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33012A - 조작 입력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조작 입력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3012A
KR20110033012A KR1020100074809A KR20100074809A KR20110033012A KR 20110033012 A KR20110033012 A KR 20110033012A KR 1020100074809 A KR1020100074809 A KR 1020100074809A KR 20100074809 A KR20100074809 A KR 20100074809A KR 20110033012 A KR20110033012 A KR 20110033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input device
caulking
operation input
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꾸야 구도오
가즈아끼 미요시
다께시 아리하라
Original Assignee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무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3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3012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H01H19/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큰 외력이 부하되어도 소정의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작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로 인해, 프린트 기판(20)의 상방에서 지지한 조작 다이얼(60)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프린트 기판(20)에 실장한 자기 검출 센서(26, 27)에 의해, 상기 조작 다이얼(60)의 회전 조작에 기초하는 자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조작 입력 장치이다. 특히, 상면 외주연부에 환상 리브(11)를 돌출 설치한 베이스(10)에 상기 프린트 기판(20)을 실장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10)를 피복하는 평면 형상을 갖는 탄성 방수재(40)로 상기 베이스(10)를 피복하는 동시에, 링 형상 고정구(70)의 하면에 돌출 설치한 코킹용 돌기(73, 74)를 상기 탄성 방수재(40)에 설치한 방수용 압입 구멍(47, 48)에 압입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10)에 코킹 고정함으로써, 상기 조작 다이얼(60)을 회전 가능하게 빠짐 방지하였다.

Description

조작 입력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OPERATION INPUT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작 입력 장치, 특히 휴대 전화기, PDA, 텔레비전, 비디오의 전자 기기에 내장되는 조작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작 입력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의 회전 조작자(10)와, 회전 조작자(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스 부재(11)와, 회전 조작자(10)와 대향하여 배치된 회로 기판(12)과, 고정 접점(13) 및 가동 접점(14)으로 이루어지는 접점 접속 구조를 구비하고, 회전 조작자(10)와 회로 기판(12) 사이에 고무상 시트(15)를 구비하고, 고무상 시트(15)에는, 회로 기판(12)에 대해 틸팅 지지부(49)를 통해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 틸팅 압박부(42)를 구비하고, 접점 접속 구조가 회로 기판(12) 상의 틸팅 압박부(42)의 양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고, 회전 조작자(10)를 회전시켜, 틸팅 압박부(42)가 회로 기판(12)에 틸팅 지지부(49)를 통해 지지되어 회전 조작자(10)의 회전 방향측으로 틸팅하고, 틸팅 압박부(42)가 회전 방향측에 배치된 가동 접점(14)을 고정 접점(13)측으로 압박하도록 한 회전식 입력 장치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32118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회전식 입력 장치에서는, 그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식 조그로 회전 동작부와 기판 사이에서 탄성 부재를 끼움 지지하여 방수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로 인해, 원판 형상의 회전 조작자에 큰 외력이 부하된 경우에, 리브(44)와 돌기(43)의 압접력이 저하되어, 방수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큰 외력이 부하되어도 소정의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작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린트 기판의 상방에서 지지한 조작 다이얼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자기 검출 센서에 의해, 상기 조작 다이얼의 회전 조작에 기초하는 자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조작 입력 장치이며, 상면 외주연부에 환상 리브를 돌출 설치한 베이스에 상기 프린트 기판을 실장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를 피복하는 평면 형상을 갖는 탄성 방수재로 상기 베이스를 피복하는 동시에, 링 형상 고정구의 하면에 돌출 설치한 코킹용 돌기를 상기 탄성 방수재에 설치한 방수용 압입 구멍에 압입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에 코킹 고정함으로써, 상기 조작 다이얼을 회전 가능하게 빠짐 방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린트 기판이 베이스의 환상 리브 내에 배치되는 동시에, 탄성 방수재로 피복되므로, 조작 다이얼에 큰 외력이 부하되어도 물이 침입하기 어려워, 원하는 방수성을 갖는 조작 입력 장치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탄성 