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32609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609A
KR20110032609A KR1020090090182A KR20090090182A KR20110032609A KR 20110032609 A KR20110032609 A KR 20110032609A KR 1020090090182 A KR1020090090182 A KR 1020090090182A KR 20090090182 A KR20090090182 A KR 20090090182A KR 20110032609 A KR20110032609 A KR 20110032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flow path
beverage
rapid cooling
cooling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석
조연우
김양규
민들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2609A/ko
Priority to PCT/KR2010/006104 priority patent/WO2011037340A2/en
Priority to US13/497,593 priority patent/US20130008202A1/en
Publication of KR20110032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60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5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6Refrigerators with a vertical mull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28Quick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6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동 사이클 장치와; 쿨런트가 통과하는 쿨런트 유로가 형성되고 쿨런트가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의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되는 쿨런트 냉각기와; 쿨런트 냉각기에서 냉각된 쿨런트가 안내되는 쿨런트 공급 유로와;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 수용부가 형성되고, 쿨런트 공급 유로로 안내된 공급된 쿨런트를 음료의 용기 외면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홀을 갖는 급속 냉각 바디와; 급속 냉각 바디에서 유출된 쿨런트를 쿨런트 냉각기로 안내하는 쿨런트 회수 유로와; 쿨런트 공급 유로와 쿨런트 회수 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쿨런트를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를 포함하여, 순환펌프와 분사홀을 이용한 쿨런트 분사로 열전달을 촉진시키고, 냉기를 음료로 강제 송풍시키는 경우 보다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기상 쿨런트를 사용하는 경우 보다 음료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냉장고, 음료, 쿨런트 바디, 급속 냉각 바디, 분사홀, 액상 쿨런드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료를 급속 냉각시키는 급속 냉각 바디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로 이루어진 냉동 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냉장실과 냉동실 등의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기기이다.
최근에는, 냉동실이나 냉장실의 일측에 피냉각물이 놓여지는 급속 냉각실을 별도로 형성하고, 냉동실이나 냉장실의 냉기 중 일부를 급속 냉각실로 집중시켜 급속 냉각실 내의 피냉각물을 신속하게 냉각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이나 냉장실의 냉기 중 일부가 급속 냉각실로 유입되므로, 급속 냉각 시간이 상당 시간 소요되고 피냉각물이 고정인 상태에서 냉각되므로 피냉각물 자체의 유동이 없고 급속 냉각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쿨런트를 냉동 사이클 장치에서 냉각시켜 음료의 용기 외면으로 직접 분사시키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쿨런트에 의해 냉각되는 음료의 열전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동 사이클 장치와; 쿨런트가 통과하는 쿨런트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쿨런트가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의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되는 쿨런트 냉각기와; 상기 쿨런트 냉각기에서 냉각된 쿨런트가 안내되는 쿨런트 공급 유로와;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쿨런트 공급 유로로 안내된 공급된 쿨런트를 상기 음료의 용기 외면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홀을 갖는 급속 냉각 바디와; 상기 급속 냉각 바디에서 유출된 쿨런트를 상기 쿨런트 냉각기로 안내하는 쿨런트 회수 유로와; 상기 쿨런트 공급 유로와 쿨런트 회수 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쿨런트를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급속 냉각 바디는 복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되고 내부가 상기 음료 수용부를 형성하는 내통체와, 상기 내통체를 둘러싸고 상기 내통체와의 사이에 쿨런트가 통과하는 내부 유로가 형성된 외통체를 포함한다.
상기 급속 냉각 바디는 상기 내통체와 외통체 사이의 상단을 막는 상판체과, 상기 외통체의 하단을 막는 하판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쿨런트 공급 유로는 상기 상판체에 연결된다.
상기 쿨런트 회수 유로는 상기 하판체 중 음료 수용부 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쿨런트 공급 유로는 상기 쿨런트 냉각기에 연결된 공용 유로와, 상기 공용 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급속 냉각 바디에 연결된 복수개의 분지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급속 냉각 바디를 가진시키게 상기 급속 냉각 바디에 설치된 가진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급속 냉각 바디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급속 냉각 바디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쿨런트 냉각기의 일예는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의 증발기 표면에 접촉되게 설치된 열교환기이다.
상기 쿨런트 냉각기의 다른 예는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의 증발기와 병렬로 설치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와 쿨런트 유로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이다.
