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6668A - Operation method of air cleaner and air cleaner - Google Patents
Operation method of air cleaner and air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6668A KR20110066668A KR1020090123412A KR20090123412A KR20110066668A KR 20110066668 A KR20110066668 A KR 20110066668A KR 1020090123412 A KR1020090123412 A KR 1020090123412A KR 20090123412 A KR20090123412 A KR 20090123412A KR 20110066668 A KR20110066668 A KR 201100666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ermoelectric element
- temperature
- power supply
- humidity
- amou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5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91—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 B01D46/0093—Including arrangements for environmental or personal protection against fire or explo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8—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Drying Of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열전소자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량을 조절하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열전소자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이 개시된다.Disclosed is a method of operating an air cleaner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overheating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상기한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은 현재습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현재습도와 설정습도와의 차이에 따라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 온도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air cleaner includes: detecting a current humidity; determining a power supply amount applied to a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a difference between a current humidity and a set humidity; and detecting a temperature of a heating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rrecting a power supply amount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uni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이러한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에 의하면, 현재습도와 설정습도와의 차이에 따라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통해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조절하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열전소자의 발열부 온도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보정하는 단계를 통해 열전소자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ir cleaner,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adjusting the power supply amount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by determining the power supply amount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humidity and the set humidity. In addition, overheating of the thermoelectric device may be prevented by correcting a power supply amount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unit of the thermoelectric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 및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n air cleaner and an air purifier.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흡입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킨다. 이와 같이 정화된 공기가 공기 청정기의 외부, 즉 실내로 다시 토출된다.In general, the air purifier sucks contaminated indoor air to filter dust, odor particles, etc. contained in the air with a filter to purify the sucked air with clean air. The air thus purified is discharged back to the outside of the air cleaner, that is, the room.
다시 말해,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주위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면서 공기 청정기가 설치된 주위 공기를 정화한다.In other words, the air cleaner purifies the ambient air in which the air cleaner is installed while purifying the contaminated ambient air by discharging the clean air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공기 정청기는 주위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장치와, 유입된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걸러내는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in general, the air purifier may include a blower for injecting ambient air to discharge purified air, and a filter for filtering dust, odor particles,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introduced air.
그런데, 공기 청정기는 주위 공기를 유입시켜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을 뿐, 유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지는 못한다. However, the air purifier may discharge the purified air after purifying the surrounding air by introducing the purified air, but may not remov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incoming air.
이와 같이, 습도가 높은 여름철과 같은 환경에서 구동되는 공기청정기는 제습기능을 구비하여 습도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즉,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작동 되는 공기청정기에는 제습기능이 필요한 실정이다.As such,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humidity by providing a dehumidifying function in an air cleaner driven in an environment such as summer when the humidity is high. That is, a dehumidifying function is required for an air cleaner operating in a high humidity environment.
또한, 여름철과 같이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 공기 청정기가 구동되는 경우, 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이 예를 들어 탈취필터에 전달되어 그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ir cleaner is driven in a high humidity state, such as summer,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may be transferred to, for example, a surface of the deodorizing filter.
이에 따라, 탈취필터에 수분이 부착되어 탈취필터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즉, 예를 들어 탈취필터의 표면에 수분이 부착되면 이러한 수분이 공기 중의 오염물질과 엉겨 붙게 된다.As a result, moisture is attached to the deodorizing filter, thereby degrading the performance of the deodorizing filter. That is, for example, when moisture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deodorizing filter, the moisture is entangled with pollutants in the air.
따라서, 각 필터의 오염도를 증가시키거나 각 필터의 기공을 막게 되어 필터의 송풍효율을 저하시키는데, 이러한 현상은 필터의 교체주기 및 수명을 단축시키므로 제습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Therefore, the pollution degree of each filter is increased or the pores of each filter are reduced, which lowers the blowing efficiency of the filter. This phenomenon shortens the replacement cycle and the life of the filter. Therefore, the necessity of an air cleaner having a dehumidifying function is further highlighted. have.
