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5291A - Strut-type Multilink Suspension of Automobile - Google Patents
Strut-type Multilink Suspension of Automob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55291A KR20110055291A KR1020090112246A KR20090112246A KR20110055291A KR 20110055291 A KR20110055291 A KR 20110055291A KR 1020090112246 A KR1020090112246 A KR 1020090112246A KR 20090112246 A KR20090112246 A KR 20090112246A KR 20110055291 A KR20110055291 A KR 201100552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body
- strut
- suspension
- vehicle
- side conn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8—Multilink suspensions, e.g. elastokinematic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3—Hydraulic actua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4—Vehicle sp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40—Steering conditions
- B60G2400/41—Steering ang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 2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로워 컨트롤 아암을 보유하는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멀티 링크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측 아암의 차체측 연결부에 킹핀 옵셋 보존수단을 배치하여 하여 차속과 조향각에 따라 킹핀 옵셋량을 가변시켜 조향 후 복원력을 이상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t-type multi-link suspension of a vehicle having a lower control arm consisting of two arms, wherein a king pin offset preserving means is disposed on a vehicle side connection portion of the front arm, and a king pin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and steering angle. By varying the offset amount, the restoring force can be ideally controlled after steering.
액튜에이터, 차속센서, 조향각 센서, 유압펌프 Actuator, vehicle speed sensor, steering angle sensor, hydraulic pump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륜에 주로 적용되는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링크를 보유하는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에서 스티어링 휠 각도에 따라 킹핀 옵셋이 가변됨으로써, 복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멀티링크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t-type suspension mainly applied to the front wheels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in a strut-type suspension having a multi-link, a kingpin offset is varied according to a steering wheel angle, thereby improving resilie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t type multilink suspension system.
차량에 있어서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휠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상하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유압 쇽 업소오버등에 의해 지지되고, 기타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휠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uspension in a vehicle exists between a vehicle body and a wheel, and is a device that connects these two rigid bodies by using one or more links. It is supported by springs and hydraulic shock absorb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other directions. By properly matching the high rigidity and flexibility, it performs a function to mechanically match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wheel.
이러한 현가장치는 여러 종류로 개발되어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는데, 승용차의 전륜 현가장치로는 스트러트 타입의 현가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Such suspension device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types and applied to automobiles. As a front wheel suspension device of a passenger car, a strut type suspension device is mainly used.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스트러트형 현가장치는 도 4에서와 같이,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캐리어(100)는 내측 하단 부분이 로워 컨트롤 아암(102)을 개재시켜 차체와 연결되고, 내측 상단 부분은 코일 스프링(104)과 쇽 업소오버(106)가 일체로 형성되어 일정각을 유지하면서 세워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스트러트 어셈블리(108)에 의하여 차체에 현가 지지된다.In the general strut-type suspens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4, the
그리고 최근에는 차량의 고성능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로워 컨트롤 아암(102)이 전,후 2개의 아암(102a)(102b)으로 이루어지는 멀티링크 타입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cope with high performance of a vehicle, as shown in FIG. 5, a multilink type having a
이러한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핸들 토크 및 노면 반력을 감소시키고 핸들 복원 토크를 위하여 킹핀각을 설정하게 되는데, 휠은 이의 킹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조향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In this suspension, the steering wheel and road surface reaction force are reduced and the kingpin angle is set for the steering wheel recovery torque. The wheel is steered while rotating about the kingpin shaft.
상기에서 킹핀각이라고 함은 수직선과 킹핀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The king pin angle means an angle formed between the vertical line and the king pin center line.
