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701A - Start-up improvement system of LP engine - Google Patents
Start-up improvement system of LP eng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2701A KR20110072701A KR1020090129747A KR20090129747A KR20110072701A KR 20110072701 A KR20110072701 A KR 20110072701A KR 1020090129747 A KR1020090129747 A KR 1020090129747A KR 20090129747 A KR20090129747 A KR 20090129747A KR 20110072701 A KR20110072701 A KR 201100727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ine
- temperature
- valve
- cooling water
- startabil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gaseous fuels
- F02D19/021—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23—Control of components of the fuel supply system to adjust the fuel mass or volume fl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2—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gaseous fuels
- F02D19/026—Measuring or estimating parameters related to the fuel supply system
- F02D19/027—Determining the fuel pressure, temperature or volume flow, the fuel tank fill level or a valve posi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39—Pressure or flow regulator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24—Fuel-injection apparatus with sensors
- F02M2200/248—Temperature sens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PG 엔진의 시동성 개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냉각수온을 검출하는 냉각수온 센서(32)와, 흡기 매니폴드(44)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흡기온 센서(34)와, 기화기(20)의 연료 출구로부터 분기되고 흡기 매니폴드(44)로 연결되는 추가 연료 공급 라인(50) 상에 장착되어, 연료공급을 조절하는 온/오프 밸브(52), 및 검출된 냉각수온과 흡기온에 기초하여 시동성 개선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온/오프 밸브(5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improving startability of an LPG engine, comprising: a coolant temperature sensor 32 for detecting a coolant temperature, an intake temperature sensor 34 for detecting a temperature of air sucked into the intake manifold 44, and a vaporizer; Mounted on an additional fuel supply line 50 branching from the fuel outlet of 20 to the intake manifold 44, the on / off valve 52 for regulating fuel supply, and the detected cooling water temperature and intak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30 for determining whether to correspond to the startability improvement conditions based on the 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n / off valve 52.
LPG 엔진, 시동성 개선 시스템 LPG engine, starter improvement system
Description
본 발명은 LPG 엔진의 시동성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시동성 향상을 위하여 별도의 연료 공급 제어 장치를 구비한 LPG 엔진의 시동성 개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improving startability of an LPG eng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artability improvement system of an LPG engine having a separate fuel supply control device for improving startability.
액화석유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는 가솔린에 비해 옥탄가가 높아 엔진의 노킹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엔진의 수명이 엔진의 수명이 길고, 배기가스 중 일산화탄소가 적으며 가격이 가솔린에 비해 싸다는 장점이 있다. Liquefied Petroleum Gas (LPG) has a higher octane price than gasoline, so the engine does not knock, so the engine has a long service life, less carbon monoxide in the exhaust gas, and a cheaper price than gasoline. have.
이러한 LPG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경우, 통상 인젝터를 이용하여 연료를 엔진의 연소실 내에 직접 분사하는 DI(Direct Injection) 엔진 및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 연료를 분사하는 MPI(Multi-Point Injection) 엔진과 달리, 인젝터가 없으며 대신에 LPG 연료를 저장한 LPG 연료 탱크로부터 기화기(Vaporizer) 및 혼합기(Mixer)를 이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연료 라인이 상대적으로 긴 문제점과, 저온 시동시 연료탱크의 증기압이 불충분하여 연료 탱크내의 압력 자체가 액상 연료를 기화기까지 송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연료의 기화가 원활하 지 않으므로 초기 시동성이 좋지 않다.In the case of an engine using such LPG fuel, a DI (Direct Injection) engine that injects fuel directly in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engine using an injector, and a MPI (Multi-Point Injection) engine that injects fuel into the intake manifold of the engine and Alternatively, a vaporizer and mixer are used from the LPG fuel tank, which does not have an injector and instead stores LPG fuel, which results in a relatively long fuel line problem and the vapor pressure of the fuel tank at low temperature startup. Due to this insufficient pressure, the pressure itself in the fuel tank is not easy to deliver the liquid fuel to the vaporizer, and the initial startability is not good because the fuel is not vaporized smoothly.
또한, 저온에서의 초기 시동성의 문제뿐만 아니라, 차량을 열간에서 주행한 후, 소킹을 통하여 엔진이 어느 정도 식은 후에 재시동을 하는 경우에는 시동 지연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initial startability at low temperature, a start delay problem occurs when the engine is restarted after cooling the engine to some extent through soaking after the vehicle is run hot.