상기 쿨런트 냉각기의 또 다른 예는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의 증발기와 직렬로 설치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와 쿨런트 유로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쿨런트가 음료의 용기 외면 으로 직접 분사되어 접촉되므로, 저장실의 냉기에 의해 음료를 냉각시키는 것보다, 음료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쿨런트가 음료 용기의 외면으로 충돌 제트로 분사되므로 열전달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저장실의 냉기를 음료로 강제 송풍시키기 위해 송풍팬을 설치하는 경우 보다 소음이 적고,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쿨런트 및 음료 내부의 액체가 동시에 가진되므로 음료 내부의 액체의 열전달이 보다 촉진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쿨런트가 음료의 둘레 주변에서 입체적으로 분사되어 음료 전체를 신속하고 고르게 냉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냉매 흐름과 쿨런트 흐름이 도시된 개략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급속 냉각 바디의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급속 냉각 바디의 확대 평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F)(R)을 갖는 본체(2)와; 저장실(F)(R)을 냉각시키는 냉동 사이클 장치(10)와; 쿨런트(W)가 냉동 사이클 장치(10)에 의해 냉각된 후 피냉각물의 외면으로 직접 분사되어 피냉각물을 급속 냉각시키는 급속 냉각기(20)를 포함한다. 이하, 피냉각물은 음료인 것으로 설명하고, 급속 냉각기(20)는 음료(C)의 용기 외면으로 쿨런트를 직접 분사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체(2)는 아우터 케이스(3)와, 아우터 케이스(3) 내측에 배치되고, 저장실(F)(R)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4)와, 저장실(F)(R)을 여닫는 도어(5)(6)를 포함한다.
본체(2)는 아우터 케이스(3)와 이너 케이스(4) 사이에 발포 플라스틱 등의 단열부재가 배치되고, 도어(5)(6)의 내부에 발포 플라스틱 등의 단열부재가 배치된다.
냉동 사이클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1)와, 압축기(11)에서 압축된 냉매(L)가 응축되는 응축기(12)와, 응축기(12)에서 응축된 냉매(L)가 팽창되는 팽창기(13)와, 팽창기(13)에서 팽창된 냉매(L)가 증발되고 저장실(F)(R)을 냉각시키는 증발기(14)를 포함한다.
압축기(11)는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L)를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로 압축하는 것으로서, 본체(2)에 저장실(F)(R)과 구획되게 형성된 기계실에 설치된다.
응축기(12)는 압축기(11)와 응축기 입구배관(15)으로 연결되고, 팽창기(13)와 응축기 출구배관(16)으로 연결되며, 압축기(11)에서 응축기 입구배관(15)을 통해 유입된 냉매(L)는 응축기(12)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후 응축기 출구 배관(16)으로 유출된다.
응축기(12)는 본체(2)의 후면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거나 본체(2)에 형성된 기계실(M)에 설치되고, 응축기(12)가 기계실(M)에 설치되는 경우, 본체(2)에는 본체(2) 외부 공기를 응축기(12)로 송풍시키는 응축 팬(12′)이 설치된다.
팽창기(13)는 캐필러리 튜브나 전자팽창밸브로 이루어지고, 응축기 출구배관(16)을 통해 유출된 응축된 냉매(L)를 팽창시킨다.
증발기(14)는 팽창기(13)와 증발기 입구배관(18)으로 연결되고, 압축기(11)와 증발기 출구배관(19)으로 연결되며, 팽창기(13)에서 증발기 입구배관(18)을 통해 유입된 냉매(L)는 증발기(14)를 통과하면서 팽창된 후 증발기 출구배관(19)으로 유출되고, 이후 압축기(11)로 유동된다.
증발기(14)는 저장실(F)(R)의 외벽에 접촉되게 배치되어 저장실(F)(R)을 직접 냉각시키는 직냉식 증발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저장실(F)(R)의 공기가 저장실(F)(R)과 증발기(14)로 순환되면서 저장실(F)(R)을 순환 냉각시키는 간냉식 증발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간냉식 증발기로 구성되는 경우, 본체(2)에는 공기를 저장실(F)(R)과 증발기(14)로 순환시키는 순환 팬(14′)이 설치된다.
증발기(14)는 냉매(L)가 통과하는 냉매 파이프와, 냉매 파이프에 설치된 전열핀을 포함하는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이루어진다.
