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097A - Ball pen - Google Patents
Ball pe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0097A KR20110060097A KR1020090116584A KR20090116584A KR20110060097A KR 20110060097 A KR20110060097 A KR 20110060097A KR 1020090116584 A KR1020090116584 A KR 1020090116584A KR 20090116584 A KR20090116584 A KR 20090116584A KR 20110060097 A KR20110060097 A KR 201100600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p
- ball
- spring
- tip body
- ro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8—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 B43K1/086—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with resilient supporting means for the ball, e.g. sp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팁 본체에 삽입되는 스프링부의 코일부는 압축 현상에 방해되지 않도록 코일부의 외경 부분은 팁의 내경과 억지 끼워 맞춤으로 구성되어 스프링부가 팁본체에 조립된 후에 스프링부가 팁 본체의 내경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아 볼의 회전에 따라 스프링부의 가압에 따라 볼 펜의 잉크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볼펜에 관한 것으로,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tip body is composed of an inner diameter of the tip and an interference fit so that the spring portion is removed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tip body so that the spring portion is assembled to the tip body so that the coil por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compression phenomenon. It relates to a ballpoint pen that does not come out and prevents the ink of the ballpoint pen from leaking to the outside due to the pressurization of the spring portion as the ball rotates.
그 구성은 선단에지부 및 다수의 내측돌출부를 갖는 금속성의 팁본체와; 선단에지부와 내측돌출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유지되는 볼과; 상기 팁본체 내부에 억지 끼워맞춤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볼을 전방으로 가압시키는 스프링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볼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한 면이 선단에지부의 내면과 밀접시키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일체로 형성되고 나선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볼의 동작에 따라 탄성을 제공하는 코일부로 구성되며, 상기 선단에지부는 팁본체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구부려 형성되고, 내측돌출부는 가압변형에 의해 형성되는 한편 팁본체의 내측면에 위치하면서 선단에지부의 후방으로 위치하며; 팁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뻗는 잉크유출간극을 인근하는 내측돌출부들 사이에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부는 잉크유출간극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잉크유출간극의 중심부의 가상내접원의 직경은 상기 스프링부의 로드부 외경 보다 크게 설정되며, 각 잉크유출간극의 최소치수는 로드부의 외경보다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includes a metallic tip body having a leading edge portion and a plurality of inner protrusions; A ball rotatably received and held between the leading edge portion and the inner protrusion portion; A rod part inserted into the tip main body in a press fit shape to press the ball forward, and the spring part presses the ball forward so that the one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eading edge part;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d portion and is composed of a spiral coil portion to provide elasticity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ball, the leading edge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inward from the tip of the tip body, the inner protrusion is formed by the pressure deform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tip body to the rear of the tip edge portion; An ink outflow gap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tip main body is formed between adjacent inner protruding portions, and the spring portion is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by the ink outflow gap, and a virtual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ink outflow gap is formed. The diameter of the inscribed circle is set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d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 and the minimum dimension of each ink outflow gap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d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볼 펜에 관한 것으로서, 팁 본체 내부에 억지 끼워맞춤 형태로 삽입하는 스프링부을 구비하여 볼펜의 볼을 전방으로 가압시키기 위해 선단에지부의 내면과 밀접시키는 로드부와 로드부의 일체로 형성되고 나선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볼의 동작에 따라 탄성을 제공하는 코일부를 구성함으로 볼의 회전동작에 따라 스프링부가 볼의 앞쪽으로 가압하는 타입의 볼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 pen, having a spr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tip body in the form of an interference fit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d portion and the rod portion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edge portion to press the ball of the ball pen forward. It relates to a ball-point pen of the type which is configured in a spiral to provide a coil portion to provide elasticity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ball by the spring portion to the front of the ball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ball.
