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66025A -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6025A
KR20110066025A KR1020090122760A KR20090122760A KR20110066025A KR 20110066025 A KR20110066025 A KR 20110066025A KR 1020090122760 A KR1020090122760 A KR 1020090122760A KR 20090122760 A KR20090122760 A KR 20090122760A KR 20110066025 A KR20110066025 A KR 20110066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apping
manipulation
touch panel
specific fun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 filed Critical 박철
Priority to KR1020090122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6025A/ko
Publication of KR2011006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02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이 개시된다.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터치패널 작동방법은,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 다른 일측의 탭핑(tapping)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 판별된 결과에 따라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터치패널, 터치, 탭핑, 위치, 실행, 구동칩

Description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OPERATION METHOD OF TOUCH PANNEL AND TOUCH PANNEL DRIVING CHIP}
본 발명은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터치 조작과 탭핑 조작에 의한 멀티 조작에 의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기능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개인휴대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점차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라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게임, MP3 등과 같은 각종 부가적인 기능을 갖도록 개발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 개인휴대단말기에는 공간활용성이 높고 사용이 편리함 이점으로 인해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와 같은 터치패널의 장착이 보편화되고 있다. 즉, 터치패널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터치패널은 크게 정전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을 통해 단말기의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아이콘이나 메뉴바의 터치 조작을 통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각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기능 실행에 사용되는 아이콘이나 메뉴바의 사용 방법을 숙지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 여러번의 반복된 터치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응용프로그램의 각종 기능을 실행시키기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간단한 터치 조작에 의해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각종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 터치패널 작동방법에 대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터치 조작이 유지되는 동안 탭핑 조작이 병행되는 멀티터치 조작에 의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기능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입력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입력속도를 단축할 수 있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터치패널 작동방법은,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 다른 일측의 탭핑(tapping)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 판별된 결과에 따라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개인휴대단말기는 전화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회의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블로깅 어플리케이션,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기능의 실행이 대기화면 모드에서 지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된다 함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치패널에 접촉된 후, 터치패널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며 신체 또는 입력도구의 정지 또는 이동(일종의 드래그 방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의 탭핑 조작이라 함은 터치 조작과 달리 순간적(일종의 클릭 방식)으로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치패널에 접촉되고 모션이나 제스쳐가 아닌 한 지점에서의 탭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터치 조작 및 탭핑 조작은 사용자의 한손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두손을 이용하여 터치 조작 및 탭핑 조작을 구현할 수 있으며, 다르 게는 신체와 입력도구를 함께 이용하여 터치 조작 및 탭핑 조작을 구현할 수도 있다.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를 판별하게 되는 바,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한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 판별 조건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패널의 영역이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상부영역, 하부영역,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탭핑 조작 부위가 상부영역, 하부영역,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 중 어디인지를 판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령, 터치패널의 영역에서 상부영역 및 하부영역은 터치 조작 부위를 통과하는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될 수 있고,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은 터치 조작 부위를 통과하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영역 및 하부영역과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과의 경계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10~50° 각도(θ)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패널의 영역이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전술한 4개의 영역보다 더 작은 개수로 혹은 더 많은 개수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 영역의 경계 역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탭핑 조작에 따른 탭핑 신호가 상부영역, 하부영역,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 중 어디인지에 따라 실행되는 특정 기능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탭핑 조작에 따른 탭핑 신호가 상부영역에서 입력되면 확대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탭핑 조작에 따른 탭핑 신호가 하부영역에서 