LPG 엔진의 저온 시동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연료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LPG를 일정 정도로 미리 가열시키는 예열기와 엔진 냉각수의 열을 이용하여 LPG를 미리 예열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 또한 엔진의 시동 이후에 냉각수의 온도가 어느 정도 상승 되어야만 효과가 발생하므로 저온에서의 초기 시동성의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low temperature startability of the LPG engine, in the prior art, there is a method of preheating the LPG by using a preheater for preheating the LPG supplied from the fuel tank to a certain degree and the heat of the engine coolant. Since the effect occurs on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is raised to some extent, the problem of initial startability at low temperature remains.
저온 시동성을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3-0005043호에서는 저온시 기화기로부터 기화된 연료를 혼합기를 거치지 않고 흡기 매니폴드로 직접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저온 시동성을 어느정도 개선할 수는 있지만, 엔진 운행 전반에 걸쳐 추가의 연료를 공급하게 되므로 연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첫 시동이 아닌 엔진 주행 후 엔진이 어느 정도 식은 후의 재시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시동 지연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As another method for low temperature startability,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3-0005043 uses a method of directly supplying vaporized fuel from a carburetor at low temperature to an intake manifold without going through a mixer. Although it can be improved to some extent, fuel consumption is reduced because additional fuel is supplied throughout the engine running, and a start delay problem that may occur when the engine is restarted after cooling to some extent after the engine is not driven for the first time is still maintained. Remain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LPG 시동성 개선 시스템은 LPG 연료의 품질로 인해 저온에서의 시동성이 불량한 종래의 LPG 시스템에서, 혼합기를 거치지 않은 연료를 추가적으로 흡기 매니폴드로 공급하여 착화가 용이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엔진의 열간 운행 후 재시동시 발생할 수 있는 시동 지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온 및 흡기온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조건에서만 흡기 매니폴드로 연료를 추가 공급하고, 시동이 완료된 이후에는 기화기로부터 흡기 매니폴드로 추가의 연료를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연비 상승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LPG startability improv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ventional LPG system having poor startability at low temperature due to the quality of the LPG fuel, by supplying the fuel without the mixer to the intake manifold to make the ignition easier It can improve and solve the start-up delay that may occur when restarting after the engine is running hot. In addition, by supplying additional fuel to the intake manifold only under specific conditions by using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and intake temperature sensors, and after starting is completed, additional fuel is not supplied from the carburetor to the intake manifold, thereby improving fuel economy. Can b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은 LPG 엔진의 시동성 개선 시스템으로서, 냉각수온을 검출하는 냉각수온 센서와, 흡기 매니폴드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흡기온 센서와, 기화기의 연료 출구로부터 분기되고 흡기 매니폴드로 연결되는 추가 연료 공급 라인 상에 장착되어, 연료공급을 조절하는 온/오프 밸브, 및 검출된 냉각수온과 흡기온에 기초하여 시동성 개선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온/오프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improving startability of an LPG engine, including a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detecting a cooling water temperature, an intake temperature sensor detecting a temperature of air sucked into an intake manifold, and a vaporizer. Mounted on an additional fuel supply line branching from the fuel outlet and connected to the intake manifold to determine whether the start-up improvement condition is met based on the on / off valve for regulating fuel supply and the detected coolant and intake temperatur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n / off valve.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의 LPG 엔진의 시동성 개선 시스템은, 제어부가 검출된 냉각수온과, 냉각수온과 흡기온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시동성 개선 조건 여부 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artability improvement system of the LPG engine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startability improvement condition is determined by using the detected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and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and the intake temperature.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의 LPG 엔진의 시동성 개선 시스템은, 제어부가 엔진의 시동완료 판정시, 온/오프 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over, the startability improvement system of the LPG engine of 1 aspect of this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control part closing an ON / OFF valve at the time of engine start completion determina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기화기의 연료 출구로부터 분기되고 흡기 매니폴드로 연결되는 추가 연료 공급 라인 상에 장착되어, 연료공급을 조절하는 온/오프 밸브를 구비한 LPG 엔진의 시동성 개선 방법으로서, 엔진 상태을 모니터링 하는 단계와; 냉각수온 및 흡기 매니폴드로 흡입되는 흡기온을 측정하는 단계와; 검출된 냉각수온과 흡기온에 기초하여 시동성 개선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가 시동성 개선 조건에 해당하면, 온/오프 밸브를 여는 단계와; 엔진 상태가 시동완료 조건에 해당하면, 온/오프 밸브를 닫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improving the startability of an LPG engine with an on / off valve mounted on an additional fuel supply line branching from a fuel outlet of a carburetor and connected to an intake manifold. Monitoring the engine condition; Measuring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and the intake air temperature sucked into the intake manifold; Determining whether the condition corresponds to the startability improvement condition based on the detected cooling water temperature and intake temperature; Opening the on / off valve if the determination result corresponds to a condition for improving startability; If the engine state corresponds to the start-up cond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losing the on / off valve.