이에 따라, 최근에는 공기 청정기 내부에 제습부를 설치하고, 공기의 이동 경로 상 제습부 이후에 공기 청정 필터들을 설치하여 제습과 동시에 공기 청정을 수행하는 공기 청정기를 사용하고 있다.Accordingly, recently, a dehumidifying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air purifier, and air purifiers are installed after the dehumidifying unit on the air path to perform dehumidification and air purifying at the same time.
한편, 최근에는 제습부에 열전소자를 설치하여 제습을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열전소자는 계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열전소자의 발열부 측이 쉽게 과열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 technique for dehumidifying by installing a thermoelectric element in the dehumidifying unit has been developed. By the way, the thermoelectric element has a problem that the heat gener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easily overheated and damaged when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또한,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전력소모량은 공기청정기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인자로서 작용한다. 그런데, 제습부에 열전소자를 설치하는 경우 전력소모량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air cleaner serves as an important factor in designing the air cleaner. However,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installed in the dehumidifying unit,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wer consumption increases.
다시 말해, 열전소자를 통해 제습을 하는 경우 전력소모량이 증가하는 문제 가 있으며, 더하여 제습시 열전소자의 발열부 측이 과열되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when dehumidifying through a thermoelectric elem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an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eat generating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overheated and damaged.
본 발명은 열전소자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량을 조절하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열전소자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 및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operating an air cleaner and an air purifier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preventing overheating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은 현재습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현재습도와 설정습도와의 차이에 따라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 온도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operating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nsing a current humidity, determining a power supply amount applied to a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a difference between a current humidity and a set humidity, and detecting a temperature of a heating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rrecting a power supply amount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a temperature of a heat generating uni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습도가 설정습도보다 낮은 경우 열전소자를 오프시키고, 현재습도와 설정습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열전소자에 100% 전원을 인가하고, 현재습도와 설정습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열전소자에 전원공급량을 감소시켜 인가할 수 있다.Determin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to turn off the thermoelectric element when the current humidity is lower than the set humidity, and to apply 100%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humidity and the set humidity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humidity and the set humidity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reduced.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의 양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 온도가 제1 온도 이상인면 열전소자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 온도가 제1 온도 미만이고 제2 온도 이상인 경우 열전소자로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감소시키며,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 온도가 제2 온도 미만인 경우 열전소자로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유지할 수 있다.The step of correcting the amount of power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when the heat generating unit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more than the first temperature, the heat generating unit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less than the first temperature When the temperat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emperatur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reduce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uni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less than the second temperatur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maintained.
상기한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은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결정하는 단계 전에 송풍팬의 구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의 구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송풍팬이 구동하는 경우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결정하고, 상기 송풍팬이 구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air cleaner further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blower fan is driven before determining a power supply amount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blower fan is driven is performed by the blower fan. When driv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determined, and when the blower fan is not driven, power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cut off.
상기한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은 상기 현재습도를 감지하는 단계 전에 제습에 의해 유지하고자 하는 습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air cleaner may further include setting a humidity to be maintained by dehumidification before the detecting the current humidity.
상기한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은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 온도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보정하는 단계 후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열전소자의 흡열부 온도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전소자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는 감지된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부 온도가 제3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열전소자로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감소시키고, 전원공급을 일정시간 차단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air cleaner, after the step of correct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 absorbing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heat absorbing portion of the detected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a temperature, wherein the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include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absorbing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lower than a third temperature. It can reduce the power supply to the power supply and cut off the power supply for a certain tim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은 열전소자의 발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열전소자의 발열부 온도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부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열전소자의 흡열부 온도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operating an ai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elemen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correct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endotherm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Sensing a negative temperature, and controlling a power supply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the sensed temperature of the heat absorbing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토출되는 본체와, 공기의 유동 경로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통과하는 공기로 부터 수분을 제거토록 열전소자를 구비하는 제습부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와, 상기 제습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열전소자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습도감지센서와 상기 온도감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습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현재습도와 설정습도와의 차이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결정하고, 상기 열전소자의 온도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inside, a dehumidifying unit having a thermoelectric element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so as to be disposed in a flow path of the air and removing moisture from the air passing through the main air purifier; A humidity sensing sensor mounted on the main body to sense humidity of external air, a temperature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dehumidifying unit, and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humidity sensing sensor and the Is connected to a temperature sensing unit, determines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humidity and the set humidity detected by the humidity sensor, and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rrecting the power supply amount.
