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51223A - 에어백용 팽창기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팽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1223A
KR20110051223A KR1020117005001A KR20117005001A KR20110051223A KR 20110051223 A KR20110051223 A KR 20110051223A KR 1020117005001 A KR1020117005001 A KR 1020117005001A KR 20117005001 A KR20117005001 A KR 20117005001A KR 20110051223 A KR20110051223 A KR 20110051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gas
inflator
housing
bo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라이스 로비넷
켄 클락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filed Critical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Publication of KR20110051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22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1/262Elongated tubular diffusers, e.g. curtain-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characterised by means to rupture or open the fluid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에어백용 팽창기가 제공된다. 팽창기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팽창기는 보어를 한정하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 가스 발생제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기는, 신호의 수신 시에 가스 발생제를 폭발시킬 수 있고 하우징의 제1 단부에 결합된 점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기는, 하우징 밖으로의 배출을 제공하기 위하여 개방될 수 있고 하우징의 제2 단부에 결합된 임시 폐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화기의 점화는, 보어를 통하여 통과하여 임시 폐쇄부를 개방하는 충격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용 팽창기{Inflator for an airbag}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에어백을 위한 불꽃방식 팽창기(pyrotechnic inflator)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서의 설명은 본 출원에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이며, 종래 기술이 아닐 수 있다.
팽창가능한 안전 구속 장치(inflatable safety restraint device) 또는 에어백은 대부분의 신차에서 볼 수 있다. 에어백은 통상적으로 팽창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팽창기는 차량 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에어백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상당량의 팽창 유체 또는 가스를 신속히 발생시킬 수 있는데, 그것은 탑승자(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에어백을 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팽창가능한 커튼 에어백(curtain airbag)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가능한 커튼 에어백은 차량의 헤드라이너(headliner)로부터 전개되어 팽창함으로써, 탑승자의 머리가 창문과 같은 차량의 측부에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주로 측방향의 충격 이벤트(event) 시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어떤 팽창가능한 커튼 에어백은, "고온 가스(hot gas)" 팽창기를 활용할 수 있는데, 이것은 차가운 가스로 인하여 귀결되는 에어백 압력의 손실이 그러한 이벤트의 짧은 지속 시간으로 인하여 문제가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전복(rollover) 이벤트 시에 견디도록 설계된 다른 팽창가능한 커튼 에어백은, 연장된 압력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저온 가스(cold gas)" 팽창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저온 가스" 팽창기의 가스는 가열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 팽창기는 에어백을 팽창시키는데에 필요한 체적의 가스를 수용하기 위하여 매우 크고 무거울 수 있다. 따라서, 측면 커튼 에어백(side curtain airbag)을 위한 보다 소형의 팽창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에어백용 팽창기의 적어도 일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종래 에어백용 팽창기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에어백용 팽창기가 제공된다. 그 팽창기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고 또한 공동을 한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팽창기는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연소 가스를 생성시키도록 하우징 내에 배치된 가스 발생제도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발생제는 보어를 한정할 수 있다. 또한, 팽창기는 공동을 임시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임시 폐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기는 점화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점화기는 연소 가스를 생성시키도록 가스 발생제를 점화시키고, 또한 보어를 통하여 전파되는 충격파를 발생시켜서 임시 폐쇄부를 개방시킨다.
