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72922A - 화상형성장치의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922A
KR20110072922A KR1020090130036A KR20090130036A KR20110072922A KR 20110072922 A KR20110072922 A KR 20110072922A KR 1020090130036 A KR1020090130036 A KR 1020090130036A KR 20090130036 A KR20090130036 A KR 20090130036A KR 20110072922 A KR20110072922 A KR 20110072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additional extension
application
opera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형식
원철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0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2922A/ko
Priority to EP10194105A priority patent/EP2339458A3/en
Priority to US12/963,909 priority patent/US8736856B2/en
Publication of KR20110072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9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21Dynamic linking or loading; Link editing at or after load time, e.g. Java class loading
    • G06F9/44526Plug-ins; Add-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표시부와 복수의 운영체제들(Operating Systems)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추가 확장기능(extended feature) 실행방법은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수신하고, 복수의 운영체제들 중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메뉴에서 추가 확장기능을 선택하고,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Method for implementing additional extended feature i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화상형성장치의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스캐너, 복합기(Multi-Function Peripheral) 등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복사, 스캔, 팩스 송수신, 이메일 전송, 서버로의 파일 전송(Server Message Block/File Transfer Protocol) 등의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에서 구현되는 기능은 기본 기능(native feature) 및 추가 확장 기능(extended featur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기본 기능은 화상형성장치가 제작될 때 확정되는 기능을 의미하고, 추가 확장 기능은 화상형성장치의 출하 이후 고객의 요구에 따라서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운영체제(operate system)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와 복수의 운영체제들(Operating Systems)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추가 확장기능(extended feature) 실행방법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기본기능(native feature)과 다른 기능인 상기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운영체제들 중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메뉴에서 상기 추가 확장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운영체제들은 실시간 운영체제 및 비실시간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체 제들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기본기능과 다른 기능인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운영체제들 중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어플리케이션 설치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메뉴에서 상기 추가 확장기능을 선택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운영체제들은 실시간 운영체제 및 비실시간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충족하기 위한 추가 확장기능을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화상형성장치 제조사 및 협력업체의 이윤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 및 외부 저장매체(200)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부(110), 저장부(120), 추가 저장부(130), 컴퓨팅 환경 구축부(140), 어플리케이션 설치부(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 표시부(161), 입력부(162), 제어부(170), 전원 공급부(175), 검사부(180), 점유율 설정부(185), 화상 형성부(191), 팩스부(192) 및 전송기능 수행부(193)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가능한 외부 저장매체(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저장매체(200)는 컴퓨터 시스템(210), 서버(220) 및 이동식 저장매체(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가능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유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직렬통신을 통하여 외부 저장매체(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네트워크(network)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에 해당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가 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팩스 송수신 등에 사용되는 모뎀, 네 트워크 망과의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모듈, 이동식 저장 매체와의 데이터 이동 채널 형성을 위한 USB 호스트 모듈 등을 모두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외부 저장매체(200)로부터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내는 프로그램 및 추가 확장기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한다. 즉, 통신부(110)는 외부 저장매체(200)로부터의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및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고, 이러한 다운로드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기본적으로 실행되는 기본 운영체제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etwork File System)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가 기본 운영체제가 실행되는 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이용하여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내는 프로그램 및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ec)를 선택하면, 외부 저장매체(200)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이 화상형성장치(100)로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다만,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어하는 호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화상형성장치(100)에 다운로드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추가 확장기능(extended feature)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기본적으로 실행되는 기본기능(native feature) 외의 기능을 의미한다. 즉, 추가 확장기능은 화상형성장치(100)가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기본기능과 다른 기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본기능은 화상형성장치(100) 제작시에 확정되어 구현되는 기능으로 복사, 인쇄, 스캔, 팩스 송수신, 이메일 전송, 서버로의 파일 전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가 확장기능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작시에 구현되어 있지 않으나, 화상형성장치(100)의 출하 후, 화상형성장치(100)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추가적으로 실행가능한 기능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추가 확장기능은 미리 지정된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다운로드받고, 상기 다운로드받은 파일을 인쇄하는 기능일 수 있다.
