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82805A - 컨벡션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컨벡션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2805A
KR20110082805A KR1020100002698A KR20100002698A KR20110082805A KR 20110082805 A KR20110082805 A KR 20110082805A KR 1020100002698 A KR1020100002698 A KR 1020100002698A KR 20100002698 A KR20100002698 A KR 20100002698A KR 20110082805 A KR20110082805 A KR 20110082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hamber
hot air
circulation
port
du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00002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2805A/ko
Publication of KR20110082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80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컨벡션 전자레인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컨벡션 전자레인지는: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조리실을 형성하며 흡기구 배기구 및 순환구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접하여 설치되며 흡기구를 통하여 조리실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와,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조리실 내부와 배출구를 통해 외측으로 안내하는 덕트부 및 순환구와 대향하여 덕트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순환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벡션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CONVECTION TYPE MICROWAVE OV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실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열풍을 다시 조리실로 순환시켜 열손실을 줄이는 한편, 조리 완료시에는 열풍의 배출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컨벡션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전장실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파가 조리실 내부로 조사되면서 음식물을 가열시켜 조리작업을 행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방법의 조리작업을 행하기 위해 오븐 기능을 행하는 열선 및 조리실에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 등이 설치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레인지의 컨벡션 가열부는 조리실 외벽에 설치되는 히터와, 히터 배면에 설치되어 히터를 통과하여 발생되는 열풍이 조리실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컨벡션 가열부가 설치되는 조리실에는 열풍이 유입되는 흡기구와, 열풍이 배출되는 배기구가 형성된다.
흡기구는 주로 조리실의 배면에 형성되고, 배기구는 조리실의 측면에 형성되어 배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은 음식물과 접촉되면서 열을 전달한 후에 측면으로 이동되어 조리실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기술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는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열풍이 배기구까지 이동되는 동안에만 음식물에 열전달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컨벡션 가열부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의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리가 완료된 후에 조리실 내에 있는 열풍이 외측으로 배출되는 시간이 지연되어 다른 조리를 수행하는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열풍과 음식물 사이의 접촉시간을 증가시켜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조리 완료시에는 조리실의 냉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컨벡션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는: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조리실을 형성하며, 흡기구, 배기구 및 순환구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접하여 설치되며 흡기구를 통하여 조리실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와,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조리실 내부와 배출구를 통해 외측으로 안내하는 덕트부 및 순환구와 대향하여 덕트부에 설치되는 순환팬을 포함한다.
또한 덕트부는, 배기구에서 순환구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덕트 및 연결덕트에서 배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배출덕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덕트는 순환구에서 배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순환팬은 제어신호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기구는 케이스 측면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며, 순환구는 케이스 측면의 전방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은: 컨벡션 가열부가 가동되어 조리실로 열풍을 공급하는 가열단계와, 조리실에서 배출되는 열풍이 덕트부를 따라 이동된 후 순환구를 통해 조리실의 내측으로 재유입되는 순환단계와, 조리실 내의 조리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조리실의 조리가 완료되면 배기구와 순환구를 통해 조리실 내의 열풍을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순환단계는 순환구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순환팬의 정회전으로 덕트부에서 조리실로 열풍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단계는 순환구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순환팬의 역회전으로 조리실에서 덕트부로 열풍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에 열전달을 행하고 배출되는 열풍을 다시 조리실로 순환시키는 덕트부가 설치되므로 컨벡션 가열부의 열손실을 줄여서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설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히터가 생략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실의 조리가 완료된 이후, 순환팬의 역회전으로 조리실에서 덕트부로 열풍을 배출시켜 조리실의 냉각 시간을 단축시키므로 조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덕트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순환단계에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배출단계에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정용 컨벡션 전자레인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덕트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순환단계에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배출단계에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1)는, 캐비닛(5)의 내측에 설치되어 조리실(50)을 형성하며 흡기구(16), 배기구(12) 및 순환구(14)를 구비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접하여 설치되며 흡기구(16)를 통하여 조리실(5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30)와, 배기구(12)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의 일부를 조리실(50) 내부로 순환시키며 나머지는 배출구(18)를 통해 외측으로 안내하는 덕트부(20) 및 순환구(14)와 대향하여 덕트부(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순환팬(40)을 구비한다.
컨벡션 전자레인지(1)의 외측에는 캐비닛(5)이 설치되어 외형을 형성하며, 캐비닛(5)의 내측에는 케이스(10)가 설치되어 조리실(50)을 형성한다.
케이스(10)에는 컨벡션 가열부(30)에서 가열된 열풍을 조리실(50)로 유입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흡기구(16)와, 조리실(50)을 가열한 열풍이 덕트부(20)로 나가는 통로인 배기구(12)가 구비된다.
조리실(50)로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30)는 전기 공급으로 가열되는 히터(32)와 히터(32)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34)으로 구성된다.
배기구(12)를 통해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열풍은 덕트부(20)를 따라 이동되며, 이러한 열풍의 일부는 케이스(10)에 구비된 순환구(14)를 통해 조리실(50)의 내측으로 재공급된다. 이로써, 적은 소비전력으로 조리실(50) 내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 유지될 수 있으며, 컨벡션 가열부(30)의 작동 효율도 향상된다.
