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74483A - 차량용 범퍼 조립체, 그러한 조립체를 포함한 차량의 단부 및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 조립체, 그러한 조립체를 포함한 차량의 단부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483A
KR20110074483A KR1020100134941A KR20100134941A KR20110074483A KR 20110074483 A KR20110074483 A KR 20110074483A KR 1020100134941 A KR1020100134941 A KR 1020100134941A KR 20100134941 A KR20100134941 A KR 20100134941A KR 20110074483 A KR20110074483 A KR 20110074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ember
vehicle
energy absorbing
plate
bump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5382B1 (ko
Inventor
빈센트 고닌
바쏘렛 로랑 드로
줄리앙 듀페
Original Assignee
포리시 블로 아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리시 블로 아반 filed Critical 포리시 블로 아반
Publication of KR2011007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4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B60R19/1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vertically spa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4Radia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6Additional energy absorbing means supported on bumber beams, e.g. cellular structures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범퍼 조립체는 한 쌍의 상부측 부재(6)와 한 쌍의 하부측 부재(8)를 포함한 구조물을 갖는 차량에 사용된다. 범퍼 조립체는 상부측 부재(6)의 단부와 하부측 부재(8)의 단부에 각각 지지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직립부(16) 및 이들 직립부(16)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빔(18)을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패널(12)을 포함하며, 범퍼 조립체는 빔(18)에 겹치는 플레이트(36)를 포함하여, 충격의 경우에, 빔(18)이 플레이트(36)의 전방면(36a) 사이에서 압축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범퍼 조립체는 빔(18)에 겹치는 플레이트(36)를 포함하여, 충격의 경우에, 빔(18)이 플레이트(36)의 전방면(36a) 사이에서 압축된다.
본 발명은 전방 범퍼 또는 후방 범퍼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범퍼 조립체, 그러한 조립체를 포함한 차량의 단부 및 차량{BUMPER ASSEMBLY FOR MOTOR VEHICLE, END PORTION OF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AN ASSEMBLY AND MOTOR VEHICLE}
본 발명은 한 쌍의 상부측 부재 및 한 쌍의 하부측 부재를 포함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범퍼 조립체는 상부측 부재와 하부측 부재의 선단부에 각각 기댈 수 있는 2개 이상의 직립부(columns) 및 상기 직립부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빔(beam)을 포함한 에너지 흡수 패널(energy absorbing panel)을 포함하는 유형이다.
현대의 차량들은, 2.5 내지 4km/h (ECE42)의 속도에 대한 저속 충격 또는 파킹 충격, 약 16km/h (Danner 충격)의 속도에 대한 중속 충격 또는 "수리 가능" 충격, 및 56 내지 65km/h의 속도에 대한 고속 충격과 같은 여러 가지 유형의 가능한 전방 충격에 적절히 대응하도록 디자인된다.
