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76153A -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153A
KR20110076153A KR1020090132785A KR20090132785A KR20110076153A KR 20110076153 A KR20110076153 A KR 20110076153A KR 1020090132785 A KR1020090132785 A KR 1020090132785A KR 20090132785 A KR20090132785 A KR 20090132785A KR 20110076153 A KR20110076153 A KR 20110076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computer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2447B1 (ko
Inventor
박동원
Original Assignee
박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원 filed Critical 박동원
Priority to KR1020090132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4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76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4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컴퓨터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시키고, 각 기기의 조작 장치(입력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처리 장치 등을 동기화 시키는 방법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방식을 학습하지 않고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관적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스킨(SKIN)기술을 적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똑 같은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컴퓨터 화면에 동기화 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영체제가 대부분 실시간 운영체제(RTOS) 임을 고려하여 원격제어를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교환되는 정보를 비동기적으로 처리 하도록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본래의 기능 수행에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Figure P1020090132785
휴대 단말기 원격제어, 휴대 단말기 제어,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 스킨

Description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REMOTE CONTROLLING MOBILE PHONE IN COMPUT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컴퓨터 단말기에서 원격 조작함에 있어서, 컴퓨터에 설치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키 세트와 화면을 갖는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컴퓨터의 키보드와 마우스등의 입력장치 등을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조작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를 목적으로 그 크기가 작게 제작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인터페이스 또한 소형화 되어 있는데, 이것은 사용자의 조작성을 어렵게 하여 이용 시 불편함을 준다. 근래에는 그 크기가 약간 커지는 것을 감소하고라도 더 큰 LCD 화면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그리고 쿼티자판(Qwerty key pad)를 장착한 기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지만, 컴퓨터에 장착된 사용자인터페이스 장치에 비하면 여전히 조작성이 열악하다.
이러한 조작상의 불편함은 컴퓨터에서 원격제어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고, 컴퓨터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제어함으로써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다. 하지만 컴퓨터의 키보드만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해서, 그 조작상의 불편함이 완전히 해소된다고는 볼 수 없다. 더 효과적으로 사용자 입장에서 원격제어를 하기 위해선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직관성을 갖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룩앤필(Look& Fill)과 동일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부기능만을 원격제어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원격제어 애플리케이션을 학습하는 것을 최소화 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아울러 사용자 입장에서만 기존의 원격제어가 설계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성상 그 CPU의 처리속도가 컴퓨터에 비해 빠르지 않고, 원래의 기능들이 시간적 정확성을 요구하는 것들이 많아, 원격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들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과다 선점함으로써, 본래의 기능 수행 성능에 영향을 주는 일을 최소화 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원격제어 시스템을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는데 그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가 휴대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기술로 연결되고, 각 입출력 장치를 동기화 시켜 사용자가 컴퓨터에서 휴대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 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격제어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와 똑같은 외형에 똑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갖는 컴퓨터상의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가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기술로 연결되고, 각 입출력 장치를 동기화 시켜 사용자가 컴퓨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격제어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똑같은 외형에 똑같은 사용자인터페이스(UI)를 갖는 컴퓨터상의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의 외형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스킨(SKIN)파일이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존재할 수도 있고, 특정 웹서버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이 스킨(SKIN)파일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웹서버상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원격 제어하고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그 외형과 사용자인터페이스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 키보드의 각 키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키가 모두 1:1로 매핑(Mapping)되어 동기화되며, 각 매핑 정보는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 컴퓨터의 마우스 이벤트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이벤트로 동기화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컴퓨터상의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과 같은 직관성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이 컴퓨터로 실시간으로 전송(Synchronization) 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모든 기능을 컴퓨터 화면에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퓨터의 오디오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시스템이 동기화되어, 사용자는 컴퓨터의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화가 가능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리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음성을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기화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처리 능력에 따라,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유/무선 통신 기술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도록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처리 기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 