에어백과 조합된 팽창기도 제공된다. 팽창기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하우징은 공동을 한정하며 또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한다. 그 팽창기는 보통의 경우에 챔버 내에 제1 온도로 보유되는 압축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기는 챔버 내에 배치된 연소가능 재료의 가스 발생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가스 발생제는 관통보어(throughbore)를 한정할 수 있다. 또한, 그 팽창기는 에어백의 팽창 전에 공동을 에어백으로부터 밀봉시키는 임시 폐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팽창기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점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제1 온도인 압축 가스의 적어도 일부분이 공동으로부터 에어백으로 해제(release)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임시 폐쇄부를 개방시킨다. 점화기는 제2 온도의 연소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가스 발생제를 점화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에어백의 팽창 방법도 제공된다. 이 방법은 신호의 수신 시에 반응성 충전재를 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반응성 충전재의 점화에 의하여 생성되는 충격파로 임시 폐쇄부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임시 폐쇄부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반응성 충전재를 가스 발생제를 통하여 연장된 보어를 통해서 전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가스 발생제를 점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임시 폐쇄부를 개방시킴에 의하여 생성되는 개구를 통해서 통과하는 가스로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에 관한 다른 영역들은 여기에서 제공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특정의 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종래의 에어백용 팽창기의 적어도 일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종래의 에어백용 팽창기에 비하여 성능이 향상된 에어백용 팽창기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제공되는 도면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기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자동차의 개략도인데, 여기에서 보이는 에어백은 제1 위치 또는 전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는 도 1 의 팽창기의 부분 절개도인데, 그 팽창기는 에어백과 작동하도록 관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도시된 에어백은 제2 위치 또는 접힌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 은 도 1 의 팽창기의 상세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취지, 적용, 또는 용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하기의 설명은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팽창기에 일반적으로 관련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여기에서 설명되고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팽창기는 기차, 버스, 항공기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운송수단에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하기의 설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 을 참조하면, 에어백 시스템(12)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자동차(10)의 일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에어백 시스템(12)은 에어백(16) 및 팽창기(18)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충격 에어백, 무릅 받침대(knee bolster), 팽창가능 커튼(inflatable curtain), 또는 오버헤드 에어백(overhead airbag)과 같이, 본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에어백(16)들이 팽창기(18)과 함께 채택될 수 있는바, 에어백(16)에 관하여는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도 2 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에어백(16)은 쿠션(2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쿠션은 자동차(10) 내의 트림 패널(trim panel; 22)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에어백(16)은 측면 충격의 팽창가능한 커튼 에어백을 이룰 수 있는데, 이것은 팽창기(18)에 의하여 팽창되는 때에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차(10) 내의 승객실(10a)의 큰 체적을 점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팽창기(18)는 자동차(10)의 미리 결정된 이벤트(예를 들어 차량 전복의 임박)가 검출되는 수 밀리 초 내에 에어백(16)을 팽창시킬 수 있는 신속하게 팽창되는 가스를 생성시킬 수 있고, 이로써 에어백(16)이 팽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자동차(10) 자체와 자동차(10)의 탑승객(들) 사이에 격벽을 생성하는데, 이것은 탑승객(들)에 대한 상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팽창기(18)는 하우징(30), 점화기 시스템(32), 및 폐쇄 부재(closure member)를 포함할 수 있고, 그 폐쇄 부재는 파열가능한 가스 유출 멤브레인(rupturable gas outlet membrane) 또는 파열 원판(34)의 형태를 갖는다 (도 3 참조). 하우징(30)은 원통형일 수 있고, 전체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30)은, 스틸(steel), 마그네슘 합금(magnesium alloy) 등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탬핑(stamping), 기계가공, 주조, 압출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 의 주변환경을 참조하면, 하우징(30)은 차량(10)에 대해 상대적인 특정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하우징(30)은 임의의 적합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우징(30)은, 제1 단부(36) 및 제2 단부(38)를 구비할 수 있고, 또한 공동(42)을 한정하는 중간부(intermediate portion)를 한정할 수 있다.
