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9082A - Mode select connector with fuse - Google Patents
Mode select connector with fu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9082A KR20110079082A KR1020090136044A KR20090136044A KR20110079082A KR 20110079082 A KR20110079082 A KR 20110079082A KR 1020090136044 A KR1020090136044 A KR 1020090136044A KR 20090136044 A KR20090136044 A KR 20090136044A KR 20110079082 A KR20110079082 A KR 201100790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fuse
- hook
- inlet
- butt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드선택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의 상태에 따라 모드를 선택하여 전기적 연결을 하는데 과부하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퓨즈를 구비한 모드선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e selection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de selection connector having a fuse to prevent the overload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by selecting the mod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product.
자동차에 사용되는 박스 등에서는 배터리로 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전장부품들로 선택적으로 전달하여야 할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완성된 자동차를 판매지로 장시간에 걸쳐 이송하는 경우 등에는 배터리의 전원이 전장부품쪽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 좋다.In boxes used in automobiles, power from a battery may need to be selectively transferred to electronic components. For example, when transporting a finished car to a sales site for a long time, it is good to block the power of the battery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electronic component side.
특히 최근에는 자동차에 전장부품들이 많이 사용되어, 이들의 정확한 제어를 위해 스마트 정션박스가 사용되는데, 상기 스마트 정션박스에서는 자동차를 고객에게 인도하기 전과 후에 전원공급을 달리할 필요가 있고, 암전류를 차단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many electronic components are used in automobiles, and smart junction boxes are used to precisely control them. In the smart junction boxe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wer supply before and after the vehicle is delivered to customers, and to cut off the dark current. There is a need to do this.
이와 같은 요구에 의해 스마트 정션박스에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드선택 커넥 터가 개발되고 있는데, 종래에는 박스몸체에 직접 장착되므로 모드선택 커넥터가 박스몸체의 구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Due to such a requirement, a mode selection connector that can be used in a smart junction box has been developed. In the related art, the mode selection connector has a problem of affec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x body because it is directly mounted on the box body.
한편, 박스에는 각각의 전장부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퓨즈가 설치되는데, 이들 퓨즈를 별도로 박스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부품장착부를 만들어야 하므로 박스의 크기가 커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separate fuse is installed in the box in order to prevent the overcurrent flow to each electric component, there is a problem such as the size of the box is increased because the component mounting portion must be made to install these fuse separately in the box.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의 구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모드선택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mode selection connector that can be installed and used without affec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x.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튼하우징이 특정 모드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는 모드선택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de selection connector in which the button housing can be fixedly installed in a specific mo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버튼하우징에 퓨즈를 설치하여 과부하를 차단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fuse in the button housing to block the overloa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이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내부공간의 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이동하면서 모드를 바꾸며 상하로 관통하여 퓨즈안착부가 형성되는 버튼하우징과, 상기 퓨즈안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터미널과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레그단자를 구비하는 퓨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ousing in which an inner space in which the terminal is located and an inlet of the inner spa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is installed in the inlet of the housing A button housing having a fuse seat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ousing while mov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long the inlet, and a leg terminal installed at the fuse seat to selectively connect with a terminal installed in the hous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use.
상기 퓨즈안착부의 입구 내면에는 상기 퓨즈가 퓨즈안착부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턱이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턱의 상면에는 상기 퓨즈안착부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퓨즈의 삽입을 안내한다.A fixing jaw protruding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inlet of the fuse seat to prevent the fuse from escaping from the fuse seat. An upper surface of the fixing jaw is formed with a guide slop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fuse seat. Guide the insertion of the fuse.
상기 하우징의 입구의 양측 내면을 따라서는 이동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하우징의 이동을 안내하는데, 상기 버튼하우징의 내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버튼프레임에는 제1걸이돌기와 상기 제1걸이돌기보다 덜 돌출된 제2걸이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레일에는 상기 제1걸이돌기가 통과할 수 있는 절결부와 상기 제2걸이돌기가 탄성변형에 의해 통과할 수 있는 걸이슬롯이 형성된다.Moving rails are formed along both inner surfaces of the inlet of the housing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button housing. The button fram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button housing protrudes less than the first hook protrusion and the first hook protrusion. A second hook protrusion is provided, and the movable rail has a cutout portion through which the first hook protrusion passes and a hook slot through which the second hook protrusion passes by elastic deformation.
