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68358A -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358A
KR20110068358A KR1020090125269A KR20090125269A KR20110068358A KR 20110068358 A KR20110068358 A KR 20110068358A KR 1020090125269 A KR1020090125269 A KR 1020090125269A KR 20090125269 A KR20090125269 A KR 20090125269A KR 20110068358 A KR20110068358 A KR 20110068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uction
cylinder
piston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5280B1 (ko
Inventor
김성근
고명준
박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12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2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펌핑 홀과, 상기 펌핑 홀에 각각 연통되는 흡입 통로 및 토출 통로가 구비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펌핑 홀을 막으며, 선택적으로, 고정되거나 움직이는 홀 막음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의 흡입 공간에 흡입된 점성 유체(형광체 분말이 혼합된 실리콘 용액 또는 액정)내에 발생된 기포들을 제거할 때 상기 피스톤 및 홀 막음 유닛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APPARATUS FOR DISCHARGING AND SUCKING LIQUID FOR A DISPENSER}
본 발명은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디스펜서의 헤드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헤드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서의 헤드 유닛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유닛(100); 직선 왕복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직선 구동유닛(200); 상기 회전 구동유닛(100)의 회전력으로 회전 운동하며, 상기 직선 구동유닛(200)의 직선 왕복 구동력으로 상하로 움직이면서 유체를 흡입하고 토출시키는 흡입 및 토출 유닛(300); 상기 흡입 및 토출 유닛(300)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유닛(400)을 포함한다.
도 3은 상기 흡입 및 토출 유닛을 구성하는 실린더 조립체와 피스톤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흡입 및 토출 유닛을 구성하는 실린더 조립체와 피스톤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 4를 참조하여 상기 실린더 조립체와 그 실린더 조립체에 결합된 피스 톤을 설명한다.
상기 실린더 조립체(P)는 착탈홈(311)들이 구비된 실린더 블록(310); 상기 피스톤(320)이 삽입되는 펌핑 홀(331)과, 상기 펌핑 홀(331)과 각각 연통된 흡입 통로(332) 및 토출 통로(333)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 블록(310)에 삽입되는 실린더(330); 상기 실린더 블록(310)에 결합되어 그 실린더(330)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록(340); 상기 지지블록(340)과 실린더 블록(310)을 체결시키는 체결 유닛(350)을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320)은 일정 길이와 외경을 가지는 펌핑부(321)와, 상기 펌핑부(321)의 일측 단부에 연장 형성된 착탈부(3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핑부(321)의 한쪽에 그 외주면의 일부분이 커팅되어 형성된 절단부(323)가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320)은 상기 실린더(330)의 펌핑 홀(331)에 삽입된다.
상기 실린더(330)의 하면에 펌핑 홀(331)을 막는 복개 부재(360)가 부착된다.
상기 실린더(330)의 흡입 통로(332)와 상기 유체 공급유닛(400)은 튜브(T)로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330)의 토출 통로(333)에 노즐 유닛(500)이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320)의 착탈부(322)는 상기 회전 구동유닛(1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 조립체의 지지 블록(310)은 상기 헤드 유닛을 구성하는 고정 볼트들과 너트들에 의해 상기 헤드 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디스펜서 헤드 유닛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상기 회전 구동유닛(100)이 작동하여 상기 피스톤(320)의 절단부(323)가 실 린더(330)의 흡입 통로(332)와 대면되도록 상기 피스톤(320)을 회전시킨다. 상기 피스톤(320)의 절단부(323)가 실린더(320)의 흡입 통로(332)와 대면된 상태에서 회전 구동유닛(100)의 작동이 정지된다.
상기 직선 구동유닛(200)이 작동하여 상기 회전 구동유닛(100)을 위로 이동시킨다. 상기 회전 구동유닛(100)이 위로 설정된 거리만큼 움직임에 따라 피스톤(320)이 상기 회전 구동유닛(100)과 함께 위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320)이 위로 움직임에 따라 실린더(330)의 펌핑 홀(331)의 내주면과 피스톤(320)의 끝면 그리고 복개 부재(360)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 공간이 커지면서 그 흡입 공간과 흡입 공간밖의 압력차에 의해 유체 공급유닛(400)의 유체가 상기 흡입 공간으로 흡입된다.
상기 피스톤(320)이 설정된 거리만큼 위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직선 구동유닛(200)의 작동이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구동유닛(100)이 작동하여 상기 피스톤(320)의 절단부(323)가 상기 실린더(330)의 토출 통로(333)와 대면되도록 상기 피스톤(32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피스톤(320)의 절단부(323)가 상기 실린더(330)의 토출 통로(333)와 대면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구동유닛(100)의 작동이 정지된다.