제1 단부(36)는 점화기 시스템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제2 단부(38)는 유출구(outlet; 38a)를 한정할 수 있다. 유출구(38a)는, 하우징(30) 내의 가스가 에어백(16)을 팽창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에어백(16)과 소통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파열 원판(34)은 하우징(30)을 위한 임시 폐쇄부를 한정하는데, 그 임시 폐쇄부는 에어백(16)의 팽창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출구(38a) 너머로 위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42)은 일반적으로 제1 단부(36)로부터 제2 단부(38)까지 연장될 수 있고, 압축 가스를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동(42)은, 예를 들어 대략 제곱인치당 6500 파운드(6500 pounds per square inch) 내지 대략 제곱인치당 8500 파운드로 압축 가스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압력은 특정의 적용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점화기 시스템(32)은 개시기(initiator; 44) 및 가스 발생제(45)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기(44)는 여기에 참조로서 전체가 포함되는 미국특허 제7,210,703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임의의 적합한 개시기일 수 있는바, 개시기(44)는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간단히 설명하면, 개시기(44)는 도화폭관(squib; 46), 반응성 충전재(47), 돔(dome) 또는 캡(cap)(48), 제1 도전성 핀(first conductive pin; 50), 제2 도전성 핀(second conductive pin; 52), 및 브리지와이어(bridgewire)(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도화폭관(46)은 앞으로 설명될 바와 같이, 전류와 같은 전기 신호의 수신 시에 폭발(detonation) 또는 점화 부하(ignition charge)를 생성시킬 수 있다. 반응성 충전재(47)는, 충전 챔버(47a) 내에 포함될 수 있고, 도화폭관(46)과 소통하여 도화폭관(46)에 응답하여, 도화폭관(46)으로부터의 부하를 받는 때에 폭발 또는 점화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반응성 충전재(47)의 폭발은 충격파를 생성시키는데, 이것은 화살표(A)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반응성 충전재(47)로부터 멀리 방사될 수 있다. 충격파(A)는, 캡(48)을 파열시킬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스 발생제(45)를 통하여 지나갈 수 있다.
반응성 충전재(47)의 활성화 전에, 캡(48)은 하우징(30)의 챔버(40)와 가스 발생제(45)를 개시기(44)로부터 밀봉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캡(48)은 가스 발생제(45)와 개시기(4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도전성 핀(50)은 도화폭관(46)으로부터 격리될 수 있고, 제2 도전성 핀(52)은 도화폭관(46)에 결합될 수 있다. 브리지와이어는 제1 도전성 핀(50)을 제2 도전성 핀(52)에 연결시킬 수 있다. 필요하다면 브리지 와이어 주위에 추가적인 반응성 충전재(47)가 채워질 수도 있다. 에어백의 전개가 요망되는 차량의 전복 또는 다른 상황이 임박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는 때에는, 전류가 제1 도전성 핀(50)과 제2 도전성 핀(52)으로 도입될 수 있다. 전류의 도입은 도화폭관(46)이 발화하도록 유발하여 폭발 또는 점화 부하를 발생시키는바, 이것은 반응성 충전재(47)를 폭발시켜서 충격파(A)를 생성시킬 수 있다.
반응성 충전재(47)는, 충격파(A)의 적어도 일부분이 가스 발생제(45) 내에 한정된 보어(56)를 통하여 지나간 후에, 가스 발생제(45)를 점화시킬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스 발생제(45)는 에어백(16)을 팽창시키기에 충분한 연소 가스를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발생제(45)는 불꽃발화 재료를 포함하는 고체 입자일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어떤 적용예에 있어서는, 가스 발생제(45)가 모놀리식(monolithic) 가스 발생제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가스 발생제들의 예들은 2006년 6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출원 제11/472,260호에 기술되어 있는바, 이것은 그 전체가 여기에 기술된 것처럼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가스 발생제가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가스 발생제(45)는 전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원통형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충격파(A)의 전파가 제공되는 한, 가스 발생제(45)가 임의의 원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가스 발생제(45)는, 필요하다면, 플러그(49)와 함께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가스 발생제(45)는 반응성 충전재(47)의 폭발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점화될 수 있다.
