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8718A - Nozzle position correction mechanism and coat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Nozzle position correction mechanism and coat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8718A KR20110038718A KR1020117004731A KR20117004731A KR20110038718A KR 20110038718 A KR20110038718 A KR 20110038718A KR 1020117004731 A KR1020117004731 A KR 1020117004731A KR 20117004731 A KR20117004731 A KR 20117004731A KR 20110038718 A KR20110038718 A KR 201100387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 positioning member
- liquid material
- insertion hole
- drive mechanis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38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5
- 239000011344 liqu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6 imag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액체 재료를 토출(吐出)하는 노즐(707)과 테이블(710) 상에 탑재된 공작물(708)을 구동 기구(702, 703, 704)에 의해 상대 이동시켜 공작물의 면에 액체 재료를 도포할 때에, 상기 노즐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노즐 위치 보정 기구로서, 상기 구동 기구에 대한 상기 노즐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304, 305, 306)와, 상기 노즐이 삽입되는 노즐 삽통공(揷通孔)(104), 및 상기 노즐 삽통공에 삽통된 노즐의 선단(先端) 부분과 맞닿는 당접면(106)을 가지는 위치 결정 부재(10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카메라나 센서 등의 특별한 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기계적으로 노즐의 위치 조정을 행할 수 있다.When the nozzle 707 for discharging the liquid material and the work 708 mounted on the table 710 are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by the driving mechanisms 702, 703, and 704 to apply the liquid material to the surface of the work. A nozzle position correction mechanism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nozzle, the adjusting portions 304, 305 and 306 for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nozzle with respect to the drive mechanism, and a nozzle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nozzle is inserted. ), And a positioning member 101 having a contact surface 106 that abuts against a tip portion of the nozzle inserted into the nozzle insertion hole. By such a configuration, the nozzle can be adjusted in a simple configuration and mechanically without requiring a special device such as a camera or a sensor.
Description
본 발명은, 노즐 위치 보정 기구 및 그것을 구비하는 도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재료를 토출(吐出)하는 노즐과 테이블 상에 탑재된 공작물을 구동 기구에 의해 상대 이동시켜 공작물의 면에 액체 재료를 도포할 때, 유지 보수 작업에 따른 노즐 위치의 어긋남을 보정할 수 있는 노즐 위치 보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액체 재료의 보충이나 유지 보수 등의 작업을 행하는 경우, 노즐이나 저류(貯留) 용기를 포함하는 토출 장치를 도포 장치로부터 떼어내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액체 재료의 보충이나 유지 보수 등의 작업이 완료되면 토출 장치를 다시 도포 장치에 장착한다. 이 때, 토출 장치가 가지는 노즐 선단(先端)에 형성되는 토출구의 위치는, 떼어내기 전의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는 경우가 많다. 그 상태에서 도포 작업을 재개하면, 원하지 않는 위치에 액체 재료를 도포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액체 재료가 도포된 제품은 불량품이 된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은 사태를 회피하기 위하여, 토출 장치를 장착할 때 노즐 선단 위치를 조정하는 기구(機構)나 방법이 여러 가지로 제안되고 있다.When performing operations, such as replenishment of liquid materials, maintenance, etc., the discharge apparatus containing a nozzle and a storage container may be detached from a coating apparatus. And when the operation | work of replenishment of liquid material, maintenance, etc. is completed, a discharge apparatus is again attached to a coating apparatus.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front-end | tip of a nozzle which a discharge apparatus has is often shifted from the position before removing. If the application operation is resumed in this state, the liquid material is applied to an undesired position, and as a result, the product coated with the liquid material becomes a defective product. Therefore, in order to avoid the above situation, various mechanisms and methods for adjusting the nozzle tip position when mounting the discharge device have been proposed.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기판면에 액체 재료를 도포하는 도포 장치에 있어서, 액체 재료가 저류되는 시린지에 장착되고, 기판면을 향해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노즐과, 이 노즐을 가로 방향으로부터 촬상하여, 이 촬상 화상으로부터, 노즐 선단의 높이 위치, 및 노즐 선단의 연직선으로부터의 위치 편차량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기와, 이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상기 높이 위치와 상기 위치 편차량에 기초하여, 상기 시린지의 위치 보정을 행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도포 노즐 및 촬상 장치를 구비한 도포 장치에 있어서, 이들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도포 노즐에 의해 시험 도포면에 도포제를 도포하고, 또한 그 때의 촬상 장치의 촬상 중심의 위치인 제1 위치를 취득하고, 그 다음에 촬상 장치에 의해 시험 도포면에 도포된 도포제를 촬상하여 이 도포제의 중심의 위치와 촬상 장치의 촬상 중심이 일치하는 위치인 제2 위치를 취득하고, 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와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차이를 도포 노즐의 촬상 장치에 대한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와 도포 노즐과의 상대 위치 검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in a coating device provided with a coating nozzle and an imaging device, as a method for detecting these relative positions, the coating agent is applied to a test coating surface by the coating nozzle, and the imaging of the imaging device at that time The first position, which is the center position, is acquired, and then the imaging agent is applied to image the coating agent applied to the test coating surface, and the second position, which is the position where the center of the coating agent and the imaging center of the imaging device coincide, is obtained. And obtaining the difference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s a value indicat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coating nozzle with respect to the imaging device. A method is disclosed.