상기 직선 구동유닛(200)이 작동하여 상기 회전 구동유닛(100)을 아래로 설정된 거리만큼 연속적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회전 구동유닛(100)이 아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320)이 아래로 설정된 거리만큼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상기 피스톤(320)이 아래로 설정된 거리만큼 연속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흡입 공간 이 점점 작아지면서 그 흡입 공간에 채워진 유체가 상기 토출 통로(333)와 노즐 유닛을 통해 적하된다.
상기 유체 공급유닛의 유체는 액정(liquid crystal)이 될 수 있고, 또한 형광체 분말이 혼합된 실리콘 용액이 될 수 있다. 상기 액정은 엘시디(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을 제작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형광체 분말이 혼합된 실리콘 용액은 발광 소자(LED:light emitting diode)를 제작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형광체 분말이 혼합된 실리콘 용액이 상기 액정보다 점도가 높다.
한편, 상기 헤드 유닛에 장착된 상기 실린더 조립체(P)와 피스톤(320)을 새로운 실린더 조립체(P)와 피스톤(320)으로 교체한 후, 처음 유체를 흡입할 때 상기 흡입 공간에 채워진 유체에 기포들이 발생된다. 상기 유체가, 액정과 같이, 점도가 낮을 경우 상기 기포들은 상기 흡입 공간에 채워진 유체의 상부 끝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포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320)의 절단부(323)를 토출 통로(333)와 대면시킨 상태에서 상기 직선 구동유닛(200)이 상기 피스톤(320)을 아래로 일정 거리 이동시키면 유체의 상부 끝에 위치하는 기포들이 유체와 함께 토출 통로(333)를 통하여 토출된다.
하지만, 상기 유체가, 형광체 분말이 혼합된 실리콘 용액과 같이, 점도가 높을 경우 상기 흡입 공간에 채워진 유체내에 발생된 기포들이 흡입 공간에 채워진 유체의 상부 끝으로 잘 이동하지 않고 유체의 중간 부분과 상부에 주로 머무르게 된다. 상기 흡입 공간에 채워진 유체의 중간 부분 및 상부에 위치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 공간에 채워진 유체를 충분히 배출시켜야 한다. 따라서, 상기 직선 구동유닛(200)이 상기 피스톤(320)을 흡입 공간의 바닥면인 상기 복개 부재(360)의 상면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시켜 유체와 함께 기포들을 토출 통로(333)를 통하여 토출시킨다.
그러나 상기 직선 구동유닛이 피스톤(320)을 복개 부재(360)의 상면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피스톤(320)이 너무 많이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복개 부재(360)의 상면에 부딪히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피스톤(320) 및 복개 부재(360)가 파손되거나, 상기 피스톤(320)이 상기 복개 부재(360)의 상면에 부딪힌 상태에서 상기 직선 구동유닛(200)이 피스톤(320)을 계속 밀게 되어 상기 직선 구동유닛(200)에 과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 공간에 채워진 유체내에 형성된 기포들을 외부로 배출할 때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펌핑 홀과, 상기 펌핑 홀에 각각 연통되는 흡입 통로 및 토출 통로가 구비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펌핑 홀을 막으며, 선택적으로, 고정되거나 움직이는 홀 막음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홀 막음 유닛은 상기 실린더의 펌핑 홀에 결합되며, 내부에 결합 구멍이 구비된 몸통체; 상기 몸통체의 결합 구멍에 움직임이 한정되게 삽입되며, 상기 실린더 펌핑 홀과 함께 흡입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상기 몸통체의 결합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받으며, 자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부재를 고정하거나 움직임 가능하게 하는 제2 부재; 상기 몸통체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상기 몸통체와 상기 제1 부재사이에 실링 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재는 파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는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부재의 파형부와 접촉되거나 일정 간격으로 떨어지는 파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재의 파형부와 상기 제2 부재의 파형부는 각각 두 개의 산들과 두 개의 골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부재의 한쪽에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부재의 한쪽에 삽입되는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양쪽이 상기 제1 부재의 삽입홀과 제2 부재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부재의 한쪽 끝부분이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며 그 돌출된 부분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실린더의 흡입 공간에 채워진 점성 유체(형광체 분말이 혼합된 실리콘 용액 또는 액정)에 섞인 기포들을 원활하게 제거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 공간에 채워진 점성 유체에 섞인 기포들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피스톤이 제1 부재의 접촉면에 부딪힐 경우 그 제1 부재가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상기 피스톤 및 홈 막음 유닛의 제1 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직선 구동유닛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의 일시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의 일실시예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는 실린더, 피스톤, 홀 막음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610)는 육면체 형상이며 그 육면체 형상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된 펌핑 홀(611)이 구비되고 그 육면체 형상의 일측면과 상기 펌핑 홀(611)을 관통하는 흡입 통로(612)가 구비되고 상기 육면체 형상의 타측면과 펌핑 홀(611)을 관통하는 토출 통로(613)가 구비된다. 