보어(56)는, 전체적으로 가스 발생제(45)에 의하여 한정되는 종방향 축 주위에 형성 또는 한정될 수 있고, 가스 발생제(45)는, 개시기(44)의 캡(48)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는바, 이로써 충격파(A)의 적어도 일부분이 보어(56)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보어(56)는 임의의 요망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또한, 보어(56)는, 충분한 충격파(A)의 전달이 임시 폐쇄부 또는 파열 원판(34)을 개방시킬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합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어(56)는 대략 4.5 밀리미터 내지 대략 9.0 밀리미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적용예의 경우에는, 보어(56)의 직경이 가스 발생제(45)의 직경에 비례하는바, 보어(560의 직경은 가스 발생제(45)의 직경에 따라서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가스 발생제(45)를 통한 충격파(A)의 적어도 일부분의 통과는 파열 원판(34)을 파열시킬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파열 원판(34)은 하우징(30)의 제2 단부(38)의 유출구(38a)를 덮도록 위치될 수 있는 임의의 파열가능한 기구 또는 다른 임시 폐쇄용 기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떤 적용예에서는, 파열 원판(34)이, 파열 원판(34)의 파열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새겨진 솔기(scored seams)를 포함할 수 있다. 파열 원판(34)은 일반적으로, 압축가스가 팽창기(18)의 공동(42)으로부터 나가서 에어백(16)을 팽창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파열되어 개방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충격파(A)가 파열 원판(34)을 초기에 파열시킬 수 있으므로, 제1 온도의 압축 가스의 적어도 일부분이 에어백(16)을 초기에 팽창시키기 위하여 에어백(16)에 들어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온도는 공동(42) 내의 압축 가스의 가열되지 않은, 주위의 온도이다. 반응성 충전재(47)의 폭발이 가스 발생제(45)를 점화시킴에 따라서, 제2 온도 또는 상승된 온도를 갖는 연소 가스가 발생된다. 그 가열된 연소 가스는 에어백(16)을 더 팽창시키도록 유출구(38a)를 통하여 지나갈 수 있다.
설명된 방식으로, 팽창기(18)는 측면 커튼 에어백과 같은 큰 체적의 에어백(16)을 신속히 팽창시키는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복 임박의 이벤트에 있어서, 전류 형태의 신호가 개시기(44)를 촉발시킬 수 있는데, 이것은 도화폭관(46)으로 하여금 반응성 충전재(47)를 폭발시키게 유발한다. 반응성 충전재(47)의 폭발은 충격파(A)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충격파(A)는 캡(48)을 파열시킬 수 있고, 가스 발생제(45) 내에 한정된 보어(56)를 통과하여 파열 원판(34)을 파열시킬 수 있다 (도 3 참조).
도 3 을 참조하면, 파열 원판(34)이 파열되는 때에, 챔버(40) 내에 저장된 압축 가스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30)의 제2 단부(38)의 유출구(38a)를 통과할 수 있다. 에어백(16)을 팽창시키도록 유출구(38a)를 통하여 초기에 유동하는 압축 가스가 가열되지 않거나 "저온"이거나 또는 제1 온도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에어백(16)에 대한 초기 충격 압력이 최소화될 수 있고, 이것은 에어백(16)에 대한 잠재적인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팽창기(18)는 큰 체적의 에어백을 매우 신속히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챔버(40) 내에 제곱인치당 대략 6500 파운드 내지 제곱인치당 대략 8500 파운드로 압축 가스를 저장함에 의하여, 팽창기(18)는 일관되게 작동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 압력이 가스 발생제(45)의 점화능력을 최대화시킬 수 있고 또한 가스 발생제(45)의 연소속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스 발생제(45)의 사용은 표준적인 저온 가스 팽창기에 비하여 하우징(30)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도, (예를 들어 차량 전복의 이벤트와 같은) 연장된(오랜) 기간 동안 에어백(16)을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압력을 공급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예가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또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으나,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들이 가해질 수 있고 또한 일부 구성요소가 균등한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나아가, 다양한 예들 간의 특징들, 요소들, 및/또는 기능들의 혼합과 매칭이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고찰되어서,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출원으로부터, 