입력되면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탭핑 조작에 따른 탭핑 신호가 좌측영역에서 입력되면 반시계 방향 회전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으며, 탭핑 조작에 따른 탭핑 신호가 우측영역에서 입력되면 시계 방향 회전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라 함은 활성화되는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사진의 회전, 확대, 축소 및 편집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음악의 재생, 멈춤 및 스킵(skip)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전화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통화 음량의 조절, 전화번호부, 통화중녹음, 메모작성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촬영설정, 환경설정, 플래시, 줌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이외에도, 특정 기능은 저장, 삭제, 되살리기(뒤로 가기), 다시 실행(앞으로 가기), 보내기, 잘라내기, 관리, 검색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 부위와 탭핑 조작 부위 사이의 거리에 따라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복수회 반복적인 탭핑 조작에 대응하여 탭핑 조작의 횟수에 따라,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 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지점에서의 동시 탭핑 조작에 대응하여 동시 탭핑 조작 부위의 개수에 따라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의 서로 이격된 두 지점에서 동시 탭핑 조작이 이루어질 경우, 현재 상태의 이미지의 전단계로 돌아가는 기능(되살리기 또는 뒤로 가기)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이 해제되면 특정 기능이 실행되기 전 상태로 되돌아 가거나 초기 상태로 초기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의 다른 일측에서 다른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의 다른 일측에서 다른 터치 조작이 감지될 경우, 다른 터치 조작에 따른 터치 신호가 터치패널의 일 지점에서 입력되는지, 또는 터치패널의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지점에서 입력되는지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및 탭핑 조작에 의해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동안 특정 기능에 관련된 실행 상태에 대응되는 표시아이콘이 일시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모드에서 확대 및 회전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동안에는, 사용 자가 확대 및 회전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확대 및 회전 기능에 관련된 표시아이콘이 일시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저장 및 되살리기 기능에 관련된 표시아이콘이 일시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터치패널의 작동방법에 관련된 구동 알고리즘은 구동칩(driving chip)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동칩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피씨비(PCB) 또는 에프피씨비(FPCB)에 실장되어 터치패널의 구동 및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터치패널 작동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개인휴대단말기에서 터치패널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칩은,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고,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 다른 일측의 탭핑(tapping) 조작이 감지되면,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 동시 탭핑 조작 부위의 개수, 터치 조작 부위와 탭핑 조작 부위 사이의 거리, 및 탭핑 조작의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개인휴대단말기의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독립적인 신호를 출력한다. 일 예로, 구동칩은,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를 판별할 시, 터치패널의 영역에서 탭핑 조작 부위가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상부영역, 하부영역,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 중 어디인지를 판별하며, 판별된 결과에 따라 개인휴대단말기의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2종 이상의 독립적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구동칩은 터치 조작이 해제되면 특정 기능이 실행되기 전 상태로 되돌리거나 초기 상태로 초기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에 의하면,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과 탭핑 조작이 병행되는 멀티터치 조작에 의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기능이 실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각종 기능에 관련된 입력작업을 보다 손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 부위에 기준으로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보다 간편하게 실행시킬 수 있으며, 사용상 편리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방법을 각각 별도로 숙지해야 할 필요없이, 각종 기능을 빠르고 간단하게 실행시킬 수 있으며, 각종 기능 실행에 필요한 입력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 부위와 탭핑 조작 부위 사이의 거리, 탭핑 조작의 횟수, 및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지점에서의 동시 탭핑 조작에 따라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자유롭게 각종 입력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과 탭핑 조작에 의해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기능 실행을 위한 입력조작시 단순히 입력작업을 수행하는 수준을 넘어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작동방법으로서, 터치 및 탭핑 조작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작동방법으로서, 터치 조작 부위에 대한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에 따라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터치패널 작동방법은,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100) 다른 일측의 탭핑(tapping)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S20), 상기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 부위(TP)의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S30), 상기 판별된 결과에 따라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계(S40)를 포함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100)이라 함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통상의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패널(100)의 종류 및 구동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개인휴대단말기는 전화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회의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블로깅 어플리케이션,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기능의 실행이 대기화면 모드에서 지원되 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 조작과 탭핑 조작이 병행되는 멀티터치 조작에 의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 부위(TP)의 위치가 어디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을 감지한다.