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1110A -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41110A KR20110041110A KR1020090098142A KR20090098142A KR20110041110A KR 20110041110 A KR20110041110 A KR 20110041110A KR 1020090098142 A KR1020090098142 A KR 1020090098142A KR 20090098142 A KR20090098142 A KR 20090098142A KR 20110041110 A KR20110041110 A KR 201100411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portable terminal
- recognition function
- sensor
- fun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시간 동안 입력이 존재하지 않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근접 센서를 구동시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터치 센서의 터치 인식 기능을 온 상태로 유지하거나 오프 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터치 오 인식으로 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오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터치, 터치스크린, 근접 센서, 잠금 기능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터치 센서의 터치 인식 기능을 오프 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과 컴퓨터를 포함한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와 요구에 부합하는 많은 휴대용 단말들이 생산 및 보급되고 있으며, 일 예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인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화면 터치 만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터치를 오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중에 사용자의 얼굴이 화면에 닿는 것을 사용자의 터치 동작으로 인식하거나, 사용자가 상기 휴대 용 단말기를 주머니 혹은 가방에 보관할 시 주변 물체가 화면에 닿는 것을 터치 동작으로 인식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특히, 최근에는 C-타입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증가하고 있어 터치를 오 인식하는 확률이 더 높아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C-타입 터치 스크린은 단순히 화면이 터치되는 동작을 인식하는 터치 스크린으로써, Z축의 눌림을 감지하여 상기 Z축의 눌림이 동반되는 터치만을 인식하는 R-타입 터치 스크린에 비해 터치 감도는 좋으나, 화면이 살짝만 터치되어도 터치 동작이 수행되었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오 인식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특정 키(예: 잠금 키)를 이용하여 터치 인식 기능을 오프 시키는 기법과 근접 센서를 이용해 통화 중에 얼굴이 화면에 닿을 경우 터치 인식 기능을 오프 시키는 기법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와 같은 기법들을 제공하더라도 많은 사용자들이 부주의로 인해 상기 터치 인식 기능을 오프 시키지 않은 채로 휴대용 단말기를 주머니 혹은 가방에 보관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여전히 상기 주머니 혹은 가방에서 주변 물체에 의해 오 동작하게 되며, IDLE 모드로 진입 가능한 상황에서 상기 IDLE 모드로 진입하지 못하고 WAKEUP 상태를 유지하여 전류 소모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센서의 터치 인식 기능을 오프 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센서의 터치 인식 기능을 오프 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IDLE 모드 진입이 판단될 시 터치 센서의 터치 인식 기능을 온/오프 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 관리 방법은, 소정 시간 동안 입력이 존재하지 않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근접 센서를 구동시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터치 센서의 터치 인식 기능을 온 상태로 유지하거나 오프 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센서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와, 소정 시간 동안 입력이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근접 센서를 구동시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인식 기능을 온 상태로 유지하거나 오프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IDLE 모드 진입이 판단될 시,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의 터치 인식 기능을 온 상태로 유지하거나 오프 시킴으로써, 터치 오 인식으로 인한 휴대용 단말기의 오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터치 센서의 터치 인식 기능을 오프 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센서를 구비한 모든 단말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게임기, MP3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근접 센서(110), 표시부(120) 및 입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0)는 터치 기능 관리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터치 기능 관리부(102)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IDLE 모드 진입 시에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터치 센서의 터치 기능을 온 상태로 유지하거나 오프 시키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소정 시간 동안 입력이 존재하지 않을 시,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터치, 혹은 키 눌림이 발생되지 않거나 네트워크로부터 호가 발생되지 않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IDLE 모드 진입을 판단하고, 상기 근접 센서(110)를 구동시켜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근접 센서(110)로부터 주변에 물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공되면, 터치 센서의 터치 인식 기능을 오프(혹은 잠금(LOCK))시킨 후, 상기 IDLE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근접 센서(100)로부터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인식 기능을 온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DILE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상기 근접 센서(110)는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주변의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숫자, 문자,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20)는 액정표시장치(LCD: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인식하는 터치 센서(미도시)와 숫자, 문자 혹은 기능 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미도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터치 혹은 키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화면이 터치된 터치된 방식(예: 터치 위치, 터치 방향, 터치 모양, 터치 횟수)을 인식하여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하며,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인식 기능을 오프 시키기 위한 잠금 키가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을 관리하는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1단계에서 소정 시간 동안 입력이 존재하지 않을 시 203단계로 진행하여 근접 센서를 구동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한 터치 혹은 키 눌림이 발생되지 않거나 네트워크로부터 호가 발생되지 않을 시 상기 근접 센서를 구동한다. 