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42150A -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채널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채널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2150A
KR20110042150A KR1020107025852A KR20107025852A KR20110042150A KR 20110042150 A KR20110042150 A KR 20110042150A KR 1020107025852 A KR1020107025852 A KR 1020107025852A KR 20107025852 A KR20107025852 A KR 20107025852A KR 20110042150 A KR20110042150 A KR 20110042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sink
channel
counter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6038B1 (ko
Inventor
랄프 딕슨 메이슨
렌유안 리
장-폴 렌 드크루예나에르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씨 홀딩스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씨 홀딩스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씨 홀딩스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110042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0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채널 전환 방법이 여기에 개시된다. 소스 기기 및 복수의 싱크 기기는 데이터 패킷 에러를 추적하는 각각의 카운터를 독립적으로 유지한다. 각 기기는 그 카운터가 채널 전환 임계값에 도달한 후에만 채널을 독립적으로 전환한다. 전환되는 새로운 채널은 사용 가능한 채널의 인덱스를 갖는 순서 결정에 의해 또는 각각의 기기에 의해 유지되는 글로벌 클록을 참조함으로써 결정된다. 따라서, 모든 기기는 신속하게 공통 채널에 도달한다. 시스템은 필요할 때에만 채널을 전환하고 상호 허용할 수 있는 채널을 신속하게 결정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채널 전환이 최소화되고 데이터 처리량이 최적화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채널 전환 방법{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CHANNEL-SWITCHING METHOD}
(저작권 정보)
본 특허 문헌의 공개의 일부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자료를 포함한다. 저작권의 소유자는, 그것이 미국 특허 상표국 특허 파일 또는 기록에 존재하므로, 누군가에 의한 특허 문헌 또는 특허 공개의 팩스 복제에 반대하지 않지만, 모든 저작권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채널 전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소스 기기(source device) 및 적어도 하나의 싱크 기기(dink device)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소스 기기는 전형적으로, 미리 정해진 수의 주파수 채널에서, 변조된 무선 주파수("RF")를 통해 싱크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데이터 송신 중에, 어떤 특정한 주파수 채널은 몇 가지 이유, 예컨대 소스 및 싱크가 이동하는 것, 시스템의 환경이 변동되어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페이딩(fading)을 유발하는 것, 다른 가까운 RF 에너지의 소스(예컨대 다른 무선 기기)가 간섭을 유발하는 것 등으로 인해 신뢰받지 못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는 계속 증가하는 수많은 기기를 생각하면, 다른 무선 데이터 시스템에 의한 간섭은 특히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에서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이들 대역에 있어서의 어느 특정한 무선 채널의 품질은 다소 예측하기 어렵다.
상술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알려진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시스템이 새로운 채널로 호핑하고 소정의 채널 호핑 패턴을 따르는 전통적인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또는 채널 전환 방법을 채용한다. 그러한 방법에서는, 현재의 채널이 좋은 품질을 가지고 있더라도 시스템은 새로운 채널로 호핑한다. 그러한 연속적인 호핑은 데이터 송신율의 불필요한 저하를 유발하여 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준다. 또한, 어느 특정한 채널의 품질을 고려하지 않고 소정의 채널 호핑 패턴을 따름으로써,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율을 더 저하시키는 나쁜 품질을 갖는 채널로 반복적으로 되돌아갈 수도 있다.
모든 무선 데이터 송신 시스템 및 채널 전환 방법에 대한 다른 과제는, 일단 현재 채널의 품질이 저하되어, 소스와 싱크 사이의 통신이 중단되면,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이 보장될 수 없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모든 채널 전환 방법은, 소스와 싱크 사이의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가능한 한 신속하게 혼잡하지 않은 채널에 소스 및 싱크에 대한 조직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데이터 송신은 중단을 최소화하면서 계속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채널의 품질이 허용될 수 없는 경우에만 시스템이 새로운 채널로의 전환을 행하고, 효율적이고 동기화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허용할 수 있는 품질의 공통 채널로의 소스 및 모든 싱크의 전환을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 송신 시스템 및 채널 전환 방법이 요구된다.
상술한 이점은 후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채널 전환 방법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프로세서, 메모리와, 제 1 기기를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에 있는 제 1 통신 채널에서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 1 기기의 송수신기와 함께 동작하는 채널 전환 모듈에서 찾을 수 있다. 채널 전환 모듈은 이하의 단계를 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기기의 제 1 카운터의 값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의 데이터 패킷 송신 에러를 추적하도록 조정된다. 제 1 기기는 제 1 카운터의 값이 채널 전환 임계값에 도달한 후에만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한다. 제 2 기기의 제 2 카운터의 값도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의 데이터 패킷 송신 에러를 추적하도록 조정된다. 제 2 기기는 제 2 기기의 제 2 카운터가 채널 전환 임계값에 도달한 후에만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제 2 기기와 통신하는 제 1 기기에서도 찾을 수 있다. 제 1 기기는 제 1 기기가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에 있어서의 제 1 통신 채널의 제 2 기기와 데이터 패킷을 통신하게 하는 제어 로직을 갖는다. 제어 로직은 또한 제 1 기기가 제 1 통신 채널의 제 1 품질 측정을 추적하도록 한다. 제어 로직은 또한 제 1 품질 측정이 채널 전환 임계값 또는 그 이하까지 저하된 된 후에 제 1 기기가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에 있어서의 제 1 통신 채널로부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게 한다. 제 2 기기는 제 1 통신 채널의 제 2 품질 측정을 추적하여 제 2 품질 측정이 채널 전환 임계값 또는 그 이하까지 저하된 후에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한다.
본 발명은 소스 및 적어도 하나의 싱크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하의 채널 전환 방법에서도 찾을 수 있다. 기기는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에 있어서의 제 1 통신 채널에서 통신한다.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소스와 관련된 소스 카운터의 값이 소스와 하나 또는 모든 싱크 사이의 데이터 패킷 송신 에러를 추적하도록 조정된다. 하나 또는 각 싱크에 있어서, 싱크와 관련된 싱크 카운터의 값이 소스 카운터의 값을 추적하도록 조정된다. 소스 카운터의 값이 채널 전환 임계값에 도달하면 소스는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에 있어서의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한다. 하나 또는 각 싱크에 있어서, 싱크와 관련된 싱크 카운터의 값이 채널 전환 임계값에 도달하면 싱크는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예시적인 시스템에 있어서의 소스 및 싱크 기기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TSF(Time Super Frame)를 나타낸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사이즈의 TSF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예시적인 시스템의 데이터 모드에 있어서의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의 동작을 각각 나타내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인덱스 기반 채널 전환을 채용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채널 전환 모드에 있어서의 소스 및 싱크 기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도 10은 인덱스 기반 채널 전환을 채용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기의 채널 전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차트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는 클록 기반 채널 전환을 채용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채널 전환 모드에 있어서의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 각각의 동작을 나타내는 유한 상태 기계 도면을 나타낸다.
도 13(a), 도 13(b), 도 14, 도 15는 클록 기반 채널 전환을 채용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채널 전환 모드에 있어서의 소스 기기 및 싱크 기기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를 나타낸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채널 전환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필요에 따라, 모든 도면에 있어서 같은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같은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시스템 개요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싱크 기기(30)에 의한 신뢰할 수 있는 수신을 위해 송신되는 정보의 주요 소스인 소스 기기(20)를 포함한다. 소스 및 싱크 기기는 무선 신호(40)를 통해 통신한다.
