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77402A -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 - Google Patents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7402A
KR20110077402A KR1020090133969A KR20090133969A KR20110077402A KR 20110077402 A KR20110077402 A KR 20110077402A KR 1020090133969 A KR1020090133969 A KR 1020090133969A KR 20090133969 A KR20090133969 A KR 20090133969A KR 20110077402 A KR20110077402 A KR 20110077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cooking
hot water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열
윤광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프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프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프앤테크
Priority to KR1020090133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7402A/ko
Publication of KR20110077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402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취향이나 선택에 따라 정수 및 냉/온수를 공급함과 아울러 커피, 차, 라면 등의 기호음료나 음식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는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원수를 공급받아 정화시키는 필터수단과; 상기 필터수단을 거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의 정수를 공급받아 냉각장치로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의 정수를 공급받아 가열장치로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냉/온수탱크에 각각 연결되어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하는 냉/온수밸브로 이루어진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 전방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조리용기를 접촉 가열하는 조리판과 내부에 가열원인 전열히터가 구비된 조리부와; 상기 정수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부에서 음식물을 조리 시 발생되는 열기와 증기를 외부로 이송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조리부의 조리판 테두리에 설치되어 열전도를 차단하면서 완충 기능을 갖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가 개시된다.
정수기, 조리기, 단열부재, 송풍팬

Description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Cooker with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선택에 따라 정수 및 냉/온수를 공급 가능함과 아울러 커피, 차, 라면 등의 기호음료나 음식물을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환경 및 수질오염의 심화, 노후화된 배관 및 물탱크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수돗물 불신 풍조가 확산되면서 정수기가 생활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각광 받고 있으며, 특히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는 식당, 학교 등의 단체급식소나 사무실, 편의점 등에는 정수기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수돗물을 여과시킨 후 마시고 있다.
한편,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킬 때 발생하는 전열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이른바 전기조리기는 다른 종류의 열원에 비해서 화력 및 전력의 조절이 자유롭고 제어가 용이한 특성상 일반 가정은 물론 여러 산업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정수기와 전기조리기는 제각기 그 고유의 용도 및 특성에 맞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사용상의 목적 및 편의에 따라 해당 제품을 각각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구매비용의 이중지출이 필연적으로 수반될 수밖에 없어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뿐만 아니라, 양 제품이 주방과 같은 특정 장소에 비치되는 관계상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공간효율성이 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15832호에는 정수기에 조리기를 접목시켜 하나의 물품에 두 가지 기능을 가지며 소형화가 가능한 구조의 조리기 일체형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는 냉/온수배출구와 조리기의 급수배출구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서로 다른 공급라인을 통해 냉/온수 및 급수가 배출되므로 그 구조가 불필요하게 복잡한 데다, 외형이 필연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게 마련이고, 그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와 제조비용의 상승 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정수기는 콕(Cock) 밸브의 동작에 의해 냉/온수가 배출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냉/온수를 원하는 양만큼 배출될 때까지 컵을 받친 상태로 콕 밸브의 레버를 일정하게 누르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어린이 등이 부주의한 경우 조리판에 잔류하는 열로 인해 자칫 잘못하여 신체의 일부에 화상을 입는 등 안전에 취약한 데다 조리판이 가열 및 냉각에 의해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면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조리기를 사용 시 발생되는 음식물의 열기와 증기가 정수기 쪽으로 전달 및 이동되면서 정수기의 냉수기능을 저하시킴과 아울러 먼지 등의 이물질이 증기에 의해 음료배출구 및 표면에 불결하게 달라붙어 위생을 저해하는 심각한 문제점도 초래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사항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냉/온수용과 급수용 배출구를 일원화시킴으로써 구조가 단순하면서 소형화가 용이하고, 조리물이 있는 상태에서만 조리기가 가열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화상 등의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를 개발하고자 부단히 연구하여 왔으며,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을 창안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고 콤팩트한 외형을 갖는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의 배출이 용이하면서 안전성이 우수한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을 조리 시 발생되는 열기와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리판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수를 공급받아 정화시키는 필터수단과; 상기 필터수단을 거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의 정수를 공급받아 냉각장치로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의 정수 를 공급받아 가열장치로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냉/온수탱크에 각각 연결되어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하는 냉/온수밸브로 이루어진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 전방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조리용기를 접촉 가열하는 조리판과 내부에 가열원인 전열히터가 구비된 조리부와; 상기 정수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부에서 음식물을 조리 시 발생되는 열기와 증기를 외부로 