여기서, 상 기 소정 시간은 IDLE 모드 진입의 판단 기준이 되는 시간으로,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어떤 입력도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IDLE 모드로 진입함을 결정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에서 상기 근접 센서를 통해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근접 센서는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주변의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만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에 물체가 존재한다고 판단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기능을 오프(혹은 잠금)시킨 후, 209단계에서 IDLE 모드로 진입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기능을 오프 시키지 않고 바로 209단계로 진행하여 IDLE 모드로 진입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가 IDLE 모드로 진입하기 전에 주변에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주변에 물체가 있는 경우 터치 센서의 터치 인식 기능을 오프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키를 통해 터치 인식 기능을 오프 시키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를 주머니 혹은 가방에 보관하더라도 터치 인식 기능을 오프 시킬 수 있어 오 동작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을 관리하는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8)
-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 관리 방법에 있어서,소정 시간 동안 입력이 존재하지 않는지 검사하는 과정과,근접 센서를 구동시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상기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터치 센서의 터치 인식 기능을 온 상태로 유지하거나 오프 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인식 기능을 온 상태로 유지하거나 오프 시키는 과정은,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에 물체가 존재할 시 상기 터치 인식 기능을 오프 시키는 과정과,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터치 인식 기능을 온 상태로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인식 기능 온 상태로 유지하거나 오프 시킨 후, IDLE 모드로 진입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입력은, 사용자에 의한 화면 터치, 키 눌림, 네트워크로부터의 호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 관리 장치에 있어서,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터치 센서와,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와,소정 시간 동안 입력이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근접 센서를 구동시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터치 센서의 터치 인식 기능을 온 상태로 유지하거나 오프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에 물체가 존재할 시 상기 터치 인식 기능을 오프 시키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주변에 물체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터치 인식 기능을 온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인식 기능 온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오프 시킨 후, IDLE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한 화면 터치, 키 눌림, 네트워크로부터의 호 수신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되는지 감지하여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입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8142A KR20110041110A (ko) | 2009-10-15 | 2009-10-15 |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 관리 방법 및 장치 |
US12/902,560 US20110090163A1 (en) | 2009-10-15 | 2010-10-12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ouch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8142A KR20110041110A (ko) | 2009-10-15 | 2009-10-15 |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 관리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1110A true KR20110041110A (ko) | 2011-04-21 |
Family
ID=4387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8142A KR20110041110A (ko) | 2009-10-15 | 2009-10-15 |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 관리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090163A1 (ko) |
KR (1) | KR20110041110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66451A1 (en) * | 2012-10-26 | 2014-05-01 | Facebook, Inc. | Contextual device locking/unlocking |
US9400893B2 (en) | 2011-12-15 | 2016-07-26 | Facebook, Inc. | Multi-user login for shared mobile devices |
US9736265B2 (en) | 2012-08-09 | 2017-08-15 | Facebook, Inc. | Handling notification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3506B1 (ko) * | 2011-04-01 | 2017-06-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에서 근접 센서를 이용한 근접 인식 장치 및 방법 |
TWI472987B (zh) * | 2011-04-15 | 2015-02-11 | Pixart Imaging Inc | 光學式觸控板及手持式電子裝置 |
CN102929538A (zh) * | 2012-10-17 | 2013-02-13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防止带触摸屏的移动终端误操作的方法及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92979B1 (en) * | 1999-09-07 | 2002-12-10 | Elo Touchsystems, Inc. | Dual sensor touchscreen utilizing projective-capacitive and force touch sensors |
US6504530B1 (en) * | 1999-09-07 | 2003-01-07 | Elo Touchsystems, Inc. | Touch confirming touchscreen utilizing plural touch sensors |
US7289102B2 (en) * | 2000-07-17 | 2007-10-30 | Microsoft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using multiple sensors in a device with a display |
US8120625B2 (en) * | 2000-07-17 | 2012-02-21 | Microsoft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using multiple sensors in a device with a display |
US20070195074A1 (en) * | 2004-03-22 | 2007-08-23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in mobile terminals |
