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823A - Shoe sole with ventilation effect - Google Patents
Shoe sole with ventilation effec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58823A KR20110058823A KR1020117006295A KR20117006295A KR20110058823A KR 20110058823 A KR20110058823 A KR 20110058823A KR 1020117006295 A KR1020117006295 A KR 1020117006295A KR 20117006295 A KR20117006295 A KR 20117006295A KR 20110058823 A KR20110058823 A KR 201100588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 sole
- region
- heel
- midsole
- s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side of the sol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braided, knotted, knitted or crocheted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26—Composites, e.g. carbon fibre or aramid fibre; the sole, one or more sole layers or sole part being made of a composit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386—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multilayered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 뒤꿈치 영역(16)에 공기 유입 개구(22)를 포함하고 발 중간 영역(24) 및/또는 족구-발가락 영역(26)에 공기 배출 개구(28)를 포함하는 중창 몸체(10)에 관한 것이다. 공기 유입 개구(22)는 환기 채널(30)을 통해 공기 배출 개구(28)와 연결된다. 이러한 환기 채널은 보행시 하중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겉창을 향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커버에 의해 덮인다. 상기 유형의 신발 밑창으로 보행할 때는 굴림 보행에 의해 환기 효과가 강제되고, 이에 따라 신발 바닥으로부터 열이 배출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dsole body (10) comprising an air inlet opening (22) in the heel region (16) and an air outlet opening (28) in the midfoot region (24) and / or foot-toe region (26). It is about. The air inlet opening 22 is connected with the air outlet opening 28 through the ventilation channel 30. This ventilation channel is covered by a cover that can bend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sole in the state of being loaded while walking. When walking with this type of shoe sole, the ventilation effect is enforced by a rolling walk, thereby dissipating heat from the sole of the shoe.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신발 바닥과, 청구항 제13항에 따른 신발 바닥을 구비한 보행 장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machine having a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amble of claim 1 and a shoe sole according to claim 13.
보행 장비를 위한 특수한 신발 바닥 구조는 "마사이 맨발 기술(Masai Barefoot Technology)", 줄여서 MBT(엠베테)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스위스 마사이(Swiss Masai)의 상표로도 알려져 있다. MBT 보행 장비의 특징은, 소프트 힐(soft heel) 부재, 이른바 "마사이 센서"가 삽입되어 있으며 보행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창(sole)의 형태에 있다. 중창은 그에 통합된, "섕크(shank)"라 불리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며, 이 보강 부재는 중창이 소프트 힐 부재의 상부에 놓이는 부분에서도 대체로 휘어지지 않도록 상기 중창을 보강한다. 이로써 의도적으로 부드럽고 불안정하게 만들어진 MBT 보행 장비의 신발 바닥 구조로 인해, 발은 생리학적 보행의 특성인 자세 유지 및 지탱의 특성을 상실한다. 이 경우 신체는 능동적으로 균형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바닥 구조는 자세성 근육 및 지탱성 근육의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MBT 보행 장비를 착용하면 이처럼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최소한의 균형 운동 및 안정적으로 서 있기 위한 발 근육의 긴장으로 인해, 일종의 조정력 훈련을 꾸준히 수행하게 되고, 추가의 골격근 부분들이 운동하게 된다. 특히 잘 쓰지 않았던 근육들이 훈련되고, 자세 및 걸음걸이가 개선되며, 몸에 탄력이 생기고 균형이 잡히게 된다. 또한 MBT 보행 장비를 착용하면, 척추, 골반, 다리 또는 발에 질병이 있는 경우 및 관절, 근육, 인대 또는 힘줄의 상해 시 도움이 되며, 고관절 및 슬관절의 부하를 완화시켜준다. 한편으로 MBT 보행 장비는 혈액 순환을 더 원활하게 함에 따라 발을 덥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신발 바닥은 상응하게 양호한 단열 특성을 수반하는 매우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열배출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신발 바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The special shoe sole structure for walking equipment is called "Masai Barefoot Technology", abbreviated MBT (Embete), and is also known as the Swiss Masai trademark. A feature of the MBT walking equipment is in the form of a soft heel member, a so-called "Masai sensor", which is inserted and curved convexly in the walking direction. The midsole includes a reinforcement member, called a "shank," integrated therein, which reinforces the midsole so that the midsole does not generally deflect even at the portion where it is placed on top of the soft heel member. Due to the shoe sole structure of the MBT walking equipment intentionally made soft and unstable, the foot loses the characteristics of posture maintenance and support,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physiological gait. In this case, because the body must be actively balanced, the bottom structure affects many parts of the postural and sustained muscles. Wearing MBT walking equipment continues to perform some sort of coordination training and additional skeletal muscle parts due to this constantly required minimum balance and tension of the foot muscles to stand steadily. In particular, poorly used muscles are trained, posture and gait improved, the body becomes elastic and balanced. Wearing MBT walking equipment also helps in cases of disease in the spine, pelvis, legs or feet, and injuries to joints, muscles, ligaments or tendons, and relieves the load on the hips and knees. MBT walking equipment on the one hand warms the feet as it improves blood circulation, and on the other hand the shoe sole has a very thick thickness with correspondingly good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shoe sole that allows for improved heat dissipation.
이는 다른 구조의 신발 바닥, 특히 스포츠용 신발의 신발 바닥에서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 아디다스(Adidas) 사의 "클리마쿨(ClimaCool)" 시리즈의 신발들은 창에 공기 구멍들을 갖는다.This is also necessary for shoe soles of other constructions, in particular shoe soles for sport shoes. For example, shoes of Adidas' "ClimaCool" series have air holes in the window.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열배출 특성을 갖는 신발 바닥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oe sole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properties.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신발 바닥에 의해 달성된다.This object is achieved by a shoe sole comprising the features of claim 1.
