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597A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47597A KR20110047597A KR1020090104291A KR20090104291A KR20110047597A KR 20110047597 A KR20110047597 A KR 20110047597A KR 1020090104291 A KR1020090104291 A KR 1020090104291A KR 20090104291 A KR20090104291 A KR 20090104291A KR 20110047597 A KR20110047597 A KR 201100475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ng member
- cleaning belt
- belt member
- cleaning
- vacuum clea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흡입노즐에 배치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회전부재에 머리카락과 같은 길다란 이물질이 감기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 that lo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hair are wound on a rotating member disposed on the suction nozzl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와; 흡입노즐과; 상기 흡입노즐 내부에 마련되는 회전부재와; 청소대상물에 대한 접촉면적이 상기 회전부재보다 넓게 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청소벨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This invention is the main body; A suction nozzle; A rotat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suction nozzle; It provides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leaning belt member connected to the rotating member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respect to the object to be cleaned is wider than the rotating member.
청소벨트부재, 회전부재 Cleaning belt member, rotating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흡입노즐에 배치되는 회전부재에 이물질이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vention that can prevent foreign matter from being wound on a rotating member disposed on a suction nozzle.
진공청소기는 건물바닥이나 카페트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진공압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포집하게 된다.A vacuum cleaner is a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on a building floor or a carpet, and generally collects foreign matter using a vacuum pressure.
이러한 진공청소기의 경우, 그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canister) 진공청소기와 업라이트(up-right)진공청소기로 분류된다.Such vacuum cleaners are classified into canister vacuum cleaners and up-right vacuum cleaners according to their type.
캐니스터 진공청소기의 경우, 흡입노즐과 진공청소기 본체가 호스에 의하여 연결되는 형태이고,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경우 진공청소기 본체 하부 전방에 흡입노즐에 마련되는 형태이다. In the case of the canister vacuum cleaner, the suction nozzle and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are connected by a hose, and in the case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the suction nozzle is provided in the suction nozzle in front of the lower part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상기 흡입노즐에는 바닥과 접촉하여 바닥에 있는 먼지 기타 이물질을 쓸어내는 회전부재가 마련되는데, 이를 에지에이터(agiator)라고도 한다. The suction nozzle is provided with a rotating member that contacts with the floor and sweeps out dust and other foreign matter on the floor, which is also called an edgeator.
이러한 회전부재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블레이가 장착되어 그 블레이드에 먼지 기타 이물질이 걸려서 청소될 수 있는 것이다. Such a rotating member is general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blade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that dust or other foreign matter may be caught on the blade and cleaned.
그리하여, 상기 회전부재에 의하여 바닥에 있던 먼지 기타 이물질이 바닥으 로부터 분리되고, 그리고, 본체에 마련되는 모터에서 발생하는 진공압에 의하여 본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 후 집진통에 집진된다.Thus, dust and other foreign matter on the floor are separated from the floor by the rotating member, and are moved to the main body by the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the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hen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그런데, 머리카락이나 실과 같은 어느정도 길이가 있는 이물질의 경우, 상기 회전부재에 접촉한 후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감긴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나중에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그러한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By the way, in the case of a foreign material having a certain length, such as hair or threa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after contacting the rotating memb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move such foreign matter from the rotating member later.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부재에 머리카락이나 실과 같은 어느정도의 길이를 갖는 이물질이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can prevent the foreign material having a certain length such as hair or thread to be wound on the rotating memb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흡입노즐과; 상기 흡입노즐 내부에 마련되는 회전부재와; 청소대상물에 대한 접촉면적이 상기 회전부재보다 넓게 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되는 청소벨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and the body; A suction nozzle; A rotat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suction nozzle; It provides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leaning belt member connected to the rotating member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respect to the object to be cleaned is wider than the rotating member.
상기 회전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청소벨트 부재는 상기 회전부재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청소벨트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청소벨트 부재와 접촉하는 청소대상물에 대한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rotating member is provided in plurality, the cleaning belt member is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rotating member, cleaning the cleaning object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belt member by rotating the cleaning belt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To be done.
