치되어 볼트(B)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In the detachable tractor binding sphere 200 for the working machine in which the working machine is bound to the working machine binding hole 100 coupled to the tractor,
The tractor binding port 200 has an upper binding member 21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locking shaft 220, and a lower binding member 250 having a fixing member 231 having the binding shaft 230 coupled to both sides. Consists of a variable coupling piece 24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binding member 250, the upper binding member 210 forms an extension piece 212 directed to the upper side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anel 211 Both ends of the engaging shaft 220 is welded between the extension pieces 212, the first through-hole 212a is formed in the corner of each of the extension pieces 212, the adjusting piece 260 abuts, The adjusting piece 260 has a long groove 262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through hole 261 formed on both sides is coupled to the extension piece 212 by a bolt (B), the variable coupling piece 240 ) Is a welded joint with the fixing piece 242 formed with the height adjustment hole 242a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perpendicular to the butt piece 241 on which the U bolt hole 241a is formed. It is composed of a variable piece (243) that is combined and bolted to the fixing piece 242, the variable piece (243) is a fixed bolt hole (243a) is formed on one side, the working machine on the other side The fixed bolt hole (243b) is formed so that the fixed bolt hole (243a) is matched to the height adjusting hole (242a) bolts (B) coupled to the work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상기 하부결속부재(250)는 중공인 각관(251)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각관(251)의 내부에 보강각관(252)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보강각관(252)이 삽입된 각관(251)의 양측에 마개편(253)이 삽입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는 상기 각관(251)의 전방모서리에서 상부로 직립되게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고정부재(231)의 내부에 각각 보강리브(232)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부재(231)의 외측에 각관(251)과 평행한 상기 결속축(230)이 용접이음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의 전방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된 프론트 가이드(233)가 절곡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binding member 250 is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hollow tube 251 is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inforcement tube 252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tube 251, the reinforcement angle tube A stopper piece 253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tube 251 into which the 252 is inserted, and the stopper piece 253 is coupled to the welding joint, and the fixing member 231 is welded to be erected upwardly from the front edge of the tube 251. Is coupled to, but each of the reinforcing ribs 232 ar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xing member 231, the binding shaft 230 in parallel with the square tube 251 on the outside of the fixing member 231 is welded The front tractor 233 is b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guide 233 is bent in the form of narrowing toward the front inward of the fixing member (231).
상기 하부결속부재(250)는 중공인 각관(251)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각관(251)의 가운데가 좌,우로 분리되어 맞대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분리된 각관(251)의 내부에 보강각관(252)이 삽입되어지고, 상기 보강각관(252)이 삽입된 각관(251)의 양측에 마개편(253)이 삽입되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는 상기 각관(251)의 전방모서리에서 상부로 직립되게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고정부재(231)의 내부에 각각 보강리브(232)가 결합되어지며, 상기 고정부재(231)의 외측에 각관(251)과 평행한 상기 결속축(230)이 용접이음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의 전방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된 프론트 가이드(233)가 절곡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binding member 250 is formed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hollow tube 251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enter of the tube 251 is formed to be separated to the left, right to face, the separated The reinforcement angle tube 252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angle tube 251, and the stopper piece 253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angle tube 251 into which the reinforcement angle tube 252 is inserted to be joined by a welding joint. The member 231 is coupled to the welding joint to be upright from the front edge of the tube 251, the reinforcing ribs 232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xing member 231, the fixing member 231 The binding shaft 230 parallel to the square tube 251 is welded, the front guide 233 is bent in the form of narrowing toward the front inward of the fixing member 231 on the outside of the) Tractor attachments for work tools.
상기 상부결속부재(210)는 연장편(212)의 하부에 형성된 수평패널(211)이 확관되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수평패널(211)은 하부가 개방된 상부공간부(213)가 형성되어지게 " "형태로 절곡되어지며, 상부에 다수개의 수평관통홀(214)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하부결속부재(250)는 중공인 각관(251)의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각관(251)의 가운데가 좌,우로 분리되어 맞대어지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분리된 각관(251)에 다수개의 제2수평관통홀(251a)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분리된 각관(251)에 삽입되는 보강각관(252)에 상기 제2수평관통홀(251a)에 대응되는 제1수평장홀(252a)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분리되어 맞대어진 각각의 각관(251) 타측에 마개편(253)이 삽입되어 용접이음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는 상기 각관(251)의 전방모서리에서 상부로 직립되게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고정부재(231)의 외측에 각관(251)과 평행한 결속축(230)이 용접이음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의 전방에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된 프론트 가이드(233)가 절곡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231)의 상부에 상부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경사편(234)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경사편(234)의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하부공간부(235)가 형성되어지게 ""형태로 절곡되어지고, 상기 하부공간부(235)의 바닥에 다수개의 제2수평장홀(236)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상부공간부(231)와 하부공간부(235)에 수직관통홀(271)을 갖는 중공결합부재(270)가 삽입되어 볼트(B)로 착탈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용 분리형 트랙터 결속구.