중창 몸체는 발 뒤꿈치 영역에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 개구를 갖고, 발 중간 영역 및 족구-발가락 영역에 공기 배출 개구를 갖는다. 공기 유입 개구와 공기 배출 개구는 환기 채널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환기 채널은 중창 몸체의 겉창 반대편 측면 -상부측- 에서 커버에 의해 덮인다. 이러한 커버는 보행시 하중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겉창 방향을 향해 휘어질 수 있다. 커버가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커버는 하중이 완화될 때 재차 최초의 형태로 복원된다.The midsole body has one or more air inlet openings in the heel region and air outlet openings in the midfoot and foot-toe region of the foot. The air inlet opening and the air outlet openin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ventilation channel. This ventilation channel is covered by a cover on the side-the upper side-opposite the outsole of the midsole body. Such a cover may be bent toward the outsole in a state where a load is applied during walking. Since the cover has elastic force, this cover is restored to the original form again when the load is relaxed.
이에 따라, 보행시 굴림 보행(rolling)으로 이동함으로써 필연적으로 신발 바닥 내에 일정한 공기 교환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열배출을 향상시킨다. 이에 따라 강제되는 공기 환기 효과는 공기가 공기 유입 개구를 통해 신발 바닥 내로 유입되어 공기 배출 개구에서 재배출되도록 하는데, 이는 발 아래쪽에 더워진 공기가 축적되는 것을 저지한다.Thereby, inevitably, constant air exchange occurs in the sole of the shoe by moving to rolling during walking, which improves heat dissipation. The forced air ventilation effect thus causes air to enter the soles of the shoes through the air inlet openings and re-discharge at the air outlet openings, which prevents the build up of hot air under the feet.
창 바닥의 압축을 통해, 또는 발 뒤꿈치가 놓여질 때 신발 바닥 커버의 압축을 통해, 환기 채널 내의 더워진 공기는 후속하는 굴림 보행 이동에 상응하게 공기 배출 개구를 통해 압축된다. 굴림 보행 이동의 진행 중에, 발 뒤꿈치 영역은 하중이 완화되는데, 이는 공기 유입 개구를 통한 환기 채널 내로의 신선한 공기의 흡입을 유도한다. 이러한 완전히 기계적인 원리를 위한 최적의 굴림 보행 이동과, 이에 수반되는 최적의 공기 환기 효과는 청구범위 제9항에 따른 신발 바닥에 의해 달성된다. 종래의 신발 바닥에 의해서는 상기 형태의 효율적인 공기 환기 효과가 달성되지 않을 것이다.Through the compression of the bottom of the window, or through the compression of the shoe bottom cover when the heel is placed, the warm air in the ventilation channel is compressed through the air outlet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subsequent rolling walk movement. During the progress of the rolling gait movement, the heel area is relieved of load, which leads to the intake of fresh air into the ventilation channel through the air inlet opening. The optimal rolling walk movement for this fully mechanical principle and the accompanying optimal air ventilation effect is achieved by the shoe sole according to claim 9. With conventional shoe soles, efficient air ventilation of this type will not be achieved.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바닥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나머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된다.Furth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remaining dependent claims.
하기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토대로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은 완전히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drawings are shown in full schematic.
도 1은 발 중간 영역 및 족구-발가락 영역에서 환기 채널을 통해 안쪽 측면의 공기 배출 개구 및 바깥쪽 측면의 공기 배출 개구와 흐름 연결되는, 발 뒤꿈치 영역의 2개의 공기 유입 개구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바닥의 중창 몸체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는 중창 몸체에 형성되며, 겉창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 유입 개구 및 공기 배출 개구를 구비하고, 중창 몸체는 소프트 힐 부재가 내부 배치되는 발 뒤꿈치 리세스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바닥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중창 몸체의 발 뒤꿈치 리세스 내에 배치된 소프트 힐 부재와 공기 유입 개구 및 공기 배출 개구를 마찬가지로 구비하지만, 이러한 공기 유입 개구 및 공기 배출 개구는 중창 몸체의 상부에 놓인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바닥의 추가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공기 투과성의 지지체층과, 이러한 지지체층에서 돌출된 이중 원뿔형 탄성 지탱 부재를 구비한 환기 채널을 위한 커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마찬가지로 공기 투과성의 지지체층을 포함하지만 지지체층으로부터 탄성 변형 가능한 파형 지탱 스트립이 돌출되는 커버의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가 도 4와 동일하게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공기 투과성의 지지체층과, 스페이서 패브릭(spacer fabric)으로서 형성된 지탱층을 구비한 커버의 특히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가 도 4 및 도 5와 동일하게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따른 신발 바닥의 가능한 일 실시예가 도시된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따른 신발 바닥의 가능한 추가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9는 중창 몸체는 투명하고 환기 채널은 회색을 갖도록 도시된, 도 8에 따른 신발 바닥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따른 실시예의 보강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1 shows the invention with two air inlet openings in the heel area, which are in flow connection with an air outlet opening on the medial side and an air outlet opening on the lateral side through a ventilation channel in the midfoot and foot-toe region. A top view of the midsole body of the shoe sole according.
2 is a sho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med in a midsole body, having an air inlet opening and an air outlet opening extend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outsole, wherein the midsole body includes a heel recess in which the soft heel member is disposed The bottom is the side view shown.
FIG. 3 likewise has a soft heel member and an air inlet opening and an air outlet opening disposed in the heel recess of the midsole body, but these air inlet openings and the air outlet openings are arranged in an edge region overlying the midsole body, Likewise a further embodiment of a shoe so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 side view.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ver for a ventilation channel having an air permeable support layer and a double conical elastic bear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support layer.
