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79384A -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 Google Patents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9384A
KR20110079384A KR1020090136406A KR20090136406A KR20110079384A KR 20110079384 A KR20110079384 A KR 20110079384A KR 1020090136406 A KR1020090136406 A KR 1020090136406A KR 20090136406 A KR20090136406 A KR 20090136406A KR 20110079384 A KR20110079384 A KR 20110079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udio data
sound source
vocal
digital audi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6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주)코아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주)코아큐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Priority to KR102009013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9384A/en
Publication of KR20110079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384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1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 G11B20/10027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djusting the signal strength during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variable gain amplif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11B2020/10555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 G11B2020/10574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wherein the frequency, the amplitude, or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is taken into account volume or amplitu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935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time constraint must be met
    • G11B2020/10944Real-time recording or reproducing, e.g. for ensuring seamless playback of AV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특히 입력슬롯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데이터만을 활성화/비활성화함은 물론 목적하는 데이터의 출력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으로 재생성할 수 있는 것인 바,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하는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에 있어서,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의 음원을 트랙별로 분할하여 시각적으로 펄싱출력하는 복수 개의 LED 트랙표시부(100);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 중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모드입력부(200);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플레어어가 재생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정보를 구현하는 액정화면부(300); 모드입력부(200)와 연동하여 오디오 데이터인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에 대한 각 음원의 출력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패턴조절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generates the input audio data into a sound source desired by the user by activating / deactivating only the data desired by the user among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especially an input slot, and adjusting the output level of the desired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gital audio player for storing and outputting audio data, a sound source of vocal and / or played instruments for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S is divided by tracks. A plurality of LED track display unit 100 to visually pulse the output; A mode input unit 200 which can be adjusted to selectively output vocal and / or musical instruments for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S;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300 that implements information in real time when the digital audio flare is played in response to audio data input through an input slot S; And a plurality of pattern adjusting units 400 that can adjust the output level of each sound source for the vocals and / or the musical instruments that are audio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mode input unit 200.

LED 트랙표시부, 입력슬롯, 오디오 데이터, 활성화, 트랙, 분할 LED track display, input slot, audio data, active, track, split

Description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PORTABLE DIGITAL AUDIO PLAYER}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본 발명은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입력슬롯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데이터만을 활성화/비활성화함은 물론 목적하는 데이터의 출력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으로 재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in which audio data input through an input slot is activated or deactivated only by a user's desired data as well as by adjusting an output level of the desired dat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that can be regenerated by a computer.

최근 음향신호에 대한 압축율을 높이면서 청각적으로 원음에 가까운 재생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음향신호의 부호화 기법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for encoding an audio signal, which can provide an acoustically close reproduction ability while increasing the compression ratio of the audio signal.

엠펙(MPEG)/오디오(audio) 표준이나 AC-2/AC-3 방식은 기존의 디지털 부호화에 비해 1/6 내지 1/8로 줄어든 64Kbps 내지 384Kbps의 비트율로 컴팩트 디스크 음질과 거의 같은 정도의 음질을 제공한다.MPEG / audio standards or AC-2 / AC-3 schemes have almost the same sound quality as compact discs, with bit rates from 64 Kbps to 384 Kbps, reduced by 1/6 to 1/8 compared to traditional digital encoding. To provide.

한편, 좀 더 낮은 비트율에서 원음에 대응되는 음질을 제공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그 하나인 MPEG-2 AAC(Advanced Audio Coding)는 새로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MPEG-2 AAC는 64Kbps에서 원음에 대응되는 음 질을 제공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문가 그룹에 의해 권고 되었다.On the other h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a method that can provide sound quality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sound at a lower bit rate, and one of them, MPEG-2 AAC (Advanced Audio Coding), has been adopted as a new international standard. MPEG-2 AAC was recommended by a group of experts in such a way that it could provide sound quality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sound at 64 Kbps.