일반적으로 펜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박편(1)에 잉크/공기 교환되는 교환홈(2)이 형성되어 잉크수용통(6)에 결합된 레귤레이터(3)와, 상기 레귤레이터(3)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잉크 유도심(4)과, 상기 레귤레이터(3)의 선단부에 설치된 팁(5)으로 구성된 것이다.Gener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en includes a
이러한 펜중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펜은 잉크 수용통(6)의 잉크가 상기 잉크 유도심(4)으로 흡수되어 상기 팁(5)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잉크 수용통(6)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온도, 충격 등에 의해 상승하게 될 경우 에, 상기 잉크 유도심(4)에 압력이 직접 작용하게 되어 팁(5)으로 잉크가 과도하게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필선이 안정적이지 못하였고, 팁(5)에 잉크 방울이 맺히는 누출현상이 발생하였던 것이다.Among these pens, a pen as shown in FIG. 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k in the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펜은 잉크 유도심(4)이 상기 레귤레이터(3)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잉크/공기가 교환되는 교환홈(2)의 하단부가 상기 잉크 유도심(4)이 설치된 수납관(8) 내부와 직각으로 연통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en as shown in Figure 2 is the
즉, 상기 교환홈(2)의 하단부와 수납관(8)이 " ┗" 자 형상으로 연통되어 잉크 수용통(6)의 잉크가 교환홈(2)을 통하여 상기 잉크 유도심(4)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이다.That i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펜은 상기 잉크 수용통(6)과 연통된 교환홈(2)이 하부가 폐쇄된 상태로 상기 수납관(8)과 직각으로 연통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잉크 수용통(6) 내부에서 압력이 상승할 경우에, 상승된 압력은 상기 교환홈(2)을 통하여 상기 수납관(8)에 직접 전달되고 있었고, 이로 인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잉크 수용통(6) 내의 잉크가 과도하게 팁(5)에 공급되어 필선이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However, the
즉, 상기 잉크 수용통(6) 내의 압력이 정상일 경우에는 잉크는 안정적으로 잉크 유도심(4)으로 공급되나, 온도가 상승하여 잉크 수용통(6)의 내압이 상승하게 되면, 온도의 상승으로 잉크의 점도가 저하되고 " P" 부분에서의 표면장력도 하강하며, 교환홈(2)의 하부가 폐쇄되어 있음으로, 내압은 상기 잉크 유도심(4)으로 작용하게 되어, 상기 팁(5)으로 잉크가 과도하게 공급되거나 압력이 가해져 필선이 불규칙하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공기 유입홈(7)으로 잉크가 누출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pressure in th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 내지 도 4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볼 펜의 내부구성은 선단부에 볼(12)을 회전가능하게 유지한 팁본체(11)와, 이 팁본체(11)의 후방부가 전방부에 압입고착된 홀더(16)와, 이 홀더(16)의 후방부가 선단개구부에 압입고착된 잉크수용관(17)과, 상기 팁본체(11) 내부 및 홀더(16)의 내부에 수용배치되고, 선단에 로드부(14)를 구비한 스프링(15)과, 상기 잉크수용관(17)의 후단개구부에 압입고착된 테일 플러그로 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s shown in FIGS. 3 to 4,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all pen includes a tip
상기 잉크수용관(17)은 양단이 개구된 원통체이고, 합성수지의 압출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이 잉크수용관(17)의 선단개구부는 팁본체(11)를 갖는 홀더(16)의 후방부가 압입고착되고, 한편, 잉크수용관(17)의 후단개구부에는 잉크(18)와, 이 잉크(18)의 후단에 배치된다.The
팁본체(11)는 금속제의 직선 원통형상의 미세관으로 된다. 상기 팁본체(11)의 선단부에는 내측으로의 가압변형에 의해 환상의 내향 선단에지부(19)가 형성된다. 또, 선단에지부(19)의 후방쪽의 팁본체(11)의 측벽내면에는 내측쪽의 가압변형에 의해 내측돌출부(20)가 둘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선단에지부(19) 내면과 내측돌출부(20)의 앞면과의 사이에 볼(12)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The
상기 내측돌출부(22)의 상호간에는 중심부로부터 잉크유출간극(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잉크유출간극(4)의 중심측에는 스프링(5)의 로드부(51)가 삽입되고, 이 로드부(51)의 선단이 볼(3) 후면에 접촉함으로써 볼(3)이 전방쪽으로 가압되도 록 구성되어 있다.An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볼(12)과 접속하는 로드부(51)의 길이가 길게 구성되어 상기 팁본체(11)의 외부에서 상기 로드부(51)와 일체로 구성된 스프링(15)의 장력이 인가됨으로 선단의 직선부분에 위치한 로드부(14)가 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부가적으로 상기 팁본체(11)와 연결되는 로드부(14) 및 스프링(15)의 구성을 가변적으로 설치할 수 없으므로 사용상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ength of the rod portion 51 connected to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볼 펜은 팁 본체 내부에 억지 끼워맞춤 형태로 삽입하는 스프링부을 구비하여 볼펜의 볼을 전방으로 가압시키기 위해 선단에지부의 내면과 밀접시키는 로드부와 로드부의 일체로 형성되고 나선형으로 구성된 코일부를 통해 볼의 회전동작에 따라 스프링부가 볼의 앞쪽으로 가압되도록 구성하여 기존의 볼의 접속에 의해 팁 본체 외부에 구성된 스프링의 코일이 가압되어 스프링의 동작에 의해 선단의 직선부분에 위치한 로드부가 가압세기에 따라 굽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볼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is that the ball pen is provided with a spring portion for inserting in the form of an interference fit inside the tip body to press the ball of the ball pen forwar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The coil of the spring which is formed outside the tip main body by the connection of the existing ball by the spring part is configured to be pressed toward the front of the ball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ball through the coil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d part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od part. This pressurization is to provide a ballpoint pen that can prevent the rod portion located in a straight portion of the tip by the operation of the spring to bend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strength.