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예를 들어, 스타일러스펜)가 터치패널(100)에 접촉될 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에 따른 터치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에는 별도의 기능이 실행되지 않으며, 이러한 터치 조작 상태는 터치 조작 다음 실행되는 탭핑 조작에 따른 특정 기능을 빠르게 실행시키기 위한 일종의 대기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100)의 다른 일측의 탭핑(tapping) 조작을 감지한다. 상기 탭핑 조작은 전술한 터치 조작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치패널(100)에 접촉될 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된다 함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치패널(100)에 접촉된 후, 터치패널(1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며 신체 또는 입력도구의 정지 또는 이동(일종의 드래그 방식)에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100)의 탭핑 조작이라 함은 터치 조작과 달리 순간적(일종의 클릭 방식)으로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치패널(100)에 접촉되고 모션이나 제스쳐가 아닌 한 지점에서의 탭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2과 같이, 터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는 연속적인 접촉신호로 이해될 수 있고, 탭핑 조작에 의한 탭핑신호는 비교적 짧게 끊어진 접촉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 및 탭핑 조작이 사용자의 한손으로 구현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손가락(예를 들어,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패널(100)의 일측을 터치 조작하고, 상기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나머지 다른 손가락(예를 들어,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패널(100)의 다른 일측을 가볍게 탭핑 조작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두손을 이용하여 터치 조작 및 탭핑 조작을 구현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신체와 입력도구를 함께 이용하여 터치 조작 및 탭핑 조작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 부위(TP)의 위치를 판별한다. 즉, 이 단계에서는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이 터치 조작 부위(T)에 대해 어느 지점에서 이루어졌는지를 판별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터치패널(100)의 영역이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상부영역(A), 하부영역(B), 좌측영역(D) 및 우측영역(C)으로 분할되며, 상기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 부위(TP)의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탭핑 조작 부위(TP)가 상기 상부영역(A), 하부영역(B), 좌측영역(D) 및 우측영역(C) 중 어디인지를 판별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도 3과 같이, 상기 터치패널(100)의 영역에서 상부영역(A) 및 하부영역(B)은 터치 조작 부위(T)를 통과하는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될 수 있고, 좌측영역(D) 및 우측영역(C)은 터치 조작 부위(T)를 통과하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영역(A) 및 하부영역(B)과 좌측영역(D) 및 우측영역(C)과의 경계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10~50° 각도(θ)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부영역(A) 및 하부영역(B)과 좌측영역(D) 및 우측영역(C)과의 경계 각도(θ)가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10°의 각도보다 작거나 50°의 각도보다 클 경우에는 상부영역(A) 및 하부영역(B)에 비해 좌측영역(D) 및 우측영역(C)이 비대칭적으로 너무 작게 작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함 및 인체 공학적 측면(예를 들어, 관절을 중심으로 손가락의 운동 범위)을 고려하여, 상부영역(A) 및 하부영역(B)과 좌측영역(D) 및 우측영역(C)과의 경계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10~50° 각도로 경사지게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패널(100)의 영역은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상부영역(A), 하부영역(B), 좌측영역(D) 및 우측영역(C)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탭핑 조작에 따른 탭핑 신호가 상부영역(A), 하부영역(B), 좌측영역(D) 및 우측영역(C) 중 어디인지 판별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판별된 결과에 따라, 즉,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 부위(TP)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라 함은 활성화되는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사진의 회전, 확대, 축소 및 편집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음악의 재생, 멈춤 및 스킵(skip)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전화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통화 음량의 조절, 전화번호부, 통화중녹음, 메모작성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촬영설정, 환경설정, 플래시, 줌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이외에도, 특정 기능은 저장, 삭제, 되살리기(뒤로 가기), 다시 실행(앞으로 가기), 보내기, 잘라내기, 관리, 검색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터치 조작 부위(T)에 대한 탭핑 조작 부위(TP)의 위치에 따라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단계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도 3과 같이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탭핑 조작이 상부영역(A)에서 이루어지면 이미지 확대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도 4와 같이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탭핑 조작이 하부영역(B)에서 이루어지면 이미지 축소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탭핑 조작이 우측영역(C)에서 이루어지면 이미지의 시계 방향 회전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도 6과 같이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탭핑 조작 이 좌측영역(D)에서 이루어지면 이미지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널(100)의 영역이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상부영역(A), 하부영역(B), 좌측영역(D) 및 우측영역(C)을 포함하는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패널의 영역이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전술한 4개의 영역보다 더 작은 개수로 혹은 더 많은 개수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 영역의 경계 역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패널의 영역이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상부영역 