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62877A - 펜 이어폰 - Google Patents

펜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2877A
KR20110062877A KR1020090119730A KR20090119730A KR20110062877A KR 20110062877 A KR20110062877 A KR 20110062877A KR 1020090119730 A KR1020090119730 A KR 1020090119730A KR 20090119730 A KR20090119730 A KR 20090119730A KR 20110062877 A KR20110062877 A KR 20110062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pen
touch
pda
ph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수
Original Assignee
한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수 filed Critical 한성수
Priority to KR102009011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2877A/ko
Publication of KR2011006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877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05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sound or noise making devices, e.g. radio, ala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일측과 타측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부 양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몸체; 사용자의 귀에 끼워져 음성, 음향을 송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측에 설치된 이어폰코드릴에 의해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어폰부재; 상기 이어폰부재로 음성, 음향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측에 설치되는 PCB기판; 상기 PDA, 터치폰과 연결되어 PCB기판으로 신호를 인가해 이어폰부재로 음성, 음향을 송출할 수 있도록 PCB기판과 연결되어 몸체 내측에 설치된 연결잭선코드릴에 의해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잭; 상기 몸체 일측에는 사용자의 목에 걸려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측에 설치된 목걸이코드릴에 의해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목걸이; 및 상기 목걸이 일측에 PDA, 터치폰에 설치될 수 있도록 고리가 몸체에서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종래처럼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폰, 터치폰(셀룰러, PCS폰 등) 등에서 사용하는 터치펜, 이어폰, 악세사리 등을 각각 휴대하지 않아도 하나의 부속품을 통해 2가지 이상(이어폰, 터치펜, 악세사리)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휴대가 용이한 것은 물론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어폰, 터치펜, 유선형, 이어폰부재, 코드릴