저장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20)는 상기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을 저장부(120)의 미리 지정된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운영체제들에 할당되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리소스(resource) 점유율 조정을 위하여 검사부(180)는 저장부(120)의 상기 미리 지정된 영역을 검사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리소스(resource) 점유율 조정에 관하여 이하 검사부(180)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20)는 롬(Read 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의 일 종인 하드디스크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모두 포함한다.
추가 저장부(130)는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증설될 수 있다. 즉, 저장부(120)의 용량이 충분한 화상형성장치(100)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저장부(120)에 기본기능의 구현을 위한 용량만이 마련된 경우 증설된 추가 저장부(130)를 이용하여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가 저장부(130)는 비휘발성 저장장치로서 롬, 플래쉬메모리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는 추가 확장기능의 구현을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확장 메모리 슬랏(slot)에 추가 저장부(130)를 증설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저장 용량에 무관하게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저장부(130)에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다만, 추가 저장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증설됨을 본 실시예에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100)의 저장부(120)에 의하여 추가 확장기능의 실행이 가능한 경우, 추가 저장부(130)의 증설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컴퓨팅 환경 구축부(140)는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을 구축한다. 즉, 통신부(110)는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는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저장부(120)는 수신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컴퓨팅 환경 구축부(140)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은 사용 설정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API(Application-program Programming Interface) 라이브러리 및 자바 가상 머신(Java Virtual Machine) 등을 모두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환경 구축부(140)는 API 라이브러리 및 자바 가상 머신을 설치할 수 있다. API 라이브러리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 설정에 따라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이용하여 위젯(widget) 기능을 구현하거나,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본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들과의 API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API 라이브러리는 추가 확장기능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유저인터페이스를 구현하거나, 또는, 복수의 운영체제들인 기본 운영체제 및 추가 운영체제 간의 모드 전환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자바 가상 머신은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자바 가상 머신에 의하여 설치 및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API 라이브러리 및 자바 가상 머신에 관하여 알 수 있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제작시에 복수의 운영체제들이 실행되도록 설정된다. 즉,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본기능을 수행하는 기본 운영체제 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운영체제를 실행할 수 있다. 또 한, 본 실시예에서 기본 운영체제 및 추가 운영체제는 하이퍼바이저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포함된 하드웨어 컴퍼넌트가 가상화된 상태에서 각각 실행될 수 있다.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는 현재 실행 중인 운영체제와 하드웨어 컴퍼넌트 사이에 개입하도록 구성된 소프트웨어 계층이다. 하이퍼바이저는 복수의 운영체제들에 대하여 하드웨어 컴퍼넌트(hardware component)들을 기능적으로 다중화(multiflex)하고, 가상의 방식으로, 각각의 운영체제에 대해 리소스를 명시한다.