이송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조리부의 조리판 테두리에 설치되어 열전도를 차단하면서 완충 기능을 갖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를 공급받아 정화시키는 필터수단과; 상기 필터수단을 거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의 정수를 공급받아 냉각장치로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의 정수를 공급받아 가열장치로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냉/온수탱크에 각각 연결되어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하는 냉/온수밸브로 이루어진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 전방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조리용기를 접촉 가열하는 조리판과 내부에 가열원인 전열히터가 구비된 조리부와; 상기 정수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부에서 음식물을 조리 시 발생되는 열기와 증기를 외부로 이송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조리부의 조리판을 커버하여 단열 및 받침판 기능을 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조리부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웨이트 센서를 포함하는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정수부의 전면에 상기 냉/온수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냉수 및 온수를 선택하기 위한 냉/온수선택버튼을 갖는 제어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냉/온수밸브를 개폐시키는 배출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온수선택버튼을 누른 후 상기 배출스위치를 누르는 이중 스위칭에 의해 온수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리판과 단열부재는, 내측 둘레에 상기 조리판의 저면 테두리에 밀착되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의 상부에는 상기 조리부의 개구부에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의 하부에는 상기 조리부의 개구부에 걸림 결합되는 후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와 안착턱 사이에 상기 단열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장착테에 의해 상기 조리부의 상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정수기능과 조리기능이 조화된 하나의 기기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수를 정수하고 가열 및 냉각하여 냉/온수 상태로 마실 수 있으면서 다양한 음식물을 간편하게 조리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물품으로 두 가지 물품 기능을 동시에 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물품의 기능성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를 위한 공간을 이중으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좁은 공간에서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수 및 냉/온수가 하나의 음료배출구를 통해 선택적으로 배출되고, 또 조리를 위한 온수 등의 급수가 음료배출구의 하부에 위치되는 조리용기 로 직접 배출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기의 소형화 및 슬림화를 위한 설계가 매우 유리하고, 그에 따른 콤팩트한 외형과 생산성의 향상 및 제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조리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리판을 단열재인 덮개로 씌워서 전원 및 열기를 차단하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조리판의 테두리에 열전도를 차단하면서 완충 기능을 갖는 단열부재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조리판의 열기가 기기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열로 인한 본체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조리판이 수축 및 팽창의 반복작용에 의해 조리부 본체와 접되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안전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도 있다.
더욱이 음식물을 조리 시 발생되는 음식물의 열기와 증기가 송풍팬에 의해 외부로 강제 이송되기 때문에 그 열기와 증기로 인해 정수부의 냉수기능이 저하되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음료배출구의 주위 및 기기의 표면에 불결하게 달라붙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의미 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부의 내부를 나타낸 배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는 정수부(100)와 조리부(2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먼저, 정수부(1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원수를 공급받아 정화시키는 필터수단(110)과, 이 필터수단(110)을 거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120)와, 이 정수탱크(120)의 정수를 공급받아 냉각장치(131)에 의해 냉각된 상태로 저장하는 냉수탱크(130)와, 정수탱크(120)의 정수를 공급받아 가열장치(141)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저장하는 온수탱크(140)와, 이 냉/온수탱크(130/140)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하는 냉/온수밸브(135/145)로 대별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에 내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수단(110)은 하우징의 하부에 내장되어 외부에서 급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原水)를 정수하는 것으로, 원수를 여러 단계의 필터를 거쳐 필터링한 후 정수탱크(1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수단(110)은 다수가 호스 등으로 연결될 수 있고, 외측은 급수관 과 연결되어 수돗물과 같은 원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내측은 정수탱크(120)와 호스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필터수단(110)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지만 원수를 적어도 2번 이상 여과를 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단계로 물속의 녹, 먼지 또는 모래와 같은 이물질의 여과를 위한 초극세사 그물망 필터를 구비하고, 제2단계로 인체에 유해한 납, 구리, 카드뮴, 알루미늄과 같은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양이온 교환수지를 구비하고, 제3단계로 세균증식을 억제하고 불쾌한 맛 또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은(Ag)코팅 활성탄을 구비하고, 제4단계로 정수물의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미세마이크로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정수탱크(120)는 필터수단(110)을 거친 정수를 저장하며, 정수를 분기라인을 통해 양방향으로 분기시켜 냉수탱크(130)와 온수탱크(14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에 이중으로 칸막이를 설치하여 냉수용과 온수용으로 분할함으로써 후술하는 온수탱크(140)의 열기가 냉수용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필터수단(110)을 경유한 원수의 저장량을 제한 및 유지하기 위하여 원수의 유입구에 설치된 원수밸브를 개폐하는 수위조절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즉, 수위조절장치는 정수탱크(12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여 일정량 이상이면 원수밸브에 폐쇄 신호를 출력하는 수위센서에 의해 원수공급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수돗물 등의 원수는 일정 수압에 의해 필터수단(110)을 자연스럽게 통과하여 정수된 상태로 정수탱크(120)로 유입되게 된다.