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선단에지부 및 다수의 내측돌출부를 갖는 금속성의 팁본체와; 선단에지부와 내측돌출부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유지되는 볼과; 상기 팁본체 내부에 억지 끼워맞춤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볼을 전방으로 가압시키는 스프링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볼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한 면이 선단에지부의 내면과 밀접시키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일체로 형성되고 나선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볼의 동작에 따라 탄성을 제공하는 코일부로 구성되며, 상기 선단에지부는 팁본체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구부려 형성되고, 내측돌출부는 가압변형에 의해 형성되는 한편 팁본체의 내측면에 위치하면서 선단에지부의 후방으로 위치하며; 팁본체의 중앙으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뻗는 잉크유출간극을 인근하는 내측돌출부들 사이에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부는 잉크유출간극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잉크유출간극의 중심부의 가상내접원의 직경은 상기 스프링부의 로드부 외경 보다 크게 설정되며, 각 잉크유출간극의 최소치수는 로드부의 외경보다 작게 구성된 볼 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tallic tip body having a leading edge portion and a plurality of inner protrusions; A ball rotatably received between the tip edge portion and the inner protrusion portion; A rod part inserted into the tip main body in a press fit shape to press the ball forward, and the spring part presses the ball forward so that the one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leading edge part;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d portion and is composed of a spiral coil portion to provide elasticity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ball, the leading edge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inward from the tip of the tip body, the inner protrusion is formed by the pressure deform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tip body to the rear of the tip edge portion; An ink outflow gap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tip main body is formed between adjacent inner protruding portions, and the spring portion is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by the ink outflow gap, and a virtual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ink outflow gap is formed. The diameter of the inscribed circle is set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d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 and the minimum dimension of each ink outflow gap provides a ball pen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d portion.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부 중 상기 로드부의 상면은 상기 팁본체의 선단에서 상기 볼과 접촉하며 내측으로 구부려 형성되어 상기 볼의 회전동작에 따라 상기 코일부의 가압동작에 따라 잉크유출 간극을 통해 잉크가 유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addition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d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ball at the tip of the tip main body is bent inward to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coil uni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bal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k is discharged through the ink outflow gap.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팁본체에 삽입되는 스프링부의 코일부은 압축 현상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코일부의 외경(B) 부분은 팁의 내경과 억지 끼워 맞춤으로 구성되어 스프링부가 팁본체에 조립된 후에 스프링부가 상기 팁본체의 내경으로 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tip body is the outer diameter (B) portion of the coil portion is composed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tip and the interference fit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mpression phenomenon, the spring portion tip After being assembled to the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spring portion is configured so as not to escape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tip body.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부의 로드부는 0.2 내 지 1.5 mm의 길이로 구성되고, 상기 로드부의 상면에서 팁본체의 선단에서 볼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d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 is composed of a length of 0.2 to 1.5 mm,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ball at the tip of the tip bod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d portion.
본 발명에 의한 볼 펜은 팁 본체 내부에 억지 끼워맞춤 형태로 삽입하는 스프링부을 구비하여 볼펜의 볼을 전방으로 가압시키기 위해 선단에지부의 내면과 밀접시키는 로드부와 로드부의 일체로 형성되고 나선형으로 구성된 코일부를 통해 볼의 회전동작에 따라 스프링부가 볼의 앞쪽으로 가압되도록 구성하여 기존의 볼의 접속에 의해 팁 본체 외부에 구성된 스프링의 코일이 가압되어 스프링의 동작에 의해 선단의 직선부분에 위치한 로드부가 가압세기에 따라 굽어지게 되고 볼에 적정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e ball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r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tip body in the form of an interference fit,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d portion and the rod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ip edge portion to press the ball of the ball pen forward. The spring part is configured to be pressed toward the front of the bal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all through the configured coil part, and the coil of the spring configured outside the tip main body is pressed by the existing ball connection, and the spring part is positioned on the straight part of the tip by the operation of the spring. The rod part is bent according to the pressure strength and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appropriate force is not applied to the ball.