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binding member 210 is formed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horizontal panel 211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piece 212 is expanded, the horizontal panel 211 is the upper space portion 213 of the lower open To be formed " "Bent in the form, a plurality of horizontal through holes 214 are formed on the upper, the lower binding member 250 is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hollow tube 251 is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The center of the corner tube 251 is separated into left and right sides to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but a plurality of second horizontal through holes 251a are formed in the separated corner tube 251, and the separated corner tube 251 is formed. A first horizontal length hole 252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horizontal through hole 251a is formed to penetrate the reinforcement angle tube 252 inserted into the reinforcement angle tube 252, and a plug piece is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respective square tube 251 facing each other. 253 is inserted into the welding joint, and the fixing member 231 is coupled to the welding joint so as to be erected upwardly from the front edge of the square tube 251, but the square tube 251 is outside of the fixing member 231. Binding axis 230 parallel to the weld is welded, in front of the fixing member 231 The front guide 233 extending in the form narrowing toward the inside is bent, the inclined piece 234 narrowing toward the upper inner sid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231, the inclined piece 234 The lower space portion 235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 "Bent in the shape, a plurality of second horizontal holes 236 ar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lower space portion 235, and vertical through holes 271 in the upper space portion 231 and the lower space portion 235 Separating tractor binding sphere for a work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coupling member 270 having a) is inserted and detached by a bolt (B).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9919A KR101137431B1 (en) | 2010-02-03 | 2010-02-03 | Discrete type tractor binding equipment for farm working machin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9919A KR101137431B1 (en) | 2010-02-03 | 2010-02-03 | Discrete type tractor binding equipment for farm working machiner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0241A true KR20110090241A (en) | 2011-08-10 |
KR101137431B1 KR101137431B1 (en) | 2012-04-20 |
Family
ID=4492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9919A Expired - Fee Related KR101137431B1 (en) | 2010-02-03 | 2010-02-03 | Discrete type tractor binding equipment for farm working machine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743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3853Y1 (en) * | 2013-09-30 | 2014-08-06 | 서기철 | Farm working machinery changing device for trac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6932B1 (en) | 2014-07-23 | 2016-09-12 | 이리중 | Connecting devices for power transmission to tie a working machine |
KR101722298B1 (en) | 2014-07-23 | 2017-04-11 | 이리중 | Connecting devices to tie a working machine |
KR101760173B1 (en) | 2015-03-11 | 2017-07-20 | 이리중 | Tractor connect a device with a position variable working machine solidarity device |
KR102728787B1 (en) * | 2024-01-03 | 2024-11-14 | (주)이지솔루션 | Rear detaper for tractors with attachment connector with improved upper and lower connections |
KR102779485B1 (en) * | 2024-02-21 | 2025-03-12 | 김영석 | Tractor-operated Worker Connection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3755Y1 (en) * | 2006-01-10 | 2006-04-13 | 김문수 | Attachment for tractor implements |
KR200416471Y1 (en) * | 2006-03-03 | 2006-05-15 | 김문수 | Attachment for tractor implements |
KR20090071379A (en) * | 2008-12-03 | 2009-07-01 | 오재열 | Work tool connector |
KR20090007111U (en) * | 2009-06-22 | 2009-07-13 | 서경진 | Tractor Work Link Traction Device |
-
2010
- 2010-02-03 KR KR1020100009919A patent/KR10113743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3853Y1 (en) * | 2013-09-30 | 2014-08-06 | 서기철 | Farm working machinery changing device for tra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7431B1 (en) | 2012-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69252B1 (en) | Tractor farm working machinery binding equipment | |
KR100958602B1 (en) | Tractor binding equipment for farm working machinery | |
KR101137431B1 (en) | Discrete type tractor binding equipment for farm working machinery | |
EP3146820B1 (en) | Harrow attachment and implement with such an attachment | |
US9999172B2 (en) | Agricultural tillage implement wheel control | |
US10076072B2 (en) | Tillage implement with intra-wing gang offset | |
US11039564B2 (en) | Agricultural tillage implement wheel control | |
US10045475B2 (en) | Roller basket finishing attachment | |
US10194573B2 (en) | Anti-tangle harrow attachment | |
US10420271B2 (en) | Fully adjustable lift system | |
US4318444A (en) | Telescoping hinge member on rearwardly folding tool bar | |
WO2012166551A2 (en) | Grabber accessory for prime mover | |
US9072215B2 (en) | Method for making a tube joint in an agricultural implement frame | |
RU2571053C1 (en) | Fastening device with configuration of double cut for frame elements of agricultural tillage tool | |
US9090137B2 (en) | Adjustable ballasted pull hitch | |
KR101584452B1 (en) | farming device for farm work | |
US5351761A (en) | Field stone collection apparatus | |
EP3659412A1 (en) | A cultivator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 ground tool to a tool carrying structure | |
JP5300165B1 (en) | Lateral shank assembly of cultivator medial beam | |
KR101036065B1 (en) | Tractor straps | |
US20210400862A1 (en) | Cultivator | |
US20130092407A1 (en) | Tube Joint in Implement Frame | |
CA3209958A1 (en) | Harrow implement | |
KR100969251B1 (en) | Jonit for tractor farm working machinery binding | |
KR20180104532A (en) | Coupling apparatus for working-machinery of tra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