특허 문헌 1 또는 2에서 사용되는 위치 검출 기기는 카메라이지만, 그 외의 광학 기기, 예를 들면, 레이저 변위계나 포토 센서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Although the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used by
이와 같은 특별한 기기를 설치하는 것을 꺼려서, 토출 장치가 탑재된 XYZ 구동 기구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육안 관찰에 의해 도포 위치 등의 목표 위치에 맞도록 노즐 선단을 이동시키고, 그 이동량의 차이로부터 도포 작업 개시 위치 등의 설정을 수정하는 것도 여전히 행해지고 있다.Reluctant to install such a special apparatus, the XYZ drive mechanism equipped with the discharge device is manually operated to move the nozzle tip to the target position such as the application position by visual observation, and to apply from the difference in the movement amount. Correction of settings such as the work start position is still performed.
그러나,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카메라나 센서 등의 특별한 기기가 필요하며, 또한, 검출 결과에 기초한 연산 처리나 제어도 복잡하게 되어 있다.However, in the inventions described in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위치 검출을 위해 시험 도포를 행하여야 하며, 이 때문에 시험 도포면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test coating must be performed for position detection, and therefore, a test coating surface needs to be separately provided.
또한, 육안 관찰에 의해 위치를 맞추는 경우, 그 위치는 작업자에 따라 편차가 있으며, 정밀도에도 한계가 있다. 또한, 이 작업은 번잡하여 시간이 걸린다.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is adjusted by visual observation, the position varies depending on the operator, and the precision is limited. This task is also cumbersome and time consuming.
이에, 본 발명은, 카메라나 센서 등의 특별한 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기계적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한 노즐 위치 보정 기구 및 그것을 구비하는 도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zzle position correction mechanism capable of mechanically adjusting the position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a co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without requiring a special device such as a camera or a sensor.
제1 발명은,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노즐과 테이블 상에 탑재된 공작물을 구동 기구에 의해 상대 이동시켜 공작물의 면에 액체 재료를 도포할 때, 상기 노즐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노즐 위치 보정 기구로서, 상기 구동 기구에 대한 상기 노즐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와, 상기 노즐이 삽입되는 노즐 삽통공(揷通孔), 및 상기 노즐 삽통공에 삽통된 노즐의 선단 부분과 맞닿는 당접면(當接面)을 가지는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 위치 보정 기구이다.1st invention is a nozzle position correction mechanism for correct | amending the position of the nozzle, when apply | coating a liquid material to the surface of a workpiece | work by relatively moving a nozzle which discharges a liquid material, and the workpiece mounted on the table by a drive mechanism. And an abutting surface in contact with an adjus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nozzle with respect to the drive mechanism, a nozzle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nozzle is inserted, and a tip portion of the nozzle inserted into the nozzle insertion hole. It is a nozzle position correction mechanism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positioning member which has a surface.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당접면을 형성하는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노즐 삽통공이, 상기 위치 결정 부재의 일면과 상기 공간을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nd invention WHEREIN: In the 1st invention, the said positioning member includes the space which forms the said contact surface inside, and the said nozzle insertion hole is formed so that the one surface of the said positioning member may communicate with the said space. It is characterized by.
제3 발명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노즐 삽통공을 가지는 제1 부재와, 상기 당접면을 형성하는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접합되는 제2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3rd invention WHEREIN: In 1st invention, the said positioning member includes the 1st member which has the said nozzle insertion hole, and the 2nd member joined with the said 1st member including the space which forms the said contact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4 발명은, 제2 또는 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간이, 상기 당접면을 외부에서 시인(視認)할 수 있는 창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4th invention, in the 2nd or 3rd invention, the said space comprises the window which can visually recognize the said contact surface from the outsid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5 발명은,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는, 상이한 내경(內徑)의 노즐 삽통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5th invention, in any one of 1st-4th invention, the said positioning member is provided with two or more nozzle insertion holes of different inner diameters,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6 발명은,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즐 삽통공의 노즐 진입 측의 단부(端部)가,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6th invention, in the invention of any one of 1st-6th, the edge part of the nozzle entrance side of the said nozzle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aper shape.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7 발명은,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eventh invention, in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inventions, the positioning member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제8 발명은,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따른 노즐 위치 보정 기구와,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노즐을 가지는 토출 장치와, 액체 재료가 도포되는 공작물을 탑재하는 테이블과, 노즐과 공작물을 상대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와, 제어부를 구비하는 도포 장치이다.The eighth invention provides a nozzle position corr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seventh inventions, a discharge device having a nozzle for discharging a liquid material, a table on which a workpiece on which a liquid material is applied, a nozzle, and a work piece are mounted. It is a coating device provided with the drive mechanism and the control part which make it move relatively.
제9 발명은, 제8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위치 결정 부재의 위치를 상기 구동 기구의 기준 위치에 대한 상대 위치로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8th invention, in the 8th invention, the said control part grasps the position of a positioning member as a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said drive mechanism.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나 센서 등의 특별한 기기를 이용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므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작업자에 의한 작업 정밀도의 편차가 없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ing is mechanically performed without using a special device such as a camera or a sensor,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and there is no variation in work accuracy by the operator.