상기 펌핑 홀(611)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다. 그리고 상기 흡입 통로(612)의 중심선과 상기 토출 통로(613)의 중심선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610)의 펌핑 홀(611)의 한쪽으로 피스톤(620)이 삽입된다. 상기 실린더 펌핑 홀(611)의 다른 한쪽에 홀 막음 유닛(700)이 결합된다. 상기 펌핑 홀(611)에 암나사산부(614)가 구비되고 상기 홀 막음 유닛(700)에 수나사산부(712)가 구비되어 상기 홀 막음 유닛(700)의 수나사산부(712)가 상기 펌핑 홀(611)의 암나사산부(614)에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핑 홀(611)의 한쪽 끝부분에 단차진 홀이 형성되고 그 홀에 상기 암나사산부(61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620)은 일정 길이와 외경을 가지는 펌핑부(621)와, 상기 펌핑부(62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착탈부(6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핑부(621)의 한쪽에 그 외주면의 일부분이 커팅되어 형성된 절단부(623)가 구비된다.
상기 홀 막음 유닛(700)은 상기 실린더(610)의 펌핑 홀(611) 한쪽 끝을 막는다. 상기 홀 막음 유닛(700)은 선택적으로, 고정되거나 움직인다.
상기 홀 막음 유닛(700)의 일실시예로, 상기 홀 막음 유닛(700)은 몸통 체(710), 제1 부재(720), 탄성 부재(730), 제2 부재(740), 지지판(750)을 포함한다.
상기 몸통체(710)는 내부에 결합 구멍(711)이 구비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부(712)가 구비된 몸통부(713)와, 상기 몸통부(713)의 한쪽 끝에 돌출된 플랜지부(714)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 구멍(711)의 내경은 균일하다. 도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구멍(711)을 이루는 몸통부(713)의 내벽(내주벽)에 두 개의 가이드 홈(715)들이 구비된다. 상기 두 개의 가이드 홈(715)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상기 두 개의 가이드 홈(715)들은 각각 몸통부(713)의 한쪽(플랜지부가 있는 쪽) 끝에서부터 설정된 길이만큼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715)의 단면 형상은 사각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홈(715)은 한 개일 수도 있다.
상기 몸통부(713)의 한쪽 끝부분에 상기 결합 구멍(711)보다 내경이 큰 단차 홀(716)이 형성된다. 상기 단차 홀(716)의 중심선과 상기 결합 구멍(711)의 중심선은 동일하다.
상기 몸통체(710)의 수나사산부(712)가 상기 실린더(610)의 암나사산부(614)에 체결된다.
상기 제1 부재(720)는, 도 6,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면에 삽입홀(721)이 구비된 환봉부(722)와, 상기 환봉부(722)의 외주면에 돌출된 돌기부(7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부(723)는 상기 가이드 홈(715)의 수와 같도록 두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723)의 단면 형상은 상기 가이드 홈(715)의 단면 형상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홀(721)이 형성된 환봉부(722)의 한쪽 끝부분에 파형부(724)가 구비된다. 상기 파형부(724)는 두 개의 산들과 두 개의 골들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개의 산들을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두 개의 골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1 부재(720)의 환봉부(722)가 상기 몸통체(710)의 결합 구멍(711)에 삽입되고 두 개의 돌기부(723)들이 각각 상기 가이드 홈(715)들에 삽입된다. 상기 돌기부(723)의 한쪽면이 가이드 홈(715)의 끝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환봉부(722)의 한쪽 끝부분이 상기 몸통체(710)의 결합 구멍(711) 밖으로 돌출된다. 상기 몸통체(710)의 결합 구멍(711) 밖으로 돌출된 환봉부(722)의 끝면을 접촉면이라 하고, 상기 펌핑 홀(611)을 이루는 실린더(610)의 내주면과 상기 접촉면 그리고 상기 피스톤(620)의 하면이 흡입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 부재(720)의 환봉부(722)가 상기 몸통체(710)의 결합 구멍(7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723)들이 가이드 홈(715)들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제1 부재(720)가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제1 부재(720)의 환봉부(722)의 외주면과 상기 결합 구멍(711)을 이루는 몸통체(710)의 내주면사이로 유체가 흐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부재(76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 구멍(711)을 이루는 몸통체(710)의 내주면에 환형 홈을 형성하고 그 환형 홈에 상기 실링 부재(760)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부재(730)는 원통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부재(730)의 한쪽 부분이 상기 제1 부재(720)의 삽입홀(721)에 삽입된다.