Description

펜 이어폰{THE PEN EARPHONE}
본 발명은 펜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폰, 터치폰(셀룰러, PCS폰 등), 태블릿PC, 넷북, 노트북, e-북 등과 같은 기기에 연결하여 이어폰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폰, 터치폰(셀룰러, PCS폰 등) 태블릿PC, 넷북, 노트북, e-북 등의 디스플레이(화면)에 터치하는 입력장치로 사용하는 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디에이폰은 휴대용 컴퓨터의 일종으로, 집이나 사무실에 있는 컴퓨터로 작성한 문서 파일을 집어넣으면 이동하면서도 계속 작업이 가능하고, 전자수첩과 마찬가지로 개인 정보 관리나 일정 관리가 가능한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를 말한다. 초기에는 계산이나 일정 관리 등 제한된 용도로만 사용되다가 정보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포스트 PC'의 대표적인 정보통신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손으로 쓴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컴퓨터를 통한 정보 교류는 물론, 온라인 주식거래나 전자상거래 등 무선인터넷의 모든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또 이동전화와 결합해 각종 교통정보를 알 수 있으며, 팩시밀리 기능도 수행하는 등 다양한 기능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PDA폰의 경우, 그 화면이 컴퓨터와 같이 크게 형성된 디스플레이(모니터)가 크지 않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터치펜이 부가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터치펜의 경우, PDA폰 등의 화면을 터치하기 위한 기능만이 있을 뿐 다른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때로는 그 휴대가 매우 번거로운 점이 있다.
그리고 터치펜 이외에 다른 부가적인 부재를 더 가지고 다니는데, 예를 들어 이어폰이 그 일례이다.
상기 이어폰 및 터치펜을 각각 함께 가지고 다니므로 인하여 그 휴대가 매우 불편하고, 또한 이어폰을 사용하면서 터치펜을 이용할 시에 이어폰의 줄 등에 의해 터치펜의 사용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폰, 터치폰(셀룰러, PCS폰 등) 등과 같은 기기에 연결하여 이어폰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폰, 터치폰(셀룰러, PCS폰 등), 태블릿PC, 넷북, 노트북, e-북 등의 디스플레이(화면)에 터치하는 입력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펜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펜 이어폰에 있어서, 일측과 타측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부 양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몸체; 사용자의 귀에 끼워져 음성, 음향을 송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측에 설치된 이어폰코드릴에 의해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어폰부재; 상기 이어폰부재로 음성, 음향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측에 설치되는 PCB기판; 상기 PDA, 터치폰과 연결되어 PCB기판으로 신호를 인가해 이어폰부재로 음성, 음향을 송출할 수 있도록 PCB기판과 연결되어 몸체 내측에 설치된 연결잭선코드릴에 의해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잭; 상기 몸체 일측에는 사용자의 목에 걸려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측에 설치된 목걸이코드릴에 의해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목걸이; 및 상기 목걸이 일측에 PDA, 터치폰에 설치될 수 있도록 고리가 몸체에서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이어폰을 제공한다.
또한, 이어폰부재는 일측에는 사용자의 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스피커를 갖는 이어폰이 구성되고, 상기 PDA, 터치폰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할 수 있도록 원불형상의 펜이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과 펜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 일측에는 몸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이어폰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펜이어폰은 PDA, 터치폰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할 수 있도록 터치펜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이어폰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PCB기판에는 PDA, 터치폰으로부터 신호를 무선으로 인가받을 수 있도록 블루투스 기능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이어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처럼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폰, 터치폰(셀룰러, PCS폰 등) 등에서 사용하는 터치펜, 이어폰, 악세사리 등을 각각 휴대하지 않아도 하나의 부속품을 통해 2가지 이상(이어폰, 터치펜, 악세사리)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휴대가 용이한 것은 물론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펜 이어폰을 목에 걸고 다닐 수 있으므로 악세사리와 같은 효과를 창출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펜 이어폰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그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펜 이어폰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펜이어폰의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0), 이어폰부재(20), PCB기판(30), 연결잭(40), 목걸이(50) 및 고리(6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는 내측에 중공부(11)가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되게 결합공(12)이 형성되어 전체 형상이 유선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공(12)에서 연설되어 상기 이어폰부재(20)가 결합 될 수 있도록 몸체(10) 내주연에 'ㄱ'자 형상의 결합홈(13)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0) 외주연 일측에는 PDA, 터치폰 등과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도록 연결잭(40)이 결합 될 수 있도록 연결잭고정공(14)이 형성되고, 연결잭고정공 일측에는 연결잭선인출공(14a)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잭고정공(14)이 형성된 몸체(10) 다른 일측에는 목걸이인출공(15)이 형성되며, 목걸이인출공(15) 일측에는 고리인출공(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 양측에 형성된 결합공(12)에는 사용자가 통화, 음성 등을 들을 수 있도록 이어폰부재(20)가 구성된다.
상기 이어폰부재(20)는 상기 몸체(10) 내측에 형성된 중공부(11) 중앙에는 이어폰코드릴(21)이 설치되고, 상기 이어폰코드릴(21)에는 이어폰연결선(22)이 감기거나 풀려 지게 설치된다.