US7196316B2 (en) * | 2004-09-22 | 2007-03-27 |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ctivation sensor |
US20070042816A1 (en) * | 2005-08-15 | 2007-02-22 | Idt Communication Technology Limited |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with key-lock |
US7714265B2 (en) * | 2005-09-30 | 2010-05-11 | Apple Inc. | Integrated proximity sensor and light sensor |
US7633076B2 (en) * | 2005-09-30 | 2009-12-15 | Apple Inc. | Automated response to and sensing of user activity in portable devices |
EP1988448A1 (en) * | 2006-02-23 | 2008-11-05 | Pioneer Corporation | Operation input device |
US7747293B2 (en) * | 2006-10-17 | 2010-06-29 | Marvell Worl Trade Ltd. | Display control for cellular phone |
US8006002B2 (en) * | 2006-12-12 | 2011-08-23 | Apple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configuration of peripherals |
US8665225B2 (en) * | 2007-01-07 | 2014-03-04 | Apple Inc. |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terpreting a finger gesture |
US8060825B2 (en) * | 2007-01-07 | 2011-11-15 | Apple Inc. | Creating digital artwork based on content file metadata |
US20080196945A1 (en) * | 2007-02-21 | 2008-08-21 | Jason Konstas | Preventing unintentional activation of a sensor element of a sensing device |
US7805171B2 (en) * | 2007-03-06 | 2010-09-28 | Motorola Mobility, Inc. | Earmoun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
US20090015425A1 (en) * | 2007-07-13 | 2009-01-15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Camera of an electronic device used as a proximity detector |
KR101456047B1 (ko) * | 2007-08-31 | 2014-1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
CA2698737C (en) * | 2007-09-19 | 2017-03-28 | Cleankeys Inc. | Cleanable touch and tap-sensitive surface |
US8154523B2 (en) * | 2007-12-13 | 2012-04-10 | Eastman Kodak Company | Electronic device, display and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
US8344998B2 (en) * | 2008-02-01 | 2013-01-01 | Wimm Labs, Inc. | Gesture-based power management of a wear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
US20090194341A1 (en) * | 2008-02-05 | 2009-08-06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resistive touch input component as a proximity sensor |
KR100967316B1 (ko) * | 2008-04-03 | 2010-07-07 |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 터치감지장치 및 그 터치감지장치와 연결된 전자장치 |
TW201015955A (en) * | 2008-10-14 | 2010-04-16 | Inventec Appliances Corp | Mobile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2009
- 2009-10-15 KR KR1020090098142A patent/KR2011004111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
- 2010-10-12 US US12/902,560 patent/US20110090163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00893B2 (en) | 2011-12-15 | 2016-07-26 | Facebook, Inc. | Multi-user login for shared mobile devices |
US9736265B2 (en) | 2012-08-09 | 2017-08-15 | Facebook, Inc. | Handling notifications |
WO2014066451A1 (en) * | 2012-10-26 | 2014-05-01 | Facebook, Inc. | Contextual device locking/unlocking |
US8914875B2 (en) | 2012-10-26 | 2014-12-16 | Facebook, Inc. | Contextual device locking/unlock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10090163A1 (en) | 2011-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64504B2 (en) | User Interface (UI)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of touch-enabled device | |
EP2997517B1 (en) | Portable device including a fingerprint scan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 |
CN107885534B (zh) | 一种锁屏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 |
CN109067983B (zh) | 信息提示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 |
US9170730B2 (en) | Method for executing private mode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TWI472946B (zh) | 手持電子裝置及其操作方法與電腦程式產品 | |
US11003328B2 (en) | Touch input method through edg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 |
US20130293507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detecting touches | |
CN105335686B (zh) | 具有指纹感测功能的电子装置及其应用程序的调用方法 | |
KR20190099386A (ko) | 지문 잠금 해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
US20100265209A1 (en) | Power reduction for touch screens | |
US8108000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 |
TW201344552A (zh) | 行動裝置以及手勢判斷方法 | |
CN106919824B (zh) | 一种指纹解锁的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 |
US20140043247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detecting touches | |
EP2843506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detecting touches | |
US9436324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detecting touches | |
KR20110041110A (ko) |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 기능 관리 방법 및 장치 | |
CN105630327A (zh) | 便携式电子设备和控制可选元素的显示的方法 | |
CN106548154A (zh) | 一种实现指纹识别的方法及装置 | |
JP6987687B2 (ja) | 電子機器、制御プログラム及び電子機器の動作方法 | |
KR102320072B1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정보 공개 제어 방법 | |
US20140047561A1 (en) |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and program | |
US9442579B2 (en) | Touch device warning method and touch device warning system | |
CN106933576B (zh) | 一种终端解锁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