또한, 팁 본체에 삽입되는 스프링부의 코일부은 압축 현상에 방해되지 않도록 코일부의 외경 부분은 팁의 내경과 억지 끼워 맞춤으로 구성되어 스프링부가 팁본체에 조립된 후에 스프링부가 팁 본체의 내경으로 부터 빠져 나오지 않아 볼의 회전에 따라 스프링부의 가압에 따라 볼 펜의 잉크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il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tip body is composed of an inner diameter of the tip and an interference fit so that the spring portion is assembled from the tip body so that the spring portion is pulled out from the inner diameter of the tip body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mpression phenomenon. Since it does not come ou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k of the ball pen from leaking out due to the pressurization of the spring part as the ball rotates.
또한, 스프링부의 로드부의 길이가 짧게 구성되어 볼펜을 사용하여 필기할 경우 팁 본체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된 스프링부에 의해 볼이 앞쪽으로 눌려지고, 볼의 동작에 따라 스프링부가 로드부로 코일 압축시 로드부에 좌굴이 발생하지 않고 볼에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로드부 및 코일부를 볼펜의 용도에 따라 가변 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볼펜을 선택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rod portion of the spr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short, the ball is pressed forward by the spr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tip of the tip body when writing using a ballpoint pen. It is possible to apply sufficient pressure to the ball without buckling at the part, and the rod part and the coil part can be applied variabl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ball pen, thereby selectively producing the ball p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펜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스프링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요부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팁 본체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낸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llpoint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ring portion of Figure 5, Figure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5, Figure 8 i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which shows the fastening state of a tip main body is shown.
상기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볼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allpoint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bove configuration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볼펜의 구성을 살펴보면, First,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ballpoint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본 실시예의 볼 펜(1)은 선단부에 볼(3)을 회전가능하게 유지한 팁본체(2)와, 이 팁본체(2)의 후방부가 전방부에 압입고착된 홀더(6)와, 이 홀더(6)의 후방부가 선단개구부에 압입고착된 잉크수용관(7)과, 상기 팁본체(2) 내부 및 홀더(6)의 내부에 수용배치되고, 선단에 로드부(51)를 구비한 스프링(5)과, 상기 잉크수용관(7)의 후단개구부에 압입고착된 테일 플러그(8)로 된다.The ball pen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본 발명의 크게 볼 펜(100)은 볼(120), 팁 본체(120), 스프링부(130) 및 잉크수용관(140)으로 구성된다.Large ball pe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즉, 선단에지부(150) 및 다수의 내측돌출부를 갖는 금속성의 팁 본체(110) 와, 상기 선단에지부(150)와 내측돌출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유지되는 볼(120)이 위치하고, 상기 스프링부(130)는 상기 팁 본체(110) 내부에 억지 끼워맞춤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볼(120)의 회전에 따라 볼(120)을 전방으로 가압시키도록 구성된다.That is, a
한편, 상기 스프링부(130)는 일체로 구성된 로드부(131) 및 코일부(133)로 그 구성을 나눌 수 있다. 즉, 상기 로드부(131)는 상기 볼(120)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로드부(131)의 돌출부가 상기 선단에지부(150)의 내면과 밀접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코일부(133)는 철 또는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로드부의 일체로 형성되어 나선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볼(120)의 동작에 따라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로드부(131)을 통해 상기 볼(120)을 가압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pring 130 may be divided into a