상기 이어폰연결선(22)의 일측에는 음성 또는 음향 등을 들을 수 있도록 스피커(미도시)를 갖는 이어폰(23)이 구성되고, 이어폰(23)의 일측에는 PDA, 터치폰, 태블릿PC, 넷북, 노트북, e-북 등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할 수 있도록 펜부재(24)가 결합된다.
상기 펜부재(24)는 일측은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끝단에 터치돌기(24a)가 형성된다.
상기 펜부재(24)와 상기 이어폰 사이에는 연결부재(25)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5)의 외주연 일측에는 몸체(10)의 결합홈(13)에 결합 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코드릴(21)의 하단부에는 PCB기판(30)이 설치되고, 상기 PCB기판(30)에는 연결잭(40)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어폰(23)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회로(미도시)가 구성되며, 상기 회로는 통상적으로 음향, 음성을 송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PCB기판(30)에는 PDA, 터치폰 등에 구성된 블루투스와 연결될 수 있도록 통상의 블루투스기능이 구성되어 PDA, 터치폰, 태블릿PC, 넷북, 노트북, e-북 등에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연결잭(40)은 PDA, 터치폰 등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잭(4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에 형성된 연결잭고정공(1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잭(40)의 일측에는 연결잭연결선(41)이 설치되며, 연결잭연결선(41)이 감겼다 풀렸다를 할 수 있도록 몸체(10) 내측 중공 부(11)에 연결잭선코드릴(42)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잭연결선(41)은 PDA, 터치폰 등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PCB기판(30)과 연결된다.
상기 이어폰코드릴(21), PCB기판(30), 연결잭선코드릴(4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층층으로 고정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층층으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품의 형상 또는 제조업체의 사정에 따라 그 설치 위치는 몸체(10) 내측에서 변화를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목걸이인출공(15)에는 사용자의 목에 걸려질 수 있도록 목걸이(50)가 구성되고, 상기 목걸이(50)의 일측에는 감겼다 풀렸다 할 수 있도록 목걸이코드릴(51)이 설치된다.
상기 목걸이인출공(15)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폰, 터치폰(셀룰러, PCS폰 등), 태블릿PC, 넷북, 노트북, e-북 등의 일측에 부속품으로 휴대할 수 있도록 고리(60)가 구성되며, 상기 고리(60)는 목걸이인출공(15) 일측에 형성된 고리인출공(16)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펜 이어폰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음악 또는 통화하기 위하여 PDA, 터치폰, 태블릿PC, 넷북, 노트북, e-북 등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PDA, 터치폰 태블릿PC, 넷북, 노트북, e-북 등과 연결하기 위해 먼저, 상기 몸체(10) 일측에 설치된 목걸이(50)를 인출한다.
상기 목걸이(50)는 몸체(10)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목걸이코드릴(51)에 감겨 있다가 사용자가 당기므로 인하여 목걸이코드릴(51)에서 풀리면서 소정 길이로 인출된다.
인출된 목걸이(50)를 사용자 목에 걸은 상태에서 상기 몸체(10)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잭(40)을 연결잭고정공(14)에서 이탈시킨 상태에서 당기면 상기 몸체(10)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잭선코드릴(42)에서 풀려 소정길이로 인출된다.
상기 인출된 연결잭(40)을 PDA, 터치폰 태블릿PC, 넷북, 노트북, e-북 등에 꼽아 음성, 음향 등이 상기 몸체(10)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PCB기판(30)으로 신호가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잭(40)을 PDA, 터치폰, 태블릿PC, 넷북, 노트북, e-북 등에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하거나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 양측에 결합되어 있는 이어폰부재(20)를 회전시켜 상기 몸체(10)와 분리해 이어폰(23)을 사용자 자신의 꼽는다.
상기 이어폰부재(20)가 몸체(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보면, 몸체(10)를 잡은 상태에서 이어폰부재(20)를 잡고 회전시키면, 이어폰(23)과 펜부재(24) 사이에 구성되어 있는 연결부재(25)의 결합돌기(26)가 회전한다.
상기 결합돌기(26)가 회전하는 것은 상기 몸체(10) 내주면 양측에 형성된 결합홈(13)을 따라 회전한다.
상기 결합돌기(13)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이어폰부재(20)를 당겨 상기 결합돌기(26)가 결합홈(13) 따라 이탈되도록 하여 몸체(10)에서 이어폰부 재(20)가 이탈되게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몸체(10)에서 이탈된 이어폰부재(20)를 귀에 꼽아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를 하거나 또는 음악, 게임, DMB 태블릿PC, 넷북, 노트북, e-북 등의 시청시 송출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부재(20) 또는 연결잭(40)을 몸체(1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이어폰부재(20) 또는 연결잭(40)을 살짝 잡아당기면, 이어폰코드릴(21), 연결잭선코드릴(42)에 고정된 상태가 풀리면서, 다시 이어폰코드릴(21) 또는 연결잭선코드릴(42)에 의해 이어폰연결선(22), 연결잭연결선(41)이 감기면서 이어폰부재(20) 또는 연결잭은 몸체(10) 내측으로 인입되어 전체 형상이 유선형서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어폰부재(20)가 몸체(10) 내측으로 인입될 때 사용자가 결합돌기(26)가 결합홈(13)으로 인입되도록 유도한다.
이때 사용자는 이어폰부재(20)가 완전 인입된 상태가 되면, 이어폰부재(20)를 회전시켜 몸체(10)에 결합되게 한다.
또한 상기 연결잭연결선(41)이 연결잭선코드릴(42)에 완전감기면 사용자는 연결잭(40)을 몸체(10)에 형성된 연결잭고정공(14)에 끼워 몸체(10)에 결합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유선형의 형태로 결합된 펜 이어폰을 잡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PDA, 터치폰 등의 디스플레이(화면)를 터치하여 PDA, 터치폰 태블릿PC, 넷북, 노트북, e-북 등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처럼 터치펜, 타일러스펜, 이어폰, 악세사리 등을 각각 휴대하지 않아도 하나의 부속품을 통해 2가지 이상(이어폰, 터치펜 또는 타일서스펜, 악세사리)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휴대가 용이한 것은 물론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펜 이어폰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펜이어폰의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중공부
12: 결합공 13: 결합홈
14: 연결잭고정공 14a: 연결잭선인출공
15: 목걸이인출공 16: 고리인출공
20: 이어폰부재 21: 이어폰코드릴
22: 이어폰연결선 23: 이어폰
24: 펜부재 25: 연결부재
26: 결합돌기 30: PCB기판
40: 연결잭 41: 연결잭연결선
42: 연결잭선코드릴 50: 목걸이
51: 목걸이코드릴 60: 고리