따라서, 시스템은 하나의 소스 기기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 또는 성능 기기로의 콘텐츠의 무선 송신에 특히 유용하다. 예컨대, 시스템은 하나의 소스 기기로부터 헤드폰, 스피커, 또는 멀티채널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기기와 같은 복수의 사운드 성능 기기에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시스템은 하나의 소스 기기로부터 데이터의 콘텐츠를 실행하는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과 같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은 하나의 소스 기기로부터 디지털 정보로 축소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신호로 변환될 수 있는 모든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싱크 기기로의 신뢰할 수 있는 송신에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은 모든 수단에 의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정보는 소스 기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싱크 기기로 전파되는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는 신호로 부호화되어, 무선 신호로부터 복호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은 고주파(RF wave), 적외선파, 레이저광 또는 음파와 같은 역학적 파동을 포함하는 전자파(電磁波)와 같은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는 에너지 외란(energetic disturbance)을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스템의 특수한 기능은 소스로부터 싱크로의 데이터의 본질적으로 연속적인 송신이지만, 일반적으로 소스 및 싱크 기기의 각각은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통신 및 채널 전환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소스는 싱크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도 2(a), 도 2(b)를 참조하면, 소스(20) 및 싱크(30) 기기의 각각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기에 적합한 송수신기(50)와, 무선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60)와, 기기의 다양한 미리 정해진 바람직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70)를 갖는다. 각 기기는 보통의 통신(예컨대 데이터 모드) 및 후술하는 채널 전환 방법을 수행하는 제어 로직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 로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술하는 채널 전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와 협력하는 채널 전환 모듈(75)에 포함된다. 채널 전환 모듈은 개별적인 물리 모듈, 예컨대 프로세서, 메모리, 송수신기에 연결된 집적 회로 또는 프린트 회로 기판과 같은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및 송수신기와 협력하여 채널 전환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은 모든 적절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는, 채널 전환 모듈은 메모리 및 송수신기에 연결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코드로서 메모리 내에서 구체화될 수 있다.
이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소스 및 싱크 기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시스템 동작 개요
소스 및 싱크 기기의 각각은 무선 주파수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 중 하나에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인 통신 중에(즉, 채널 전환 중이 아님), 소스 및 모든 싱크는 이 주파수 채널 중 하나에서 통신한다.
소스 및 싱크 기기가 처음으로 기동되면 그들은 같은 채널에서 시작하지만, 보다 일반적으로 다른 채널에서 시작한다. 소스와 싱크 기기 사이에서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기기 및 채용된 무선 신호의 특정한 특성에 의존하는 초기화 루틴이 행해진다. 소스 및 싱크 기기의 특정한 조합 하에서, 채널의 집합들 중 제 1 채널에서 소스와 싱크 기기 사이에서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모든 적합한 초기화 루틴이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한 초기화 루틴에 있어서 소스는 제 1 채널에서 시작하여 싱크에 신호를 송신한다. 그 제 1 채널에 있을 수 있는 모든 싱크는 핸드쉐이킹 루틴에서 응답함으로써 소스에 등록된다. 그러면 소스는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에 있어서의 다음 채널로 진행하고 앞서 소스에 등록된 모든 싱크는 다음 채널로 뒤따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스는 모든 싱크가 소스에 등록될 때까지 채널의 집합 내의 모든 채널을 스캔한다.
링크가 확립되면, 소스 및 싱크 기기는 데이터 패킷의 형태로 무선 신호 부호화 정보를 통해 통신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스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패킷(80)을 싱크에 송신하고 싱크로부터 "시간 슈퍼 프레임" 또는 "TSF(100)"라고 불리는 미리 정해진 기간 내에 수신 확인 신호(90)(이하 "ACK"라고 부름)를 수신한다. 따라서, 무선 링크가 확립되면, 소스 및 싱크는 TSF에 의해 규정되는 시간 모드에 들어가고 제 1 데이터 패킷이 소스에 의해 송신되어 각각의 싱크에 의해 수신된다. 그러면 각 싱크는 한 TSF 내의 소스에 ACK를 송신한다. 소스 및 싱크 기기는 의도적으로 정지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채널 전환이 일어날 때까지 정해지지 않은 TSF들의 연속 동안 이러한 방식으로 통신한다.
소스에 의해 싱크에 송신된 각 데이터 패킷은, 패킷이 새로운 패킷인지 재송신된 패킷인지 나타내는 시퀀스 번호(80A), 후술하는 소스의 Hop-in-X 카운터의 값(80B), 데이터 페이로드(80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들 세그먼트는 데이터 패킷에 적절한 순서로 위치할 수 있고, 데이터 패킷은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는 추가적인 유용한 세그먼트 및 추가적인 바람직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TSF(100)에서, 소스가 데이터 패킷(80)을 싱크에 송신하면, ACK(90)를 수신하기 시작하도록 송수신기를 송신 모드에서 수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소스에, 또한 ACK(90)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송수신기를 수신 모드에서 송신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싱크에, 송수신기 응답 시간(turnaround time)(120)이 제공된다.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각 싱크는, 미리 정해진 순서로, 소스에 ACK(90)를 송신하여, 데이터 패킷(80)의 수신을 확인한다. 채널에서 ACK(90)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각 싱크의 ACK(90)의 송신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가드 시간(guard time)(130)이 허용된다. 마지막 ACK(90)가 송신되면, 소스 및 싱크에 각각 송수신기를 송신 및 수신 모드로 전환하도록 추가적인 송수신기 응답 시간(120)이 제공된다.
따라서 소스에 대한 싱크의 동기화는 각 싱크에 소스와 같은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갖는 TSF를 제공한다. 그 후 소스 및 싱크는 동작 기간으로서 TSF를 사용하여 시간 모드로 연속적으로 동작한다. 그에 따라 소스 및 싱크는 각 TSF의 시작시 소스에 의해 데이터 패킷이 송신될 것이며 TSF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각 싱크에 의해 ACK가 리턴될 것이라는 예상에 의해 통신을 조정할 수 있다.
특정한 시스템 및 통신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TSF는 적절한 길이(즉, 지속 기간)를 가질 수 있다. TSF의 길이는 고정되거나, 또는 무선 채널 조건 또는 채널 전환 중에 행해지는 특정한 기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시스템 및 채널 전환 방법에서 사용되는 3개의 다른 TSF 길이를 나타낸다. 이들은 특대의(extra-large) TSF(140), 큰(large) TSF(150), 작은(small) TSF(160)를 포함한다. 각 TSF의 사이즈는 다음으로 작은 TSF의 정수배이다. 모든 바람직한 비율이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시스템 및 방법에서, 특대의 TSF(140)는 큰 TSF(150)의 사이즈의 4배이고, 큰 TSF(150)의 사이즈는 작은 TSF(160)의 사이즈의 4배이다. TSF의 어떤 사이즈가 선택되더라도, 경우에 따라, 소스 및 싱크 기기의 각각은 TSF(들)에 따라 동작하도록 사전 설정된다.
이하에 더 설명하는 것처럼, 소스 및 싱크의 각각은 채널의 품질을 특징짓고 채널 전환 모드로 들어가는 것을 관리하는 카운터를 유지한다. 소스에 의해 송신된 모든 데이터 패킷과 같이, 이 제 1 데이터 패킷의 콘텐츠는 소스의 카운터의 현재값을 포함한다. 이하에 더 설명하는 것처럼, 소스의 카운터를 추적하기 위해 각 싱크는 데이터 패킷에서 수신된 소스의 카운터의 값에 응답하여 카운터를 조정한다. 제 1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소스의 카운터의 초기값은 초기 채널 품질의 예측을 포함하는 모든 적절한 기준에 따라 또는 시스템의 특정한 구현에 의한 실험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데이터 모드 및 채널 전환 모드
상술한 것처럼, 제 1 채널에서 소스와 싱크 기기 사이에서 무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시스템은 먼저 초기화 루틴을 행한다. 그 후 소스 및 싱크 기기는 동기화되어 미리 정해진 TSF에 의해 규정되는 시간 모드로 동작한다. 그 후, 소스 및 싱크 기기의 각각은 소정의 시간에 두 동작 모드(데이터 모드 및 채널 전환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한다.
소스 및 싱크 기기는 특정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스트리밍(즉, 송신)하는 데이터 모드로 동작한다. 기기는 사용되는 채널에서 충분한 신뢰성 및 품질로 통신할 수 있는 한 데이터 모드를 유지한다. 통신이 실패하거나 통신의 품질(예컨대 데이터 전송률, 패킷 에러율에 의해 측정됨)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면, 보다 좋은 채널을 찾기 위해 시스템은 채널 전환 모드로 들어간다. 이하, 데이터 및 채널 전환 모드를 차례로 설명한다.
