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58026A -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026A
KR20110058026A KR1020090114682A KR20090114682A KR20110058026A KR 20110058026 A KR20110058026 A KR 20110058026A KR 1020090114682 A KR1020090114682 A KR 1020090114682A KR 20090114682 A KR20090114682 A KR 20090114682A KR 20110058026 A KR20110058026 A KR 20110058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aterproof
layer
waterproof sheet
ho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식
Original Assignee
이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식 filed Critical 이명식
Priority to KR1020090114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8026A/ko
Publication of KR20110058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02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의 소리 입력홀 및 출력홀에 설치되어 소리는 통과시키고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시트에 있어서, 소리는 통과시키고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층 및 상기 방수층에 부착되어 상기 방수층의 강도를 보강하고 소리가 통과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층을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 방수, 소리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방법{waterproof sheet of portable termin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 즉, 휴대폰, 개인 휴대용 정보 달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따위는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 중에 물에 노출되어 틈새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의 틈새들을 밀폐시켜 물이 휴대 단말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부 부품을 안전하게 보호 하는 추세이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 전체가 완전한 방수기능을 갖추기 위해서는 이러한 방수처리기술과 더불어 소리 신호가 발생하는 송, 수화 부분 또한 방수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에 따라, 송, 수화 부분에 방수막을 장착하여 방수구조를 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방수막의 두께에 의하여 소리 신호가 왜곡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소리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막을 얇게 형성하면 이를 송, 수화 부분에 장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라, 분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간편하게 부착시키면서 소리 신호를 왜곡하지 않는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는 휴대 단말기의 소리 입력홀 및 출력홀에 설치되어 소리는 통과시키고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시트에 있어서, 소리는 통과시키고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층 및 상기 방수층에 부착되어 상기 방수층의 강도를 보강하고 소리가 통과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층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층의 구멍은 간격을 두고 복수 열로 이루어져 교대로 배열되어 있으며, 제1열 구멍들 사이에 제2열 구멍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수층의 표면의 가장자리에는 부착 대상에 접착되는 시트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층은 복수의 구멍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 상기 방수층에 접착되는 필름 접착층이 형성되어 상기 방수층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층은 씨실과 날실이 얽혀 구멍을 가지며, 일면에 직물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직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제조 방법은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고 복수의 구멍을 갖는 보강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보강필름과 방수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보강필름과 방수필름을 압착하여 방수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수시트를 일정 모양으로 재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방수시트의 가장자리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천공할 필름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필름지에 간격을 두고 구멍을 복수 열로 배열되게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필름지의 일면에 필름 접착층을 형성하여 보강필름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씨실과 날실이 얽혀 미세 구멍을 갖는 직물지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지의 일면에 접착제를 분무하여 직물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수층 위에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보강층이 형성되어 얇은 방수층을 보강하게 되며 방수층이 울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층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에 의해 소리가 통과되어 방수층을 보강하면서 소리 왜곡 없이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용 방수시트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1), 소리는 통과하고, 수분은 차단하는 방수층(110), 방수층(110)을 팽팽하게 유지하는 보강층(120)을 포함한다.
방수층(110)은 습기에 강하고 온도 변화에 변형이 적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따위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두께는 0.4㎛ 내지 1㎛ 정도로 일 수 있다. 방수층(110)의 두께가 0.4㎛ 이하이면 소리에 의해 쉽게 찌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1㎛ 이상이면 소리가 왜곡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방수층(11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휴대폰, 개인 휴대용 정보 달말기(도시하지 않음, 이하, 부착 대상물)의 소리 입력홀 및 소리 출력홀 부분에 장착될 있도록 시트 접착층(140)이 형성되어 있다. 시트 접착층(140)은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이러한 방수층(110)은 소리는 왜곡 없이 통과하며, 수분은 차단할 수 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수층(110)의 재질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설명하였으나, 수분은 차단하고 소리는 왜곡 없이 통과시키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수분은 차단하고, 소리는 통과시키는 방수층(110)의 상면에는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보강층(120)이 필름 접착층(130)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보강층(120)은 소정의 강도를 가지며, 방수층(110) 보다는 약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보강층(120)의 강도에 의하여 방수층(110)은 쭈그러들지 않고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강층(120)의 표면에는 소리가 통과할 수 있도록 동그란 복수의 구멍(122)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122) 부분에는 필름 접착층(130)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소리가 구멍(122)을 통과할 수 있다.
복수의 구멍(122)은 복수열로 이루어져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즉, 제1열 구멍들(122a) 사이에 제2열 구멍들(122b)이 배치되어 있다. 즉, 제1열 구멍(122a)과 제2열 구멍(122b)이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멍(122)의 형상을 원형으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되었다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의 제조공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를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먼저, 도 4을 참조하면, 보강필름을 준비하는 단계(S110)에서 미리 제작된 필름지(121)를 준비한다(S111). 이때, 필름지(121)는 일면에는 필름 접착층(130)이 도포되어 필름 이형지(121a)에 부착되어 있다.