방수재의 외주연부에 형성한 후육부에, 베이스의 환상 리브에 끼워 맞춤되는 환상 홈부를 형성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탄성 방수재와 베이스와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연면 거리가 길어지므로, 방수성이 한층 더 높은 조작 입력 장치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베이스에 돌출 가공에 의해 설치한 돌출부에 코킹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와 링 형상 고정구로 상기 코킹 구멍의 외주연부를 상하로부터 압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코킹용 돌기의 외주면에 대해 보다 큰 접촉력으로 탄성 방수재가 압접되게 되어, 높은 방수성을 갖는 조작 입력 장치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전자 기기는, 전술한 조작 입력 장치를 하우징의 베이스에 장착하는 한편, 하우징의 커버의 이면과 베이스의 환상 리브로 탄성 방수재의 후육부를 압축하여 보유 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커버와 조작 입력 장치가 탄성 방수재의 후육부를 압축함으로써, 하우징 내로의 물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전자 기기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전자 기기는, 전술한 조작 입력 장치를, 하우징의 커버의 이면에 사전 부착한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의 커버의 이면에 사전 부착하므로, 하우징의 치수 정밀도, 조립 정밀도의 편차에 의한 물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전자 기기가 얻어진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 도 1의 (B), 도 1의 (C)는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측면도 및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
도 2의 (A), 도 2의 (B)는 도 1의 (A), 도 1의 (C)에 도시한 조작 입력 장치의 단면 사시도.
도 3의 (A)는 제1 실시 형태의 평면도, 도 3의 (B), 도 3의 (C)는 도 3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6의 (A)는 도 4에 도시한 탄성 방수재의 평면도, 도 6의 (B), 도 6의 (C)는 도 6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의 (A), 도 8의 (B)는 조립 전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조립 후를 도시하는 다른 위치의 단면도.
도 10의 (A) 및 도 10의 (B), 도 10의 (C)는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도 10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의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
도 13의 (A)는 도 10에 도시한 탄성 방수재의 평면도, 도 13의 (B), 도 13의 (C)는 도 13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의 조립 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의 (A), 도 15의 (B)는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의 (A), 도 16의 (B)는 제3 실시 형태의 조립 후를 도시하는 단면도, 단면 사시도.
도 17의 (A), 도 17의 (B)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베이스의 각각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베이스(10)와, 가요성 프린트 기판(20)과, 하면에 돔 형상 가동 접점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누름 버튼 스위치(31a) 및 4개의 누름 버튼 스위치(31b 내지 31e)를 부착한 수지제 필름 커버(30)와, 탄성 방수재(40)와, 상기 탄성 방수재(40)에 조립 장착되는 조작 링(50)과, 상기 조작 링(50)에 미끄럼 이동 시트(69)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적재되는 조작 다이얼(60)과, 상기 조작 다이얼(60)의 끼워 맞춤 구멍(61) 내에 끼움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10)에 코킹 고정되는 링 형상 고정구(70)와, 상기 링 형상 고정구(70)에 결합 고정되는 누름 버튼(8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베이스(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 박판의 외주연부를 따라 환상 리브(11)를 돌출 설치하는 동시에, 그 중앙에 한 쌍의 코킹 구멍(12, 13)을 형성하는 한편, 그 코너부에 접속 구멍(14)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프린트 기판(20)은, 그 외주연부로부터 접속부(21)를 연장하는 한편, 그 중앙에 중앙 도전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중앙 도전부를 중심으로 하여 동일 원주 상에 균등한 피치로 4개의 도전부(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중앙 도전부 및 상기 도전부는, 환상 고정 접점부와 상기 환상 고정 접점부 내에 배치된 고정 접점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린트 기판(20)은, 상기 중앙 도전부를 사이에 두고 2쌍의 사각형의 관통 구멍(22, 23)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관통 구멍(22, 22)의 외측에 지그 구멍(24, 25)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한편, 나머지 한 쌍의 관통 구멍(23, 23)의 외측에 홀 소자로 이루어지는 자기 검출 센서(26, 27)를 표면 실장하고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20)은,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에 가요성 프린트 기판을 부착 일체화한 것이라도 좋다.