FIG. 5 is a view likewise shown in FIG. 4, with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of a cover which likewise comprises an air permeable support layer but from which the elastically deformable corrugated support strip protrudes from the support layer.
FIG. 6 shows a further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of a cover with an air permeable support layer and a support layer formed as a spacer fabric, as shown in FIGS. 4 and 5.
7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one possible embodiment of the shoe sole according to FIG. 2.
8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possible embodiment of the shoe sole according to FIG. 2.
9 is a plan view of the sole of the shoe according to FIG. 8, shown so that the midsole body is transparent and the ventilation channel is grey.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8 and 9.
도 1에는 중창(12)의 중창 몸체(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중창 몸체는 보행 방향(L)으로 볼 때 발 뒤꿈치 영역(16)의 후방 섹션(14)에서 신발 바닥 안쪽 측면(18) 뿐만 아니라 신발 바닥 바깥쪽 측면(20)에도 각각 하나의 공기 유입 개구(22)를 포함한다. 신발 바닥 안쪽 측면(18)이란 한 쌍의 신발 바닥 중 다른 신발 바닥을 향한 측면을 의미하고, 신발 바닥 바깥쪽 측면(20)은 이에 반대되는 신발 바닥 측면을 의미한다.1 shows a top view of the
또한, 중창 몸체(10)는 발 중간 영역(24) 및 족구-발가락 영역(26)에서 신발 바닥 안쪽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신발 바닥 바깥쪽 측면에서도 각각 5개의 공기 배출 개구(28)를 포함한다. 보행 방향(L)으로 볼 때 발 중간 영역(24)은 발 뒤꿈치 영역(16)에, 족구-발가락 영역(26)은 발 중간 영역(24)에 이어지며, 이러한 영역들 각각은 대략 신발 바닥 길이의 1/3에 걸쳐 연장된다.The
공기 유입 개구(22)와 공기 배출 개구(28)는 중창 몸체(10) 내의 함몰부를 통해 형성된 환기 채널(3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환기 채널은 발 뒤꿈치 영역(16)에서 V자 형태로 배치된 2개의 분기부(34)를 갖는 발 뒤꿈치 섹션(32)을 포함한다. 이러한 분기부들(34) 각각은 2개의 공기 유입 개구들(22) 중 하나로 안내된다. 발 뒤꿈치 섹션(32)에 이어서, 환기 채널(30)은 분할부 섹션(36)을 포함하고, 이러한 분할부 섹션에서 발 뒤꿈치 섹션(32)의 분기부들(34)과 흐름 연결된 메인 채널 섹션(38)은 신발 종방향(S)으로 족구-발가락 영역(26)에 이르기까지 연장된다. 신발 종방향(S)에 직각인 방향으로 볼 때, 메인 채널 섹션(38)은 안쪽 발등의 하부에서 연장되기 위해 신발 종방향 중심에 있어서 신발 바닥 안쪽 측면(18) 방향으로 옵셋된다.The air inlet opening 22 and the air outlet opening 2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메인 채널 섹션(38)으로부터는 양 측면으로 분기 채널 섹션들(40)이 분기되며, 이러한 분기 채널 섹션들(40) 각각은 공기 배출 개구들(28) 중 하나로 연장된다.
공기 유입 개구(22) 뿐만 아니라 공기 배출 개구(28)도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의 폭과, 바람직하게 적어도 이렇게 언급된 폭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이에 상응하게, 환기 채널(30)도 중창 몸체(10)에서 상부에 놓이는 풋 베드(foot bed) 측 표면(42)에 직각인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 4㎜ 이상의 깊이를 갖는다. 환기 채널(30)의 폭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모든 위치에서 깊이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2배 이상의 크기를 갖는다.The
표면(42)의 측면에서, 환기 채널(30)은 휘어질 수 있는 커버(52)에 의해 덮이며, 이러한 커버는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도 4 내지 도 6과 관련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설명된다.On the side of the
도 2에는 신발 바닥의 중창(12)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중창의 중창 몸체(10)는 발 뒤꿈치 영역(16)의 후방 섹션(14)에서 -양 측면으로 각각- 하나씩의 공기 유입 개구(22)를 갖고, 발 중간 영역(24) 및 족구-발가락 영역(26)에서 총 4개의 공기 배출 개구(28)를 가지며, 이러한 공기 배출 개구들은 신발 종방향(S)으로 서로 앞뒤로 연이어 배치되고, 기울기 위치 및 길이에 따라 비늘 모양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공기 유입 개구(22)와 공기 배출 개구(28)는 환기 채널(30)에 의해 도 1에 상응하게 서로 흐름 연결되며, 이러한 환기 채널은 양 측면에 4개의 분기 채널 섹션(40)을 갖는다.FIG. 2 shows a side view of the