한편, 캐비닛(5)의 하측과 측벽 등에는 덕트부(20)를 따라 이동된 열풍을 배출하는 배출구(18)가 구비된다.
덕트부(20)는, 배기구(12)와 순환구(14) 및 배출구(18)를 연결시켜 열풍이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부(20)는, 배기구(12)에서 순환구(14)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덕트(22) 및 연결덕트(22)에서 배출구(18)를 향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배출덕트(24)를 포함한다.
덕트부(20)와 연결된 배기구(12)는 케이스(10) 측면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며, 순환구(14)는 케이스(10) 측면의 전방 하측에 설치된다.
배기구(12)는 조리실(50)에서 고온의 공기가 머무는 공간인 케이스(10) 측면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므로, 조리실(50)을 가열한 고온의 열풍은 배기구(12)를 통해 덕트부(20)로 이동된다.
그리고, 조리실(50)에서 열풍이 공급되기 어려운 조리실(50)의 측면에서 전방 하측에는 순환구(14)가 구비되어 고온의 열풍이 재공급되므로, 조리실(50)의 내부는 균일하게 가열된다.
또한 덕트부(20)에는 순환구(14)에 대향되는 순환팬(40)이 설치되며, 이러한 순환팬(40)이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덕트부(20)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열풍을 순환구(14) 측으로 송풍시키므로, 열풍의 순환을 용이하게 한다.
덕트부(20)의 연결덕트(22)는 배출덕트(24)에 비하여 단면적이 좁으므로 열풍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배출덕트(24)는 순환구(14)에서 배출구(18)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므로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낮아지게 한다.
배출구(18)를 통해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는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면적의 증가에 의해 점점 낮아지므로, 배출되는 열풍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구(14)와 대향되는 덕트부(20) 내측에 설치된 순환팬(40)은 제어신호에 의해 정회전 하면서 덕트부(20)의 공기를 조리실(50)로 공급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회전되어 조리실(50)의 열풍을 덕트부(20)로 배기시키는 동작을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1)의 제어방법은, 컨벡션 가열부(30)가 가동되어 조리실(50)로 열풍을 공급하는 가열단계를 갖는다.(S10)
조리작업이 개시되면 히터(32)에 전원이 인가되고 송풍팬(34)이 구동되면, 흡기구(16)를 통해 열풍이 조리실(50) 내부로 공급되면서 조리작업이 진행된다.
조리실(50)에서 배출되는 열풍은 덕트부(20)를 따라 배출구(18)로 이동된 후 순환구(14)를 통해 조리실(50)의 내측으로 재유입되는 순환단계를 갖는다.(S20)
음식물에 접촉되어 조리작업을 행한 열풍은 배기구(12)를 통해 조리실(50) 외부로 배출되고, 덕트부(20)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구(18)를 통해 캐비닛(5)의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덕트부(20)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열풍의 일부분은 순환구(14)를 통해 조리실(50)의 내부로 순환되며, 순환구(14)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순환팬(40)의 정회전으로 덕트부(20)에서 조리실(50)로 열풍이 보다 원활하게 보다 많은 양이 공급된다.
이렇게 조리실(50) 내부로 순환되는 열풍은 조리실(50)의 전방 하부 측으로 유입되므로 조리실(50)의 내부가 고르게 가열되어 컨벡션 가열부(30)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덕트부(20)를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열풍은 덕트부(20) 내부로 유입되는 초기에는 단면적이 작은 연결덕트(22) 내부로 공급되므로 열풍과 덕트부(20) 사이의 접촉면적이 작아 열손실이 억제된다.
이후에, 열풍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배출덕트(24)를 지나면, 열풍과 배출덕트(24) 사이에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배출구(18)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배출구(18)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배출덕트(24)에 의해 배기면적이 넓어지므로 덕트부(20)를 따라 이동되는 열풍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순환단계 이후에 조리실(50) 내의 조리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를 갖는다.(S30)
조리실(50) 내의 온도와 설정된 시간의 경과로 조리 여부를 확인하게 되며,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조리실(50)의 조리가 완료되면 배기구(12)와 순환구(14)를 통해 조리실(50) 내의 열풍을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갖는다.(S40)
배기구(12)를 통해 조리실(50)의 열풍이 배출되며, 순환구(14)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순환팬(40)의 역회전으로 조리실(50)에서 덕트부(20)로 열풍이 배출된다.
배기구(12)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풍과 순환구(14)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은 덕트부(20)를 따라 배출된다.