및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여 동기화하고, 상기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스킨(skin)이 적용된 사용자인터페이스(UI)를 구성하며, 마우스 및 키보드를 통한 키 입력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화면출력 데이터를 수신 하여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는 컴퓨터 단말기; 및 상기 컴퓨터 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 수신 및 동기화를 위한 피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며,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제어 신호를 수신 하여 동작하고, 동작에 따른 화면출력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로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와원격 제어 및 동기화를 위한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웹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웹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유/무선 통신 연결을 통한 동기화 및 스킨 및 UI 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한 유무선 통신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 가상 기기 애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유/무선 통신 연결을 통한 동기화 및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유무선 통신부;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키 입력부와 마우스 입력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스킨이 적용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메시지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처리부;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상에서 운용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연결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스킨(SKIN)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 또는 웹서버로부터 수신 받아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실시간 원격제어에 따른 다른 애플리케이션 수행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처리가 간단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 처리부; 실시간으로 운영되지 않아도 되며 처리가 복잡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동기화 처리부; 및 상기 동기화 처리부가 상기 메시지 처리부와의 비동기 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선입선출 형태의 큐(Queue) 구조를 갖는 메시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컴퓨터 단말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과 동기화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부;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 전달될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 시스템;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의 오디오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 하여 처리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디코딩(Decoding) 하거나 화면출력 데이터를 인코딩(Encoding)하기 위한 멀티미디어처리부; 및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전 달하는 원격제어 정보를 해독하고 실행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주기적으로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에 송신하는 피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달 받은 오디오 입력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신호로 전환하여 입력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실시간 원격제어에 따른 다른 애플리케이션 수행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처리가 간단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 처리부;와 실시간으로 운영되지 않아도 되며 처리가 복잡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동기화 처리부; 및 상기 동기화 처리부가 상기 메시지 처리부와의 비동기 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선입선출 형태의 큐(Queue) 구조를 갖는 메시지 저장부로 구성되며, 상기 메시지처리부가 유무선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동기화 메시지를 메시지저장부로 저장하고 동기화 처리부가 저장된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읽어 그 메시지 내용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이 전달한 동기화 메시지의 내용이 컴퓨터에서 발생한 키 이벤트(Key Event)인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이벤트(Key Event)로 동기화하고, 메시지의 내용이 마우스 장치의 이벤트일 경우에는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이벤트로 동기화하고, 메시지의 내용이 오디오 정보일 경우에는 멀티미디어처리부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디코 딩하고 디코딩된 정보를 오디오 처리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입력으로 전환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출력 데이터 또는 음성출력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처리부를 통하여 인코딩하여 컴퓨터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는 유에스비(USB),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FC), 와이파이(WIFI), 유더블유비 (Ultra-WideBand)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연결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를 검색하고 사용자의 질의를 통해 검색된 이동통신 단말기 중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하는 화면 동기화 정보를 컴퓨터 단말기 화면에 싱크(sync)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상태를 연결/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은, 유/무선 통신 및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가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 결하여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단말기가 상기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스킨(SKIN) 및 사용자인터페이스(UI)가 적용된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 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 수신 및 동기화를 위한 피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단계; 상기 컴퓨터 단말기가 마우스 및 키보드를 통한 키 입력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으로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제어 신호를 수신 하여 동작하고, 동작에 따른 이벤트 신호를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화면출력 데이터를 수신 하여 컴퓨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가상 기기 어플리케이션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가 없는 경우, 웹 서버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를 다운로드 하여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입력신호로 전환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신호를 획득하고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하는 화면 동기화 정보를 컴퓨터 단말기 화면에 싱크(sync)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상태를 연결/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 중 고수준 서비스리스트에 따라 SMS 보내기, 컴퓨터상의 주소록에 있는 전화번호로 전화하기, 주소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기 중 적어도 하나의 고수준의 원격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대비 뛰어난 조작성을 갖는 컴퓨터의 