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54731A -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731A
KR20110054731A KR1020090111490A KR20090111490A KR20110054731A KR 20110054731 A KR20110054731 A KR 20110054731A KR 1020090111490 A KR1020090111490 A KR 1020090111490A KR 20090111490 A KR20090111490 A KR 20090111490A KR 20110054731 A KR20110054731 A KR 20110054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vehicle
vehicle speed
reference valu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희
최윤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피코
Priority to KR1020090111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4731A/ko
Publication of KR20110054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73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60K2023/025Adjusting of clutch pedal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러치가 직결된 상태에서 차량의 급정거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차량이 급정거를 하는 경우, 클러치 해제의 기준이 되는 해제 기준값을 상향조정하고 현재 차속이 그 상향조정된 해제 기준값보다 작으면 클러치를 해제시킴으로써 브레이크 급제동으로 인해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브레이크 급제동으로 인해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운전자들에게 안정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차량, 클러치, 급정거, 시동꺼짐, 해제, 직결

Description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Starting clutch algorthm to prevent an engin from turning off during a sudden stop}
본 발명은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급정거에 의한 시동이 꺼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술로서, 클러치가 직결된 상태에서 차량의 급정거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차량이 급정거를 하는 경우, 클러치 해제의 기준이 되는 해제 기준값을 상향조정하고 현재 차속이 그 상향조정된 해제 기준값보다 작으면 클러치를 해제시킴으로써 브레이크 급제동으로 인해 시동이 꺼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 주행 중,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아 브레이크 신호가 입력되면, 차량의 제어부가 현재 차량의 차속이 일정값 이하가 되기 전까지는 엔진과 클러치의 직결상태가 유지되도록 처리하고, 차속이 일정값 이하가 되면 엔진과 클러치의 직결상태가 해제 되도록 처리한다.
이때 차량이 급정거 하는 경우, 클러치가 해제되는 속도보다 현재 차속이 빠르게 감속이 되므로, 엔진의 토크는 급감하는데 비해 엔진과 클러치가 직결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시동이 꺼짐 현상이 발생되어 교통사고의 위험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 그 차량이 급정거를 하는지 판단하여 그 판단결과 차량이 급정거를 하는 경우, 클러치 해제의 기준이 되는 해제 기준값(차속의 값)을 상향조정하고 현재 차속이 상향조정된 해제 기준값보다 작으면 클러치를 해제시킴으로써 브레이크 급제동으로 인해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운전자들에게 안정성을 제공하는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는, 차량의 급정거 여부를 판단하는 급정거 판단부, 클러치 직결상태에서 상기 급정거 판단부로부터의 급정거 판단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클러치 해제의 기준이 되는 클러치 해제 기준값을 상향조정하는 조정부 및 상기 조정부에 의해 상향조정된 클러치 해제 기준값과 현재의 차속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클러치를 해제시키는 클러치 해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급정거 판단부는 현재의 차속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고, 쓰로틀 개도센서(TPS: Throttle Position Sensor)에서 측정한 개도값이 미리 설정된 쓰로틀 개도 기준값 미만이며, 차속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고,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급정거 상태로 판단하여 급정거 판단신 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클러치 해제부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로부터 현재 차속을 제공받은 뒤, 상기 조정부에 의해 상향조정된 클러치 해제 기준값과 현재의 차속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클러치 해제 기준값보다 현재의 차속이 작은 경우, 클러치를 해제한다.