상기 제습부는 일측면을 통해 흡열을 하며 타측면으로 방열을 하는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냉각되며,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냉각판, 및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을 구비할 수 있다.The dehumidifying unit absorbs heat through one side and radiates heat to the other side, a cooling plat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ooled to remove moisture from the air passing through, and the other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t may be provided on the side may be provided with a heat sink for dissipating heat transferr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 또는 상기 방열판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ing unit may include a first temperature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or the heat sink.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면 또는 상기 냉각판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emperature sensor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sense a temperature of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or the cooling plate.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재습도와 설정습도와의 차이에 따라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통해 열전소자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조절하 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wer consumption may be reduc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rough determin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humidity and the set humidity.
또한, 열전소자의 발열부 온도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보정하는 단계를 통해 열전소자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overheating of the thermoelectric device may be prevented by correcting a power supply amount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devic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heat generating unit of the thermoelectric devic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으로 작동되는 공기청정기에 대하여 살펴본 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운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Before this, the air purifier operated by the method for operating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method for operating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으로 작동되는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ir purifier operated by the operating method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00)는 일예로서, 본체(110), 필터부(120), 송풍부(130), 제습부(140), 습도감지센서(150), 온도감지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본체(110)는 필터부(120), 송풍부(130) 등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송풍부(130)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2)와, 유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4)를 구비할 수 있다.The
또한, 본체(110)는 필터부(120)의 후단에 배치되어 송풍부(130)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팬그릴(116)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필터부(120)는 공기 중의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을 걸러내어 청정한 공 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필터부(120)에는 프리필터, 전처리필터, 기능필터, 헤파필터 및 탈취필터 등이 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송풍부(130)는 송풍팬(132)과 팬구동원(134)으로 구성되며, 팬구동원(134)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132)에 의해 본체(110)의 외부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그리고, 팬구동원(134)은 제어부(17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팬구동원(134)의 구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습수단(140)은 유입된 공기의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되도록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한다.The dehumidifying
한편, 제습수단(140)은 일예로서, 열전소자(142), 냉각판(144), 방열판(146), 및 수조(148)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열전소자(142)는 일측면을 통해 흡열을 하고 타측면으로 방열을 한다. 열전소자(142)는 일반적으로 펠티어 소자라고 하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흡열과 방열을 동시에 수행한다.The
즉, 열전소자(142)는 전원이 공급되면 일측면을 통해 흡수된 열이 타측면으로 방열되는 반도체 소자이다.That is, the
냉각판(144)는 열전소자(142)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열전소자(142)에 의해 냉각된다. 이에 따라 냉각판(144)에 접촉하는 공기는 냉각판(144)에 의해 냉각되고 결국,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 아래로 하강하여 냉각판(144)에는 수분이 응축된다.The
방열판(146)은 열전소자(142)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열전소자(142)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방출한다. 한편, 방열판(146)은 방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방열판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방열판(146)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토출구(114)로 토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flowing toward the heat sink may be discharged to the
수조(148)는 냉각판(144)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본체(110)에 장착되며, 냉각판(144)에 응축된 수분은 최종적으로 수조(148)로 낙하되어 저장된다.The
한편, 열전소자(142)는 전원공급원(미도시)에 연결되며 전원공급원은 제어부(17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어부(170)에 의해 전원공급원이 제어되어 열전소자(142)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 및, 감소 또는 증가될 수 있다.Meanwhile, the
습도감지센서(150)는 일예로서, 본체(110)의 상부에 장착되어 공기청정기(100)가 설치된 장소의습도를 감지한다. 한편, 습도감지센서(150)도 제어부(17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습도감지센서(150)는 감지된 습도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70)로 송신할 수 있다.
