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726A - Shoes with removable straps - Google Patents
Shoes with removable strap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87726A KR20110087726A KR1020100007292A KR20100007292A KR20110087726A KR 20110087726 A KR20110087726 A KR 20110087726A KR 1020100007292 A KR1020100007292 A KR 1020100007292A KR 20100007292 A KR20100007292 A KR 20100007292A KR 20110087726 A KR20110087726 A KR 201100877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corative
- belt
- decoration
- shaped
- hoo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4—Ornamental buckles;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out fastening fun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에 관한 것으로, 발바닥을 제외한 발 윗부분을 선택적으로 둘러싸는 갑피; 발바닥이 놓여 지도록 상기 갑피의 하단에 부착되는 창; 상기 창의 저면 뒤쪽에 부착되어 뒤꿈치를 받치도록 되어 있는 굽; 상기 갑피의 전반부에 길게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장식 고정부; 및 상기 장식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심미감을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띠형 장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두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띠형 장식부에 의해 매우 간편하고 자유롭게 구두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기존의 구두가 가지고 있는 장식성의 한계를 뛰어넘어 패션 소품으로서의 구두의 기능이나 성능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a removable belt-like decoration, the upper selectively surrounding the upper part of the foot except the sole; A window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to place the sole of the foot; A heel attached to the rear of the bottom of the window to support the heel; One or more decorative fixings arranged elongated in the first half of the upper; And at least one belt-shaped decorative part detachably mounted to the decorative fixing part to impart an aesthetic feeling.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lt-shaped decorative part detachably fixed to the front of the shoe is very simple and It is possible to freely improve the aesthetics of shoes, and thus, it is possible to greatly increase th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shoes as a fashion accessory beyond the decorative limits of existing sho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겉창 이나 갑피 등 구두 앞쪽의 아래쪽 테두리 부분 또는 앞날개나 옆날개 등 구두 앞쪽 윗부분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된 장식 고정부와, 이 장식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띠형 장식부에 의해 구두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a removable belt-shaped decoration, and more particularly, a decorative fixing part formed at an arbitrary position of a lower edge of the front of the shoe such as an outsole or upper or an upper part of the shoe such as a front wing or a side wing, and the deco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having a detachable belt-like decoration so as to enhance the aesthetics of the shoe by a belt-shaped decoration unit detachably fixed to the fixing unit.
일반적으로 구두는 남자용과 여자용 즉, 신사화와 숙녀화로 나누어지며, 신사화는 다시 옥스포드(Oxford), 슬립온(slip-on), 부츠(boots), 몽크(monk) 등으로 대별되는 바, 이 중에서 옥스포드 타입은 다시 옥스퍼드(Oxford), 발모랄(Balmoral), 부르처(Burcher), 원피스 뱀프(one piece vamp), 브러그(Brogue) 등으로 구분되고, 슬립온 타입에는 슬립온, 스텝인(step-in), 로퍼(loafer), 모카신(moccasin) 등이 있으며, 부츠는 또한 앵클부츠, 하프부츠, 롱부츠 등으로 구분되며, 앞날개 즉, 뱀프(vamp)의 팁 모양에 따라 플레인 토우(plain toe), 윙팁(wing tip), 스트레이트팁(straight tip), 유팁(u-tip), 모카팁(mocca tip), 월모카팁(wirl mocca tip), 센터씸(center seam), 메달리온(medallion to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Shoes are generally divided into men's and women's shoes, such as men's shoes and ladies' shoes, and shoes are divided into oxford, slip-on, boots, and monk. Oxford types are divided into Oxford, Balmoral, Burcher, one piece vamp, and Brogue. Slip-on types include slip-on and step-in. in, loafer, moccasin, etc. Boots are also divided into ankle boots, half boots, long boots, etc., and plain to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ip of the front wing, or vamp. , Wing tip, straight tip, u-tip, mocca tip, mocca tip, center seam, medallion toe, etc. It can be divided into
그런데, 위와 같은 신사화는 다양한 종류의 악세사리를 고정 또는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숙녀화에 비해 예컨대, 도 1에 도면부호 201로 도시된 부르처와 같이 대부분 갑피(202), 창(203), 및 굽(204) 등의 기본적인 요소로만 이루어져 형태와 색상이 단조로울 뿐만 아니라, 특히 부르처(201)와 같이 갑피(202)의 옆날개(206) 즉, 쿼터(quarter)의 앞부분이 앞날개(208)와 이어진 혀(211) 위까지만 오도록 디자인된 경우, 앞날개(208) 앞부분에 장식 무늬마저 없다면 구두 전반부의 디자인이 너무 단조롭게 되어 심미감이 떨어지고, 쉽게 식상함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the above-mentioned gentleman shoes are mostly upper 202, spear 203, and the like, such as the bourcher shown by reference numeral 201 in FIG. 1, compared to a lady's shoe which is fixed or detachably equipped with various kinds of accessories. It is composed of only basic elements such as the heel 204, and is not only monotonous in shape and color. In particular, the lateral wing 206 of the upper 202, that is, the front part of the quarter, such as the bourcher 201, is the front wing 208, If it is designed to only come up over the tongue 211, if there is no decorative pattern on the front of the front wing 208, the design of the first half of the shoe is too monotonous to drop the aesthetics, there was a problem causing easy eating.
이에 따라, 예컨대, 도 2에 도면부호 301로 도시된 메달리온 윙팁 브러그 또는 도 3에 도면부호 401로 도시된 로퍼와 같이 장식성이 강조된 신사화가 제안된 바, 브러그(301)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코싸게(313) 즉, 토캡(toe cap)이 좌우로 길게 윙팁을 형성하고, 아울러 코싸게(313) 중앙에 일정 패턴을 갖는 복수의 구멍(316)으로 메달리온 장식을 형성함으로써, 또 로퍼(401)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발등을 조이도록 혀(411) 아래쪽에 부착된 고어(gore;미도시)를 덮고 있는 밴드(417) 위에 무늬(418)를 넣거나 술(419)을 부착함으로써 장식성을 높이고자 하나, 브러그(301)의 윙팁을 형성하는 코싸게(313)나 메달리온 장식을 형성하는 복수의 구멍(316) 또는 로퍼(401)의 무늬(418)와 술(419) 들은 각각의 갑피(302,402)에 고정된 것으로 착탈은 물론 교체도 어렵기 때문에, 시간 경과에 비례하여 식상함을 증대시키게 되는 바, 이들 브러그(301)나 로퍼(401)도 마찬가지로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여자용 구두 즉, 숙녀화에 비해 심미감이 크게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패션의 소품으로서 저마다 개성을 표출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등 디자인적으로 일정한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for example, a decorative embellishment is proposed, such as a medallion wingtip blog shown by
또한, 숙녀화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꽃송이, 브로치, 또는 띠 형태의 장식들은 꽃송이나 브로치의 경우 비교적 모양이 복잡하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보관이나 관리가 불편하고, 단가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고, 따라서 다수개의 장식을 구비하기 어렵기 때문에 구두의 장식성을 다채롭게 구현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클 등에 의해 구두와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장식의 경우 장식의 착탈이 원터치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착탈에 따른 불편이 클 뿐만 아니라, 장식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대형이라 장식을 떼어낸 때 고정부로 인해 구두의 외관이 크게 악화되므로 장식을 떼고는 구두를 착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flowers, brooches, or strips of ornaments that are detachably mounted on ladies shoes have a problem that storage or management is inconvenient and expensive because of their complexity and size in the case of flowers or brooches. Since the decoration is difficult to provid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decorativeness of the shoes colorfully.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decoration in which the shoe is fixed by the buckle or the like, since the de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decoration is not made in one-touch,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detachment is not only large. Since the appearance of the shoes is greatly deteriorated, it was difficult to wear the shoes after removing the decorations.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구두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갑피를 이루는 갑혁의 임의의 위치에 다양한 재질, 형태 및 색상으로 제작된 띠형 장식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두의 장식성을 높이고, 따라서, 소비자가 오래 동안 실증을 느끼지 않고 자신만의 개성을 십분 살려 구두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hoes as described above, by decorating the straps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shapes and colors in any position of the upper leather that makes the upper removable The purpose is to allow consumers to wear their shoes by making full use of their own personality without feeling substantiated for a long time.