또, 상기 급정거 판단부가 차량을 급정거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클러치 해제부에 의해 클러치가 해제된 상태인 경우, 차량의 급정거로 인한 차속 변화량 및 개도값을 이용하여 보정 유압 맵을 생성한 뒤 상기 보정 유압 맵에 기초하여 클러치 슬레노이드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A)급정거 판단부가 차량의 급정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클러치 직결상태에서 상기 (A)단계에 의해 급정거 판단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조정부가 클러치 해제의 기준이 되는 클러치 해제 기준값을 상향조정하는 단계 및 (C)클러치 해제부가 상기 (B)단계에 의해 상향조정된 해제 기준값과 현재의 차속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클러치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A)단계는 상기 급정거 판단부는 현재의 차속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고, 쓰로틀 개도센서(TPS: Throttle Position Sensor)에서 측정한 개도값이 미리 설정된 쓰로틀 개도 기준값 미만이며, 차속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고,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급정거 상태로 판단하여 급정거 판단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C)단계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로부터 현재 차속을 제공받은 뒤, 상기 조정부에 의해 상향조정된 클러치 해제 기준값과 현재의 차속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클러치 해제 기준값보다 현재의 차속이 작은 경우, 클러치를 해제한다.
또, (D)상기 (A)단계에 의해 급정거 상태로 판단되고, 상기 (C)단계에 의해에 의해 클러치가 해제되는 경우, 중앙처리부가 차량의 급정거로 인한 차속 변화량 및 개도값을 이용하여 보정 유압 맵을 생성한 뒤, 상기 보정 유압 맵에 기초하여 클러치 슬레노이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 클러치가 직결된 상태에서 차량의 급정거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차량이 급정거를 하는 경우, 클러치 해제의 기준이 되는 해제 기준값(차속의 값)을 상향조정하고 현재 차속이 상향조정된 해제 기준값보다 작으면 클러치를 해제시킴으로써 브레이크 급제동으로 인해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운전자들에게 안정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진클러치가 채용되는 자동변속기에 요구되는 기술력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100)는 급정거 판단부(110), 쓰로틀 개도센서(111), 차속센서(113), 조정부(120), 클러치 해제부(130), 중앙제어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급정거 판단부(110)는 차량의 급정거 여부를 판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급정거 판단부(110)는 차속센서(113)로부터 제공받은 현재의 차속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고, 쓰로틀 개도센서(TPS: Throttle Position Sensor)(111)에서 측정한 개도값이 미리 설정된 쓰로틀 개도 기준값 미만이며, 차속의 변화량이 일정치 미만이고, 상술한 바와 같은 조건을 유지하는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급정거 상태로 판단하여 급정거 판단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급정거 판단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은 4가지의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 급정거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쓰로틀 개도 센서(111)는 쓰로틀의 개도를 감지하여 개도값을 생성한다. 여기서 엔진의 스로틀 개도값은 엑셀레이터 페달을 밟는 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쓰로틀 개도 센서(111)는 엑셀레이터 페달을 어느 정도 밟았는지 판단하기 위한 센서이다.
그리고 차속센서(113)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한다.
조정부(120)는 클러치 직결상태에서 급정거 판단부(110)로부터의 급정거 판단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저장부(150)에 저장된 클러치 해제의 기준이 되는 클러치 해제 기준값을 가져온 뒤, 그 클러치 해제 기준값을 상향조정한다.
클러치 해제부(130)는 브레이크가 입력되면, 조정부(120)에 의해 상향조정된 클러치 해제 기준값과 현재의 차속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클러치를 해제시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 클러치 해제부(130)는 브레이크가 입력되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113)로부터 현재 차속을 제공받은 뒤, 조정부(120)에 의해 상향조정된 클러치 해제 기준값과 현재의 차속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클러치 해제 기준값보다 현재의 차속이 작은 경우, 클러치를 해제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차량이 급정거를 하는 경우, 클러치 해제 기준값을 상향조정되고, 현재 차속이 상향조정된 해제 기준값보다 작으면 클러치를 자동 해제시킴으로써 브레이크 급제동으로 인해 차량의 시동이 꺼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운전자들에게 안정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중앙제어부(140)는 급정거 판단부(110)가 차량을 급정거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클러치 해제부(130)에 의해 클러치가 해제된 상태인 경우, 차량의 급정거로 인 한 차속 변화량 및 개도값을 이용하여 보정 유압 맵을 생성한 뒤, 그 보정 유압맵에 기초하여 클러치 슬레노이드를 제어한다. 즉, 보정값을 통한 지시압의 변경으로 클러치의 해제가 조기에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저장부(150)에는 클러치 해제의 기준이 되는 클러치 해제 기준값 및 차속센서(113)로부터 전송받은 차속정보가 저장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S120의 상세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차량이 주행을 시작하면, 클러치가 직결상태인지 판단한 뒤(S 110), 클러치가 직결상태이면, 급정거 판단부(110)가 차량의 급정거 여부를 판단한다(S 120).