즉, 하이퍼바이저는 복수의 운영체제들 각각이 마치 하나의 하드웨어 컴퍼넌트에서 수행되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이때, 복수의 운영체제들 간의 프로세싱 분배는 타임 스케줄링(time scheduling)에 의하여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 타임 스케줄링이라 함은 복수의 운영체제들 각각에 일정 시간을 순차적으로 분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하이퍼바이저는 복수의 운영체제들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과 같은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이퍼바이저는 하드웨어 컴퍼넌트를 가상화하고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을 생성하여, 추가 운영체제가 수행되도록 한다. 하드웨어 컴퍼넌트는 프로세서, I/O 포트, 메모리, 인터럽트 등을 의미하고, 본 실시예에서 하드웨어 컴퍼넌트는 운영체제의 수행에 필요한 통신부(110), 저장부(120), 추가 저장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 제어부(170), 화상 형성부(191), 팩스부(192) 및 전송기능 수행부(19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이퍼바이저에 관하여 알 수 있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복수의 운영체제들을 실행함에 있어서, 하이퍼바이저를 이용하여 제한된 화상형성장치(100)의 리소스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기본 운영체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본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운영체제로서 통상적으로 실시간 운영체제(Real Time Operating System)임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추가 운영체제는 상기 기본 운영체제 외의 복수의 운영체제들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추가 운영체제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추가 운영체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추가 운영체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추가 확장기능의 구현을 위한 것으로 비실시간 운영체제(Non Real Time Operating Syste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간 운영체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실시간 운영체제는 주어진 시간 내에 인터럽트를 처리하도록 보장하는 운영체제로서 VxWork, pSOS 등을 포함하고, 비실시간 운영체제는 Linux, Win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제작시에 기본 운영체제 및 추가 운영체제가 실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추가 확장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환경을 구축한다. 이때, 컴퓨팅 환경의 구축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추가 운영체제만을 재부팅시킴으로 인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작시에 구현되고,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에는 컴퓨팅 환경 구축부(140)가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100)에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이 구축되어 있는 경우,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API 라이브러리 및 자바 가상 머신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환경 구축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설치부(150)는 복수의 운영체제들 중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즉, 통신부(110)는 외부 저장매체(200)에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저장부(120)는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 설치부(150)는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설치부(150)는 복수의 운영체제들 중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된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는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에 해당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 설치부(150)는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만을 재부팅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설치부(150)는 하이퍼바이저 기능을 이용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만을 재부팅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이퍼바이저 기능은 복수의 운영체제들에 대하여 하드웨어 컴퍼넌트들을 기능적으로 다중화하고, 가상의 방식으로, 복수의 운영체제들 각각이 마치 하나의 하드웨어 컴퍼넌트에서 수행되는 환경을 만들어주기에, 어플리케이션 설치부(150)는 설치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만을 재부팅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추가 확장기능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운영체제들 중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운영체제가 아닌 다른 운영체제를 사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출력정보를 표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표시부(161) 및 입력부(162)로 구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표시부(161) 및 입력부(162)는 터치패드와 같이 결합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표시부(161)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메뉴를 표시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추가 운영체제가 실행된 환경에서 화상형성장치(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표시하고, 입력부(162)는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목록 중 추가 확장기능을 나타내는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100)에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되어 있고, 표시부(161)는 GUI를 이용하여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표시부(161)는 메뉴의 한 형태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을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입력부(162)를 조작하여 상기 표시된 아이콘들 중 사용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61)는 기본 운영체제가 실행된 환경에서 추가 운영체제가 실행되는 환경으로 전환하는 GUI를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추가 운영체제가 실행된 환경에서 기본 운영체제가 실행되는 환경으로 전환하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즉, 기본 운영체제 및 추가 운영체제 간의 모드 전환 기능이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모드 전환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기본 운영체제 및 추가 운영체제 간의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61)는 추가 운영체제가 실행된 환경에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GUI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즉, 소정의 외부 저장매체(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기능이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부(162)를 조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외부 저장매체(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이 화상형성장치(100)에 다운로드되도록 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표시부(161)는 외부 저장매체(200)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또는 외부 저장매체(200)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입력부(162)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162)를 조작하여 외부 저장매체(200)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주제어 등을 의미한다.
