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69445A -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445A
KR20110069445A KR1020090126184A KR20090126184A KR20110069445A KR 20110069445 A KR20110069445 A KR 20110069445A KR 1020090126184 A KR1020090126184 A KR 1020090126184A KR 20090126184 A KR20090126184 A KR 20090126184A KR 20110069445 A KR20110069445 A KR 20110069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transport
container
parallel
y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억
최국진
이석현
김정훈
김현정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26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9445A/ko
Priority to PCT/KR2010/008773 priority patent/WO2011074827A2/en
Priority to EP10194372A priority patent/EP2374743A1/en
Priority to US12/965,975 priority patent/US20110150606A1/en
Priority to CN2010105948360A priority patent/CN102101595A/zh
Publication of KR20110069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44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65G63/006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using slanted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with essentially horizontal transit otherwise than by b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은, 상측에 컨테이너 야적장이 마련되는 안벽과, 안벽에 접안되어 안벽에 램프(ramp)를 거치시키는 부유체와,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야적장 또는 부유체의 상부에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pallet)와, 부유체로부터 야적장으로 또는 야적장으로부터 부유체로 복수의 상기 팔레트를 병렬로 위치시켜 운송하는 운송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항구는 안벽에 거치되는 램프(ramp)와,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팔레트(pallet)가 위치될 수 있는 적재공간을 포함하되, 적재공간에는 적재공간으로부터 야적장으로 또는 야적장으로부터 적재공간으로 복수의 팔레트를 병렬로 결합하여 운송하는 운송장치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치는 안벽의 상측에 마련된 컨테이너 야적장으로부터 부유체로, 또는 부유체로부터 야적장으로 복수의 팔레트를 병렬로 결합하여 운송하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컨테이너 등의 화물의 운송에 있어서 신속하고 경제적인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팔레트를 병렬로 결합하여 복수개의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는 바,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대형 크레인에 의한 작업에 따른 위험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컨테이너, 선적, 하역, 안벽 시스템, 이동항구, 운송장치

Description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QUAYWALL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MOBILE HARBOR, AND TRANSPORTE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운송장치, 예를 들어 트랙터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수행하기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팔레트를 병렬로 결합하여 운송하는 운송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격지의 상품이동수단으로서,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은 타 운송수단에 비하여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며, 수송비용도 저렴하여 국제교역의 많은 부분이 해상운송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컨테이너선 등과 같은 해상운송에 있어서, 운송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형화된 선박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선박의 수송량을 증가시켜 운송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선박을 접안시킬 수 있는 계 류시설 및 하역시설을 구비한 항만이 점점 더 많이 요구되고 있으며, 대형 선박이 연안에 계류된 상태에서 항만(또는 안벽)과 대형 선박을 오가며 수송화물의 선적 내지 하역작업을 수행하는 이동항구의 개념이 가시화 되고 있다. 또한, 이 뿐만 아니라, 선박 또는 이동항구의 선적 내지 하역작업의 신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 시스템은 선박을 통해 수송되는 컨테이너 등의 화물의 하역 및 선적을 위하여 겐트리 크레인(gantry crane)과 같은 대형 크레인을 사용한다. 겐트리 크레인은 일정한 규격으로 된 대형 화물운반 용기인 컨테이너를 동력을 이용하여 달아 올리고, 일정한 구간을 이동하여 옮겨놓을 수 있는 장치로서, 크레인을 지지하는 철골 구조물과 이 철골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크레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철골 구조물은 지상에 직립하여 세워진 지주와 지주를 의지하여 횡으로 길게 가설된 가이드 레일로 구성되어 있고, 크레인은 철골 구조물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가이드 레일과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는 2축 이동제어가 가능한 것으로서, 컨테이너를 달아 올릴 수 있는 스프레더와, 윈치 조정실(운전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겐트리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박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하역할 경우, 크레인이 정박해 있는 선박 위치로 이동한 후 그 위치에서 스프레더를 내려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 중 하나를 파지한 다음, 컨테이너를 가이드레일에 의해 들어 올리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 들어 올려진 컨테이너와 함께 크레인을 부두 에 정차된 트레일러의 위치로 이동하여 컨테이너를 트레일러 위에 내려 놓은 다음, 스프레더의 파지력을 해제하여 컨테이너를 하역한다.