상기 스프링부(130) 중 상기 로드부(131)의 상면은 상기 팁 본체(110)의 선단에서 상기 볼(120)과 접촉하며, 상기 볼(120)의 회전동작에 따라 상기 코일부(133)의 가압동작에 따라 잉크유출 간극(160)을 통해 잉크가 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로드부(131)는 0.2 내지 1.5 mm의 길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선단에지부(150)는 팁 본체(110)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구부려 형성되고, 내측돌출부는 가압변형 의해 형성되며, 상기 팁 본체(110)의 내측면에 위치하면서 선단에지부(150)의 후방으로 위치한다. 또한, 상기 팁 본체(110)의 중앙 으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을 향해 방사상으로 뻗는 잉크유출간극(160)을 인근하는 내측돌출부들 사이에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부(130)는 잉크유출간극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잉크유출간극(160)의 중심부의 가상내접원의 직경은 상기 스프링부(130)의 로드부(133)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며, 각 잉크유출간극(160)의 최소치수는 로드부(133)의 외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첨부된 도 5의 구성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팁 본체(120)에 삽입되는 스프링부(130)의 코일부(133)은 압축 현상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코일부(133)의 외경(B) 부분은 팁의 내경과 억지 끼워 맞춤으로 구성되어 스프링부(130)가 팁 본체(110)에 조립된 후에 스프링부(130)가 상기 팁 본체(110)의 내경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5, the
상기 제시된 첨부된 도 6의 구성에서 스프링부(130)의 코일부 세부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코일부(130)는 전방(Front), 구동(Active), 후방(Tail) 코일로 구성되며, 상기 스프링부(130)의 코일부(133)는 로드부(131)와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 코일(C)은 3회 감기며, 전방코일과 일체로 구성되어 연결관계를 유지하는 구동 코일은 32회 감기며, 전방코일과 연결관계를 유지하며 상기 팁 본체(110)의 내경과 억지 끼움으로 구성되는 후방(C, D) 코일은 8 내지 9회 감기도록 구성되어 있다.Looking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il unit of the spring unit 130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ure 6, the coil unit 130 is composed of a front (front), a drive (Active), a rear (Tail) coil, the spring The
즉, 상기의 스프링부(130)의 코일부 코일 감김 정도는 당업자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팁 본체(110)와 억지끼움으로 구성되는 끝단의 코일 부분 이 전방(Front) 코일보다 그 직경이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coil winding degree of the coil portion of the spring 130 may b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이때, 상기 각 코일부(133) 및 로드부(131)의 규격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팁 본체(110)의 내경의 선경이 ㅨ0.10일 경우 내경과 삽입되는 코일부(133)의 직경(B)는 ㅨ0.48, 억지끼움으로 팁 본체(110)의 후면부에 체결되는 코일부(133)의 직경(B)는 ㅨ0.55, 상기 전방코일(C)은 0.3mm, 후방코일(D)은 0.2mm의 규격을 가지며, 선경이 ㅨ0.09일 경우 내경과 삽입되는 코일부(133)의 직경(B)는 ㅨ0.40, 억지끼움으로 팁 본체(110)의 후면부에 체결되는 코일부(133)의 직경(B)는 ㅨ0.45, 상기 전방코일(C)은 0.27mm, 후방코일(D)은 0.18mm의 규격을 가진다.At this time, looking at the specifications of each of the
부가적으로 먼저 상기 팁 본체(110)의 내경의 선경이 ㅨ0.08일 경우 내경과 삽입되는 코일부(133)의 직경(B)는 ㅨ0.40, 억지끼움으로 팁 본체(110)의 후면부에 체결되는 코일부(133)의 직경(B)는 ㅨ0.45, 상기 전방코일(C)은 0.24mm, 후방코일(D)은 0.16mm의 규격으로 구성되어 있다.Additionally, when the wire diameter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tip
첨부된 도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팁 본체(110)는 금속제 또는 스텐레스강제로 구성되어 직선 원통형상의 미세관으로 된다. 상기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팁 본체(110)의 선단부에는 내측으로의 가압변형에 의해 환상의 내향 선단에지부(150)가 형성된다. 또한, 선단에지부(150) 내면과 내측돌출부(153)의 앞면과의 사이(즉 볼 유지부)에 볼(120)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As shown in FIG. 7, the
상기 내측돌출부(153)의 상호간에는 중심부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의 3방향 이 상으로 방사상 연장된 잉크유출간극(16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잉크유출간극(160)의 중심측에는 로드부(131) 및 코일부(133)가 일체로 구성된 스프링부(130)가 팁 본체(110)의 내부에서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부(130)의 로드부(131)의 선단이 볼(120) 후면에 접촉함으로써 볼(120)이 전방쪽으로 가압된다.An
또한, 상기 내측돌출부(153)의 내면의 정상부는 원활한 곡면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내측돌출부(153)의 정상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볼(120)의 반경보다 큰 값으로 설정된다. 그것에 의해 상기 스프링부(130)의 로드부(131)를 후방에서 잉크유출간극(160)으로 삽입할 때 상기 로드부(131)의 선단이 내측돌출부(153)의 후면으로 끌리지 않게 되어 내측돌출부(153)의 후면을 따라서 원활하게 잉크유출 간극(160)의 중심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p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의 볼 펜(100)은 필기작업을 할 경우 팁 본체(110)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된 스프링부(110)에 의해 볼(120)이 앞쪽으로 눌려지고, 볼(120)의 동작에 따라 스프링부(110)가 로드부(131)가 스프링 압축시 좌굴되지 않고 볼에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볼의 동작에 따라 스프링부가 구동되어 로드부(131)을 통해 상기 잉크유출간격(160)을 통해 잉크수용부(140) 내에 수용된 잉크(141)와 유출되어 펜의 동작을 하게 된다.When the ball pen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writing, the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The invention being thus described, it will be obvious that the same way may be varied in many ways. Such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의 펜을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1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en
도 2는 도 1의 종래의 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의 일부확대 단면도2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onventional pen of FIG.