급속 냉각기(20)는 냉동 사이클 장치(10)에 의해 쿨런트(W)를 냉각시키는 쿨런트 냉각기(30)와, 쿨런트 냉각기(30)에서 냉각된 쿨런트(W)가 안내되는 쿨런트 공급 유로(40)와; 쿨런트 공급 유로(40)로 안내된 쿨런트(W)를 음료(C)의 용기 외면으로 분사하는 급속 냉각 바디(50)와, 급속 냉각 바디(50)에서 유출된 쿨런트를 쿨런트 냉각기(30)로 안내하는 쿨런트 회수 유로(60)와, 쿨런트 공급 유로(40)와 쿨런트 회수 유로(5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쿨런트(W)를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70)를 포함한다.
쿨런트(W, Coolant)는 음료의 열을 회수하여 냉매로 전달하는 일종의 열전달유체로서, 음료의 용기 외표면에 일부 남아서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으므로, 인체에 무해한 소금물이나 알코올수 등으로 이루어진다.
쿨런트 냉각기(30)는 쿨런트(W)가 냉동 사이클 장치(10)의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되게 하는 것으로서, 쿨런트(W)가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쿨런트 유로가 형성된다.
쿨런트 냉각기(30)는 냉동 사이클 장치(10)의 증발기(14) 표면에 접촉되게 설치된 열교환기로 이루어지고, 쿨런트(W)의 열은 쿨런트 냉각기(30)의 표면과 증발기(14)의 표면으로 전달되어 냉각된다.
쿨런트 냉각기(30)는 증발기(14)의 전열핀에 접촉되게 배치되고 쿨런트(W)가 흐르는 쿨런트배관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쿨런트(W)가 흐르는 쿨런트배관과, 쿨런트배관에 설치되고 증발기(14)의 전열핀에 접촉되는 전열핀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쿨런트 냉각기(30)는 쿨런트가 흐르는 쿨런트 배관으로 이루어지고, 증발기(14)의 전열핀에 증발기(14)의 냉매배관이 관통되는 냉매배관 관통홀과 쿨런트배관이 관통되는 쿨런트배관 관통홀이 함께 형성되며, 전열핀에 냉매배관과 쿨런트배관이 함께 관통되어 전열핀과 냉매배관과 쿨런트 배관이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쿨런트 공급 유로(40)는 쿨런트 냉각기(30)에 연결된 공용 유로(42)와, 공용 유로(42)에 연결되고 급속 냉각 바디에 연결된 복수개의 분지 유로(44)(46)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분지 유로(44)(46)는 쿨런트가 급속 냉각 바디(50)의 복수 지점으로 냉매를 분산 공급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공용 유로(42)에 연결되고, 타단이 급속 냉각 바디(50)에 연결된다.
쿨런트 공급 유로(40)는 쿨런트 냉각기(30)의 출구와 급속 냉각 바디(50)의 입구를 연결하는 튜브 또는 호스로 이루어진다.
급속 냉각 바디(50)는 음료(C)가 수용되는 음료 수용부(51)가 형성되고, 쿨런트 공급 유로(40)로 안내된 공급된 쿨런트(W)를 음료(C)의 용기 외면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홀(52)을 갖는다.
급속 냉각 바디(50)는 저장실(F)(R)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어(10)(12)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급속 냉각 바디(50)는 복수개의 분사홀(52)이 형성되고 내부가 음료 수용부(51)를 형성하는 내통체(53)와, 내통체(53)를 둘러싸고 내통체(53)와의 사이에 쿨런트(W)가 통과하는 내부 유로(54)가 형성된 외통체(55)를 포함한다.
내통체(53)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중공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가 음료 수용부(51)를 형성한다.
내통체(53)는 쿨런트(W)가 음료(C)의 용기 둘레에서 고속 분사되도록 복수개 의 분사홀(52)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내통체(53)는 분사홀(52)를 통한 고속 분사로 음료(C) 주변에 제트(Zet) 수류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분사홀(52)은 음료 수용부(51)를 향하여 갈수록 직경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직경이 점차 축소되는 것도 가능하다.
내통체(53)는 분사홀(52)을 통과하는 쿨런트(W)의 분사 방향이 음료 수용부(51)의 중앙을 향하도록 분사홀(52)의 개구 형성 방향이 음료 수용부(51)의 중앙을 향하게 개구 형성된다.
즉, 급속 냉각 바디(50)는 음료(C)의 직각 방향에서 쿨런트(W)를 분사하고, 쿨런트(W)는 충돌 제트(Impinging Zet)가 최대화되면서 열전달 효율은 극대화된다.
외통체(55)는 급속 냉각 바디(5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통체(52)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되고, 내통체(53)와의 사이에 내부 유로(54)를 형성한다.