이 후, 크레인은 컨테이너로부터 이탈된 스프레더를 되감아 올린 후, 다음의 컨테이너 하역작업을 반복하기 위하여 선박위치로 돌아가고, 크레인이 선박을 향해 움직이는 동안 컨테이너를 탑재한 트레일러는 그 위치를 떠나고 다음 트레일러가 그 위치로 진입하여 대기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선박에 적재된 컨테이너들의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며, 컨테이너의 선적작업은 하역작업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테이너 등의 화물의 하역 및 선적은 한 대의 크레인이 일반적으로 하나의 컨테이너를 단속적으로 운송하는 작업인 바, 컨테이너를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옮겨 싣거나 트레일러부터 컨테이너를 옮기는데 상당히 긴 시간을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크레인에 의하여 컨테이너 등의 화물의 하역 및 선적이 수행되는 경우, 선박과 트레일러 및 트롤리, 스프레더 중 어느 하나의 작업준비가 지연되는 경우에 그 작업준비가 완료되기까지 나머지 작업을 중단한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하역 및 선적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박을 통해 수입되거나 혹은 선박을 통해 수출되는 팔레트에 실린 컨테이너 등의 하역 및 선적을 위하여, 이송대차 각각을 컨테이너 중량물이 탑재된 복수개의 팔레트 밑으로 이동시켜 복수개의 팔레스를 동시에 이송시킬 수 있는 운송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은, 상측에 컨테이너 야적장이 마련되는 안벽과, 안벽에 접안되어 안벽에 램프(ramp)를 거치시키는 부유체와,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야적장 또는 부유체의 상부에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pallet)와, 부유체로부터 야적장으로 또는 야적장으로부터 부유체로 복수의 팔레트를 병렬로 위치시켜 운송하는 운송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운송장치는 상기 팔레트가 상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이송대차와, 이송대차의 전단부와 연결되어, 이송대차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이송대차를 병렬로 연결하는 병렬커넥터와, 병렬커넥터와 연결되는 운송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야적장은 하역 야적장 및 선적 하역장을 포함하고, 하역 야적장 및 선적 하역장 각각에는 운송되는 운송차량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부유체의 상부에는 운송차량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운송차량에는 바퀴가 마련되고, 안내홈은 바퀴의 일부가 인입되는 홈일 수 있다.
또한, 램프는 부유체의 일 측면에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부유체가 안벽에 접안하였을 때, 안벽의 상부에 펼쳐져 부유체의 상부와 안벽의 상부에 경사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팔레트는 바닥플레이트와, 컨테이너를 지지하며 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지지프레임은 양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일 측방의 돌출부에는 팔레트연결부재가 마련되고, 타 측방의 돌출부에는 팔레트연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연결결합부가 형성되며,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이송대차 상측에 결합되는 각각의 팔레트는, 하나의 팔레트의 팔레트연결부재가 하나의 팔레트에 인접한 다른 팔레트의 연결결합부에 연결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의 내측에는 둘 이상의 컨테이너가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항구는, 안벽에 거치되는 램프(ramp)와,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팔레트(pallet)가 위치될 수 있는 적재공간을 포함하되, 적재공간에는 적재공간으로부터 야적장으로 또는 야적장으로부터 적재공간으로 복수의 팔레트를 병렬로 결합하여 운송하는 운송장치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마련된다.
여기서, 운송장치는, 팔레트가 상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이송대차 와, 이송대차의 전단부와 연결되어, 이송대차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이송대차를 병렬로 연결하는 병렬커넥터와, 병렬커넥터와 연결되는 운송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송차량에는 바퀴가 마련되고, 안내홈은 바퀴의 일부가 인입되는 홈일 수 있다.
또한, 램프는 부유체의 일 측면에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부유체가 안벽에 접안하였을 때, 안벽의 상부에 펼쳐져 부유체의 상부와 안벽의 상부에 경사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팔레트는 컨테이너를 지지하며 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지지프레임은 양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일 측방의 돌출부에는 팔레트연결부재가 마련되고, 타 측방의 돌출부에는 팔레트연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연결결합부가 형성되며,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이송대차 상측에 결합되는 각각의 팔레트는, 하나의 팔레트의 팔레트연결부재가 하나의 팔레트에 인접한 다른 팔레트의 연결결합부에 연결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의 내측에는 둘 이상의 컨테이너가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장치는 안벽의 상측에 마련된 컨테이너 야적장으로부터 부유체로, 또는 부유체로부터 야적장으로 복수의 팔레트를 병렬로 결합하여 운송한다.
여기서, 운송장치는, 팔레트가 상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이송대차와, 이송대차의 전단부와 연결되어, 이송대차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이송대차를 병 렬로 연결하는 병렬커넥터와, 병렬커넥터와 연결되는 운송차량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팔레트는 컨테이너를 지지하며 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지지프레임은 양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일 측방의 돌출부에는 팔레트연결부재가 마련되고, 타 측방의 돌출부에는 팔레트연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연결결합부가 형성되며, 병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이송대차 상측에 결합되는 각각의 팔레트는, 하나의 팔레트의 팔레트연결부재가 하나의 팔레트에 인접한 다른 팔레트의 연결결합부에 연결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는 컨테이너 등의 화물의 운송에 있어서 신속하고 경제적인 작업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팔레트를 병렬로 결합하여 복수개의 컨테이너를 운송할 수 있는 바,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대형 크레인에 의한 작업에 따른 위험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운송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운송장치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운송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항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항구의 상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역 야적장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적 야적장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은 컨테이너 야적장(200, 250)이 마련되는 안벽(Q)과, 안벽(Q)에 접안되어 안벽(Q)에 램프(ramp)(110)를 거치시키는 부유체(100)와, 컨테이너(1)를 수용하며, 야적장(200, 250) 또는 부유체(100)의 상부에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400)와, 부유체(100)로부터 야적장(200, 250)으로 또는 야적장(200, 250)으로부터 부유체(100)로 복수의 팔레트(400)를 병렬로 위치시켜 운송하는 운송장치(300)를 포함한다.