온도감지부(160)는 제습부(140)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본체(120)에 설치되어 열전소자(142)의 온도를 감지한다. 한편, 온도감지부(160)는 일예로서, 제1 온도센서(162)와, 제2 온도센서(164)를 구비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60 is installed in the
제1 온도센서(162)는 제습수단(140)의 방열판(146)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본체(110)에 설치되어 방열판(146)의 온도를 감지하며, 제2 온도센서(162)는 제습수단(140)의 냉각판(144)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본체(110)에 설치되어 냉각 판(144)의 온도를 감지한다.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62 is installed on the
또한, 제1,2 온도센서(162,164)도 제어부(17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2 온도센서(162,164)로부터 감지된 방열판(146)과 냉각판(144)의 온도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70)로 송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상기한 설명에서 사용된 도면부호를 이용하여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ir cleaner will be described using the reference numerals used in the above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2 and 3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에 의해 습도가 설정된다(S110). 즉, 공기청정기(100)가 설치된 공간의 설정습도(H0)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다. 다만, 사용자에 의한 습도의 설정이 없는 경우, 제어부(170)에 설정값으로 저장된 온도에 따른 쾌적 습도량으로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2 to 3, first, humidity is set by a user (S110). That is, the set humidity H0 of the space in which the
이후, 공기청정기(100)가 작동되면, 습도감지센서(150)는 주위 공기의 습도를 감지한다(S120).Then, when the
습도감지센서(150)로부터 주위 공기의 습도가 감지되면 습도감지센서(150)는 습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70)로 송신한다.When the humidity of the ambient air is detected from the
이후, 제어부(170)는 습도감지센서(150)에 의해 감지된 현재습도(H1)가 설정습도(H0)보다 높은지를 판단한다(S130). 만약 현재습도(H1)가 설정습도(H0)보다 낮으면 제어부(170)는 열전소자(142)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열전소자(142)를 오프시킨다(S140).Thereafter, the
한편, 현재습도(H1)가 설정습도(H0)보다 높으면, 제어부(170)는 송풍팬(142)의 구동여부를 판단한다(S150). 만약, 송풍팬(142)이 구동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열전소자(142)를 오프시킨다(S140). 이에 따라, 송풍팬(142)이 구동되지 않을 때 열전소자(142)로 전원이 공급되어 열전소자(142)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urrent humidity (H1) is higher than the set humidity (H0), the
만약, 송풍팬(142)이 구동하고 있으면, 제어부(170)는 현재습도(H1)와 설정습도(H0)의 차이에 따라 열전소자에 인가되는 전원 공급량을 결정한다(S162).If the blowing
즉, 현재습도(H1)와 설정습도(H0)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A)을 초과하면 열전소자(142)에 100%의 전원을 인가하고(S164), 현재습도(H1)와 설정습도(H0)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A) 이하이면 열전소자(142)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감소시켜 인가한다(S170).That i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humidity H1 and the set humidity H0 exceeds the preset value A, 100% of power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42 (S164), and the current humidity H1 and the set humidity are set. If the difference of H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A,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예를 들어 설명하면, 현재습도(H1)가 90%라 하고, 설정습도(H0)가 50%라 한다. 한편 기설정된 값(A)이 30%이라고 하면, 현재습도(H1)와 설정습도(H0)의 차이는 40%이다. 이러한 경우 현재습도(H1)와 설정습도(H0)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A)보다 크므로, 제어부(170)는 열전소자(142)에 100%의 전원을 인가하여 빠른 시간 내에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current humidity H1 is 90% and the set humidity H0 is 50%. On the other hand, if the predetermined value A is 30%,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humidity H1 and the set humidity H0 is 40%. In this case,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humidity H1 and the set humidity H0 is greater than the preset value A, the
또한, 이러한 경우 송풍팬(142)은 최고 회전속도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증대될 수 있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제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case, the blowing
한편, 현재습도(H1)가 70%라 하고, 설정습도(H0)가 50%라 하면 현재습도(H1)와 설정습도(H0)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A)인 30%보다 작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70)는 열전소자(142)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감소시킨다. 일예로서, 열전소자(142)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은 80%로 20%가 감소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present humidity (H1) is 70% and the set humidity (H0) is 50%,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humidity (H1) and the set humidity (H0) is less than 30%, which is the preset value (A). The
또한, 다른 예로 아래의 식과 같이 전원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power supply amount may be adjusted as in the following equation.
전원공급량(%) = 100 - {기설정된 값 - (H1-H0)}Power Supply (%) = 100-{Preset Value-(H1-H0)}
즉, 상기한 예에서 전원공급량은 90%일 수 있다.That is, in the above example, the power supply amount may be 90%.