표시부(161)는 상기 검색결과를 표시하고, 이에 따라, 입력부(162)는 외부 저장매체(200)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정보를 수신한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162)를 조작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110)는 상기 입력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 설치부(150)는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편리하게 외부 저장매체(20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들을 검색하고, 검색결과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어하는 호스트 장치를 이용하 여 상기 모드 전환 및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에게 출력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마련된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GUI(Graphic User Interface) 또는 LUI(Local User Interface) 등을 표시하는 모니터, LCD,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입출력 장치와 이들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입력부(162)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입력부(162)로부터 추가 확장기능을 선택하는 입력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70)는 복수의 운영체제들 각각에 마련된 인터페이스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로 스위칭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100)에서 기본 운영체제에 의한 사용 환경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추가 운영체제 상에서 동작하는 추가 확장기능을 선택하는 입력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17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환경을 기본 운영체제에서 추가 운영체제로 스위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한다 함은 사용환경의 전환을 의미한다. 즉,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부(161)에 표시되는 유저인터페이스 등을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환경을 전환하기 위하여 복수의 운영체제들 각각에 마련된 인터페이스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운영체제의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70)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환경을 기본 운영체제에서 추가 운영체제로 스위칭함에 따라, 표시부(162)는 스위칭된 운영체제에 따른 유저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는 기본 운영체제에 따른 기본기능들을 나타내는 유저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태에서, 추가 운영체제에 따른 추가 확장기능들을 나타내는 유저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환경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기본 운영체제 및 추가 운영체제 간의 사용환경을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는 하이퍼바이저 기능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함에 따라 초기 제품 구성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복수의 다양한 추가 확장기능들 중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기능만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고사용의 화상형성장치(100)가 아닌 경우에도 추가 저장부(130) 증설을 통하여 추가 확장기능의 구현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추가 확장기능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175)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75)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제어부(17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기설정된 운영체제로 동작시킨다. 이때, 기설정된 운영체제라 함 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운영체제로서 복수의 운영체제들 중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0)가 부팅되면 추가 운영체제에 의한 환경에 따라 동작되도록 설정된 경우, 전원 공급부(175)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7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추가 운영체제에 의한 환경에 따라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표시부(161)는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로 변경되었음을 더 표시할 수 있다.
검사부(180)는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의 구축 여부 및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검사한다. 즉, 저장부(120)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컴퓨팅 환경을 나타내는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은 저장부(120)의 미리 지정된 영역에 저장되어 있기에, 검사부(180)는 저장부(120)의 상기 영역을 검사하여 컴퓨팅 환경의 구축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검사부(180)는 저장부(120)의 상기 지정된 영역을 검사하고,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점유율 설정부(185)는 검사부(180)의 검사 결과에 따라 컴퓨팅 환경이 구축되고 어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경우, 기본 운영체제 및 추가 운영체제 각각의 실행에 할당된 화상형성장치(100)의 리소스 점유율을 재설정한다. 즉, 하이퍼바이저 기능을 이용하여 복수의 운영체제들을 실행함에 있어서, 복수의 운영체제들 각각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리소스들의 시간 공유(time sharing) 점유율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운영체제들 각각에 대하여 리 소스 점유율을 설정할 수 있고, 이는 화상형성장치(100) 리소스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추가 확장기능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추가 운영체제의 실행에 할당된 화상형성장치(100)의 리소스 점유율을 최소화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본기능이 기본 운영체제 상에서 수행되는데 무리가 없도록 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검사부(180)의 검사 결과에 따라 컴퓨팅 환경이 구축되어 있고, 또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점유율 설정부(185)는 기본 운영체제에 할당된 화상형성장치(100)의 리소스 점유율을 소정의 비율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소정의 비율에 상응하여 추가 운영체제에 할당된 화상형성장치(100)의 리소스 점유율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화상형성장치(100)가 부팅되는 시점에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운영체제들간에 통신하고, 검사부(180)는 통신 결과에 따라, 추가 운영체제 상에서 컴퓨팅 환경이 구축되었는지 여부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검사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작 시점에, 즉,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이 구축되어 있지 않고 추가 확장기능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기본 운영체제 및 추가 운영체제 간의 화상형성장치(100) 리소스 점유율은 9:1이 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제품 출하 이후,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이 구축되어 있고 추가 확장기능을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면, 기본 운 영체제 및 추가 운영체제 간의 화상형성장치(100) 리소스 점유율은 6:4가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예로 든 9:1 또는 6: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비율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점유율 설정부(185)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수에 따라 추가 운영체제에 할당되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리소스 점유율이 더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62)에서 추가 확장기능을 선택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170)에서 상기 수신된 입력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로 스위칭함에 따라, 점유율 설정부(185)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리소스 점유을을 상기에서 기재한 방법에 따라 재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는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존재 여부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리소스 점유율을 변경할 수 있기에, 제한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화상형성부(191), 팩스부(192) 및 전송기능 수행부(193)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화상 형성부(191)는 파일의 인쇄작업을 수행하고, 팩스부(192)는 파일의 팩스전송작업을 수행하고, 전송기능 수행부(193)는 파일을 컴퓨터 시스템(210), 서버(220), 이동식 저장매체(230) 등의 외부 장치로의 전송작업을 수행한다.