이런 기존의 부호화 기법들이 적용된 일반적인 부호화 장치는 고정된 비트율에 따라 설정된 부호화 기법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 한다.A general encoding apparatus to which such conventional encoding techniques are applied encodes audio data using an encoding scheme set according to a fixed bit rate.

한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는 이러한 부호화 방식으로 생성된 오디오 파일을 컴퓨터 또는 자판용 오디오 파일 공급기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재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is configured to download and reproduce the audio file generated by such an encoding method from a computer or an audio file supplier for keyboard.

그런데,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유저들은 다운로드 된 정형화된 오디오 파일을 반복적으로 듣게 되면 얼마 가지 않아 바로 싫증을 내게 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users of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s have a disadvantage that they get tired soon after hearing the downloaded standardized audio files repeatedly.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슬롯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데이터만을 활성화/비활성화함은 물론 목적하는 데이터의 출력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으로 재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user can regenerate the input audio data into a sound source desired by the user by activating / deactivating only the desired data among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and adjusting the output level of the desired data. There is a need for an implementation of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슬롯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데이터만을 활성화/비활성화함은 물론 목적하는 데이터의 출력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으로 재생성할 수 있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tivate / deactivate only the data desired by the user among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as well as to adjust the output level of the desired data.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that can reproduce audio data into a user's desired sound sour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하는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에 있어서, 입력슬롯을 통해 입력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컬 및 연주된 악기들의 음원을 트랙별로 분할하여 시각적으로 펄싱출력하는 복수 개의 LED 트랙표시부; 입력슬롯을 통해 입력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컬 및 연주된 악기 중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모드입력부; 입력슬롯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플레어어가 재생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정보를 구현하는 액정화면부; 모드입력부와 연동하여 오디오 데이터인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에 대한 각 음원의 출력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패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audio player for storing and outputting audio data, wherein the sound source of vocal and played instruments for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an input slot is track-by-track. A plurality of LED track display for dividing and visually pulsing output; A mode input unit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vocal and played instrument for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an input slot;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that implements information in real time when the digital audio flare is played in response to audio data input through an input slot; And a plurality of pattern adjusting units for adjusting the output level of each sound source for the vocals and / or the played instruments, which are audio data, in conjunction with the mode input unit.

모드입력부는, 입력슬롯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원래의 음원으로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기본모드와, 오디오 데이터 중 보컬만을 활성화하여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보컬모드와, 오디오 데이터 중 연주된 악기의 음원만을 활성화하여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뮤직모드와, 오디오 데이터 중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 각각의 음원을 활성화/비활성화하여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사용자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The mode input unit may include a basic mode for adjusting audio data input through an input slot to be output as an original sound source, a vocal mode for adjusting only the vocal of audio data to be output, and a sound source of a musical instrument played among audio data. Music mode fo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audio data, and user mode fo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audio data of the vocal and / or played instruments.

각 패턴조절부는 모드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모드인 경우 입력슬롯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 각각에 해당하는 음원의 출력레벨을 조정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Each pattern control unit is operated to adjust an output level of a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ocals and / or instruments played on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when the user mode is operated by the mode input unit.

각 LED 트랙표시부는 각 패턴조절부와 연동하여 각 패턴조절부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 각각에 해당하는 음원의 출력레벨을 조정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음원을 각각의 트랙을 따라 독립적으로 펄싱출력된다.Each LED track display unit, in conjunction with each pattern control unit, adjusts the output level of the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ocal and / or played instruments for the audio data by each pattern control unit, respectively. Independently pulsed output along the track of