수지제 필름 커버(30)는, 상기 프린트 기판(20)에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갖고, 접착제를 도포한 이면 중, 상기 중앙 도전부 및 상기 도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편평한 돔 형상 반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누름 버튼 스위치(31a) 및 누름 버튼 스위치(31b 내지 31e)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지제 필름 커버(30)는, 상기 프린트 기판(20)의 관통 구멍(22, 23) 및 지그 구멍(24, 25)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32, 33) 및 지그 구멍(34, 35)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지제 필름 커버(30)는 상기 프린트 기판(20)에 조립 장착한 자기 검출 센서(26, 27)를 피복하지 않도록 릴리프부(36)를 설치하고 있다.
탄성 방수재(40)는, 상기 베이스(10)를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갖고, 외주연부에 형성한 후육부(41)로부터 3개의 탄성 아암부(42)를 균등한 피치로 외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상기 후육부(41)는, 그 하면에 상기 베이스(10)의 환상 리브(11)에 끼워 맞춤 가능한 환상 홈부(43)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방수재(40)는, 상기 중앙 도전부 및 상기 도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작용 중앙 돌기(44a) 및 조작용 돌기(44b 내지 44e)를 하방측으로 각각 돌출 설치하고 있는 한편, 상기 자기 센서(26)를 피복할 수 있도록 팽출부(45a, 45b)를 상방측으로 돌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용 중앙 돌기(44a) 및 조작용 돌기(44b 내지 44e)의 바로 위에는 끼워 맞춤용 중앙 오목부(46a) 및 끼워 맞춤용 오목부(46b 내지 46e)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워 맞춤용 중앙 오목부(46a)의 양측에는 방수용 압입 구멍(47, 48)을 형성하고 있다.
조작 링(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방수재(40)가 적재 가능한 외주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링(50)은, 상기 끼워 맞춤용 오목부(46b 내지 46e)와 대응하는 위치에 조작용 돌기(51 내지 54)를 하방측으로 돌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조작 링(50)은, 후술하는 조작 다이얼(60)의 회전 조작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 환상의 미끄럼 이동 시트(69)를 적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 다이얼(6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방수재(40)의 후육부(41) 내에 배치 가능한 동심원 형상이며, 그 중심에 후술하는 링 형상 고정구(70)를 끼워 맞출 수 있는 끼워 맞춤 구멍(6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다이얼(60)은, 상기 끼워 맞춤 구멍(61)의 내측면에 결합용 환상 단차부(62)를 형성하고 있는 동시에, 그 하면 내주연부를 따라 환상 홈부(63, 64)를 동심원 상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환상 홈부(63)의 저면에는 미끄럼 이동 시트(69)가 세트되는 한편, 상기 환상 홈부(64)의 저면에는 양면 접착 테이프(65)를 통해 환상 마그넷(66)이 세트된다. 상기 환상 마그넷(66)은, 예를 들어 N극 및 S극을 교대로 연속적으로 자화(磁化)한 것이며, 외주연부에 위치 결정 돌기(67)가 설치되어 있다.
링 형상 고정구(70)는, 상기 조작 다이얼(60)의 끼워 맞춤 구멍(61)에 끼워 맞춤 가능한 외경 치수를 갖고, 그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한 쌍의 조립용 돌기부(71)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상기 조립용 돌기부(71)에는 핀셋 등의 선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보유 지지 구멍(7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링 형상 고정구(70)는 조립용 돌기부(71)의 하면 기부(基部)에 코킹용 돌기(73, 74)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링 형상 고정구(70)는, 그 하면에 결합 단차부(75)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링 형상 고정구(70)는, 상기 코킹용 돌기(73, 74)를 상기 베이스(10)의 코킹 구멍(12, 13)에 각각 코킹 고정함으로써,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조작 다이얼(60)로 탄성 방수재(40)를 끼움 지지하여, 방수성을 높이고 있다.