외부 저장매체(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는 프로그램 및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외부 저장매체(200)는 컴퓨터 시스템(210), 서 버(220) 및 이동식 저장매체(2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컴퓨터 시스템(210)은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어하는 호스트 장치를 포함하고, 이동식 저장매체(230)는 휴대가 가능한 휴대용 저장매체로서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스틱 및 메모리 카드를 모두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조사 또는 화상형성장치(100) 제조사의 협력업체 중 어느 하나는 컴퓨터 시스템(210) 또는 서버(220)를 운영하고, 컴퓨터 시스템(210) 또는 서버(220)에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는 프로그램 및 추가 확장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컴퓨터 시스템(210) 또는 서버(22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이 이동식 저장매체(230)에 저장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100)에 수신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조사는 화상형성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를 제작하는 곳을 모두 포함하고, 또한, 협력업체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조사와 연관된어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조에 협력한 곳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100)의 판매 후,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곳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외부 저장매체(200)로부터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추가 확장 기능들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한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사용될 수 있기에 제품 확장성이 증가될 수 있고, 또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운영체제 및 추가 운영체제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구성도(21)는 하드웨어 컴퍼넌트(22)와 하이퍼바이저의 실행에 따라 생성된 가상 머신(23)이 도시되어 있다. 기본 운영체제(24) 및 추가 운영체제(25)는 하이퍼바이저의 실행에 따라 생성된 가상 머신(23) 상에서 각각 실행될 수 있다. 기본 운영체제(24) 및 추가 운영체제(25)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한다.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기본 운영체제(24)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본 기능을 수행한다. 작업 제어부(Job Controller)(241)는 기본 운영체제(24)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제어한다.
팩스(242)는 팩스 송수신을 수행하고, 인쇄(243)는 이미지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하고, 연결(244)는 외부 저장매체(200)와의 연결 및 송수신 데이터를 처리하고, 스캔(245)는 원고를 스캔하여 화상데이터를 생성하고, UI(24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제어하고, 인증(247)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인증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제 1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48)는 기본 운영체제(241) 및 추가 운영체제(242)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추가 운영체제(25)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한다. API 라이브러리(251)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Java VM(253)는 자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들(253)은 화상형성장치(100)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낸다. 즉, 제 1 어플리케이션, 제 2 어플리케이션 및 제 3 어플리케이션은 각 어플리케이션이 나타내는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54)는 기본 운영체제(241) 및 추가 운영체제(242)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제 1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48) 및 제 2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54)는 도 2에 도시된 기본 운영체제(24) 및 추가 운영체제(25)간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제 1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48) 및 제 2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54)는 복수의 운영체제들 간에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상 머신(23), 기본 운영체제(24) 및 추가 운영체제(25)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2는 제어부(170)의 실행 결과에 따른 소프트웨어 모듈을 기능에 따라 분류하여 도시한 도면임을 본원 발명과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알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컴퍼넌트(2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부(110), 저장부(120), 추가 저장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 화상 형성부(191), 팩스부(192) 및 전송기능 수행부(193) 등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인쇄하는 어플리 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32)에 저장된 파일을 인쇄하는 어플리케이션(31)을 수행하는 경우, 즉, 작성한 파일을 서버(32)로 전송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상기 서버(32)에 저장된 파일에 대한 인쇄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경우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추가 운영체제가 실행되는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31)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서버(32)에 저장된 파일에 대한 인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301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31)은 제 2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54)에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인쇄하는 작업을 요청한다. 302 단계에서 제 2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54)는 제 1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48)로 어플리케이션(31)으로부터 요청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커맨드를 전송한다.