입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관적으로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UI)를 그대로 컴퓨터 단말기에 표현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방법을 익힐 필요가 없이 원격제어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텐츠를 컴퓨터 단말기의 대형화면에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외형 및 조작 장치 정보, 통신 방법등을 달리 적용하게 하여 하나의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이 이 기종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피원격 제어부를 설계함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간 처리 운영체제의 특성을 고려하여 원격제어에 필요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하를 최소화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속도에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쉽게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후술하는 컴퓨터 단말기(10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구성의 명칭이 대부분 동일하나 도면 부호를 통해 구분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단말기를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기위한 키보드와 마우스,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원격 제어 수신 및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컴퓨터 단말기(100); 상기 컴퓨터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기술로 연결되어 제어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원격 제어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웹 서버(300)로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200)와 유에스비(USB),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FC), 와이파이(WIFI), 유더블유비UWB(ultra-wideband)와 같은 근거리 유/무선기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방법은 그 기술적 특성에 따라 대역폭 및 통신거리가 다르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입력장치 및, 화면, 오디오 신호등을 모두 동기화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대역폭 지원이 가능한 유에스비, 블루투스, 와이파이, 유더블유비와 같은 통신 기술이 사용되어야 하며, 사용자 입력장치 동기화만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지그비 또는 엔에프씨 기술이 사용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컴퓨터 단말기(100)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원격제어 하기 위한 직관적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106)이 컴퓨터 단말기(100)에 설치되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연결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 , 상기 웹 서버(300) 및 컴퓨터 단말기(100)에 사용자가 저장한 하드디스크 디렉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컴퓨터 단말기(100)에 연결된 키보드(103), 마우스 입력장치(104)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입력장치와 동기화되며, 음성 신호 출력(116) 및 입력 장치(117)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음성 출력(214) 및 음성 출력(215)장치와 동기화된다.
상기 컴퓨터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단말기 정보에 따라 스킨(SKIN)과 사용자인터페이 스 정보를 웹 서버(300) 또는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새로운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단말기(100)에 구성된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단말기(100)의 화면(101)에 실행되는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106)의 외형(SKIN) 및 키 세트(108)는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외형 및 키 세트(208)와 동일하다.
사용자가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에 디스플레이되는 키 세트(108)의 특정 키에 마우스 커서(109)를 위치시키고 클릭했을 경우에도, 해당 키가 눌린 것으로 인식하고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키 조작 이벤트를 전송해야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화면(207)은 컴퓨터(100)의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107)영역에 싱크(Sync)되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휴대 컴퓨터 단말기(100)의 화면(107)은 컴퓨터 단말기(100)의 해상도에 따라 조절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지원하는 경우, 컴퓨터 단말기(100)의 마우스 커서(109)가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발생 시키는 이벤트들이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되고,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자신의 터치 스크린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직접 조작을 수행한 것처럼 그 조작이 동기화 되어야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외형과 키 세트의 이미지와 배치 정보를 포함 하는 스킨(SKIN)파일,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Key)와 컴퓨터 단말기(200) 키보드의 키(Key)간의 매핑(mapping) 정보, 그리고 터치스크린(Touch Screen)지원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해상도 등을 갖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는 컴퓨터(100)와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초기 연결될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컴퓨터의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106)에 전달되어야 한다.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원격 제어를 수행하고 있는 않는 동안은 컴퓨터의 바탕화면에 아이콘(102)상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제어함에 있어서, 단순 키 입력 이벤트, 마우스 클릭 이벤트만을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상의 주소록 전화번호로 전화하기, SMS 보내기 등과 같은 높은 수준의 제어 또한 제공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배터리(Battery)로 구동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전원의 절약을 위하여 일정 시간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대기 모드 (Standby Mode, Idle Mode)로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단말기를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의 컴퓨터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컴퓨터 단말기(100)는 컴퓨터 단말기(100)상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원격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106)이 수행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도 상기 컴퓨터 단말기(100) 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 수신 및 이벤트 정보 교환을 위한 피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206)이 수행된다.
상기 컴퓨터 단말기(100)의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실시간으로 운영되어야 하고, 기존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수행에 부하를 주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처리 시간이 단순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처리부(112)와 상대적으로 실시간으로 운영되지 않아도 되며 그 처리가 복잡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동기화 처리부(114)로 그 프로세스가 구분된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112)와 상기 동기화 처리부(114)간의 메시지 교환은 비동기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큐(queue)구조를 갖는 메시지 저장부(113)를 통해 이루어 진다.