현대의 차량들은 또한 보행자와의 충격의 경우에 보행자를 보호하고, 특히 보행자의 다리 및 엉덩이를 보호하도록 디자인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충격으로부터 에너지를 적절히 흡수하면서 차량과 충돌하는 물체가 차량 구조물의 안쪽으로 들어오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범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술한 유형의 범퍼 조립체를 제시하는 바, 본 범퍼 조립체는 충격의 경우에 빔이 플레이트의 전방면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빔과 겹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범퍼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다음의 면모들을 포함하는데, 즉
- 범퍼 조립체는 충격의 경우에 직립부가 대응 단의 전방면에 대해 압축되도록 각각 직립부에 겹치는 2개의 단(stages)을 포함하고,
- 단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 플레이트(plate)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 플레이트는 단과 일체로 형성되며;
- 패널은 직립부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빔 및 하부 빔을 포함하고;
- 플레이트는 상부 빔을 정렬시키며;
- 패널은 단일 부품이고;
- 패널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상부측 부재 및 한 쌍의 하부측 부재, 및 상부 빔의 단부와 하부 빔의 단부에 배치된 상술한 범퍼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의 단부에 관한 것이며, 플레이트는 상기 빔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빔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단부는 하나 이상의 다음의 면모들을 포함하는데, 즉
- 상부측 부재는 차량의 구조물의 주측 부재이고;
- 하부측 부재는 주측 부재보다 더 작은 높이에 걸쳐 연장되는 차량 구조물의 보조측 부재이며;
- 하부측 부재는 차량 구조물 아래에 체결된 크래들의 연장부이고;
- 크래들은 엔진 크래들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처럼 선단부를 포함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및 그 이점은, 예로서만 주어지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다음의 설명을 읽으면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방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및 조립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또 다른 시야각에 따른 도 1 및 도 2의 전방부의 범퍼 조립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범퍼 조립체의 보강부(reinforcement)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보강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후에, 방향 용어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전방향을 향한 화살표(S)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통상적 방향에 대한 것으로 이해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일부 도시됨)은, 한 쌍의 상부측 부재(6), 한 쌍의 하부측 부재(8) 및 전방 범퍼 조립체(10)를 포함하는, 전방부(4)를 포함한다.
상부측 부재(6)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로부터 횡방향으로 이격된다.
하부측 부재(8)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로부터 횡방향응로 이격된다. 하부측 부재(8)들 사이의 횡방향 간격은 상부측 부재(6)들 사이의 횡방향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하부측 부재(8)는 상부측 부재(6)보다 더 낮은 높이에 위치된다. 각각의 하부측 부재(8)는 수직면과 종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드 멤버(side member)의 아래에 연장된다.
상부측 부재(6)의 단부 및 하부측 부재(8)의 단부는 수직면과 횡단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부측 부재(6)는 일반적으로 80kN 내지 100kN의 최대 축방향 힘을 파괴시키지 않으면서 흡수하기 위해 보정된다. 하부측 부재(8)는 일반적으로 25kN 내지 45kN의 최대 축방향 힘을 파괴시키지 않으면서 흡수하기 위해 보정된다. 비평균 게이지를 가진 몇몇 차량에서, 제안된 보정 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약간 다를 수 있다.
상부측 부재(6)들은 상부측 부재(6)들 사이에 전방면을 수용하고, 전방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종래에는, 전방면은, 구동 트레인의 냉각 시스템의 방열기 및/또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전기 팬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방열기와 같은 차량의 기능 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형태를 나타낸다. 전방면은 바람직하게 상부 빔(18)의 단부로부터 인출된 상부측 부재(6)에 체결된다.
범퍼 조립체(10)는 에너지 흡수 패널(12) 및 이 에너지 흡수 패널(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거나 삽입되는 보강부(14)를 포함한다.
에너지 흡수 패널(12)은 충격을 받으면 변형됨으로써, 특히 길이방향으로 들어가거나 압축됨으로써 에너지를 소산시킬 수 있다.
에너지 흡수 패널(12)은 패널(12)의 전방면(12a)과 후방면(12b)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재료의 블럭 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두께의 에너지 흡수 패널(12)은 상당한 에너지 소산을 위한 쉘 구조(shell structure)를 갖는다.
에너지 흡수 패널(12)은 2개의 직립부(16) 및 이들 직립부(16)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빔(18)을 포함한다. 각각의 직립부(16)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부 빔(18)은 이들 직립부(16)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직립부(16)는, 인접한 상부측 부재(6)와 이와 같은 쪽에 위치된 하부측 부재(8)의 단부에 동시에 견고하게 기댈 수 있다(도 2 참조). 상부 빔(18)과 직립부(16)는 결합하여 "H"자 또는 역 "U"자 모양을 형성한다. 상부 빔(18)은 실질적으로 상부측 부재(6)의 높이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에너지 흡수 패널(12)은 직립부(16)의 하단부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부 빔(20)을 포함한다. 하부 빔(20)은 상부 빔(18)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하부 빔(20)을 구비한 에너지 흡수 패널(12)은 대체로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다. 하부 빔(18)은 실질적으로 하부측 부재(8)의 높이에 위치된다.