순환팬(40)의 역회전으로 조리실(50) 내의 열풍은 순환구(14)를 통해 덕트부(20)로 흡입되므로, 조리실(50)의 열풍의 배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컨벡션 전자레인지(1)는 음식물에 열전달을 행하고 배출되는 열풍을 다시 조리실(50)로 순환시키는 덕트부(20)가 설치되므로 컨벡션 가열부(30)의 열손실을 줄여서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조리실(50) 내부의 온도를 설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히터(32)가 생략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리실(50)의 조리가 완료된 이후, 순환팬(40)의 역회전으로 조리실(50)에서 덕트부(20)로 열풍을 배출시켜 조리실(50)의 냉각 시간을 단축시키므로 조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가정용 컨벡션 전자레인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가정용 외에도 산업용이나 업소용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전자레인지에도 본 발명의 컨벡션 전자레인지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컨벡션 전자레인지
5: 캐비닛 10: 케이스
12: 배기구 14: 순환구
18: 배출구 20: 덕트부
22: 연결덕트 24: 배출덕트
30: 컨벡션 가열부 40: 순환팬
50: 조리실

Claims (8)

  1. 캐비닛의 내측에 설치되어 조리실을 형성하며, 흡기구, 배기구 및 순환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컨벡션 가열부;
    상기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을 상기 조리실 내부와 배출구를 통해 외측으로 안내하는 덕트부; 및
    상기 순환구와 대향하여 상기 덕트부에 설치되는 순환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전자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배기구에서 상기 순환구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덕트; 및
    상기 연결덕트에서 상기 배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배출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전자레인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는 상기 순환구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전자레인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팬은 제어신호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전자레인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케이스 측면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순환구는 상기 케이스 측면의 전방 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전자레인지.
  6. 컨벡션 가열부가 가동되어 조리실로 열풍을 공급하는 가열단계;
    상기 조리실에서 배출되는 열풍이 덕트부를 따라 이동된 후, 순환구를 통해 상기 조리실의 내측으로 재유입되는 순환단계;
    상기 조리실 내의 조리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조리실의 조리가 완료되면, 상기 배기구와 상기 순환구를 통해 상기 조리실 내의 열풍을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단계는 상기 순환구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순환팬의 정회전으로 상기 덕트부에서 상기 조리실로 열풍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순환구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순환팬의 역회전으로 상기 조리실에서 상기 덕트부로 열풍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벡션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
KR1020100002698A 2010-01-12 2010-01-12 컨벡션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Withdrawn KR20110082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698A KR20110082805A (ko) 2010-01-12 2010-01-12 컨벡션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698A KR20110082805A (ko) 2010-01-12 2010-01-12 컨벡션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805A true KR20110082805A (ko) 2011-07-20

Family

ID=4492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698A Withdrawn KR20110082805A (ko) 2010-01-12 2010-01-12 컨벡션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280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99780A2 (en) * 2013-04-30 2014-11-05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Cooking apparatus
CN104138224A (zh) * 2013-04-30 2014-11-12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烹饪设备
CN104141971A (zh) * 2013-04-30 2014-11-12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烹饪设备
CN104138225A (zh) * 2013-04-30 2014-11-12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烹饪设备
EP2799782A3 (en) * 2013-04-30 2016-01-06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Cooking apparatus
CN110500621A (zh) * 2014-09-02 2019-11-26 三星电子株式会社 烹饪设备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99780A2 (en) * 2013-04-30 2014-11-05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Cooking apparatus
CN104138224A (zh) * 2013-04-30 2014-11-12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烹饪设备
CN104141971A (zh) * 2013-04-30 2014-11-12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烹饪设备
CN104138225A (zh) * 2013-04-30 2014-11-12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烹饪设备
CN104138219A (zh) * 2013-04-30 2014-11-12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烹饪设备
EP2799777A3 (en) * 2013-04-30 2015-12-30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Cooking apparatus
EP2799782A3 (en) * 2013-04-30 2016-01-06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Cooking apparatus
EP2799781A3 (en) * 2013-04-30 2016-01-06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Cooking apparatus
EP2799778A3 (en) * 2013-04-30 2016-01-06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Cooking apparatus
CN104141971B (zh) * 2013-04-30 2017-06-09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烹饪设备
CN110500621A (zh) * 2014-09-02 2019-11-26 三星电子株式会社 烹饪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5610B1 (en) Convection heating unit and heating cooker having the same
CN206261491U (zh) 烹饪器具
JP3750059B2 (ja) ビルトイン電子レンジ
KR20110082805A (ko) 컨벡션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US20090050619A1 (en) Electric oven with multiple broil heaters and method for preheating the electric oven
CN112656246B (zh) 烹饪装置
CN102940445A (zh) 一种快速开盖的电压力锅
KR20110058140A (ko) 컨벡션 전자레인지
CN106562685B (zh) 烹饪电器的烹饪方法
JP2011149607A (ja) 加熱調理器
CN217309947U (zh) 一种具有低温升排风口的空气炸锅
JP7280900B2 (ja) 加熱調理器
CN209310060U (zh) 电磁炉
KR100284503B1 (ko) 전자레인지의 히터부 냉각 구조
KR101702667B1 (ko) 조리기기
CN1333202C (zh) 壁装式微波炉
CN209310057U (zh) 电磁炉
CN101655254A (zh) 微波炉
KR102513419B1 (ko) 전기 조리기
JP2010243116A (ja) 加熱調理器
KR200147440Y1 (ko) 컨벡션 오븐렌지
KR200353573Y1 (ko) 전기오븐의 도어 냉각 시스템
KR100789831B1 (ko) 전기 오븐
KR101649692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CN222194757U (zh) 一种烹饪器以及集成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