또한, 본 발명의 시동성 개선 시스템의 제어부는 냉각수온과 흡기온의 차이 값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온/오프 밸브를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startability improv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n / off valve is opened whe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and the intake temperature is smaller than the preset value.
또한, 본 발명의 시동성 개선 시스템의 제어부는 시동이 완료된 이후에, 온/오프 밸브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startability improv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start is completed, the on / off valve is clos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LPG 시동성 개선 시스템은 LPG 연료의 품질로 인해 저온에서의 시동성이 불량한 종래의 LPG 시스템에서, 혼합기를 거치지 않은 연료를 추가적으로 흡기 매니폴드로 공급하여 착화가 용이하게 되도록 함으로써 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엔진의 열간 운행 후 재시동시 발생할 수 있는 시동 지 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온 및 흡기온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조건에서만 흡기 매니폴드로 연료를 추가 공급하고, 시동이 완료된 이후에는 기화기로부터 흡기 매니폴드로 추가의 연료를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연비 상승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LPG startability improv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ventional LPG system having poor startability at low temperature due to the quality of the LPG fuel, by supplying the fuel without the mixer to the intake manifold to make the ignition easier It can improve and solve the start-up delay problem that may occur when restarting after hot running of the engine. In addition, by supplying additional fuel to the intake manifold only under specific conditions by using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and intake temperature sensors, and after starting is completed, additional fuel is not supplied from the carburetor to the intake manifold, thereby improving fuel economy. Can b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며,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PG 엔진의 시동성 개선 시스템(1)을 도시한다. LPG는 기화하기가 쉽고 기체 상태가 되면 액체 상태에 비해 부피가 약 250배로 팽창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LPG 가스분사시스템은 봄베(Bombe)라 불리는 LPG 연료 탱크(10) 내에서 고압을 이용하여 연료를 액체 상태로 유지한다. 기화기(20)에는 연료 개폐 밸브(22)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 밸브(22)는 전자적 제어에 의해 개폐를 작동할 수 있는 전자식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 밸브(22)는 엔진이 점화 온(Ingition ON) 상태가 되면 엔진 제어 장치(ECU; 30)에 의해 열리게 되고, 이때 탱크(10) 내의 연료의 증기압에 의해 LPG 연료가 기화기(20)까지 급송하게 된다. 기화기(20)에서는 연료가 대기압까지 감압되고 기화된다. 이후, 기화된 연료는 혼합기(40)로 흐르게 되는데, 연료는 혼합기(40) 내의 벤츄리 관에서의 흡입공기의 부압에 의해서 빨려 들어가 연소실 내에서 연소된다. ECU(30)는 엔진 회전 속도와 스로틀 개도량에 따라 흡입된 공기와 기화된 연료가 연소에 가장 적합한 비율로 혼합되어 연소실에 공급되도록 혼합기(40)를 제어한다.1 shows a
그러나, LPG 가스분사시스템은 저온에서의 시동성이 양호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주위의 공기 온도가 낮아 LPG가 기화가 용이하지 않고, 혼합기(40)에서 저온의 흡입 공기와 혼합되므로 연소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기화기(20)의 연료 출구로부터 분기되고 흡기 매니폴드(44)로 연결되는 추가의 연료 공급 라인(50)과, 이 추가의 연료 공급 라인(50) 상에 장착되고, 추가의 연료 공급 라인(50)을 개폐하는 연료공급 조절장치(52)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공급 조절장치(52)가 전자적 제어에 의해 개폐를 작동할 수 있는 전자식 온/오프 밸브(52)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방식의 조절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ECU(30)는 시동성 개선 조건을 판단하여, 해당 조건을 만족하면 온/오프 밸브(52)를 개방하여 기화기(20)로부터 기화된 연료가 혼합기(40)를 거치지 않고 흡기 매니폴드(44)로 바로 공급되게 한다. 종래에는 냉각수온을 측정하여, 냉각 수온이 일정 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기화기(20)로부터 흡기 매니폴드(44)로 연료를 추가적으로 공급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냉각 수온 센서(32), 흡기온 센서(34) 및 엔진 운행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시동성 개선이 필요한지 여부를 ECU(30)가 먼저 판별을 하고, 해당 조건에 만족하는 경우에 흡기 매니폴드(44)로 추가 연료를 공급함으로써, 저온 시동성 뿐만이 아니라 차량의 열간 주행후의 재시동의 경우에도 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시동선 개선 조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However, LPG gas injection system does not have good startability at low temperature because LPG is not easy to vaporize due to low ambient air temperature, and it is difficult to burn since it is mixed with low temperature intake air in the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시동성 개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시동성 개선 시스템에서의 연료의 흐름도이다. 