직립부(16)는 충격의 경우 압축에 의해 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직립부(16)는 소정의 두께 및 쉘 구조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직립부(16)는 에너지 흡수 패널(12)의 전방면(12a)과 후방면(12b)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셀(cells)을 포함하는 셀 구조(cellular structure)를 갖는다. 각각의 직립부(16)는, 후방면(12b) 측에서 폐쇄되고 전방면(12a) 측에서 개방된 제1 셀(22), 및 후방면 측에서 개방되고 전방면 측에서 폐쇄된 제2 셀(24)을 포함하는 서로 거꾸로 된 셀들을 포함한다. 제1 셀(22) 및 제2 셀(24)은 엇갈린 배열(또는 바둑판 모양의 배열)로 배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셀(22, 24)을 폐쇄하는 벽에는 충분한 에너지 소산을 얻기 위해 약화 오리피스(weakening orifices)가 형성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셀(22, 24)을 폐쇄하는 벽은 단단하다.
상부 빔(18)은 또한 충격의 경우 압축에 의해 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을 한다.
상부 빔(18)은 소정의 두께 및 쉘 구조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상부 빔(18)은 2개의 채널이 후방 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하나의 채널이 전방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실질적으로 W 모양의 직선부를 가지며, 보강 리브(28)(도 1 및 도 2)가 상기 채널들 내부에 연장되어 있다.
하부 빔(20)은 충돌의 경우 보행자의 다리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하부 빔(29)은 보행자의 무릎 아래의 다리의 경골에 충격을 주도록 되어 있다.
하부 빔(20)은 충격을 받을 때 실제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하부 빔(20)은 전방쪽으로 아치형태로 둥글게 되어 있다. 하부 빔(20)은 후방으로 개방되는 U자형 섹션 및 내부 보강 리브(30)를 가진다(도 3 참조).
에너지 흡수 패널(12)은 또한 하부 빔(30) 및 실질적으로 이 하부 빔(20)의 높이에 있는 직립부(16)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전방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는 보행자 보호용 리브(32)를 포함한다.
이들 보호용 리브(32)는 보행자의 다리와의 제1 접촉 영역을 형성한다. 이들 보호용 리브(32)는 약한 응력 하에서 파괴될 수 있다.
보강부(14)는 에너지 흡수 패널(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거나 삽입되는 박판의 형태를 나타내어, 충격의 경우에 보강부에 대해 압축함으로써 압착하기 위한 패널(12)에 대한 견고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보강부(14)는 서로 횡방향으로 이격된 단(stages)(34) 및 이들 단(34)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plate)(36)를 포함한다. 플레이트(36)는 상부 빔(18)을 정렬시킬 수 있다. 각각의 단(35)은 각각의 직립부(16)를 정렬시킬 수 있다. 단(34) 및 플레이트(36)는 보강부(14)에 "H"자 또는 역"U"자 모양을 제공한다.
보강부(14)는 에너지 흡수 패널(12)의 후방면(12b)에 맞닿아 배치되어, 에너지 흡수 패널(12)과 상부측 및 하부측 부재(6, 8)의 단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각각의 단(34)은 인접한 상부측 부재(6)와 하부측 부재(8)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단부들과 직립부(16) 사이에 끼워진다. 각각의 단(34)은 인접한 상부측 부재(6)와 하부측 부재(8)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각각의 단(34)은 직립부(16)를 위한 전방 지지면(34a)을 갖는다.