먼저, 안벽(Q)은 일반적으로 항만(미도시)으로부터 연장되어 선박 또는 이동항구 등의 부유체(100)가 접안할 수 있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부유체(100) 가 접안하는 측면에는 펜더(미도시) 등의 접안을 위한 다양한 설비들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안벽(Q)은 일반적으로 부두 또는 항만으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를 의미하나, 본 명세서에서는 부두 또는 항만을 포함하여 선박 또는 이동항구가 접안할 수 있는 모든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통칭하도록 한다.
안벽(Q)의 상부에는 야적장(200, 250)이 마련되며, 야적장(200, 250)은 하역 야적장(200) 및 선적 야적장(25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역 야적장(200)은 선박 또는 이동항구 등의 부유체(100)로부터 컨테이너 등의 화물이 운송되어 적재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선적 야적장(250)은 선박 또는 이동항구 등의 부유체(100)로 컨테이너 등의 화물이 운송되기 전에 적재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각 야적장(200, 250)은 안벽(Q)의 상부에 하나 또는 둘 이상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각각 RMGC(Rail-Mounted Gantry Crane)가 마련될 수 있다. RMGC는 야적장(200, 250)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트레일러(미도시) 등, 야적장 외부로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차량으로 컨테이너를 옮기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하역 야적장(200)에는 안벽(Q)에 접안하여 있는 부유체(100)의 상부에 적재되어 있고 컨테이너(1)를 수용하고 있는 팔레트(400)를 복수개 병렬로 운송시키는 운송장치(300)에 의하여 운송된 복수개의 팔레트(400)가 소정 간격을 두고 차례로 적재되게 된다.
또한, 선적 야적장(250)에는 복수개의 팔레트(400)가 기 위치하고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선적될 컨테이너 등이 팔레트(400)의 내측으로 적재되게 되며, 적재된 후에는 복수개씩 병렬로 운송장치(300)에 연결되어 부유 체(100)로 운송되게 된다.
다음으로, 부유체(100)는 안벽(Q)에 접안할 수 있는 선박 또는 이동항구 등의 부유체를 통칭하는 것이며, 안벽(Q)에 접안된 후에는 하역 야적장(200)으로 상측(140)에 적재된 팔레트[400, 컨테이너(1)를 수용하고 있음]를 하역하거나, 선적 야적장(250)에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400, 컨테이너(1)를 수용하고 있음]를 상측으로 선적하기 위하여 부유체(100)의 상부(140)와 안벽(Q)의 상부의 사이에 경사로를 형성하기 위한 램프(110)를 안벽(Q)에 거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램프(110)를 경유하여, 팔레트[400, 컨테이너(1)를 수용하고 있음]를 병렬로 연결하여 운송하는 운송장치(300)가 부유체(100)와 야적장(200, 250)의 사이를 오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램프(110)는 부유체(100)의 일 측면에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부유체(100)에 힌지결합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이러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부유체(100)와 램프(110)의 힌지결합은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인 선박 또는 이동항구 등의 대형구조체에 사용되는 힌지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램프(110)는 부유체(100)에 대하여 하나의 힌지결합에 의하여 1단으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힌지결합에 의하여 연결된 다단판의 조합으로써, 다단으로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팔레트(pallet, 400)는 내측에 컨테이너(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야적장(200, 250) 또는 부유체(100)의 상부에 적재되어 있다. 팔레 트(400)는 야적장(200, 250) 또는 부유체(100)의 상부에서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며,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할 운송장치(300)가 팔레트(400)를 병렬로 연결하여 운송하기 위하여 운송장치(300)가 팔레트(400)의 하부로 이동하여 결합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운송장치(300)는 안벽(Q)에 접안되어 있는 부유체(100)로부터 하역 야적장(200)으로 또는 선적 야적장(250)으로부터 부유체(100)로 복수의 팔레트(400)를 병렬로 위치시켜 운송한다. 운송장치(300)는 컨테이너(1)가 수용된 팔레트(400)를 병렬로 위치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팔레트(400)의 일단과 각각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팔레트(400)가 상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이송대차(322)와, 이송대차(322)의 전단부와 연결되어, 이송대차(322)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이송대차(322)를 병렬로 연결하는 병렬커텍터(320)와, 병렬커넥터(320)와 연결되는 운송차량(301)을 포함한다.
이러한 운송장치(300)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송대차(322)는 상부에서 팔레트(400)와 연결 고정되며, 팔레트(400)에 수용되어 있는 컨테이너(1)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긴 길이방향 길이를 갖는다.