액정화면부의 일측에 구비된 내장형 마이크를 통해 음원이 입력되는 경우 각 LED 트랙표시부에는 내장형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원의 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펄싱출력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토글 형태의 투명아이콘이 일체로 형성된다.When a sound source is input through the built-in microphon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CD screen, each LED track display unit is integrally formed with a toggle type transparent icon for operating to output pulsing audio data of the sound source input through the built-in microphone in real time. do.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는,The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입력슬롯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 중 보컬, 기타, 드럼, 베이스 등 연주된 악기들의 각 음원을 취사선택하여 사용자가 목적하는 음원만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여 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activate or deactivate only the desired sound source by listening to each sound source of the instruments played such as vocal, guitar, drum, bass among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둘째, 입력슬롯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 중 보컬, 기타, 드럼, 베이스 등 연주된 악기들의 각 음원을 취사선택하여 사용자가 목적하는 음원의 출력레벨을 조정하여 기존에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와는 다른 형태의 새로운 데이터를 재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it selects each sound source of instruments played such as vocal, guitar, drum, bass among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and adjusts the output level of the desired sound source to be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inputted audio data. Has the advantage of regenerating new data.

셋째, 입력슬롯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컬 및 연주된 악기 음을 트랙별로 분할하고, 분할된 트랙에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음원을 입력하여 새로운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 기존의 오디오 데이터와 새로이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를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Third, the vocal and played instrument sound for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can be divided by track, and the user can regenerate a new type of audio data by inputting a sound source in real time to the divided track.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comparing and evaluating audio data with newly created audio data.

넷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비교적 작은 사이즈로 제작됨으로써 사용자가 뮤지션인 경우 일정한 장소에서만 모여서 반복적으로 합주를 하면서 상호 불일치되는 음향을 교정하던 기존의 난해한 방식으로부터 시공간적으로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는 현저한 효과도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 relatively small size that can be easily carri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has a breakthrough in space and time from the existing difficult way to correct the mutually inconsistent sound while gathering only in a certain place in the case of musicians There is also a significant effe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인 뮤직(MUSIC)2.0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주식회사 오디즌에서 개발한 디지털 오디오파일포맷으로서 MT9로도 불린다.Music 2.0,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audio file format developed by the Korea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TRI) and Odison Co., Ltd., also called MT9.

MUSIC 2.0의 주요특징은 기타, 드럼, 베이스 등의 각 악기 소리별로 음향을 조절할 수 있는 점이다. 즉, 보컬만 남기고 나머지 악기 소리를 비활성화하면 가수 의 목소리만 들을 수 있고, 반대로 보컬을 비활성화하면 악기 연주만 들을 수 있다. 또한, 각 악기별로 자신이 듣고 싶은 악기 음향을 활성화하고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개인 취향에 따라 다양한 음악감상이 가능하다.The main feature of MUSIC 2.0 is that you can adjust the sound for each instrument sound such as guitar, drum, bass, etc. In other words, if you leave the vocal and disable the rest of the instrument, you can hear the singer's voice only. If you disable the vocal, you can only listen to the instrum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joy a variety of music according to personal preferences by activating the instrument sound you want to listen to each instrument and adjusting the intensity.