그리고, 상기 청소벨트부재에는 돌기부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회전부재에 마련되는 돌출부가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그러한 돌기부 또는 돌출부에 의하여 이물질의 제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leaning belt member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or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provided on the rotating member is formed so that foreign matter is more easily removed by such a protrusion or protrusion.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종래 회전부재와 바닥이나 카페트와 같은 청소대상물간의 접촉면적에 비하여 청소벨트부재와 청소대상물간의 접촉면적이 현저하 게 증대되어 청소대상물에 있는 이물질의 제거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leaning belt member and the cleaning object is remarkab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ventional rotating member and the cleaning object such as the floor or the carpet, so that foreign matters in the cleaning object can be removed more efficiently. It became.
또한, 청소벨트부재의 둘레길이가 회전부재 외주면의 둘레길이보다 현저히 증대되므로 실이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감기는 문제점의 발생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되었다. In addition, since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leaning belt member i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it is possible to lower the possibility of the problem of winding up foreign substances such as threads or hai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mplemen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but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도1에서 도시된 것은 업라이트 진공청소기로서,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는 집진통(110)과, 상기 본체(100) 하부 전방에 마련되는 흡입노즐(200)을 포함하고 있다.1 is an upright vacuum cleaner.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집진통(110)이 수용되는 집진통 수용부(120)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는 상기 흡입노즐(200)에서 빨아들인 공기와 이물질을 상기 집진통(110)으로 안내하는 안내관(130)이 마련된다.The
상기 본체(100)의 측방에는 상기 본체(100)내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40)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 후방에는 상기 본체(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누름판(150)이 마련된다. A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측방 하부에는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바퀴(520)가 마련된다. And the lower side of the
상기 흡입노즐(200) 내부에는 바닥과 접촉하여 바닥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벨트부재(310)가 마련되며, 상기 청소벨트부재(310)는 그 내부에 있는 복수개의 회전부재(320)을 감는 형태로 마련된다.The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노즐(200)의 내부에는 상기 청소벨트부재(310) 및 상기 회전부재(320)가 수용된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회전부재(320)의 후방 일측에는 상기 회전부재(320)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400)가 마련되는데, 상기 구동장치(400)는 구동모터(410)와, 상기 구동모터(410)의 일측에 마련되는 회전축(420)과, 상기 회전축(420)과 상기 회전부재(320)를 연결하는 구동벨트(430)를 포함한다.The rear side of the rotating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320)는 복수개로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부재(320)가 2개로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할 것은 아니다.Here, the
2개의 회전부재(320)는 전방에 마련되는 제1회전부재(330)와, 상기 제1회전부재(330)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2회전부재(340)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벨트(310)가 상기 제1회전부재(330)와 상기 제2회전부재(340)에 걸쳐져 배치되는 것이다. The two rotating
상기 제2회전부재(340)에는 상기 구동벨트(430)가 걸리게 되어 상기 구동모터(410)가 작동하여 상기 회전축(420)이 회전하면, 상기 구동벨트(430)로 부터 그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제2회전부재(34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회전부재(340)에 전달된 동력은 상기 청소벨트부재(310)를 회전시키는 원동력이 된다. The
그리고, 상기 청소벨트부재(31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회전부재(340)도 회전하게 된다.As the
상기 제2회전부재(340)에는 구동축부(341)가 마련되고, 상기 구동축부(341)에 상기 구동벨트(430)가 걸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부(341)의 일단부에는 상기 구동축부(34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42)가 마련된다.A
상기 제2회전부재(340)의 부분 중 상기 청소벨트부재(340)가 걸쳐지는 부분의 지름은 상기 구동축부(34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청소벨트부재(340)의 전체적인 면적이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diameter of the portion of the second rotating
상기 흡입노즐(200)의 상부에는 상기 흡입노즐(210)을 덮는 상부커버(210)가 마련되어 상기 구동장치(400) 및 상기 청소벨트부재(310) 등이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An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노즐(200)의 하부에는 하부커버(230)가 마련되는데, 상기 하부커버(230)는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의 위치에 대응되는 흡흡입구(231) 및 상기 흡입구(231)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부재(310)의 양단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232)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a
상기 청소벨트부재(310)는 상기 흡입구(231)을 통과하여 청소대상물이 되는 바닥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232)는 상기 회전부재(320)의 양단부로 이물질이 향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회전부재(320)의 회동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The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부재(330)와, 상기 제2회전부재(340)는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회전부재(330)의 외주면과 상기 제2회전 부재(340)의 외주면에 상기 청소벨트부재(310)가 걸쳐지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rotating