및 하부영역(또는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 두개의 영역만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탭핑 조작에 따른 탭핑 신호가 상부영역에서 입력되면 확대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탭핑 조작에 따른 탭핑 신호가 하부영역에서 입력되면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터치 조작 부위(T)와 탭핑 조작 부위(TP) 사이의 거리에 따라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탭핑 조작이 상부영역(A)에서 이루어지는 조건 하에서, 터치 조작 부위(T)와 탭핑 조작 부위(TP) 사이의 거리가 "L1"일 경우에는 이미지의 확대 배율(또는 속도)이 2배율로 실행될 수 있으며, 터치 조작 부위(T)와 탭핑 조작 부위(TP) 사이의 거리가 전술한 "L1" 큰 "L2"일 경우에는 이미지의 확대 배율(또는 속도)이 4배율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탭핑 조작이 상부영역(A)에서 이루어지는 조건에서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탭핑 조작이 하부영역(B), 좌측영역(D) 및 우측영역(C) 중 어느 하나에서 이루어지는 조건에서도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복수회 반복적인 탭핑 조작에 대응하여 탭핑 조작의 횟수에 따라,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100) 다른 일측의 동일한 부위에 두번의 탭핑 조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현재 상태의 이미지의 저장에 관련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반복적인 탭핑 조작에 의해 저장에 관련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반복적인 탭핑 조작에 의해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예를 들어, 확대 배율)가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탭핑 조작의 반복 횟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3회 또는 그 이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탭핑 조작의 반복 횟수에 따라,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지점에서의 동시 탭핑 조작에 대응하여 동시 탭핑 조작 부위(TP)의 개수에 따라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100)의 서로 이격된 두 지점에서 동시 탭핑 조작이 이루어질 경우, 현재 상태의 이미지의 전단계로 돌아가는 기능(되살리기 또는 뒤로 가기)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지점에서의 동시 탭핑 조작에 의해 특정 기능이 실행되기 전 상태로 되돌아 가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지점에서의 동시 탭핑 조작에 의해 이미지가 초기 상태로 초기화되거나,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예를 들어, 확대 배율)가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동시 탭핑 조작 부위(TP)의 개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3 또는 그 이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동시 탭핑 조작 부위(TP)의 개수에 따라,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이 해제되면 특정 기능이 실행되기 전 상태로 되돌아 가거나 초기 상태로 초기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터치 조작이 해제되면 이미지가 초기 상태로 초기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 조작의 해제에 따라 특정 기능이 실행되기 바로 전 상태로 되돌아 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T1)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100)의 다른 일측에서 다른 터치 조작(T2)이 감지되면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터치 조작(T1)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다른 터치 조작(T2)이 상부영 역(A)에서 이루어질 경우, 다른 터치 조작(T2)이 유지되는 동안 이미지의 확대가 소정의 배율 및 속도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른 터치 조작이 상부영역(A)에서 이루어지는 조건에서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터치 조작이 하부영역(B), 좌측영역(D) 및 우측영역(C) 중 어느 하나에서 이루어지는 조건에서도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단순히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100)의 다른 일측에서 다른 터치 조작이 감지될 경우,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100)의 다른 일측에서 다른 터치 조작이 감지될 경우, 상기 다른 터치 조작에 따른 터치 신호가 터치패널(100)의 일 지점에서 입력되는지, 또는 터치패널(100)의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지점에서 입력되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결과에 따라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설명에서는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탭핑 조작이 감지되면 단순히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 및 탭핑 조작에 의해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동안 특정 기능에 관련된 실행 상태에 대응되는 표시아이콘(200)이 일시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모드에서 확대 및 회전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확대 및 회전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확대 및 회전 기능에 관련된 표시아이콘이 일시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저장 및 되살리기 기능에 관련된 표시아이콘이 일시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참고로, 표시아이콘(200)이 일시적으로 활성화된다 함은,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동안에만 표시아이콘(200)이 활성화되어 표시되고, 특정 기능의 실행이 완료된 후에는 표시아이콘(200)이 자동적으로 사라지도록 비활성화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터치패널의 작동방법에 관련된 구동 알고리즘은 구동칩(driving chip)에 적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칩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피씨비(PCB) 또는 에프피씨비(FPCB)에 실장되어 터치패널의 구동 및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에서 터치패널의 구동을 위한 구동칩은(300),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고,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100) 다른 일측의 탭핑(tapping) 조작이 감지되면,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일 예로, 구동칩(300)은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를 판별할 시, 터치패널(100)의 영역에서 탭핑 조작 부위가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상부영역, 하부영역,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 중 어디인지를 판별하며, 판별된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칩(300)은 터치 조작 부위와 탭핑 조작 부위 사이의 거리, 복수회 반복적인 탭핑 조작에 대응하는 탭핑 조작의 횟수, 터치패널(100)의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지점에서의 동시 탭핑 조작에 대응하는 동시 탭핑 조작 부위의 개수, 및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100)의 다른 