상기 제2 부재(740)는 한쪽면에 삽입홀(741)이 구비된 환봉부(742)와, 상기 환봉부(742)의 외주면에 환형 형상으로 돌출된 플랜지부(743)와, 상기 삽입홀(741)이 형성된 환봉부(742)의 한쪽 끝부분에 파형부(744)가 구비된다.
상기 제2 부재(740)의 파형부(724)는, 상기 제1 부재(720)의 파형부(724)와 같은 형상으로, 두 개의 산들과 두 개의 골들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개의 산들을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두 개의 골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2 부재(740)의 플랜지부(743)의 두께는 상기 몸통체(710)의 단차 홀(716)의 깊이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부재(740)의 환봉부(742)의 다른 한쪽 끝에 손잡이부(745)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745)는 직선 형태로 돌출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부재(740)의 파형부(744)가 상기 제1 부재(720)의 파형부(724)와 서로 대면되도록 상기 제2 부재(740)의 환봉부(742)가 상기 몸통체(710)의 결합 구멍(711)에 삽입된다. 상기 제2 부재(740)의 환봉부(742)가 상기 몸통체(710)의 결합 구멍(711)에 삽입되면서 상기 탄성 부재(730)의 다른 한쪽이 그 환봉부(742)의 삽입홀(741)에 삽입된다. 상기 제2 부재(740)의 플랜지부(743)가 상기 몸통체(710)의 단차 홀(716)에 삽입된다.
상기 지지판(750)은 균일한 두께를 갖는 원판이며, 그 원판의 가운데 관통 구멍(75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 구멍(751)의 내경은 상기 제2 부재(740)의 환봉부(742) 외경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750)의 한쪽 면이 상기 몸통 체(710)의 플랜지부(714) 일면과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제2 부재(740)의 플랜지부(743)의 일면과 접촉된다. 상기 지지판(750)이 상기 제2 부재(740)를 지지한다. 상기 제2 부재(740)의 손잡이부(745)가 상기 지지판(75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2 부재(740)의 환봉부(742)의 한쪽 끝부분이 상기 지지판(750)의 관통 구멍(751)에 삽입된다.
상기 지지판(750)과 상기 몸통체(710)는 체결 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 수단은 다수 개의 나사들 또는 볼트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재(720)의 파형부의 산(H)들과 제2 부재의 파형부의 골(H)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부재(720)와 제2 부재(740)는 탄성 부재(730)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거리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720)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제1 부재(720)는 탄성 부재(730)의 탄성력을 받으며 움직이게 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재(720)의 파형부의 산(H)들과 제2 부재(740)의 파형부의 산(H)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부재(720)의 파형부의 산(H)들과 제2 부재(740)의 파형부의 산(H)들이 접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720)에 외력이 가해져도 제1 부재(720)가 움직이지 않게 된다.
상기 제1 부재(720)의 파형부의 산(H)들과 제2 부재(740)의 파형부의 산(H)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720)의 파형부의 산(H)들과 제2 부재(740)의 파형부의 골(H)들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제2 부재(740)의 손잡이부(745)를 90도 회전시킨다.
상기 지지판(750)에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표시한다. 상기 손잡이부(745)의 한쪽에 마크를 표시한다. 상기 손잡이부(745)의 마크가 상기 지지판(750)의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부재(720)의 파형부의 산(H)들과 제2 부재(740)의 파형부의 골(H)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1 부재(720)는 움직임이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부(745)의 마크가 상기 지지판(750)의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부재(720)의 파형부의 산(H)들과 제2 부재(740)의 파형부의 산(H)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1 부재(720)는 움직이지 못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의 일실시예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상기 디스펜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액정과 형광체 분말이 혼합된 실리콘 용액을 통칭하여 점성 유체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실린더 블록(310), 지지 블록(340), 체결 유닛(350)과 함께 실린더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및 토출 장치를 포함하는 실린더 조립체의 피스톤 착탈부(622)가 상기 회전 구동유닛(1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 조립체의 지지 블록(310)은 상기 헤드 유닛을 구성하는 고정 볼트들과 너트들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먼저, 상기 흡입 및 토출 장치를 포함한 실린더 조립체를 헤드 유닛에 장착 한 다음 홀 막음 유닛(700)의 제1 부재(720)가 움직임 가능하도록 제2 부재(740)의 손잡이부(745)를 회전시켜 그 손잡이부(745)의 마크를 상기 지지판(750)에 표시된 제1 위치에 위치시킨다.