상기 하우징의 입구 적어도 일측에는 선단에 곡면으로된 걸이턱이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하우징의 내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버튼프레임에는 걸이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후크가 걸어진다.At least one side of the inlet of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fixed hook formed to protrud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anging hook on the front end, the button fram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button housing is formed with a hook slot to hang the fixed hook Lose.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은 하단부가 박스몸체의 내부에 있는 기판에 실장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은 박스몸체의 관통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The terminal of the housing is fixed to the lower end is mounted on the substrate in the interior of the box body and the housing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portion of the box body.
본 발명에 의한 퓨즈를 가지는 모드선택 커넥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connector having a 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이 기판 상에 직접 실장되어 설치되고 하우징이 박스몸체를 관통하여 박스몸체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되므로 모드선택 커넥터의 설치가 박스몸체의 구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is directly mounted on the board, and the housing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x body through the box body. Therefore, the mode selection connector does not affect the configuration of the box body. There is.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모드선택 커넥터의 동작을 위한 버튼하우징이 기판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버튼하우징의 조작시에 기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외력 이 작용하지 않아 모드선택 커넥터의 기판에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tton housing for the operation of the mode selection connector is mov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bstrate, the external force does not ac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utton housing, so that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mode selection connector to the substrate is It also has a solid effect.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버튼하우징을 고정후크를 사용하여 소정 모드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였으므로 임의의 외력이나 부주의에 의해 모드선택을 바꾸게 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tton housing is fixed to a predetermined mode by using a fixed hoo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de selection from being changed by arbitrary external force or carelessness.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버튼하우징의 내부에 퓨즈를 두어 과부하가 전장부품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박스에 별도로 퓨즈의 설치를 위한 부품장착부를 만들지 않아도 되고 커넥터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a fuse inside the button housing to prevent the overload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al component.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make a component mounting part for installing a fuse separately in the box, and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utility of the connecto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퓨즈를 구비한 모드선택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ode selection connector having a 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드선택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ode sele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componen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개방된다. 물론 상기 내부공간(12)이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로도 적어도 일부가 개방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는 내부공간(12)의 입구(12')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12’)의 크기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의 전체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특히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에 해당되는 입구(12')의 변이 상대적으로 더 짧게 형성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박스(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는 기판에 상기 하우징(10)을 설치할 때,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설치가이드(14)가 구비된다. 상기 설치가이드(14)는 봉형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In the lower part of the
상기 구획벽(13)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열을 지어 다수개의 터미널(16)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16)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내면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물론 별도의 터미널설치부(도시되지 않음)가 하우징(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16)이 상기 하우징(10)을 사출성형할 때 인서트될 수도 있다. 상기 터미널(16)은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10)의 하부로 돌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내부공간(12)내에 위치된다. 상기 구획벽(13)은 상기 터미널(16)의 열 사이에서 절연 역할을 한다.A plurality of
상기 터미널(16)은 직사각형의 판이 서로 마주보게 구성되는 결합부(17)와 상기 결합부(17)의 하단부에 상대적으로 좁은 폭으로 만들어져 기판의 통공에 삽입되는 실장부(17')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17)는 양쪽의 직사각형판이 서로 분리되어 있거나 일측이 서로 연결되도록 될 수 있다. 터미널(16)의 열에서 양단부에 있는 것은 직사각형 판의 일측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중간에 있는 터미널(16)의 결합부(17)는 양쪽의 직사각형판이 서로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The