Claims (4)

  1. 펜 이어폰에 있어서,
    일측과 타측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내부 양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몸체;
    사용자의 귀에 끼워져 음성, 음향을 송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측에 설치된 이어폰코드릴에 의해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어폰부재;
    상기 이어폰부재로 음성, 음향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측에 설치되는 PCB기판;
    상기 PDA, 터치폰과 연결되어 PCB기판으로 신호를 인가해 이어폰부재로 음성, 음향을 송출할 수 있도록 PCB기판과 연결되어 몸체 내측에 설치된 연결잭선코드릴에 의해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잭;
    상기 몸체 일측에는 사용자의 목에 걸려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 내측에 설치된 목걸이코드릴에 의해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목걸이;
    상기 목걸이 일측에 PDA, 터치폰에 설치될 수 있도록 고리가 몸체에서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이어폰부재는 일측에는 사용자의 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스피커를 갖는 이어폰이 구성되고,
    상기 PDA, 터치폰의 디스플레이에 터치할 수 있도록 원불형상의 펜이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과 펜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 일측에는 몸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이어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이어폰은 PDA, 터치폰의 디스플레이를 터치할 수 있도록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펜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이어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B기판에는 PDA, 터치폰으로부터 신호를 무선으로 인가받을 수 있도록 블루투스 기능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 이어폰.
KR1020090119730A 2009-12-04 2009-12-04 펜 이어폰 Abandoned KR20110062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730A KR20110062877A (ko) 2009-12-04 2009-12-04 펜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730A KR20110062877A (ko) 2009-12-04 2009-12-04 펜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877A true KR20110062877A (ko) 2011-06-10

Family

ID=44396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730A Abandoned KR20110062877A (ko) 2009-12-04 2009-12-04 펜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287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899B1 (ko) * 2012-09-21 2014-03-12 송진의 블루투스 이어폰
KR101374008B1 (ko) * 2012-09-21 2014-03-12 송진의 블루투스 이어폰
KR200473590Y1 (ko) * 2014-05-14 2014-07-15 정선용 휴대형 단말의 스타일러스 펜
WO2015017947A1 (zh) * 2013-08-09 2015-02-12 Huang Chingcheng 一种耳机装置
WO2016032011A1 (en) * 2014-08-25 2016-03-03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ll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899B1 (ko) * 2012-09-21 2014-03-12 송진의 블루투스 이어폰
KR101374008B1 (ko) * 2012-09-21 2014-03-12 송진의 블루투스 이어폰
WO2015017947A1 (zh) * 2013-08-09 2015-02-12 Huang Chingcheng 一种耳机装置
KR200473590Y1 (ko) * 2014-05-14 2014-07-15 정선용 휴대형 단말의 스타일러스 펜
WO2016032011A1 (en) * 2014-08-25 2016-03-03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lling the same
US10057397B2 (en) 2014-08-25 2018-08-21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7940B2 (en) Wearable smar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8436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rough sub device that is connectabl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614644S1 (en) On screen keyboard for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mobile phones and tablet computers
KR20110062877A (ko) 펜 이어폰
KR20120136129A (ko) 액세서리 특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
CN108769387A (zh) 应用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10679155B (zh) 一种电子设备
WO2012012971A1 (zh) 一种手机手写笔及其应用的移动终端
WO2016000604A1 (zh) 带有触控笔的耳麦
CN204178320U (zh) 一种自带交互功能的键盘
KR102123814B1 (ko) 터치 센서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WO2016050169A2 (zh) 蓝牙耳机
CN204968062U (zh) 便携耳机
KR20140133294A (ko)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JP5344567B2 (ja) 装置内の操作機能を外部設備に移転する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3171610U (ja) 無線ヘッドセット装置
WO2016050167A1 (zh) 蓝牙耳机
TWD138202S1 (zh) 手機
CN105472071B (zh) 一种带有多功能耳机的手机
CN203632842U (zh) 带摄像功能的磁性分解式多用途耳机
CN205847512U (zh) 一种数字音源手持电子设备转模拟音源装置
CN204256666U (zh) 一种新型计算机外设
KR101515039B1 (ko) 모바일기기 케이스
CN219999408U (zh) 具有解码器的一体式智能手机
CN112738908B (zh) 电子设备连接方法、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07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5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7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716

Appeal identifier: 2010101005445

Request date: 20100716

P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P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100716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10101005445

Request date: 20100716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00716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007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005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007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007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005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