MUSIC 2.0은 2008년말 스위스에서 열린 MPEG 회의에서 쌍방향 음원의 국제표준인 ISO/IEC 23000-12를 획득했다. 또한, 2009년말께 MUSIC 2.0이 국제표준으로 공식적인 표준문서로서 전 세계에 배포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도 5참조).MUSIC 2.0 acquired ISO / IEC 23000-12,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interactive audio, at the MPEG conference in Switzerland in late 2008. In addition, by the end of 2009, MUSIC 2.0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and aims to be distributed worldwide as an official standard document (see Fig. 5).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도시한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e left side, right side, top and bottom views of the audio player are shown.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하는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에 있어서,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의 음원을 트랙별로 분할하여 시각적으로 펄싱출력하는 복수 개의 LED 트랙표시부(100);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컬 및 연주된 악기 중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모드입력부(200);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플레어어가 재생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정보를 구현하는 액정화면부(300); 모드입력부(200)와 연동하여 오디오 데이터인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에 대한 각 음원의 출력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패턴조절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gital audio player for storing and outputting audio data, by dividing a sound source of vocal and / or played instruments for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an input slot S by tracks. A plurality of LED track display unit 100 for visually pulsing output; A mode input unit 200 which can be adjusted to selectively output among vocals and played instruments for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an input slot S;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300 that implements information in real time when the digital audio flare is played in response to audio data input through an input slot S; And a plurality of pattern adjusting units 400 that can adjust the output level of each sound source for the vocals and / or the musical instruments that are audio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mode input unit 200.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가수의 보컬 및/또는 기타, 피아노, 드럼, 베이스 등 여러 가지의 음원이 복합적으로 믹싱이 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입력슬롯(S)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로 입력되어 재생되는 과정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각 음원은 트랙별로 분할되어 내장형 스피커로 출력이 됨과 동시에 트랙별로 분할된 각각의 음원은 LED 트랙표시부(100)를 통해 트랙별로 분할되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펄싱출력을 하게 된다(도 1 내지 도 4의 도면부호 I는 레코딩부를 나타낸다).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S) is a mixture of a singer's vocal and / or a variety of sound sources such as guitar, piano, drums, bass, etc., the audio data through the input slot (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being inputted and played back, each sound source of audio data is divided by tracks and output to the built-in speaker, and each sound source divided by tracks is divided by tracks through the LED track display unit 100 to be visually detected by the user. The pulsing output is performed so as to make it possible (reference numeral I in FIGS. 1 to 4 denotes a recording unit).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드입력부(200)는,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원래의 음원으로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기본모드와, 오디오 데이터 중 보컬만을 활성화하여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보컬모드와, 오디오 데이터 중 연주된 악기의 음원만을 활성화하여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뮤직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As shown in FIG. 2, the mode input unit 200 adjusts the audio mode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S to be output as an original sound source, and activates only the vocal of the audio data to be output. The vocal mode and the music mode of the audio data is adjusted to activate and output only the sound source of the instrument played.

사용자는 모드입력부(200)를 조작함으로써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원래의 음원으로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기본모드와, 오디오 데이터 중 보컬만을 활성화하여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보컬모드와, 오디오 데이터 중 연주된 악기의 음원만을 활성화하여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뮤직모드와, 오디오 데이터 중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 각각의 음원을 활성화/비활성화하여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사용자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The user manipulates the mode input unit 200 to adjust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S to be output as the original sound source, the vocal mode to adjust the output to activate only the vocal among the audio data, and the audio. You can select one of the music modes to activate and deactivate only the sound source of the instrument that is played, and the user mode to adjust the output of the vocal and / or played instruments. It becomes possible.

기본모드는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이 합주되어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경우 각 음원의 활성화 또는 출력레벨의 조정을 하지 않은 원래의 음원상태에서 재생되는 것을 말한다. 보컬모드는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이 합주되어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경우 노래를 하는 보컬에 대응되는 트랙의 음원만을 활성화하고 연주된 악기들에 대응되는 트랙의 음원은 비활성화하여 아카펠라 형태의 노래만을 출력하게 된다. The basic mode is that when the vocal and / or played instruments are combined and stored, the audio data is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S and is reproduced in the original sound source state without activating or adjusting the output level of each sound source. The vocal mode activates only the sound source of the track corresponding to the singing vocal when the vocal and / or played instruments are combined and the stored audio data is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S, and the sound source of the track corresponding to the played instruments is activated. Disables and outputs only a cappella songs.

뮤직모드는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이 합주되어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경우 연주된 악기들에 대응되는 트랙의 음원만을 활성화하고, 노래를 하는 보컬에 대응되는 트랙의 음원은 비활성화하여 연주곡(MR)으로 출력하게 된다. 사용자모드는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이 합주되어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경우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에 대응되는 트랙의 음원을 취사선택하여 활성화/비활성화함으로써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로 재생성할 수 있게 된다.The music mode activates only the sound source of the track corresponding to the played instruments when the vocal and / or played instruments are combined and the stored audio data is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S). The sound source is deactivated and output as a performance song (MR). The user mode is input by selecting and activating / deactivating a sound source of a track corresponding to the vocal and / or played instruments when audio data stored by vocal and / or played instruments are combined through an input slot (S). The audio data can be reproduced as a completely new type of audio data.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패턴조절부(400)는 모드입력 부(200)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모드인 경우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 각각에 해당하는 음원의 출력레벨을 조정할 수 있도록 작동된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2, each pattern control unit 400 is a vocal for audio data input through an input slot S when the user mode is operated by the mode input unit 200. And / or adjust the output level of the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ayed instruments.

