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317A -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multiple frequency bands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multiple frequency ban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4317A KR20110034317A KR1020090091806A KR20090091806A KR20110034317A KR 20110034317 A KR20110034317 A KR 20110034317A KR 1020090091806 A KR1020090091806 A KR 1020090091806A KR 20090091806 A KR20090091806 A KR 20090091806A KR 20110034317 A KR20110034317 A KR 201100343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equency band
- mode
- data
- control information
-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막히거나 바뀐 빔 방향을 찾는데 필요한 정보 및 기타 원활한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장치, 단말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빔 트랙킹 정보, 빔 서칭 정보 등을 포함하며, 높은 신뢰도를 요구하는 정보이므로, 채널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 정보가 전송 될 수 있도록 한다.Disclosed are a communication apparatus, a terminal apparatus, and a communic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finding a blocked or changed beam direction and other information necessary for smooth data communication. Here, the control information includes beam tracking information, beam search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is information requiring high reliability, so that the control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by detecting a channel state.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하여 전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technique of performing beamforming on data or control information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최근, 영상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의 용량이 커지고 있으며, 또한, 고해상도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고해상도를 갖는 비압축 고선명 디지털 영상(Uncompressed HD video)을 실시간 또는 수초 내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수G~수십Gbps의 전송 속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비압축 고선명 디지털 영상(Uncompressed HD video)을 고속으로 전송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video technology, the capacity of data to be transmitted is increasing, and the demand of users to receive high resolution video in real time is increasing. In particular, in order to transmit uncompressed high definition digital video (Uncompressed HD video) having high resolution in real time or within a few seconds, a transmission speed of several G to several tens of Gbps is required. To this end,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o transmit uncompressed high definition digital video at high speed.
이때, 60GHz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고주파의 직진성, 거리손실, 및 O2(산소 분자)로 흡수되는 특성으로 인해 Air에서의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속 전송을 요구하는 정보는 고속으로 전송하고, 고 신뢰도를 요구하는 정보 는 자유공간에서의 손실(Free Space Loss)을 최소화하여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In this case, when data is transmitted at 60 GHz, data loss in air occurs due to the high frequency straightness, the distance loss, and the characteristics absorbed by O 2 (oxygen molecule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requiring high speed at a high speed, and information requiring high reliability with minimum free space loss.
빔포밍을 위한 통신 방법은,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통신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통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를 위한 주파수 대역 및 제어 정보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단계, 및 데이터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method for beamforming may include determining a communication mode for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based on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allocate a frequency band for data and a frequency band for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ode.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frequency band for data, and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 frequency band for control information.
여기서, 제1 주파수 대역은, 60GHz 및 그 이상의 고주파 대역이고, 제2 주파수 대역은, 2.4GHz, 또는 5GHz 등 60GHz 미만의 저주파 대역일 수 있다.The first frequency band may be a high frequency band of 60 GHz or more,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may be a low frequency band of less than 60 GHz, such as 2.4 GHz or 5 GHz.
그리고, 통신모드는, 고주파 모드, 저주파 모드, 및 혼용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주파 모드는, 데이터를 고주파 대역으로 수신, 제어 정보를 고주파 대역으로 전송하고, 저주파 모드는, 데이터를 저주파 대역으로 수신, 제어 정보를 저주파 대역으로 전송하고, 혼용 모드는, 데이터를 고주파 대역으로 수신, 제어 정보를 저주파 대역으로 전송하는 모드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high frequency mode, a low frequency mode, and a mixed mode. At this time, the high frequency mode receives the data in the high frequency band and transmits the control information in the high frequency band, the low frequency mode receives the data in the low frequency band and transmits the control information in the low frequency band, and the mixed mode transmits the data in the high frequency band. This mode may be a mode for transmitting reception and control information in a low frequency band.
또한, 결정하는 단계는, 결정된 통신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된 통신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ing may include changing the determined communication mode based on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allocated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ommunication mode.
빔포밍을 위한 통신 장치는,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통신 모드를 결정하는 결정부, 통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를 위한 주파수 대역 및 제어 정보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제어부, 및 데이터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 정보를 위한 주파수 대역 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beamforming may include a determiner configured to determine a communication mode for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second frequency band based on channel state information, a frequency band for data and a frequency band for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mode. And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through a frequency band for data and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 frequency band for control information.
빔포밍을 위한 통신 장치는,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참조신호를 기초로 결정된 통신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전송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결정된 통신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결정된 통신 모드는, 참조 신호 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통신 모드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beamforming includes: transmitting a reference signal,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a frequency band allocated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ode determined based on the reference signal, and a frequency band alloca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ommunication mode Transmitting data through the. Here, the determined communication mode may be a communication mode for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based on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obtained using the reference signal or data.
단말 장치와 통신 장치 사이의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함으로써, 데이터의 고속 전송 및 제어 정보의 전송에 따른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By allocating a frequency band for transmitt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nnel state between the terminal device and the communication device, it is possible to improve reliability due to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and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또한, 제어 정보를 빔포밍하지 않고 저주파 대역으로 전송함으로써 제어 정보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loss of control information can be reduced by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low frequency band without beamforming.