그런 후, 필름지(121)를 천공하며(S112), 천공된 필름지(121)와 필름 이형 지(121a)를 분리한다(S113). 이때, 필름지(121)의 천공된 부분은 필름 이형지(121a)에 붙어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복수의 구멍(122)을 가지는 필름지(121)가 형성되며, 구멍(122) 부분에는 필름 접착층(130)이 없다.
구멍(122)들은 복수 열로 배열 되어 서로 교차되며, 제1열 구멍(122a) 사이에 제2열 구멍(122b)들이 위치하게 된다. 필름지(121)가 필름 이형지(121a)에서 분리되면서 필름지(121)의 일면에 필름 접착층(130)이 형성된 보강필름(123)을 마련한다(S114).
그리고,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필름(123)을 미리 제작된 방수필름(111)위에다 겹쳐놓고 서로 부착시킨다(S120). 이때 방수필름(111)의 저면에는 방수필름(111)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이형지(111a)가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부착된 방수필름(111)과 보강필름(123)을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도시하지 않음) 따위로 압착시켜 방수시트(100)를 제조한다(S130). 방수필름(111)과 보강필름(123) 압착 시 열을 가할 수도 있다. 방수필름(111)과 보강필름(123)의 압착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필름(111) 위에 소리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122)을 가지는 보강필름(123)이 형성됨으로써, 방수필름(111)은 팽팽해지고, 소정의 강도를 갖는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수시트(100)를 부착 대상물의 부착 부위에 알 맞도록 소정 모양으로 재단한다(S140). 이렇게 재단된 방수시트(100)에서 보호 이형지(111a)를 박리 시키고,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시트 접착층(140)을 형성한다(S150). 시트 접착층(140)은 부착 대상물 에 접착되어 방수시트(100)를 고정한다. 시트 접착층(140)은 양면 테이프 일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방수시트(100)를 임시 고정물(150)에 부착하여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수시트(100)는 보강층(120)에 의하여 소리는 왜곡되지 않으면서 방수층(110)의 두께를 보상하게 되어 작업자는 방수시트(100)를 부착 대상물에 쉽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수시트(100)는 보강층(120)에 의하여 소리는 왜곡되지 않으면서 방수층(110)의 두께를 보상하게 되어 작업자는 방수시트(100)를 부착 대상물에 쉽게 부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트(200)는 소리는 통과하고, 수분은 차단하는 방수층(210), 방수층(210)을 팽팽하게 유지하는 보강층(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200)의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즉, 방수층(210)은 소리는 통과시키고 수분은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면에는 시트 접착층(240)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층(2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방수 시트(100)와 다른 구조를 가진다.
보강층(220)은 직물 따위로 이루어져 씨실(223a)과 날실(223b)이 얽혀 미세 구멍(223c))을 가지며, 직물 접착층(230)의 접착으로 방수층(210)의 상면에 부착되어 방수층(210)을 보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층(220)의 직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도 9 내지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 시트의 제조공정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6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방수 시트를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보강필름을 준비하는 단계(S210)에서, 씨실(223a)과 날실이 서로 얽혀 미세 구멍(223c))을 가지는 직물지(223)를 준비한다(S211). 이렇게 준비된 직물지(223)의 일면에 접착제를 분사하여 직물 접착층(230)을 형성한다(S212).
그리고, 도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보강필름(222)을 미리 제작된 방수필름(221)위에다 겹쳐놓고 서로 부착시킨다(S220). 이때 방수필름(221)의 저면에는 방수필름(221)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이형지(221a)가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부착된 방수필름(221)과 보강필름(222)을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도시하지 않음) 따위로 압착시켜 방수시트(200)를 제조한다(S230). 방수필름(221)과 보강필름(222) 압착 시 열을 가할 수도 있다. 방수필름(221)과 보 강필름(222)의 압착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수필름(221) 위에 미세 구멍(223c))을 가지는 보강필름(222)이 접착되어 방수필름(221)은 팽팽해지고, 소정의 강도를 갖는다.
다음으로 도 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방수시트(200)를 부착 대상물의 부착 부위에 알 맞도록 소정 모양으로 재단한다(S240). 이렇게 재단된 방수시트(200)에서 보호 이형지(221a)를 박리 시키고, 도 1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된 부분의 가장자리에 시트 접착층(240)을 형성한다(S250). 시트 접착층(240)은 부착 대상물에 접착되어 방수시트(200)를 고정한다. 시트 접착층(240)은 양면 테이프 일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방수 시트(200)를 임시 고정물(250)에 부착하여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수시트(200)는 보강층(220)에 의하여 소리는 왜곡되지 않으면서 방수층(110)의 두께를 보상하게 되어 작업자는 방수시트(200)를 부착 대상물에 쉽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의 방수시트를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도록 재단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8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를 나타낸 공정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는 도 9에 도시한 B 부분 확대도.