중창 몸체(10)는 겉창(44)을 향한 자신의 하부측에 힐 리세스(46)를 포함하며, 이러한 힐 리세스 내에는 소프트 힐 부재(48)가 배치된다. 이러한 소프트 힐 부재는 신발 종방향(S)으로 볼 때 발 뒤꿈치 영역(16)의 후방 섹션(14)으로부터 대략 중창(12)의 중심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고, 볼록-볼록 랜즈 형태의 적어도 대략 일정한 단면을 가지며 중창(12)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소프트 힐 부재(48)와 중창 몸체(10)는 MBT 보행 장비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신발 바닥 종방향(S)으로 연속적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겉창의 형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소프트 힐 부재(48)는 약 20㎜의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이에 상응하게, 중창 몸체(10)의 가장 두꺼운 두께는 약 30㎜이다.The
이러한 점에서, 중창 몸체(10)는 주연부를 둘러싸는 비드부(50)를 포함하고, 이러한 비드부는 표면(42)에서 상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사실이 언급될 것이다. 이러한 비드부는 한편으로는 중창(12)을 갑피(56)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표면(42) 및 비드부(5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함몰부 내에 상술한 커버(52)가 배치된다.In this regard, it will be mentioned that the
상기 소프트 힐 부재는 바람직하게 개방셀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폼(PUR 쇼어 30 C)으로 제조되고, 중창 몸체(10)는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PUR 쇼어 58 C)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로 제조된다. 이는 도시된 모든 실시예에 적용된다.The soft heel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open cell polyurethane elastomer foam (PUR Shore 30 C) and the
도 3에는 도 2에 따른 신발 바닥의 중창과 동일하게 형성된 신발 바닥의 중창(12)이 도시되어 있으나, 여기서 공기 유입 개구(22)와 공기 배출 개구(28)는 타원으로 형성되어, 중창 몸체(10)의 상부에 놓인 테두리 영역에서 일렬로 연달아 연장된다. 여기서도 공기 유입 개구(22)와 공기 배출 개구(28)는 상응하는 환기 채널(3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3 shows the
환기 채널(30)을 위한 탄성 변형 가능한 커버(52)는 바람직하게 안창(54)을 통해 형성되고, 이러한 안창은 중창 몸체(10)의 상부에 놓인 표면(42)에 놓이고, 모든 측면에서 비드부(50)에 이르기까지 연장되거나, 중창 몸체(10)에 고정되어 비드부(50)에 접하는 갑피에 이르기까지 연장된다.An elastically deformable cover 52 for the
도 4에 도시된 안창(54)의 실시예는 상부에 놓인 공기 투과성의 지지체층(58)을 포함하고, 이러한 지지체층으로부터는 서로 간격을 유지하고 그리드 패턴을 갖도록 배치된 지탱 부재들(60)이 아래를 향한 방향, 즉 장착된 상태에서 중창 몸체(1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지탱 부재들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이중 원뿔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이들의 길이는 중창 몸체(10) 내의 함몰부에 최적으로 매칭된다. 장착된 상태에서 이들의 노출된 단부는 중창 몸체(10)에 놓인다.The embodiment of insole 54 shown in FIG. 4 includes an air
안창(54)의 추가의 일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안창은 상부에 놓인 공기 투과성의 지지체층(58)을 갖는다. 이러한 지지체층으로부터는 파형으로 형성된 탄성 변형 가능한 지탱 스트립(62)이 아래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지탱 스트립은 바람직하게 지지체층(58)에 대해 직각이면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들에서 연장된다. 장착된 상태에서 지탱 스트립(62)은 지지체층(58) 반대편의 파형의 파고점 부분에 의해 중창 몸체(10)에 놓인다.One further embodiment of insole 54 is shown in FIG. 5. This insole likewise has an air
따라서, 지탱 부재(60) 또는 지탱 스트립(62)은 지지체층(58)을 위한 휘어질 수 있는 지탱층(64)을 형성한다.Thus, the
도 6에 도시된 안창(54)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탱층(64)은 스페이서 패브릭(66)으로서 형성된다. 상부측은 공기 투과성의 지지체층(58)을 형성하고, 이러한 지지체층으로부터는 아래를 향한 방향으로 스페이서 트레드로도 불리는 탄성 변형 가능한 파일 트레드가 연장된다. 이러한 유형의 패브릭은 예를 들어 독일 비일-드라벤더회에(Wiehl-Drabenderhoehe)에 소재한 뮐러 텍스틸 게엠베하(Mueller Textil GmbH) 사로부터 제조되며, "3mesh"라는 이름으로 시판되고 있다. 스페이서 패브릭(66)의 가능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EP 1 775 362 A호 및 EP 1 860 218 A호에 공지되어 있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sole 54 shown in FIG. 6, the
도 7에는 도 2에 따른 신발 바닥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중창 몸체(10)에는 힐 리세스(46)가 제공된다. 소프트 힐 부재(48)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공간 충전식으로 힐 리세스(46) 내에 삽입된다. 겉창(44)은 MBT 보행 장비로부터 공지되는 바와 같이 중창 몸체(10) 및 소프트 힐 부재(48)에 고정됨으로써, 볼록한 형태로 유지된다(도 2 및 도 3과 비교). 이러한 겉창은 예를 들어 고무로 구성되며, 55 내지 65 쇼어 A 경도를 포함한다.7 shows a schematic exploded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hoe sole according to FIG. 2. The