좀 더 구체적으로 급정거 판단부(110)는 현재의 차속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는지 판단한다(S 121).
이때, S121의 판단결과 현재의 차속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면, 급정거 판단부(110)는 쓰로틀 개도센서(TPS: Throttle Position Sensor)(111)에서 측정한 개도값이 미리 설정된 쓰로틀 개도 기준값 미만인지 판단한다(S 123).
한편, S121의 판단결과 현재의 차속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경우, 급정거 판단부(110)는 차량이 급정거 상태가 아닌것으로 판단한다(S 128).
그리고 S123의 판단결과 쓰로틀 개도센서(TPS: Throttle Position Sensor)(111)에서 측정한 개도값이 미리 설정된 쓰로틀 개도 기준값 미만인 경우, 급정거 판단부(110)는 차속의 변화량이 일정치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 125).
한편, S125의 판단결과 쓰로틀 개도센서(TPS: Throttle Position Sensor)(111)에서 측정한 개도값이 미리 설정된 쓰로틀 개도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급정거 판단부(110)는 차량이 급정거 상태가 아닌것으로 판단한다(S 128).
이때, S125의 판단결과 차속의 변화량이 일정치 미만이면, 급정거 판단부(110)는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 127).
한편, S127의 판단결과 경과시간이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급정거 판단부(110)는 차량이 급정거를 하였다고 판단한 뒤, 급정거 신호를 생성한다(S 129).
한편, S127의 판단결과 경과시간이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미만이면, 급정거 판단부(110)는 차량이 급정거 상태가 아닌것으로 판단한다(S 128).
이후, 클러치 직결상태에서 상기 S120에 의해 급정거 판단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조정부(120)가 저장부(150)에 저장된 클러치 해제의 기준이 되는 클러치 해제 기준값을 가져온 뒤, 그 클러치 해제 기준값을 상향조정한다(S 140).
이후, 클러치 해제부(130)는 브레이크가 입력되면(S 145),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로부터 현재 차속을 제공받은 뒤, S140에 의해 상향조정된 클러치 해제 기준값과 현재의 차속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클러치 해제 기준값보다 현재의 차속이 작은 경우, 클러치를 해제한다(S 150). 이때, 클러치 해제부(130)는 차량의 기어상태(예컨대, R단, D단)에 따라 상향조정된 해당 클러치 해제기준값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상향조정된 클러치 해제 기준값과 현재의 차속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클러치 해제 기준값보다 현재의 차속이 작은 경우, 클러치를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S120에 의해 급정거 상태로 판단되고, S150에 의해 클러치가 해제되는 경우, 중앙처리부(140)가 차량의 급정거로 인한 차속의 변화량 및 개도값을 이용하여 보정 유압 맵을 생성한 뒤, 그 보정 유압 맵에 기초하여 클러치 슬레노이드를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도 2의 S120의 상세 동작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110 : 급정거 판단부
111 : 쓰로틀 개도 센서 113 : 차속 센서
120 : 조정부 130 : 클러치 해제부
140 : 중앙 제어부 150 : 저장부

Claims (8)

  1. 차량의 급정거 여부를 판단하는 급정거 판단부;
    클러치 직결상태에서 상기 급정거 판단부로부터의 급정거 판단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클러치 해제의 기준이 되는 클러치 해제 기준값을 상향조정하는 조정부; 및
    상기 조정부에 의해 상향조정된 클러치 해제 기준값과 현재의 차속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클러치를 해제시키는 클러치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정거 판단부는,
    현재의 차속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고, 쓰로틀 개도센서(TPS: Throttle Position Sensor)에서 측정한 개도값이 미리 설정된 쓰로틀 개도 기준값 미만이며, 차속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고,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급정거 상태로 판단하여 급정거 판단신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해제부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로부터 현재 차속을 제공받은 뒤, 상기 조정부에 의해 상향조정된 클러치 해제 기준값과 현재의 차속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클러치 해제 기준값보다 현재의 차속이 작은 경우, 클러치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급정거 판단부가 차량을 급정거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클러치 해제부에 의해 클러치가 해제된 상태인 경우, 차량의 급정거로 인한 차속 변화량 및 개도값을 이용하여 보정 유압 맵을 생성한 뒤 상기 보정 유압 맵에 기초하여 클러치 슬레노이드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클러치 제어 장치.