상기와 같은 킹핀 중심선을 살펴보면, 1개의 로워 컨트롤 아암(102)을 보유하는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경우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스트러트 어셈블리(108)의 상단 마운트부(110)와, 로워 컨트롤 아암(102)의 휠측 연결부(112)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K)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Looking at the kingpin center line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strut-type suspension having one
그리고 전,후 2개의 로워 컨트롤 아암(102a)(102b)으로 이루어지는 멀티링크 현가장치의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스트러트 어셈블리(108)의 상단 마운트부(110)와, 전, 후 2개의 아암(102a)(102b)의 차체측 연결부(114a)(114b)와 휠측 연결부(112a)(112b)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교차하는 점(G)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K)으로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case of a multilink suspension composed of two
그러나 상기에서 1개의 로워 컨트롤 아암(102)을 보유하는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상단 마운트(110)와 휠측 연결부(112)가 고정된 상태이므로 조향시 킹핀 옵셋량이 극히 작게 이루어짐으로써, 복원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However, in the suspension device having one
그리고 전,후 2개의 아암(102a)(102b)을 보유하는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도 6에서와 같이, 구조적으로 조향각에 따라 로워 컨트롤 아암(102)의 교차점(G)이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선회 내륜의 경우에는 전방 내측으로 이동하고, 선회 외륜의 경우에는 후방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선회시 교차점(G)이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킹핀 옵셋량이 감소되어 종방향 힘에 대한 복원력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In the suspension device having two
따라서 본 발명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조향각에 따라 킹핀 옵셋량을 가변시켜 조향 후 복원력을 이상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멀티 링크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have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t-type multi-link suspension of the vehicle to be able to ideally control the restoring force after steering by varying the kingpin offset amount according to the steering angle. .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항 1에서와 같이,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캐리어와, 상기 휠 캐리어의 하단부를 차체와 연결하여 주는 전,후 2개의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로워 컨트롤 아암과, 코일 스프링과 쇽 업소오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단부가 인슐레이터를 개재시켜 차체에 현가 지지되고, 하단 부가 상기 휠 캐리어의 상측부와 연결되는 스트러트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측 아암의 차체측 연결부에 킹핀 옵셋 보존수단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스트러트형 멀티 링크 현가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s in claim 1, the lower control arm consisting of a wheel carrier rotatably supporting the wheel, and two arms before and after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wheel carrier and the vehicle body; And a strut assembly in which a coil spring and a shock absorber are integrally formed, the upper end of which is suspended on the vehicle body via an insulator, and the lower end of which includes a strut assembly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wheel carrier. Provided is a strut-type multi-link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a king pin offset preservation means is disposed on a vehicle body side connection portion.
상기에서 킹핀 옵셋 보존수단은 청구항 2에서와 같이, 차체(서브 프레임)에 형성된 호형의 가이드 홀과, 상기 전측 아암의 차체측 연결부를 상기 가이드 홀내에서 진퇴 동작시킬 수 있는 액튜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king pin offset preservation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rc-shaped guide hole formed in the vehicle body (sub-frame), and the actuator for moving the vehicle body side connection portion of the front arm in the guide hole as in
상기에서 가이드 홀은 청구항 3에서와 같이, 전측 아암이 휠측 연결부를 기준으로 회전할 때의 차체측 연결부의 운동 궤적을 따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as shown in claim 3, the guide hole is formed along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vehicle body side connection portion when the front arm rotates with respect to the wheel side connection portion.
상기에서 액튜에이터는 청구항 4에서와 같이, 유압에 의하여 신축되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액튜에이터 로드의 단부는 전측 아암의 차체측 연결부의 고정축에 힌지 연결되고, 후단 고정구는 차체에 힌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actuator is made of a hydraulic cylinder that is stretched by hydraulic pressure, as in
상기에서 액튜에이터는 청구항 5에서와 같이, 유압펌프와 컨트롤 밸브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 밸브는 조향각 센서와 차속센서의 신호에 따른 컨트롤 유닛에 의하여 제어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actuator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pump and the control valve as in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valve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signals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vehicle speed sensor.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중 전트롤 유닛에서 조향각센서와 차속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킹핀 옵셋 보상량의 산출하여 컨트롤 밸브를 제어하면 컨트롤 밸브에서 액튜에이터로 공급/배출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킹핀 옵셋량을 보존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signal input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and the vehicle speed sensor in the front trolley unit during operation of the vehicle, calculates the kingpin offset compensation amount, and controls the control valve to supply / extract the hydraulic pressure from the control valve to the actuator. By controlling the preservation of the king pin offset amount.