데이터 모드 Hop - in -X 카운터
시스템은 소스 기기로부터 싱크 기기로 관심있는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데이터 모드로 동작한다. 데이터 모드에 있는 소스 및 싱크 기기 각각의 동작(170, 180)의 방법이 각각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흐름도에 의해 도시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허용할 수 있는 통신의 품질이 유지되는 한, 소스 및 모든 싱크는 현재 채널에 남는다.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TSF에 따라 시간 모드로 동작한다. TSF는 고정된 길이이거나 여러 미리 정해진 길이 중 하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세 가지 TSF 사이즈 중,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은 데이터 모드에서 일반적으로 큰 TSF를 사용한다. 현재 채널의 품질이 매우 좋으면 특대의 TSF를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큰 TSF와 특대의 TSF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기기는 측정된 패킷 에러율(후술함)에 근거하여 특대의 TSF와 큰 TSF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큰 TSF를 사용하여 기기에 의해 측정된 패킷 에러율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아래이면, 기기는 특대의 TSF로 전환하고, 반대로, 패킷 에러율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위로 올라가면, 기기는 특대의 TSF에서 큰 TSF로 전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송신 및 전력 소비의 감소를 제공할 수 있어,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소스 및 싱크 기기에서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큰 TSF 및 특대의 TSF의 사이즈의 선택은 오디오 데이터 송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압축된 오디오 레이트와 패킷 에러 통계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특유의 고려 사항에 근거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소스와 싱크 기기 사이에서 통신 링크를 확립하여 시간 모드에 들어가기 위해 소스 및 싱크 기기가 초기화 루틴(단계 190, 200)을 행하면, 소스는 데이터 패킷을 싱크에 송신하고(단계 210) TSF 동안 싱크로부터 ACK를 수신하는 것을 기다린다(단계 220). 마찬가지로, 싱크의 각각은 소스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기다리고(단계 230), TSF 동안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결정 240) ACK로 응답한다(단계 250).
현재의 채널이 품질이 낮다면, 하나 이상의 싱크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지 않거나 소스가 하나 이상의 ACK를 수신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한 통신 또는 ‘데이터 패킷 송신’ 에러는 통신의 특정한 채널의 품질을 특징짓기 위해 추적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측정된 채널 품질은 언제 채널 전환 모드로 들어갈지, 언제 다른 채널로 전환할지 결정하기 위해 각 기기에 의해 미리 정해진 채널 품질 기준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기기는 "구멍 난 바구니 모드(leaky basket mode)"에서 카운트하는 "Hop-in-X" 카운터를 유지한다. 소스에서, 싱크로부터 예상된 모든 ACK가 실제로 수신되면(결정 270) 카운터는 증가 단계(increment step; IS)에 의해 증가된다(단계 260). 반대로, 싱크로부터 예상된 어떤 ACK도 수신되지 않았으면(결정 270) 카운터는 감소 단계(decrement step; DS)에 의해 감소된다(단계 280). 따라서, 채널 품질이 좋으면 카운터값은 증가할 것이고 채널 품질이 나쁘면 카운터값은 감소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각 싱크는 소스의 카운터의 값을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Hop-in-X" 카운터를 유지한다. 소스에 의해 송신된 각 데이터 패킷은 그 카운터의 값을 포함하고, 소스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는 각 싱크는(결정 240) 소스의 카운터를 추적하도록 그 카운터를 조정한다(단계 290). 그러나, TSF 동안 싱크가 예상된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다면(결정 240), DS에 의해 그 카운터를 감소시키는데(단계 300), 이것은 소스의 카운터를 추적함에 있어서 효율적이다. 왜냐하면 이 싱크(패킷을 수신하지 않았으므로 이 싱크는 ACK를 송신하지 않을 것임)로부터 ACK를 수신하지 않을 것이므로 소스도 그 카운터를 감소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는 싱크가 TSF의 시작시에 소스의 카운터의 값의 표시를 갖더라도, 소스의 카운터의 값은 그 싱크와 더 이상 통신하지 않고 TSF의 종료시에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패킷이 제 1 싱크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ACK가 성공적으로 소스에 리턴되지만, 이후의 싱크는 데이터 패킷의 수신에 실패할 수 있고, 또는 소스는 응답 ACK의 수신에 실패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스의 카운터는 TSF의 종료시에 DS에 의해 감소할 것이지만, 제 1 싱크는 이것을 표시하지 않을 것이다. 모든 경우에, 패킷을 수신한 싱크의 카운터는, TSF의 종료시에, 소스의 카운터에 합치하거나 소스의 카운터의 값 -IS 또는 +DS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싱크의 카운터는 소스의 카운터를 가깝게 추적할 것이다.
소스 및 싱크의 카운터의 각각은 채널 전환 임계값을 나타내는 최대값 및 최소값의 두 한계 사이에서 유지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한계는 고정되거나 변할 수 있다. 카운터가 최대값에 도달하면, 그 값에 유지되고(단계 310)(즉, 최소값으로 감소됨) 양호한 통신이 계속되더라도 더 증가하지 않는다. 카운터가 채널 전환 임계값에 도달하면(단계 320, 330),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기기는 채널 전환 모드로 들어가 새로운 채널로 전환한다(단계 350, 370). 따라서, 기기는 카운터가 채널 전환 임계값에 도달한 후에만 새로운 채널로 전환한다. 채널 전환 임계값은 IS, DS의 특정한 선택에 주어진 모든 적절한 값이 되도록 선택될 수 있지만, 예시적인 시스템 및 채널 전환 방법에 있어서 0과 같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면, 소스가 싱크로부터 모든 예상되는 ACK를 수신하면(결정 270), IS에 의해 그 카운터를 증가시킨다(단계 260). 소스는 다음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송신하고 그에 따라 패킷 시퀀스 번호를 변경(단계 340)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나, 소스가 모든 예상되는 ACK를 수신하지 않으면(결정 270), DS에 의해 그 카운터를 감소시키고(단계 280) 다음 반복에 있어서 같은 패킷이 같은 패킷 시퀀스 번호를 갖고 재송신될 것이다. 패킷 시퀀스 번호는 새로운 패킷 또는 재송신된 패킷으로서 패킷을 식별하기에 적합한 모든 범위의 값일 수 있지만,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패킷 시퀀스 번호는 1비트이며 0 또는 1의 값을 갖는다.
소스의 카운터가 채널 전환 임계값까지 감소되지 않았다면(결정 320), 카운터값이 최대값을 넘었으면 카운터의 값을 최대값까지 감소시키고(단계 310), 다음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도록 진행한다(단계 210). 그러나, 카운터가 채널 전환 임계값에 도달했으면(결정 320), 소스는 채널 전환 모드에 들어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채널 전환을 행한다(단계 350).
마찬가지로, 도 6을 참조하면, 각 싱크에 대해서, 싱크가 TSF에서 예상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결정 240), 소스의 카운터를 추적하도록 카운터의 값(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값)을 조정하고(단계 290) 소스에 ACK를 송신한다(단계 250). 싱크가 이 특정한 데이터 패킷을 아직 수신하지 않았다면(이하에 상술함), 패킷으로부터 페이로드를 언로드한다(단계 360). 싱크가 TSF 내에서 예상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지 않았다면(결정 240), DS에 의해 카운터를 감소시키고(단계 300) ACK를 송신하지 않는다. 싱크의 카운터가 채널 전환 임계값에 도달하면(감소에 의해)(결정 330), 채널 전환 모드로 들어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채널을 전환한다(단계 370).