또한,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저주파 대역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함에 따라 전송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power efficiency may be improved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r control information in a low frequency band in consideration of channel conditions.
최근, 고해상도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이 많은 연구를 기반으로 증가하고 있다. 고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대역폭이 넓어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보낼 수 있는 60GHz이상의 고주파 전송이 이용 될 수 있다. Recently, a user's interest in a service for transmitting high resolution data at high speed has increased based on many studies. In order to transmit data at high speed, a high frequency transmission of 60 GHz or more may be used to transmit a large amount of data quickly due to a wide bandwidth.
도 1은 고주파 대역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llustrates a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beamforming in a high frequency band.
빔포밍은 전송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빔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20)는 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통신 장치(10)로 빔을 형성한다. 이때, 통신 장치 역시 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장치로 빔을 형성할 수 있다.Beamforming is a technique of forming a beam in a direction to be transmitted. That is, referring to FIG. 1, the
1. 601. 60 GHzGHz 빔포밍Beamforming 기술 Technology
빔포밍을 위해 방향성 안테나(directional antenna)가 이용되는데, 방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전력 손실의 보완이 가능하므로 자유공간 손실로 인해 전파 도달 거리의 감소를 줄일 수 있다. 특히, 통신 장치 또는 단말 장치에 다수의 안테나가 구비된 경우,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 기술을 사용하여 빔을 형성하면, 빔 방향을 적응적으로 바꾸어 줄 수 있다. 이때, 안테나 개수가 증가할수록 전파 도달 거리가 길어지고, 안테나 개수가 증가하게 되면, 빔형성이 샤프해져서 전송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전력 이득을 높일 수 있다.A directional antenna is used for beamforming. When information is transmitted using the directional antenna, power loss can be compensated for, thereby reducing a reduction in propagation distance due to free space loss.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antennas are provided in a communication device or a terminal device, the beam direction can be adaptively changed by forming a beam using an antenna array technology. In this case, as the number of antennas increases, a radio wave reaching distance increases, and when the number of antennas increases, beamforming becomes sharp, thereby increasing power gain in a direction to be transmitted.
이러한 이유에서, 60GHz 주파수 대역에서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게 되면, 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빔을 형성하여 정보를 전송하므로 다른 방향으로 정보가 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For this reason, when the beamforming technique is used in the 60 GHz frequency band,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forming a beam in a direction in which information is to be transmitted, thereby preventing information from being transmitted in another direction.
2. 빔 2. Beam 서칭Search (( BeamBeam -- SearchingSearching ) 기술) Technology
통신 장치와 단말 장치 간에 빔포밍 기술을 사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 통신 장치와 단말 장치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하거나, 통신 장치 및 단말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이동하거나, 혹은 통신 장치 및 단말 장치 중 어느 하나의 각도 변 경으로 인해 빔 경로가 막히거나 바뀌는 빔 블로킹(Beam Blocking) 상황이 발생한다. When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by using a beamforming technique, an obstacle exists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either one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moves, or any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One angle change results in a beam blocking situation in which the beam path is blocked or changed.
빔 블로킹이 발생하게 되면, 통신 장치 및 단말 장치 간에 송수신 되는 정보가 끊기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즉, 정보가 고용량의 비디오 영상인 경우, 빔 블로킹으로 인해 실시간으로 영상을 수신하는 도중에 심각한 화질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듯, 통신 장치와 단말 장치 간의 통신 도중에 정보의 끊김을 감소시키기 위해 바뀌어진 빔 방향을 찾거나, 혹은 빔 방향이 막힌 경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새로운 빔 방향을 찾는 기술이 이용된다.When beam blocking occurs, a situation in which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is interrupted occurs. That is, when the information is a high-capacity video image, serious image distortion occurs during the reception of the image in real time due to beam blocking. As such, a technique is used to find a changed beam direction to reduce interruption of information dur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or to find a new beam direction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when the beam direction is blocked.
빔 서칭(Beam-Searching)은 전송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빔 패턴을 형성하는 초기 단계부터 최적의 빔 방향을 찾는 기술로, 단말 장치 혹은 통신 장치의 약간의 이동으로 인해 빔 방향의 일부가 바뀐 경우에 빔 서칭을 통해 빔 방향을 찾으면 시간 손실이 크다. 이에 따라, 점진적으로 빔 방향이 바뀌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빔의 방향을 찾는 빔 서칭 보다는 바뀐 방향에 대해서 점진적으로 빔 방향을 찾는 빔 트랙킹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Beam-Searching is a technique for finding the optimal beam direction from the initial stage of forming the beam pattern in the direction to be transmitted. When a part of the beam direction is changed due to slight movement of the terminal device or communication device, the beam search is performed. Finding the beam direction through searching has a large time loss. Accordingly, when the beam direction is gradually changed, a beam tracking technique for gradually finding the beam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hanged direction may be used, rather than the beam searching for the beam direction from the beginning.