플레이트(36)는 상부측 부재(6)와 하부측 부재(8) 사이에서, 실질적으로는 상부측 부재(6)의 높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플레이트(36)는 상부측 부재(6)를 서로 연결시킨다. 플레이트(36)는 상부 빔(18)을 위한 전방 지지면(36a)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36)는 길이방향으로의 휨 강성이 낮은 박판의 형태를 나타낸다. 플레이트(36)는 자유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비교적 휘어지기 쉬우며, 그 단부가 상부측 부재(6)에 연결된다.
길이방향으로 플레이트(36)에 충격을 가하는 충돌의 경우에, 플레이트(36)는 휨 저항을 거의 제공하지 않고, 플레이트(36)의 단부를 지지하는 2개의 상부측 부재(6) 사이를 실제로 견인하도록 작용한다.
상부 빔(18)은 플레이트(36)와 상보적으로 작동된다. 플레이트(36)는 길이방향으로 비교적 휘어지기 쉽지만, 상부측 부재(6)에 대한 그 연결부로 인해 유지되어, 충돌의 경우 상부 빔(18)이 플레이트(36)에 대해 균일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빔(18)을 위한 횡방향 연장 지지면을 제공한다. 에너지는, 예를 들면 상부 빔(18)의 두께에 따라, 예컨대 100㎜ 내지 180㎜의 작은 스트로크에 걸쳐 소산된다.
개별 기능, 즉 상부 빔(18)의 압축 및 플레이트(36)의 견인력에 따른 이 작동은 상부 빔(18)과 플레이트(36)로 구성된 조립체에 의한 효율적이고 제어된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플레이트(36)는 견인 저항 재료, 예를 들면 금속 시트로 제조될 수 있는 한편, 상부 빔(18)은 압축에 의해 상당한 에너지 소산을 가능하게 하는 재료,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다. 얇은 플레이트(36)는 충격의 경우에 파괴되지 않으며, 그 견인 저항을 유지한다.
금속 시트의 형태로 제조된 플레이트(36)의 신장은 감소(2% 내지 8%)되는데, 이는 또 다른 차량 또는 범퍼 조립체(10)에 의해 차량(2) 내부로 들어온 물체의 침입을 제한하고, 2개의 상부측 부재(6)를 효과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상부측 부재(6)를 하부측 부재(8)에 연결시키는 높이가 큰 단, 즉 "거대 단"은 차량에서 상당한 높이에 걸쳐 범퍼 조립체(10)에 의해 얻어진 응력을 분배할 수 있다.
단(34)은 연장된 견고한 지지면을 직립부(16)에 제공하는데, 이는 충격의 경우 상부측 부재(6)와 하부측 부재(8) 사이에 수직하게 위치된 직립부의 중간부가 휘어지지 않고, 직립부가 균일하게 압축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 이점은 균등하게 분포된 유사 셀을 포함한 직립부(16)의 동질의 디자인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단(34)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면의 치수는 폭이 100㎜ 내지 190㎜이고, 높이가 350㎜ 내지 400㎜이며, 이는 전체적으로 3.5dm2 내지 8dm2의 면적에 상응한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흡수 패널(12)과 보강부(14)는 충격의 경우에 상보적으로 작용한다. 두꺼운 에너지 흡수 패널(12)은 압축하면서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한편, 얇은 보강부(14)는 상부측 부재(6)와 하부측 부재(8)에 걸쳐 응력을 분포시켜, 압축하고 견인성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지 않고도 상부 빔(18)을 위한 지지를 제공한다.
범퍼 조립체(10)는, 상부측 및 하부측 부재(6, 8)의 완전한 상태를 보존하기 위해, 저속 충격 또는 중속 충격의 경우에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조립체를 구비한 차량은 또 다른 차량과 충돌할 때 비침해적인데, 이는 저속과 중속의 내부 차량 호환성의 이익이 된다.