적어도 두 싱크가 있다면, 싱크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려는 두 번의 연속적인 시도에 대해서, 싱크 중 하나가 첫 번째 시도에서 패킷을 수신하지 않고 두 번째 시도에서 패킷을 수신하고, 다른 싱크는 두 번의 시도에서 모두 패킷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에, 두 번째 싱크는 같은 데이터 패킷을 두 번 수신할 것이다. 따라서, 싱크는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이전에 이미 수신되었는지 체크하여,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만 싱크는 데이터 패킷을 언로드(즉, 데이터 패킷의 콘텐츠를 유지)할 것이다(단계 360).
카운터 증가 및 감소 단계(IS 및 DS)의 값의 선택은 시스템에 있어서 기기가 채널 전환 모드로 들어가는 것, 나아가 시스템의 채널 전환 동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특히, 이 값은 선택될 수 있어, 송신이 미리 정해진 패킷 에러율("PER") 아래로 내려가면 시스템은 새로운 채널로 전환할 것이다. 각 기기의 Hop-in-X 카운터의 값은 시스템의 현재의 PER을 추적하도록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IS=DS=1이면, [1 0 1 0 1 0 1 0]의 에러 패턴이 무기한으로 관찰될 수 있다(‘1’은 성공적인 패킷 송신을 나타내고 ‘0’은 실패한 패킷 송신을 나타냄). 따라서 그러한 시스템은 50%의 PER을 지원한다고 할 수 있다(즉, PER이 50% 이상으로 증가하면, 결국 채널 전환은 일어날 것이다). IS의 값이 DS보다 작게 선택되면, 보다 낮은 PER이 지원된다. 표 1은 DS가 1로 선택되었을 때 다양한 값의 IS에 대하여 지원되는 PER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따라서, 현재 채널의 품질 측정을 특징짓거나 추적하기 위해 소스 및 싱크에 있어서의 제한된 수의 카운터가 채용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현재의 채널 품질을 허용할 수 없게 되면(예컨대 채널 전환 임계값에 도달하면), 동기화되지만 독립적인 방식으로 소스 및 모든 싱크는 채널 전환 모드로 들어가 새로운 채널로 전환한다.
채널 전환 모드
소스 또는 하나의 싱크의 카운터가 채널 전환 임계값까지 감소되면, 보다 좋은 품질의 새로운 채널로 전환하기 위해 채널 전환 모드로 들어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제한된 채널의 집합 중 하나에서 통신한다. 채널 전환 방법에 있어서, 소스 및 싱크 기기의 각각은 미리 정해진 채널의 시퀀스 또는 패턴에 따라 채널을 전환하도록 사전 설정된다. 시퀀스에서, 채널은 현재의 채널과 새로운 채널 사이의 상관(correlation)을 피하도록 배열된다. 두 채널에 상관이 없다면, 새로운 채널은 현재 채널보다 좋을 확률이 크다(즉, 현재 채널에서의 품질 저하의 원인은 새로운 채널에는 존재하지 않음). 따라서, 채널 전환 시퀀스는 미리 정해진 채널의 집합의 맵핑이다.
채널 전환 방법 및 시퀀스는 인덱스 또는 클록에 기반할 수 있고, 이하 그 각각을 차례로 설명한다.
인덱스 기반 채널 전환
도 7을 참조하면, 소스 또는 하나의 싱크가 인덱스 기반 채널 전환을 채용하는 채널 전환 모드에 들어갈 때마다(단계 380), 기기는 새로운 채널로 전환하고(단계 390) 다음 TSF에서 데이터 모드로 다시 들어가기 위해 채널 전환 모드를 나간다(단계 400). 새로운 채널은 미리 정해진 채널의 집합의 미리 정해진 시퀀스에 있는 다음 채널이고 채널의 각각은 인덱스에 무작위로 맵핑된다. 따라서, 각 인덱스 위치는 채널 중 대응하는 것에 고유하게 맵핑된다. 채널이 전환될 때마다, 그 채널 전환 사이에서 흐른 시간의 양(즉, TSF의 수)에 관계없이 새로운 채널은 단순히 다음 인덱스 위치에 대응하는 채널이다. 8 채널의 집합에 대한 이 방법론에 따른 예시적인 채널 전환 시퀀스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예에서, 처음에 기기는 채널 4에 맵핑된 인덱스 0에 있다. 즉, 처음에 기기는 제 4 채널에서 통신하고 있다. 기기가 다음 채널로 전환하면(단계 390), 간단히 인덱스를 1 증가시켜 그 인덱스에 맵핑된 채널, 즉, 채널 7로 전환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채널 전환간의 시간은 고정되지 않고 두 전환간에 몇 TSF를 취하더라도 좋다. 그러나, 인덱스 기반 전환에서, 전환간의 시간의 길이(즉, TSF의 수)에 관계없이, 전환되는 다음 채널은 항상 인덱스의 다음 채널이다.
소스와 싱크 사이의 무선 링크의 품질은 예측할 수 없으므로, 소스와 싱크 사이의 패킷 에러 패턴도 마찬가지로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상술한 채널 전환 방법에서, 소스 및 각각의 싱크는 같은 TSF 또는 다른 TSF에 있는 새로운 채널로 전환할 수 있다. 하지만, 증가 단계 IS가 감소 단계 DS보다 작거나 같게 선택되면, 최악의 경우 소스와 하나의 싱크 사이의 전환 시간 전개는 하나의 TSF를 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소스는 항상 싱크 중 하나와 같거나, 그보다 최대 한 TSF 빠르거나 느린 TSF의 새로운 채널로 전환할 것이다. 또한, IS 및 DS의 값은 각각의 싱크 사이의 전환 시간 전개가 두 TSF를 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싱크가 소스의 카운터의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하면, 각 싱크의 카운터는 소스의 카운터와 같게 설정되는 경우에, 이 예시적인 시스템에서의 인덱스 기반 채널 전환 방법이 상호 허용할 수 있는 채널을 가장 신속하게 결정하는 것이 관찰된다.
소스 또는 싱크가 새로운 채널로 전환하면, 새로운 채널이 허용할 수 있는 품질을 가질 것인지 보증할 수 없다. 무선 링크에 걸쳐 전반적인 데이터 처리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상호 허용할 수 있는 채널을 찾기 위해 채널 전환에서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스와 하나의 싱크 사이의 채널 전환 시간 전개는 최대 하나의 TSF이다. 따라서, 적어도 두 TSF에 대하여 소스 및 각 싱크가 새로운 채널에 머무르는 한, 소스 및 모든 싱크는 동시에 같은 채널에 있을 것이고 통신할 기회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소스 또는 싱크가 새로운 채널로 전환하고 데이터 모드로 다시 들어간 후, 그 카운터는 카운터 HiX_L에 할당된 초기값보다 일반적으로 작은 미리 정해진 전환 후의 값 HiX_S로 설정된다(각각 단계 355, 375). 기기가 적어도 두 TSF 동안 DS=1의 값을 갖는 새로운 채널에 남기 위해서는, 카운터는 HiX_S=2의 값으로 할당된다. 따라서, 두 TSF 동안 성공적인 통신이 일어나지 않으면(즉, 값이 DS=1로 두 번 감소되고, 채널 전환 임계값이 0이면), 기기는 시퀀스에서 다음 채널로 전환할 것이다. 성공적인 통신이 일어나면, 카운터의 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IS에 의해 서서히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나쁜 품질의 채널에서 보낸 시간이 최소화되고, 소스 및 모든 싱크는 허용할 수 있는 품질의 채널로 신속하게 전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스의 카운터의 초기값, 채널 전환 모드를 나갈 때의 카운터의 값, 또는 카운터의 최대값은, 일반적으로 채널 품질의 추정을 포함하는 모든 적절한 기준으로 또는 시스템의 특정한 구현의 실험적인 테스트에 의해, 또한 여기에 설명한 채널 전환 방법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 값은 싱크에 존재하는 모든 레이턴시 데이터 버퍼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의 레이턴시 요건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소스로부터 싱크로 오디오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가 송신되는 시스템보다 적은 레이턴시 요건을 가질 것이다.