환기용 삽입 부재(68)는 도 7에서 중창 몸체(10)로부터 떨어져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중창 몸체에 통합되어 있다. 평면도로 볼 때, 환기용 삽입 부재(68)는 U자 형태를 가지며, 2개의 평행한 분기부들(70, 70')은 신발 바닥 종방향(S)으로 연장되고, -보행 방향(L)으로 볼 때- 자신의 후방 단부에서 만곡 섹션(72)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2개의 분기부들(70, 70') 및 만곡 섹션(72)은 U자형 단면을 갖는 채널벽(74)을 통해 형성되며, 이러한 채널벽(74)은 분기부들(70, 70')의 영역에서 각각 하나씩의 메인 채널 섹션(38')의 경계를 형성한다. 분기부들(70, 70') 및 만곡 섹션(72)은 상부를 향한 방향으로 겉창(44) 반대편 측면에서 개방된다. 채널벽(74)은 바닥부(76)와 내벽부(78) 및 외벽부(80)를 형성하며, 이러한 2개의 벽부(78, 80)는 바닥부(76)로부터 상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벽부(78, 80)의 노출된 상부 테두리는 환기용 삽입 부재(68)가 통합된 상태에서 중창 몸체(10)의 상부에 놓인 표면(42)과 동일 평면에 놓인다. 발 뒤꿈치 영역(16)에서, U자형 단면의 깊이는 벽부(78, 80)의 노출된 테두리로부터 바닥부(76)에 이르기까지 측정할 때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다. 또한, 벽부들(78, 80)은 바람직하게 8㎜ 이상의 서로에 대한 간격을 갖는다. 발 중간 영역(24)에서 상술한 깊이는 힐 리세스(46)의 형태에 상응하게 증가한 이후, 보행 방향(L)으로 볼 때 전방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감소한다.The
통합된 상태에서 발 뒤꿈치 영역(16)의 후방 섹션(14) 내에 위치하는 만곡 섹션(72)에서는 외벽부(80)로부터 신발 바닥 안쪽 측면(18)을 향한 방향으로 그리고 신발 바닥 바깥쪽 측면(20)을 향한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의 공기 유입 튜브 스터브(82)가 돌출된다. 이러한 공기 유입 튜브 스터브들은 메인 채널 섹션(38')과 흐름 연결되고, 공기 유입 튜브 스터브의 외부에 위치한 노출 단부는 공기 유입 개구(22)를 형성한다.The
이에 상응하게, 발 중간 영역(24) 및 족구-발가락 영역(26)에서는 외벽부(80)로부터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공기 배출 튜브 스터브들(84)이 돌출된다. 이러한 공기 배출 튜브 스터브들도 할당된 메인 채널 섹션(38')과 흐름 연결되며, 분기 채널 섹션들(40)을 형성하고, 공기 배출 튜브 스터브의 노출 단부는 공기 배출 개구(28)를 형성한다.Correspondingly, the air
환기용 삽입 부재(68)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85 쇼어 A의 TPU로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다.The
또한, 도 7에는 중창(12)에서 소프트 힐 부재(48) 상부에 위치한 섹션이 서있는 동안 그리고 보행하는 동안의 하중에 대해 적어도 거의 휘어지지 않을 정도의 견고성을, 적어도 발 뒤꿈치 영역(16) 및 발 중간 영역(24)에 갖는 보강 부재(86)가 도시되어 있다. 중창 몸체(10)에 통합된 상태에서 이러한 보강 부재(86)는 환기용 삽입 부재(68)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에 따라, 보강 부재(68)는 신발 바닥 종방향(S)에 직각인 방향으로 볼 때, 중창 몸체(10)의 중간 영역에 위치하며, 신발 바닥 안쪽 측면(18)을 향한 방향뿐만 아니라 신발 바닥 바깥쪽 측면(20)을 향한 방향으로도 2개의 메인 채널 섹션들(38') 중 각각 하나가 배치된다.In addition, FIG. 7 shows that the section located above the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되는 보강 부재(86)는 상부에 놓인 설형(tongue-shaped)이며 플레이트 형태의 지지부(88)를 포함하고, 이러한 지지부로부터 하부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V자형의 지탱부(90)를 갖는다. 지지부(88) 뿐만 아니라 지탱부(90)도 2중벽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2개의 벽들은 각각 리브(92)를 통해 서로 고정 연결된다. 지지부(82)는 중창 몸체(10)에 통합된 상태에서 표면(42) 부근에 위치하며, 이는 도 7에 중창 몸체(10)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고, 이 도면에서 보강 부재(86)는 이미 중창 몸체(10) 내에 통합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 부재는 2개의 분기부들(70, 70') 사이에서 만곡 섹션(72)의 내벽부(78)로부터 전방을 향한 보행 방향(L)으로 족구-발가락 영역(26)의 전방 섹션에 이르기까지 연장된다. 바람직한 방법으로, 보강 부재(86)는 발 뒤꿈치 영역(16) 및 발 중간 영역(24)에서는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어 나일론 12로 제조되는 반면, 족구-발가락 영역(26)에서는 가요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PU로 구성된다.Likewise preferably the reinforcing
지탱부(90)는 마찬가지로 견고하게 형성되며, 지탱부(90)에서 보행 방향(L)으로 볼 때 후방인 분기부(90')는 힐 리세스(46)에 상응하게 형성되고, 이러한 후방 분기부(90')는 보행 방향(L)으로 볼 때 전방인 힐 리세스(46) 단부에서 전방 분기부(90'')와 마주치며, 이 위치에 틸팅 에지(94)를 형성한다.The bearing
사전 제조된 보강 부재(86)와, 사전 제조된 환기용 삽입 부재(86)는 중창 몸체(10)의 사출을 위한 사출 성형 몰드의 공동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몰드의 차단 이후에, 예를 들어 PUR 쇼어 58 C는 중창 몸체(10)를 캐스팅하기 위해 사출된다. 이 경우, 사출 성형 금형은 중창 몸체(10)의 사출 성형 시에 환기용 삽입 부재(86)의 압축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유입 튜브 스터브(82) 및 공기 배출 튜브 스터브(84)에 맞물리는 슬라이드와, 채널벽(74)을 위한 지탱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fabricated reinforcing