상기 회전 구동유닛(100)이 작동하여 상기 피스톤(620)의 절단부(623)가 실린더(610)의 흡입 통로(612)와 대면되도록 상기 피스톤(610)을 회전시킨다. 상기 직선 구동유닛(200)이 상기 회전 구동유닛(100)을 위로 이동시킨다. 상기 회전 구동유닛(100)이 위로 설정된 거리만큼 움직임에 따라 피스톤(620)이 상기 회전 구동유닛(100)과 함께 위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320)이 위로 움직임에 따라 흡입 공간이 커지면서 그 흡입 공간과 흡입 공간밖의 압력차에 의해 유체 공급유닛(400)의 점성 유체가 상기 흡입 공간으로 흡입된다. 이때, 상기 흡입 공간에 있는 공기가 점성 유체내에 기포들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피스톤(620)의 절단부(623)가 상기 실린더(610)의 토출 통로(613)와 대면되도록 상기 회전 구동유닛(100)이 상기 피스톤(62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공간에 채워진 점성 유체가 충분히 토출되도록 상기 피스톤(620)의 하면이 제1 부재(720)의 접촉면에 이르도록 상기 직선 구동유닛(200)이 상기 피스톤(620)을 아래로 움직인다.
상기 피스톤(620)이 아래로 충분히 움직임에 따라 상기 흡입 공간에 채워진 점성 유체가 토출 통로(613)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점성 유체가 토출되면서 그 점성 유체에 섞인 기포들이 점성 유체와 함께 토출된다. 기포들은 흡입 공간에 채워 진 점성 유체의 중간 부분부터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한 번에 점성 유체를 충분히 토출시켜 기포들이 토출 통로(613)를 통해 배출된다. 만일, 점성 유체에 기포들이 남아 있을 경우 이와 같은 작동이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선 구동유닛(2000이 피스톤(620)을 아래로 충분히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피스톤(620)이 홀 막음 부재(700)의 제1 부재(720)의 접촉면에 부딪히게 될 경우 상기 제1 부재(720)가 탄성 부재(730)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아래로 움직이게 되므로 피스톤(620)이 제1 부재(720)의 접촉면에 부딪힐 때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상기 흡입 공간에 흡입된 점성 유체에 섞인 기포들을 모두 제거한 후, 상기 홀 막음 유닛(700)의 제1 부재(72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제2 부재(740)의 손잡이부(745)를 회전시켜 그 손잡이부(745)의 마크를 상기 지지판(750)에 표시된 제2 위치에 위치시킨다.
상기 홀 막음 유닛(700)의 제1 부재(720)를 움직이지 못하게 한 상태에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점성 유체를 흡입 공간에 흡입하고 토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실린더(610) 내의 흡입 공간에 채워진 점성 유체에 섞인 기포들을 원활하게 제거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 공간에 채워진 점성 유체에 섞인 기포들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피스톤(620)이 제1 부재(720)의 접촉면에 부딪힐 경우 그 제1 부재(720)가 탄성력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상기 피스톤(320) 및 홈 막음 유닛(700)의 제1 부재(7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직선 구동유닛(200)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 디스펜서의 헤드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상기 액정 디스펜서의 헤드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3, 4는 상기 액정 디스펜서의 헤드 유닛을 구성하는 실린더 조립체를 도시한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상기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7,8은 상기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를 구성하는 홀 막음 유닛의 상부 횡단면도 및 하부 횡단면도,
도 9는 상기 홀 막음 유닛을 구성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간격을 유지한 상태를 부분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상기 홀 막음 유닛을 구성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접촉된 상태를 부분 도시한 정면도.