상기 입구(12‘)의 길이방향 내면을 따라서는 이동레일(18)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레일(18)은 상기 입구(12’) 양단에 나란히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이동레일(18)의 일단부에 인접한 위치에는 절결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절결부(20)는 상기 이동레일(18)이 완전히 절단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결부(20)에 인접하여서는 2개의 걸이슬롯(22)이 소정 거리 떨어져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롯(22)은 상기 이동레일(18)이 일부만 절결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절결부(20)의 깊이에 비해 상기 걸이슬롯(22)의 깊이는 얕게 형성된다.A moving rail 18 is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inner surface of the
상기 입구(12‘)의 양단부 내면에는 고정후크(24)가 한쌍 형성된다. 상기 고정후크(24)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하우징(3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고정후크(24)의 선단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걸이턱(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턱(26)의 선단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슬롯(40)에 걸어진 상태에서 일정 이상의 힘이 주어지면 빠질 수 있다. 상기 고정후크(24)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후크(24)의 쌍은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하우징(30)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 pair of
버튼하우징(30)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 상면의 길이방향으로 입구(12')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버튼하우징(30)은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그 상면 양단에는 요철(32)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버튼하우징(30)을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2개의 퓨즈안착부(33)가 형성된다. 상기 퓨즈안착부(33)는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60)가 삽입되는 부분된다. 상기 퓨즈안착부(33)의 입구 내면의 네 모서리에는 고정턱(3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턱(33')은 상기 퓨즈안착부(33)의 입구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선단으로 갈수록 상기 퓨즈안착부(33)내부를 향해 하향경사지는 안내경사면(33")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3")은 퓨즈(60)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wo
상기 버튼하우징(30)의 내부에는 하부로 연장되게 버튼프레임(34)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프레임(34)은 상기 버튼하우징(30)의 하부에서 상기 버튼하우징(30)의 측면보다 돌출되지 않게 형성된다. 상기 버튼프레임(34)은 하부로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된다. 상기 버튼프레임(34)은 상기 퓨즈안착부(33)의 내면을 구성한다.The
상기 버튼프레임(34)의 양측 외면에는 제1걸이돌기(3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돌기(36)는 상기 절결부(20)를 통과하여 상기 이동레일(18)의 하부로 들어가 이동가능하게 걸어진다. 상기 제1걸이돌기(36)와 인접하여서는 제2걸이돌기(3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돌기(38)는 상기 걸이슬롯(22) 사이의 거리와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돌기(38)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1걸이돌기(36)보다는 덜 돌출되나 상기 걸이슬롯(22)의 깊이보다는 더 높은 높이로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걸이돌기(38)는 상기 걸이슬롯(22)을 통과할 때 약간 탄성변형된다.First hanging
상기 버튼프레임(34)의 양측을 관통하여서는 걸이슬롯(40)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롯(40)은 상기 고정후크(224)의 걸이턱(26)이 걸어지는 부분이다.Hanging
한편 본 발명의 모드선택 커넥터는 도시되지 않은 박스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부가 노출되고, 하우징(10)의 하단부로 연장된 터미널(16)이 박스몸체에 설치된 기판에 솔더링되어 실장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de selectio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osed through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box body (not shown), the terminal 16 exte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그리고, 상기 버튼하우징(30)의 퓨즈안착부(33)에 설치되는 퓨즈(60)는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 퓨즈몸체(62)의 외부로 2개의 레그단자(6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레그단자(64)는 상기 퓨즈몸체(62)의 내부에서 용단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용단부는 과부하가 가해지면 녹아 끊어져 레그단자(64)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퓨즈를 구비한 모드선택 커넥터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mode selection connector with a 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상기 버튼하우징(30)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모드가 선택된다. 즉, 2줄로 3개씩 배치된 터미널(16)에 상기 버튼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는 퓨즈(60)의 레그단자(64)가 터미널(16)에 접촉됨에 의해 모드가 선택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is selected by moving the
먼저 도 3에 도시된 상태가 예를 들면 고객에게 인도되기 전의 모드이다. 이때에는 상기 터미널(16)의 열에서 각각의 열의 좌측에 있는 두 개씩의 터미널(16)에 상기 퓨즈(60)의 레그단자(64)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레그단자(64)는 상기 터미널(16)의 결합부(17)사이에 위치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은 고객에게 인도된 후의 모드이다.First, the state shown in FIG. 3 is, for example, a mode before being delivered to a customer. At this time, the