분해도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중창 몸체(10)는 환기용 삽입 부재(68)와 비교하여 동일하게 형성된 함몰부 및 통로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exploded view, the
또한, 도 7에는 커버(52)를 형성하는 안창(54)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안창은 중창 몸체(10)로부터, 고작해야 외벽부(80) 및 내벽부(78)의 노출 단부 및 보강 부재(86)로부터 형성되는 표면(42)에 놓인다.Also shown in FIG. 7 is an insole 54, which forms a cover 52, which is at best exposed from the
둘레측에서, 안창(54)은 비교적 높게 형성된 비드부(50)에 의해 둘러싸인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안창(54)의 지지체층(58)은 풋 베드 형태로 형성되며, 지탱층(64)의 두께에 상응하게 매칭된다. 또한, 표면(42)은 외벽부(80)와 비드부(50) 사이에서 신발 바닥 안쪽 측면(80) 뿐만 아니라 신발 바닥측(20)에도 연속적인 스트립 형태를 갖는 표면부(42')를 포함하므로, 지탱층(64)은 비드부(50)를 따라 주연부를 둘러싸도록, 보강 부재(86) 위에서 중창 몸체(10)의 전체 길이에 걸친 폭넓은 중심 섹션에 지지된다.On the circumferential side, the insole 54 is surrounded by a
도 8 및 도 9에는 도 1에 상응하게 환기 채널(30)에 의해 형성된, 도 2 또는 도 3에 따른 중창(12)을 위한 보강 부재(86)의 가능한 추가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보강 부재(86)를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 부재는 추가로 도 7에 따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술되어 있으면서 MBT 보행 장비로부터 공지된 바와 정확하게 같은 목적을 갖는다. 도 8 및 도 9에는 중창(12)의 윤곽이 도시되어 있으며, 보강 부재(86)는 어두운 색으로 도시되어 있다.8 and 9 show one further possible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발 뒤꿈치 영역(16)에서 평평한 보강 부재(86)는 중창 몸체(10) 내에서 힐 리세스(46)를 따라 연장되고, 보행 방향(L)으로 볼 때 족구-발가락 영역(26)의 후방 섹션 및 발 중간 영역(24)에서는 중창 몸체(10) 내부에서 환기 채널(30) 하부에 간격을 가지며 연장된다. 표면(42)과 힐 리세스(46) 사이의 중창 몸체(10)의 벽두께가 발 뒤꿈치 영역(16)에서는 발 중간 영역(24) 및 족구-발가락 영역(26)에서보다 훨씬 얇으므로, MBT 보행 장비로부터 공지된 보강 부재(86)를 사용함으로써 발 뒤꿈치 섹션(32) 내의 환기 채널(30)의 깊이가 충분하지 않게 된다. 이는 환기 채널(30)이 회색으로 도시된 도 9로부터 특히 확실히 나타난다. 상술한 단점을 저지하기 위해, 발 뒤꿈치 영역(16)의 보강 부재(86)는 발 뒤꿈치 섹션(32)에 상응하고 평면도에서 V자형 채널 형태인 리세스(96)를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강 부재(86)의 요구되는 휨 강성을 보장하기 위해, 이러한 보강 부재는 예를 들어 통로들(98)을 서로 분리하는 웨브(100)를 따라, 하부측에서 연장되는 지탱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탱 리브가 소프트 힐 부재(48) 내로 돌출될 때라도, 자신의 낮은 높이에 의해 신발 바닥의 상태 또는 특성은 변하지 않는다. 발 뒤꿈치 영역(16)의 보강 부재(86)를 더욱 견고한 재료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도 7에 따른 신발 바닥에서는 환기용 삽입 부재(68)를 사용하지 않고, 메인 채널 섹션(38')을 형성하기 위한 함몰부 및 이의 연결부를 사출 성형 금형으로부터의 리브를 통해 만곡 섹션(72) 내에 형성하고, 분기 채널 섹션을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직접 중창 몸체(10)에 형성하는 것을 고려 가능하다.In the shoe sole according to FIG. 7, without the use of the
도면들에 도시되고 상기 설명한 신발 바닥으로 보행하는 경우, 발 뒤꿈치 영역(16)으로 내딛을 때 한편으로는 소프트 힐 부재(48)가 압축되는데, 이는 사용자의 몸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발 뒤꿈치 영역(16)의 커버(52)도 중창 몸체(10)로의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는 중창(10) 및 커버(52) 또는 이의 지지체층(58)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면서 공기가 충전된 단면이 국부적으로 좁혀지도록 한다. 바닥에서의 굴림 보행의 결과로서, 이러한 좁혀진 단면은 보행 방향(L)으로 발 중간 영역(24)을 거쳐 족구-발가락 영역(26) 내로 변위된다. 발 뒤꿈치 영역(16)으로부터 족구-발가락 영역(26)으로 좁혀지는 부분이 이와 같이 이동함으로써, 환기 채널(30)로부터의 공기가 공기 배출 개구(38)를 통해 배출되는 반면, 틸팅 에지(94) 또는, 중창 몸체(10)를 통해 힐 리세스(46)의 전방 단부에서 형성되는 틸팅 에지를 중심으로 틸팅된 이후, 발 뒤꿈치 영역(16)의 안창(54) 또는 커버(52)는 하중이 완화되는데, 이는 안창(54) 또는 커버(52)의 탄성에 의해, 좁혀지는 부분 후방에서 재차 단면의 확대가 야기되도록 하고, 이에 의해 공기 유입 개구(20)를 통한 신선한 공기가 환기 채널(30) 내로 흡입된다. 이에 따라, 보행시에 완전히 기계적인 원리로 공기가 환기 효과의 형태로 중창(12)을 통해 공급된다. 이를 통해 더워진 공기는 공기 배출 개구(28)를 통해 방출되는 반면, 신선하고 시원한 공기는 공기 유입 개구(22)를 통해 흡입된다.When walking to the sole of the shoe shown in the figures and described above, the
커버(52) 또는 안창(54)이 공기 투과성을 갖도록 형성되면, 추가로 사용자의 발에는 상응하게 시원한 공기가 들어간다.If the cover 52 or insole 54 is formed to be air permeable, additionally the user's feet receive correspondingly cool air.