여기서, 상기 제2회전부재(340)가 상기 구동장치(도2참조, 400)에 의하여 구동되면, 상기 제2회전부재(340)에 전달된 구동력은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에 의하여 상기 제1회전부재(330)에 전달되어 상기 제1회전부재(330)도 회전하게 된다.Here, when the second rotating
그리하여, 상기 구동장치(400)의 구동이 계속되는 한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의 회전운동은 상기 제1,2회전부재(330,340)의 지지에 의하여 계속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us, as long as the driving of the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의 외측 표면에는 복수개의 돌기부(311)가 마련되는데, 상기 돌기부(311)는 청소대상물이 되는 바닥 또는 카페트에 있는 이물질이 잘 걸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돌기부(311)는 좌우로 일렬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며, 전후방향으로도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사이에 이물질이 용이하게 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부(341)에 비하여 상기 청소벨트부재(310)가 걸리는 부분의 지름이 큰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와 상기 제2회전부재(340) 및 상기 제1회전부재(330)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서 미끄럼마찰에 의한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의 운동이 보다 원활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iameter of the portion in which the
도5는 상기 청소벨트부재(310) 및 상기 제1,2회전부재(330,34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1,2회전부재(330,34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돌출부(335,345)가 마련되고,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의 표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되는 삽입공(315)이 마련된다.5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여기서, 상기 삽입공(315)의 전후 간격은 상기 돌출부(335,345)의 전후간격에 대응되어 상기 제1,2회전부재(330,340)에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기 청소벨트부재(31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front and rear intervals of the
여기서, 상기 돌출부(335,345)의 돌출길이는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이는 상기 돌출부(335,345)의 단부가 청소대상물인 바닥이나 카페트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이 부분에 이물질이 잘 걸리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the end of th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진공청소기를 동작시키면 상기 본체(100)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모터(410)가 작동하여 상기 본체(100) 내에 진공압을 형성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기 흡입노즐(200)의 하부에 있는 먼지 기타 이물질이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다.As shown in FIG. 6, when a user operates the vacuum cleaner, a driving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40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410)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모터(410)의 회전축(420) 및 상기 제2회전부재(340)의 구동축부(341) 사이를 연결하는 구동벨트(310)가 회전을 하게 되어 이에 의하여 상기 제2회전부재(340)가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driving
상기 제2회전부재(340)가 회전을 하면, 상기 청소벨트부재(310) 및 상기 제1회전부재(330)가 같이 회전운동을 한다.When the second rotating
상기 청소벨트부재(310)는 청소대상물이 되는 바닥이나 카페트에 접촉하는데, 이때 제1실시예처럼 돌기부(311)가 상기 청소대상물에 접촉하거나 제2실시예처럼 상기 회전부재(310)에 마련되는 돌출부(도5참조, 335,345)가 상기 청소대상물에 접촉하여 이물질을 청소대상물로부터 제거한다.The cleaning
그런데,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의 둘레길이가 종래의 회전부재(320)의 둘레길이보다 현저하게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회전부재(320)의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진 머리카락이나 실과 같은 이물질(h)도 상기 청소벨트부재(310)를 둘러싸는것이 어렵다.By the way, since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leaning
도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느정도의 길이를 가진 이물질(h)은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에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재(320)와 접촉하여 이를 둘러싸는게 둘러싸는게 불가능해진다. As shown in FIG. 6, since the foreign matter h having a certain length is attached to the cleaning
그리고,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의 표면에 위치한 이물질(h)은 상기 청소벨트부재(310)를 감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에 걸려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100)내의 진공압에 의하여 상기 청소벨트부재(310)로 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어 상기 본체(100)에 마련되는 집진통(도1참조, 110)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foreign material h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cleaning
도6에서는 바닥이나 카페트와 같은 청소대상물에 대한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어 상기 청소대상물에 있는 이물질의 제거기능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의 하면이 상기 청소대상물과 평행을 이루는 상태를 도시하였다.In FIG. 6,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한편 도7의 경우, 상기 청소벨트부재(310)가 바닥이나 카페트와 같은 청소대 상물과 수평을 이루지 않고, 일정한 경사도를 가지고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igure 7, the cleaning
특히,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의 전방이 상기 청소대상물과 접촉하고,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의 후방이 청소대상물과 이격되어 상부로 들려져 있는데, 이는 상기 구동벨트(430)를 통한 구동력전달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the front of the cleaning