도 3은 종래의 팁 본체와 로드부가 분리된 펜의 실시예Figure 3 is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tip body and the rod portion separated pen
도 4는 도 3의 팁 본체와 로드부가 분리된 펜의 일부확대 단면도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tip body and the rod part of FIG. 3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펜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llpoint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스프링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ring portion of FIG.
도 7은 도 5의 요부 종단면도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팁 본체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the tip body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볼 펜 100: ball pen
110 : 팁 본체 120 : 볼110: tip body 120: ball
130 : 스프링부 130: spring portion
131 : 로드부 132 : 코일부131: rod portion 132: coil portion
140 : 잉크수용관 141 : 잉크140: ink container 141: ink
150 : 선단에지부 153 : 내측돌출부150: leading edge portion 153: inner projection
160 : 잉크유출간극160: ink outflow gap
A : 스프링부의 선경A: Wire diameter of spring part
B : 코일부의 외경B: outer diameter of coil part
C : 코일부의 전방코일의 선경C: Wire diameter of front coil of coil part
D : 코일부의 후방코일의 선경D: Wire diameter of rear coil in coil part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6584A KR20110060097A (en) | 2009-11-30 | 2009-11-30 | Ball p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6584A KR20110060097A (en) | 2009-11-30 | 2009-11-30 | Ball pe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0097A true KR20110060097A (en) | 2011-06-08 |
Family
ID=4439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6584A Abandoned KR20110060097A (en) | 2009-11-30 | 2009-11-30 | Ball pe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60097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21494A (en) * | 2021-02-08 | 2021-04-30 | 上海晨光文具股份有限公司 | Needle tube type spring pen point and processing technology thereof |
-
2009
- 2009-11-30 KR KR1020090116584A patent/KR20110060097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21494A (en) * | 2021-02-08 | 2021-04-30 | 上海晨光文具股份有限公司 | Needle tube type spring pen point and processing technology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309813B2 (en) | Collector type applicator | |
EP1308313B1 (en) | Ballpoint pen | |
JP7108097B2 (en) | marking pen | |
CN102348560B (en) | Ballpoint pen tip, ballpoint pen refill, ballpoint p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llpoint pen tip | |
KR20110060097A (en) | Ball pen | |
JP2017077730A (en) | Writing instrument | |
JP4877132B2 (en) | Ballpoint pen | |
JP5508630B2 (en) | Ballpoint pen | |
JP2013240950A (en) | Ballpoint pen tip | |
JP2008302672A (en) | Multi-core writing instrument | |
JP3927083B2 (en) | Knock-type ballpoint pen | |
CN217574646U (en) | Pen core and pen | |
JP4252824B2 (en) | Ballpoint pen | |
JP2006102956A (en) | Ball-point pen tip | |
JP7469185B2 (en) | fountain pen | |
CN221913851U (en) | A straight liquid watercolor pen | |
KR200166362Y1 (en) | Tip mechanism for knock-type ballpoint pen | |
JPWO2007063590A1 (en) | Filling writing instrument | |
JP3393102B2 (en) | Ballpoint pen tip | |
JP2011115949A (en) | Writing utensil | |
JP5853597B2 (en) | Coil spring for ballpoint pen tip | |
KR200342412Y1 (en) | Tip for Writing Instrument | |
JP6413572B2 (en) | Writing instrument | |
JP5750315B2 (en) | Swing-out mechanical pencil | |
HK1053287B (en) | Ballpoint p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19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