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34751A -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751A
KR20110034751A KR1020090092158A KR20090092158A KR20110034751A KR 20110034751 A KR20110034751 A KR 20110034751A KR 1020090092158 A KR1020090092158 A KR 1020090092158A KR 20090092158 A KR20090092158 A KR 20090092158A KR 20110034751 A KR20110034751 A KR 20110034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urine
user
detector
s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덕
Original Assignee
정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덕 filed Critical 정명덕
Priority to KR1020090092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4751A/ko
Publication of KR20110034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72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radio-opaque material or signalling means for residu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저귀에 덧입는 방식등으로 착용하여 기저귀 착용자의 생체 특성에 따라 맞춤형으로 대소변 감지기능을 제공하는 대소변 감지기에 대한 것으로, 고주파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고주파 발진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마련된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되, 고주파 발진기로부터 고주파를 입력받아 사용자의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고주파 발진기가 출력하는 고주파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센서부로부터 피드백되는 고주파 신호를 판독하여 고주파 발진기로부터 출력된 고주파와 비교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이루어져, 기저귀를 착용하는 사용자 개개인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 고주파, 유/무선 방식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EXCREMENTS SENSING APPARATUS OFFERING PERSONALIZED SERVICE}
본 발명은 기저귀에 탈부착가능한 대소변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환자, 장애인, 유아 등과 같이 기저귀를 착용하면서도 자신의 용변을 스스로 처리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하여 대소변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보호자등에게 알려주며, 또한, 기저귀 착용자의 생체 특성에 따라 맞춤형으로 대소변 감지기능을 제공하는 대소변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 환자등과 같이 자신의 용변 상태를 스스로 감지할 수 없거나 용변 처리를 스스로 할 수 없는 사람들은 평상시에는 기저귀를 착용하고, 용변 후에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기저귀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용변을 처리한다. 최근에는 환자 등이 기저귀에 용변을 했을 경우에 대소변 상태를 감지하고 보호자에게 이를 알려 환자가 착용한 기저귀의 교환시기를 인지하도록 해주는 기저귀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41260호는 도 7 과 같은 대변과 소변을 구분해서 감지하여 알려주고 기저귀에 탈부착 가능한 대소변 감지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대소변 감지기는 제1도전선(X6) 및 제2도전선(X7)을 포함하고, 제1도전선과 병렬로 연결된 제2박막저항(R2), 제2박막저항(R2)의 말단에 제2도전선과 인접하게 형성된 제3도전선(X9)으로 이루어지는 대변감지부(X10)를 포함하는 대변감지영역(X4)과, 제1도전선(X6)과 병렬로 연결된 제1박막저항(R1), 제1박막저항(R1)의 말단에 제2도전선(X7)과 인접하게 형성된 제4도전선(X12)으로 이루어진 소변감지부(X13)를 포함하는 소변감지영역(X5)과, 대변감지부(X10)와 소변감지부(X13)를 오픈하며 절연지지부재(X2) 상부에 부착되는 절연부재(X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대소변 감지기는, 환자의 대변에 의해 제2도전선(X7)과 제3도전선(X9)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대변감지부(X10)에 제1도전선(X6), 제2박막저항(R2), 제3도전선(X9), 및 제2도전선(X7)이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여 전류가 흐르게 하고, 마찬가지로 환자의 소변에 의해 소변감지부(X7)에 제1도전선(X6), 제1박막저항(R1), 제4도전선(X12), 및 제2도전선(X7)이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여 전기가 흐르게 함으로써 대소변을 감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대소변 감지기는 대소변에 존재하는 수분을 이용하여 전기적 폐루프를 형성하여 대소변을 감지하는 것이므로, 기저귀를 착 용하고 있는 환자등이 땀을 흘려 수분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를 소변으로 오인하여 오작동할 가능성이 있고, 기저귀를 착용하는 개개인마다 대소변의 양을 포함하여 그 특성이 다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개인별 특이점을 반영할 수 없으므로 대소변감지를 함에 있어서 신뢰도가 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대소변 감지기의 경우에는 대변감지부 및 소변감지부가 환자의 대소변에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없어, 기저귀에 탈부착하여 복수 회 사용가능하다 할지라도 대소변에 노출되는 부분은 쉽게 더러워져서 그 수명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저귀를 착용하는 환자 개개인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고, 착용자의 기본 생체 파형을 고려하여 이를 기준으로 대소변 유무를 감지하는 것이므로 개인별로 정확한 대소변 감지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기저귀 착용자 개개인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대소변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일 예로 기저귀 착용자가 땀이 많은 체질이라고 할지라도 기저귀 착용자의 땀과 소변을 구별하여 오작동없이 대소변만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인체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고 기저귀에 탈부착하거나 덧입히는 방식으로 착용가능하여, 착용자의 용변에 노출되지 않고서도 정확한 대소변 감지를 할 수 있으므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반복 사용할 수 있고, 그 수명을 늘려 비용절감차원에서도 유리한 대소변 감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감지기는, 기저귀 등에 탈부착하여 사용하는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로서, 고주파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고주파 