3. 빔 3. Beam 트랙킹Tracking (( BeamBeam -- TrackingTracking ) 기술) Technology
빔 트랙킹 기술은, 통신 장치와 단말 장치 간의 채널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점차적으로 변화가 발생한 채널 방향을 감지하여 새로운 방향으로 빔을 조절해 가는 기술이다. The beam tracking technology is a technology for monitoring a channel state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and gradually detecting a channel direction in which a change occurs and adjusting a beam in a new direction.
보다 상세하게는, 빔 트랙킹은, 빔 방향이 바뀐 경우, 현재 빔 방향의 주변 빔 방향을 탐색하여 바뀐 빔 방향을 찾는다. 이렇듯, 전체가 아닌 주변 빔 방향을 탐색하여 바뀐 빔 방향을 찾으므로 빔 트랙킹은 짧은 순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 장치 혹은 단말 장치에서 빔 방향이 막히거나 바뀐 경우에도 끊김없이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eam tracking finds the changed beam direction by searching the peripheral beam direction of the current beam direction when the beam direction is changed. In this way, the beam tracking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since the changed beam direction is found by searching the peripheral beam direction instead of the whole. Through this, even when the beam direction is blocked or changed in the communication device or th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out interruption.
또한, 통신 장치와 단말 장치가 모두 다중 안테나를 가지고 있을 때의 빔 트랙킹은 아래와 같다. 이때, 통신 장치와 단말 장치가 모두 다중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빔포밍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여기서, 통신 장치와 단말 장치의 안테나 수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으며, 안테나의 수가 하나인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In addition, beam tracking when both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have multiple antennas is as follows.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both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perform beamforming through the multi-antenna array. Here, the number of antennas of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may be the sam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antennas is one may be considered.
또한, 단말 장치의 빔이 바뀌면, 통신 장치의 빔도 바뀌는 것을 가정한다. 즉, 단말 장치의 빔과 통신 장치의 빔은 상호 페어(pair)로, BeamPair(i)-{Tx-Beam(i), Rx-Beam(i)}로 존재한다. 이때, 서로 다른 단말 장치의 빔에 대해 동일한 통신 장치 빔이 존재할 수 있고, 서로 다른 통신 장치 빔에 대해 동일한 단말 장치 빔이 존재할 수 있다. 정보를 전송할 때, 최적의 성능을 달성하기 위한 빔 조합으로 BeamPair_opt = [Tx-Beam_opt, Rx-Beam_opt]를 사용한다.It is also assumed that when the beam of the terminal device is changed, the beam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s also changed. That is, the beam of the terminal device and the beam of the communication device exist as a pair, BeamPair (i)-{Tx-Beam (i), Rx-Beam (i)}. In this case, the same communication device beam may exist for beams of different terminal devices, and the same terminal device beam may exist for different communication device beams. When transmitting information, BeamPair_opt = [Tx-Beam_opt, Rx-Beam_opt] is used as a beam combination to achieve optimal performance.
또한, 통신 장치와 단말 장치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하여 현재의 빔 조합인 BeamPair_now가 최적이 아닌 경우,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의 송신 빔을 바꾸라고 지시하는 신호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통신 장치 역시 단말 장치에 지시한 송신 빔에 해당하는 수신 빔으로 바꾼다. In addition, when there is an obstacle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and the current beam combination BeamPair_now is not optimal, the communication device transmits a signal to the terminal device indicating to change the transmission beam of the terminal device. The reception beam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beam directed to the device is changed.
이때, 통신 장치와 단말 장치 사이에 장애물이 갑작스럽게 출현한 경우, 통신 장치 및 단말 장치에서 송수신 빔을 빠르게 바꾸어야 하나, 빔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이용되는 제어 정보 역시 장애물이나 단말의 방향 변화로 인해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한다. 이를 위해, 통신 장치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할 때, MCS(Modulation Coding Scheme)를 낮추거나 wider 빔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an obstacle suddenly appears betwee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ams must be changed quickly i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but control information us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beam is also transmitted due to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obstacle or the terminal. This impossible situation occurs. To this end, when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device, a modulation coding scheme (MCS) may be lowered or a wider beam may be used.