외통체(55)는 상면과 하면기 개방된 중공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급속 냉각 바디(50)는 내통체(53)와 외통체(55) 사이의 상단을 막는 상판체(57)와, 외통체(55)의 하단을 막는 하판체(58)를 더 포함한다.
상판체(57)는 음료(C)의 출입을 위해 음료 수용부(51)의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 원판으로 이루어진다.
급속 냉각 바디(50)는 음료 수용부(51)로 분사된 쿨런트(W)가 음료 수용부(51)의 상측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막도록 내통체(53)와 상판체(57) 중 하나에 음료 수용부(51)를 여닫는 급속 냉각 도어(59)가 설치된다.
하판체(58)는 내통체(53)의 하단과, 내통체(53)와 외통체(55) 사이의 하단을 막는 것으로서, 급속 냉각 바디(5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한다.
하판체(58)는 중앙이 내통체(53)와 함께 음료 수용부(51)를 형성하고, 외측이 내통체(53) 및 외통체(55)와 함께 내부 유로(54)를 형성한다.
급속 냉각 바디(50)는 상판체(57)가 하판체(58) 중 하나가 내통체(53)와 외통체(55)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급속 냉각 바디(50)에는 쿨런트 공급 유로(40)와 쿨런트 회수 유로(60)가 연결되는 바, 쿨런트 공급 유로(40)는 급속 냉각 바디(50)의 내부 유로(54)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쿨런트 회수 유로(60)는 급속 냉각 바디(50)의 음료 수용부(51)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급속 냉각 바디(50)는 쿨런트(W)가 자중을 가지므로, 쿨런트가 급속 냉각 바디(50)의 상부를 통해 공급되고, 급속 냉각 바디(50)의 하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쿨런트 공급 유로(40)는 상판체(57)에 연결되며, 쿨런트 회수 유로(60)는 하판체(58) 중 음료 수용부(51) 하부에 연결된다.
즉, 상판체(57)에는 쿨런트 공급 유로(40)가 연결되는 공급 유로 연결부(57a)가 형성되고, 하판체(58)에는 쿨런트 회수 유로(60)가 연결되는 회수 유로 연결부(58a)가 형성된다.
쿨런트 회수 유로(60)는 급속 냉각 바디(50)의 출구와 쿨런트 냉각기(30)의 입구를 연결하는 튜브 또는 호스로 이루어진다.
쿨런트 회수 유로(60)는 순환 펌프(70)가 쿨런트 회수 유로에 설치될 경우, 급속 냉각 바디(50)의 출구와 순??펌프(70)의 입구를 연결하는 급속 냉각 바디- 순환 펌프 연결 유로(62)와, 순환펌프(70) 출구와 쿨런트 냉각기(30)의 입구를 연결하는 순환 펌프- 쿨런트 연결 유로(6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급속 냉각 바디(50)를 가진시키게 급속 냉각 바디(50)에 설치된 가진기(80)와, 급속 냉각 바디(50)의 하부에 설치되어 급속 냉각 바디(5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90)를 더 포함한다.
가진기(80)는 쿨런트(W) 및 음료(C)를 초음파 가진시켜 열전달을 촉진시키는 것으로서, 초음파 가진기로 이루어지고, 급속 냉각 바디(50)의 외면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복수개의 지지대(90)는 급속 냉각 바디(50)를 저장실(F)(R)의 내벽에 매달리게 하거나, 급속 냉각 바디(50)를 저장실(F)(R)에 설치된 선반(92)과 이격되게 하는 것으로서, 급속 냉각 바디(50)의 하면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된다.
복수개의 지지대(90)는 음료 급속 냉각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사용자 등의 저장실의 온도를 입력하거나 음료 급속 냉각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100)와, 입력부(100)의 입력에 따라 냉장고를 제어하고 입력부(100)를 통해 음료 급속 냉각 명령이 입력되면, 순환 펌프(7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11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입력부를 통해 저장실의 희망온도가 입력되면, 입력된 희망온도와 저장실의 온도에 따라 압축기(11)와 응축 팬(12′)와 순환 팬(14′) 등을 제어하고,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음료 급속 냉각 명령에 따라 순환 펌프(70)를 제어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등이 도어(5)(6)와 급속 냉각 바디(50)의 급속 냉각 도어(59)를 열고, 급속 냉각 바디(50)의 음료 수용부(51)로 음료(C)를 투입한 후 급속 냉각 바디(50)의 급속 냉각도어(59)와, 도어(5)(6)를 닫으면, 음료(C)는 급속 냉각 바디(50)의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 등이 입력부(100)를 통해 음료 급속 냉각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0)는 순환펌프(70)를 구동시킨다.