HiX_L=6, HiX_S=2, IS=DS=1, 채널 전환 임계값=0일 때, 세 가지 경우에 있어서의 시스템의 인덱스 기반 채널 전환 동작을 도 8~도 10에 나타낸 표에 도시한다. 도 8은 어느 정도의 통신 에러가 있지만 기기가 그것을 복구하고 같은 채널에 남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9는 소스 및 싱크가 같은 TSF에서 채널을 전환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은 하나의 싱크가 소스에 앞서 하나의 TSF를 전환하고 두 싱크가 소스 뒤에 하나의 TSF를 전환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각 차트에서, 차트에 나타내는 것처럼, 기호 는 소스로부터 싱크로의 패킷의 성공적인 송신 또는 싱크로부터 소스로의 ACK의 성공적인 송신을 나타내고, 반대로, 기호 는 그러한 송신의 실패를 나타낸다.
이 예시적인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의 소스 및 싱크 기기의 동작을 부록 A에 제공된 의사 코드(pseudo code)에 더 나타낸다. 의사 코드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 아니고, 시스템 및 채널 전환 방법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해 제공된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채널 전환 모드에 채용된 채널 전환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덱스 또는 클록에 기반할 수 있고, 이하에 클록에 기반하는 채널 전환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클록 기반 채널 전환
상술한 바와 같이, 소스 및 싱크는 비동기화되기 시작하여 채널의 집합의 제 1 채널에서 그들 사이에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초기화 루틴을 행한다. 소스는 시간 모드로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각 싱크를 등록하고, 초기 데이터 패킷은 소스에 의해 송신되고 싱크에 의해 수신된다. 시스템이 클록 기반 채널 전환을 채용하면, 각 기기는 미리 정해진 고정된 길이(예컨대 상술한 작은 TSF) 및 미리 정해진 주기성(예컨대 16개의 작은 TSF)으로 반복적으로 시간을 측정하는 클록을 유지한다. 소스에 의해 각 싱크에 송신된 초기 패킷은 각 싱크가 그 클록을 소스의 클록에 동기화하게 하는 소스의 클록의 값을 포함한다. 시스템에 있는 모든 기기의 동기화된 클록은 후술하는 클록 기반 채널 전환에서 사용되는 "글로벌 클록"을 구성한다.
클록 기반 채널 전환을 채용하는 시스템은 수행되는 특정한 기능 및 동작의 조건에 따라 하나의 TSF 또는 복수의 TSF를 사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적어도 큰 TSF 및 작은 TSF가 사용된다. 채널 전환 중에 작은 TSF를 채용하면 시스템 및 방법은 허용할 수 있는 채널을 보다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어 데이터 송신에서 레이턴시를 감소시킨다. 이상적으로는, 채널 전환 시간 및 데이터 송신 레이턴시를 최소화하도록 작은 TSF는 가능한 한 작지만, 일반적으로는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특정한 기기에 의해 제한된다. 큰 TSF는 통상 데이터 모드에서 사용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 품질이 매우 좋다고 생각되면 시스템은 특대의 TSF도 채용할 수 있다. 소스 또는 하나의 싱크가 채널 전환 모드에 들어가면, 작은 TSF를 채용한다. 기기가 채널 전환을 완료하면, 데이터 모드로 다시 들어가 큰 TSF의 사용을 재개한다.
상술한 인덱스 기반 채널 전환 방법과는 대조적으로, 데이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각 싱크의 카운터가 소스의 카운터의 값에서 감소 단계 DS를 뺀 값으로 설정되는 경우, 클록 기반 채널 전환 방법을 채용하는 시스템은 허용할 수 있는 새로운 채널을 가장 신속하게 결정하는 것이 관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스 또는 하나의 싱크의 Hop-in-X 카운터가 최소 임계값(예컨대 0)에 도달하면, 기기는 채널 전환 모드로 들어가 작은 TSF로 전환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클록 기반 채널 전환 방법에 따라 채널을 전환한다. 클록 기반 채널 전환을 채용하는 채널 전환 모드에 있어서의 소스 및 싱크의 동작을 각각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유한 상태 기계(410, 420)의 각각에 의해 나타내고, 이하에 설명한다.
클록 기반 채널 전환에서, 소스 및 싱크의 각각은 미리 정해진 시간 분해능(time resolution)(예컨대 작은 TSF)에 의해 카운트하는 동기화된 클록("글로벌 클록"을 갖는다. 채널 전환 시퀀스는 글로벌 클록의 시간에 맵핑되어, 채널 전환 동안, 기기는 먼저 글로벌 클록 시간(즉, 값)을 결정하고 그 시간에 인덱스가 붙여진 채널을 선택한다. 따라서, 각 클록 카운트는 채널의 집합에서 각각의 채널 중 하나에 맵핑된다. 8채널에 대한 이 방법론에 따른 예시적인 채널 전환 시퀀스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예에서, 각 채널에 맵핑된 두 연속하는 클록 카운트(즉, 시간)를 갖는 집합에 8채널이 있다(즉, 8채널에 맵핑된 16 클록 카운트). 클록은 매 16 카운트마다 반복된다. 이 경우에 기기가 채널을 변경하면, 먼저 현재의 클록 시간을 결정한 후 대응하는 맵핑된 채널을 결정한다. 인덱스 기반 전환의 예에서와 같이, 채널 전환간에 몇 개의 TSF라도 지날 수 있다. 그러나, 클록 기반 채널 전환의 경우, 새로운 채널은 전환 시간에 있어서의 클록 시간에 의존하며, 반드시 미리 정해진 맵핑 시퀀스에 있어서의 다음 채널인 것은 아니다.
채널 전환 모드에서의 각 채널 전환 후에, 소스 및 싱크는 통신을 시도하고, 채널이 좋다고 생각되면(예컨대 소스와 모든 싱크 사이의 왕복 교환이 성공적이면), 각 기기는 채널 전환 모드에서 나와, 데이터 모드로 다시 들어가고,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데이터 통신을 재개한다. 그러나, 채널이 좋다고 생각되지 않으면, 처음으로 좋은 채널이 발견될 때까지 기기는 채널을 다시 전환한다. 클록 기반 채널 전환에서, 채널 선택은 글로벌 클록에 의해 제어된다.
채널 전환 모드에 들어가면 소스 및 싱크는 새로운 채널에서의 통신을 복구하기 위해 핸드쉐이킹 루틴을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연속하는 한 쌍의 클록 카운트는 하나의 채널에 맵핑되므로, 각 기기는 핸드쉐이킹 루틴이 시작되기 전에 클록 시간이 짝수가 될 때까지 대기할 것이다.
따라서, 소스가 채널 전환 모드에 들어가면(상태 430), 클록 카운트가 홀수인 경우, 소스의 첫 번째 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글로벌 클록에 의해 결정되는 채널을 변경하고(이행 440) 하나의 클록 카운트를 기다리는 것이다(상태 450). 그리고 소스는 글로벌 클록에 의해 결정되는 채널을 다시 변경하고 핸드쉐이킹 루틴을 시작하도록 싱크에 "동기화 시작("SS")" 패킷을 송신한다(이행 460). 소스가 채널 전환 모드에 들어갈 때 클록 카운트가 짝수이면, 소스는 글로벌 클록에 의해 결정되는 채널을 변경하고 기다리는 일 없이 핸드쉐이킹 루틴을 시작하도록 싱크에 "동기화 시작("SS")" 패킷을 송신한다(이행 470).
마찬가지로, 싱크가 채널 전환 모드에 들어가면(상태 480), 클록 카운트가 홀수인 경우, 싱크는 글로벌 클록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고(이행 490), 하나의 클록 카운트를 기다리고(상태 500), 핸드쉐이킹 루틴이 시작되기 전에 채널을 다시 변경한다(이행 510). 클록 카운트가 짝수이면, 싱크는 기다리는 일 없이 채널을 한 번 변경한다(이행 520).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핸드쉐이킹 프로토콜에서, 이하의 교환이 시도된다. 소스는 모든 싱크에 동기화 시작("SS") 패킷을 송신한다(상태 530으로의 이행 460, 또는 초기의 경우에는 470). 소스가 모든 싱크로부터 ACK를 수신하면, 소스는 채널이 좋다고 생각하여 다음 기회에 채널 전환 모드를 나가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스는 다음 기회에 채널 전환 모드를 나가는 것을 싱크에 알리기 위해 모든 싱크에 동기화 종료("ES") 패킷을 송신한다(상태 570으로의 이행 560).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채널 전환에는 작은 TSF가 사용되고 데이터 모드에서는 큰 TSF가 사용된다. ES 패킷을 송신한 후(상태 570), 소스는 채널 전환 모드를 나간다(상태 590으로의 이행 580).