사용자가 모드입력부(200)를 조작하여 사용자모드로 전환된 경우 입력슬롯(S)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트랙별로 분할되어 오디오가 출력되는데, 트랙별로 분할되어 오디오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됨과 동시에 LED 트랙표시부(100)에 트랙별로 분할된 음원이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펄싱출력된다.When the user switches to the user mode by operating the mode input unit 200,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S is divided into tracks and outputs audio. The splits are divided into tracks and the audio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The sound source divided by tracks is tracked on the track display unit 100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detect it.

각 패턴조절부(400)는 트랙별로 분할된 하나의 음원에 대해서만 출력레벨을 조정할 수 있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패턴조절부(40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Each pattern control unit 400 is preferably set to adjust the output level for only one sound source divided for each track, the number of the pattern control unit 40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cessary.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LED 트랙표시부(100)는 각 패턴조절부(400)와 연동하여 각 패턴조절부(400)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 각각에 해당하는 음원의 출력레벨을 조정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음원을 각각의 트랙을 따라 독립적으로 펄싱출력된다. 즉, 사용자가 각 패턴조절부(400)를 터치함으로 출력레벨을 높이는 경우 그에 연동하여 LED 트랙표시부(100)에 일렬로 구비된 복수 개의 LED 등은 일방에서 타방으로 이동하며 점멸하며, 반대로 사용자가 각 패턴조절부(400)를 터치함으로 출력레벨을 낮추는 경우 그에 연동하여 LED 트랙표시부(100)에 일렬로 구비된 복수 개의 LED 등은 출력레벨을 높이는 경우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며 점멸함으로써 사용자는 오디오 데이터의 각 음원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를 시각적으로도 감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 each LED track display unit 100 is connected to each pattern control unit 400 to each of the vocal and / or played instruments for audio data by each pattern control unit 400. When adjusting the output level of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each corresponding sound source is independently pulsed along each track. That is, when the user raises the output level by touching each pattern control unit 400, a plurality of LED lights provided in a row in the LED track display unit 100 in conjunction with the blinking move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the user When the output level is lowered by touching each pattern control unit 400, a plurality of LEDs provided in a row in the LED track display unit 100 in conjunction with the blinking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the case of increasing the output level. It is also possible to visually detect the relative size of each sound source of data.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정화면부(300)의 일측에 구비된 내장형 마이크(M)를 통해 음원이 입력되는 경우 각 LED 트랙표시부(100)에는 내장형 마이크(M)를 통해 입력되는 음원의 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펄싱출력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터치토글 형태의 투명아이콘이 일체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sound source is input through the built-in microphone (M)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300, each LED track display unit 100 is a sound source input through the built-in microphone (M) Transparent icons in the form of touch toggles for pulsing and outputting audio data in real time are integrally formed.