그러나, MCS를 낮추거나, wider 빔을 사용하게 되면, 60GHz 주파수 대역의 특성 상 전송 효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통신 장치와 단말 장치가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전송 효율의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제어 정보를 신뢰성 있게 전송할 수 있는 새로운 빔 트랙킹 기술이 요구된다. However, if the MCS is lowered or a wider beam is used, transmission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60 GHz frequency band, and thus it takes a long time for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to transmit and receive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new beam tracking technique that can reliably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while minimizing degradation in transmission efficiency.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통신 장치와 단말 장치 간의 채널 상태에 따라 복수의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고속으로, 그리고, 신뢰성 있게 전송할 수 있는 빔 트랙킹 기술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beam tracking technique capable of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or data at high speed and reliably through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according to a channel state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200)는 송수신부(210), 결정부(23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송수신부(210)는 단말 장치(300)로부터 통신 장치(200)와 단말 장치(300) 사이의 채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를 수신하고, 후술될 제어부(250)에서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높은 신뢰도를 요구하는 정보로서, 새로운 빔을 찾는 데 이용되는 빔 트랙킹 정보, 빔 서칭 정보를 포함한다.The
그리고, 송수신부(210)는, 단말 장치(300)로부터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데이터는 고속 전송을 요구하는 정보로서 단말 장 치(300)에서 통신 장치(200)로 전송된다.The
결정부(230)는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참조신호 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채널 상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채널 상태 정보는, 참조신호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의 세기(Power), SNR(Signal to Noise Ratio), 단말 장치(300) 또는 통신 장치(200)의 이동성(Mobility), 및 통신 장치(200)와 단말 장치(300)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채널 상태 정보가 참조신호의 세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is the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보다 상세하게는, 결정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부(210)를 통해 참조신호의 세기와 기설정된 복수의 기준 범위들(th1, th2)을 비교하여,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한 통신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통신 모드는, 고주파 모드, 저주파 모드, 혼용 모드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3, the
즉, 결정부(230)는 참조신호의 세기가 고주파 기준범위(th1) 이상이면, 현재 통신 모드를 고주파 모드(410)로 결정, 참조신호의 세기가 고주파 기준범위(th1) 미만이고, 저주파 기준범위(th2) 이상이면, 현재 통신 모드를 혼용 모드(430)로 결정, 참조신호의 세기가 고주파 기준범위(th2) 미만이면, 현재 통신 모드를 저주파 모드(450)로 결정한다. That is, the
여기서, 고주파 모드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고주파 대역으로 송수신하는 모드이고, 저주파 모드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저주파 대역으로 송수신하는 모드이고, 혼용 모드는, 데이터는 고주파 대역으로 수신하고, 제어 정보는 저주파 대역으로 전송하는 모드이다. Here, the high frequency mode is a mod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in a high frequency band, the low frequency mode is a mod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in a low frequency band, and in the mixed mode, the data is received in a high frequency band and control information Is a mode for transmitting in the low frequency band.
또한, 결정부(230)는 현재 통신 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기설정된 복수의 기준 범위(th1, th2)들을 비교하여 현재 통신 모드를 유지 할지 또는 변경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In addition, the
보다 상세하게는, 현재 통신 모드가 혼용 모드(430)인 경우를 예로 들면, 결정부(230)는 수신신호의 세기가 고주파 기준 범위(th1) 이상이면, 현재 통신 모드를 혼용 모드(430)에서 고주파 모드(410)로 변경한다. 이때, 결정부(230)는 수신신호의 세기가 고주파 기준 범위(th1) 미만이고, 저주파 기준 범위(th2) 이상이면, 현재 통신 모드를 혼용 모드로 그대로 유지한다.In more detail, for example, when the current communication mode is the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부(230)는 수신신호의 세기와 기설정된 복수의 기준 범위(th1,th2) 들을 비교하여, 도 4와 같이, 현재 통신 모드를 혼용 모드(430)에서 저주파 모드(450)로, 고주파 모드(410)에서 저주파 모드(450)로, 고주파 모드(410)에서 혼용 모드(430)로, 저주파 모드(450)에서 혼용 모드(430)로, 그리고 저주파 모드(450)에서 고주파 모드(410)로 변경 또는 유지할 수 있다.In the same way, the
제어부(250)는 결정부(230)에서 결정된 통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를 위한 주파수 대역 및 제어 정보 위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한다. 그러면, 송수신부(210)는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새로운 빔 방향을 찾기 위한 제어 정보를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 정보는, 단말 장치(300)에서 통신 장치(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현재 통신 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한다.The
또한, 제어부(250)는 결정된 통신 모드가 고주파 모드이면, 제어 정보를 빔포밍한다. 그러면, 송수신부(210)는 빔포밍된 제어 정보를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다. In addition, when the determined communication mode is a high frequency mode, the
이상에서는, 통신 모드가 3개로 기설정되어, 기설정된 복수의 기준 범위(th1, th2)들을 비교하여 현재 통신 모드를 결정 및 변경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통신 모드가 2개로 설정되어, 하나의 기준 범위(th)를 이용하여 현재 통신 모드를 결정 및 변경할 수 있다. In the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ommunication mode is set to three, and the current communication mode is determined and changed by comparing a plurality of preset reference ranges th 1 and th 2 , but the communication mode is set to two and one. The current communication mode may be determined and changed using the reference range th.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모드가 고주파 모드(510)와 혼용 모드(530)를 포함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부(230)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 범위(th)이상이면, 현재 통신 모드를 고주파 모드(510)로, 기준 범위(th) 미만이면, 현재 통신 모드를 혼용 모드(530)로 결정한다. In more detail, when the communication mode includes the
그러면, 제어부(25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된 통신 모드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고, 송수신부(210)는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50)는 결정된 현재 통신 모드가 고주파 모드인 경우, 제어 정보를 빔포밍하여 송수신부(210)를 통해 단말 장치(300)로 전 송한다. Then, the
또한, 결정부(230)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기준 범위를 비교하여, 도 5와 같이, 현재 통신 모드를 고주파 모드(510)에서 혼용 모드(530)로, 혼용 모드(530)에서 고주파 모드(510)로 변경 또는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마찬가지로, 통신 모드가 저주파 모드(610)와 혼용 모드(630)를 포함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부(230)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 범위(th) 미만이면, 현재 통신 모드를 저주파 모드(610)로, 기준 범위(th) 이상이면, 현재 통신 모드를 혼용 모드(630)로 결정한다. 그러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부(250)는 결정된 통신 모드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고, 송수신부(210)는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Similarly, when the communication mode includes the
또한, 결정부(230)는 수신된 신호의 세기와 기준 범위를 비교하여, 도 6과 같이, 현재 통신 모드를 저주파 모드(610)에서 혼용 모드(630)로, 혼용 모드(630)에서 저주파 모드(610)로 변경 또는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7은 통신 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정보들을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 모드가, 고주파 모드, 저주파 모드, 혼용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모드는, 고주파 모드, 저주파 모드, 혼용 모드 중 적어도 2개가 포함되도록 기설정될 수 있다.7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n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an allocated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ode. In FIG. 7,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in which a communication mode includes a high frequency mode, a low frequency mode, and a mixed mode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mode may be preset to include at least two of a high frequency mode, a low frequency mode, and a mixed mode.