직립부(16)의 셀 구조는 제조를 용이하게 하고, 작은 두께에 걸쳐 충분한 에너지 흡수 능력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패널(12)은, 예컨대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 성형에 의해 단일의 성형 부품으로 제조된다. 패널(12)은 상부측 부재(6) 상에 체결될 때 차량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단일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은 적은 제조 비용으로 간단히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패널(12)은 직립부(16)와 상부 빔(18)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하부 빔(20)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패널(12)은 하부 빔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패널(12)로부터 분리되어 직립부(16)의 하단부 사이에 체결되는 하부 빔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직립부(16)의 셀 구조는 틈새를 작게 하거나 심지어는 존재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패널(12)의 중량 및 제조 비용을 제한한다. 따라서, 얻어지는 부품은 중량이 가볍고, 재료가 절약된다.
직립부(16)의 셀 구조는 또한, 셀의 경계를 짓는 벽의 국부적 두께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국부적 두께는 2.5 내지 4mm로 감소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3 내지 3.5mm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대체로, 일체식 패널(12)의 제거가 용이하게 되는데, 그것은, 틈새가 작거나 아주 없으면, 차량의 길이방향 축에 대응하는 축을 따라 2개의 대향하는 반부 몰드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몰드로부터 패널의 제거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몰드 내에 인출기(drawers) 또는 가동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체크무늬형 직립부(16) 내의 틈새가 작거나 없으면, 예를 들면 중속 충격 동안에 길이방향 오목부에 균일한 강성도가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변위에 따라, 상술한 상부측 및 하부측 부재(6, 8)의 보정력 아래로 유지되면서, 에너지의 소산을 증가시키고 흡수 경로를 감소시키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응력 보상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충격의 에너지는 짧은 주행 거리에서도 소산될 수 있고, 상기 해결방안은 매우 조밀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해결방안은, 250mm보다 짧고 특히 200mm보다 짧은 충격 흡수 길이방향 주행 거리를 가지는 소형 기관 차량에 특히 적합하다. 직립부(16)는 220mm 내지 220mm 사이의 길이방향 두께를 가진다. 이것은, 단(14)과 패널(12)의 전방 단부 사이에서의 패널(12)의 외팔식 걸침(cantilever)을 제한하면서, 에너지 흡수를 효율적이 되게 한다.
보강부(14)는 바람직하게 일체로 이루어지고, 금속 시트 절개부로부터 형성되며, 필요한 경우, 특히 스탬핑(stamping) 및/또는 벤딩(bending)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보강부(14)는 쉽고 저렴하게 제조되며, 높은 저항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보강부(14)는 금속면을 서로 체결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단(34)을 형성하는 면과 플레이트(36)를 형성하는 일 면을 체결함으로써 형성된다.
각각의 직립부(16)는 나사체결 또는 접착에 의해 대응 단(34)에 체결된다. 이 두번째 해결방안은 충분한 응력 분포를 가능하게 하므로 바람직하다. 실제로, 나사체결에 의한 디자인 및 조립체의 압박(금속 인서트, 구멍, 베이스 플레이트를 굳게하는 것, 스크류건을 위한 공간)은 증가되지만, 나사체결에 의해 발생되는 국부적 응력 변형 및 인열 위험성이 상당히 감소된다. 또한, 엇갈리게 배치된 역 폐쇄형 셀들로 구성된 선택된 형상은 포스트 후방의 접착면을 상당히 증가시켜, 바람직한 응력 분포의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14)는 단(34)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플레이트(36)를 포함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플레이트(36)는 상부 빔(18)을 따라 패널(12)의 후방면(12b)을 따라가기 위해, 단(34)에 대해 오프셋된 평면의 중앙부(39) 및 플레이트(36)를 단(36)에 연결시키는 구부러진 측면부(40)을 갖는다.
도 5의 플레이트(36)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 곧은 직선면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적은 벤딩 모멘트를 유지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34)의 상부 및 하부 측면 에지(42)는 평탄하다.