  5. (A)급정거 판단부가 차량의 급정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클러치 직결상태에서 상기 (A)단계에 의해 급정거 판단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조정부가 클러치 해제의 기준이 되는 클러치 해제 기준값을 상향조정하는 단계; 및
    (C)클러치 해제부가 상기 (B)단계에 의해 상향조정된 해제 기준값과 현재의 차속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클러치를 해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급정거 판단부는 현재의 차속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고, 쓰로틀 개도센서(TPS: Throttle Position Sensor)에서 측정한 개도값이 미리 설정된 쓰로틀 개도 기준값 미만이며, 차속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고,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면, 급정거 상태로 판단하여 급정거 판단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로부터 현재 차속을 제공받은 뒤, 상기 조정부에 의해 상향조정된 클러치 해제 기준값과 현재의 차속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 클러치 해제 기준값보다 현재의 차속이 작은 경우, 클러치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D)상기 (A)단계에 의해 급정거 상태로 판단되고, 상기 (C)단계에 의해에 의 해 클러치가 해제되는 경우, 중앙처리부가 차량의 급정거로 인한 차속 변화량 및 개도값을 이용하여 보정 유압 맵을 생성한 뒤 상기 보정 유압 맵에 기초하여 클러치 슬레노이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클러치 제어 방법.
KR1020090111490A 2009-11-18 2009-11-18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eased KR20110054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490A KR20110054731A (ko) 2009-11-18 2009-11-18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490A KR20110054731A (ko) 2009-11-18 2009-11-18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731A true KR20110054731A (ko) 2011-05-25

Family

ID=4436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490A Ceased KR20110054731A (ko) 2009-11-18 2009-11-18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47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3843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ement control of a vehicle
US11225254B2 (en) Driving support device
US20090114468A1 (en) Method for Vehicle Creep Torque Control
US10654480B2 (en) Driver assistance system in a motor vehicle
JP6081778B2 (ja) 車両の荷重に基づいてエンジントルクを補正する方法及び装置
CN112339559A (zh) 车辆控制装置以及车辆控制方法
JP2016025683A (ja) 車両走行制御装置
JP5883472B2 (ja) 自動車を動作させる装置
US20110190992A1 (en) Method for the control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control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US97581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improved switching over between accelerator pedal characteristic curves
GB2471997A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JP5817386B2 (ja) エンジン再始動制御装置
US20140207358A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JP2021030882A (ja) 車両のペダル踏み間違い対応制御装置
EP3744596B1 (en)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device
JP2013216141A (ja) 車両のクルーズ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4286027A (ja) 車両速度の制限方法および装置
JP2012026393A (ja) 車両の制御装置
CN107206981B (zh) 用于防止无意的车辆运动的控制单元和方法
JP5780837B2 (ja) 車両の制御装置、車両、車両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62124B2 (ja) 車両走行制御装置
KR20110054731A (ko) 차량의 클러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4014044A (ja) 車両の制御方法及び車両
US20190359224A1 (en) Driving force control apparatus
JP4140274B2 (ja) 走行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4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12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6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2040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3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12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6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1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