병렬커넥터(320)는 복수의 이송대차(322) 및 운송차량(301)과 각각 연결되어, 운송차량(301)이 움직일 때, 복수의 이송대차(322)가 이에 맞추어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복수의 이송대차(322) 간격이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병 렬커넥터(320)는 복수의 이송대차와 연결되는 이송대차연결부(320b)와, 운송차량(301)에 연결보(311)를 경유하여 결합되는 운송차량연결부(320c)와, 이송대차연결부(320b)와 운송차량연결부(320c)를 연결하는 연결아암(32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대차연결부(320b)는 병렬로 위치된 복수의 이송대차(322)의 일단과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송대차(322)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돌출부(C)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대차(322)의 일단이 각각 이송대차연결부(320b)에 결합된 후, 이송대차(322) 사이의 간격은 선박 또는 이동항구 등의 부유체(100) 또는 야적장(200, 250)에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400)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C)는 이송대차연결부(320b)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송대차연결부(320b)와 돌출부(C)를 관통하는 핀에 의한 결합이나, 돌출부(C)에 마련된 볼트에 의한 결합에 의할 수 있다. 또한, 핀이나 볼트의 체결에 의하여 이송대차연결부(320b)와 이송대차(322)는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핀이나 볼트를 풀게 됨으로써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운송차량연결부(320c)는 운송차량(301)에 마련되는 연결보(311)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며,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운송차량연결부(320c)와 연결보(311)가 핀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운송차량(301)의 특정방향 회전에 의하여 연결보(311)가 회전할 경우, 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운송차량연결부(320c)가 회전하면서 이송대차(322)를 부드럽게 견인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운송차량연결부(320c)와 이송대차연결부(320b)는 연결아암(320a)에 의하여 연결된다. 병렬로 위치된 이송대차(322)와 연결되는 이송대차연결부(322b)가 보 형상으로 형성되고, 운송차량연결부(320c)가 운송차량(301)의 연결보(311)에 핀으로 결합되는 경우, 연결아암(320a)은 복수의 아암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포함되는 아암의 수는 운송차량연결부(320c)와 이송대차연결부(320b)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아암(320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운송차량연결부(320c)와 이송대차연결부(320b)를 연결하되, 상대적인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체인 등에 의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고정 연결과 유동 연결은 항만 또는 안벽에서 컨테이너 등의 화물 운송환경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운송차량(301)은 이송대차(322)를 견인하여 이동될 수 있는 구동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컨테이너 운반용 트럭, 트랙터, 또는 트레일러일 수 있다. 다만, 운송차량(301)은 이송대차(322)와 연결되는 병렬커넥터(320)와 결합될 수 있는 연결보(31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운송차량(301)은 이송대차(322)가 팔레트(400)의 하부로 1회 이동될 때 각각의 이송대차(322)가 복수의 팔레트(400) 하부로 동시에 진입될 수 있도록, 야적장(200, 250) 및 부유체(100)의 상부에는 운송차량(301)을 안내할 수 있는 안내홈(130, 230, 280)이 마련될 수 있다. 안내홈(130, 230, 280)은 운송차량(301) 과 연결되어 있는 이송대차(322)의 전체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소정간격 더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운송장치(300)가 야적장(200, 250) 및 부유체(100)에서 진입되어야 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지시선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운송장치(300)의 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안내홈(130, 230, 280)은 야적장(200, 250) 및 부유체(100)의 상부에서 홈이 파이는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간격을 두고 덧뎀구조체(예를 들어 120, 220, 270)가 부착되어 홈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운송장치(300)의 폭만큼 안내홈(130, 230, 280)이 형성되지 않고, 운송장치(300)의 바퀴(T)의 위치에 바퀴(T)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소정간격 더 넓게 형성되어, 바퀴(T)가 인입되어 안내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도, 홈이 파이거나 또는 덧뎀구조체의 형성에 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부유체(100)의 상부(140)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홈(130)은 부유체(100)와 결합되어 있는 램프(110)에도 연장되어 형성되어 램프(110)의 진입단계에서부터 운송장치(300)가 안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야적장(200, 250) 또는 부유체(100)의 상부에 적재되어 있다가 운송장치(300)에 의하여 병렬로 위치되어 운송되는 팔레트(4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팔레트(400)는 바닥플레이트(410)와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컨테이너(1)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412)는 바닥플레이트(410)에 트위스트 락(43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412)은 팔레트(400)의 바닥플레이트(410) 상측으로 골격구조의 수직 프레임 형태로 마련되어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컨테이너(1)가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프레임(412)은 양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부(424)는 병렬로 위치하는 이송대차(도 7의 참조번호 322) 상에 각각 마련된 인접한 팔레트(400)의 지지프레임(412)과 겹쳐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돌출된다. 양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24) 중 일 측방의 돌출부(424)에는 팔레트연결부재(420)가 마련되고, 타 측방의 돌출부(424)에는 연결결합부(422)가 마련된다.