또한, 위와 같이 띠형 장식부를 장착함에 있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원터치로 띠형 장식부의 착탈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other object to enable the detachable operation of the strip-shaped decoration in a quick and simple one-touch in mounting the strip-shaped decoration as described above.
또한, 띠형 장식부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구두의 외관이 크게 저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비자 즉, 착용자의 기호에 따라 띠형 장식부를 장착하지 않고도 구두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other object to be able to wear the shoe without wearing the belt-shaped decoration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consumer, that is, the wearer,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shoe is not significantly reduced even without the belt-shaped decoration.
또한, 띠형 장식부의 구조를 교체부와 비교체부로 세분화함으로써 교체부만으로 장식성에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띠형 장식부를 구비하여 보관하는 데 따르는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subdividing the structure of the strip-shaped decorative parts into replacement parts and non-compartment parts there is another object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having a large number of strip-shaped decorative parts by changing the decorative properties only by replacement parts. .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바닥을 제외한 발 윗부분을 선택적으로 둘러싸는 갑피; 발바닥이 놓여 지도록 상기 갑피의 하단에 부착되는 창; 상기 창의 저면 뒤쪽에 부착되어 뒤꿈치를 받치도록 되어 있는 굽; 상기 갑피의 전반부에 길게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장식 고정부; 및 상기 장식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심미감을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띠형 장식부;로 이루어지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surrounds the upper portion of the foot except the sol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indow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to place the sole of the foot; A heel attached to the rear of the bottom of the window to support the heel; One or more decorative fixings arranged elongated in the first half of the upper; And at least one belt-shaped decorative part detachably mounted to the decorative fixing part to impart an aesthetic sense.
또한, 상기 장식 고정부는, 상기 갑피의 전반부에서 상기 띠형 장식부를 끼워 넣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벽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끼워진 상기 띠형 장식부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corative fixing portion,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concave to fit the belt-shaped decor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upper; And fix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wal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to restrain the belt-shaped decorative part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또한, 상기 장식 고정부는 상기 갑피의 전반부에 능선을 따라 길게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corative fixing portion is preferably arranged long along the ridge on the first half of the upper.
또한, 상기 장식 고정부는 상기 갑피의 전반부에서 상기 띠형 장식부를 끼워 넣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의 벽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끼워진 상기 띠형 장식부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corative fixing portion recessed insertion groove formed to fit the belt-shaped decoration in the first half of the upper; And fix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wal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to restrain the belt-shaped decorative part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삽입홈의 양측면을 따라 배열되도록 상기 양측면 일측에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이며, 상기 띠형 장식부는 상기 돌기와 정합되도록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is one or more protrusions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both sides to be arranged along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the strip-shaped decoration is preferably formed with one or more fitting groov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so as to match the protrusion. Do.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과 상기 띠형 장식부의 저면에 상호 대응하도록 부착되는 벨크로테입, 스냅버튼, 또는 자성체쌍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is preferably any one selected from a Velcro tape, a snap button, or a magnetic pair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ip-shaped decoration.
또한, 상기 장식 고정부는 상기 갑피의 전방과 상기 띠형 장식부의 저면에 상호 대응하도록 부착되는 벨크로테입, 스냅버튼, 또는 자성체쌍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corative fixing unit is preferably any one selected from the front of the upp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elt-shaped decoration is selected from a Velcro tape, a snap button, or a magnetic pair.
또한, 상기 띠형 장식부는, 자체의 형상, 무늬, 색상을 통해 심미감을 유발하는 박형 장식재; 및 상기 박형 장식재를 수납하도록 외체를 이루고 있는 스트랩;으로 구성되되, 상기 스트랩은 상기 박형 장식재가 착탈식으로 수납되는 개폐 가능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기 박형 장식재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불투명하지 않은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rip-shaped decoration, a thin decorative material that induces aesthetics through its shape, pattern, color; And a strap forming an outer body to accommodate the thin decorative material, wherein the strap forms an openable and openable storage space in which the thin decorative material is detachably received, and the thin decorative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space is visible from the outside. It is desirable to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opaque.
또한, 본 발명은 발바닥을 제외한 발 윗부분을 선택적으로 둘러싸는 갑피; 발바닥이 놓여지도록 상기 갑피의 하단에 부착되는 창; 상기 창의 바닥면 뒤쪽에 부착되어 뒤꿈치를 받치도록 되어 있는 굽; 상기 갑피 또는 상기 창 위에 배치된 복수의 걸이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각의 걸이는 상호 이격지도록 배열되어 있는 장식 고정부; 및 상기 장식 고정부의 각 걸이에 말단의 고정단이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장식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심미감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는 띠형 장식부;로 이루어지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upper for selectively surrounding the upper part of the foot except the sole; A window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to place the sole of the foot; A heel attached to the rear of the bottom of the window to support the heel; A decorative fixing part comprising a plurality of hooks disposed on the upper or the window, wherein the hook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belt-shaped decorative part detachably mounted to the decorative fixing part by attaching the fixed ends of the ends to respective hooks of the decorative fixing parts, respectively, to impart an aesthetic sense.
또한, 상기 장식 고정부는 상기 갑피의 전반부 일측 또는 상기 창의 전반부 일측에 배치된 제1 걸이와 상기 갑피의 전반부 타측에 배치된 제2 걸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걸이와 상기 제2 걸이는 상호 이격지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corative fixing part may include a first hook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r one front part of the window and a second hook disposed on the oth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wherein the first hook and the second hook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m.
또한, 상기 제1 걸이와 상기 제2 걸이는 상기 갑피의 능선을 따라 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hook and the second hook are preferably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ridge line of the upper.
또한, 상기 걸이는 체결부위가 상기 띠형 장식부의 상기 고정단을 걸도록 암형으로 또는 상기 고정단에 걸리도록 수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고정단은 체결부위가 상기 장식 고정부의 상기 걸이에 걸리도록 수형으로 또는 상기 걸이를 걸도록 암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ok is of a male shape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is hooked to the fixed end of the belt-shaped decorative portion or is male to be caught on the fixed end, the fixed end is a male type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is caught on the hook of the decorative fix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female type so that it may hang on the said hook.
또한, 상기 걸이 및 상기 고정단의 상기 암형 체결부위는 트인 슬롯 또는 환형체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암형 체결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걸이 및 상기 고정단의 상기 수형 체결부위는 멈치고리 또는 갈고리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emale fastening portion of the hook and the fixed end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open slot or the annular body, and the male fastening portion of the hook and the fixed end corresponding to the female fastening portion at the stop or hook It is preferably one selected.
또한, 상기 띠형 장식부는 탄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elt-shaped decoration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또한, 상기 띠형 장식부는, 심미감을 유발하는 박형 장식재; 및 상기 박형 장식재를 착탈식으로 수납할 수 있는 개폐 가능한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외체를 이루는 스트랩;으로 구성되며, 상기 박형 장식재는 자체의 형상, 무늬, 색상을 통해 심미감을 유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트랩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기 박형 장식재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불투명하지 않은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rip-shaped decoration, a thin decorative material for inducing aesthetics; And a strap forming an outer body to form an opening and closing storage space for detachably storing the thin decorative material, wherein the thin decorative material is configured to cause an aesthetic sense through its shape, pattern, and color.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n decorative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opaque to be seen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걸이 또는 상기 고정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은 체결부위가 나머지 다른 걸이 또는 고정단 중 대응하는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체결부위를 파지하는 집게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hook or the fixed end is a clamp for holding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other hook or the fixed en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fastening portions.