일 예의 특징들, 요소들, 및/또는 기능들이 - 위에서 달리 기재되지 않은 한 - 적합한 바에 따라 다른 예에 도입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취지에 맞게 특정의 상황 또는 재료를 적합하게 하는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명세서에 기재되고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특정의 예들에 국한되지 않도록 의도된 것이며, 여기에서 고찰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설명이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와 앞선 상세한 설명 내에 속하는 임의의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10: 차량 12: 에어백 시스템
16: 에어백 18: 팽창기
20: 쿠션 30: 하우징
32: 점화기 시스템 34: 파열 원판
36: 제1 단부 38: 제2 단부
38a: 유출구 42: 공동

Claims (20)

  1.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고, 공동(cavity)을 한정하는, 하우징(housing);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연소 가스(combustion gas)를 생성하도록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보어(bore)를 한정하는, 가스 발생제(gas generant);
    공동을 임시로 밀봉하기 위한 임시 폐쇄부(temporary closure); 및
    연소 가스를 생성하도록 가스 발생제를 점화시키고, 보어를 통하여 전파되어 임시 폐쇄부를 개방하는 충격파(shockwave)를 발생시키는, 점화기(igniter);를 포함하는, 에어백용 팽창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공동을 한정하고, 팽창기는 하우징의 공동 내에 에어백을 초기에 팽창시키기 위하여 저장된 제1 온도의 압축 가스(compressed gas)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용 팽창기.
  3. 제 2 항에 있어서,
    가스 발생제의 점화는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의 연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에어백용 팽창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임시 폐쇄부가 개방되는 때에, 제1 온도의 압축 가스는 에어백으로 들어가서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시작하는, 에어백용 팽창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에어백과 조합된, 에어백용 팽창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에어백은 측면 충격 에어백, 측면 커튼 에어백, 전방 충격 에어백, 또는 무릅 받침대 에어백인, 에어백용 팽창기.
  7. 제 1 항에 있어서,
    보어는, 가스 발생제의 제1 단부로부터 가스 발생제의 제2 단부로 연장되고, 전체적으로 가스 발생제의 중심축을 따라서 연장된, 에어백용 팽창기.
  8. 제 6 항에 있어서,
    보어는 대략 4.5 밀리미터 내지 대략 9.0 밀리미터의 직경을 갖는, 에어백용 팽창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압축 가스는 제곱 인치(square inch)당 대략 6500 파운드(pound) 내지 제곱 인치당 대략 8500 파운드의 압력으로 챔버 내에 저장되는, 에어백용 팽창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가스 발생제는 모놀리식 입자(monolithic grain)인, 에어백용 팽창기.
  11.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고, 공동을 한정하는, 하우징;
    평상시에 챔버(chamber) 내에 제1 온도로 유지되는 압축 가스;
    챔버 내에 배치된 연소가능 재료(combustible material)의 가스 발생제로서, 관통보어를 한정하는, 가스 발생제;
    에어백의 팽창 전에 에어백으로부터 공동을 밀봉하는 임시 폐쇄부; 및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점화기로서, 제1 온도의 압축 가스의 적어도 일부분이 공동으로부터 에어백으로 해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임시 폐쇄부를 개방시키고, 제2 온도의 연소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가스 발생제를 점화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는, 점화기;를 포함하는, 에어백과 조합된 팽창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임시 폐쇄부는 파열 원판(burst disk)이고, 점화기의 점화는 파열 원판을 파열시키는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에어백과 조합된 팽창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에어백은 측면 충격 에어백인, 에어백과 조합된 팽창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관통보어는, 가스 발생제의 제1 단부로부터 가스 발생제의 제2 단부로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가스 발생제의 중심축을 따라서 연장된, 에어백과 조합된 팽창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관통보어는 대략 4.5 밀리미터 내지 대략 9.0 밀리미터의 직경을 갖는, 에어백과 조합된 팽창기.