냉/온수탱크(130/140)는 정수탱크(120)와 호스로 각각 연결되어 정수탱크(120)로부터 정수를 공급받고, 이를 각각의 내부 또는 주위에 설치된 통상의 냉각장치(131) 및 가열장치(141)에 의해 일정 온도로 냉각 및 가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냉각장치(131) 및 가열장치(141)는 각각의 온도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여 정수가 일정한 온도를 벗어나지 않고 항상 차가운 상태 또는 뜨거운 상태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필터수단(110)에는 원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원수밸브가 구비되고, 필터수단(110)과 정수탱크(120) 사이 및 정수탱크(120)와 냉/온수탱크(130/140) 사이에는 각각 정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냉/온수밸브(135/145)는 냉수탱크(130) 및 온수탱크(140)와 정수부의 전방에 돌출 형성된 음료배출구(150)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되는 제어부의 개폐신호에 의해 음료배출구(150)로 냉수 및 온수를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것으로, 전자기력으로 밸브를 전환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부 전면의 음료배출구(150) 하부에는 냉/온수밸브(135/145)의 개폐를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배출스위치(17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부(미도시)는 정수부의 전면에 사용자가 냉/온수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 제어패널(180)과 배출스위치(170)의 조작에 따라 냉/온수밸 브(135/145)를 개폐시키게 된다.
즉, 제어패널(180)은 냉/온수밸브(135/145)를 통해 배출되는 냉수 및 온수를 선택하기 위한 냉/온수선택버튼(181)이 서로 공유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조리부 전열히터(230)의 가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버튼(1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정수기 및 조리기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버튼(18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정수부(100)는 제어패널의 온수선택버튼(181)을 누른 후 배출스위치(170)를 누르는 이중 스위칭 조작에 의해서만 음료배출구(150)를 통해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3초 내에 온수선택버튼(181)이나 배출스위치(170)가 눌러지지 않는 경우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냉수 기능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나 오조작으로 인한 온수 배출을 미연에 방지하여 화상 등의 사고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송풍팬(160)은 조리부(200)에서 음식물을 조리 시 발생되는 열기와 증기를 외부로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해 작동하도록 정수부의 전방 가운데 부분에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정수부(100)의 전방 하우징에는 송풍팬(160)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구멍이 다수 천공되어 있다.
여기서 송풍팬(160)은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로 직접 조작하여 가동할 수도 있으나, 음식물에서 증기가 발생되는 조리 시간을 카운트하여 판단하고, 주위의 온 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의 신호를 입력받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작동 및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조리부(200)의 열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송풍팬(160)은 조리부(200)에 의한 열기와 증기로 인해 정수부(100)의 냉수기능이 저하되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음료배출구(150)의 주위 및 기기의 표면에 불결하게 달라붙어 오염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게 된다.