누름 버튼(80)은, 상기 링 형상 고정구(70)에 끼워 맞춤 가능한 외주 형상을 갖고, 그 하면 중앙에 조작용 중앙 돌기(81)를 돌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 버튼(80)은, 그 하면 외주연부에 돌출 설치한 탄성 갈고리부(82)를, 상기 링 형상 고정구(70)의 결합 단차부(75)에 결합함으로써 빠짐 방지된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 부품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시하지 않은 지그인 한 쌍의 위치 결정 핀에 상기 프린트 기판(20)의 지그 구멍(24, 25)을 삽입하여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프린트 기판(20)에 자기 검출 센서(26, 27)를 설치하고, 전기 접속한다. 계속해서, 상기 위치 결정 핀에 수지제 필름 커버(30)의 지그 구멍(34, 35)을 삽입하고, 프린트 기판(20)에 부착 일체화함으로써, 중앙 도전부 및 도전부가 돔 형상 반전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중앙 누름 버튼 스위치(31a) 및 누름 버튼 스위치(31b 내지 31e)를 각각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접속 구멍(14)에 프린트 기판(20)의 접속부(21)를 삽입하여 위치 결정한다. 계속해서, 상기 베이스(10)의 환상 리브(11)에 탄성 방수재(40)의 후육부(41)에 형성한 환상 홈부(43)를 끼워 맞춘 후, 끼워 맞춤용 오목부(46b 내지 46e)에 조작 링(50)의 조작용 돌기(51 내지 54)를 각각 끼워 맞추어 위치 결정한다.
한편, 조작 다이얼(60)의 환상 홈부(63)의 저면에 미끄럼 이동 시트(69)를 배치하는 동시에, 환상 홈부(64)의 저면에 양면 접착 테이프(65)를 통해 환상 마그넷(66)을 고정한다. 그리고 조작 링(50)의 상면에 상기 미끄럼 이동 시트(69)를 적재하여 위치 결정함으로써, 상기 조작 다이얼(6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링 형상 고정구(70)의 보유 지지 구멍(72)에 핀셋(도시하지 않음)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잡아 올려, 상기 조작 다이얼(60)의 환상 단차부(62)에 결합하는 동시에, 코킹용 돌기(73, 74)를 탄성 방수재(40)의 방수용 압입 구멍(47, 48)에 압입한다. 또한, 상기 코킹용 돌기(73, 74)를, 수지제 필름 커버(30) 및 프린트 기판(20)의 관통 구멍(33, 23)을 통해 베이스(10)의 코킹 구멍(12, 13)에 각각 삽입하여, 코킹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 다이얼(60)이 빠짐 방지되는 동시에, 상기 링 형상 고정구(70)와 베이스(10)에 의해 상기 탄성 방수재(40)가 끼움 지지된다. 특히,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링 형상 고정구(70)의 코킹용 돌기(73, 74)는 탄성 방수재(40)의 방수용 압입 구멍(47, 48)에 압입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링 형상 고정구(70)에 의해 방수용 압입 구멍(47, 48)의 외주연부를 상방으로부터 압축하고 있으므로, 높은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링(50)은 탄성 방수재(40) 및 누름 버튼 스위치(70)에 가압되어 있으므로, 덜걱거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상기 링 형상 고정구(70)의 결합 단차부(75)에 누름 버튼(80)의 탄성 갈고리부(82)를 탄성 결합함으로써, 조작용 중앙 돌기(81)가 탄성 방수재(40)의 끼워 맞춤용 중앙 오목부(46a)에 끼워 맞춤된다. 상기 누름 버튼(80)은, 탄성 방수재(40) 및 중앙 누름 버튼 스위치(31a)에 가압되어 있으므로, 덜걱거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 입력 장치를 휴대 전화기의 하우징 내에 세트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의 베이스(90)에 돌출 설치한 위치 결정용 돌기(91)에 탄성 방수재(40)로부터 연장된 탄성 아암부(42)의 위치 결정 구멍(42a)을 끼워 맞추어 위치 결정하고, 계속해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90)에 커버(92)를 장착한다. 상기 커버(92)는, 그 개구부(93)의 테두리부 하면에 환상 단차부(94)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90)에 상기 커버(92)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10)의 환상 리브(11)와 상기 커버(92)의 환상 단차부(94)로 상기 탄성 방수재(40)의 후육부(41)를 압축한다. 이 결과, 상기 커버(92)와 상기 조작 입력 장치의 탄성 방수재(41)의 압접 부분으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일은 없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조작 다이얼(60)의 주변으로부터 물이 내부로 침입해도, 링 형상 고정구(70)의 코킹용 돌기(73, 74)가 탄성 방수재(40)의 방수용 압입 구멍(47, 48)에 압입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압입 구멍(47, 48)의 외주연부를 상방으로부터 압축하고 있으므로, 한층 더 높은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조립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의 베이스(90)에 형성한 위치 결정 구멍에, 탄성 방수재(40)의 탄성 아암부(42)에 형성한 위치 결정용 돌기를 결합함으로써 장착해도 좋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입력 장치를 휴대 전화기(도시하지 않음)에 적용한 경우의 조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 다이얼(60)을 상기 링 형상 고정구(70)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조작 다이얼(60)은 미끄럼 이동 시트(69)를 통해 조작 링(50) 상을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다이얼(60)에 장착한 환상 마그넷(66)의 회전에 수반하여, 한 쌍의 자기 검출 센서(26, 27)가 자계의 변화를 각각 검지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회전 방향 및 회전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그 검출 결과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를 통해 모니터의 화면 표시에 스크롤 바의 이동으로서 반영된다. 