즉, 2개의 로워 아암의 양측 연결부를 연결하는 연장선의 교차점을 조향시 중립 상태 보다 외측으로 이동시켜 킹핀 옵셋량이 증대시킴으로써, 종방향 힘에 대한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by increasing the kingpin offset amount by moving the intersection of the extension lines connecting the two connecting portions of the two lower arms outward from the neutral state during steering, the restor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force can be increased.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트러트형 멀티링크 현가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부호 2는 휠을 지칭하며, 상기 휠(2)은 휠 캐리어(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3 is a diagram showing a strut-type multilink suspens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 which
상기 휠(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캐리어(4)는 내측 하단 부분이 로워 컨트롤 아암(6)을 개재시켜 차체와 연결되는데, 상기 로워 컨트롤 아암(6)은 전,후 2개의 아암(8)(10)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에서 전측 아암(8)은 텐션 아암(Tension Arm), 후측 아암(10)은 레터럴 아암(Lateral Arm)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the above, the
그리고 상기 전측 아암(8)의 휠 연결부(8a)는 휠 캐리어(4)와 볼 죠인트로 연결되고, 차체측 연결부(8b)는 수직형 고부부시를 개재시켜 연결된다.The
또한, 상기 후측 아암(10)의 휠측 연결부(10a)는 휠 캐리어(4)와 볼 죠인트로 연결되고, 차체측 연결부(10b)는 수평형 고무부시를 개재시켜 연결된다.1Further, the wheel
그리고 상기 휠 캐리어(4)의 내측 상단 부분은 코일 스프링(12)과 쇽 업소오버(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일정각을 유지하면서 세워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스트러트 어셈블리(16)에 의하여 차체에 현가 지지된다.In additi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이에 따라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진동 및 충격이 상기 스트러트 어셈블리(16)에 의해 감쇠되어 최소의 상태에서 차체에 전달되는 것이다.Accordingly, various vibrations and shocks input from the road surface are attenuated by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은 스트러트 어셈블리(16)의 상단부는 차체와의 사이에 마운트(18)를 개재시켜 현가 지지되는데, 상기 마운트(18)의 내부 구조는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도 1의 미설명 부호 20은 스테빌라이저 바이며, 22는 조향 로드를 지칭한다.
이러한 스트러트형 멀티링크 현가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2 에서와 같이 로워 컨트롤 아암(6)의 전측 아암(8)에 킹핀 옵셋 보존수단을 배치하였다.In such a strut-type multilink suspension,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kingpin offset preservation means on the
상기 킹핀 옵셋 보존수단은 전측 아암(8)의 차체측 연결부(8b)에 형성되는데, 차체{서브 프레임(28)}에 형성된 호형의 가이드 홀(30)과, 상기 전측 아암(8)의 차체측 연결부(8b)를 상기 가이드 홀(30)내에서 진퇴 동작시킬 수 있는 액튜에이터(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king pin offset preservation means is formed in the vehicle body
상기에서 가이드 홀(30)은 기존과 같이 전측 아암(8)의 차체측 연결부(8b)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는데, 그의 곡률은 전측 아암(8)이 휠측 연결부(8a)에 회전할 때의 차체측 연결부(8b)의 운동 궤적에 따라 결정된다. 이는 선회시 휠의 토우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In the above, the
또한, 상기 가이드 홀(30)에 전측 아암(8)의 차체측 연결부(8b)를 연결함에 있어서는 이에 개재되는 수직형 고무부시가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가이드 홀(30)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연결되는데, 그 구성에는 특별한 특징이 없는 바, 상세한 구조는 제시하지 않는다.In addition, in connecting the vehicle body
그리고 상기 액튜에이터(32)는 유압에 의하여 신축되는 유압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액튜에이터 로드(34)의 단부는 전측 아암(8)의 차체측 연결부(8b)의 고정축(36)에 회전이 허용되는 힌지 연결된다.And the
또한, 상기 액튜에이터(32)의 후단 고정구(38)는 차체(28)에 힌지 연결되는데, 이는 전측 아암(8)의 차체측 연결부(8b)가 진퇴동작을 행할 때, 액튜에이터(32)가 후단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그리고 상기 액튜에이터(32)는 유압펌프(40)에서 생성되어 컨트롤 밸브(42)를 통해 유입 또는 배출되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며, 상기 컨트롤 밸브(42)는 컨트롤 유닛(ECU)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컨트롤 유닛(ECU)는 조향각 센서(44)와 차속센서(46)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컨트롤 밸브(42)를 제어하게 된다.And the
즉, 차량의 운행중 전트롤 유닛(ECU)에서 조향각센서(44)와 차속센서(4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킹핀 옵셋 보상량의 산출하여 컨트롤 밸브(42)를 제어하면 컨트롤 밸브(42)에서 액튜에이터(32)로 공급/배출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킹핀 옵셋량을 보존함으로써, 복원력을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면 좌측은 직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side of the figure shows a straight state.