이와 같이, 현재습도(H1)와 설정습도(H0)의 차이가 큰 경우 많은 양의 전원을 공급하고, 현재습도(H1)와 설정습도(H0)의 차이가 작은 경우 작은 양의 전원을 공급하여 전력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such,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humidity H1 and the set humidity H0 is large, a large amount of power is supplied, 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humidity H1 and the set humidity H0 is small, a small amount of power is supplie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이와 더불어, 현재습도(H1)와 설정습도(H0)의 차이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조절하므로, 열전소자(142)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일정시간 제습이 이루어지고 난 후에도 계속해서 100%의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전원공급량을 감소시켜 열전소자(142)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열전소자(142)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wer supply amoun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humidity H1 and the set humidity H0, the
상기한 바와 같이 열전소자(142)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이 결정되면, 열전소자(142)의 발열부, 즉 방열판(146)의 온도를 제1 온도센서(162)를 통해 감지한다(S190).When the amount of power supply applied to the
이후, 제1 온도센서(162)에 의해 감지된 발열부의 온도(TH)에 따라 열전소 자(142)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보정한다(S200). 즉, 먼저 열전소자(142)의 발열부, 즉 방열판(146)의 온도(TH)가 제1 온도(T1)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02). 만약 열전소자(142)의 발열부 온도(TH)가 제1 온도(T1) 이상이면 제어부(170)는 열전소자(142)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140).Subsequently,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이에 따라, 열전소자(142)가 과열되어 오작동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Accordingly, the
일예로서, 제1 온도(T1)는 90℃ 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temperature T1 may be 90 ° C.
만약 열전소자(142)의 발열부 온도(TH)가 제1 온도(T1) 미만인 경우, 제어부(170)는 열전소자(142)의 발열부 온도(TH)가 제1 온도(T1) 미만이고, 제2 온도(T2)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04).If the heat generating part temperature T H of the
만약, 열전소자(142)의 발열부 온도(TH)가 제1 온도(T1) 미만이고, 제2 온도(T2) 이상 경우 제어부(170)는 열전소자(142)로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감소시킨다(S206). 일예로서, 열전소자(142)의 발열부 온도(TH)가 제1 온도(T1) 미만이고, 제2 온도(T2) 이상인 경우 제어부(170)는 열전소자(142)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에서 다시 10%를 감소시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If the heat generating unit temperature T H of the
즉, 상기한 예와 같은 조건에서 100%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량이 90%로 감소되고, 전원공급량이 90%(또는 80%)인 경우에는 80%(또는 70%)로 감소된다.That is, when 100% of the power is suppli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above example, the power supply amount is reduced to 90%, and when the power supply amount is 90% (or 80%), the power supply amount is reduced to 80% (or 70%). .
이에 따라 열전소자(142)의 발열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overheating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of the
일예로서, 제2 온도(T2)는 70℃ 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cond temperature T2 may be 70 ° C.