조리부(200)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음료배출구(150)를 통해 조리용 정수를 바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정수부(100) 전방의 음료배출구(150)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면에는 조리용기를 접촉 가열하는 조리판(210)이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가열원인 전열히터(23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전열히터(230)는 자체에 장착된 온도감지기의 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어 전원을 온/오프시키지 않고 전원의 출력을 트라이액 소자를 통해 전원 입력 위상 값을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과열을 방지 및 온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조리판(210)의 테두리에는 열전도를 차단하는 단열부재(220)가 패킹(packing) 형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단열부재(220)는 조리판(210)의 열기가 기기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열로 인한 본체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조리판(210)이 인접하는 기기본체와 온도 차나 가열 및 냉각에 의해 수축 및 팽창작용이 반복되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단열부재(220)는 실리콘과 같이 외력에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탄성과 단열성을 함께 갖는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유리 또는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져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조리판(210)과,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기기본체 간의 온도 차를 최소화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물리적 기능을 통해 열전도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조리판(210)의 수축 및 팽창 시 완충 및 보호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 조리판(210)과 단열부재(220)는 장착테(260)에 의해 조리부(200)의 상면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장착테(26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판(210)과의 접촉을 최대한 줄여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내측 둘레에 조리판(210)의 저면 테두리에 밀착되는 요철부(261)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 둘레의 상부에는 조리부(200) 하우징의 개구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턱(262)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둘레의 하부에는 조리부(200) 하우징의 개구부 내측단에 안정적으로 걸림 결합되는 후크돌기(263)가 형성되어 있며, 그 요철부(261)와 안착턱(262) 사이에 단열부재(220)가 삽입 결합되도록 결합홈(26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테(260)는 단열재로 이루어져 조리부에 조리판(210) 및 단열부재(22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음식물이 조리부(200)의 개구부 틈새를 통해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덮개(240)는 조리판(210)을 커버하여 단열 및 받침판 기능을 하는 것으로, 조리판(210)을 덮어 씌울 수 있는 형태 및 단열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은 정수기 로 사용 시에 컵 등을 안전하게 받쳐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덮개(240)는 자중에 의해 후술하는 웨이트 센서(250)를 작동시켜 조리부(200)의 전원을 오프시킴과 동시에 조리판(210)의 열기가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어린이 등이 사용과정에서 부주의로 화상 등의 상해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웨이트 센서(250)는 덮개(240)의 무게를 감지하여 조리부(200)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것으로, 조리부(200)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덮개(240) 등의 대상물을 감지하면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조리부(200)의 전원을 차단하는 이중 스위치 및 안전장치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판(210)에 덮개(240)가 씌워진 상태에서는 전열히터(230)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조리부(200)의 가열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손실이나 화상,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웨이트 센서(250)는 물체가 정해진 감지거리 내에 들어오면 온/오프 출력을 내보내는 근접센서 또는 기계적인 접촉을 통해서 온/오프 출력을 내보내는 근접스위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냉/온수밸브(135/145), 원수밸브, 전열히터(230) 등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해당 센서로부터 입력된 온/오프신호 및 사용자의 냉/온수선택신호 및 조리선택신호에 따라 냉수 및 온수밸브(135/145) 중 어느 하나에 개폐신호를 출력하여 작동시키고, 전열히터(230)에 작동신호를 출력하여 작동시키며, 냉수 및 온수탱크(130/140)의 각기 수위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원수공급을 조절하는 원수밸브의 개폐신호를 출력하여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의 구체적인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정수기로 사용할 경우에는 주전원을 온상태에서 제어패널(180)의 냉/온수선택버튼(181))을 조작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한 후 배출스위치(170)를 누르면 제어부에서 냉수 및 온수밸브(135/145) 중 어느 하나의 해당 밸브에 개방신호를 출력하여 냉수 및 온수밸브 중 해당 밸브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렇게 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냉수 또는 온수가 음료배출구(150)를 통해 일정량만큼 배출된다. 