Claims (13)
중창 몸체(10)는 발 뒤꿈치 영역(16)에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 개구(22)를 갖고, 발 중간 영역(24) 및/또는 족구-발가락 영역(26)에 공기 배출 개구(28)를 갖고, 공기 유입 개구(22)를 공기 배출 개구(28)와 연결시키는 환기 채널(30)을 가지며, 상기 환기 채널은 겉창(44) 반대편 측면에서 -보행시 하중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겉창(44)을 향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커버(52)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바닥.A midsole 12 comprising a midsole body 10 extending over a heel region 16, a midfoot region 24, and a foot-toe region 26, and a shoe sole with an outsole 44. In
The midsole body 10 has one or more air inlet openings 22 in the heel region 16, an air outlet opening 28 in the midfoot region 24 and / or foot-toe region 26, A vent channel 30 connects the air inlet opening 22 with the air outlet opening 28, the vent channel on the side opposite the outsole 44-with the load applied when walking.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vered by a cover 52 that can be bent in a dir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08014825.7 | 2008-08-21 | ||
EP08014825A EP2156762A1 (en) | 2008-08-21 | 2008-08-21 | Shoe sole with air ventil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8823A true KR20110058823A (en) | 2011-06-01 |
Family
ID=40289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06295A Ceased KR20110058823A (en) | 2008-08-21 | 2009-08-17 | Shoe sole with ventilation effect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154693A1 (en) |
EP (1) | EP2156762A1 (en) |
JP (1) | JP2012500071A (en) |
KR (1) | KR20110058823A (en) |
CN (1) | CN102131416A (en) |
WO (1) | WO2010020391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6669B1 (en) * | 2011-10-24 | 2013-10-10 | 한상규 | Insole to be well ventilated |
KR20200015844A (en) * | 2015-09-24 | 2020-02-12 |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 Particulate foam with partial restric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286685A1 (en) * | 2009-08-20 | 2011-02-23 | Masai Marketing & Trading AG | Shoe sole with air ventilation |
EP2305057A1 (en) * | 2009-10-02 | 2011-04-06 | Masai Marketing & Trading AG | Walker base |
EP2361520A1 (en) | 2010-02-23 | 2011-08-31 | Masai Marketing & Trading AG | Shoe sole with air circulation |
WO2011133686A1 (en) | 2010-04-20 | 2011-10-27 | Crocs, Inc. | System and method for toning footwear |
AT12167U1 (en) * | 2010-07-01 | 2011-12-15 | Hilgarth Kurt Dipl Ing | BREATHABLE AND WATERPROOF SHOE SOLE |
DE202010016930U1 (en) | 2010-12-23 | 2012-04-02 | Tendenza Schuhhandel Gesellschaft Mbh & Co. Kg | Shoe for rolling going |
DE102011012244A1 (en) | 2011-02-24 | 2012-08-30 | Gabor Shoes AG | Sole body for a shoe and associated shoe with sole |
DE102012206062B4 (en) | 2012-04-13 | 2019-09-12 | Adidas Ag | SHOE UPPER PART |
KR101309280B1 (en) | 2012-09-21 | 2013-09-16 | (주)한신코리아 | Mold for manufacturing inso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insole and the insole manufactured by the method |
DE102013207155B4 (en) | 2013-04-19 | 2020-04-23 | Adidas Ag | Shoe upper |
DE102013207156A1 (en) * | 2013-04-19 | 2014-10-23 | Adidas Ag | Shoe, in particular a sports shoe |
DE102013207163B4 (en) | 2013-04-19 | 2022-09-22 | Adidas Ag | shoe upper |
US12250994B2 (en) | 2013-04-19 | 2025-03-18 | Adidas Ag | Shoe |
US11666113B2 (en) | 2013-04-19 | 2023-06-06 | Adidas Ag | Shoe with knitted outer sole |
US9622540B2 (en) | 2013-06-11 | 2017-04-18 | K-Swiss, Inc. | Article of footwear, element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
US20150040425A1 (en) * | 2013-08-09 | 2015-02-12 | Linear International Footwear Inc. | Air exhaust outsole for safety footwear |
US9232830B2 (en) | 2013-09-19 | 2016-01-12 | Nike, Inc. | Ventilation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
DE102014202432B4 (en) | 2014-02-11 | 2017-07-27 | Adidas Ag | Improved football boot |
DE102014220087B4 (en) | 2014-10-02 | 2016-05-12 | Adidas Ag | Flat knitted shoe top for sports shoes |
US10441033B2 (en) * | 2014-11-11 | 2019-10-15 | New Balance Athletics, Inc. | Method of providing decorative designs and structural features on an article of footwear |
CN105167321B (en) * | 2015-09-02 | 2017-03-22 | 福建鸿星尔克体育用品有限公司 | Bionic functional soles and running shoes |
USD784667S1 (en) * | 2016-02-12 | 2017-04-25 | Nike, Inc. | Shoe midsole |
CN105795587B (en) * | 2016-05-17 | 2017-10-10 | 泉州鸿荣轻工有限公司 | A kind of Ventilated sole |
WO2019073533A1 (en) * | 2017-10-10 | 2019-04-18 | 株式会社アシックス | Sole and shoe with sole |
IT201800006257A1 (en) * | 2018-06-12 | 2019-12-12 | Sole for footwear | |
CN112292053B (en) * | 2018-12-28 | 2023-02-03 | 株式会社爱世克私 | Soles and shoes |
US12102169B2 (en) | 2020-12-18 | 2024-10-01 | Genesco Inc. | Chassis system for footwear |
USD1007122S1 (en) * | 2021-02-01 | 2023-12-12 | Yuanbin Xia | Outsole |
USD986561S1 (en) * | 2022-10-04 | 2023-05-23 | Jinbin Dai | Shoe sole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845766C (en) * | 1950-05-13 | 1952-08-04 | Hans Schneider | shoe |
US4000566A (en) * | 1975-04-22 | 1977-01-04 | Famolare, Inc. | Shock absorbing athletic shoe with air cooled insole |
JPS5712003U (en) * | 1980-06-19 | 1982-01-21 | ||
US4438573A (en) * | 1981-07-08 | 1984-03-27 | Stride Rite International, Ltd. | Ventilated athletic shoe |