또한, 상기 걸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고정단 중 대응하는 적어도 어느 한 쪽과의 사이에 벨크로테입, 스냅버튼, 또는 자성체쌍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y one selected from a Velcro tape, a snap button, or a magnetic pair is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hooks with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fixed ends.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에 의하면, 구두 특히, 악세사리 등과 같은 추가적인 또는 별체의 장식물에 의한 장식이 드문 남자용 구두에 있어서 구두의 전면에 심플한 형태, 색상, 무늬를 갖는 띠형 장식부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띠형 장식부의 보관이나 소지 또는 관리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므로, 구두의 심미감을 제고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구두의 장식성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지금까지 가지고 있던 디자인 상의 한계와 장식성의 한계를 크게 뛰어넘는 미적이고 편리한, 그러면서도 착용자로 하여금 식상함을 느끼지 않고 자신의 개성을 십분 표출할 수 있는 구두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hoe with a removable belt-shaped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men's shoes rarely decorated with additional or separate ornaments, such as accessories, etc., the belt-shaped decorative part having a simple form, color, and pattern on the front of the shoe is detachable. As it becomes possible to attach it as much as possible, the storage, possession, and management of the belt-shaped decoration can be made simpler, so that the aesthetics of the shoe can be enhanced and the shoe can be freely changed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shoes that are aesthetically convenient and far beyond the limits of design and decorativeness that have existed so far, yet allow the wearer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without feeling sick.
또한, 본 발명의 구두에 의하면, 띠형 장식부를 구두 갑피에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원터치로 결합 또는 해제되므로, 띠형 장식부의 교체가 빈번히 이루어지더라도 띠형 장식부의 착탈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ing means for detachably fixing the belt-shaped decorative part to the shoe upper is coupled or released with one touch, even if the belt-shaped decorative part is frequently replaced,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removal of the belt-shaped decorative part can be minimized. do.
또한, 본 발명의 구두에 의하면, 띠형 장식부를 구두에 고정하는 장식 고정부가 암형 또는 수형으로 짝을 이루어 효과적인 결합을 구현하여 장식 고정부의 소형화 또는 디자인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띠형 장식부를 떼어낸 상태에서도 장식 고정부로 인한 구두 외관의 저하를 염려하지 않고 구두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rativ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belt-shaped decorative part to the shoe paired with a female or male to implement an effective coupling, so that the decorative fixing portion can be miniaturized or designed, even in the state of removing the decorative strip It is possible to wear shoes without worrying about deterioration of the appearance of the shoes due to the decorative fixing part.
더욱이, 본 발명의 구두에 의하면, 띠형 장식부 자체를 전적으로 미감을 부여하는 역할만 하는 교체부분과 이 교체부를 수납하여 구두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교체가 필요 없는 부분으로 구분함으로써 소형의 교체부분만을 다수로 구비할 수 있게 되므로, 다수의 띠형 장식부를 구비하는 데 따르는 비용 상의 부담이나 관리 상의 불편 등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mall replacement part can be divided into a replacement part which only serves to give the aesthetic appearance to the belt-shaped part itself and a part which does not need to be replaced to store and fix the replacement part to the shoe. Since it can be provided in a large number,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cost burden and administrative inconvenience caus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trip-shaped decorative parts.
도 1은 부르처 타입의 남자용 구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메달리온 윙팁 브러그 타입의 남자용 구두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로퍼 타입의 남자용 구두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인 토우 형태의 브루처 타입 남자용 구두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장식 고정부로부터 띠형 장식부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장식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해 갑피의 발등 부위를 절단한 부분 절결 사시도.
도 7은 플레인 토우 형태의 로퍼 타입 남자용 구두로서, 2개의 띠형 장식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하여 장식 고정부와 띠형 장식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1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남자용 구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장식 고정부가 갑피의 표면에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남자용 구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7은 도 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띠형 장식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8은 암형 또는 수형 장식 고정부에 의해 띠형 장식부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남자용 구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다른 실시예로서, T자형 띠형 장식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도 18의 구두 전방에 형성된 장식 고정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21은 도 18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개략도.
도 22는 도 18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3은 도 18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개략도.
도 24는 도 18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개략도.
도 25는 도 18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6은 도 18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확대 개략도.
도 27은 도 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8은 도 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9는 도 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0은 도 18 내지 도 29에 도시된 띠형 장식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n's shoes of the chercher typ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men's shoes of the medallion wingtip blog typ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afer type men's shoes.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unch type men's shoes in the form of a plain t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ip-shaped decorative part is removed from the decorative fixing part in FIG.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instep of the upper to illustrate the decorative fastening of FIG.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loafers of a plain toe type loafers having two belt-shaped decorations; FIG.
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FIG. 6 showing a decorative fixing portion and a strip-shaped decorative portion.
9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8.
10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FIG. 8.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en's shoe according to the invention shown in Figures 4-6.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en's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rative fix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upper.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rip-shaped decoration shown in Figures 4 to 16.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mal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apted to secure a belt-shaped decoration by a female or male decorative fixing.
1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shaped decorative strip is provided as another embodiment of FIG. 18.
20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decorative fixing part formed on the front of the shoe of FIG. 18;
FIG. 21 is a partially enlarged schematic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18; FIG.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18; FIG.
FIG. 23 is a partially enlarged schematic view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FIG. 18; FIG.
24 is a partially enlarged schematic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8.
2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18;
FIG. 26 is a partially enlarged schematic view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FIG. 18; FIG.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20;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20;
FIG. 29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20; FIG.
3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rip-shaped decoration shown in Figures 18 to 29.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hoe having a removable belt-shaped deco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의 한 실시예에 따른 남성용 구두 즉, 신사화가 도 4 및 도 5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되어 있다. 이 구두(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인 토우 형태의 브루처로, 크게 갑피(2), 창(3), 굽(4), 장식 고정부(5), 및 띠형 장식부(7)로 이루어진다.Men's shoes, ie men's sho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shoe with a removable belt-like deco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by
여기에서, 상기 갑피(2)는 도시된 것처럼 착용자의 발바닥을 제외한 발 윗부분 전체를 둘러싸는 부분으로서, 구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패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바, 브루처(1)의 경우 앵글부츠나 몽크화와 마찬가지로 도시된 것처럼 크게 발가락과 발등을 포함하여 발 앞쪽 전체 즉, 전반부를 감싸는 앞날개(vamp;8)와 뒤꿈치와 발목 아래쪽을 포함하는 발 뒤쪽 전체 즉, 후반부를 감싸는 옆날개(6)로 구성된다.Here, the upper (2) is a portion surrounding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foot except the sole of the wearer as shown, made of a combination of various patches according to the type of shoes, in the case of the brucher (1) angle boots or monk As shown in the figure, it consists largely of the front part of the foot including the toes and the instep (vamp) 8 covering the front part and the side of the back part of the foot including the heel and the bottom of the foot (6). do.