오디오 데이터의 각 음원이 트랙별로 분할되어 내장형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동시에 LED 트랙표시부(100)를 통해 펄싱출력을 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LED 트랙표시부(100)에 형성된 토글 형태의 투명아이콘을 터치하면 해당 트랙에서 출력되던 원래의 분할된 음원은 뮤트(Mute)되고, 원래의 분할된 음원이 뮤트된 트랙을 통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음원이 출력된다. 즉, 기존의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인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에 해당하는 음원 중 사용자가 각각의 음원이 출력되는 LED 트랙표시부(100)의 투명아이콘을 터치하여 뮤트시키고, 뮤트된 트랙에 실시간으로 내장형 마이크(M)를 통해 음원을 입력하여 새로운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When each sound source of the audio data is divided by tracks and output through the built-in speaker and pulsed through the LED track display unit 100, the user touches a toggle-shaped transparent icon formed on the LED track display unit 100. The original divided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track is muted, and a sound source input by the user in real time is output through the track in which the original divided sound source is muted. That is, among the sound sources corresponding to the vocals and / or the played instruments, which ar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existing input slot S, the user touches a transparent icon of the LED track display unit 100 where the respective sound sources are muted. In addition, by inputting the sound source through the built-in microphone (M) in real time to the muted track, it is possible to reproduce and output a new type of audio data.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인 뮤직2.0의 개요도로서, 사용자는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데이터만을 활성화/비활성화함은 물론 목적하는 데이터의 출력레벨을 조정 함으로써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으로 재생성할 수 있게 된다.FIG.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usic 2.0 which is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user inputs it through an input slot S. It is possible to regenerate the input audio data into a sound source desired by the user by activating / deactivating only the desired data among the audio data, as well as adjusting the output level of the desired dat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도시한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도시한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저면도,3 is a left side view, a right side view, a top view, a bottom view of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를 도시한 사용상태도,4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인 뮤직2.0의 개요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of Music 2.0,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0 : LED 트랙표시부 200 : 모드입력부100: LED track display unit 200: mode input unit

300 : 액정화면부 400 : 패턴조절부300: LCD screen 400: pattern control unit

S : 입력슬롯 M : 마이크S: Input slot M: Microphone

V : 볼륨조절부 P : 전원버튼부V: Volume control part P: Power button part

I : 레코딩부I: recording unit

Claims (5)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하는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에 있어서,A digital audio player for storing and outputting audio data,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의 음원을 트랙별로 분할하여 시각적으로 펄싱출력하는 복수 개의 LED 트랙표시부(100);A plurality of LED track display units 100 for visually pulsing output by dividing the sound sources of the vocal and / or the played instruments for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S by tracks;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 중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모드입력부(200);A mode input unit 200 which can be adjusted to selectively output vocal and / or musical instruments for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S;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플레어어가 재생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정보를 구현하는 액정화면부(300);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300 that implements information in real time when the digital audio flare is played in response to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an input slot S; 상기 모드입력부(200)와 연동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인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에 대한 각 음원의 출력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패턴조절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And a plurality of pattern adjusting units 400 which can adjust the output level of each sound source for the vocal and / or the musical instruments which are the audio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mode input unit 200.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모드입력부(200)는,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원래의 음원으로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기본모드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중 보컬만을 활성화하여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보컬모드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중 연주된 악기의 음원만을 활성화하여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뮤직모드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중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 각각의 음원을 활성화/비활성화하여 출력되도록 조정하는 사용자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The mode input unit 200 may include a basic mode for adjusting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S to be output as an original sound source, a vocal mode for activating and outputting only the vocal of the audio data, and Among the audio data, one of the music modes for activating and outputting only the sound source of the played instrument and the user mode for activating / deactivating the sound sources for each of the vocal and / or played instruments can be selected.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각 패턴조절부(400)는 상기 모드입력부(200)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모드인 경우 상기 입력슬롯(S)을 통해 입력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 각각에 해당하는 음원의 출력레벨을 조정할 수 있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Each pattern control unit 400 corresponds to each of vocal and / or played instruments for the audio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slot S when the user mode is operated by the mode input unit 200.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rable to adjust the output level of the sound source.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각 LED 트랙표시부(100)는 상기 각 패턴조절부(400)와 연동하여 각 패턴조절부(400)에 의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보컬 및/또는 연주된 악기들 각각에 해당하는 음원의 출력레벨을 조정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각각의 음원을 각각의 트랙을 따라 독립적으로 펄싱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The LED track display unit 100 is linked to the pattern control unit 400, the output level of the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ocal and / or played instruments for the audio data by each pattern control unit 400 The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characterized in that for pulsing the respective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each track independently along each track.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액정화면부(300)의 일측에 구비된 내장형 마이크(M)를 통해 음원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각 LED 트랙표시부(100)에는 내장형 마이크(M)를 통해 입력되는 음원의 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펄싱출력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토글 형태의 투명아이콘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When the sound source is input through the built-in microphone (M)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300, each LED track display unit 100 pulsing audio data of the sound source input through the built-in microphone (M) in real time A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oggle type transparent icon that is operated so that the output is formed integrally.
KR1020090136406A 2009-12-31 2009-12-31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Withdrawn KR201100793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406A KR20110079384A (en) 2009-12-31 2009-12-31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6406A KR20110079384A (en) 2009-12-31 2009-12-31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384A true KR20110079384A (en) 2011-07-07