발진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마련된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주파 발진기로부터 고주파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의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고주파 발진기가 출력하는 고주파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피드백되는 고주파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고주파 발진기로부터 출력된 고주파와 비교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소변 감지기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대변 또는 소변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알리는 LED, 경보장치, 및 진동장치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소변 감지기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의 상기 사용자의 대변 또는 소변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소변 감지기는, 상기 센서부에 추가적으로 접속되되, 상기 센서부로 들고나는 고주파를 정류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소변 감지기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피드백되는 고주파를 직류로 변환하는 고주파-직류 변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저귀를 착용하는 환자 개개인의 신체 특성을 고려한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착용자의 기본 생체 파형을 고려하여 이를 기준으로 대소변 유무를 감지하는 것이므로 오작동의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고 기저귀 착용자 개인별로 정확한 대소변 감지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체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고 기저귀에 탈부착하거나 덧입히는 방식으로 착용가능하여, 착용자의 용변에 노출되지 않고서도 정확한 대소변 감지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대소변 감지기는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반복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수명이 길고 비용절감차원에서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대소변을 감지하여 알리는 유/무선 호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기저귀 착용자가 용변을 하면 이를 보호자에게 바로 알려 기저귀 착용자와 보호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대소변 감지기의 전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대소변 감지기를 구성하는 감지부의 블록도이고, 도 3 은 예시적인 생체 고주파 파형의 그래프이고, 도 4 는 용변시 시프트되는 예시적인 생체 고주파 파형의 그래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회로도이고,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대소변 감지기이다. .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대소변 감지기(100)는 크게 시트부(110) 및 감지부(120,130)로 이루어진다.
시트부(110)는 기저귀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기저귀 위에 덧입거나 부착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 의 실시예와 같이 인체의 전면을 감싸는 전면부(111)와 인체의 배면을 감싸는 배면부(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에는 전면부(111)에 소변 감지부(130)가 마련되어 있고, 배면부(112)에 대변 감지부(120)가 마련되어 있는 실시형태가 개시되어 있으나, 소변 감지부(130) 와 대변 감지부(120)의 형태 및 위치가 이러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트부(110)의 재질로는 통풍이 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기성, 투습성을 가지는 다공성 시트가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감지부는 대변감지부(120)와 소변감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변감지부(120)와 소변감지부(130)가 별개의 감지부로 표현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감지부가 대변과 소변을 동시에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대소변 감지기(100)는 고정테이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테이프(140)는 전면부(111)와 배면부(112)를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으로 시트부(110)를 인체에 입히는 방식등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점착력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테이프(140)는 시트부(110) 의 전면부(111)와 배면부(112)에 접착되어 시트부(110)를 인체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고정 테이프와 쌍을 이루는 것으로서, 배면부(112)에 접착된 배면 테이프(150)와 상호접착되어 시트부(110)를 인체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고정테이프(140)와 배면 테이프(150)의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필름이나 테이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대소변 감지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감지부(120,130)를 구성하는 고주파발진기(220)가 고주파를 발생시켜 센서부(210)로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전력공학 분야에서는 상용주파수인 50∼60Hz를 저주파, 그 이상을 고주파라고 하며, 보통의 전기계기에서도 같다. 본 발명에서 고주파의 주파수 범위는 특정 범위로 한정되지 않으며,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의 고주파라면 모두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고주파발진기(220)는 특정 주파수의 파장을 일정하게 계속적으로 발생시킬 수도 있고, 주파수 대역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주파수를 변화시켜가며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주파발진기(220)가 1㎑ 부터 100㎑ 까지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높혀가며 고주파를 발생시키도록 하였다. 고주파 발진기(220)가 출력하는 고주파의 주파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30)의 제어부(232)에 의해 제어되며,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범위 내, 예를 들어 100㎒ 이하의 고주파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의 고주파를 이용할 수 있다.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흘려주는 전류 크기를 낮추는 등으로 인체에의 유해성을 차단할 수 있다.