도 6의 실시예에서, 플레이트(34)는 평면이지만, 플레이트(36)의 에지(42) 상의 균열 발생의 위험을 제한하기 위해 상승형 또는 "드롭형" 측면 에지(42)를 구비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승형 측면 에지는, 플레이트(36)가 전방면(36a)에 수직한 방향으로 작은 벤딩 모멘트를 유지하도록, 작은 높이를 갖는다. 플레이트(36)의 벤딩 모멘트를 제한하기 위해, 측면 에지(42)는 바람직하게 접혀진다.
바람직하게, 드롭형 및/또는 접혀진 측면 에지(42)는 5㎜ 내지 10㎜의 길이에 걸쳐 직선면에 보이도록 연장된다.
대체로, 플레이트의 길이의 모든 지점에는, 플레이트에 낮은 굽힘 강성을 제공하는 직선부가 형성되어, 플레이트는 자유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비교적 휘기 싶지만, 상부 빔과의 연결로 인해, 플레이트는 충격의 경우에 실질적으로 상부 빔들 사이를 견인하는 작용을 하고, 실질적으로 압축 작용을 받고 있는 빔에 비교적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상부측 부재(6)는 바람직하게 차량의 주측 부재이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측 부재(8)는, 예를 들면 하부측 부재(6)의 단부로부터 먼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 형태로 형성된 차량의 구조물의 하부측 부재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하부측 부재(8)는 차량의 구조물 아래에 체결된 보조용 크래들 또는 섀시의 연장부이다. 크래들은 서스펜션 암(suspension arms), 스테빌라이저바(stabilizer bar) 및/또는 조향 시스템과 같은 차량의 다른 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크래들은 기관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크래들을 "엔진 크래들(engine cradle)"이라고 부를 수 있다.
패널(12)은 추가의 광학 유닛(도시되지 않음), 패널 외판의 패널 채결 요소(도시되지 않음), 그릴의 체결 요소(도시되지 않음),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해 그릴 후방에 체결된 제어 셔터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부 뿐만 아니라, 차량의 후방부에도 사용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차량의 단부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한 쌍의 상부측 부재(6) 및 한 쌍의 하부측 부재(8)를 포함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 부재(6)의 단부와 상기 하부측 부재(8)의 단부에 각각 지지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에너지 흡수 직립부(16) 및 상기 에너지 흡수 직립부(16)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에너지 흡수 빔(18)을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패널(12)
    을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흡수 빔(18)에 겹치는 플레이트(36)를 포함하여, 충격의 경우에, 상기 에너지 흡수 빔(18)이 상기 플레이트(36)의 전방면(36a) 사이에서 압축되는,
    차량용 범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 직립부(16)에 각각 겹치는 2개의 단(stages)(34)을 포함하여, 충격의 경우에, 상기 에너지 흡수 직립부(16)가 대응 단(34)의 전방면(34a)에 대해 압축되는, 차량용 범퍼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34)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범퍼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6)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범퍼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6)는 상기 단(34)과 일체로 형성된, 차량용 범퍼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 패널은 상기 에너지 흡수 직립부(16)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빔(18) 및 하부 빔(20)을 포함한, 차량용 범퍼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6)는 상기 상부 빔(18)을 정렬시키는, 차량용 범퍼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 패널(12)은 단일 부품인, 차량용 범퍼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 패널(12)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차량용 범퍼 조립체.
  10. 한 쌍의 상부측 부재(6)와 한 쌍의 하부측 부재(8)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측 부재(6)의 단부 및 상기 하부측 부재(8)의 단부에 배치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범퍼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 단부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빔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빔에 연결되는,
    차량 단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 부재(6)는 차량 구조물의 주측 부재인, 차량 단부.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부재(8)는 상기 주측 부재보다 더 작은 높이에 걸쳐 연장되는 차량 구조물의 보조측 부재인, 차량 단부.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측 부재(8)는 차량 구조물 아래에 체결된 크래들(cradle)의 연장부인, 차량 단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엔진 크래들인, 차량 단부.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단부를 포함한 차량.