Claims (8)

  1. 펌핑 홀과, 상기 펌핑 홀에 각각 연통되는 흡입 통로 및 토출 통로가 구비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펌핑 홀을 막으며, 선택적으로, 고정되거나 움직이는 홀 막음 유닛을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 막음 유닛은 상기 실린더의 펌핑 홀에 결합되며, 내부에 결합 구멍이 구비된 몸통체;
    상기 몸통체의 결합 구멍에 움직임이 한정되게 삽입되며, 상기 실린더 펌핑 홀과 함께 흡입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상기 몸통체의 결합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받으며, 자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부재를 고정하거나 움직임 가능하게 하는 제2 부재;
    상기 몸통체와 결합되어 상기 제2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체와 상기 제1 부재사이에 실링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파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는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부재의 파형부와 접촉되거나 일정 간격으로 떨어지는 파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파형부와 상기 제2 부재의 파형부는 각각 두 개의 산들과 두 개의 골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한쪽에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부재의 한쪽에 삽입되는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양쪽이 상기 제1 부재의 삽입홀과 제2 부재의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한쪽 끝부분이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판을 관통하며 그 돌출된 부분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제1 위치와 제2 위치가 표시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마크가 표시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마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부재가 움직임 가능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마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 할 경우 상기 제1 부재가 움직이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
KR1020090125269A 2009-12-16 2009-12-16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 KR101695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269A KR101695280B1 (ko) 2009-12-16 2009-12-16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269A KR101695280B1 (ko) 2009-12-16 2009-12-16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358A true KR20110068358A (ko) 2011-06-22
KR101695280B1 KR101695280B1 (ko) 2017-01-12

Family

ID=4440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269A KR101695280B1 (ko) 2009-12-16 2009-12-16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52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741B1 (ko) * 2014-01-29 2015-07-09 세메스 주식회사 실리콘 및 형광체 배합 장치
CN109894319A (zh) * 2019-03-07 2019-06-18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机器人涂胶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668A (ja) * 1993-12-08 1995-06-20 Sony Corp 液状材料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268970A (ja) * 1996-04-01 1997-10-14 Kazuko Aoyama 定量供送ポンプ
JP2004162814A (ja) * 2002-11-13 2004-06-10 Nec Yamagata Ltd 高粘度塗布液用エアオペレートバルブ
KR20100048318A (ko) * 2008-10-30 2010-05-1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5668A (ja) * 1993-12-08 1995-06-20 Sony Corp 液状材料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268970A (ja) * 1996-04-01 1997-10-14 Kazuko Aoyama 定量供送ポンプ
JP2004162814A (ja) * 2002-11-13 2004-06-10 Nec Yamagata Ltd 高粘度塗布液用エアオペレートバルブ
KR20100048318A (ko) * 2008-10-30 2010-05-1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741B1 (ko) * 2014-01-29 2015-07-09 세메스 주식회사 실리콘 및 형광체 배합 장치
CN109894319A (zh) * 2019-03-07 2019-06-18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机器人涂胶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5280B1 (ko)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2045B2 (en) Nozzle and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provided with said nozzle
JP2011514173A (ja) カウンタ取付け型粘性液体ディスペンサ及びその取付けシステム
KR20110068358A (ko) 디스펜서의 흡입 및 토출 장치
EP3189757A1 (en) Shower head with which shower sensations can be obtained without providing water sprinkling plate
JPH0829799B2 (ja) 作動油補充装置
KR101204507B1 (ko) 비강세척기
KR20150130787A (ko) 토출 장치
KR20110068357A (ko) 실린더 및 그것을 구비한 액정 디스펜서
JP2015034764A (ja) 分注装置
KR20110006188U (ko) 액정 디스펜서의 실린더
KR102189588B1 (ko) 내부 캠을 이용한 제팅 디스펜스
KR100971140B1 (ko) 액정 디스펜서의 피스톤 및 그 제작 방법 그리고 그를 구비한 액정 디스펜서의 실린더 조립체
KR20100048318A (ko)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
KR20110066995A (ko) 액정 디스펜서의 액정 토출장치
KR101418747B1 (ko) 유체 공급 장치
KR20110006132U (ko) 유체 토출장치
KR101502867B1 (ko) 헤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디스펜서
KR101037358B1 (ko) 전동식 화장품 용기
KR20120025738A (ko) 액정 디스펜서의 누설 액정 낙하방지장치
JP6205570B2 (ja) 分注装置
KR20150106197A (ko) 토출 장치
KR20110070838A (ko) 천공기의 햄머
KR200408308Y1 (ko) 그라우트 인젝션 펌프
KR102750769B1 (ko) 모듈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포장지 타공장치
CN216858804U (zh) 一种拆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