303 단계에서 제 1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48)는 작업 제어부(241)에 어플리케이션(31)이 나타내는 작업의 시작을 요청하고, 304 단계에서 작업 제어부(241)는 연결(244)에 서버(32)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요청한다.
305 단계에서 연결(244)은 인증(247)에 사용자의 인증을 요청하고, 306 단계에서 인증(247)은 서버(32)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305 단계 내지 306 단계는 인증 단계가 필요한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정보의 획득은 사용자로부터 인증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307 단계에서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일 경우, 연결(244)은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308 단계에서 연결(244)은 작업 제어부(241)에 데이터 요청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309 단계에서 작업 제어부(241)는 인쇄(243)에 인쇄작업을 요청하고, 310 단계에서 작업 제어부(241)는 제 1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48)에 어플리케이션(31)이 지시하는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311 단계에서 제 1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48)는 제 2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54)로 어플리케이션(31)이 지시하는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312 단계에서 제 2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54)는 어플리케이션(31)에 어플리케이션(31)이 지시하는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부(161)에 어플리케이션(31)에 따른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화상형성장치(100)의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리소스 점유율을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00)가 부팅되는 시점에서, 점유율 설정부(185)는 기본 운영체제(24) 및 추가 운영체제(25)간의 점유율을 조정할 수 있다. 401 단계에서 기본 운영체제(24)가 실행되면 제 1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48)에 초기화(initial)를 요청하고, 402 단계에서 추가 운영체제(25)가 실행되면 제 2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54)에 초기화를 요청한다.
403 단계에서 제 2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54)의 초기화가 완료되면, 제 2 인 터페이스 에이전트(254)는 제 1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48)에 연결을 요청한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48) 또는 제 2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54) 중 먼저 초기화되는 인너페이스 에이전트에서 연결 요청할 수 있다. 404 단계에서 제 1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48)는 제 2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54)에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405 단계에서 제 1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48)는 추가 운영체제(25)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명령(예를 들면, Query info)을 제 2 인터페이스 에이전트 (254)로 전송한다. 406 단계에서 제 2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54)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 1 인터페이스 에이전트(248)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점유율 설정부(185)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리소스 점유율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초기 부팅 시에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 및 어플리케이션의 구축 여부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리소스 점유율을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 기재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기재된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501 단계에서 통신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기본기능과 다른 기능인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저장매체(200)로부터 수신한다.
502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설치부(150)는 복수의 운영체제들 중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상기 501 단계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503 단계에서 사용자는 입력부(161)를 조작하여, 표시부(162)에 표시된 화상형성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메뉴에서 추가 확장기능을 선택한다. 즉, 입력부(161)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메뉴에서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어느 하나의 추가 확장기능을 선택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한다.
504 단계에서 제어부(170)는 상기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충족하는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추가적인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조사 및 그에 따른 협력 업체의 매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 (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외부 저장매체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운영체제 및 추가 운영체제가 화상형성장치에서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인쇄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리소스 점유율을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20)

  1. 표시부와 복수의 운영체제들(Operating Systems)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추가 확장기능(extended feature) 실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기본기능(native feature)과 다른 기능인 상기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운영체제들 중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메뉴에서 상기 추가 확장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운영체제들은 실시간 운영체제 및 비실시간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추가 확장기능 실행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운영체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리소스 점유율을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확장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운영체제들 각각에 마련된 인터페이스 에이전트(interface agent)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로 스위칭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로 스위칭되면, 상기 리소스 점유율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는 하이퍼바이저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만을 재부팅(rebooting)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기설정된 운영체제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로 변경되었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을 상기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상기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구축된 컴퓨팅 환경 상에서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추가 저장부를 증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추가 저장부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방법.