소스는 모든 싱크가 ES 패킷을 수신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채널 전환 모드를 나갈 것이므로 싱크는 ES 패킷에 응답하여 ACK를 송신하지 않는다. 싱크가 예상된 SS 패킷을 수신하지 않으면(이행 580), 또는 소스가 예상된 ACK를 모두 수신하지 않으면(이행 590), 그 기기는 대기하고(각각 상태 500, 450) 재시도한다. 싱크가 SS 패킷을 수신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현재의 또는 다음의 TSF에서 ES 패킷을 수신할 것을 이어서 예상한다. 수신하지 않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드쉐이킹 루틴을 재개한다(이행 650). ES 패킷을 수신하면, 다음 기회에 채널 전환 모드를 나가도록 진행된다(상태 660으로의 이행 650).
채널 전환 모드에 들어가고 나오는 이행 및 핸드쉐이킹 교환을 도 13(a), 도 13(b), 도 14, 도 15에 더 나타낸다.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드쉐이킹 교환은 두 개의 작은 TSF에서(도 13(a)에 나타냄) 또는 하나의 작은 TSF에서(도 13(b)에 나타냄) 행해질 수 있다.
소스 또는 하나의 싱크가 채널 전환 모드에 들어가면, 소스가 채널이 좋다고 판정할 때까지 기기는 채널 전환 모드를 유지한다. 소스와 모든 싱크 사이의 왕복 교환이 성공적이면 채널은 좋은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면 동기화 종료(ES) 패킷을 수신한 소스 및 하나의 싱크는 채널 전환 모드를 나가 다음의 큰 TSF 경계에서 데이터 모드에 다시 들어간다.
데이터 패킷 에러는 본질적으로 예측할 수 없으므로, 소스 및 싱크가 서로 다른 TSF에서 채널 전환 모드에 들어갈 기회는 항상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록 기반 채널 전환 방법에서는, 어떤 소정의 시간에 채널 전환 모드에 있는 모든 기기는 같은 채널에 있게 된다.
소스가 채널 전환 모드를 나가지만, 하나의 싱크가 패킷 에러에 의해 ES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싱크는 채널 전환 모드를 나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 전환 모드를 나간 소스 및 싱크는 곧 채널 전환 모드에 다시 들어갈 것이고, 모든 기기는 좋은 채널이 발견될 때까지 클록 기반 채널 전환 방법에 따라 채널을 다시 전환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러가 없는 핸드쉐이킹 교환을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이 남아있는 한 채널 전환 모드를 나가는 것이 실패하는 것으로부터의 결과적인 복구가 보장된다.
채널 전환 모드를 나가면, 소스 및 싱크의 Hop-in-X 카운터는 채널 전환 모드를 나가는 것이 실패하는 것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인덱스 기반 채널 전환 방법에 관련하여 설명한 것처럼, 그러한 값은 IS 및 DS의 값에 의존한다. IS=DS=1이면, 방법에 의해 지원되는 가장 작은 값은 2이고, 그에 따라 이전의 채널 전환 후에 두 번 연속하여 통신이 실패하면 기기는 채널 전환 모드로 다시 들어갈 것이다. 값은 새로운 채널에 있어서의 저하된 신뢰성을 나타내는 한편 테스트되지 않는다.
이 예시적인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의 소스 및 싱크 기기의 동작을 부록 B에 제공된 의사 코드에 더 나타낸다. 의사 코드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 아니고, 시스템 및 채널 전환 방법의 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해 제공된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본 발명의 이점의 일부를 달성하는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바람직한 실시예는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예컨대 "C") 또는 오브젝트 지향 언어(예컨대 "C++")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미리 프로그램된 하드웨어 요소, 다른 관련된 요소로서,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요소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구현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예컨대 디스켓, CD-ROM, ROM, 고정 디스크)와 같은 유형적 매체 또는 모뎀 또는 매체를 거쳐 네트워크에 연결된 통신 어댑터와 같은 다른 인터페이스 기기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에 송신 가능한 매체에 고정된 일련의 컴퓨터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매체는 유형적 매체(예컨대 광학 또는 전기 통신선) 또는 무선 기술(예컨대 극초단파, 적외선 또는 다른 송신 기술)로 구현된 매체일 수 있다. 일련의 컴퓨터 명령은 상술한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체화한다. 그러한 컴퓨터 명령은 많은 컴퓨터 아키텍처 또는 운영 체제와 함께 사용하는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입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그러한 명령은 반도체, 자기, 광학 또는 다른 메모리 기기와 같은 메모리 기기에 기억될 수 있고, 광학, 적외선, 극초단파, 또는 다른 송신 기술과 같은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인쇄된 문서 또는 전자 문서가 동봉된 착탈 가능한 매체(예컨대 시판 패키지 소프트웨어)로서 유통되고, 컴퓨터 시스템에 미리 내장되고(예컨대 시스템 ROM 또는 고정 디스크에),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또는 월드 와이드 웹)를 거쳐 서버로부터 배포될 수 있음이 예상된다. 물론,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는 소프트웨어(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완전히 하드웨어로서 또는 완전히 소프트웨어로(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서 구현될 수 있다.
이전에 기재한 섹션의 표제는 설명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설명이 명료하도록 체계화하기 위해 의도되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앞서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요구 및 목적을 적절하게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전히 본 발명의 이점을 얻을 수 있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은 이하의 청구의 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의도되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부록 A - 인덱스 기반 채널 전환 의사 코드
소스 동작 의사 코드
인덱스 기반 Hop-in-X 채널 전환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소스 동작 의사 코드가 이하에 제공된다.
Hop-in-X 카운터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초기 레벨, 즉 Hop-in-X long(HiX_L) 및 Hop-in-X short(HiX_S)를 갖는다. 소스와 싱크 사이의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카운터값 HiX_S≥2이다. HiX_S 카운터 사이즈는 채널 전환 방법의 속도를 결정하는데, 이는 HiX_S 카운터 사이즈가 시스템이 새로운 채널에 남는 TSF의 최소의 수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스템의 동작성을 유지하는 동안 HiX_S의 값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사 코드에 의해 나타내어진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기(즉, 소스 또는 싱크)는 최대 2 TSF 동안 품질이 나쁜 채널에 머무를 것이다. 따라서 동작의 레이턴시 요건이 최적화된다.
이하의 의사 코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법은 소스의 전환 카운터(CntCsrc)가 최대값 HiX_L에서 시작하도록 설정한다. 소스가 새로운 채널로 전환할 때마다 소스의 전환 카운터(CntCsrc)는 HiX_S=2로 설정된다.