계속해서, 원하는 위치에 스크롤 바가 도달한 경우에, 누름 버튼(80)을 누름으로써, 그 조작용 중앙 돌기(81)로 중앙 누름 버튼 스위치(31a)의 반전 스프링을 반전시켜, 대응하는 중앙 도전부를 도통 시켜 선택 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조작 다이얼(60)의 주변부를 내리눌러, 조작 링(50)의 조작용 돌기(51 내지 54)로 누름 버튼 스위치(31b 내지 31e)의 반전 스프링을 적절하게 반전시킴으로써, 대응하는 도전부를 각각 도통시켜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접촉에 의한 회전 검지 방식이므로, 종래예에 관한 접촉에 의한 회전 검지 방식보다도, 원활하고 양호한 조작 감촉이 얻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 형태는,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중앙에 돌출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한 돌출 단차부(15, 15)에 코킹 구멍(12, 13)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형상 고정구(70)의 코킹용 돌기(73, 74)가 탄성 방수재(40)의 압입 구멍(47, 48)에 압입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 방수재(40)의 압입 구멍(47, 48)의 외주연부가 베이스(10)의 돌출 단차부(15)와 링 형상 고정구(70)로 상하로부터 압축하도록 끼움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한층 더 우수한 방수성을 갖는 조작 입력 장치가 얻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 밖에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의 하우징의 커버(92)의 이면측에 사전 부착하는 경우이다.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베이스(10)의 중앙부에 돌출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한 돌출 단차부(15, 15)에 코킹 구멍(12, 13)을 각각 형성하는 한편, 그 외주연부에 장착 구멍(16a)을 갖는 대략 삼각형의 장착부(16)를 연장한 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의 커버(92)의 이면측에 나사(95)로 사전 부착함으로써, 하우징의 치수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의 편차에 의한 방수성의 편차를 해소할 수 있어, 한층 더 신뢰성이 높은 방수성을 갖는 전자 기기가 얻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 밖에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조작 입력 장치는 휴대 전화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모바일 기기나 그 밖의 전자 기기에 적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10 : 베이스
11 : 환상 리브
12, 13 : 코킹 구멍
14 : 접속 구멍
15 : 돌출 단차부
20 : 프린트 기판
22, 23 : 관통 구멍
24, 25 : 지그 구멍
26, 27 : 자기 검출 센서
30 : 수지제 필름 커버
31a : 중앙 누름 버튼 스위치
31b 내지 31e : 누름 버튼 스위치
32, 33 : 관통 구멍
34, 35 : 지그 구멍
40 : 탄성 방수재
41 : 후육부
42 : 탄성 아암부
43 : 환상 홈
44a : 조작용 중앙 돌기
44b 내지 44e : 조작용 돌기
46a : 끼워 맞춤용 중앙 오목부
46b 내지 46e : 끼워 맞춤용 오목부
47, 48 : 방수용 압입 구멍
50 : 조작 링
51 내지 54 : 조작용 돌기
60 : 조작 다이얼
61 : 끼워 맞춤 구멍
62 : 결합용 환상 단차부
63, 64 : 환상 홈부
66 : 환상 마그넷
69 : 미끄럼 이동 시트
70 : 링 형상 고정구
71 : 조립용 돌기부
72 : 보유 지지 구멍
73, 74 : 코킹용 돌기
80 : 누름 버튼
81 : 조작용 중앙 돌기
82 : 탄성 갈고리부
90 : 베이스
92 : 커버
93 : 개구부
94 : 환상 단차부

Claims (5)

  1. 프린트 기판의 상방에서 지지한 조작 다이얼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자기 검출 센서에 의해, 상기 조작 다이얼의 회전 조작에 기초하는 자계의 변화를 검출하는 조작 입력 장치이며,
    상면 외주연부에 환상 리브를 돌출 설치한 베이스에 상기 프린트 기판을 실장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를 피복하는 평면 형상을 갖는 탄성 방수재로 상기 베이스를 피복하는 동시에, 링 형상 고정구의 하면에 돌출 설치한 코킹용 돌기를 상기 탄성 방수재에 설치한 방수용 압입 구멍에 압입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에 코킹 고정함으로써, 상기 조작 다이얼을 회전 가능하게 빠짐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 방수재의 외주연부에 형성한 후육부에, 베이스의 환상 리브에 끼워 맞춤되는 환상 홈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베이스에 돌출 가공에 의해 형성한 돌출부에 코킹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와 링 형상 고정구로 상기 코킹 구멍의 외주연부를 상하로부터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입력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조작 입력 장치를 하우징의 베이스에 장착하는 한편, 하우징의 커버의 이면과 베이스의 환상 리브로 탄성 방수재의 후육부를 압축하여 보유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조작 입력 장치를, 하우징의 커버의 이면에 사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00074809A 2009-09-24 2010-08-03 조작 입력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Abandoned KR201100330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19145A JP5338592B2 (ja) 2009-09-24 2009-09-24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JP-P-2009-219145 2009-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3012A true KR20110033012A (ko) 2011-03-30