고객인도전의 모두에서 고객인도후의 모드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상 기 버튼하우징(30)의 상면에 힘을 가해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상기 버튼하우징(30)을 이동시킨다. 도 5의 상태는 모드 이동중의 상태로서 상기 퓨즈(60)의 레그단자(64)와 상기 터미널(16) 사이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In order to move to the mode after the delivery of the customer in all the customer delivery, the operator applies the for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계속하여 상기 버튼하우징(30)을 이동시키면, 상기 버튼하우징(30)에 형성된 상기 걸이슬롯(40)에 상기 고정후크(24)가 걸어지면서 상기 버튼하우징(3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기 버튼하우징(30)을 반대로 이동시키는 것은 일정 이상의 힘을 작업자가 버튼하우징(30)에 가하게 되면 상기 걸이턱(26)이 상기 버튼프레임(34)에서 빠지면서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퓨즈(60)의 퓨즈레그(64)는 각각 상기 터미널(16)의 열중 우측에 있는 두 개의 터미널(16)에 각각 동시에 접촉된다.Subsequently, when the
한편, 상기 버튼하우징(30)이 도 5의 상태, 즉 레그단자(64)와 터미널(16) 사이의 접촉이 없는 상태에서 특정 모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탄성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획벽(13)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이 상기 버튼하우징(30)을 특정 모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0)의 입구(12') 양단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후크(24)는 하우징(10)의 입구(12') 어느 일측에만 형성되어도 된다. 즉, 특정한 모드에서만 버튼하우징(30)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퓨즈를 구비한 모드선택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ode selection connector with a 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것으로 모드전환중인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Figure 5 is an operating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mode switching to show tha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ing.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보인 것으로 모드가 전환되고 버튼하우징이 하우징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ing mode is switched mode and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button housing is fastened to the housin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하우징 12: 내부공간10: housing 12: inner space
12': 입구 14: 설치가이드12 ': Entrance 14: Installation guide
16: 터미널 18: 이동레일16: Terminal 18: Rail
20: 절결부 22: 걸이슬롯20: notch 22: hanger slot
24: 고정후크 26: 걸이턱24: fixed hook 26: hook chin
30: 버튼하우징 32: 요철30: button housing 32: irregularities
33: 퓨즈안착부 33': 고정턱33: fuse seat 33 ': fixing jaw
34: 버튼프레임 36: 제1걸이돌기34: Button frame 36: First hook turning
38: 제2걸이돌기 40: 걸이슬롯38: 2nd hanger 40: Hanger slot
60: 퓨즈 62: 퓨즈몸체60: fuse 62: fuse body
64: 레그단자64: leg terminal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6044A KR20110079082A (en) | 2009-12-31 | 2009-12-31 | Mode select connector with fu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6044A KR20110079082A (en) | 2009-12-31 | 2009-12-31 | Mode select connector with fus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9082A true KR20110079082A (en) | 2011-07-07 |
Family
ID=4491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6044A Withdrawn KR20110079082A (en) | 2009-12-31 | 2009-12-31 | Mode select connector with fu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7908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3324B1 (en) * | 2011-09-30 | 2013-03-1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High voltage fuse |
-
2009
- 2009-12-31 KR KR1020090136044A patent/KR20110079082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3324B1 (en) * | 2011-09-30 | 2013-03-13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High voltage fus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99380B2 (en) | Position indicating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and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 |
KR101514373B1 (en) | Connector | |
KR20150051997A (en) | Connector | |
JP6138560B2 (en) |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ical junction box | |
JP3933720B2 (en) | Interface device | |
US9984842B2 (en) |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component | |
US8714997B2 (en) | Terminal and terminal connecting construction | |
US8641430B2 (en) | Bus bar edge structure of electric junction box | |
JPWO2006109597A1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US7726981B2 (en) | Electric connection box with molded synthetic resin member with mold stripping holes used for engaging a cover | |
WO2018003472A1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provided with disconnection/connection structure of dark current circuit | |
KR20110079082A (en) | Mode select connector with fuse | |
KR20160092282A (en) | Front TPA Assembling Structure of Conventional Type Box | |
CN100585947C (en) | Terminal Block Assemblies and Screwless Connectors | |
KR101182684B1 (en) | Solid state relay | |
JP7115358B2 (en) | electronic module | |
JP2016535440A (en) | Electronic equipment | |
KR100826915B1 (en) | Component integration box | |
US20120195014A1 (en) | Terminal mounting construction and electronic device | |
US20110310517A1 (en) | Overvoltage protection magazine or plug and method for producing an overvoltage protection magazine or plug | |
KR100804265B1 (en) | Component integration box | |
KR20110079081A (en) | Mode select connector | |
KR20120046361A (en) | Battery distribution unit | |
KR100804264B1 (en) | Component integration box | |
JP2008263700A (en) | Electrical junction box mount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