Figure pct00004

싱크 동작 의사 코드
Figure pct00005

부록 B - 클록 기반 채널 전환 의사 코드
소스 동작 의사 코드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싱크 동작 의사 코드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Claims (23)

  1. 제 1 기기를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에 있는 제 1 통신 채널에서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 1 기기의 프로세서, 메모리, 송수신기와 함께 동작하는 채널 전환 모듈로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기기와 제 2 기기 사이의 데이터 패킷 송신 에러를 추적하도록 상기 제 1 기기의 제 1 카운터의 값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카운터의 값이 채널 전환 임계값에 도달한 후에만 상기 제 1 기기를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기의 제 2 카운터의 값은 상기 제 1 기기와 상기 제 2 기기 사이의 데이터 패킷 송신 에러를 추적하도록 조정되고,
    상기 제 2 기기는 상기 제 2 기기의 상기 제 2 카운터가 상기 채널 전환 임계값에 도달한 후에만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채널 전환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데이터 소스이고, 상기 제 2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싱크 중 하나이며,
    상기 제 1 카운터의 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가 모든 싱크로부터 예상되는 수신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증가 단계에 의해 상기 제 1 카운터의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소스가 상기 예상되는 모든 수신 확인 신호보다 적게 수신하면 감소 단계에 의해 상기 제 1 카운터의 값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카운터의 값이 미리 정해진 최대값을 넘으면 그 미리 정해진 최대값까지 상기 제 1 카운터의 값을 축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싱크가 상기 소스로부터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각 싱크는 상기 예상되는 수신 확인 신호 중 각각 하나를 송신하는
    채널 전환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가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싱크에 송신하는 시간 슈퍼 프레임 내에 상기 소스는 각 싱크로부터 상기 수신 확인 신호를 수신할 것을 예상하는 채널 전환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데이터 싱크이고, 상기 제 2 기기는 데이터 소스이며,
    상기 제 1 카운터의 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싱크가 상기 소스로부터 예상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제 2 카운터의 값에 따라 상기 제 1 카운터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싱크가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예상되는 데이터 패킷의 수신에 실패하면 감소 단계에 의해 상기 제 1 카운터의 값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상되는 데이터 패킷은 상기 제 2 카운터의 값을 포함하는
    채널 전환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는 시간 슈퍼 프레임 내에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것을 예상하는 채널 전환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은 인덱스에 맵핑되고,
    각 인덱스 위치는 상기 통신 채널 중 대응하는 하나에 고유하게 맵핑되고,
    상기 제 1 통신 채널은 제 1 인덱스 위치에 맵핑되고, 상기 제 2 통신 채널은 상기 제 1 인덱스 위치 뒤의 제 2 인덱스 위치에 맵핑되는
    채널 전환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는 각각 미리 정해진 제한된 수의 클록 카운트에 의해 반복적으로 시간을 측정하는 동기화된 클록을 갖고,
    각 클록 카운트는 상기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에 있어서의 상기 통신 채널 중 각 하나에 맵핑되고,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되면 상기 제 2 통신 채널은 현재의 카운트 클록에 맵핑되는
    채널 전환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 상기 송수신기에 연결된 전자 부품 내에서 구체화되는 채널 전환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을 위한 소프트웨어 코드로서 상기 메모리 내에 구체화되는 채널 전환 모듈.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 2 기기와 통신하는 제 1 기기로서,
    상기 제 1 기기는, 상기 제 1 기기가,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의 제 1 통신 채널에서 상기 제 2 기기와 데이터 패킷을 통신하고, 상기 제 1 통신 채널의 제 1 품질 측정을 추적하고, 상기 제 1 품질 측정이 채널 전환 임계값 또는 그 이하까지 감소된 후 상기 제 1 기기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에서 상기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의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게 하는 제어 로직을 갖고,
    상기 제 2 기기는 상기 제 1 통신 채널의 제 2 품질 측정을 추적하고 그 제 2 품질 측정이 상기 채널 전환 임계값 또는 그 이하까지 감소된 후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제 1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데이터 소스이고, 상기 제 2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싱크 중 하나이며,
    상기 데이터 패킷의 통신은, 데이터 패킷을 상기 싱크에 송신하되, 송신되는 각 데이터 패킷에 대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각 싱크는 상기 데이터 패킷이 송신된 시간 슈퍼 프레임 내에 상기 소스에 수신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품질 측정의 추적은, 상기 싱크에 송신되는 각 데이터 패킷에 대해서, 상기 소스가 상기 시간 슈퍼 프레임 내에 상기 싱크의 모두로부터 수신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품질 측정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소스가 상기 시간 슈퍼 프레임 내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신 확인 신호의 수신에 실패하면 상기 제 1 품질 측정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기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기는 데이터 싱크이고, 상기 제 2 기기는 데이터 소스이며,
    상기 데이터 패킷의 통신은 상기 데이터 소스로부터 예상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대응하는 시간 슈퍼 프레임 내에 수신되는 예상되는 데이터 패킷 각각에 대해서, 상기 싱크는 상기 소스에 수신 확인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 1 품질 측정의 추적은, 상기 싱크가 상기 대응하는 시간 슈퍼 프레임 내에 상기 예상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제 1 품질 측정을 상기 제 2 품질 측정으로 설정하되, 상기 예상되는 데이터 패킷은 상기 제 2 품질 측정을 포함하는 단계와, 상기 싱크가 상기 시간 슈퍼 프레임 내에 상기 예상되는 데이터 패킷의 수신에 실패하면 상기 제 1 품질 측정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기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은 인덱스에 맵핑되고,
    각 인덱스 위치는 상기 통신 채널 중 대응하는 하나에 고유하게 맵핑되고,
    상기 제 1 통신 채널은 제 1 인덱스 위치에 맵핑되고 상기 제 2 통신 채널은 상기 제 1 인덱스 위치 뒤의 제 2 인덱스 위치에 맵핑되는
    제 1 기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기는 각각 미리 정해진 제한된 수의 클록 카운트에 의해 반복적으로 시간을 측정하는 동기화된 클록을 갖고,
    각 클록 카운트는 상기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의 상기 통신 채널 중 각각 하나에 맵핑되고,
    상기 제 1 기기가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되면 상기 제 2 통신 채널은 현재의 카운트 클록에 맵핑되는
    제 1 기기.
  15. 소스 및 적어도 하나의 싱크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채널 전환 방법으로서,
    상기 기기는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의 제 1 통신 채널에서 통신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소스와 하나의 또는 모든 상기 싱크 사이의 데이터 패킷 송신 에러를 추적하기 위해 상기 소스와 관련된 소스 카운터의 값을 조정하는 단계와, 하나의 또는 각각의 싱크에 대해서, 상기 소스 카운터의 값을 추적하기 위해 그 싱크에 관련된 싱크 카운터의 값을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 카운터의 값이 채널 전환 임계값에 도달하면 상기 소스를 상기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의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와, 하나의 또는 각각의 싱크에 대해서, 상기 싱크와 관련된 상기 싱크 카운터의 값이 상기 채널 전환 임계값에 도달하면 그 싱크를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전환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카운터의 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가 상기 하나의 또는 모든 싱크로부터 예상되는 수신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증가 단계에 의해 상기 소스 카운터의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소스가 상기 예상되는 수신 확인 신호의 전부보다 적게 수신하면 감소 단계에 의해 상기 소스 카운터의 값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소스 카운터의 값이 미리 정해진 최대값을 넘으면 그 미리 정해진 최대값까지 상기 소스 카운터의 값을 축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싱크가 상기 소스로부터 대응하는 예상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하나의 또는 모든 싱크는 상기 예상되는 수신 확인 신호 중 각각 하나를 송신하고,
    상기 하나의 또는 각각의 싱크에 대하여, 상기 싱크에 관련된 상기 싱크 카운터의 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싱크 기기가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예상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소스 카운터의 값에 근거하여 상기 싱크 카운터의 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싱크가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예상되는 데이터 패킷의 수신에 실패하면 상기 감소 단계에 의해 상기 싱크 카운터의 값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전환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는 상기 소스가 상기 대응하는 예상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하나의 또는 모든 싱크에 송신하는 시간 슈퍼 프레임 내에 상기 하나의 또는 모든 싱크로부터 상기 수신 확인 신호를 수신할 것을 예상하고,
    상기 하나의 또는 모든 싱크는 상기 시간 슈퍼 프레임 내에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예상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것을 예상하는
    채널 전환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를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카운터를 상기 채널 전환 임계값보다 크고 상기 미리 정해진 최대값보다 작거나 같은 전환 후의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또는 각각의 싱크에 대하여, 상기 싱크를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는 그 싱크에 관련된 상기 싱크 카운터를 상기 전환 후의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전환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은 인덱스에 맵핑되고,
    상기 통신 채널의 각각은 대응하는 인덱스 위치에 고유하게 맵핑되고,
    상기 제 1 통신 채널은 제 1 인덱스 위치에 맵핑되고,
    각 기기에 대하여, 상기 기기를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인덱스 위치 뒤의 제 2 인덱스 위치를 결정하되, 상기 제 2 인덱스 위치는 상기 제 2 통신 채널에 맵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전환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또는 상기 하나의 또는 모든 싱크를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는, 그 기기를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기 전에, 그 기기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과 상기 제 2 통신 채널 사이의 상기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전환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각 기기에 대하여, 그 기기에 관련된 클록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모든 상기 클록은 동기화되고,
    모든 상기 클록은 반복적으로 미리 정해진 제한된 수의 클록 카운트에 의해 시간을 측정하고,
    각 상기 클록 카운트는 상기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의 상기 통신 채널의 각각의 하나에 맵핑되고,
    각 기기에 대하여, 상기 기기를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에 관련된 상기 클록의 현재의 클록 카운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기가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되면 상기 현재의 클록 카운트는 상기 제 2 통신 채널에 맵핑되는
    채널 전환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를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하나의 또는 모든 싱크에 동기화 시작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또는 각각의 또한 모든 싱크로부터 송신된 각각의 수신 확인 싱크 패킷을 상기 소스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로부터 상기 하나의 또는 모든 싱크에 동기화 종료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또는 각각의 싱크에 대하여, 상기 싱크를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동기화 시작 패킷을 상기 싱크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싱크로부터 상기 소스로 상기 각각의 수신 확인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로부터 송신된 상기 동기화 종료 패킷을 상기 싱크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전환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또는 상기 하나의 또는 모든 싱크를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를 상기 제 2 통신 채널로 전환하기 전에, 상기 기기를 상기 제 1 통신 채널과 상기 제 2 통신 채널 사이의 상기 통신 채널의 미리 정해진 순서 집합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통신 채널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전환 방법.