고주파발진기(220)로부터 출력된 고주파는 센서부(210)로 입력된다. 센서부(210)는 실질적으로 대소변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한 쌍의 극판이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병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평행한 두 개의 극판이 루프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극판은 콘덴서를 구성하며, 콘덴서 용량 C 는 아래의 수학식 1 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9059710690-PAT00001
(여기서, ε 은 유전율, V 는 극판 간 전압, d 는 극판 간 거리임.)
기저귀 착용자가 용변을 하지 않은 상태의 경우에는, 유전율 ε 은 기저귀 착용자 개개인의 유전율에 따라 초기치가 특정되어 초기 콘덴서 용량 C 이 결정되고, 기저귀 착용자가 용변을 한 경우에는 유전율이 변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콘덴서 용량 C 도 변하게 된다.
고주파 발진기(220)로부터 출력된 고주파는 센서부(210)를 거쳐 마이크로프로세서(230)의 처리부(236)로 피드백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30)는 제어부(232)와 처리부(236)를 포함하고, 제어부(232)는 고주파 발진기(220)로부터 출력되는 고주파를 제어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처리부(236)로 피드백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30)의 처리부(236)는 센서부(210)를 거쳐오는 피드백되는 고주파를 판독하는데, 기저귀 착용자가 용변을 하지 않은 상태일 때 판독되는 착용자 개인에 대한 고주파 파형을 초기 고주파 파형으로서 메모리(234)에 저장해 두었 다가, 측정되는 고주파 파형과 초기 고주파 파형을 비교한다.
측정되는 고주파 파형이 초기 고주파 파형에 비해 소정 간격 이상 시프트되어 나타나는 경우, 이를 기저귀 착용자의 용변 상태로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은 소정 기저귀 착용자의 예시적인 초기 생체 고주파 파형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시된 그래프는 고주파 발진기를 이용하여 1㎑ 의 고주파부터 시작하여 100㎑ 의 고주파까지 그 주파수를 점차 증가시키면서 발생시켰을 때, 나타나는 예시적인 생체 고주파 파형이다. 동일한 고주파를 발생시킨다 할지라도 개개인마다 다른 고주파 특성을 보이며, 전류 크기에 있어서 피크치를 나타내는 주파수 대역이 각각 다르다. 도 3 에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10㎑, 50㎑, 및 90㎑ 에서 피크치를 가지는 사람의 고주파 파형이 도시되어 있으나, 피크치를 가지는 주파수 대역은 개개인마다 다르며, 피크치의 개수 또한 도 3 과 같이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피크치를 가질 수도 있다.