상기 창(3)은 발바닥이 놓여지는 부분으로서, 봉제 등에 의해 갑피(2)의 하단에 부착되는 바, 구두(1)의 종류와 무관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접촉하는 겉창(31), 발바닥에 접촉하는 안창(32), 그리고 겉창(31)과 안창(32) 사이에 충진되는 필러(33)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굽(4)은 발뒤꿈치를 받치는 부분으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3) 특히 겉창(31)의 바닥면 뒤쪽에 부착되는 바, 창(3)과 마찬가지로 구두(1)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고, 다만 높낮이에 변화가 있을 뿐이다. The
상기 장식 고정부(5)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 복수개가 갑피(2)의 전반부에 종횡으로 길게 배치되어 하나 이상의 띠형 장식부(7)를 갑피(2) 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부분으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띠형 장식부(7)를 장착하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로퍼(1)와 같이 2개 이상 다양한 형태의 띠형 장식부(7)를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4 to 7, one or more plurality of decorative fixing
더욱이, 바람직한 형태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의 띠형 장식부(7)를 하나만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장식 고정부(5)도 또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바, 가장 단순한 예로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삽입홈(50)과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실시 형태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삽입홈(50)은 띠형 장식부(7)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갑피(2)의 전반부 상에 길고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도시된 것처럼 직선형으로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기하학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삽입홈(50)은 띠형 장식부(7)를 통한 심미감을 고려할 때 구두(1)의 중심선을 따라 즉, 갑피(2) 전반부 능선을 따라 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삽입홈(50)은 또한 도 8 및 도 9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2)와 띠형 장식부(7)의 두께를 고려하여 깊이가 정해지는 바, 삽입홈(50)에 끼워진 띠형 장식부(7)가 갑피(2)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깊이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as a preferred form, the decorative fixing
한편, 삽입홈(50) 내부에 끼워진 띠형 장식부(7)를 삽입홈(50)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도 마찬가지로 삽입홈(50)과 호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예컨대 도 4 내지 도 6 및 도 8에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50)의 좌우 양측면(58) 상단에 스냅돌기(51)를 돌출시키거나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58) 중간에 끼움돌기(52)를 돌출시켜 띠형 장식부(7)를 고정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스냅돌기(51)는 물론 끼움돌기(52)도 삽입홈(50)을 따라 끊김 없이 길게 연장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반대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끼움돌기(52)는 물론 스냅돌기(51)도 소정의 길이로 일정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배열될 수도 있다. 이때, 돌기(51,52)에 스냅 결합되거나 끼워맞춤되도록 띠형 장식부(7)는 도 5, 도 6 및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51,52)와 대응하는 형태의 결합홈(78) 또는 결합공(79)이 몸체(85) 모서리 또는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belt-shaped
또한, 상기 고정수단으로는 범용의 다양한 고정용 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 바, 그 한 예로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벨크로테입(53)을 들 수 있다. 이 벨크로테입(53)은 도시된 것처럼 삽입홈(50)의 바닥면에 부착된 암형 또는 수형 벨크로(53-1,53-2)와 이에 대응하도록 띠형 장식부(7)의 저면에 부착된 수형 또는 암형 벨크로(53-2,53-1)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에서 암형 벨크로(53-1)는 루프(loop)형 벨크로를, 수형 벨크로(53-2)는 후크(hook)형 벨크로를 각각 지칭하는 바, 암형 또는 수형 벨크로(53-1,53-2) 상호 간의 결합력에 의해 띠형 장식부(7)를 장식 고정부(5)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11에서 벨크로테입(53)은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홈(50) 및 띠형 장식부(7) 전체에 걸쳐 구비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11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말단 등 일부분에만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means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universal fastening members, as an example thereof may be a
고정수단의 또 다른 예로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스냅버튼(54)이나 자성체쌍(55)을 들 수 있는 바, 이중에서 스냅버튼(54)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50)의 바닥면에 돌출 장착된 버튼돌기(54-1) 또는 삽입 장착된 버튼구멍(54-2) 및 이와 대응하도록 띠형 장식부(7)의 저면에 삽입 장착된 버튼구멍(54-2) 또는 돌출 장착된 버튼돌기(54-1)로 이루어진다. 이때, 스냅버튼(54)은 도 12의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홈(50) 및 띠형 장식부(7) 전체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12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말단 등에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자성체쌍(55)은 고무자석과 같은 자석(55-1)과 자성재료(55-2)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50)의 바닥면에 금속과 같은 자성재료(55-2) 또는 자석(55-1)을 삽입 또는 부착하고, 이와 대응하도록 띠형 장식부(7)의 저면에 자석(55-1) 또는 금속과 같은 자성재료(55-2)를 부착하여 사용되며, 마찬가지로 도 13의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홈(50) 바닥면 및 띠형 장식부(7) 저면 전체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13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홈(50) 바닥면 또는 띠형 장식부(7)의 말단 부위 등에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fixing means may be the
또한, 상기 장식 고정부(5)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2)의 전반부 상면 일측과 띠형 장식부(7) 저면 사이의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직접 부착된 벨크로테입(53), 스냅버튼(54), 또는 자성체쌍(55)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이들은 갑피(2) 쪽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암형 또는 수형 벨크로(53-1,53-2), 버튼돌기 또는 버튼구멍(54-1,54-2), 또는 자석 또는 자성재료(55-1,55-2)가 갑피(2)의 표면 상에 부착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1 내지 도 13에 대해 언급한 위 기재내용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decorative fixing
한편, 띠형 장식부(7)는 위와 같은 장식 고정부(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구두(1)의 심미감을 배가시키는 부분으로서, 도 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2)의 소재와 동일 또는 유사한 가죽, 합성수지, 또는 천 등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색상, 무늬, 또는 외형을 갖도록 제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띠형 장식부(7)는 삽입홈(50)과 정합될 수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직선 형태의 장방형 띠 모양을 가지나, 타원형, 파형, 마름모형, 방패형, 삼각형, 오각형, 운형 등 기타 다양한 형태로 외형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도시된 것처럼 저면 또는 측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다양한 형태의 고정수단 즉, 결합홈(78,79), 암형 또는 수형 벨크로(53-1,53-2), 버튼돌기 및 버튼구멍(54-1,54-2), 또는 자석 및 자성재료(55-1,55-2)가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띠형 장식부(7)는 삽입홈(5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밖으로 떼어내기 용이하도록 몸체(85)의 상면 양단에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돌기(81)를 형성하거나,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끈(82)을 형성하는 등 몸체(85)에 다양한 파지수단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갑피(2)의 표면에 부착된 경우에는 달리 별도의 파지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Meanwhile, the belt-shaped
또한, 띠형 장식부(7)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박형 장식재(41)와 스트랩(43)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박형 장식재(41)는 스트랩(43) 안쪽에 끼워져 심미감을 유발하는 교체 가능한 부분으로서, 스트랩(43)과 어울리는 다양한 형상, 무늬, 또는 색상을 갖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트랩(43)는 띠형 장식부(7)의 외체로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식 고정부(5) 즉, 삽입홈(50) 및 스냅돌기(51) 등과 같은 고정수단에 호응하는 외부 형태를 가지는 비교체 부분으로서, 예컨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50)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저면에 수납공간(44)을 형성하여 박형 장식재(41)를 착탈식으로 끼워 수납할 수 있는 형태는 물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박형 장식재(41)를 내부의 수납공간에 집어넣을 수 있는 박스 또는 도 30에 도시된 포켓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특히 수납공간(44)에 배치되는 박형 장식재(41)가 외부에서 보여 질 수 있도록 또한, 삽입홈(50)을 따라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불투명하지 않은 즉, 투명 또는 반투명한 연성의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7, the belt-shap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8 및 도 19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구두는 전술한 구두(1)와 마찬가지로 플레인 토우 형태의 브루처 또는 스트레이트팁 타입 슬립온으로서, 크게 갑피(102), 창(103), 굽(104), 장식 고정부(105), 및 띠형 장식부(107)로 이루어지는 바, 갑피(102), 창(103) 및 굽(104)은 위에서 언급한 갑피(2), 창(3) 및 굽(4)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e illustrated by