팔레트연결부재(420) 및 연결결합부(422)는 병렬로 위치하는 이송대차(322) 상에서 팔레트(400)를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기능을 하고, 이러한 기능은 팔레트연결부재(420)가 연결결합부(422)에 체결됨으로써 달성된다. 예를 들어, 팔레트연결부재(420)는 돌출부(424)에서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되되, 팔레트연결부재(420)의 끝단에는 걸림홈부(421)가 마련되고, 걸림홈부(421)가 돌기형상을 갖는 연결결합부(422)에 회전하여 체결됨으로써, 팔레트연결부재(420)와 연결결합부(422)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412)은 컨테이너(1)가 1단으로 적재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2단 이상 적재된 경우에도 컨테이너(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컨테이너(1)가 3단 적재된 경우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3단 적재된 경우에 한하지 않고, 2단 적재 또는 4단 이상 적재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항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항구는 상기 구체적으로 설명한 부유체(100)의 일 실시예로서, 연안에 정박되어 있는 선박(미도시)으로부터 컨테이너 등의 화물을 선적하여 안벽(Q)에 하역하는 선박과 안벽(Q)간을 이동하는 부유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항구(100)는, 상부에 컨테이너 야적장이 마련되는 안벽에 거치되는 램프(110)와,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팔레트(400)가 위치될 수 있는 적재공간(150)을 포함하되, 적재공간(150)에는 적재공간(150)으로부터 야적장(도 1의 참조번호 200)으로 또는 야적장(250)으로부터 적재공간(150)으로 복수의 팔레트(400)를 병렬로 결합하여 운송하는 운송장치(300)를 안내하는 안내홈(130)이 마련된다.
램프(110)는 부유체(100)의 일 측면에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부유체(100)에 힌지결합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이러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램프(110)를 경유하여, 팔레트[400, 컨테이너(1)를 수용하고 있음]를 병렬로 연결하여 운송하는 운송장치(300)가 부유체(100)와 야적장(200, 250)의 사이를 오갈 수 있게 된다.
적재공간(150)은 이동항구(100)의 상부(140)에 마련되며, 컨테이너(1)를 수용하고 있는 팔레트(400)가 적재되는 공간이다.
여기서, 운송장치(300)는 1회의 운송에서 컨테이너(1)가 수용되어 있는 팔레트(400)를 병렬로 복수개 연결하여 운송하게 되거나, 북수개 연결되어 있는 팔레 트(400)를 적재공간(150)의 소정위치로 운송하게 되는 바, 복수개의 팔레트(400)와 결합될 수 있는 위치로 정확히 이동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이동항구(100)의 상부(140)에는 안내홈(130)이 마련되며, 안내홈(130)은 운송차량(301)과 연결되어 있는 이송대차(322)의 전체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소정간격 더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운송장치(300)가 야적장(200, 250) 및 부유체(100)에서 진입되어야 하는 위치를 표시하는 지시선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운송장치(300)의 운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안내홈(130, 230, 280)은 야적장(200, 250) 및 부유체(100)의 상부에서 홈이 파이는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간격을 두고 덧뎀구조체(예를 들어 120, 220, 270)가 부착되어 홈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장치(300)의 폭만큼 안내홈(130)이 형성되지 않고, 운송장치(300)의 바퀴(T)의 위치에 바퀴(T)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소정간격 더 넓게 형성되어, 바퀴(T)가 인입되어 안내되는 홈이 안내홈(130)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도, 홈이 파이거나 또는 덧뎀구조체의 형성에 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팔레트(400)가 놓여질 때, 팔레트(4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다리가 놓여지는 팔레트지지체(120)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운송장치(300)는 앞서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운송장치(30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1)가 수용된 팔레트(400)를 병렬로 위치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팔레트(400)의 일단과 각각 결 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 팔레트(400)가 상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이송대차(322)와, 이송대차(322)의 전단부와 연결되어, 이송대차(322)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이송대차(322)를 병렬로 연결하는 병렬커텍터(320)와, 병렬커넥터(320)와 연결되는 운송차량(301)을 포함한다.
운송차량(301)은 이송대차(322)를 견인하여 이동될 수 있는 구동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컨테이너 운반용 트럭 또는 트랙터일 수 있다.
또한, 팔레트(400)는 앞서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팔레트(400)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닥플레이트(410)와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컨테이너(1)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1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412)은 팔레트(400)의 바닥플레이트(410) 상측으로 골격구조의 수직 프레임 형태로 마련되어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컨테이너(1)가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프레임(412)은 양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부(424)는 병렬로 위치하는 이송대차(도 7의 참조번호 322) 상에 각각 마련된 인접한 팔레트(400)의 지지프레임(412)과 겹쳐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돌출된다. 양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24) 중 일 측방의 돌출부(424)에는 팔레트연결부재(420)가 마련되고, 타 측방의 돌출부(424)에는 연결결합부(422)가 마련된다. 팔레트연결부재(420) 및 연결결합부(422)는 병렬로 위치하는 이송대차(322) 상에서 팔레트(400)를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기능을 하고, 이러한 기능은 팔레트연결부재(420)가 연결결합부(422)에 체결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이러한 체결은 운 송장치(300)가 팔레트(400)를 병렬로 위치시켜 운송하기 직전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412)은 컨테이너(1)가 1단으로 적재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2단 이상 적재된 경우에도 컨테이너(3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컨테이너(1)가 3단 적재된 경우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3단 적재된 경우에 한하지 않고, 2단 적재 또는 4단 이상 적재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상술한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부두 또는 안벽에 접안한 선박 또는 이동항구의 하역작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선박 또는 이동항구에 컨테이너 등을 선적작업에 대하여 역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선적작업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선박 또는 이동항구 등의 부유체(100)에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1)는 팔레트(400)에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팔레트(400)에 수용되는 컨테이너(1)의 수는 1개에 한하지 않고, 2개 이상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병렬로 위치하는 복수의 이송대차(322)는 운송차량(301)과 병렬커넥터(320)를 경유하여 결합된 상태로, 운송차량(301)의 후진에 의하여 부유체(100) 상의 팔레트(400)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운송차량(301)은 안내홈(130)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병렬로 위치하는 복수의 이송대차(322)는 병렬로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400) 각각에 대하여 동시에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송대차(322)가 팔레트(400)의 하부로 이동이 완료되면, 이송대 차(322)와 팔레트(400)의 바닥플레이트(410)가 결합되게 되며, 이 후, 운송차량(301)의 이동에 따라 병렬로 위치하는 복수의 팔레트(10)가 이송대차(22)의 상측에 위치한 채로 견인되어 램프(110)를 거쳐 하역 야적장(200)으로 이동하게 된다.