기저귀를 착용한 사람이 용변을 하게 되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유전율이 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류 피크치가 검출되는 주파수도 변한다. 즉, 기저귀 착용자의 용변으로 인해 피크치가 검출되는 주파수가 소정 대역만큼 시프트된다. 도 4 는 용변시 시프트되는 예시적인 생체 고주파 파형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점선은 기저귀 착용자가 용변을 하지 않은 상태의 고주파 파형(도 3 의 파형)이고, 실선은 기저귀 착용자가 용변을 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예시적인 고 주파 파형이다. 도 4 에서는 사용자의 용변에 의해 피크치가 검출되는 주파수가 오른쪽으로 약 20㎑ 정도 시프트되었으나, 시프트되는 주파수 대역은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일반적으로 피크치가 검출되는 고주파의 시프트되는 정도는 대변 감지시에 비해 소변 감지시에 더 많이 시프트되므로,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하나의 루프 센서로 대소변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 개개인의 초기 생체 고주파 파형을 먼저 측정한 후, 대변시와 소변시에 고주파가 시프트되는 값을 설정하여 측정된 고주파가 설정값에 도달하는 경우 대변과 소변이 발생했음을 각각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두 개의 감지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센서를 대변 감지센서와 소변 감지센서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두 개의 감지부가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는 대변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고, 한 개의 센서만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소변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방식으로 대소변을 구분하여 감지할 수도 있다.
고주파 파형을 통해 사용자가 용변을 한 것으로 인지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30)는 신호를 출력장치로 보내,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출력장치는 사용자가 용변을 하였음을 보호자등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형태라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LED, 바이브레이터, 알람등을 이용하여 시각적, 촉 각적, 청각적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LED 를 출력장치로서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용변을 하지 않은 초기상태에는 녹색 LED 를 구동하고, 소변 감지시에는 황색 LED 를 구동하고, 대변 감지시에는 적색 LED 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LED, 바이브레이터, 알람과 같은 출력장치를 함께 사용하여, LED 로 대소변 감지 신호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면서 동시에 알람 또는/및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경보를 울리거나 진동을 줄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사용자의 대소변 감지 신호는 상기의 예시들과 같이 유선으로 사용자와 보호자에게 인지될 수도 있고, 무선으로 인지될 수도 있다. 무선으로 알림기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대변 또는 소변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부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수신부를 구비하고 있는 보호자등은 대소변 감지 신호를 LED, 바이브레이터, 알람등을 이용하여 시각적, 촉각적,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블록도로서, 도 2 의 실시형태에 더하여 고주파-직류변환장치(540)를 더욱 구비한다. 고주파-직류변환장치(540)는 센서부(210) 출력단과 마이크로프로세서(230) 입력단 사이에 마련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230)로 입력되는 고주파를 직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도 6 과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대소변 감지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대소변 감지기는 도 6 과 같이 신축성 있는 언더웨어의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착용하는 기저귀 위에 덧입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도 7 과 같이 소정 폭을 갖는 끈인, 허리띠(730)와 센서띠(740)를 서로 직교하도록 결합시킨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610, 620, 710, 및 720 은 센서부를 나타내며, 도 7 의 실시형태에서는 허리띠(730)와 센서띠(740)의 일측 또는 양측 말단에 접착수단(740)을 마련하여 탈부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착용자의 기본 생체 파형을 고려하여 이를 기준으로 대소변 유무를 감지하는 것이므로 오작동의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고 기저귀 착용자 개인별로 정확한 대소변 감지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대소변 감지기의 전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대소변 감지기를 구성하는 감지부의 블록도.
도 3 은 예시적인 생체 고주파 파형의 그래프.
도 4 는 용변시 시프트되는 예시적인 생체 고주파 파형의 그래프.
도 5 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회로도.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대소변 감지기.