한편, 만약 열전소자(142)의 발열부 온도(TH)가 제2 온도(T2) 미만인 경우 제어부(170)는 열전소자(142)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이 유지되도록 한다(S208).On the other hand, if the heat generating unit temperature (T H ) of the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열전소자(142)의 발열부 온도에 따라 열전소자(142)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보정한 후, 제어부(170)는 제2 온도센서(164)를 통해 열전소자(142)의 흡열부, 즉 냉각판(144)의 온도(TL)를 감지한다(S210).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after correcting the power supply amount applied to the
이후, 감지된 열전소자(142)의 흡열부 온도(TL)에 따라 열전소자(142)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S220). 즉, 감지된 열전소자(142)의 흡열부 온도(TL)가 제3 온도(T3)보다 낮은지를 판단한다(S222). 만약 감지된 열전소자(142)의 흡열부 온도(TL)가 제3 온도(T3)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170)는 열전소자(142)로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다시 감소시킨 후 일정시간동안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S224).Thereafter, the power supply to the
일예로서, 전원공급량을 70%로 감소시켜 열전소자(142)를 20분 동안 가동시킨 후 20초 동안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wer supply may be reduced to 70% to operate the
이와 같이, 열전소자(142)의 흡열부 온도(TL)가 제3 온도(T3)보다 낮은 경우 열전소자(142)로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감소시킨 후 전원공급을 차단시켜 열전소자(142)의 흡열부, 즉 냉각판(144)이 응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습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when the heat absorbing part temperature T L of the
이후, 제어부(170)는 습도감지센서(150)를 통해 다시 현재습도(H1)을 감 지(S120)하여 상기한 단계를 반복수행할 수 있다.Thereafter, the
한편, 열전소자(142)의 흡열부 온도(TL)가 제3 온도(T3)보다 높은 경우 제어부(170)는 습도감지센서(150)를 통해 다시 현재습도(H1)을 감지(S120)하여 상기한 단계를 반복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heat absorbing part temperature T L of the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습도(H1)와 설정습도(H0)와의 차이에 따라 열전소자(142)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통해 열전소자(142)에 공급되는 전원공급량을 조절하여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또한, 열전소자(142)의 발열부 온도(TH)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142)에 인가되는 전원공급량을 보정하는 단계를 통해 열전소자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overheating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prevented by correcting a power supply amount applied to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으로 작동되는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ir purifier operated by the operating method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운전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2 and 3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공기청정기100: air cleaner
110 : 본체110: body
120 : 필터부120: filter unit
130 : 송풍부130: blower
140 : 제습부140: dehumidifying unit
150 : 습도감지센서150: humidity sensor
160 : 온도감지부160: temperature detection unit
170 : 제어부170: control unit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3412A KR20110066668A (en) | 2009-12-11 | 2009-12-11 | Operation method of air cleaner and air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3412A KR20110066668A (en) | 2009-12-11 | 2009-12-11 | Operation method of air cleaner and air clea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6668A true KR20110066668A (en) | 2011-06-17 |
Family
ID=44399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3412A Withdrawn KR20110066668A (en) | 2009-12-11 | 2009-12-11 | Operation method of air cleaner and air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66668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0816Y1 (en) * | 2013-06-13 | 2014-01-09 | 박범진 | Tubular cooker |
KR20200045052A (en) * | 2018-10-19 | 2020-05-04 | 주식회사 리빙케어 | Dehumidifier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
KR20200065620A (en) * | 2018-11-30 | 2020-06-09 | 박근배 | Harmful gas purification system |
-
2009
- 2009-12-11 KR KR1020090123412A patent/KR20110066668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0816Y1 (en) * | 2013-06-13 | 2014-01-09 | 박범진 | Tubular cooker |
KR20200045052A (en) * | 2018-10-19 | 2020-05-04 | 주식회사 리빙케어 | Dehumidifier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
KR20200065620A (en) * | 2018-11-30 | 2020-06-09 | 박근배 | Harmful gas purification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29959B1 (en) |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photocatalytic filter | |
JP4204570B2 (en) | Ai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836021B1 (en) | Elevator air conditioner with air purification | |
JP6143939B2 (en) |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JP5655872B2 (en) | Clothing maintenance equipment | |
KR200429519Y1 (en) | Wet air purifier | |
RU2678881C2 (en) | 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temperature and cleaning of ambient air in buildings | |
JP2000107545A (en) | Air conditioner with activated carbon filter | |
KR101858806B1 (en) | Air conditioner | |
JP5488333B2 (en) | Air cleaner | |
JP2010002068A (en) | Air cleaner | |
KR101928872B1 (en) | air purifying system | |
JP5502019B2 (en) | Air treatment equipment | |
WO2016067676A1 (en) | Air cleaner | |
KR20110066668A (en) | Operation method of air cleaner and air cleaner | |
KR20110060518A (en) |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 |
KR20110061084A (en) | Dehumidification type aircleaner | |
KR20100005319A (en) | Air conditioner with plasma generator & peltier element | |
JP2018132251A (en) | Air conditioner | |
KR100528119B1 (en) | Clean air system | |
KR100491547B1 (en) | Automatic control dehumidifier using thermocouple | |
KR200317624Y1 (en) | Device for temperature control and air clean | |
JP5114456B2 (en) | Air conditioner | |
KR102328819B1 (en) | Apparatus for dehumid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81709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heat of thermoelectric modu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