도 11은 도 9의 방수시트를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도록 재단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6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를 나타낸 공정 순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방수시트 110, 210: 방수층
111, 221: 방수필름 111a, 221a: 보호 이형지
120, 220: 보강층 121: 필름지
121a: 필름 이형지 122: 구멍
122a: 제1열 구멍 122b: 제2열 구멍
123, 222: 보강필름 130: 필름 접착층
140, 240: 시트 접착층 223: 직물지

Claims (8)

  1. 휴대 단말기의 소리 입력홀 및 출력홀에 설치되어 소리는 통과시키고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시트에 있어서,
    소리는 통과시키고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수층 및
    상기 방수층에 부착되어 상기 방수층의 강도를 보강하고 소리가 통과하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층
    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2. 제1항에서,
    상기 보강층의 구멍은 간격을 두고 복수 열로 이루어져 교대로 배열되어 있으며, 제1열 구멍들 사이에 제2열 구멍들이 배치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3. 제1항에서,
    상기 방수층의 표면의 가장자리에는 부착 대상에 접착되는 시트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4. 제1항에서,
    상기 보강층은 복수의 구멍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 상기 방수층에 접착되는 필름 접착층이 형성되어 상기 방수층의 표면에 부착되는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5. 제1항에서,
    상기 보강층은 씨실과 날실이 얽혀 구멍을 가지며, 일면에 직물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직물로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6.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고 복수의 구멍을 갖는 보강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보강필름과 방수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보강필름과 방수필름을 압착하여 방수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수시트를 일정 모양으로 재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방수시트의 가장자리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제조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보강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천공할 필름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필름지에 간격을 두고 구멍을 복수 열로 배열되게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필름지의 일면에 필름 접착층을 형성하여 보강필름을 마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제조 방법.
  8. 제6항에서,
    상기 보강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씨실과 날실이 얽혀 미세 구멍을 갖는 직물지를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직물지의 일면에 접착제를 분무하여 직물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제조 방법.
KR1020090114682A 2009-11-25 2009-11-25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eased KR20110058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682A KR20110058026A (ko) 2009-11-25 2009-11-25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682A KR20110058026A (ko) 2009-11-25 2009-11-25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026A true KR20110058026A (ko) 2011-06-01

Family

ID=4439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682A Ceased KR20110058026A (ko) 2009-11-25 2009-11-25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80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462A1 (ko) * 2012-12-11 2014-06-1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수통음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44691A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수 통음 시트 및 방수 통음 시트 제조 방법
US10170097B2 (en) 2012-12-11 2019-01-01 Amogreentech Co., Ltd. Waterproof sound transmitting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2462A1 (ko) * 2012-12-11 2014-06-1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수통음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US9514735B2 (en) 2012-12-11 2016-12-06 Amogreentech Co., Ltd. Waterproof sound transmitting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0170097B2 (en) 2012-12-11 2019-01-01 Amogreentech Co., Ltd. Waterproof sound transmitting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80044691A (ko) * 2016-10-24 2018-05-0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수 통음 시트 및 방수 통음 시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7772A (ko) 방수형 전자 장치의 스피커로부터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컴포넌트
TWI789477B (zh) 防水構件及電子機器
US4772092A (en) Crack detection arrangement utilizing optical fibres as reinforcement fibres
WO2008054971B1 (en) Wind filter for use with a microphone
EP0917419A1 (en) Conductive material and its manufacture
KR20110058026A (ko) 휴대 단말기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N103597849A (zh) 防水通音构件
KR20140018840A (ko) 방수 통음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및 방수 통음 부재 담지체
KR101807681B1 (ko) 방수통음시트
US20120052759A1 (en) Industrial fabric
CA2469646A1 (en) Grid fabric
KR101432707B1 (ko) 삽입 고정형 조인트를 가진 복합방수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059984B1 (ko) 체결 테이프
CN213403396U (zh) 发声装置和电子设备
KR101054743B1 (ko) 발열시트
ATE406557T1 (de) Schutzkleidung
CN108417732B (zh) 显示屏及显示装置
KR20170138975A (ko) 방수통음시트
KR20230062927A (ko) 휴대전화기의 금속분진 유입방지구조
JP6478350B2 (ja) 防水構造
US20130032301A1 (en) Curtain fabric material
KR100231359B1 (ko) 폴리에틸렌패널이 부착된 복합거푸집패널
JP2005254750A (ja) スクリーン版
KR870001029Y1 (ko) 차수용(遮水用)매트
KR101370642B1 (ko) 배수성을 갖는 접착식 방충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8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