다만, 여기에서 구두(101)의 장식 고정부(105)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 복수의 걸이(150,151,152)로 이루어지는 바, 각각의 걸이(150,151,152)는 갑피(102) 또는 창(103) 위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되, 대응하는 나머지 걸이(150,151,152)들과의 사이에 띠형 장식부(107)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서로 충분히 떨어져 배열된다. 즉, 장식 고정부(105)는 각각의 걸이들 사이에 띠형 장식부(107)를 장착할 수 있는 여유 공간만 확보된다면 구두(101)의 어느 지점에도 중복해서 배치될 수 있는 바, 예컨대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창(103) 선단과 갑피(102)의 좌우측 하단 세 지점에 3개의 걸이(150,151,152)를 각각 배치할 수 있다.Here, the
특히,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18에 도시된 구두(101)는 장식 고정부(105)가 제1 및 제2 걸이(150,151)로 이루어지는 바, 갑피(102)의 전반부 일측 즉, 예컨대 갑피(102) 선단에 또는 도시된 것처럼 창(103)의 전반부 일측 즉, 예컨대 도시된 것처럼 창(103) 선단에 제1 걸이(1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갑피(102) 전반부의 타측 즉, 예컨대 도시된 것처럼 발등 위 구두끈(114) 바로 아래쪽에 제2 걸이(151)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걸이(150)와 제2 걸이(151)는 도시된 것처럼 띠형 장식부(107)가 충분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충분한 간격이 떨어져 있으며, 이러한 간격이 유지된다면 갑피(102)나 창(103)의 전반부 어느 위치에도 배치가 가능하나, 되도록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구두(101) 즉, 갑피(102)의 능선 즉, 중심선을 따라 직선으로 길게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한편, 갑피(102)와 창(103) 위에 형성된 장식 고정부(105)에 의해 갑피(102) 전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띠형 장식부(107)는 띠형 장식부(7)와 마찬가지로 구두(101)의 심미감을 더하는 부분으로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에 형성된 암형 또는 수형 체결부위를 갖는 각각의 고정단(170,171,172)이 장식 고정부(105)의 각각의 걸이(150,151,152)와 걸어맞춤되는 바, 이때 위에서 벨크로테입(53)의 루프형 벨크로를 암형 벨크로(53-1)로, 후크형 벨크로를 수형 벨크로(53-2)로 각각 지칭한 것과 마찬가지로, 여기에서 암형이라 함은 체결부위가 벨크로의 루프와 같이 폐곡선을 이루거나 오목하게 된 형상을, 수형이라 함은 체결부위가 벨크로의 후크와 같이 개곡선이거나 볼록하게 된 형상을 각각 의미하며, 이와 같이 고정단(170,171,172)과 걸이(150,151,152)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몸체(185) 자체가 탄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갑피(102)의 소재와 동일 또는 유사한 가죽, 합성수지, 또는 천 등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색상과 무늬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몸체(185)는 바람직하게는 직선 형태의 장방형 띠 모양을 가지나, 타원형, 파형, 마름모형, 방패형, 삼각형, 오각형, 운형 등 기타 다양한 형태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elt-shaped
이와 같이 장식 고정부(105)의 각 걸이(150,151,152)는 물론, 이 장식 고정부(105)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띠형 장식부(107)의 말단에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단(170,171,172)은 걸이(150,151,152)와 호응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바, 걸이(150,151,152) 및 고정단(170,171,172)은 공히 대응하는 고정단(170,171,172) 및 걸이(150,151,152)를 걸도록 체결부위가 암형으로 형성되거나 반대로 대응하는 고정단(170,171,172) 및 걸이(150,151,152)에 걸리도록 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걸이(150,151,152)의 체결부위가 고정단(170,171,172)의 체결부위를 걸도록 암형으로 될 때 이에 대응하는 고정단(170,171,172)의 체결부위는 걸이(150,151,152)의 체결부위에 걸리도록 최적화된 수형으로 제작되고, 걸이(150,151,152)의 체결부위가 고정단(170,171,172)의 체결부위에 걸리도록 수형으로 될 때 이에 대응하는 고정단(170,171,172)의 체결부위는 걸이(150,151,152)의 체결부위를 걸도록 최적화된 암형으로 제작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예컨대, 장식 고정부(105)의 걸이(150)는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트인 슬롯(156)이나 도 32에 도시된 환형체(157)와 같은 암형의 체결부위를, 또는 도 23에 도시된 멈치고리(161)나 도 24에 도시된 갈고리(162)와 같은 수형의 체결부위를 가질 수 있으며, 걸이(151,152)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갈고리(158)와 같은 수형의 체결부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도 20에 도시된 트인 슬롯(156)은 창(103) 안쪽으로 구형의 멈치고리(173)와 호응하는 반구형의 홈(159)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와 대응하도록, 띠형 장식부(107)의 고정단(170)은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멈치고리(173)나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갈고리(175)와 같은 수형의 체결부위를, 또는 도 23에 도시된 트인 슬롯(176)이나 도 24에 도시된 환형체(177)와 같은 암형의 체결부위를 가질 수 있으며, 고정단(171,172)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환형체(174)와 같은 암형의 체결부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도 21에 도시된 갈고리(175)는 도시된 것처럼 갈고리(175) 안쪽으로 탄력 이동할 수 있는 이탈방지로드(167)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체(185)에 탄력이 있다면 이탈방지로드(167)가 없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환형체(157)는 가늘고 긴 원통체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 끼워지는 갈고리(175) 또한 환형체(157)에 정합되는 원기둥 형태로 되어 있다. 또, 도 23에 도시된 멈치고리(161)는 트인 슬롯(176)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선단에 구형의 헤드(168)가 형성되어 있으며, 설치할 자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창(103)의 선단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부(169)를 형성할 수 있고, 트인 슬롯(176)을 형성하도록 고정단(170)은 한 쪽으로 터진 원통 형태로 제작되며, 몸체(185)와 유연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체인(181)과 같이 잘 구부러지는 부재로 몸체(185)에 연결된다. 그리고, 도 24에 도시된 환형체(177)도 또한 몸체(185)와의 유연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표면에 겉돌게 결합된 연결링(182)에 의해 몸체(185)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상기 장식 고정부(105)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150,151,152) 중 적어도 한 쪽의 체결부위가 집게(163)로 되어 있는 바, 이 집게(163)는 고정단(170,171,172) 중 대응하는 적어도 한 쪽의 체결부위를 파지한다. 즉, 갑피(102)의 선단 또는 창(103)의 전방에 배치되는 걸이(150) 또는 갑피(102)의 전반부 일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걸이(151,152)가 띠형 장식부(107)를 갑피(102)에 고정할 때 대응하는 띠형 장식부(107)의 적어도 어느 한 쪽 고정단(170,171,172)을 물어 파지할 수 있도록 집게(163)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띠형 장식부(107) 또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 고정부(105)의 걸이(150,151,152)에 고정되는 고정단(170,171,172)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이 걸이(150,151,152) 중 대응하는 어느 한 쪽 체결부위를 파지할 수 있도록 집게(183)로 되어 있는데, 이때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집게(163,183)는 각각 띠형 장식부(107) 또는 장식 고정부(105)의, 예컨대 멈치고리(171,161)와 같은 수형 체결부위를 파지할 수 있도록 이 수형 체결부위와 대응하는 예컨대 파지공(164)과 같은 형상이 가공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5, the decorative fixing
한편, 상기 장식 고정부(105)는 띠형 장식부(107)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걸이(150,151,152) 중 적어도 어느 한 쪽과 이 걸이에 대응하는 띠형 장식부(107)의 고정단(170,171,172) 중 적어도 한 쪽 사이의 체결부위로서 쌍으로 된 범용의 체결수단을 다양하게 채용할 수 있는 바, 예컨대 벨크로테입(153), 스냅버튼(154), 또는 자성체쌍(155)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중에서, 먼저 도 27에 도시된 벨크로테입(153)은 도시된 것처럼 갑피(102)의 선단에 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창(103)의 바닥면 선단에 부착되는 암형 벨크로(153-1)와, 이 암형 벨크로(153-1)에 대응하도록 띠형 장식부(107)의 일측 즉, 전방단의 저면에 부착되는 수형 벨크로(153-2)로 이루어지는 바, 암형 또는 수형 벨크로(153-1,153-2) 상호 간의 결합력에 의해 띠형 장식부(107)의 전방단을 갑피(102) 또는 창(103) 위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스냅버튼(154)도 또한 도 28에 도시된 것처럼 창(103)의 바닥면 선단에 형성된 버튼돌기(154-1)와, 이 버튼돌기(154-1)와 대응하도록 띠형 장식부(107)의 일측 즉, 전방단에 구비된 버튼구멍(154-2)으로 이루어지는 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버튼돌기(154-1)가 띠형 장식부(107)에, 버튼구멍(154-2)이 창(103) 선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를 맞바꿀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성체쌍(155)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103)의 바닥면 선단에 형성된 철과 같은 자성재료(155-1)와, 띠형 장식부(107)의 일측 즉, 전방단에 형성된 자석(155-2)으로 이루어지며, 자성재료(155-1)와 자석(155-2)은 상호 정합되는 요철 형태로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바, 그 한 예로서 도 29에 도시된 것처럼 자성재료(155-1)를 원통형의 오목한 구멍으로, 자석(155-2)을 자성재료(155-1)에 끼워지는 원기둥 형태의 돌기로 제작이 가능하다. 아울러, 이들 벨크로테입(153), 스냅버튼(154), 또는 자성체쌍(155)은 위와 같이 띠형 장식부(107)의 말단에만 구비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2에 도시된 스냅버튼(54)과 같이 띠형 장식부(107) 전체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Among them, first, the