제어부(110)는 급속 냉각 명령의 입력시, 현재 압축기(11)가 정지 중이면, 압축기(11)를 구동시키고, 현재 압축기(11)가 구동 중이면, 압축기(11)를 계속하여 구동시킨다.
압축기(11)의 구동시, 냉매(L)는 압축기(11)와 응축기(12)와 팽창기(13)와 증발기(14)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증발기(14)를 냉각시킨다.
순환펌프(70)의 구동시, 쿨런트 회수 유로(60)의 쿨런트는 쿨런트 냉각기(30)의 쿨런트 유로를 통과하면서, 증발기(14)에 의해 냉각되고, 이후 쿨런트 공급 유로(40)를 통과하여 급속 냉각 바디(50)로 공급된다.
이때, 쿨런트(W)는 공용 유로(52)에서 분지 유로(54)로 분산되어 급속 냉각 바디(50)의 내부 유로(54)로 공급되고, 내부 유로(54)에서 원주 방향 및 하측 방향으로 퍼지며, 이후 내통체(53)의 복수개 분사홀(52)을 통과해 음료 수용부(51)를 향해 수평하게 고속 분사된다.
복수개의 분사홀(52)로 고속 분사된 쿨런트(W)는 음료수용부(51)의 둘레 방향 전 방향과 음료 수용부(51)의 높이 방향 전 방향에서 음료(C)를 향해 분사되고, 쿨런트(W)는 음료(C)의 용기 외면에 직교하게 부딪히면서 충돌 제트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음료(C) 용기의 외면에 직교하게 부딪힌 쿨런트(W)는 열전달효율이 높게 음료(C)의 용기를 냉각시키고, 쿨런트의 밀도가 통상적인 기상 쿨런트의 밀도 보다 높으므로, 음료(C)는 기상 쿨런트를 음료(C)의 용기로 분사하는 경우 보다 신속하게 냉각된다.
음료(C)의 용기 외면에 부딪힌 쿨런트(W)는 음료(C)의 용기 주변 상,하,좌,우 튀기면서 자중에 의해 낙하되고, 음료 수용부(51)의 하부로 흐른 후 쿨런트 회수 유로(60)로 순환된다.
상기와 같은 순환 펌프(70)의 구동시, 쿨런트는 쿨런트 냉각기(30)와, 쿨런트 공급 유로(40)의 쿨런트 유로(P)와, 급속 냉각 바디(50)의 내부 유로(54)와, 복수개의 분사홀(52)과, 음료 수용부(51)와, 쿨런트 회수 유로(60)를 순환하면서, 음료(C)를 직접 냉각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급속 냉각의 도중에 제어부(110)는 가진기(80)를 작동시키고, 가진기(80)는 급속 냉각 바디(50)를 초음파 가진시킨다.
초음파는 쿨런트 뿐만 아니라 음료 용기 내부의 음료를 동시에 가진시키고, 음료는 열전달이 보다 촉진된다.
한편, 제어부(110)는 입력부(100)를 통해 급속 냉각 정지 명령이 입력되거나, 급속 냉각 명령이 입력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되거나, 음료(C)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된 온도 센서(94)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가진기(80)와 순환 펌프(70)를 정지시킨다.
온도 센서(94)는 음료(C)의 용기 온도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는 것으로서, 적외선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급속냉각 도어(59)에 음료(C)나 내통체(53)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가진기(80)의 정지시 급속 냉각 바디(50)의 내부로는 초음파가 전달되지 않고, 순환 펌프(70)의 정지시 쿨런트(W)는 그 유동이 멈춘다.
사용자 등은 도어(5)(6)를 열고 쿨런트(W)와 직접 접촉으로 냉각된 음료(C)를 꺼내면, 급속 냉각된 음료(C)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다른 실시예의 냉매와 쿨런트 흐름이 도시된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쿨런트 냉각기(30′)가 냉동 사이클 장치(10)의 증발기(14)와 병렬로 설치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30a′)와 쿨런트 유로(30b′)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로 이루어지며, 쿨런트 냉각기(3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냉장고와 동일하거 나 유사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증발기(14)와 쿨런트 냉각기(30′)는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배관(18)(18′)이 병렬로 연결된다. 증발기(14)와 팽창기(13) 사이에는 증발기 입구 배관(18)이 연결되고, 쿨런트 냉각기(30′)는 냉매 유로(30a′)가 증발기 입구 배관(18)과 쿨런트 냉각기 입구 배관(18′)으로 연결된다.