또한, 복잡한 연산 처리나 제어를 하지 않아 단시간에 노즐 위치 조정을 할 수 있어, 도포 작업 개시 위치 등의 설정 수정도 불필요하다.In addition, nozzle position adjustment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without complicated calculation processing or control, and setting correction of a coating operation start position etc. is also unnecessar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기구의 3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보정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보정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도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위치 결정 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on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position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hree side view of the adjustmen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first correc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second correction step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oning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형태를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one form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위치 결정 부재]Position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부재(10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를 도 1에, 정면도를 도 2에 각각 나타낸다. 도 1 및 2의 구성예에서는, 위치 결정 부재(101)는, 끼워맞춤 부재(102)와 당접 부재(103)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된다. 끼워맞춤 부재(102)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하고 있으며, 토출 장치(705)가 가지는 노즐(707)의 선단 부분이 삽입되는 구멍(104)이 상면으로부터 하면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ed the
구멍(104)은, 노즐(707)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노즐(707)의 어긋남을 수정할 만큼 충분한 깊이(예를 들면, 노즐의 길이의 1/3∼1/2)를 가지고 있다.The
구멍(104)은, 노즐 진입측의 둘레부에 테이퍼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즉, 구멍(104)의 입구 부분은 원뿔대(circular truncated cone)형이며, 원뿔대의 선단으로부터 출구 부분에 걸쳐서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테이퍼부(105)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조정 기구(301)에 의해 노즐(707)의 선단 부분을 구멍(104)에 끼워맞출 때, 노즐(707)을 보다 삽입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끼워맞춤 부재(102)는, 열적(熱的) 성질(특히 팽창이나 수축)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료(예를 들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첫째, 열에 의한 팽창이나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열에 기인한 노즐 위치 보정의 오차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며, 둘째,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하면, 노즐(707)을 구멍(104)에 삽입했을 때 노즐(707)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위치 결정 부재(101)의 일부분만[예를 들면, 끼워맞춤 부재(102)만]을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해도 된다.As for the
그리고, 구멍(104)의 형상은 노즐(707)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면 되고, 원통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And the shape of the
당접 부재(103)는, 중앙에 오목부(108)를 가지는 오목형상을 하고 있으며, 이 오목부(108)의 바닥면이, 노즐(707) 선단 부분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면과 접촉하는 당접면(106)을 구성한다. 당접 부재(103)와 끼워맞춤 부재(102)와의 사이에 간극을 두고 당접면(106)을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조정 기구(301)에 의해 노즐(707)을 끼워맞추어서 노즐의 선단을 당접면에 부딪히게 할 때, 육안 관찰에 의해서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창의 역할). 도 1 및 도 2의 구성예에서는, 전술한 2개의 부재(102, 103)가, 나사(107) 등의 체결 부재로 고정되어 위치 결정 부재(101)를 구성한다. 끼워맞춤 부재(102)와 당접 부재(103)가 별도의 부재로 구성됨으로써, 구멍(104)의 내측이나 외측의 둘레부 등에 액체 재료가 부착된 경우나, 노즐(707)의 직경을 변경할 경우 등에, 위치 결정 부재(101) 전체를 떼어내지 않아도 끼워맞춤 부재(102)만 떼어내어 청소하거나 다른 부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The
무엇보다, 전술한 2개의 부분(102, 103)은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고, 노즐(707)이 끼워맞추어지는 구멍(104)이나 노즐 선단이 맞닿는 당접면(106)을 1개의 부재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오목부(108)는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므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First of all, the two
위치 결정 부재(101)는, 구동 기구(702, 703, 704)의 기준 위치(예를 들면, 원점 등)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해진 위치(기준 위치로부터 지정된 좌표에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위치 결정 부재(101)는, 테이블(710) 상의 도포 대상물(708)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지만, 노즐(707)의 가동 범위에 있으면 어디에 설치해도 된다. 위치 결정 부재(101)는 특정 위치에 고정 배치되어 있으므로, 위치 결정 부재(101)에 의해 노즐(707)의 위치 조정을 하면, 제어부에 기억된 위치(좌표)에 노즐(707)의 위치를 맞출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위치 조정된 노즐(707)과 공작물 상의 도포 위치와의 관계는 제어부에 기억된 위치(좌표)대로 되므로, 도포 개시 위치의 특정 작업도 불필요하다.The positioning