이때, 상기 띠형 장식부(107)는 띠형 장식부(7)와 마찬가지로 몸체(185)가 단품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형 장식재(141) 및 스트랩(143)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박형 장식재(141)는 박형 장식재(41)와 마찬가지로 스트랩(143)의 포켓과 같은 수납공간(144)에 삽입되어 심미감을 유발하는 부분으로, 합성수지 또는 천 등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색상, 무늬, 또는 외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 상기 스트랩(143)은 띠형 장식부(107)의 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형태의 암형 또는 수형 고정수단 즉, 예컨대 도 30에 도시된 환형체(174) 또는 갈고리(175) 등이 고정단(170,171)으로서 양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30에 도시된 것처럼 상면 전체에 박형 장식재(141)를 착탈식으로 끼워 넣을 수 있는 개폐 가능한 포켓 형태의 수납공간(1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트랩(143)은 띠형 장식부(107)를 갑피(102) 위에 장착했을 때 갑피(102) 표면에 가능한 한 밀착될 수 있도록 잘 휘어지는 합성수지 등의 연성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납공간(144)을 형성하는 포켓은 당연히 내부에 삽입된 박형 장식재(141)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불투명하지 않은 즉, 투명 또는 반투명한 연성의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belt-shaped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의 작용을 설명한다.Now, the operation of the shoe with a removable strap-shaped deco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구두는 구두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높이고, 구두를 통한 개성의 표현이 보다 다채롭고 적극적이 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심미감 유발 요소로 인한 식상함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두(1)에 의하면, 구두(1) 갑피(2) 전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장식 고정부(5)에 하나 이상의 띠형 장식부(7)를 각각 고정하게 되는 바, 띠형 장식부(7)를 통해 구두(1)의 심미감을 높일 뿐만 아니라, 띠형 장식부(7)를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른 색상이나 무늬의 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동일한 색상이나 무늬의 띠형 장식부가 반영구적으로 부착되는 종래의 구두에서 쉽게 느끼게 되는 식상함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overall aesthetics of the shoe, and to be able to be more colorful and active, while reducing the erosion caused by the aesthetics-inducing elements, shown in Figures 4 to 7 According to the
이때, 띠형 장식부(7)는 하나 이상이 예컨대 도 7에 T자 형태로 배치된 것처럼, 갑피(2)의 발등 위쪽 어느 부분에, 어떤 자세로도 배치될 수 있는 바,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2)의 능선을 따라 즉, 발등 위쪽 중심선을 따라 일자로 배치된다. At this time, the strip-shaped
또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 장식부(7)는 휨이 용이한 연성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갑피(2)의 표면을 따라 곡선 형태로 형성된 삽입홈(50)에 밀착, 고정될 수 있으며, 띠형 장식부(7)를 장식 고정부(5)의 삽입홈(50) 위에 놓고 아래로 누르기만 하면 스냅돌기(51,52)와 끼움홈(78,79)의 스냅 결합에 의해 쉽게 고정할 수 있게 되고, 구두(1)에서 떼어낼 때는 파지돌기(81)를 잡고 올리면 되는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스냅돌기를 이용해 띠형 장식부(7)와 장식 고정부(5)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6 to 9, since the
이와 같이 띠형 장식부(7)를 장식 고정부(5)에 연결하는 수단으로는 스냅돌기 외에도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고정수단이 채용될 수 있는 바, 고정수단으로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테입(53)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띠형 장식부(7) 저면에 부착된 수형 또는 암형 벨크로(53-2,53-1)를 삽입홈(50)의 암형 또는 수형 벨크로(53-1,53-2)와 떼거나 붙여 쉽게 고정할 있으며, 붙일 때는 암수 벨크로(53-1,53-2)를 잘 맞추어 대고 누르면 되고, 뗄 때는 파지끈(82)를 잡아당기면 된다. 이는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스냅버튼(54)이나 자성체쌍(55)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버튼돌기(54-1)를 버튼구멍(54-2)에 스냅식으로 결합 또는 해제하거나, 자석(55-1)과 자성재료(55-2)를 착탈함으로써 손쉽게 띠형 장식부(7)를 장식 고정부(5)에 착탈식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manner, as a means for connecting the strip-shaped
또한, 띠형 장식부(7)를 갑피(2) 상에 착탈식으로 고정함에 있어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홈(50)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띠형 장식부(7)와 갑피(2) 사이에 벨크로테입(53), 스냅버튼(54), 자성체쌍(55)을 직접 부착하여 띠형 장식부(7)를 갑피(2) 위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띠형 장식부(7)를 갑피(2) 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띠형 장식부(7)의 개수, 위치, 색상, 무늬, 모양 등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나, 띠형 장식부(7)는 도시된 것처럼 갑피(2) 전면, 발등 위쪽에 능선을 따라 일자로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때, 띠형 장식부(7)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형 장식재(41)와 스트랩(43)의 조합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트랩(43)의 수납공간(44)에 먼저 박형 장식재(41)를 결합한 다음 띠형 장식부(7)를 도 5에 도시된 삽입홈(50)에 결합하면 되는 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스트랩(43)을 통해 박형 장식재(41)의 색상이나 무늬 등이 보이도록 함으로써 구두(1)의 심미감을 높이게 되며, 따라서 띠형 장식부(7) 중 변경이 가해지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즉, 띠형 장식부(7)의 색상이나 무늬를 바꿀 때 띠형 장식부(7) 전체가 아닌 박형 장식재(41)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되므로 띠형 장식부(7)의 색상이나 무늬를 다양하게 구비하고자 할 때 따르는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고, 박형 장식재(41)의 형태가 단순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박형 장식재(41)를 소장함에 있어 보관 등 관리 상의 불편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7, when the band-shaped
한편,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두(101)에 의하면, 박형의 몸체(185)와 이 몸체(185)의 말단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단(170,171,172)으로 이루어진 띠형 장식부(107)를 구두(101) 갑피(102) 전면에 즉, 발등 위쪽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구두(101)의 경우에는 장식 고정부(105)의 창(103) 선단에 형성된 트인 슬롯(156) 형태의 걸이(150)에 띠형 장식부(107)의 앞쪽 끝에 형성된 멈치고리(173) 형태의 앞쪽 고정단(170)을 도 20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것처럼 먼저 끼워 넣은 다음, 몸체(185)의 탄력을 이용해 뒤쪽 끝을 뒤쪽으로 잡아당기면서 환형체(174)로 된 뒤쪽 고정단(171)을 갈고리(158) 형태의 뒤쪽 걸이(151)에 끼워 넣는 것으로, 또 도 19에 도시된 띠형 장식부(107)의 경우에는 양쪽의 환형체(174)로 된 고정단(171,172)을 갈고리(158) 형태의 걸이(151,152)에 끼워 넣는 것으로 띠형 장식부(107)의 고정이 완성되며, 띠형 장식부(107)를 떼어내고자 할 때는 위와 역순으로 하면 된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마찬가지로,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환형체(157)와 같은 암형으로 이루어진 걸이(150)에 갈고리(175)와 같은 수형으로 이루어진 고정단(170)을 끼움으로써 띠형 장식부(107)를 장식 고정부(105)를 통해 구두(101) 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반대로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치고리(161)나 갈고리(162)와 같은 수형의 걸이(150)에 트인 슬롯(176)이나 환형체(177)와 같은 암형의 고정단(170)을 끼움으로써 띠형 장식부(107)를 구두(101) 위에 착탈식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Similarly, as shown in FIGS. 21 and 22, the band-shaped
이외에도 장식 고정부(105)와 띠형 장식부(107)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는 바,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걸이(150,151,152)나 고정단(170,171,172) 중 어느 한 쪽을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165,183)로 대체한 경우에는 집게(165,183)로 대응 측의 걸이(150,151,152)나 고정단(170,171,172)을 파지하여 띠형 장식부(107)를 갑피(102) 위에 고정할 수 있으며,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테입(153), 스냅버튼(154), 또는 자성체쌍(155)으로 대체한 경우에는 서로 대응하도록 갑피(102) 또는 창(103)과 띠형 장식부(107)에 형성된 암형벨크로(153-1)와 수형 벨크로(153-2), 버튼돌기(154-1)와 버튼구멍(154-2), 또는 자성재료(155-1)와 자석(155-2)을 각각 착탈시킴으로써 띠형 장식부(107)를 갑피(102) 위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variety of means may be employed to detachably connect the
이때, 띠형 장식부(107)도 또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형 장식재(141)와 스트랩(143)의 조립체로 제작이 가능한 바, 도 17에 도시된 조립식 띠형 장식부(107)와 마찬가지로 띠형 장식부(107)도 스트랩(143)의 불투명하지 않은 수납공간(144) 즉, 포켓 내에 박형 장식재(141)를 끼워 넣어 박형 장식재(141)를 통해 심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같이 박형 장식재(141)를 띠형 장식부(107)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 박형 장식재(141)를 통해서만 심미감이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띠형 장식부(107) 중 교체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띠형 장식부(107)의 색상이나 무늬를 다양하게 제공하고자 할 때 요구되는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박형 장식재(141)의 형태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다수의 박형 장식재(41)를 관리상의 불편 없이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belt-shaped
1, 101 :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
2 : 갑피 3 : 창
4 : 굽 5 : 장식 고정부
6 : 옆날개 7 : 띠형 장식부
31 : 겉창 32 : 안창
33 : 필러 41 : 박형 장식재
43 : 스트랩 50 : 삽입홈
51 : 스냅돌기 52 : 스냅돌기
53 : 벨크로테입 54 : 스냅버튼
55 : 자성체쌍 85 : 몸체
150,151,152 : 걸이 156,176 : 트인 슬롯
157,174,177 : 환형체 158,162,175 : 갈고리
161,173 : 멈치고리 163,183 : 집게
170,171,172 : 고정단
1, 101: shoe with detachable strap decoration
2: upper 3: window
4: heel 5: decorative fixing part
6: side wing 7: strip decorative part
31: Outsole 32: Insole
33: filler 41: thin decorative material
43: strap 50: insertion groove
51: snap protrusion 52: snap protrusion