컴퓨터(100)상에서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106)의 메시지처리부(112)가 유무선통신부(102)로 부터 전달받은 동기화 메시지를 메시지 저장부(113)에 저장하고, 동기화 처리부(114)가 그 메시지를 읽어 그 내용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메시지의 내용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데이터인 경우에는 멀티미디어처리부(122)에서 이 정보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부(120)을 통해 화면에 출력하며, 메시지의 내용이 오디오 정보인 경우에는 멀티미디어처리부(122)에서 해당 정보를 디코딩하여 오디오처리부(121)를 컴퓨터의 스피커에 출력한다.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의(106)의 동기화 처리부(114)는 컴퓨터 단말기(100)의 키입력부(123), 마우스입력부(124), 오디오 처리부(121)로부터 발생한 이벤트를 원격제어 교환을 위한 메시지 포맷으로 변형하여 메시지 저장부(113)에 저장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112)는 이 메시지를 유무선통신부(102)를 통해 휴대단말기(200)의 유무선통신부(202)로 전달한다.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106)은 네트워크연결부(110)를 통해 네트워크상의 웹서버(300)에 있는 스킨 정보를 다운로드 받거나, 파일 시스템(125)에 있는 스킨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는 피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206)을 통해 원격제어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피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206)은 원격제어가 실시간으로 운영되면서, 기존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수행에 부하를 주지 않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처리 시간이 단순한 업무를 수행하는 메시지처리부(212)와 상대적으로 실시간으로 운영되지 않아도 되며 그 처리가 복잡한 동기화 처리부(214)로 그 프로세스가 구분되며, 두 프로세스상의 정보교환은 비동기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선입선출(FIFO)형태의 큐(Queue) 구조를 갖는 메시지 저장부(213)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 피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부(206)의 메시지처리부(202)는 유무선통신부(202)로 부터 전달받은 원격제어 메시지를 메시지 저장부(213)에 저장하고, 동기화 처리부(214)가 그 메시지 내용을 읽어 내용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메시지의 내용이 컴퓨터에서 발생한 키 이벤트(Key Event) 정보라면 키입력부(223)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이벤트로 동기화 한다.
메시지의 내용이 컴퓨터에서 발생한 마우스 장치의 이벤트(Event)인 경우에는 터치스크린부(224)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 이벤트로 동기화 한다.
메시지의 내용이 오디오 정보인 경우에는 멀티미디어처리부(222)를 통해 오디어 정보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정보를 오디오처리부(221)를 통해 휴대폰 단말기(200)의 스피커로 출력한다.
피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206)의 동기화 처리부(214)는 디스플레이부(220)로부터 화면 출력정보를 얻고 이 정보를 멀티미디어처리부(222)를 통해 인코딩하여 메시지 저장부(213)에 저장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212)는 이 정보를 읽어 유무선통신부(202)를 통해 컴퓨터의 유무선통신부(102)로 전달한다.
피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206)의 동기화 처리부(214)는 오디오처리부(221)로부터 발생한 오디오 정보를 멀티미디어처리부(222)를 통해 인코딩하여 메시지 저장부(213)에 저장하며, 메시지 처리부(212)는 이 메시지를 읽어 유무선 통신부(202)를 통해 컴퓨터의 유무선 통신부(102)로 전달한다.
피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206)은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106)으로부터 스킨(SKIN)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의 제공 요청이 있을 시, 파일 시스템(225)에 저장된 스킨(SKIN) 파일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파일을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컴퓨터 단말기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컴퓨터 단말기(100)가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 제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검색하면(S300,S302),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유/무선 통신연결 신호를 수신하여 응답 신호를 송출한다(S304).
상기 컴퓨터 단말기(100)는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원격 제어 가능 기기의 리스트를 표시한다(S306).
상기 리스트 중 하나의 장치가 연결되면(S308,S310),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컴퓨터 단말기(100)로 원격제어에 필요한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조작정보, 기능정보)를 송신한다.(S312).
상기 컴퓨터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송신된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여 그랙픽유저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한다.(S316).
