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7544A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7544A KR20110077544A KR1020090134160A KR20090134160A KR20110077544A KR 20110077544 A KR20110077544 A KR 20110077544A KR 1020090134160 A KR1020090134160 A KR 1020090134160A KR 20090134160 A KR20090134160 A KR 20090134160A KR 20110077544 A KR20110077544 A KR 201100775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composite switch
- seesaw
- push
- composi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5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2)
- 하우징부;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고 시소 운동과 푸시 운동이 가능한 복합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스위치 유니트;를 구비하고,상기 복합 스위치부는:사용자에 의하여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시소 운동과 상기 푸시 운동을 이루는 복합 스위치 노브부와,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부의 가동을 지지하는 복합 스위치 베이스와,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부의 상기 시소 운동과 상기 푸시 운동을 통하여 가동되는 복합 스위치를 구비하고,상기 복합 스위치부는 시소 운동과 푸시 운동을 택일적으로 실행되는 스위치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부는:상기 복합 스위치 베이스에 상기 시소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합 스위치 시소 노브와,상기 복합 스위치 시소 노브에 관통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합 스위치 푸시 노 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복합 스위치 시소 노브에는 시소 스위치 가동부가 구비되고,상기 복합 스위치부는 상기 시소 스위치 가동부를 통하여 가동되는 복합 시소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부와 상기 복합 스위치부 사이에는 복합 스위치 플런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복합 스위치 플런저는 상기 복합 스위치 시소 노브에 의하여 가동되는 복합 스위치 시소 플런저를 구비하고,상기 복합 스위치 베이스는: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부와 상기 복합 스위치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합 스위치 베이스 바디와,상기 복합 스위치 베이스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복합 스위치 시소 노브를 지지하는 복합 스위치 베이스 지지부를 구비하고,상기 복합 스위치 베이스 바디에는 상기 복합 스위치 시소 플런저가 가동 가 능하게 관통 배치되는 베이스 바디 시소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복합 스위치 푸시 노브에는 푸시 스위치 가동부가 구비되고,상기 복합 스위치부는 상기 푸시 스위치 가동부를 통하여 가동되는 복합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부와 상기 복합 스위치부 사이에는 복합 스위치 플런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상기 복합 스위치 플런저는 상기 복합 스위치 푸시 노브에 의하여 가동되는 복합 스위치 푸시 플런저를 구비하고,상기 복합 스위치 베이스는: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부와 상기 복합 스위치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합 스위치 베이스 바디를 구비하고,상기 복합 스위치 베이스 바디에는 상기 복합 스위치 푸시 플런저가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베이스 바디 푸시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복합 스위치 푸시 플런저의 외주에는 베이스 바디 푸시 플런저 가이드가 구비되고,상기 베이스 바디 푸시 관통부의 내주에는 상기 베이스 바디 푸시 플런저 가이드에 대응하는 푸시 플런저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복합 스위치 푸시 노브에는 푸시 노브 바디 스톱퍼가 배치되고,상기 푸시 노브 바디 스톱퍼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복합 스위치 베이스에는 베이스 바디 시소 스톱퍼가 구비되고,상기 푸시 노브 바디 스톱퍼는 상기 복합 스위치 푸시 플런저가 상기 푸시 운동을 이루는 경우 상기 베이스 바디 시소 스톱퍼가 맞물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푸시 노브 바디 스톱퍼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복합 스위치 시소 플런저에는 시소 노브 바디 스톱퍼 관통부가 구비되어 상기 복합 스위치 푸시 플런저의 상기 푸시 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복합 스위치부는 상기 복합 스위치 노브부를 통하여 가동되고,상기 복합 스위치부는 러버 패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4160A KR101126484B1 (ko) | 2009-12-30 | 2009-12-30 | 스위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4160A KR101126484B1 (ko) | 2009-12-30 | 2009-12-30 | 스위치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7544A true KR20110077544A (ko) | 2011-07-07 |
KR101126484B1 KR101126484B1 (ko) | 2012-03-29 |
Family
ID=4491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4160A Active KR101126484B1 (ko) | 2009-12-30 | 2009-12-30 | 스위치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648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8607B1 (ko) | 2011-12-29 | 2013-05-29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푸시 스위치 유니트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2753B1 (ko) | 2006-11-28 | 2008-05-28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리모컨장치 |
-
2009
- 2009-12-30 KR KR1020090134160A patent/KR101126484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26484B1 (ko) | 2012-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64627B1 (ko) | 차량탑재용 스티어링스위치 | |
US6967296B2 (en) | Steering switch device | |
KR101203688B1 (ko) |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
KR101126484B1 (ko) | 스위치 장치 | |
KR100835142B1 (ko) | 스크롤 푸싱 스위치 모듈 | |
KR200468484Y1 (ko) | 차량용 스위치 장치 | |
KR101582738B1 (ko) |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
JP3902436B2 (ja) | 車載用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 | |
KR20120045587A (ko) | 윈도우 잠금 스위치 모듈 | |
JP2010113978A (ja) | 自動車室内用のプッシュ式スイッチ | |
KR200486134Y1 (ko) |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 |
JP2005142123A (ja) | 照光式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 |
KR200468483Y1 (ko) |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 |
KR20100134239A (ko) | 스위치 장치 | |
KR200459979Y1 (ko) | 패들 스위치 유니트 | |
JP2023121936A (ja) | スイッチ装置 | |
KR102726889B1 (ko) |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 장치 | |
KR101070028B1 (ko) | 버튼 스위치 유니트 | |
KR200456907Y1 (ko) | 미러 스위치 장치 | |
KR102726879B1 (ko) | 차량용 스위치 장치 | |
KR200460896Y1 (ko) | 스위치 유니트 | |
KR101181636B1 (ko) |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 |
KR20170091200A (ko) | 차량용 스위치 장치 | |
KR200469421Y1 (ko) | 차량용 시트 워머 스위치 | |
KR101043522B1 (ko) |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