이 때, 온수선택버튼(181)을 눌러서 온수가 배출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배출스위치(170)의 추가적인 작동이 없는 경우 제어부는 자동으로 온수밸브(145)를 폐쇄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조리기로 사용할 경우에는 조리판(210)을 커버하고 있는 덮개(240)를 분리하면 웨이트 센서(250)가 전열히터(230)의 전원 차단을 해제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후 조리용기를 올려 놓고 온도조절버튼(182)을 조작하면 전열히터(230)가 가동되어 조리판을 일정 온도로 가열시키므로 조리용기 내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송풍팬(160)은 제어부의 카운트에 따라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작동되어 조리부(200)의 열기나 그에 의한 음식물의 증기를 외부로 강제 송풍시키게 되며, 자체 온도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특정 온도 이하일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가동이 자동으로 정지됨으로써 조리를 위한 열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조리판(210)의 열기는 단열부재(220)에 의해 차단되어 인접하는 물체로 전달되지 못하므로 조리판(210)의 열전도 현상으로 인한 본체의 변형을 방지하고, 조리판(210)이 다른 물체와 온도 차에 의해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하면서 뒤틀리거나 크랙이 발생되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부의 내부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착테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정수부 110: 필터수단
120: 정수탱크 130: 냉수탱크
131: 냉각장치 140: 온수탱크
141: 가열장치 135: 냉수밸브
145: 온수밸브 150: 음료배출구
160: 송풍팬 170: 배출스위치
180: 제어패널 181: 냉온수선택버튼
182: 온도조절버튼 183: 전원버튼
200: 조리부
210: 조리판 220: 단열부재
230: 전열히터 240: 덮개
250: 웨이트 센서 260: 장착테
261: 요철부 262: 안착턱
263: 후크돌기 264: 결합홈

Claims (5)

  1. 원수를 공급받아 정화시키는 필터수단과; 상기 필터수단을 거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의 정수를 공급받아 냉각장치로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의 정수를 공급받아 가열장치로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냉/온수탱크에 각각 연결되어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하는 냉/온수밸브로 이루어진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 전방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조리용기를 접촉 가열하는 조리판과 내부에 가열원인 전열히터가 구비된 조리부와;
    상기 정수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부에서 음식물을 조리 시 발생되는 열기와 증기를 외부로 이송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조리부의 조리판 테두리에 설치되어 열전도를 차단하면서 완충 기능을 갖는 단열부재;
    를 포함하는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
  2. 원수를 공급받아 정화시키는 필터수단과; 상기 필터수단을 거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의 정수를 공급받아 냉각장치로 냉각하여 저장하는 냉수탱크와; 상기 정수탱크의 정수를 공급받아 가열장치로 가열하여 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냉/온수탱크에 각각 연결되어 온수 또는 냉수를 배출하는 냉/온수밸 브로 이루어진 정수부와;
    상기 정수부 전방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조리용기를 접촉 가열하는 조리판과 내부에 가열원인 전열히터가 구비된 조리부와;
    상기 정수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부에서 음식물을 조리 시 발생되는 열기와 증기를 외부로 이송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조리부의 조리판을 커버하여 단열 및 받침판 기능을 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조리부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웨이트 센서;
    를 포함하는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의 조리판 테두리에 설치되어 열전도를 차단하면서 완충 기능을 갖는 단열부재;
    를 더 포함하는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부의 전면에 상기 냉/온수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냉수 및 온수를 선택하기 위한 냉/온수선택버튼을 갖는 제어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냉/온수밸브를 개 폐시키는 배출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온수선택버튼을 누른 후 상기 배출스위치를 누르는 이중 스위칭에 의해 온수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판과 단열부재는, 내측 둘레에 상기 조리판의 저면 테두리에 밀착되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의 상부에는 상기 조리부의 개구부에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되고, 외측 둘레의 하부에는 상기 조리부의 개구부에 걸림 결합되는 후크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와 안착턱 사이에 상기 단열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장착테에 의해 상기 조리부의 상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
KR1020090133969A 2009-12-30 2009-12-30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 Abandoned KR20110077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969A KR20110077402A (ko) 2009-12-30 2009-12-30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969A KR20110077402A (ko) 2009-12-30 2009-12-30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402A true KR20110077402A (ko) 2011-07-07