일측에서의 다른 터치 조작에 따라, 대응되는 "독립적인 신호"(거리 신호, 탭핑 조작 횟수 신호, 동시 탭핑 조작 개수 신호, 다른 터치 조작 신호)를 각각 출력하거나, 상기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터치 조작 부위에 대한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 신호, 이하 "위치 신호"라 지칭한다)와 함께 독립적인 신호가 각각 처리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 및 "독립적인 신호"를 이용하거나,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를 가변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칩(300)은 터치 조작이 해제되면 특정 기능이 실행되기 전 상태로 되돌리거나 초기 상태로 초기화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칩(300)은 상기 터치 조작 부위와 상기 탭핑 조작 부위 사이의 거리에 따른 "거리 신호"를 독립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메인 구동칩(미도시)은 "위치 신호" 및 "거리 신호"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구동칩(300)은 복수회 반복적인 상기 탭핑 조작에 대응하여 탭핑 조작의 횟수에 따른 "탭핑 조작 횟수 신호"를 독립적으로 출력하거나, "위치 신호"와 함께 "탭핑조작 횟수 신호"가 처리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메인 구동칩(미도시)은 "위치 신호" 및 "탭핑조작 횟수 신호"를 이용하거나, 상기 "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를 가변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도 8 참조)
또한, 구동칩(300)은 상기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의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지점에서의 동시 탭핑 조작에 대응하여 동시 탭핑 조작 부위의 개수에 따른 "동시 탭핑 조작 개수 신호"를 독립적으로 출력하거나, "위치 신호"와 함께 "동시 탭핑 조작 개수 신호"가 처리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메인 구동칩(미도시)은 "위치 신호" 및 "동시 탭핑 조작 개수 신호"를 이용하거나,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를 가변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도 9 참조)
또한, 구동칩(300)은 상기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터치패널의 다른 일측에서 다른 터치 조작이 감지됨에 따른 "다른 터치 조작 신호"를 독립적으로 출력하거나, "위치 신호"와 함께 "다른 터치 조작 신호"가 처리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메인 구동칩(미도시)은 "위치 신호" 및 "다른 터치 조작 신호"를 이용하거나, 상기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를 가변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도 11 참조)
참고로, 전술한 설명에서 제어신호라 함은, 서로 다른 두가지 신호의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의 독립적인 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신호"와 "개수 신호"는 두가지 정보(위치+개수)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독립적인 "위치개수신호"로 처리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작동방법으로서, 터치 및 탭핑 조작에 따라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작동방법으로서, 터치 조작 부위에 대한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에 따라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작동방법으로서, 터치 조작 부위와 탭핑 조작 부위 사이의 거리에 따라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작동방법으로서, 탭핑 조작의 횟수 및 탭핑 조작 부위의 개수에 따라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작동방법으로서, 터치 조작이 해제됨에 따라 특정 기능이 실행되기 전 상태로 되돌아 가거나 초기 상태로 초기화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작동방법으로서,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다른 터치 조작이 감지될 경우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터치패널 300 : 구동칩

Claims (16)

  1.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터치패널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터치패널 다른 일측의 탭핑(tapping)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된 결과에 따라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영역은 상기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정의되고,
    상기 터치패널의 영역에서 상기 탭핑 조작 부위가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디인지를 판별하며, 상기 판별된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를 판별하는 단 계에서는,
    상기 터치패널의 영역에서 상기 탭핑 조작 부위가 상기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상부영역, 하부영역,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 중 어디인지를 판별하며,
    상기 판별된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영역 및 상기 하부영역은 상기 터치 조작 부위를 통과하는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좌측영역 및 상기 우측영역은 상기 터치 조작 부위를 통과하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에 제공되며,
    상기 상부영역 및 상기 하부영역과, 상기 좌측영역 및 상기 우측영역과의 경계는 상기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10~50° 각도로 경사지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탭핑 조작에 따른 탭핑 신호가 상기 상부영역에서 입력되면 확대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고,
    상기 탭핑 조작에 따른 탭핑 신호가 상기 하부영역에서 입력되면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고,
    상기 탭핑 조작에 따른 탭핑 신호가 상기 좌측영역에서 입력되면 반시계 방향 회전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고,
    상기 탭핑 조작에 따른 탭핑 신호가 상기 우측영역에서 입력되면 시계 방향 회전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 부위와 상기 탭핑 조작 부위 사이의 거리에 따라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회 반복적인 상기 탭핑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탭핑 조작의 횟수에 따라,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터치패널의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지점에서의 동시 탭핑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동시 탭핑 조작 부위의 개수에 따라,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지점에서의 동시 탭핑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특정 기능이 실행되기 전 상태로 되돌아 가거나 초기 상태로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이 해제되면 상기 특정 기능이 실행되기 전 상태로 되돌아 가거나 초기 상태로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특정 기능에 관련된 실행 상태에 대응되는 표시아이콘이 일시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터치패널 작동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터치패널의 다른 일측에서 