53: Velcro tape 54: Snap button
55: pair of magnetic bodies 85: body
150,151,152: Hanger 156,176: Open slot
157,174,177 annulus 158,162,175 hook
161,173: Stopper 163,183: Tongs
170,171,172: fixed end
Claims (17)
발바닥이 놓여 지도록 상기 갑피(2)의 하단에 부착되는 창(3);
상기 창(3)의 저면 뒤쪽에 부착되어 뒤꿈치를 받치도록 되어 있는 굽(4);
상기 갑피(2)의 전반부에 길게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장식 고정부(5); 및
상기 장식 고정부(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심미감을 부여하는 하나 이상의 띠형 장식부(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An upper (2) which selectively surrounds the upper part of the foot except the sole;
A window (3)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2) so that the sole is placed;
A heel (4) attached to the rear of the bottom of the window (3) to support the heel;
One or more decorative fixings (5) arranged long in the first half of the upper (2); And
Footwear with a removable belt-shaped dec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one or more belt-shaped decoration (7) detachably mounted to the decorative fixing portion (5) to impart aesthetics.
상기 장식 고정부(5)는,
상기 갑피(2)의 전반부에서 상기 띠형 장식부(7)를 끼워 넣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50); 및 상기 삽입홈(50)의 벽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50)에 끼워진 상기 띠형 장식부(7)가 상기 삽입홈(5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corative fixing part 5,
An insertion groove 50 formed concave to insert the belt-shaped decoration 7 in the first half of the upper 2; And fix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wal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50 to restrain the belt-shaped decoration part 7 fitted to the insertion groove 5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50. Shoes with removable straps.
상기 장식 고정부(5)는 상기 갑피(2)의 전반부에 능선을 따라 길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corative fixing part (5) is a shoe with a removable belt-like dec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longated arrangement along the ridge line in the first half of the upper (2).
상기 장식 고정부(5)는,
상기 갑피(2)의 전반부에서 상기 띠형 장식부(7)를 끼워 넣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홈(50); 및 상기 삽입홈(50)의 벽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50)에 끼워진 상기 띠형 장식부(7)가 상기 삽입홈(5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 The method of claim 3,
The decorative fixing part 5,
An insertion groove 50 formed concave to insert the belt-shaped decoration 7 in the first half of the upper 2; And fix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wal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50 to restrain the belt-shaped decoration part 7 fitted to the insertion groove 5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50. Shoes with removable straps.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삽입홈(50)의 양측면(58)을 따라 배열되도록 상기 양측면(58) 일측에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51,52)이며, 상기 띠형 장식부(7)는 상기 돌기(51,52)와 정합되도록 상기 돌기(51,52)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끼움홈(78,7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xing means is one or more protrusions 51 and 52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58 to be arranged along both side surfaces 58 of the insertion groove 50, and the strip-shaped decoration 7 is the protrusion 51. Shoes with a removable belt-like dec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fitting grooves (78,79)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s (51, 52) to match the 52.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삽입홈(50)의 바닥면과 상기 띠형 장식부(7)의 저면에 상호 대응하도록 부착되는 벨크로테입(53), 스냅버튼(54), 또는 자성체쌍(55)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xing means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Velcro tape 53, the snap button 54, or the magnetic pair 55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5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elt-shaped decoration 7 A shoe with a removable belt dec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one.
상기 장식 고정부(5)는 상기 갑피(2)의 전방과 상기 띠형 장식부(7)의 저면에 상호 대응하도록 부착되는 벨크로테입(53-1,53-2), 스냅버튼(54-1,54-2), 또는 자성체쌍(55-1,55-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corative fixing part 5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upper 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elt-shaped decoration 7, the Velcro tapes 53-1, 53-2, snap buttons 54-1, 54-2), or a shoe having a removable belt-shaped dec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magnetic pair (55-1, 55-2).
상기 띠형 장식부(7)는,
자체의 형상, 무늬, 색상을 통해 심미감을 유발하는 박형 장식재(41); 및
상기 박형 장식재(41)를 수납하도록 외체를 이루고 있는 스트랩(43);으로 구성되되,
상기 스트랩(43)은 상기 박형 장식재(41)가 착탈식으로 수납되는 개폐 가능한 수납공간(44)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44)에 수납된 상기 박형 장식재(41)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불투명하지 않은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strip-shaped decoration 7,
Thin decorative material 41 causing aesthetics through its own shape, pattern, and color; And
Consists of; the strap 43 is formed to the outer body to accommodate the thin decorative material 41,
The strap 43 forms an openable storage space 44 in which the thin decorative material 41 is detachably stored, and is opaque so that the thin decorative material 41 stored in the storage space 44 is visible from the outside. Shoes with a removable belt dec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is not.
발바닥이 놓여 지도록 상기 갑피(102)의 하단에 부착되는 창(103);
상기 창(103)의 바닥면 뒤쪽에 부착되어 뒤꿈치를 받치도록 되어 있는 굽(104);
상기 갑피(102) 또는 상기 창(103) 위에 배치된 복수의 걸이(150,151,152)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각의 걸이(150,151,152)는 상호 이격지도록 배열되어 있는 장식 고정부(105); 및
상기 장식 고정부(105)의 각 걸이(150,151,152)에 말단의 고정단(170,171,172)이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장식 고정부(10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심미감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는 띠형 장식부(10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Upper 102 to selectively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foot except the sole;
A window 103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102 so that the sole is placed;
A heel 104 attached to the rear of the bottom of the window 103 to support the heel;
A decorative fixing part 105 comprising a plurality of hooks 150, 151 and 152 disposed on the upper 102 or the window 103, wherein the hooks 150, 151 and 152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trap end (170, 171, 172) of the end is coupled to the respective hooks (150, 151, 152) of the decorative fixing part 105, the belt-shaped decorative part 107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decorative fixing part 105 to impart an aesthetic sense. Shoes with a removable belt-shaped dec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장식 고정부(105)는 상기 갑피(102)의 전반부 일측 또는 상기 창(103)의 전반부 일측에 배치된 제1 걸이(150)와 상기 갑피(102)의 전반부 타측에 배치된 제2 걸이(151)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걸이(150)와 상기 제2 걸이(151)는 상호 이격지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ecorative fixing part 105 is the first hook 15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half of the upper 102 or the first half of the window 103 and the second hook (2)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alf of the upper 102. 151, wherein the first hook (150) and the second hook (151) is provided with a removable belt-like dec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 걸이(150)와 상기 제2 걸이(151)는 상기 갑피(102)의 능선을 따라 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hook (150) and the second hook (151) is a shoe with a removable belt-shaped dec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ridge line of the upper (102).