먼저, 송수신부(210)는 단말 장치(300)로부터 참조신호를 수신한다(S710). First, the
이어, 결정부(230)는 수신된 참조신호를 이용하여 참조신호의 세기를 획득하 고, 획득된 참조신호의 세기와 기설정된 복수의 기준 범위들을 비교하여 현재 통신 모드를 결정한다(S720). Next, the
즉, 결정부(230)는 참조신호의 세기와 기설정된 복수의 기준 범위들(th1, th2)을 비교하여 현재 통신 모드를 고주파 모드, 저주파 모드, 혼용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That is, the
이때, 고주파 모드는, 데이터를 고주파 대역으로 수신하고, 제어 정보를 고주파 대역으로 전송하는 모드이고, 저주파 모드는, 데이터를 저주파 대역으로 수신하고, 제어 정보를 저주파 대역으로 전송하는 모드이고, 혼용 모드는, 데이터는 고주파 대역으로 수신하고, 제어 정보는 저주파 대역으로 전송하는 모드이다. 여기서, 저주파 대역은 2.4GHz 및 5GHz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고주파 대역은 60GHz 이상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high frequency mode is a mode for receiving data in a high frequency band and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high frequency band, and the low frequency mode is a mode for receiving data in a low frequency band and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in a low frequency band, and a mixed mode. Is a mode in which data is received in a high frequency band and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in a low frequency band. Here, the low frequency band includes at least one of 2.4 GHz and 5 GHz, and the high frequency band includes 60 GHz or more.
그리고, 제어부(250)는 결정된 현재 통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를 위한 주파수 대역 및 제어 정보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한다(S730).The
이어, 제어부(250)는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빔포밍하여 혹은 빔포밍하지 않고 전송한다(S740). 여기서, 제어 정보의 일 예로는 빔 트랙킹 정보, 빔 서칭 정보를 들 수 있다.Subsequently, the
그리고, 결정부(230)는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현재 통신 모드의 유지 또는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S750). The
구체적으로, 결정부(230)는 데이터가 포함된 신호의 세기와 기설정된 복수의 기준 범위들(th1, th2)을 비교하여, 도 4와 같이, 채널 상태가 나빠지면, 현재 통신 모드를 혼용 모드(430)에서 저주파 모드(450)로, 고주파 모드(410)에서 저주파 모드(450)로, 고주파 모드(410)에서 혼용 모드(430)로 변경하고, 채널 상태가 좋아지면, 현재 통신 모드를 저주파 모드(450)에서 혼용 모드(430)로, 저주파 모드(450)에서 고주파 모드(410)로, 혼용 모드에서 고주파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된 신호의 세기가 현재 통신 모드에 해당되면, 결정부(230)는 현재 통신 모드를 그대로 유지한다.Specifically, the
이어, 제어부(250)는 현재 통신 모드가 변경되면, 변경된 통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를 위한 주파수 대역 및 제어 정보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한다(S760). 이때, S750단계에서, 현재 통신 모드가 변경 없이 유지되는 경우, 제어부(250)는 S730단계에서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다. Subsequently, when the current communication mode is changed, the
그리고, 제어부(250)는 변경된 통신 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빔포밍하거나, 빔포밍하지 않고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다(S770). 여기서, 제어 정보는, 단말 장치(300)에서 통신 장치(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변경된 통신 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한다.Th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 장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 모드가, 고주파 모드, 저주파 모드, 혼용 모드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rminal devic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communication mode includes a high frequency mode, a low frequency mode, and a mixed mode will be described.