KR1020100134941A 2009-12-24 2010-12-24 차량용 범퍼 조립체, 그러한 조립체를 포함한 차량의 단부 및 차량 KR101745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9606A FR2954738B1 (fr) 2009-12-24 2009-12-24 Ensemble pare-chocs pour vehicule automobile, partie d'extremit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tel ensemble et vehicule automobile
FR0959606 2009-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483A true KR20110074483A (ko) 2011-06-30
KR101745382B1 KR101745382B1 (ko) 2017-06-09

Family

ID=4231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941A KR101745382B1 (ko) 2009-12-24 2010-12-24 차량용 범퍼 조립체, 그러한 조립체를 포함한 차량의 단부 및 차량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62042B2 (ko)
EP (1) EP2338743B1 (ko)
KR (1) KR101745382B1 (ko)
CN (1) CN102180134B (ko)
ES (1) ES2502532T3 (ko)
FR (1) FR2954738B1 (ko)
MX (1) MX2011000107A (ko)
SI (1) SI2338743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3595B1 (fr) * 2009-03-26 2011-06-03 Faurecia Bloc Avant Ensembl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bouclier pare-chocs avant
DE102009052110A1 (de) * 2009-11-05 2011-05-12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Kraftfahrzeug-Frontend
DE102010006976A1 (de) * 2010-02-05 2011-08-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 Mich. Kraftfahrzeug-Vorderbau
DE102010006978A1 (de) * 2010-02-05 2011-08-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 Mich. Stoßfäng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FR2959707B1 (fr) * 2010-05-05 2013-03-15 Faurecia Bloc Avant Element de face arriere et face arriere pour vehicule automobile
JP5516345B2 (ja) * 2010-11-11 2014-06-1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フレーム構造
US8746762B2 (en) 2012-06-04 2014-06-10 Steven Darrett Car door shock absorber
WO2014162574A1 (ja) * 2013-04-04 2014-10-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端部構造
FR3012103A3 (fr) * 2013-10-22 2015-04-24 Renault Sa Ensemble de voi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JP5850037B2 (ja) * 2013-12-24 2016-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の衝撃吸収構造
DE102014214561A1 (de) * 2014-07-24 2016-01-28 Magna Exteriors Gmbh Frontendmodul
DE102015005925A1 (de) * 2015-05-07 2016-11-10 Daimler Ag Frontendträger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CN105946758A (zh) * 2016-06-15 2016-09-21 苏州市振业模具有限公司 一种紧固型保险杠支架
US10106197B2 (en) * 2017-03-07 2018-10-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vice and assembly for protecting a front end module of a motor vehicle
JP6852956B2 (ja) * 2018-11-27 2021-03-3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FR3093047B1 (fr) * 2019-02-27 2022-06-10 Psa Automobiles Sa Élément absorbeur de chocs pour une structure avant de véhicule automobile
EP3718830B1 (en) 2019-04-01 2022-10-12 Volvo Car Corporation One piece load distribu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9224A (en) * 1973-05-10 1974-06-25 Gen Motors Corp Vehicle body construction
US4951985A (en) * 1988-11-01 1990-08-28 Transitions Research Corporation Bumper for impact detection
DE19851495A1 (de) * 1998-11-09 2000-05-11 Volkswagen Ag Tragstruktur eines Vorderwagens eines Kraftfahrzeugs
JP4576780B2 (ja) * 2001-09-21 2010-11-10 マツダ株式会社 車体のフレーム構造及び車体フレームの製造方法
US6685243B1 (en) * 2002-07-30 2004-02-03 Shape Corporation Bumper for reducing pedestrian injury
JP2008502058A (ja) * 2004-05-18 2008-01-24 シルバーブルック リサーチ ピーティワイ リミテッド セキュリティ文書を追跡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FR2882327B1 (fr) * 2005-02-21 2008-10-31 Renault Sas Structur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FR2895341B1 (fr) * 2005-12-23 2008-04-04 Plastic Omnium Cie Systeme d'absorption d'energi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DE102006060650A1 (de) 2006-12-21 2008-06-26 Mtu Aero Engine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rührungslosen Schaufelschwingungsmessung
FR2910865B1 (fr) * 2006-12-28 2009-04-03 Plastic Omnium Cie Piece d'appui pour systeme d'absorption de chocs destinee a etre montee en bout d'un longeron d'un vehicule automobile
FR2911559B1 (fr) * 2007-01-23 2009-04-24 Plastic Omnium Cie Module d'absorption de chocs pour vehicule automobile.