고압의 LPG 연료 탱크(10) 내에 액상으로 보관되던 LPG 연료는 기화기(20)에 부착된 연료 개폐 밸브(22)가 온 상태가 되면 연료의 증기압에 의해 기화기(20)로 급송된다. ECU(30)는 엔진에 장착된 냉각수온 센서(32)와 흡기온 센서(34)로부터 검출된 냉각수온과 흡기온 데이터를 기초로 시동성 개선 제어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수온 센서(32)와 흡기온 센서(34)로부터 검출된 냉각수온과 흡기온 데이터를 기초로 시동성 개선 제어 여부를 판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각수온 센서(32) 대신에 외기온 센서와의 조합을 통하여 시동성 개선 제어를 할 수도 있다. ECU(30)는 시동성 개선 제어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연료공급 조절장치인 온/오프 밸브(52)를 닫음으로써, 기화기(20)로부터 기화된 모든 연료가 혼합기로 공급되고, 혼합기에서 공기 필터로부터 걸러진 공기와 함께 연소에 가장 적합한 비율로 혼합되어 엔진 연소실에 공급된다. ECU(30)는 최고의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엔진의 부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점화시기에 공기/연료 혼합물을 점화시켜 연소시킨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2, the startability improvement system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2 is a flow chart of a fuel in a low temperature startability improv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PG fuel stored in the liquid phase in the high pressure
한편, ECU(30)가 검출된 냉각수온과 흡기온 데이터를 기초로하여 시동성 개선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ECU(30)는 온/오프 밸브(52)를 열음으로써 혼합기를 거쳐 공급되는 공기/연료 혼합물에 추가하여, 혼합기를 거치지 않고 바로 흡기 매니폴드(44)로 기화된 연료를 공급하게 함으로써 시동이 보다 잘 걸리게 한다. 한편, ECU(30)는 엔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엔진의 시동 이 원활하게 걸린 것으로 판단되면, 온/오프 밸브(52)를 다시 닫음으로써 추가의 연료가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시동성 개선 시스템(1)의 작동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동성 개선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운전자의 키조작으로 엔진이 점화 온(Ingition ON) 상태가 되면 ECU(30)는 냉각수온 센서(32)와 흡기온 센서(34)를 이용하여 현재의 냉각수온과 흡기온을 측정(100)한다. 측정된 냉각수온이 제1 설정값(T_1), 예컨대 15℃ 미만인 경우(110)에는 저온 시동성 개선을 위하여, ECU(30)는 온/오프 밸브(52)를 열어 기화된 LPG 연료를 흡기 매니폴드(44)에 추가적으로 공급(120)함으로써 시동을 용이하게 한다. 측정된 냉각수온이 제1 설정값(T_1), 예컨대 15℃ 이상인 경우에는 ECU(30)는 저온 시동성 개선은 불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재시동성 개선의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 측정된 냉각수온이 제2 설정값(T_2), 예컨대 65℃ 미만인 경우(120)에는 ECU(30)는 측정된 냉각수온과 흡기온의 차이를 구하고, 이 차이값이 제3 설정값(T_3), 예컨대 10℃ 미만인 경우(130)에는 재시동성 개선을 위하여, ECU(30)는 온/오프 밸브(52)를 열어 기화된 LPG 연료를 흡기 매니폴드(44)에 추가적으로 공급(120)함으로써 재시동성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온/오프 밸브(52)가 열려 추가의 기화된 연료가 공급되는 동안 ECU(30)는 엔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엔진의 시동이 원활하게 걸린 것으로 판단(140)되면, 즉 시동완료를 판정하게 되면 온/오프 밸브(52)를 다시 닫음(150)으로써 추가의 연료가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비를 향상시킨다.Next,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각수온과 흡기온 두 가지를 이용하여 농후한 공연비가 되도록 연료량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저온 시동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간에서 주행한 후 엔진이 어느 정도 식은 후에 재시동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흔히 발생하는 시동지연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정상적인 시동이 완료된 이후에는 밸브를 닫음으로써 불필요한 연료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fuel amount so as to have a rich air-fuel ratio by using both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and the intake air temperature, so that not only can the start-up of the low temperature starter be improved, It can also solve the problem of start-up delay, which is common when restarting to a certain degre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unnecessary fuel consumption by closing the valve after the normal start is comple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띠른 저온 시동성 개선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low temperature startability improv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시동성 개선 시스템에서의 연료의 흐름도.2 is a flow chart of a fuel in a cold startability improv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시동성 개선 시스템의 작동 순서도.3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the startability improvement system.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LPG 연료 탱크10: LPG Fuel Tank
20: 기화기(Vaporizer)20: Vaporizer
22: 연료 개폐 밸브22: fuel opening and closing valve
24: 연료 호스24: fuel hose
30: ECU30: ECU
32: 냉각수온 센서32: coolant temperature sensor
34: 흡기온 센서34: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40: 혼합기(Mixer)40: Mixer
42: 공기 필터42: air filter
44: 흡기 매니폴드44: intake manifold