JPS5826304U (en) * | 1981-08-12 | 1983-02-19 | 福岡 辰雄 | shoes |
JPS6031524Y2 (en) * | 1982-12-25 | 1985-09-20 | 相道 金 | sole of shoe |
US4617745A (en) * | 1983-08-15 | 1986-10-21 | Batra Vijay K | Air shoe |
KR920003973Y1 (en) * | 1990-05-22 | 1992-06-15 | 김상도 | Sole with ventilation, cushioning and fashion |
IT1299246B1 (en) * | 1998-05-14 | 2000-02-29 | Stefcom Spa | BREATHABLE SOLE STRUCTURE FOR FOOTWEAR |
ITPD980157A1 (en) * | 1998-06-25 | 1999-12-25 | Nottington Holding Bv | BREATHABLE AND WATERPROOF SOLE FOR FOOTWEAR |
JP2000296001A (en) * | 1999-04-16 | 2000-10-24 | Mizuno Corp | Sole structure of sport shoes |
JP2001120304A (en) * | 1999-10-26 | 2001-05-08 | Toyobo Co Ltd | Insole |
TW453151U (en) * | 2000-01-02 | 2001-09-01 | Ju Huei Jeng | Structure of air valve for shoes with ventilation system |
ITPN20010039U1 (en) * | 2001-10-22 | 2003-04-22 | Vinil Veneta Group Srl | VENTILATED INTERNAL SOLE FOR SHOE AND SHOE SO EQUIPPED |
DE10234913B4 (en) * | 2002-07-31 | 2005-11-10 |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 sole |
US7401419B2 (en) * | 2002-07-31 | 2008-07-22 |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 Structural element for a shoe sole |
US6990752B2 (en) * | 2002-08-01 | 2006-01-31 | Louis Garneau Sports Inc. | Bicycle shoe with ventilating sole |
US7013581B2 (en) * | 2003-06-11 | 2006-03-21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uspended footbed |
US7401418B2 (en) * | 2005-08-17 | 2008-07-22 | Nike, Inc. | Article of footwear having midsole with support pilla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DE102005049466A1 (en) | 2005-10-13 | 2007-04-19 | Müller Textil GmbH | Textile spacer fabric with zones of different compression hardness |
KR200410566Y1 (en) * | 2005-12-02 | 2006-03-13 | 주식회사 지에스디 | Shoe insole |
FR2895881B1 (en) * | 2006-01-06 | 2008-02-15 | Theodore Grimmeisen | VENTILATED SHOES |
DE102006023356A1 (en) | 2006-05-17 | 2007-11-22 | Müller Textil GmbH | Spacer fabric for relining on covering material for vehicle seat, instrument panels and vehicle interior covering, has two fabric layers lying parallelly to each other and isolating threads arranged between the fabric layers having stitches |
ITTV20060084A1 (en) * | 2006-05-19 | 2007-11-20 | Franco Malenotti | FOOTWEAR SOLE WITH VENTILATION-INDUCED VENTILATION |
KR100638398B1 (en) * | 2006-06-21 | 2006-10-27 | 삼덕통상 주식회사 | Sole |
EP2332432B1 (en) * | 2008-09-30 | 2016-12-14 | ASICS Corporation | Sole of sports shoes exhibiting good running efficiency |
-
2008
- 2008-08-21 EP EP08014825A patent/EP2156762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9
- 2009-08-17 US US13/058,435 patent/US2011015469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9-08-17 WO PCT/EP2009/005959 patent/WO201002039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8-17 KR KR1020117006295A patent/KR20110058823A/en not_active Ceased
- 2009-08-17 CN CN2009801327785A patent/CN102131416A/en active Pending
- 2009-08-17 JP JP2011523345A patent/JP2012500071A/en active Pend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6669B1 (en) * | 2011-10-24 | 2013-10-10 | 한상규 | Insole to be well ventilated |
KR20200015844A (en) * | 2015-09-24 | 2020-02-12 |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 Particulate foam with partial restri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10154693A1 (en) | 2011-06-30 |
WO2010020391A1 (en) | 2010-02-25 |
JP2012500071A (en) | 2012-01-05 |
EP2156762A1 (en) | 2010-02-24 |
CN102131416A (en) | 2011-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58823A (en) | Shoe sole with ventilation effect | |
US11412812B2 (en) | Articles of footwear with asymmetrical segmented plates | |
US7107705B2 (en) | Insole with improved cushioning and anatomical centering device | |
US9210965B2 (en) | Article of footwear with ribbed footbed | |
US10136698B2 (en) | Shoe insole | |
US8555526B2 (en) | Resilient shoe with pivoting sole | |
CN101820787B (en) | Footwear with foot stabilizer | |
US9578922B2 (en) | Sole construction for energy storage and rebound | |
JP4656543B2 (en) | Footwear having an articulated sole structure | |
CN108354264B (en) | Article of footwear with sole structure | |
KR20210104732A (en) | Articles of footwear having doping registers | |
ES2379021T3 (en) | Walking device | |
US8584376B2 (en) | Insole with reinforcement element | |
TW201737823A (en) | Article of footwear with adaptive fit | |
WO2007030932A1 (en) | Dynamic adaptable shoe with ventilation | |
CN106136444A (en) | Article Of Footwear | |
JP2007307383A (en) | Footwear inserts | |
US20180070670A1 (en) | Shoe Insole | |
KR100796160B1 (en) | Functional insole for high-heeled shoes | |
KR20110070721A (en) | Improved elastic shoes | |
JPH0747003A (en) | Shoe bottom | |
CN218303660U (en) | Sole and shoe | |
RU26284U1 (en) | ORTHOPEDIC FOOTWEAR FOR CHILDREN | |
WO2013109791A1 (en) | Resilient shoe with pivoting so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3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3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304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4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0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