KR1020107025852A 2008-04-18 2009-04-16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채널 전환 방법 Active KR101516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06,098 US8265041B2 (en) 2008-04-18 2008-04-18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and channel-switching method
US12/106,098 2008-04-18
PCT/CA2009/000491 WO2009127055A1 (en) 2008-04-18 2009-04-16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channel-switch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150A true KR20110042150A (ko) 2011-04-25
KR101516038B1 KR101516038B1 (ko) 2015-05-04

Family

ID=4119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852A Active KR101516038B1 (ko) 2008-04-18 2009-04-16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채널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65041B2 (ko)
EP (1) EP2269401B1 (ko)
JP (1) JP5462243B2 (ko)
KR (1) KR101516038B1 (ko)
WO (1) WO2009127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263A1 (en) * 2009-06-16 2010-12-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xchanging messages, sink device and source device
US8781075B2 (en) * 2011-01-07 2014-07-15 General Electric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 in a medical imaging or monitoring system
EP2632071A1 (en) * 2012-02-21 2013-08-28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assessing quality of a radio transmission channel, and residential gateway using the method
US9420490B2 (en) 2013-03-08 2016-08-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amless data stream transfer during band switch between wireless stations
CN105309028A (zh) * 2013-05-06 2016-02-03 爱立信(中国)通信有限公司 用于实现针对用户设备的传输模式的切换的方法和无线电网络节点
US9535647B2 (en) * 2014-12-24 2017-01-03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hannel switching
US20160191581A1 (en) * 2014-12-24 2016-06-30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media streaming
US10873538B2 (en) * 2015-05-05 2020-12-22 Avaya Inc. Automatic cloud capacity adjustment
US10440491B2 (en) 2015-11-17 2019-10-08 Caavo Inc Multi-channel audio over a wireless network
US10707973B2 (en) * 2018-08-30 2020-07-07 Rohde & Schwarz Gmbh & Co. Kg Method of testing bluetooth low energy devices over-the-air and testing system
US11792306B2 (en) * 2020-11-06 2023-10-17 Improbable Worlds Limited Network protocol for view replication over unreliable networks
US11903027B2 (en) * 2021-12-17 2024-02-13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occurrence of data collisions in wireless networks
US11956175B1 (en) * 2023-08-01 2024-04-09 Roku, Inc. Hub station with channel switching featur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5014A (en) * 1989-05-22 1991-04-02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ally transmitting acknowledge back responses
CA2194023C (en) * 1996-12-24 2002-04-02 Murray C. Baker Channel hopping protocol
US6512928B1 (en) * 1999-03-09 2003-01-28 Trimble Navigation Limited Slow hopping data transmitter
US6760317B1 (en) * 2000-07-06 2004-07-06 Nokia Mobile Phones Ltd. Adaptive transmission channel allocation method and system for ISM and unlicensed frequency bands
GB0100093D0 (en) 2001-01-03 2001-02-14 Vtech Communications Ltd Adaptive frequency hopping strategy
JP3744365B2 (ja) * 2001-03-06 2006-02-08 Kddi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及びその周波数チャネル切替方法
US7050395B1 (en) * 2001-11-30 2006-05-23 Redback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an interface between network element data processing units
JP2004147015A (ja) 2002-10-23 2004-05-20 Canon Inc 無線通信装置
JP4283644B2 (ja) 2003-11-19 2009-06-24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チャネル制御方法
US20050137966A1 (en) * 2003-12-19 2005-06-23 Munguia Peter R. Flow control credit synchronization
JP2005203898A (ja) 2004-01-13 2005-07-28 Uniden Corp デジタル無線通信装置
US20070286102A1 (en) * 2004-03-05 2007-12-13 Isao Shimokaw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Switching Protocol
US20060034220A1 (en) * 2004-08-12 2006-02-16 Eiji Shinshou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778199B2 (en) * 2005-02-19 2010-08-17 Cisco Technology, Inc. Techniques for customer self-provisioning of edge nodes for a virtual private network
US7542784B2 (en) * 2005-02-25 2009-06-02 Kleer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 quality, low power, wireless audio system
US20060205349A1 (en) * 2005-03-08 2006-09-14 Enq Semiconducto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audio network management
US8243779B2 (en) * 2005-04-29 2012-08-14 Alcatel Lucent Method of quality-based frequency hopping in a wirelesscommunication system
JP2009081581A (ja) * 2007-09-25 2009-04-1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62709A1 (en) 2009-10-22
JP2011517243A (ja) 2011-05-26
JP5462243B2 (ja) 2014-04-02
WO2009127055A1 (en) 2009-10-22
US8265041B2 (en) 2012-09-11
KR101516038B1 (ko) 2015-05-04
EP2269401A4 (en) 2016-12-21
EP2269401B1 (en) 2019-10-16
EP2269401A1 (en)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2150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채널 전환 방법
US8023442B2 (en)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of user equip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4994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utput buffer in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30036810A (ko) 동적 무선 링크 적응
US848319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U20073225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from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9157153A1 (ja) パケット送信装置及びパケット送信方法
JP4211032B2 (ja) 通信品質制御機能を有する通信装置
JP5585647B2 (ja) 伝送装置、伝送方法及び伝送システム
JP4128961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WO2011036701A1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AU2004237463B2 (en) Communication system
US8369361B2 (en) Early termination of low data rate traffic in a wireless network
KR101037679B1 (ko) 실시간 끊김없는 무선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20080298443A1 (en) Method for efficient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udio digital signals
JP4033860B2 (ja) データ通信方法及びデータ送信装置
JP2006129341A (ja) 透過データ伝送方法
US200802982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including processing and buffering features
JP7314740B2 (ja) 送信装置、プログラム
WO2014139307A1 (zh) 切换mcs的方法和装置
JP2861851B2 (ja) データ通信再送方法
US20150327277A1 (en) Method, network node,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rank
US20240056282A1 (en) Optimizing Interframe Space in TDD
JP2006109155A (ja) 移動体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用プログラム
CN118487626A (zh) 用于超宽带通信中的数据传送中的动态适应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4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