  16. 제 11 항에 있어서,
    압축 가스는 제곱 인치당 대략 6500 파운드 내지 제곱 인치당 대략 8500 파운드의 압력으로 챔버 내에 저장되는, 에어백과 조합된 팽창기.
  17. 제 11 항에 있어서,
    가스 발생제는 모놀리식 입자인, 에어백과 조합된 팽창기.
  18. 신호의 수신 시 반응성 충전재(reactive charge)가 점화되는 단계;
    반응성 충전재의 점화에 의하여 생성되는 충격파로 임시 폐쇄부가 개방되는 단계;
    반응성 충전재가 가스 발생제를 통하여 연장된 보어를 통해서 전파되어 임시 폐쇄부를 개방하는 단계;
    가스 발생제가 점화되는 단계; 및
    임시 폐쇄부의 개방에 의하여 생성된 개구를 통해 통과하는 가스로 에어백이 팽창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백의 팽창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측면 에어백은:
    가스 발생제에 인접하여 압축 가스를 제1 온도로 저장하는 단계;
    제1 온도의 압축 가스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하여 에어백을 초기로 팽창시키는 단계;
    제2 온도의 연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연소 가스로 에어백을 추가로 팽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의 팽창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단계는 측면 커튼 에어백을 팽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백의 팽창 방법.
KR1020117005001A 2008-09-04 2009-08-13 에어백용 팽창기 Ceased KR201100512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04,020 2008-09-04
US12/204,020 US7883108B2 (en) 2008-09-04 2008-09-04 Inflator for an airb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223A true KR20110051223A (ko) 2011-05-17

Family

ID=4172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001A Ceased KR20110051223A (ko) 2008-09-04 2009-08-13 에어백용 팽창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83108B2 (ko)
EP (1) EP2321156B1 (ko)
JP (1) JP5707328B2 (ko)
KR (1) KR20110051223A (ko)
CN (1) CN102143865B (ko)
WO (1) WO20100276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263A (ko) * 2019-12-05 2022-08-02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자동차용 안전 장치를 위한 액추에이터 장치 및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9336B2 (ja) * 2011-02-07 2013-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8657333B2 (en) * 2011-07-27 2014-02-25 Autoliv Asp, Inc. Inflator device with fuel-rich monolithic grain and oxidant-enhanced combustion
US9725185B2 (en) * 2012-08-01 2017-08-08 Raytheon Company Ram air turbine overspeed protection
FR3005914B1 (fr) * 2013-05-21 2015-05-29 Livbag Sas Generateur de gaz
DE102016002937A1 (de) 2016-03-11 2017-09-14 Trw Airbag Systems Gmbh Hybridgasgenerator, Gassackeinheit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mit einem solchen Hybridgasgenerator sowie Verfahren zum Ausbilden einer Schockwelle
US10493948B2 (en) 2017-11-09 2019-12-03 Autoliv Asp, Inc. Pressure wave generating inflator device with slidable gas generator
CN114030440A (zh) * 2021-12-02 2022-02-11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一种气体发生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7730A (en) * 1995-03-31 1998-05-05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Pyrotechnic method of generating a particulate-free, non-toxic odorless and colorless gas
EP0778181A3 (en) * 1995-12-04 1999-04-14 Morton International, Inc. Igniter for gas bag inflator
US5884938A (en) * 1996-04-15 1999-03-23 Autoliv Asp Inc. Pressurized fluid containing airbag inflator
US6328906B1 (en) * 1997-12-18 2001-12-11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Chemical delivery systems for fire suppression
US6093269A (en) * 1997-12-18 2000-07-25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Pyrotechnic gas generant composition including high oxygen balance fuel
US5979936A (en) * 1997-12-23 1999-11-09 Autoliv Asp, Inc. Airbag inflator
JP4426079B2 (ja) * 1999-09-27 2010-03-03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ニシエータ組立体
JP2002166817A (ja) * 1999-10-01 2002-06-11 Daicel Chem Ind Ltd 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JP2002308040A (ja) * 2001-02-07 2002-10-23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