또한, 위치 결정 부재(101)의 끼워맞춤 부재(102)에, 비교적 깊은(긴) 직선형의 구멍을 공작물의 면에 대하여 수직인 직선과 평행하게 형성함으로써, 노즐(707)의 교체 시의 노즐 중심축의 전술한 수직인 직선으로부터의 어긋남(경사 등)을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노즐(707)의 선단 부분이 당접 부재(103)의 당접면에 부딪치는 위치에 노즐(707)을 조정했을 때, 노즐(707)의 선단 부분의 Z축 방향의 위치(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는 항상 동일하므로, 공작물 상에 도포하기 위해 필요한 클리어런스(clearance)의 설정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노즐(707)의 종류나 제조 오차에 의한 노즐의 선단 부분의 형상 등의 불균일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다.Further, i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 결정 부재(101)를 사용함으로써, 노즐(707)의 도포 위치, 공작물과의 클리어런스의 설정을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변경하지 않고, 간단하게 위치를 맞출 수 있다.Thus, by using the
[조정 기구][Adjustment mechanism]
본 발명에 따른 조정 기구(30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를 도 3에, 그 3면도를 도 4에 각각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a)는 정면도, (b)는 상면도, (c)는 좌측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X, Y, Z축의 각 방향은 도 3의 부호 "302"로 나타내는 좌표 축의 방향으로 한다.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ed the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 기구(301)는, 토출 장치(705)(점선으로 도시)와, Z축 구동 기구(704)(점선으로 도시)에 장착된 접속 부재(303)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정 기구(301)는, X 방향 조정부(304), Y 방향 조정부(305), 및 Z 방향 조정부(306)로 이루어지고, 각 조정부(304, 305, 306)는, 각각 슬라이드 가이드(307, 308, 309) 및 슬라이드 부재(310, 311, 312)로 이루어져 있다. 각 슬라이드 가이드(307, 308, 309)는,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낸 각 방향으로 각 슬라이드 부재(310, 311, 312)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고, 이에 따라, 토출 장치(705)를 X, Y, Z의 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또한, 각 조정부(304, 305, 306)에는, 각 조정부를 임의의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판(313, 314, 315)과 클램프 나사(316, 317, 318)가 장착되어 있다. 클램프판(313)은, 슬라이드 부재와 접속 부재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고, 클램프판(314, 315)은 2개의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판(313, 314, 315)은, 일측이 고정 나사(319)로 고정되고, 타측이 클램프 나사(316, 317, 318)로 고정되어 있다. 클램프판(313, 314, 315)의 클램프 나사(316, 317, 318) 측에는, 이동 방향에 대응한 타원형 구멍(320)이 천공(穿孔)되어 있다. 클램프 나사(316, 317, 318)는 직경이 큰 손잡이 부분과 가는 직경의 나사 부분으로 구성되고, 이 나사 부분은, 그 구멍(320)의 폭에 대하여 근소한 간극을 가지고 삽통되어 있고, 상기 나사 부분의 선단은 슬라이드 부재 또는 접속 부재에 나사로 삽입되어 있다.In addition, each
클램프판(313, 314, 315) 및 클램프 나사(316, 317, 318)의 기능을, Z 방향 조정부(306)를 예로 들어 이하에서 설명한다. Z 클램프 나사(318)를 느슨하게 풀면, Z 클램프 나사(318)의 손잡이 부분과 Y 슬라이드 부재(311)와의 사이에 Z 클램프판(315)을 협지하고 있던 힘이 느슨해져, 고정 나사(319) 측의 Z슬라이드 부재(312)가 이동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Z 클램프 나사(318)를 조이면, Z 클램프판(315)이 Z 클램프 나사(318)의 손잡이 부분과 Y 슬라이드 부재(311)와의 사이에 협지되어 움직임이 제한되어, Z슬라이드 부재(312)는 고정된다. Z 슬라이드 부재(312)는 Z 클램프판(315)에 천공된 타원형 구멍(320)의 길이의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e functions of the
[보정 단계][Calibration Step]
위치 결정 부재(101) 및 조정 기구(301)를 사용한 노즐(707)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부호를 붙이는 경우가 있지만, 부호와 대응하는 도면의 구성에 한정한 단계를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The steps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도 5에 본 발명의 제1 보정 단계의 흐름도를 나타낸다.5 shows a flowchart of the first corre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노즐을 가지는 토출 장치(705)를 도포 장치(701)의 구동 기구(702, 703, 704)에 조정 기구(301)를 통하여 장착한다(STEP11). 여기서, 조정 기구(301)에 의해 노즐(707)을 Z 방향 상측으로 이동시켜 둔다(STEP12). 이는, 그 다음 단계에서 노즐(707)을 이동시켰을 때 노즐(707)의 선단이 위치 결정 부재(101)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미리 설정된 위치 결정 부재(101)의 위치(XYZ 위치 결정 위치)에 구동 기구(702, 703, 704)를 사용하여 노즐(707)을 이동시킨다(STEP13). 그리고, 위치 결정 위치는, 한 번 설정하면 변경시키지 않도록 하고, 노즐(707) 위치의 조정·변경은 조정 기구(301)를 사용하여 행한다(STEP14∼15). 위치 결정 부재(101)의 상측으로 노즐(707)을 이동시키면, 처음에, 노즐(707)의 선단이 끼워맞춤 부재의 구멍(104)의 위치에 맞도록 X 및 Y 방향의 조정부(304, 305)를 사용하여 노즐(707)의 선단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한다. 이 위치맞춤이 완료되면, 클램프 나사(316, 317)를 조여서 X 및 Y 방향 조정부를 고정한다(STEP14). 이어서, Z 방향 조정부(306)를 사용하여 노즐(707)을 끼워맞춤 부재의 구멍(104)에 삽입하고, 노즐(707)의 선단이 당접면(106)에 부딪칠 때까지 하강시킨다. 이 때, 노즐(707)의 선단을 육안 관찰에 의해 확인하면서 행하면 된다. 부딪친 위치에서 클램프 나사(318)를 조여 Z 방향 조정부(306)를 고정한다(STEP15). 노즐(707)을 끼워맞춤 부재의 구멍(104)에서 빼어내어, 도포 작업을 개시한다(STEP16).First, the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다음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계에서 노즐(707)의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position of the