운송장치(300)는 하적 야적장(200)에서, 안내홈(230)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후진된다. 운송장치(300)가 컨테이너(1)가 수용된 팔레트(400)의 하적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운송장치(300)는 팔레트(400)의 바닥플레이트(410)와 분리되게 되며, 운송장치(300)는 하적 야적장(200)을 벗어나게 된다.
이 후, 추가적인 하역 작업이 잔류한 경우에는 운송장치(300)는 다시 부유체(100)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 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항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항구의 상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역 야적장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적 야적장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레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컨테이너
100: 부유체, 이동항구
200, 250: 야적장
300: 운송장치
400: 팔레트

Claims (17)

  1. 상측에 컨테이너 야적장이 마련되는 안벽과,
    상기 안벽에 접안되어 상기 안벽에 램프(ramp)를 거치시키는 부유체와,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야적장 또는 상기 부유체의 상부에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pallet)와,
    상기 부유체로부터 상기 야적장으로 또는 상기 야적장으로부터 상기 부유체로 복수의 상기 팔레트를 병렬로 위치시켜 운송하는 운송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장치는,
    기 팔레트가 상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이송대차와,
    상기 이송대차의 전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대차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이송대차를 병렬로 연결하는 병렬커넥터와,
    상기 병렬커넥터와 연결되는 운송차량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야적장은 하역 야적장 및 선적 하역장을 포함하고,
    상기 하역 야적장 및 선적 하역장 각각에는 운송되는 상기 운송차량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마련되어 있는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의 상부에는 상기 운송차량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마련되어 있는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시스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차량에는 바퀴가 마련되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바퀴의 일부가 인입되는 홈인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부유체의 일 측면에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형성되 어, 상기 부유체가 상기 안벽에 접안하였을 때, 상기 안벽의 상부에 펼쳐져 상기 부유체의 상부와 상기 안벽의 상부에 경사로를 형성하는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는 바닥플레이트와,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며 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양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 측방의 돌출부에는 팔레트연결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타 측방의 돌출부에는 상기 팔레트연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연결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병렬로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이송대차 상측에 결합되는 각각의 상기 팔레트는, 하나의 팔레트의 상기 팔레트연결부재가 상기 하나의 팔레트에 인접한 다른 팔레트의 상기 연결결합부에 연결됨으로써 서로 결합되는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는 둘 이상의 컨테이너가 다단으로 적재되는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시스템.
  9. 안벽에 거치되는 램프(ramp)와,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팔레트(pallet)가 위치될 수 있는 적재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적재공간에는 상기 적재공간으로부터 상기 야적장으로 또는 상기 야적장으로부터 상기 적재공간으로 복수의 상기 팔레트를 병렬로 결합하여 운송하는 운송장치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마련되는
    이동항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장치는,
    상기 팔레트가 상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이송대차와,
    상기 이송대차의 전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대차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이송대차를 병렬로 연결하는 병렬커넥터와,
    상기 병렬커넥터와 연결되는 운송차량을 포함하는
    이동항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차량에는 바퀴가 마련되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바퀴의 일부가 인입되는 홈인
    이동항구.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부유체의 일 측면에서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부유체가 상기 안벽에 접안하였을 때, 상기 안벽의 상부에 펼쳐져 상기 부유체의 상부와 상기 안벽의 상부에 경사로를 형성하는
    이동항구.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는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며 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양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 측방의 돌출부에는 팔레트연결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타 측방의 돌출부에는 상기 팔레트연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연결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병렬로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이송대차 상측에 결합되는 각각의 상기 팔레트는, 하나의 팔레트의 상기 팔레트연결부재가 상기 하나의 팔레트에 인접한 다른 팔레트의 상기 연결결합부에 연결됨으로써 서로 결합되는
    이동항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는 둘 이상의 컨테이너가 다단으로 적재되는
    이동항구.