  11. 복수의 운영체제들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기본기능과 다른 기능인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운영체제들 중 어느 하나의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어플리케이션 설치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메뉴에서 상기 추가 확장기능을 선택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운영체제들은 실시간 운영체제 및 비실시간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외부 저장매체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기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운영체제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리소스 점유율을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확장기능을 선택하는 입력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운영체제들 각각에 마련된 인터페이스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로 스위칭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스위칭된 운영체제에 따른 유저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로 스위칭되면, 상기 리소스 점유율을 재설정하는 점유율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부는 하이퍼바이저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만을 재부팅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기설정된 운영체제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운영체제로 변경되었음을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을 나타내는 프로 그램을 상기 외부 저장매체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상기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는 컴퓨팅 환경 구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확장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증설되는 추가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저장부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추가 확장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90130036A 2009-12-23 2009-12-23 화상형성장치의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110072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036A KR20110072922A (ko) 2009-12-23 2009-12-23 화상형성장치의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EP10194105A EP2339458A3 (en) 2009-12-23 2010-12-08 Method of executing additional extended feature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perform the same
US12/963,909 US8736856B2 (en) 2009-12-23 2010-12-09 Method of executing additional extended feature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perform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036A KR20110072922A (ko) 2009-12-23 2009-12-23 화상형성장치의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922A true KR20110072922A (ko) 2011-06-29

Family

ID=43613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036A KR20110072922A (ko) 2009-12-23 2009-12-23 화상형성장치의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36856B2 (ko)
EP (1) EP2339458A3 (ko)
KR (1) KR201100729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1104B2 (ja) * 2012-09-18 2016-09-1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399102A (zh) * 2017-02-08 2018-08-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方法和装置
KR20190038191A (ko) * 2017-09-29 2019-04-08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JP2023143184A (ja) * 2022-03-25 2023-10-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サポート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1305A (ja) 2000-07-26 2002-02-08 Hitachi Ltd 仮想計算機システムにおける計算機資源の割当て方法および仮想計算機システム
JP3826069B2 (ja) * 2002-05-17 2006-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ATE409904T1 (de) * 2003-04-09 2008-10-15 Jaluna Sa Betriebssysteme
JP3958243B2 (ja) * 2003-04-14 2007-08-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Icカードおよびそのos起動方法
US8972977B2 (en) * 2004-06-30 2015-03-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amless software compatibility using virtual machines
JP2007220086A (ja) * 2006-01-17 2007-08-30 Ntt Docomo Inc 入出力制御装置、入出力制御システム及び入出力制御方法
US8176485B2 (en) 2006-05-15 2012-05-08 Microsoft Corporation Launching hypervisor under running operating system
WO2008017001A2 (en) * 2006-08-02 2008-02-07 Moka5, Inc. Sharing live appliances
JP2008041057A (ja) * 2006-08-10 2008-02-21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管理する管理プログラム
JP2008077186A (ja) 2006-09-19 2008-04-03 Ricoh Co Ltd 複合機
JP2008262419A (ja) 2007-04-12 2008-10-30 Toyota Motor Corp 情報処理装置、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選択方法、プログラム。
JP5433837B2 (ja) * 2007-12-05 2014-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仮想計算機システム、仮想計算機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36856B2 (en) 2014-05-27
EP2339458A3 (en) 2011-09-07
EP2339458A2 (en) 2011-06-29
US20110149322A1 (en)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78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unction extension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782998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방법 및 장치
US92708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424745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03906B1 (ko) 복수의 플랫폼이 설치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8922809B2 (en) Host apparatus connected to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patible functio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5814526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72879A (ko) 화상형성장치, 호스트장치 및 호스트장치의 제어방법
US83018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eripheral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40329974A1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10072922A (ko) 화상형성장치의 추가 확장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JP637969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6067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utput process and method for the same
JP2018084893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U2604515C2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ей,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программ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JP7225848B2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9917968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corresponding to specific function
JP7251266B2 (ja) プログラムの組み合わせおよびプログラム
JP6708621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50978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7547409B2 (ja) 監視装置、監視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214277A (ja) ドライバ管理プログラム、アンインストール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514462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1846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505610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模倣方法、及び模倣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10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8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