도 8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300)는 송수신부(31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송수신부(310)는 통신 장치(200)와 단말 장치(300) 사이의 채널 상태를 감지하기 이용되는 참조 신호를 통신 장치(200)로 전송하고, 통신 장치(2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통신 장치(200)에서 결정된 현재 통신 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하고, 제어 정보의 일 예로는 빔 트랙킹 정보, 빔 서칭 정보를 들 수 있다.The
또한, 송수신부(310)는 통신 장치(200)에서 결정된 현재 통신 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를 통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 모드는, 고주파 모드, 저주파 모드, 혼용 모드를 포함한다. 이때, 송수신부(310)는 현재 통신 모드가 고주파 모드 또는 혼용 모드인 경우, 빔포밍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현재 통신 모드가 저주파 모드인 경우, 빔포밍 되거나 혹은 빔포밍 되지 않은 데이터를 통신 자치(20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모드는, 데이터를 고주파 대역으로 전송하고, 제어 정보를 고주파 대역으로 수신하는 모드이고, 저주파 모드는, 데이터를 저주파 대역으로 전송하고, 제어 정보를 저주파 대역으로 수신하는 모드이고, 혼용 모드는, 데이터를 고주파 대역으로 전송하고, 제어 정보를 저주파 대역으로 수신하는 모드이다.More specifically, the high frequency mode is a mode for transmitting data in a high frequency band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high frequency band, and the low frequency mode is a mode for transmitting data in a low frequency band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low frequency band. The mixed mode is a mode for transmitting data in a high frequency band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a low frequency band.
제어부(330)는 송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제어 정보로부터 통신 장치(200)에서 결정 또는 변경된 현재 통신 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나타 내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획득한다.The
제어부(330)는 획득된 주파수 대역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통신 모드가 고주파 모드이면, 데이터를 빔포밍한다. 그러면, 송수신부(310)는 빔포밍된 데이터를 현재 통신 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통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If the current communication mode is a high frequency mode, the
이때, 제어부(330)는 현재 통신 모드가 혼용 모드 이면, 데이터를 빔포밍하고 통신 장치(200)로 전송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다. In this case, when the current communication mode is a mixed mode, the
또한, 제어부(330)는 현재 통신 모드가 저주파 모드 이면, 데이터를 빔포밍하거나 혹은 빔포밍하지 않고 통신 장치(200)로 전송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current communication mode is a low frequency mode,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n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송수신부(310)는 통신 장치(2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S910). 여기서, 제어 정보는, 단말 장치(300)에서 통신 장치(2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결정 또는 변경된 통신 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 정보를 포함한다.First, the
이어, 제어부(330)는 수신된 제어 정보로부터 주파수 대역 정보를 획득한다(S930).Subsequently, the
그리고, 획득된 주파수 대역 정보를 기초로 현재 통신 모드가 고주파 모드이면(S950:YES), 제어부(330)는 데이터를 빔포밍한다(S970). 그러면, 송수신부(310)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기초로 현재 통신 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빔포밍된 데이터를 통신 장치(200)로 전송한다. If the current communication mode is the high frequency mode based on the obtained frequency band information (S950: YES), the
즉, 현재 통신 모드가 고주파 모드 또는 혼용 모드이면, 제어부(330)는 데이터를 빔포밍하고, 빔포밍된 데이터를 고주파 대역으로 전송되도록 송수신부(310)를 제어한다.That is, when the current communication mode is a high frequency mode or a mixed mode, the
이때, 현재 통신 모드가 고주파 모드가 아닌(S950:NO), 저주파 모드이면, 제어부(330)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기초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빔포밍되지 않은 데이터를 통신 장치(200)로 전송한다(S990).At this time, if the current communication mode is not a high frequency mode (S950: NO), if the low frequency mode, the
도 10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모드에 따라 송수신되는 신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10 illustrate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0에 따르면, 현재 통신 모드가 고주파 모드인 경우, 실선 및 점선으로 표시된 신호들은 고주파 대역으로 전송되고, 혼용 모드인 경우, 실선으로 표시된 신호들은 고주파 대역으로, 점선으로 표시된 신호들은 저주파 대역으로 전송되며, 저주파 모드인 경우, 실선 및 점선으로 표시된 신호들은 저주파 대역으로 전송된다. 여기서, 실선 및 점선으로 표시된 신호들은 빔 서칭 또는 빔 트랙킹 수행을 위해 송수신 되는 신호들이고, 특히, 점선으로 표시된 신호들은 높은 신뢰도를 요구하는 제어 정보이다. According to FIG. 10, when the current communication mode is a high frequency mode, signals represented by solid and dotted lines are transmitted in a high frequency band, and in a mixed mode, signals represented by solid lines are transmitted in a high frequency band and signals represented by a dotted line are transmitted in a low frequency band. In the low frequency mode, signals represented by solid and dashed lines are transmitted in the low frequency band. Here, the signals indicated by solid lines and dotted lines are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for beam searching or beam tracking, and in particular, the signals indicated by dotted lines are control information requiring high reliability.