이의 상태에서는 전측 아암(8)의 차체측 연결부(8b)가 가이드 홀(30)의 중앙부분에 위치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vehicle body
이와같은 중립 조향 상태에서 좌회전을 하고자 미도시 한 스티어링 휠을 필요한 만큼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턴크롤 유인(44)에서는 조향각과 차속을 검출하여 컨트롤 밸브(42)를 제어하면, 컨트롤 밸브(42)에서는 액튜에이터(32)가 신장되도록 제어한다.If the steering wheel (not shown) is rotated to the left as necessary to make a left turn in such a neutral steering state, the turn-roll attractor 44 detects the steering angle and the vehicle speed to control the
그러면 액튜에이터 로드(34)가 전진하면서 전측 아암(8)의 차체측 연결부(8b)를 밀어 후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3의 우측 도면에서와 같이 전,후측 아암(8)(10)의 교차점(G)이 전방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Then, when the
그리고 상기와 반대로 우회전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는 반대로 교차점(G)의 후방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In the case where a right turn is to be made in contrast to the above, it is not shown, but moves to the rear outside of the intersection point G, in contrast to the above.
상기와 같이 조향시 교차점(G)이 중립 상태 보다 외측으로 이동한다는 것은 결국 킹핀 옵셋량이 증대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킹핀 옵셋량이 커지면 종방향 힘에 대한 복원력이 증대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rossing point G moves outward from the neutral state during steering, the kingpin offset amount is increased, and as the kingpin offset amount is increased, the restor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force is increased.
상기에서 본 발명의 현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하여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usp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v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ncludes all changes to the extent considered equivalen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트러트형 멀티 링크 현가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ut type multi-link suspension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3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종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킹핀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king pin shaft of the conventional strut-type suspension.
도 5는 종래 스트러트형 멀티 링크 현가장치의 킹핀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king pin shaft of the conventional strut-type multi-link suspension.
도 6은 종래 스트러트형 멀티 링크 현가장치의 킹핀 옵셋에 대한 설명도.6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king pin offset of a conventional strut type multi-link suspensi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2246A KR20110055291A (en) | 2009-11-19 | 2009-11-19 | Strut-type Multilink Suspension of Automob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2246A KR20110055291A (en) | 2009-11-19 | 2009-11-19 | Strut-type Multilink Suspension of Automobi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5291A true KR20110055291A (en) | 2011-05-25 |
Family
ID=44364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2246A Ceased KR20110055291A (en) | 2009-11-19 | 2009-11-19 | Strut-type Multilink Suspension of Automobi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55291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8267A (en) * | 2014-10-23 | 2016-05-0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
KR20190070078A (en) * | 2017-12-12 | 2019-06-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ront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2009
- 2009-11-19 KR KR1020090112246A patent/KR20110055291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8267A (en) * | 2014-10-23 | 2016-05-0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
KR20190070078A (en) * | 2017-12-12 | 2019-06-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ront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44160B2 (en) | Suspension device | |
US7914020B2 (en) | Vehicle suspension system with a variable camber system | |
KR101198800B1 (en) | Active roll control system for vehicle | |
EP1818243B1 (en) |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 |
US12252199B2 (en) | Independent corner module | |
JPH05162518A (en) |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 |
KR20110058462A (en) | Suspension of automobile | |
KR20110055291A (en) | Strut-type Multilink Suspension of Automobile | |
JPH0345409A (en) | Trailing type rear suspension | |
JP5217963B2 (en) | Front suspension device | |
CN205311263U (en) | A device and motor vehicle for steering mechanism of motor vehicle | |
JPS62110506A (en) | Vehicle rear suspension device | |
KR100507096B1 (en) |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 |
KR100650320B1 (en) | Rear wheel toe control of vehicle | |
JP5237474B2 (en) | Strut suspension system | |
KR20090132981A (en) | Camber Variable of Vehicle Suspension | |
KR101448796B1 (en) |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 |
KR100394631B1 (en) | A wheel alignment for vehicles | |
JP6166084B2 (en) | Suspension device | |
KR100765647B1 (en) | Understeer guide device for automobile | |
CN101817292A (en) | Wheel suspension device for automobile front wheel | |
KR20080109965A (en) | Multi-link type rear suspension | |
KR100461427B1 (en) | Caster angle adjusting device of macperson type suspension in vehicle | |
KR20070102133A (en) | Wishbone suspension for vehicle | |
KR101339244B1 (en) |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10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1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7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