도 6에 본 발명의 제2 보정 단계의 흐름도를 나타낸다.6 shows a flowchart of the second correction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노즐(707)을 가지는 토출 장치(705)를 도포 장치(701)의 구동 기구(702, 703, 704)에 조정 기구(301)를 통하여 장착한다(STEP21). 다음으로, 미리 설정된 XYZ 위치 결정 위치 중 Z 위치를 제외한 X 및 Y 위치에 구동 기구(702, 703)를 사용하여 노즐(707)을 이동시킨다(STEP22). 위치 결정 부재(101)의 상측으로 노즐이 이동하면, 노즐(707)의 선단 위치가 끼워맞춤 부재의 구멍(104)의 위치에 맞도록 X 및 Y 방향의 조정부(304, 305)를 사용하여 노즐(707)의 선단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한다. 이 위치맞춤이 완료되면, 클램프 나사(316, 317)를 조여서 X 및 Y 방향 조정부를 고정한다(STEP23). 이어서, 미리 설정된 XYZ 위치 결정 위치 중 Z 위치에 대한 이동만을 구동 기구(704)를 사용하여 도중까지 행한다(STEP24). STEP24에서 끼워맞춤 부재의 구멍(104)에 도중까지 삽입된 노즐(707)을, Z 방향 조정부(306)를 사용하여 노즐(707)의 선단이 당접면(106)에 부딪칠 때까지 하강시킨다. 이 때, 노즐(707)의 선단을 육안 관찰에 의해 확인하면서 행하면 된다. 부딪친 위치에서 클램프 나사(318)를 조여서 Z 방향 조정부를 고정한다(STEP25). 노즐(707)을 끼워맞춤 부재의 구멍(104)에서 빼어내어, 도포 작업을 개시한다(STEP26).First, the
이상, 2개의 단계를 예시했지만, 위치 결정 부재(101)와 조정 기구(301)를 사용하면, 상기 2개의 단계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단계에 의해서도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wo steps were illustrated, when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세한 것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어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lthough an Example demonstrates the detail of this inven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an Example.
실시예 1Example 1
[도포 장치][Application device]
본 실시예에 따른 도포 장치(70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X 구동 기구(702)와, Y 구동 기구(703)와, Z 구동 기구(704)와, 토출 장치(705)와, 이들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9)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7, the
X 구동 기구(702)에는, Z 구동 기구(704)가 설치되어 있다. Y 구동 기구(703) 상에는, 도포 대상물(708)을 탑재하는 테이블(710)이 설치되어 있다. 토출 장치(705)는, 액체 재료를 저류하는 저류 용기(706)와 그 선단에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노즐(707)을 구비하고 있다. 토출 장치(705)로서 저류 용기(706)와 노즐(707)과의 조합을 나타내었으나, 노즐(707)을 가지고 있는 것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장치라도 된다.The
조정 기구(301)는, Z 구동 기구(704)와 토출 장치(705)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 때, 조정 기구(301), Z축 구동 기구(704) 및 토출 장치(705)를 Y 방향으로 직렬로 장착하지 않고, 토출 장치(705)가 조정 기구(301)의 X 방향의 부위[예를 들면, 슬라이드 부재(312)]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조정 기구(301)에 대한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출 장치(705)를 조정 기구(301)의 X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X축 구동 기구(702)로부터의 거리가 짧아져, 토출 장치(705) 및 조정 기구(301)를 Y 방향으로 직렬로 배치한 경우보다 Z축 구동 기구(704)를 휘게 하는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The
위치 결정 부재(101)는, 테이블(710) 상의 도포 대상물(708)과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결정 부재(101)를 테이블(710) 상에 설치하고 있지만, 반드시 테이블(710) 상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노즐(707)의 가동 범위에 있으면 어디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테이블(710) 상에 설치하는 경우, 당접 부재(103)를 테이블(710)과 일체로 설치하고, 끼워맞춤 부재(102)만 착탈 가능하게 해도 된다. 어떤 설치 방법에 의하더라도, 위치 결정 부재(101)는, 구동 기구(702, 703, 704)의 기준 위치(예를 들면, 원점 등)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해진 위치(기준 위치로부터 지정된 좌표에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교환 등을 행할 때에 장착 위치의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장착면을 양호한 정밀도로 가공할 것,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결정핀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sitioning
도포 작업 시에는, 먼저, 준비된 토출 장치(705)를 도포 장치(701)에 설치한다. 그 후,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노즐(707)의 위치를 조정한다. 그리고, 도포 대상물(708)을 테이블(710) 상에 탑재하고, 고정한다. 다음으로, 노즐(707)의 밑으로 이동하여, 도포가 개시된다. 도포가 종료하면, 테이블(710) 및 토출 장치(705)는 각 구동 기구(702, 703, 704)에 의해 대기 위치로 이동하여, 하나의 도포 대상물(708)에 대한 도포 작업은 종료된다. 복수개의 도포 대상물(708)에 대하여 도포 작업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이미 도포된 도포 대상물(708)을 미도포의 도포 대상물(708)과 교환하여 전술한 작업을 반복한다. 또한, 액체 재료를 보충하거나, 노즐(707)을 교환하거나 하는 작업을 행하기 위해 토출 장치(705)를 분리하고, 장착하였을 때에는, 전술한 노즐 위치 조정을 행하고, 전술한 작업을 재개한다.At the time of application | coating operation, the
실시예 2Example 2
[위치 결정 부재에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구성예][Configuratio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positioning member]
실시예 1에서는, 위치 결정 부재(101)의 노즐이 끼워 맞추어지는 구멍(104)이 하나였지만, 사용이 상정(想定)되는 복수 종류의 노즐 직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내경이 상이한 복수개의 구멍(805∼809)을 형성해도 된다. 도 8에 그 구성예를 나타낸다.In Example 1, although there was only one