Family

ID=4491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969A Abandoned KR20110077402A (ko) 2009-12-30 2009-12-30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7402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806A (ko) * 2014-05-28 2015-12-08 최은정 온수기 겸용 즉석식품 조리기
CN105342482A (zh) * 2015-09-28 2016-02-24 浙江火星人厨具有限公司 一种新型水箱
EP3289934A1 (en) 2016-08-30 2018-03-07 Bumil Industrial Co. Ltd. Multi-function cooking utensil having water purifying function
WO2018212421A1 (ko) * 2017-05-19 2018-11-22 주식회사 다윈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WO2018139907A3 (ko) * 2017-01-26 2018-12-13 박한 정수기능을 구비한 즉석식품 조리장치
WO2019059429A1 (ko) * 2017-09-20 2019-03-28 범일산업 주식회사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식품 조리기
JP2019142592A (ja) * 2019-04-25 2019-08-29 プレミアムウォーター株式会社 飲料サーバ
CN110226875A (zh) * 2018-03-05 2019-09-13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电蒸箱
CN110946463A (zh) * 2019-12-26 2020-04-03 吴冠希 一种供水烹煮机
KR102262290B1 (ko) 2020-09-18 2021-06-08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조리가 가능한 기능성 정수기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806A (ko) * 2014-05-28 2015-12-08 최은정 온수기 겸용 즉석식품 조리기
CN105342482A (zh) * 2015-09-28 2016-02-24 浙江火星人厨具有限公司 一种新型水箱
EP3289934A1 (en) 2016-08-30 2018-03-07 Bumil Industrial Co. Ltd. Multi-function cooking utensil having water purifying function
WO2018139907A3 (ko) * 2017-01-26 2018-12-13 박한 정수기능을 구비한 즉석식품 조리장치
WO2018212421A1 (ko) * 2017-05-19 2018-11-22 주식회사 다윈 맞춤 조리가 가능한 조리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 시스템
CN111096069A (zh) * 2017-09-20 2020-05-01 凡一产业株式会社 具有净水功能的多功能食物烹饪机
WO2019059429A1 (ko) * 2017-09-20 2019-03-28 범일산업 주식회사 정수기능을 갖는 다기능 식품 조리기
GB2579997A (en) * 2017-09-20 2020-07-08 Bumil Ind Co Ltd Multi-functional food cooker having water purification function
RU2740781C1 (ru) * 2017-09-20 2021-01-21 Бумил Индастриал Ко., Лтд.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арки пищевого продукта, имеющее функцию очистки воды
CN111096069B (zh) * 2017-09-20 2022-01-11 凡一产业株式会社 具有净水功能的多功能食物烹饪机
US11406216B2 (en) 2017-09-20 2022-08-09 Bumil Industrial Co., Ltd. Multi-functional food cooker having water purification function
CN110226875A (zh) * 2018-03-05 2019-09-13 青岛海尔智慧厨房电器有限公司 电蒸箱
JP2019142592A (ja) * 2019-04-25 2019-08-29 プレミアムウォーター株式会社 飲料サーバ
CN110946463A (zh) * 2019-12-26 2020-04-03 吴冠希 一种供水烹煮机
KR102262290B1 (ko) 2020-09-18 2021-06-08 주식회사 제일아쿠아 조리가 가능한 기능성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7402A (ko) 냉온정수기 겸용 조리기
CA2945650C (en) Food steamer
US20150382407A1 (en) Induction Cook-Top Apparatus
EP2762045B1 (en) Pressurized steam cooker
KR101922455B1 (ko) 증기 가열식 다용도 조리기구
EP3289934B1 (en) Multi-function cooking utensil having water purifying function
WO2005102124A1 (fr) Bouilloire, bouilloire electrique et bouilloire electrique sans fil
JP6913824B2 (ja) 浄水機能を有する多機能食品調理器
WO2008026839A1 (en) Cooking utensil using steam
CN100444771C (zh) 用于压力电饭锅的蒸汽排放装置
CA2766710C (en) Household gas appliance with a magnetically controlled gas supply system
KR101039160B1 (ko) 스팀 챔버를 구비한 취사장치
CN215765736U (zh) 一种多功能厨房用水加热系统
KR101845950B1 (ko) 정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식품 조리기
KR101467530B1 (ko) 비금속조리용기를 이용한 화상, 화재방지용 자동 라면조리기
CN113757990A (zh) 一种多功能厨房用水加热系统及其智能控制方法
KR101272672B1 (ko) 포트 장착형 정수기
KR101056854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 취수 및 정수통의 살균장치
US20030159592A1 (en) Table mountable fryer
KR102262290B1 (ko) 조리가 가능한 기능성 정수기
KR102452491B1 (ko) 씽크대용 정수기능을 형성한 기능성 수전장치
JP6395545B2 (ja) 加熱調理器及びシステムキッチン
HK40017340A (en) Multi-functional food cooker having water purification function
EP2807900A1 (en) Induction cook-top apparatus
IT201800003388U1 (it) Lavello multiu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5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3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005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006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005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