또한,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의 후방이 상기 본체(100) 내부에 마련되는 흡입유로(101)에 보다 근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이 보다 쉽게 상기 본체 내부로 빨려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rear of the cleaning
도6과 도7에 관한 설명은 청소벨트부재(310)의 표면에 돌기부(311)가 마련된 제1실시예를 위주로 이루어졌으나, 상기 청소벨트부재(310)의 표면에 삽입공(도5참조,315)에 구성되고, 여기에 상기 돌출부(도5참조, 335,345)가 삽입된 제2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6 and 7 are mainly focused on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의 상부 평면도이다.2 is a top plan view of a suction nozzl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의 하부 평면도이다. 3 is a bottom plan view of a suction nozzl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청소벨트부재 및 회전부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cleaning belt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청소벨트부재 및 회전부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cleaning belt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6과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작동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6 and 7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Parts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흡입노즐 310: 청소벨트부재200: suction nozzle 310: cleaning belt member
320: 회전부재 330: 제1회전부재320: rotating member 330: first rotating member
340: 제1회전부재 400: 구동장치340: first rotating member 400: driving device
410: 구동모터 420: 회전축410: drive motor 420: rotation axis
430: 구동벨트 430: drive belt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4291A KR101629300B1 (en) | 2009-10-30 | 2009-10-30 | A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4291A KR101629300B1 (en) | 2009-10-30 | 2009-10-30 | A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7597A true KR20110047597A (en) | 2011-05-09 |
KR101629300B1 KR101629300B1 (en) | 2016-06-10 |
Family
ID=4423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4291A Active KR101629300B1 (en) | 2009-10-30 | 2009-10-30 | A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930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8193B1 (en) * | 2019-02-20 | 2020-07-09 | 임택순 | Steam mop vacuum cleaner |
CN111772540A (en) * | 2020-07-17 | 2020-10-16 | 温州职业技术学院 | A mobile high-efficiency dual-purpose hair fall clean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8628A (en) * | 1995-07-21 | 1997-02-0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Floor nozzle |
KR100207252B1 (en) * | 1996-12-21 | 1999-07-15 | 이기상 | Electric mop cleaner |
JP2002336165A (en) * | 2001-05-17 | 2002-11-2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Dust collector |
-
2009
- 2009-10-30 KR KR1020090104291A patent/KR10162930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8628A (en) * | 1995-07-21 | 1997-02-0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Floor nozzle |
KR100207252B1 (en) * | 1996-12-21 | 1999-07-15 | 이기상 | Electric mop cleaner |
JP2002336165A (en) * | 2001-05-17 | 2002-11-2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Dust collecto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8193B1 (en) * | 2019-02-20 | 2020-07-09 | 임택순 | Steam mop vacuum cleaner |
CN111772540A (en) * | 2020-07-17 | 2020-10-16 | 温州职业技术学院 | A mobile high-efficiency dual-purpose hair fall cleaner |
CN111772540B (en) * | 2020-07-17 | 2021-07-20 | 温州职业技术学院 | A mobile high-efficiency dual-purpose hair fall clea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9300B1 (en) | 2016-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31344B1 (en) | Suction body for an upright cleaner | |
KR102452480B1 (en) | Vacuum cleaner | |
KR102386214B1 (en) | Vacuum cleaner | |
KR101667716B1 (en) | Robot cleaner | |
EP2941994A1 (en) | Vacuum cleaner | |
KR101482556B1 (en) | A cleaner head | |
KR102467325B1 (en) | Vacuum cleaner | |
KR102504105B1 (en) | Vacuum cleaner | |
KR20130103593A (en) | A cleaner head | |
KR20140004219U (en) | Vacuum cleaner | |
KR20230016695A (en) | Cleaner | |
KR100968335B1 (en) | A cleaner | |
KR20130095824A (en) | A cleaner head | |
KR20180109261A (en) | Head for vacuum cleaners | |
KR20110047597A (en) | Vacuum cleaner | |
KR101476212B1 (en) | Vacuum cleaner for the same | |
KR101208556B1 (en) |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
JP2004147759A (en) | Electric cleaner | |
KR101792504B1 (en) | Vacuum cleaner | |
KR101055961B1 (en) | Nozzle of vacuum cleaner | |
JP4825563B2 (en) | Rotating cleaning body and electric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 |
KR20050108551A (en) | A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 |
KR200306319Y1 (en) | Vacuum cleaning appointment suction head the brush is had built-in | |
JP7154149B2 (en) | Brush nozzle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 |
KR200364055Y1 (en) | A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0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0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