  15. 안벽의 상측에 마련된 컨테이너 야적장으로부터 부유체로, 또는 상기 부유체로부터 상기 야적장으로 복수의 팔레트를 병렬로 결합하여 운송하는
    운송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장치는,
    상기 팔레트가 상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이송대차와,
    상기 이송대차의 전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대차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상기 이송대차를 병렬로 연결하는 병렬커넥터와,
    상기 병렬커넥터와 연결되는 운송차량을 포함하는
    운송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는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며 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양 측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 측방의 돌출부에는 팔레트연결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타 측방의 돌출부에는 상기 팔레트연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연결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병렬로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이송대차 상측에 결합되는 각각의 상기 팔레트는, 하나의 팔레트의 상기 팔레트연결부재가 상기 하나의 팔레트에 인접한 다른 팔레트의 상기 연결결합부에 연결됨으로써 서로 결합되는
    운송장치.
KR1020090126184A 2009-12-17 2009-12-17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 Ceased KR20110069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84A KR20110069445A (ko) 2009-12-17 2009-12-17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
PCT/KR2010/008773 WO2011074827A2 (en) 2009-12-17 2010-12-09 Quay-wall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mobile harbor and transporting device for use therein
EP10194372A EP2374743A1 (en) 2009-12-17 2010-12-09 Quay-wall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mobile harbor and transporting device for use therein
US12/965,975 US20110150606A1 (en) 2009-12-17 2010-12-13 Quay-wall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mobile harbor and transporting device for use therein
CN2010105948360A CN102101595A (zh) 2009-12-17 2010-12-17 用于装载和卸载集装箱的岸壁系统、用于其中的移动港口及运输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184A KR20110069445A (ko) 2009-12-17 2009-12-17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445A true KR20110069445A (ko) 2011-06-23

Family

ID=4376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184A Ceased KR20110069445A (ko) 2009-12-17 2009-12-17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50606A1 (ko)
EP (1) EP2374743A1 (ko)
KR (1) KR20110069445A (ko)
CN (1) CN102101595A (ko)
WO (1) WO201107482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8381B2 (en) 2011-09-23 2020-01-21 Sandbox Logistic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bulk material storage and/or transport
US9809381B2 (en) 2012-07-23 2017-11-07 Oren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the transport and storage of proppant
US8622251B2 (en) 2011-12-21 2014-01-07 John OREN System of delivering and storing proppant for use at a well site and container for such proppant
US10464741B2 (en) 2012-07-23 2019-11-05 Oren Technologies, Llc Proppant discharge system and a container for use in such a proppant discharge system
US9718610B2 (en) 2012-07-23 2017-08-01 Oren Technologies, Llc Proppant discharge system having a container and the process for providing proppant to a well site
EP3421396A1 (en) * 2012-03-22 2019-01-02 Oren Technologies, LLC System of delivering and storing proppant for use at a well site and container for such proppant
CN102756931A (zh) * 2012-07-11 2012-10-31 铁道第三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轨道交通火车汽车同路径装缷场结构
US9421899B2 (en) 2014-02-07 2016-08-23 Oren Technologies, Llc Trailer-mounted proppant delivery system
US9340353B2 (en) 2012-09-27 2016-05-17 Oren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to transfer proppant for fracking with reduced risk of production and release of silica dust at a well site
US20190135535A9 (en) 2012-07-23 2019-05-09 Oren Technologies, Llc Cradle for proppant container having tapered box guides
USD688351S1 (en) 2012-11-02 2013-08-20 John OREN Proppant vessel
CN103963690B (zh) * 2013-02-06 2016-05-25 王马达 一种保障集装箱托盘作业一贯化运输的设备及方法
US9446801B1 (en) 2013-04-01 2016-09-20 Oren Technologies, Llc Trailer assembly for transport of containers of proppant material
DE102014109700A1 (de) * 2014-07-10 2016-01-14 Terex Mhps Gmbh Schwerlast-Transportfahrzeug für Container, insbesondere ISO-Container, und Verfahren zum Beladen desselben
US11873160B1 (en) 2014-07-24 2024-01-16 Sandbox Enterpris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proppant discharge system
US9676554B2 (en) 2014-09-15 2017-06-13 Oren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proppant to a blender
BR112017018609A2 (pt) * 2015-03-04 2018-04-17 Shibakai Co Ltd método de movimentação de carga
US9919882B2 (en) 2016-01-06 2018-03-20 Oren Technologies, Llc Conveyor with integrated dust collector system
US10518828B2 (en) 2016-06-03 2019-12-31 Oren Technologies, Llc Trailer assembly for transport of containers of proppant material
US20190193818A1 (en) 2016-08-31 2019-06-27 Korea Gas Corporation Container transportation ship
CN106379481B (zh) * 2016-12-01 2020-01-31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能装卸货的集装箱船
CN108016889A (zh) * 2018-01-23 2018-05-11 唐山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集装箱转运系统布置方法
GB2574599A (en) * 2018-06-11 2019-12-18 Clive Smith Martin Vehicle adaptor for containers
JP7504820B2 (ja) * 2021-03-03 2024-06-24 三井E&S造船株式会社 コンテナ輸送船及びコンテナの搬送方法
WO2024025566A1 (en) * 2022-07-29 2024-02-01 Pan Trevor System for cargo transport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1159A (en) * 1950-09-28 1954-06-15 Mccrossen William George Load handling equipment
US2936912A (en) * 1958-03-17 1960-05-17 Trailmobile Inc Transfer system for cargo bodies
US3119638A (en) * 1962-11-20 1964-01-28 Laymon G Sneed Trailer house combination
US3591023A (en) * 1969-01-30 1971-07-06 Rudolph Allen Mechanically programmable marine transport cargo handling and stowage system
US3711902A (en) * 1971-12-22 1973-01-23 Budd Co Coupling structure for joining containers
US3797691A (en) * 1972-05-10 1974-03-19 Lockheed Aircraft Corp Modular cargo container for transport vehicles
JPS61137091U (ko) * 1985-02-15 1986-08-26
US4771998A (en) * 1986-03-06 1988-09-20 Orbital Sciences Corporation Ii Mobile buildup apparatus for transporting, supporting and protecting space vehicle payloads
EP0251991A1 (de) * 1986-06-28 1988-01-07 Dieter Borchardt Verfahren zum Zusammenfassen von mindestens zwei aus ISO-Containern bestehenden Containereinheiten zu einer Transporteinheit sowie Transporteinheit
DE3875085T2 (de) * 1987-11-30 1993-04-15 Shiogenobu Furukawa Container zum transport von wickelgut.