상기 걸이(150,151,152)는 체결부위가 상기 띠형 장식부(107)의 상기 고정단(170,171,172)을 걸도록 암형으로 또는 상기 고정단(170,171,172)에 걸리도록 수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고정단(170,171,172)은 체결부위가 상기 장식 고정부(105)의 상기 걸이(150,151,152)에 걸리도록 수형으로 또는 상기 걸이(150,151,152)를 걸도록 암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The hooks (150, 151, 152) is a female type to be fastened to the fixed end (170, 171, 172) of the belt-shaped decorative portion 107 or to be fixed to the fixed end (170, 171, 172),
The fixed end (170,171,172) is provided with a removable belt-shaped dec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ortion is male or so as to hang the hook (150,151,152) of the decorative fixing portion 105 or to hang the hook (150,151,152). One shoe.
상기 걸이(150,151,152) 및 상기 고정단(170,171,172)의 상기 암형 체결부위는 트인 슬롯(156) 또는 환형체(157)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암형 체결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걸이(150,151,152) 및 상기 고정단(170,171,172)의 상기 수형 체결부위는 멈치고리(161) 또는 갈고리(162)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The method of claim 12,
The female fastening portion of the hook (150, 151, 152) and the fixed end (170, 171, 172)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open slot 156 or the annular body (157),
The male fastening portion of the hook (150,151,152) and the fixed end (170,171,172) corresponding to the female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movable belt-shaped dec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the stop 161 or hook 162. One shoe.
상기 띠형 장식부(107)는 탄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The method of claim 13,
The belt-shaped decorative part 107 is a shoe having a removable belt-shaped dec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material with elasticity.
상기 띠형 장식부(107)는,
심미감을 유발하는 박형 장식재(141); 및
상기 박형 장식재(141)를 착탈식으로 수납할 수 있는 개폐 가능한 수납공간(144)을 형성하도록 외체를 이루는 스트랩(143);으로 구성되며,
상기 박형 장식재(141)는 자체의 형상, 무늬, 색상을 통해 심미감을 유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트랩(143)은 상기 수납공간(144)에 수납된 상기 박형 장식재(141)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불투명하지 않은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The method of claim 14,
The strip-shaped decoration 107,
Thin decorative material 141 causing aesthetics; And
And a strap 143 forming an outer body to form an opening and closing storage space 144 that can receive the thin decorative material 141 in a removable manner.
The thin decorative material 141 is to cause aesthetics through its own shape, pattern, and color, and the strap 143 is opaque so that the thin decorative material 141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144 is visible from the outside. Shoes with a removable belt dec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is not.
상기 걸이(150,151,152) 또는 상기 고정단(170,171,172)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은 체결부위가 나머지 다른 걸이(150,151,152) 또는 고정단(170,171,172) 중 대응하는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체결부위를 파지하는 집게(163)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At least one of the hooks (150, 151, 152) or the fixed end (170, 171, 172) is a fastening portion of the other hook (150, 151, 152) or clamps (163) for holding a fastening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end of the fixed ends (170, 171, 172) A shoe with a detachable stra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상기 걸이(150,151,152)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고정단(170,171,172) 중 대응하는 적어도 어느 한 쪽과의 사이에 벨크로테입(153), 스냅버튼(154), 또는 자성체쌍(155)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띠형 장식을 구비한 구두.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At least one of the hooks 150, 151, and 152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Velcro tape 153, the snap button 154, or the magnetic pair 155 between at least one of the fixed ends 170, 171, and 172. A shoe having a removable belt-shaped dec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attach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7292A KR20110087726A (en) | 2010-01-27 | 2010-01-27 | Shoes with removable strap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7292A KR20110087726A (en) | 2010-01-27 | 2010-01-27 | Shoes with removable strap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7726A true KR20110087726A (en) | 2011-08-03 |
Family
ID=4492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7292A KR20110087726A (en) | 2010-01-27 | 2010-01-27 | Shoes with removable strap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87726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0140B1 (en) * | 2015-07-22 | 2016-12-27 | 김영학 | A work boots |
WO2021086464A1 (en) * | 2019-10-30 | 2021-05-06 | Nike Innovate C.V. | Article of footwear with accessory system and accessory kit for an article of footwear |
KR102401910B1 (en) * | 2021-12-28 | 2022-05-24 | 유학열 | shoes can be interchangeable upper leather |
-
2010
- 2010-01-27 KR KR1020100007292A patent/KR20110087726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0140B1 (en) * | 2015-07-22 | 2016-12-27 | 김영학 | A work boots |
WO2021086464A1 (en) * | 2019-10-30 | 2021-05-06 | Nike Innovate C.V. | Article of footwear with accessory system and accessory kit for an article of footwear |
CN114630596A (en) * | 2019-10-30 | 2022-06-14 |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 Article of footwear with accessory system and accessory kit for an article of footwear |
US11659895B2 (en) | 2019-10-30 | 2023-05-30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with accessory system and accessory kit for an article of footwear |
KR102401910B1 (en) * | 2021-12-28 | 2022-05-24 | 유학열 | shoes can be interchangeable upper leath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488715B (en) | Modular shoe | |
US5979085A (en) | Decorative shoe accessory | |
US10582738B2 (en) | Shoe system | |
US6651359B1 (en) | Interchangeable shoe strap system | |
US20120222330A1 (en) | Women's shoes with lift-off top showcase for interchangeable designer inserts | |
US20160324251A1 (en) | Transition insoles | |
US20120186109A1 (en) | Flip Flop Style Sandals with Interchangeable/Removable Decorative Strand or Jewelry Adorned Uppers | |
TW201026246A (en) | Footwear, clothing and other apparel with interchangeable toe and heel members or other ornament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 |
EP2923594A1 (en) | Shoe with magnetically attachable decorative accessory | |
US20110126430A1 (en) | Elastic snap accessory system | |
US8104198B2 (en) | Attachment assembly for decorative shoe accessory | |
US20110265253A1 (en)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using interchangeable decorative elements with footwear | |
US20100184349A1 (en) | Toy for mounting on a child's shoe | |
US20160015130A1 (en) | Interchangeable Wedged Heel Covering Device | |
US8413350B2 (en) | Interchangeable shoe with clips and loops | |
US20060112597A1 (en) | Locking mechanism for securing detachable shoe uppers | |
US20160015117A1 (en) | Ankle Strap for Flip-Flops | |
US9603410B2 (en) | Modular shoe with interchangeable components and method of attachment | |
US8661715B2 (en) | Reconfigurable footwear | |
KR20110087726A (en) | Shoes with removable straps | |
US20150143724A1 (en) | Modifiable Footwear Cover | |
KR200425447Y1 (en) | Shoes Accessories | |
US20110247242A1 (en) | Asymmetrical footwear having a configuration that is continuous from one shoe to another | |
US9955753B1 (en) | Accessories affixed to footwear or affixed around footwear to provide a decorative fashion attachment | |
CN209788630U (en) | Changeable shoes of sty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1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2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6091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61024 Appeal identifier: 2016101005365 Request date: 20160913 |
|
PJ0801 | Rejection of trial |
Decision date: 20161024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6101005365 Request date: 2016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