상기 컴퓨터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동일한 스킨이 적용된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가 구성되면, 휴대폰 단말기(200)와의 주기적인 제어와 일정한 위상 관계가 지속될 수 있도록 동기화 작업을 수행한다(S318,S32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컴퓨터 단말기(100)와의 동기화가 완료되면, 원격 제어 신호를 대기한다(S322)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컴퓨터 단말기(100)로부터 원격 제어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동작 상태에 대한 이벤트를 다시 컴퓨 터 단말기(100)로 전달하여 원격 제어가 되도록 한다(S324,S326).
상기 컴퓨터 단말기(100)는 웹 서버(300)로부터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스킨(SKIN) 및 사용자인터페이스(UI)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컴퓨터 단말기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해야 스킨(SKIN) 정보의 구성정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컴퓨터 단말기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해야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컴퓨터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교환되는 메시지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킨(SIN) 파일은 이동통신 단말기 전체 외형 이미지 파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든 키들의 각 이미지 파일들,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든 키들이 눌려졌을 경우의 각 이미지 파일들, 이동통신 단말기 키 이미지의 전체 외형 이미지 파일상에서의 위치 정보, 단말기 전체 외형에서 화면의 위치와 크기,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마우스 커서가 위치 한 경우 변환되는 마우스 커서 이미지, 스킨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웹사이트 URL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동기화 기능(키입력 동기화, 터치스크린 동기화, 화면 동기화, 오디오 신호 동기화), 키 세트 정보(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세트와 매핑되는 컴퓨터 키보드의 정보), 터치스크린 정보(터치 스크린 화면의 크기와 레졸루션 ), 화면 동기화 정보(화면의 크기와 인코딩 정보, 지원가능한 프레임 수), 오디오 동기화 정보(오디오 인코딩 정보), 고수준 서비스 리스트(SMS 보내기, 전화하기, 주소록 저장하기 등의 높은 기능의 서비스)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메시지는 제어정보(스킨파일/휴대단말기 조작 정보, Stand by mode 진입과 전환, 원격 제어 기능 On/Off), 입력 정보(키 조작 정보, 마우스 조작 정보), 화면 정보, 오디오 정보, 고수준 서비스 정보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NOTE 컴퓨터(이하 컴퓨터)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에 원격으로 접속하고, 컴퓨터의 인터페이스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조작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 제약을 극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원격 조작을 수행함에 있어 기기 간의 프로토콜 또는 인터페이스 방법을 단순 표준화하여 다양한 기기들이 쉽게 이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입장에서 원격 조작하려는 기기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별도의 조작방법의 습득 없이 컴퓨터에서 쉽고 친숙하게 원격제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 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단말기를 통한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단말기에 구성된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의 UI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단말기를 통한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의 컴퓨터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컴퓨터 단말기의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컴퓨터 단말기로 휴대 단말기가 제공해야 스킨 정보의 구성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컴퓨터 단말기로 휴대 단말기가 제공해야 하는 휴대 단말기의 조작 정보(기능정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컴퓨터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간에 교환되는 메시지 종류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컴퓨터 단말기 200 : 휴대 단말기
300 : 웹서버

Claims (21)

  1. 유/무선 통신 및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여 동기화하고, 상기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스킨(skin)이 적용된 사용자인터페이스(UI)를 구성하며, 마우스 및 키보드를 통한 키 입력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화면출력 데이터를 수신 하여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는 컴퓨터 단말기; 및
    상기 컴퓨터 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 수신 및 동기화를 위한 피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며,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제어 신호를 수신 하여 동작하고, 동작에 따른 화면출력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로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와원격 제어 및 동기화를 위한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웹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웹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유/무선 통신 연결을 통한 동기화 및 스킨 및 UI 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한 유무선 통신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 가상 기기 애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유/무선 통신 연결을 통한 동기화 및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유무선 통신부;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조작하기 위한 키 입력부와 마우스 입력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스킨이 적용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유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메시지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처리부;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상에서 운용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연결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스킨(SKIN)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 또는 웹서버로부터 수신 받아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실시간 원격제어에 따른 다른 애플리케이션 수행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처리가 간단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 처리부;
    실시간으로 운영되지 않아도 되며 처리가 복잡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동기화 처리부; 및