도 8에 나타낸 위치 결정 부재(801)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끼워맞춤 부재(802)와 당접 부재(803)의 2개의 부재로 구성된다. 끼워맞춤 부재(802)에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노즐이 끼워 맞추어지는 구멍(805)을 중앙에 형성한다. 그리고, 그 우측에는 중앙의 구멍(805)보다 큰 직경의 구멍(806, 807)을 형성하고, 좌측에는 중앙의 구멍(805)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808, 809)을 형성한다. 각각의 구멍(805∼809)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테이퍼부(810)가 구멍의 직경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미리 복수 종류의 구멍(805∼809)을 형성해 둠으로써, 액체 재료의 변경이나 원하는 도포의 양의 변경에도 위치 결정 부재(801)를 교환하지 않고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는 노즐 직경이 사전에 정해져 있으면, 그 노즐이 끼워지는 구멍을 형성하면 된다. 당접 부재(803)에 형성되는 당접면(804)은, 구멍(805∼809)의 수에 대응하여 형성한다.The positioning
[산업상 이용 가능성][Industry availability]
본 발명은, 액체 재료를 노즐로부터 토출하는 각종 장치에 있어서 실시 가능하다.This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various apparatus which discharges a liquid material from a nozzle.
실시예로서 예로 든, 선단에 노즐을 가지는 저류 용기 내의 액체 재료에 조압(調壓)된 에어를 원하는 시간만큼 인가하는 에어식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플랫 튜빙(flat tubing) 기구 또는 로터리 튜빙 기구를 가지는 튜빙식, 선단에 노즐을 가지는 저류 용기의 내면에 밀착 슬라이드 이동하는 플런저를 원하는 양만큼 이동하여 토출하는 플런저식,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스크류식, 원하는 압력이 인가된 액체 재료를 밸브의 개폐에 의해 토출 제어하는 밸브식, 밸브 시트에 밸브체를 충돌시켜 액체 재료를 노즐 선단으로부터 비상(飛翔) 토출시키는 제트식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not only the air type that applies the compressed air to the liquid material in the storage container having a nozzle at the tip for a desired time, but also, for example, a flat tubing mechanism or a rotary tubing mechanism. A tubing type having a plunger type, a plunger type sliding a plunger to move and discharge the plunger to a desired amount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a storage container having a nozzle at the tip, a screw type for discharging a liquid material by rotation of a screw, and a liquid to which a desired pressure is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valve type for controlling the material to be discharg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and a jet type device for impinging the valve body on the valve seat to discharge the liquid material from the nozzle tip.
101: 위치 결정 부재 102: 끼워맞춤 부재(제1 부재)
103: 당접 부재(제2 부재) 104: 구멍(노즐 삽통공)
105: 테이퍼부 106: 당접면
107: 나사 108: 오목부(공간)
301: 조정 기구 302: 좌표축
303: 접속 부재 304: X 방향 조정부
305: Y 방향 조정부 306: Z 방향 조정부
307: X 슬라이드 가이드 308: Y 슬라이드 가이드
309: Z 슬라이드 가이드 310: X 슬라이드 부재
311: Y 슬라이드 부재 312: Z 슬라이드 부재
313: X 클램프판 314: Y 클램프판
315: Z 클램프판 316: X 클램프 나사
317: Y 클램프 나사 318: Z 클램프 나사
319: 고정 나사 320: 타원형 구멍
701: 도포 장치 702: X 구동 기구
703: Y 구동 기구 704: Z 구동 기구
705: 토출 장치 706: 저류 용기(시린지)
707: 노즐 708: 도포 대상물
709: 제어부 710: 테이블
801: 위치 결정 부재 802: 끼워맞춤 부재
803: 당접 부재 804: 당접면
805: 중앙의 구멍 806, 807: 큰 직경의 구멍
808, 809: 작은 직경의 구멍 810: 테이퍼부101: positioning member 102: fitting member (first member)
103: contact member (second member) 104: hole (nozzle insertion hole)
105: taper portion 106: contact surface
107: screw 108: recess (space)
301: adjustment mechanism 302: coordinate axis
303: connection member 304: X direction adjusting portion
305: Y direction adjustment unit 306: Z direction adjustment unit
307: X Slide Guide 308: Y Slide Guide
309: Z slide guide 310: X slide member
311: Y slide member 312: Z slide member
313: X clamp plate 314: Y clamp plate
315: Z clamp plate 316: X clamp screw
317: Y clamp screw 318: Z clamp screw
319: set screw 320: oval hole
701: coating device 702: X drive mechanism
703: Y drive mechanism 704: Z drive mechanism
705: discharge device 706: storage container (syringe)
707: nozzle 708: coating object
709: control unit 710: table
801: positioning member 802: fitting member
803: contact member 804: contact surface
805:
808 and 809: small diameter holes 810: tapered portion
Claims (9)
상기 구동 기구에 대한 상기 노즐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
상기 노즐이 삽입되는 노즐 삽통공(揷通孔); 및
상기 노즐 삽통공에 삽통된 노즐의 선단(先端) 부분과 맞닿는 당접면(當接面)을 가지는 위치 결정 부재
를 포함하는 노즐 위치 보정 기구.A nozzle position correcting mechanism for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nozzle when the liquid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by relatively moving the nozzle mounted on the table and the nozzle for discharging the liquid material. )as,
A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nozzle with respect to the drive mechanism;
A nozzle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nozzle is inserted; And
Positioning member which has a contact surface which contacts the front-end | tip part of the nozzle inserted into the said nozzle insertion hole.