JPH05105241A (ja) * 1991-10-21 1993-04-27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高速荷役装置
US5256024A (en) * 1992-02-25 1993-10-26 Ross Ronald A Tiltable flatbed trailer improvement for side-by-side coupling
JPH05338817A (ja) * 1992-06-05 1993-12-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ーの荷役装置
JPH05338815A (ja) * 1992-06-09 1993-12-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ー船の横移動パレット式荷役装置
SE501843C2 (sv) * 1992-09-24 1995-06-06 Floatline Ab Förfarande jämte anordning för transport av fordon
JP3013216B2 (ja) * 1993-04-19 2000-02-28 財団法人シップ・アンド・オーシャン財団 コンテナの水平荷役方式
JP2828560B2 (ja) * 1993-04-20 1998-11-25 財団法人シップ・アンド・オーシャン財団 コンテナ荷役装置
JP3134210B2 (ja) * 1993-12-28 2001-02-13 財団法人シップ・アンド・オーシャン財団 コンテナ受渡し装置及び該コンテナ受渡し装置を用いたコンテナ積込み方法
NL9401745A (nl) * 1994-10-20 1996-06-03 Hollandia Ind Mij Nv Los- en laadsysteem, kade en vaartuig voor goederentransport.
US5678838A (en) * 1995-07-20 1997-10-21 Taylor; John R. Separable dual trailer
NO317637B1 (no) * 1997-10-20 2004-11-29 Tts Handling Systems As Fremgangsmate og anordning for lasting og lossing av skip
DE19925128A1 (de) * 1999-06-02 2000-12-07 Macgregor Conver Gmbh Kuppelstück zum Verbinden von Containern
JP2002068078A (ja) * 2000-08-25 2002-03-0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浮体構造物
NL1019373C2 (nl) * 2001-11-15 2003-05-16 Eurosort B V I O Inrichting en transporthouder voor het transporteren en gecontroleerd afwerpen van een last.
US7534082B2 (en) * 2005-07-27 2009-05-19 The Boeing Company Cargo container handl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50606A1 (en) 2011-06-23
WO2011074827A3 (en) 2011-11-10
CN102101595A (zh) 2011-06-22
WO2011074827A2 (en) 2011-06-23
EP2374743A1 (en)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9445A (ko)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
JP5834078B2 (ja) 貨物を取り扱うシステム
US8118534B2 (en) Container cargo transfer system
RU2584043C2 (ru) Складная интермодальн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платформа
CN101357738A (zh) 集装箱卸货装置
US7621410B1 (en) Removable externally mounted bridge crane for shipping containers
KR101125045B1 (ko) 이동항구의 선적 및 하역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WO2016026001A1 (en) Removable lid for a transport structure, transpor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8272623B2 (en) Container lifting device
KR100868843B1 (ko) 컨테이너 화물의 하역 및 선적시스템
EP2743217B1 (e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containers at quayside
US5573293A (en) Side latch assembly for lifting trailers and containers
KR101372127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KR20110041781A (ko) 컨테이너 적재 장치
HRP20010799A2 (en) Method and device for securing horizontally loaded cargo units to a vessel
CN101898625B (zh) 一种大型厢式半挂车的运输方法和运输单元
JPH06509775A (ja) 物品の輸送
US6155769A (en) System for transporting plural load bearing carriers
KR101132621B1 (ko) 양현 하역 선박
KR101132622B1 (ko) 병렬식 컨테이너 운송장치
US20020100740A1 (en) Gantry with boom crane
KR101166717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CN112607593B (zh) 一种吊具、门架小车以及双小车岸桥
KR100650594B1 (ko) 컨테이너 크레인 합체형 갠트리 크레인을 탑재한 쌍동선형컨테이너선
KR20110041775A (ko) 레일을 이용한 컨테이너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9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