지금까지, 통신 장치(200)와 단말 장치(300) 사이의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드를 결정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드를 결정하고, 데이터의 성질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Up to now,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determining the communication mod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control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nnel state between the
보다 상세하게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통신 장치(200)에서 채널 상태 정보와 기설정된 기준 범위들을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고주파 대역으로 전송할지 또는 저주파 대역으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고주파 대역은 60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저주파 대역은, 2.4GHz, 5GHz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다.In more detail,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제어 정보를 전송할 주파수 대역을 결정한 이후에, 통신 장치(200)에서는 단말 장치(300)에서 전송될 데이터의 성질에 따라 데이터를 고주파 대역으로 전송할지 또는 저주파 대역으로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의 성질은, 고속 전송을 요구하는 데이터인지 혹은 고 신뢰도를 요구하는 데이터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After determining the frequency band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information, the
즉, 데이터가 텍스트를 포함하는 뉴스인 경우, 데이터의 성질은, 고 신뢰도를 요구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데이터가 스포츠와 같이 빠른 재생이 필요한 영상을 포함하는 경우, 데이터의 성질은, 고속 전송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In other words, if the data is news containing text, the property of the data includes information requiring high reliability, and the property of the data is high-speed transmission when the data contains images requiring fast reproduction such as sports. Contains the required data.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장치(200)는 데이터의 성질이 고속 전송을 요구하는 데이터이면, 데이터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고주파 대역으로 할당하고, 데이터의 성질이 고 신뢰도를 요구하는 데이터이면, 데이터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저주파 대역으로 할당한다. More specifically, the
그리고, 통신 장치(200)는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주파수 대역 정보를 제어 정보에 포함시켜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때, 데이터의 성질은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The
이상에서는, 통신 장치(200)에서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제어 정보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고, 데이터의 성질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통신 장치(200)에서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제어 정보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고, 단말 장치(300)에서 데이터의 성질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또한, 단말 장치(300)에서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제어 정보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고, 데이터의 성질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위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통신 모드에서 저주파 대역으로 2.4GHz를 설명하였으나, 2.4GHz 대신 5GHz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2.4GHz has been described as the low frequency band in the communication mode, 5GHz may be used instead of 2.4GHz.
또한, 통신 모드가 3개로 기설정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통신 모드는 4개 이상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준 범위들 또한 3개 이상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e is preset to three has been described,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communication mode may be preset to four or more. Accordingly, the reference ranges may also be preset to three or more.
또한, 이상에서는, 채널 상태 정보와 기준 범위를 비교함에 있어서, '이상' 또는 '미만'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초과' 또는 '이하'를 사용하여 채널 상태 정보와 기준 범위를 비교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rm “ideal” or “less than” was used to compare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with the reference rang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term “over” or “less than”. You can compare the channel status information with the reference range using.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채널 상태의 기준 범위(th)를 고정시킴으로 인해 모드전환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준 범위의 아래 위로 허용 범위(margin)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현재 모드가 고주 파 모드인 경우, 신호의 세기가 기준 신호의 세기의 하위 허용 범위보다 낮을 경우에만 혼용 모드로 변경되고, 현재 모드가 혼용 모드인 경우, 신호의 세기가 기준 신호의 상위 허용 범위보다 높을 경우에만 고주파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 및 도 6에서도 도 5에서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허용 범위(margin)을 두어 기준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5, in order to prevent frequent mode switching due to fixing the reference range th of the communication channel state, a margin may be set above and below the reference range.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current mode is the high frequency mode, the signal is changed to the mixed mode only when the strength of the signal is lower than the lower allowable range of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and when the current mode is the mixed mode, the signal strength is the reference. It can only be changed to the high frequency mode if it is higher than the upper allowable range of the signal. Similarly, in FIG. 3 and FIG. 6, a reference range may be set by allowing margins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5.
또한, 이상에서는, 통신 장치(200) 및 단말 장치(300)의 동작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실시예일 뿐, 단말 장치(300)에서 통신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통신 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 시스템은 통신 장치(200)와 단말 장치(300)간의 통신 이외에 단말 장치(300)들 간의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the operation of the
또한, 통신 장치(200)는 TV, PC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의 일 예로는 셋탑박스(Set-top Box), DVD Player, 게임기, 게임 콘솔, 캠코더, 카메라 등의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장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멀티미디어 장치, 및 DMB 폰, 모바일 폰 등의 휴대장치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다중 주파수 대역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 단말 장치,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은, 60GHz 대역에서 고속 전송에 용이하므로 홈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홈 네트워크 중앙 서버가 통신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중앙 서버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들은 단말 장치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mmunication device, a terminal device, and 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including the same, which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in multiple frequency bands, can be applied to a home network because they are easy to transmit at high speed in the 60 GHz band. In this case, the home network central server may be a communication device, and at least one device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may be a terminal device.