    상기 동기화 처리부가 상기 메시지 처리부와의 비동기 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선입선출 형태의 큐(Queue) 구조를 갖는 메시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컴퓨터 단말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과 동기화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부;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 전달될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 시스템;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의 오디오 및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 하여 처리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멀티미디어 정보를 디코딩(Decoding) 하거나 화면출력 데이터를 인코딩(Encoding)하기 위한 멀티미디어처리부; 및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전달하는 원격제어 정보를 해독하고 실행 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주기적으로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에 송신하는 피원격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달 받은 오디오 입력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신호로 전환하여 입력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피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실시간 원격제어에 따른 다른 애플리케이션 수행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처리가 간단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 처리부;와
    실시간으로 운영되지 않아도 되며 처리가 복잡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동기화 처리부; 및
    상기 동기화 처리부가 상기 메시지 처리부와의 비동기 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선입선출 형태의 큐(Queue) 구조를 갖는 메시지 저장부로 구성 되며,
    상기 메시지처리부가 유무선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동기화 메시지를 메시지저장부로 저장하고 동기화 처리부가 저장된 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읽어 그 메시지 내용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피 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이 전달한 동기화 메시지의 내용이 컴퓨터에서 발생한 키 이벤트(Key Event)인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이벤트(Key Event)로 동기화하고, 메시지의 내용이 마우스 장치의 이벤트일 경우에는 터치스크린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이벤트로 동기화하고, 메시지의 내용이 오디오 정보일 경우에는 멀티미디어처리부를 통해 오디오 정보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정보를 오디오 처리부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입력으로 전환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출력 데이터 또는 음성출력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처리부를 통하여 인코딩하여 컴퓨터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는 유에스비(USB),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엔에프씨(NFC), 와이파이(WIFI), 유더블유비 (Ultra-WideBand)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연결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를 검색하고 사용자의 질의를 통해 검색된 이동통신 단말기 중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하는 화면 동기화 정보를 컴퓨터 단말기 화면에 싱크(sync)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상태를 연결/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15. 유/무선 통신 및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기에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와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가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여 동기화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단말기가 상기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스킨(SKIN) 및 사용자인터페이스(UI)가 적용된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 단말기와 연결되면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 수신 및 동기화를 위한 피원격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단계;
    상기 컴퓨터 단말기가 마우스 및 키보드를 통한 키 입력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원격으로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제어 신호를 수신 하여 동작하고, 동작에 따른 이벤트 신호를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화면출력 데이터를 수신 하여 컴퓨터의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의 가상 기기 어플리케이션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가 없는 경우, 웹 서버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하는 스킨 및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를 다운로드 하여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GUI)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으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입력신호로 전환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신호를 획득하고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제어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하는 화면 동기화 정보를 컴퓨터 단말기 화면에 싱크(sync)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상태를 연결/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기기 애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정보 중 고수준 서비스리스트에 따라 SMS 보내기, 컴퓨터상의 주소록에 있는 전화번호로 전화하기, 주소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기 중 적어도 하나의 고수준의 원격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KR1020090132785A 2009-12-29 2009-12-29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ctive KR101202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785A KR101202447B1 (ko) 2009-12-29 2009-12-29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785A KR101202447B1 (ko) 2009-12-29 2009-12-29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153A true KR20110076153A (ko) 2011-07-06
KR101202447B1 KR101202447B1 (ko) 2012-11-16

Family

ID=4491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785A Active KR101202447B1 (ko) 2009-12-29 2009-12-29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44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130A (ko) * 2011-07-20 2013-01-30 엔에이치엔(주) 메모 데이터의 동기화를 위한 메모 동기화 시스템, 모바일 시스템 및 메모 동기화 방법