50: 추가 연료 공급 라인50: additional fuel supply line
52: 온/오프 밸브52: on / off valv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747A KR101536365B1 (en) | 2009-12-23 | 2009-12-23 | Starting performance improving system in lpg eng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747A KR101536365B1 (en) | 2009-12-23 | 2009-12-23 | Starting performance improving system in lpg eng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2701A true KR20110072701A (en) | 2011-06-29 |
KR101536365B1 KR101536365B1 (en) | 2015-07-14 |
Family
ID=4440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9747A Active KR101536365B1 (en) | 2009-12-23 | 2009-12-23 | Starting performance improving system in lpg eng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636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8015A (en) * | 2016-06-30 | 2019-02-20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 Gas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n auxiliary startup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gas internal combustion engin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71387A (en) * | 1991-09-13 | 1993-03-23 | Toyota Motor Corp | Starting control device for lpg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H06264821A (en) * | 1993-03-10 | 1994-09-20 | Nissan Motor Co Ltd | Fuel feeder for cng engine |
-
2009
- 2009-12-23 KR KR1020090129747A patent/KR101536365B1/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8015A (en) * | 2016-06-30 | 2019-02-20 |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 Gas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n auxiliary startup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gas internal combustion eng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6365B1 (en) | 2015-07-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150748U1 (en) | ENGINE SYSTEM | |
RU2666709C2 (en) | Method for turbo-charged engine (options) | |
US9677484B2 (en) | Fuel reformer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 |
EP082893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 cold start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CN106481462B (en) | A methanol engine cold start system | |
RU2641795C2 (en) | Method for gaseous fuel engine operation | |
RU2665800C2 (en) | Engine operation method (versions) | |
JP4306620B2 (en) | Start control device and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8413642B2 (en) | Genset that uses an open loop electronic fuel injection system and operates on gaseous fuels | |
JP2014234791A (en) | Start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09185676A (en) | Fuel supply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8322327B2 (en) | Genset engine using an electronic fuel injection system integrating an alcohol sensor | |
WO2014167832A1 (en) | Start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JP2019183801A (en) |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WO2013150729A1 (en) |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 |
AU2012358130A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fuel supply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perated with liquefied gas | |
BRPI0901438A2 (en) |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US20130061833A1 (en) | Genset engine using an electronic fuel injection system integrating an alcohol sensor | |
KR101536365B1 (en) | Starting performance improving system in lpg engine | |
JP5593794B2 (en) |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10133301A (en) | Method of 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bi-fuel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005337023A (en) | Engine fuel supply system | |
JP4412194B2 (en) | Control unit for direct injection hydrogen engine | |
JP4707644B2 (en) |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ing alcohol-based fuel | |
JP2010096030A (en) | Crankcase emission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3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106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10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4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