Nozzle position correction mechanism comprising a.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당접면을 형성하는 공간을 내부에 포함하고, 상기 노즐 삽통공은, 상기 위치 결정 부재의 일면과 상기 공간을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노즐 위치 보정 기구.The method of claim 1,
The positioning member includes a space that forms the contact surface therein, and the nozzle insertion hole is formed to communicate one surface of the positioning member with the space.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노즐 삽통공을 가지는 제1 부재와, 상기 당접면을 형성하는 공간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1 부재와 접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노즐 위치 보정 기구.The method of claim 1,
The positioning member includes a first member having the nozzle insertion hole and a second member including a space for forming the contact surface, and a second member joined to the first member.
상기 공간은, 상기 당접면을 외부로부터 시인(視認)할 수 있는 창을 구성하는, 노즐 위치 보정 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said space is a nozzle position correction mechanism which comprises the window which can visually recognize the said contact surface from the exterior.
상기 위치 결정 부재에는, 상이한 내경의 노즐 삽통공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노즐 위치 보정 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nozzle position correction mechanism, wherein a plurality of nozzle insertion holes having different inner diameters are formed in the positioning member.
상기 노즐 삽통공의 노즐 진입 측의 단부(端部)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는, 노즐 위치 보정 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 end position of the nozzle insertion hole of the nozzle insertion hole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the nozzle position correction mechanism.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노즐 위치 보정 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positioning member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노즐을 가지는 토출 장치;
상기 액체 재료가 도포되는 공작물을 탑재하는 테이블;
상기 노즐과 상기 공작물을 상대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 및
제어부
를 포함하는 도포 장치.The nozzle position correction mechanism in any one of Claims 1-7;
A discharge device having a nozzle for discharging a liquid material;
A table for mounting a workpiece to which the liquid material is applied;
A drive mechanism for relatively moving said nozzle and said workpiece; And
Control
Applicator comprising a.
상기 제어부는, 위치 결정 부재의 위치를 상기 구동 기구의 기준 위치에 대한 상대 위치로서 파악하는, 도포 장치.The method of claim 8,
The said control part grasps the position of a positioning member as a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said drive mechanis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199064 | 2008-07-31 | ||
JP2008199064A JP5187895B2 (en) | 2008-07-31 | 2008-07-31 | Nozzle position correction mechanism and co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8718A true KR20110038718A (en) | 2011-04-14 |
KR101630250B1 KR101630250B1 (en) | 2016-06-14 |
Family
ID=4161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04731A Active KR101630250B1 (en) | 2008-07-31 | 2009-07-30 | Nozzle position correcting mechanism and application device with sam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187895B2 (en) |
KR (1) | KR101630250B1 (en) |
CN (1) | CN102159327B (en) |
TW (1) | TWI483781B (en) |
WO (1) | WO2010013475A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4072A (en) * | 2016-02-22 | 2018-10-17 |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 A liquid material dispensing apparatus |
KR20190094102A (en) * | 2018-02-02 | 2019-08-12 |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 Liquid processing apparatus, teaching method of liquid processing apparatus |
WO2025095191A1 (en) * | 2023-11-01 | 2025-05-08 | 주식회사 팡세 | Nozzle calibration system and nozzle calibration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35381B1 (en) * | 2013-09-02 | 2014-07-02 | 株式会社Iec | Functional fluid material applicator |
CN104889032A (en) * | 2014-10-17 | 2015-09-09 | 苏州富强科技有限公司 | Dispensing method |
CN105537039B (en) * | 2016-02-17 | 2017-11-21 | 江苏工程职业技术学院 | A kind of indoor spraying robot |
JP6822864B2 (en) * | 2017-01-31 | 2021-01-27 | アルファーデザイン株式会社 |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programs, |
CN110420790B (en) * | 2019-08-01 | 2021-01-12 | 张家港市宏基精密铝材科技有限公司 | Environment-friendly spraying device for aluminum profile machining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5679A (en) | 1998-06-24 | 2000-01-11 | Shibaura Mechatronics Corp | Coat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
JP2003142816A (en) | 2002-09-17 | 2003-05-16 | Fuji Mach Mfg Co Ltd | Relative position detecting method for respective parts of coating agent coating device, and method and device for coating agent |
CN1218196C (en) * | 2001-12-24 | 2005-09-07 |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 Method for manufacturing millimeter-scale microlens array |
JP2006239570A (en) * | 2005-03-03 | 2006-09-14 | Dainippon Printing Co Ltd | Pattern forming apparatus, positioning apparatus, positioning method, and discharge section |
JP2006314859A (en) * | 2005-05-10 | 2006-11-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Viscous fluid application device |
JP2007260571A (en) * | 2006-03-28 | 2007-10-11 | Toppan Printing Co Ltd | Alignment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6508Y2 (en) * | 1985-07-25 | 1994-02-16 | 新日本無線株式会社 | Adhesive storage container holding device |