KR101435192B1 (ko) * 2012-02-17 2014-10-27 김태분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한 휴대전화 정보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아바타 폰 구현 방법
KR101467868B1 (ko) * 2012-12-20 2014-12-03 주식회사 팬택 소스 장치, 싱크 장치, 이들을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 싱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KR20150015734A (ko) * 2013-08-01 2015-0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디바이스 통합 방법 및 그 장치
KR101523717B1 (ko) * 2013-07-31 2015-05-28 주식회사 데브구루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커서 동기화 출력 방법
KR20170075818A (ko) * 2015-11-26 2017-07-04 에스케이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 원격 제어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고객 상담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1448A (ko) * 2017-11-28 2019-06-05 이유진 Usb 메모리 장치의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5960A (ko) * 2018-11-14 2020-05-22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스마트폰과 동기화되는 pc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N114201128A (zh) * 2020-09-02 2022-03-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设备
US12073071B2 (en) 2020-07-29 2024-08-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Cross-device object drag method and device
US12197693B2 (en) 2020-08-26 2025-01-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 projection interf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885B1 (ko) * 2017-07-26 2018-01-03 주식회사 대명코퍼레이션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기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115B1 (ko) * 2005-11-07 2006-12-01 주식회사 모빌탑 피씨를 이용한 원격제어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원격제어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130A (ko) * 2011-07-20 2013-01-30 엔에이치엔(주) 메모 데이터의 동기화를 위한 메모 동기화 시스템, 모바일 시스템 및 메모 동기화 방법
KR101435192B1 (ko) * 2012-02-17 2014-10-27 김태분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한 휴대전화 정보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아바타 폰 구현 방법
KR101467868B1 (ko) * 2012-12-20 2014-12-03 주식회사 팬택 소스 장치, 싱크 장치, 이들을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 싱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523717B1 (ko) * 2013-07-31 2015-05-28 주식회사 데브구루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커서 동기화 출력 방법
KR20150015734A (ko) * 2013-08-01 2015-0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디바이스 통합 방법 및 그 장치
US9578479B2 (en) 2013-08-01 2017-02-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mart device resource combin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KR20170075818A (ko) * 2015-11-26 2017-07-04 에스케이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 원격 제어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고객 상담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1448A (ko) * 2017-11-28 2019-06-05 이유진 Usb 메모리 장치의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5960A (ko) * 2018-11-14 2020-05-22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스마트폰과 동기화되는 pc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12073071B2 (en) 2020-07-29 2024-08-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Cross-device object drag method and device
US12197693B2 (en) 2020-08-26 2025-01-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 projection interface
CN114201128A (zh) * 2020-09-02 2022-03-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447B1 (ko) 201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447B1 (ko)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7403648B2 (ja) 同期方法及び電子機器
US9310613B2 (en) Mobile wireless display for accessing data from a host and method for controlling
RU2524865C2 (ru) У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н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на дисплее смартфона
CN112486386B (zh) 投屏方法、投屏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83698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ng mobile device to accommodate external display
CN107203630B (zh) 应用程序页面收藏方法、装置及相应的移动终端
KR101640460B1 (ko)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EP2671148B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displayed image information of a mobile media device on a large display and control of the mobile media device therefrom
US20110225553A1 (en) Use Of Standalone Mobile Devices To Extend HID Capabilities Of Computer Systems
CN108965608A (zh) 一种闹钟设置方法、折叠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2064586A (ja) 通信プロトコル・コンバータを有するパーベイシブ・ドックおよびルータ
CN107071035B (zh) 移动终端远程控制方法、装置及相应的移动终端
CN102609192A (zh) 计算机操作移动终端的方法和移动终端
KR20220092602A (ko) 애플리케이션 공유 방법, 전자기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JP2007265236A (ja) 画面送信装置および画面表示方法
CN111511045B (zh) 移动终端与电脑的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491149A (zh) 一种分屏显示方法及终端
JP2010165289A (ja) 携帯電話機
CN108170329B (zh)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设备
CN103226397A (zh) 用于操作三维操纵器的方法及支持操作三维操纵器的终端
US9326306B2 (en) Interactive remote windows between applications operating within heterogeneous operating systems on mobile and stationary devices
CN113055272A (zh) 基于双系统的消息提醒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11782606A (zh) 显示设备、服务器和文件管理方法
CN111787117A (zh) 数据传输方法及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