Family

ID=43887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809A Abandoned KR20110033012A (ko) 2009-09-24 2010-08-03 조작 입력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38592B2 (ko)
KR (1) KR20110033012A (ko)
CN (1) CN102034638A (ko)
TW (1) TW2011357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58781A (zh) * 2013-11-25 2015-05-27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车辆门窗开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6165B2 (ja) * 2013-12-04 2017-07-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DE112017004797T5 (de) * 2016-09-26 2019-06-1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Sensorbauteil, Senso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ensors
DE102017124045B4 (de) * 2017-10-16 2019-04-25 Fm Marketing Gmbh Sicherungsring
DE102019125376B4 (de) * 2019-09-20 2021-07-29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Bedieneingabevorrichtung und Lenkeingabevo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9983B2 (ja) * 2002-02-15 2008-10-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4175007B2 (ja) * 2002-03-22 2008-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操作型入力装置
JP4061626B2 (ja) * 2004-07-16 2008-03-19 Smk株式会社 回転入力装置
JP2006073311A (ja) * 2004-09-01 2006-03-16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286458A (ja) * 2005-04-01 2006-10-19 Omron Corp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306669B2 (ja) * 2005-10-11 2009-08-05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601583B2 (ja) * 2006-06-14 2010-12-22 帝国通信工業株式会社 多機能型電子部品
JP4830862B2 (ja) * 2007-01-12 2011-12-07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4301312B2 (ja) * 2007-03-16 2009-07-22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58781A (zh) * 2013-11-25 2015-05-27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车辆门窗开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38592B2 (ja) 2013-11-13
TW201135784A (en) 2011-10-16
CN102034638A (zh) 2011-04-27
JP2011070815A (ja) 201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809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US8143981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same
KR20110097619A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US7087848B1 (en) Multi operating electronic component
KR100931434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US8054293B2 (en) Electronic apparatus
JP4737197B2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935788B1 (ko) 조작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4311495B1 (ja) 操作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20110033012A (ko) 조작 입력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JP5459082B2 (ja) 電子部品の防滴構造
KR101085291B1 (ko) 조작 입력 장치
JP2009070684A (ja) 複合操作型電気部品
JP2010073554A (ja) 情報入力装置
KR100951517B1 (ko)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WO2009107528A1 (ja) 入力装置及び該入力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8135558A (ja) 回転型可変抵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8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