Family

ID=4491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6406A Withdrawn KR20110079384A (en) 2009-12-31 2009-12-31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9384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7439B2 (en) 2011-12-21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terminating music reproduction in a wireless terminal
KR101875743B1 (en) * 2012-01-10 2018-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KR20200007183A (en) 2018-07-12 2020-01-22 (주)더비트 Reproducing apparatus of a digital sound source
KR102401550B1 (en) * 2020-11-26 2022-05-24 주식회사 버시스 A method for playing audio source using user interaction and a music application using the same
KR20220073713A (en)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버시스 A method for playing audio source using user interaction and a music application using the same
US11579838B2 (en) 2020-11-26 2023-02-14 Verses, Inc. Method for playing audio source using user interaction and a music application using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7439B2 (en) 2011-12-21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terminating music reproduction in a wireless terminal
KR101875743B1 (en) * 2012-01-10 2018-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KR20200007183A (en) 2018-07-12 2020-01-22 (주)더비트 Reproducing apparatus of a digital sound source
KR102401550B1 (en) * 2020-11-26 2022-05-24 주식회사 버시스 A method for playing audio source using user interaction and a music application using the same
KR102401549B1 (en) * 2020-11-26 2022-05-24 주식회사 버시스 A method for playing audio source using user interaction and a music application using the same
KR20220073713A (en)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버시스 A method for playing audio source using user interaction and a music application using the same
US11579838B2 (en) 2020-11-26 2023-02-14 Verses, Inc. Method for playing audio source using user interaction and a music application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0059A1 (en)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looping station
US9495947B2 (en)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docking station
Dockwray et al. Configuring the sound-box 1965–1972
US9892720B2 (en)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docking station
US12046223B2 (en)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looping station
WO2021175464A1 (en) Method, device and software for controlling timing of audio data
US20110112672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 Library of Audio Segments of a Song and an Interface for Generating a User-Defined Rendition of the Song
US11488568B2 (en) Method, device and software for controlling transport of audio data
US11462197B2 (en) Method, device and software for applying an audio effect
KR20110079384A (en) Portable digital audio player
JP7136979B2 (en) Methods, apparatus and software for applying audio effects
EP3523795A1 (en) Improved synthesized percussion pedal and docking station
Elmosnino Audio production principles: Practical studio applications
KR20060016318A (en) Automatic playing and recording devices for acoustic and electric guitars
White Basic mixing techniques
WO2021175461A1 (en) Method, device and software for applying an audio effect to an audio signal separated from a mixed audio signal
EP4523206A1 (en) Reactive dj system for the playback and manipulation of music based on energy levels and musical features
JP4107212B2 (en) Music playback device
JP2007322544A (en) Music reproducing device
Coryat Guerrilla home recording: how to get great sound from any studio (no matter how weird or cheap your gear is)
JP3123908U (en) A way to appreciate contemporary music with the sound quality of the era before CDs spread
JP2011154289A (en) Karaoke machine for enjoying mood for urging audience to sing in chorus
US20120277894A1 (en) Audio authoring apparatus and audio playback apparatus for an object-based audio service, and audio authoring method and audio playback method using same
JP2011154290A (en) Karaoke machine for supporting singing of music partially including solitary duet
KR20100078457A (en) Method service music contents down mik singh selective used the music contents multi sau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