JPH09155273A (en) * | 1995-12-04 | 1997-06-17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Treating liquid feeder for rotary substrate treating device |
JPH10144708A (en) * | 1996-11-13 | 1998-05-29 | Sony Corp | Resin sealing device |
CN1073508C (en) * | 1997-11-24 | 2001-10-24 |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 Printer nozzle head film automatic image alignment device |
JP2002283263A (en) * | 2001-03-23 | 2002-10-03 | Honda Motor Co Ltd | Adjustment method of the gap of the work grip |
US7980197B2 (en) * | 2006-11-03 | 2011-07-19 | Illinois Tool Work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viscous material on a substrate |
KR100807824B1 (en) * | 2006-12-13 | 2008-02-27 |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 Paste dispenser |
-
2008
- 2008-07-31 JP JP2008199064A patent/JP5187895B2/en active Active
-
2009
- 2009-07-30 KR KR1020117004731A patent/KR101630250B1/en active Active
- 2009-07-30 CN CN200980137171.6A patent/CN102159327B/en active Active
- 2009-07-30 WO PCT/JP2009/003610 patent/WO201001347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7-31 TW TW098125811A patent/TWI483781B/en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05679A (en) | 1998-06-24 | 2000-01-11 | Shibaura Mechatronics Corp | Coat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
CN1218196C (en) * | 2001-12-24 | 2005-09-07 |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 Method for manufacturing millimeter-scale microlens array |
JP2003142816A (en) | 2002-09-17 | 2003-05-16 | Fuji Mach Mfg Co Ltd | Relative position detecting method for respective parts of coating agent coating device, and method and device for coating agent |
JP2006239570A (en) * | 2005-03-03 | 2006-09-14 | Dainippon Printing Co Ltd | Pattern forming apparatus, positioning apparatus, positioning method, and discharge section |
JP2006314859A (en) * | 2005-05-10 | 2006-11-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Viscous fluid application device |
JP2007260571A (en) * | 2006-03-28 | 2007-10-11 | Toppan Printing Co Ltd | Alignment devic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4072A (en) * | 2016-02-22 | 2018-10-17 |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 A liquid material dispensing apparatus |
KR20190094102A (en) * | 2018-02-02 | 2019-08-12 |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 Liquid processing apparatus, teaching method of liquid processing apparatus |
WO2025095191A1 (en) * | 2023-11-01 | 2025-05-08 | 주식회사 팡세 | Nozzle calibration system and nozzle calibra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159327A (en) | 2011-08-17 |
HK1155687A1 (en) | 2012-05-25 |
JP2010036070A (en) | 2010-02-18 |
KR101630250B1 (en) | 2016-06-14 |
CN102159327B (en) | 2014-04-16 |
WO2010013475A1 (en) | 2010-02-04 |
TW201012549A (en) | 2010-04-01 |
TWI483781B (en) | 2015-05-11 |
JP5187895B2 (en) | 2013-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38718A (en) | Nozzle position correction mechanism and coat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 |
JP6773826B2 (en) | Method of supplying a viscous material on a substrate | |
JP5638768B2 (en) | Nozzle rotation mechanism and co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EP3089573B1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achine | |
EP355796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dispensing units of a dispenser | |
JP6078298B2 (en) | Work device having position correction function and work method | |
TW200845282A (en) | Method of calibrating x-y positioning of positioning tool and device with such positioning tool | |
JP2002239433A (en) | High viscosity fluid coating device | |
KR20120069505A (en) |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 |
JP4973842B2 (en) | Droplet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0925647B1 (en) | Sensing device for position correction of machining tool for machining oil groove on inner surface of cylinder and method for position correction of machining tool using same | |
JP6179706B2 (en) |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 |
CN110918388A (en) | Dispensing device and dispensing method | |
CN110918389B (en) | Dispensing device and dispensing method | |
WO2016009491A1 (en) | Inspection method | |
JP2003039000A (en) | Paste coating machine | |
JP5402774B2 (en) | Paste coating apparatus and paste coating method | |
HK1155687B (en) | Nozzle position correcting mechanism and application device with same | |
WO2010082501A1 (en) | Method of adjusting inkjet head mounting position, and head position control method for inkjet device | |
CN115534519B (en) |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 |
JP3848106B2 (en) | Method for positioning and inspecting processing unit in semiconductor processing apparatus | |
Gümbel et al. | Design of Highly Repeatable and Multi-Functional Grippers for Precision Handling with Articulated Robots | |
CN113953978B (en) | Jet polishing device with micro positioning function | |
US20050075051A1 (en) | Apparatus for pressure based blocking process for lens manufacturing | |
JP2000124699A (en) |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2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7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