다른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터치 조작에 따른 터치 신호가 상기 터치패널의 일 지점에서 입력 되는지, 또는 상기 다른 터치 조작에 따른 터치 신호가 상기 터치패널의 서로 이격된 적어도 두 지점에서 입력되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거나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작동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패널 작동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개인휴대단말기에서 터치패널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칩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고, 상기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터치패널 다른 일측의 탭핑(tapping)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 동시 탭핑 조작 부위의 개수, 상기 터치 조작 부위와 탭핑 조작 부위 사이의 거리, 및 탭핑 조작의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결과에 따라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독립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구동칩.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칩은,
    상기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탭핑 조작 부위의 위치를 판별할 시, 상기 터치패널의 영역에서 상기 탭핑 조작 부위가 상기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상부영역, 하부영역, 좌측영역 및 우측영역 중 어디인지를 판별하며,
    상기 판별된 결과에 따라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응용프로그램에 관련된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2종 이상의 독립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구동칩.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칩은,
    상기 터치 조작이 해제되면 상기 특정 기능이 실행되기 전 상태로 되돌리거나 초기 상태로 초기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구동칩.
KR1020090122760A 2009-12-10 2009-12-10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 Withdrawn KR20110066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760A KR20110066025A (ko) 2009-12-10 2009-12-10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760A KR20110066025A (ko) 2009-12-10 2009-12-10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025A true KR20110066025A (ko) 2011-06-16

Family

ID=4439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760A Withdrawn KR20110066025A (ko) 2009-12-10 2009-12-10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602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830B1 (ko) * 2011-10-06 2013-08-23 주식회사 유비온 터치를 이용한 전자학습 단말 학습 컨텐츠의 재생방향, 속도 제어 방법
KR101328202B1 (ko) * 2012-12-03 2013-11-20 김정수 제스처 입력을 통한 기능 수행 명령실행 방법 및 장치
WO2014065462A1 (ko) * 2012-10-25 2014-05-01 You Wonkee 멀티터치 제어 시스템
KR101412431B1 (ko) * 2012-12-11 2014-06-25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멀티 터치와 탭핑을 결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기기
KR20180068027A (ko) * 2016-12-13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10223692B2 (en) 2012-11-28 2019-03-05 Mozido Corfire-Korea, LTD. Method for setting temporary payment card and mobile device applying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830B1 (ko) * 2011-10-06 2013-08-23 주식회사 유비온 터치를 이용한 전자학습 단말 학습 컨텐츠의 재생방향, 속도 제어 방법
WO2014065462A1 (ko) * 2012-10-25 2014-05-01 You Wonkee 멀티터치 제어 시스템
US10223692B2 (en) 2012-11-28 2019-03-05 Mozido Corfire-Korea, LTD. Method for setting temporary payment card and mobile device applying the same
KR101328202B1 (ko) * 2012-12-03 2013-11-20 김정수 제스처 입력을 통한 기능 수행 명령실행 방법 및 장치
US9335899B2 (en) 2012-12-03 2016-05-10 Jungsoo Kim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function executing command through gesture input
KR101412431B1 (ko) * 2012-12-11 2014-06-25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멀티 터치와 탭핑을 결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기기
KR20180068027A (ko) * 2016-12-13 2018-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07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depending on a user&#39;s contact pattern
CN106909305B (zh) 显示图形用户界面的方法和设备
KR101224588B1 (ko) 멀티포인트 스트록을 감지하기 위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100801089B1 (ko) 터치 및 드래그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모바일 장치 및 그조작 방법
JP5759660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情報端末および入力方法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US2009010918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auncher, activ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10085189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US20120297339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KR20110066025A (ko)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
KR20130084209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20150153925A1 (en) Method for operating gestures and method for calling cursor
KR20120095155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40048756A (ko)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20095130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10084042A (ko)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
KR20110057027A (ko) 터치패널의 작동방법
KR20110047421A (ko) 터치패널의 작동방법
KR2013002394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10057711A (ko) 터치패널의 작동방법
KR20140020570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40048755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셋팅방법
KR100871296B1 (ko) 단말기 인터페이스 최적화 방법 및 시스템
CN102298484B (zh) 便携式电子装置及其软件对象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