FR2919568B1 (fr) * 2007-08-03 2010-01-22 Faurecia Bloc Avant Fac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avec une poutre rigide interposee entre les absorbeurs de chocs et les longerons principaux
FR2932748B1 (fr) * 2008-06-18 2010-12-10 Faurecia Bloc Avant Ensemble de pare-chocs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FR2943595B1 (fr) * 2009-03-26 2011-06-03 Faurecia Bloc Avant Ensembl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bouclier pare-chocs avant
FR2952875B1 (fr) * 2009-11-20 2012-05-11 Faurecia Bloc Avant Bouclier pare-chocs pour vehicule automobile
US8439411B2 (en) * 2010-04-09 2013-05-14 Magna International Inc. Bumper beam with integrated energy absor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62042B2 (en) 2013-10-22
ES2502532T3 (es) 2014-10-03
CN102180134B (zh) 2016-08-03
EP2338743B1 (fr) 2014-07-16
MX2011000107A (es) 2011-06-24
FR2954738B1 (fr) 2012-04-06
EP2338743A1 (fr) 2011-06-29
US20110156414A1 (en) 2011-06-30
KR101745382B1 (ko) 2017-06-09
SI2338743T1 (sl) 2014-12-31
FR2954738A1 (fr) 2011-07-01
CN102180134A (zh)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4483A (ko) 차량용 범퍼 조립체, 그러한 조립체를 포함한 차량의 단부 및 차량
US8251437B2 (en) Front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comprising a front bumper shield
KR20110052525A (ko) 차량의 하나 이상의 보조 장비를 부착하기 위한 전방 범퍼 실드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방 조립체
KR20110056249A (ko) 차량용 범퍼 실드
US8118351B2 (en) Motor vehicle front-end panel comprising a structural frame and a bumper
CN100554048C (zh) 用于车辆的行人保护装置
EP1867525B9 (en)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for vehicle
US6224120B1 (en) Arrangement of a front protection bow on a motor vehicle front end
RU2572450C1 (ru) Задняя часть автомобиля
US8215705B2 (en) Shock-absorber assembly and corresponding motor vehicle
US20060181090A1 (en) Vehicle bumper beam comprising a crosspiece and two shock absorbers
CN101088810B (zh) 车辆的行人保护装置
EP1902928A3 (en) Vehicle front structure
CN105339208A (zh) 前灯安装支架能量吸收器
JP2007529360A (ja) 車両バンパーのための少なくとも2つの下部支持体からなる組立体と、2つの前部ブロックからなる組立体
CN106240506B (zh) 用于车辆的前部结构或后部结构的碰撞吸收装置
US6758515B2 (en) Front end structure of vehicle with crushable zones for collision damage
EP1604869B1 (en) Bump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120038188A1 (en) Front protective molding for an automobile comprising a reinforced central portion
ES2400143T3 (es) Escudo parachoques para vehículo automóvil
KR101746222B1 (ko) 정면 범퍼 실드를 구비하는 차량용 정면 어셈블리
ES2398926T3 (es) Conjunto delantero de vehículo automóvil que comprende un escudo de para-choques delantero provisto de un pilar que permite la fijación de al menos un equipo auxiliar de vehículo automóv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