도 8 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저귀에 탈부착 가능한 대소변 감지기.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20, 130 : 감지부 210 : 센서부
220 : 고주파 발진기 230 : 마이크로프로세서
232 : 제어부 234 : 메모리
236 : 처리부

Claims (5)

  1. 기저귀 등에 탈부착하여 사용하는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로서,
    고주파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고주파 발진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마련된 한 쌍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주파 발진기로부터 고주파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의 대변 또는 소변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고주파 발진기가 출력하는 고주파의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피드백되는 고주파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고주파 발진기로부터 출력된 고주파와 비교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감지기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대변 또는 소변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알리는 LED, 경보장치, 및 진동장치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감지기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의 상기 사용자의 대변 또는 소변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감지기는,
    상기 센서부에 추가적으로 접속되되, 상기 센서부로 들고나는 고주파를 정류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소변 감지기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피드백되는 고주파를 직류로 변환하는 고주파-직류 변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
KR1020090092158A 2009-09-29 2009-09-29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 KR20110034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158A KR20110034751A (ko) 2009-09-29 2009-09-29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158A KR20110034751A (ko) 2009-09-29 2009-09-29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751A true KR20110034751A (ko) 2011-04-06

Family

ID=4404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158A KR20110034751A (ko) 2009-09-29 2009-09-29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475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425B1 (ko) * 2015-03-02 2016-02-23 디트론 주식회사 휴대용 대소변 감지단말기
KR20160077373A (ko) * 2014-12-22 2016-07-04 황도성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
WO2016140471A1 (ko) * 2015-03-02 2016-09-09 디트론 주식회사 휴대용 용변 감지단말기
KR20160126371A (ko)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스마트씨솔루션 용변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변알림 시스템
KR101672460B1 (ko) * 2016-01-29 2016-11-04 디트론 주식회사 휴대용 용변 감지단말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373A (ko) * 2014-12-22 2016-07-04 황도성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
KR101596425B1 (ko) * 2015-03-02 2016-02-23 디트론 주식회사 휴대용 대소변 감지단말기
WO2016140471A1 (ko) * 2015-03-02 2016-09-09 디트론 주식회사 휴대용 용변 감지단말기
CN107580485A (zh) * 2015-03-02 2018-01-12 德川有限公司 便携式大小便检测终端
CN107580485B (zh) * 2015-03-02 2021-07-16 德川有限公司 便携式大小便检测终端
KR20160126371A (ko) 2015-04-23 2016-11-02 주식회사 스마트씨솔루션 용변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용변알림 시스템
KR101672460B1 (ko) * 2016-01-29 2016-11-04 디트론 주식회사 휴대용 용변 감지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864B1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기저귀용 용변 검출장치
US6097297A (en) Wetness awareness training device
US8106781B2 (en) Device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human being
US20220226166A1 (en) Sensor for urine and stool detection
US20120197224A1 (en) Garment with moisture triggered alarm
KR101705278B1 (ko) 사물 인터넷 기반 스마트 기저귀 관리시스템
JP2011501990A (ja) 無呼吸検出器及びシステム
KR20110034751A (ko) 사용자 맞춤형 대소변 감지기
KR101778637B1 (ko) 의복에 구성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아 상태 알림 시스템
KR20090081886A (ko)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한 기저귀용 용변 검출 장치
KR100790000B1 (ko) 다목적 지능형 매트 시스템
KR101682478B1 (ko) 스마트 기저귀 관리 시스템
KR101721084B1 (ko) 차폐 구조를 갖는 비접촉식 기저귀용 배변 감지 장치
AU2014220919A1 (en) Device for detecting an unhealthy situation of a person lying down, in particular anti-snoring device
JP6764423B2 (ja) 携帯型排泄物感知端末機
CN210144921U (zh) 一种用于检测设备的谐振频率的床垫罩及检测水分的系统
KR200374034Y1 (ko) 분뇨 자동 감지 장치
KR200480021Y1 (ko) 기저귀
CN106297208A (zh) 一种尿不湿状态检测装置和检测方法
JPH09220259A (ja) おむつ濡れ報知装置と濡れ検知センサ
KR101908270B1 (ko) 스마트 기저귀
JP6872092B2 (ja) パウチの内部圧力を検出する方法及びセンサー、並びにパウチ及び警報装置
KR20070109961A (ko) 다목적 지능형 매트 시스템
KR100762993B1 (ko) 무선 간호 시스템
KR20100131070A (ko) 일정 간격으로 체온을 자동 측정하여 무선으로 측정값을 보내고 받는 방법과 체온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5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