US6629703B2 (en) * 2001-12-14 2003-10-07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Opening device for a cold gas inflator
JP3977812B2 (ja) * 2001-12-14 2007-09-19 キー セーフティ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冷ガスインフレータの開き装置
JP4062037B2 (ja) 2001-12-25 2008-03-19 タカタ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及びエアバッグ装置
EP1478554A4 (en) * 2002-02-26 2007-03-21 Automotive Systems Lab LUFTGURTAUFBLASVORRICHTUNG
TW595560U (en) * 2003-05-05 2004-06-21 Chung Shan Inst Of Science Combinative inflation device
US7210703B2 (en) * 2004-10-26 2007-05-01 Autoliv Asp, Inc. One-piece initiator device for inflators
US7703395B2 (en) * 2005-02-10 2010-04-2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or having an ignition nozzle
US7758709B2 (en) 2006-06-21 2010-07-20 Autoliv Asp, Inc. Monolithic gas generant grains
US20080023948A1 (en) * 2006-07-27 2008-01-3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for restraining device for vehicle
JP2008030547A (ja) * 2006-07-27 2008-02-14 Daicel Chem Ind Ltd 車両の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263A (ko) * 2019-12-05 2022-08-02 오토리브 에이에스피, 인크. 자동차용 안전 장치를 위한 액추에이터 장치 및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1156A1 (en) 2011-05-18
JP5707328B2 (ja) 2015-04-30
US7883108B2 (en) 2011-02-08
EP2321156B1 (en) 2013-03-06
CN102143865B (zh) 2014-10-01
JP2012501899A (ja) 2012-01-26
WO2010027621A1 (en) 2010-03-11
US20100052299A1 (en) 2010-03-04
CN102143865A (zh) 2011-08-03
EP2321156A4 (en)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8124A (en) Inflating device for use with vehicle safety systems
US6199905B1 (en) High thermal efficiency inflator and passive restraints incorporating same
US5845933A (en) Airbag inflator with consumable igniter tube
US5368329A (en) Dual stage inflator
US5345876A (en) Hybrid inflator
JP3114123B2 (ja) ハイブリッド膨張器
US6425601B1 (en) Air bag module
JP5707328B2 (ja)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及びエアバッグ膨張方法
EP1286856B1 (en) Vehicle inflator for generating shock wave that opens burst disc
EP1319558A1 (en) Opening device for a cold gas inflator
US8893622B2 (en) Tablet-breaking initiator for airbag inflator
EP0635403A1 (en) Piston driven cold gas air bag inflator
KR20050049510A (ko) 기체 전달이 확장된 차량 에어백 시스템용 듀얼 스테이지인플레이터
JP5611840B2 (ja) エアバッグ装置用ガス発生器
US6976704B2 (en) Adaptive output airbag inflation device
US5732972A (en) Cold deployment pyrotechnic inflator for air bag systems
US7316417B2 (en) Inflator with internally mounted initiator
WO2003051685A1 (en) Opening device for a cold gas inflator
US10857967B2 (en) Initiator for an automotive safety device
WO2013123371A1 (en) Shockwave generating mechanism for automotive inflator deployment
KR0156298B1 (ko) 연소성가스에 의해 점화되는 자동차용 에어백 인플레이터와 그 전개방법
KR100205584B1 (ko) 에어백용 인플레이터
WO2000021800A9 (en) Vortex valve inflator for inflatable restraint system
JP2006160049A (ja) エアバッグ用小型インフ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8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9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3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0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9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6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2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01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9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6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603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5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