또한, 이상에서는, 고주파 대역 및 저주파 대역으로 설명하였으나, 주파수 대역은 통신 시스템의 설계에 따라서 3개 이상으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고주파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 저주파 대역은 제2 주파수 대역으로 표현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high frequency band and the low frequency band have been described. However, since the frequency band may be divided into three or more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high frequency band may be represented by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low frequency band by the second frequency band.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장치, 단말 장치, 및 그의 간섭 정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apparatus, the terminal apparatus, and the interference align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media may be program instructions that ar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고주파 대역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llustrates a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beamforming in a high frequency ban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은 통신 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3 to 6 are diagrams provided to explain a communica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hrough a frequency band allocated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ode.
도 7은 통신 모드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정보들을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n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an allocated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od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n ope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모드에 따라 송수신되는 신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10 illustrate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m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통신 장치200: communication device
300: 단말 장치300: terminal device
210, 310: 송수신부210, 310: transceiver
230: 결정부230: decision
250, 330: 제어부 250, 330: control unit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1806A KR20110034317A (en) | 2009-09-28 | 2009-09-28 |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multiple frequency ban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1806A KR20110034317A (en) | 2009-09-28 | 2009-09-28 |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multiple frequency band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4317A true KR20110034317A (en) | 2011-04-05 |
Family
ID=4404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1806A Ceased KR20110034317A (en) | 2009-09-28 | 2009-09-28 |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multiple frequency ban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34317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87703A1 (en) * | 2012-06-13 | 2013-12-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in wireless lan system that supports multi-bandwidth |
US20140177543A1 (en) * | 2012-12-21 | 2014-06-26 | Carlos Cordeiro | Techniques for variable channel bandwidth support |
WO2014178648A1 (en) * | 2013-05-01 | 2014-11-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through terminal to for split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KR101525644B1 (en) * | 2011-07-04 | 2015-06-03 | 삼성전기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US10051625B2 (en) | 2012-06-13 | 2018-08-14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in wireless LAN system that supports multi-bandwidth |
WO2020067761A1 (en) * | 2018-09-28 | 2020-04-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ignal and device therefor |
-
2009
- 2009-09-28 KR KR1020090091806A patent/KR20110034317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5644B1 (en) * | 2011-07-04 | 2015-06-03 | 삼성전기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WO2013187703A1 (en) * | 2012-06-13 | 2013-12-19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in wireless lan system that supports multi-bandwidth |
US10051625B2 (en) | 2012-06-13 | 2018-08-14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in wireless LAN system that supports multi-bandwidth |
US10462791B2 (en) | 2012-06-13 | 2019-10-29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in wireless LAN system that supports multi-bandwidth |
US20140177543A1 (en) * | 2012-12-21 | 2014-06-26 | Carlos Cordeiro | Techniques for variable channel bandwidth support |
WO2014099005A1 (en) * | 2012-12-21 | 2014-06-26 | Intel Corporation | Techniques for variable channel bandwidth support |
US9621249B2 (en) | 2012-12-21 | 2017-04-11 | Intel Corporation | Techniques for variable channel bandwidth support |
WO2014178648A1 (en) * | 2013-05-01 | 2014-11-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through terminal to for split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US9831932B2 (en) | 2013-05-01 | 2017-11-28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through terminal to for split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WO2020067761A1 (en) * | 2018-09-28 | 2020-04-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ignal and device therefor |
US11632149B2 (en) | 2018-09-28 | 2023-04-18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ignal and device theref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91361B2 (en) | Arrangements for beam refinement in a wireless network | |
CN104737461B (en) | It is used for the apparatus and method that base station collaboration communicat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8116694B2 (en) | System for facilitating beam training | |
US8359023B2 (en) | Radio communication method, radio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base station controller | |
JP2020523865A (en) | Adaptive antenna configuration | |
KR20110034317A (en) |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multiple frequency bands | |
US866583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data using directional beam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 |
US20210313679A1 (en) | Antenna system, mobile terminal, and antenna system switching method | |
EP3732797B1 (en) | Beam training of a radio transceiver device | |
US20090191877A1 (en) | Method and device for adaptably controlling bandwidth of channel | |
WO2019179305A1 (en) | Signal receiving method and signal receiving apparatus | |
EP3451741B1 (en) | Reroute network traffic from millimeter-wave link to wlan transmission | |
US12074669B2 (en) | Method, base st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massive MIMO communication | |
US20160212685A1 (en) | Cluster set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 |
US20200007219A1 (en) |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virtual sector forming | |
WO2023092361A1 (en) | Terminal and sending device in communication system | |
KR10251935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5G mmWave broadband beamforming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service of Open-Radio Access Network (O-RAN) fronthaul | |
US10911136B2 (en) |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ambient backscatter communication | |
TW202327383A (en) | Method for dynamic frequency selection and communication apparatus | |
US20240275433A1 (en) | Reconfigurable surface device,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 |
CN118160233A (en) | Receiving equipment and transmitting equipment | |
Lv et al. | MBC-SS: A multi-band cooperative sidelink scheme for NR V2X networks | |
CN118202582A (en) | Receiving equipment and transmitting equipment | |
US8456377B2 (en) | Method of disposing multiple antenna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method | |
JP5746349B2 (en) | Data precoding based on transmitted channel condition inform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8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9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10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7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