증발기(14)는 쿨런트 냉각기(30′)는 냉매가 유출되는 냉매 배관(19)(19′)이 병렬로 연결된다. 증발기(14)와 압축기(11) 사이에는 증발기 출구 배관(19)이 연결되고, 쿨런트 냉각기(30′)는 냉매 유로(30a′)가 증발기 출구 배관(19)과 쿨런트 냉각기 출구 배관(19′)으로 연결된다.
쿨런트 냉각기(30′)는 쿨런트 유로(30b′)가 쿨런트 공급 유로(40)와 연결되고, 쿨런트 회수 유로(60)와 연결된다.
쿨런트 냉각기(30′)는 냉매 유로(30a′)와 쿨런트 유로(30b′) 중 하나가 내부에 위치되는 내부관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가 외부관의 외측을 둘러싸는 외부관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냉매 유로(30a′)와 쿨런트 유로(30b′)가 판상의 전열부재를 사이에 두고 교차 형성된 판형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급속 냉각 모드이면, 냉매가 쿨런트 냉각기(30′)로 흐르게 쿨런트 냉각기 입구 배관(18′)와 쿨런트 냉각기 출구 배관(19′)를 개방하고, 급속 냉각 모드가 아니면, 냉매가 쿨런트 냉각기(30′)로 흐르지 않게 쿨런트 냉각기 입구 배관(18′)와 쿨런트 냉각기 출구 배관(19′) 중 하나를 밀폐 하는 급속 냉각 밸브(96)를 제어하고, 제어부(110)는 급속 냉각 명령의 입력에 따라 급속 냉각 밸브(96)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급속 냉각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일반 운전시, 제어부(110)는 압축기(11)와 응축팬(12′)와 순환 팬(14′)을 구동시킴과 아울러 급속 냉각 밸브(96)를 밀폐 모드로 제어하고, 냉매는 압축기(11)와, 응축기(12)와, 팽창기(13)와 증발기(14)를 순환하며, 저장실(F)(R)은 쿨런트 냉각기(30′)로 냉매가 흐를 때보다 효율적게 냉각된다.
한편, 급속 냉각 명령이 입력되는 급속 냉각 운전시, 제어부(110)는 압축기(11)와 응축팬(12′)과 순환 팬(14′)을 구동시킴과 아울러 급속 냉각 밸브(96)를 밀폐 모드로 제어하며, 순환 펌프(70)를 구동시킨다.
냉매(L)는 압축기(11)와 응축기(12)와 팽창기(13)를 차례로 통과한 후 증발기(14)와 쿨런트 냉각기(30′)로 분산되고, 증발기(14)와 쿨런트 냉각기(30′)를 냉각시킨 후 압축기(11)로 회수된다.
쿨런트(W)는 쿨런트 회수 유로(60)에서 쿨런트 냉각기(30′)의 쿨런트 유로(30b′)로 유동되어 냉매(L)로 열을 빼앗기고, 이후 쿨런트 공급 유로(40)를 통해 급속 냉각 바디(50)로 유동되고, 급속 냉각 바디(50)에서 음료(C)를 냉각시킨 후 쿨런트 회수 유로(60)로 회수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또 다른 실시예의 냉매와 쿨런트 흐름이 도시된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쿨런트 냉각기(30″)가 냉동 사이클 장치(10)의 증발기(14)와 직렬로 설치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30a″)와 쿨런트 유로(30b″)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로 이루어지고, 쿨런트 냉각기(3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냉장고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쿨런트 냉각기(30″)는 증발기(14)와 팽창기(14)의 사이에 위치되어 팽창기(14)에서 팽창된 냉매가 쿨런트 냉각기(30″)를 통과한 후 증발기(14)로 유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증발기(14)와 압축기(11)의 사이에 위치되어 증발기(14)에서 증발된 냉매가 쿨런트 냉각기(30″)를 통과한 후 압축기(11)로 유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급속 냉각기(200는 설정분(예를 들어, 5분) 이내로 신속하게 음료를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쿨런트 냉각기(30″)는 팽창기(13)와 증발기(14)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발기(14)와 쿨런트 냉각기(30″)는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배관(18)(18″)이 직렬로 연결된다. 증발기(14)와 쿨런트 냉각기(30″)사이에는 증발기 입구 배관(18)이 연결되고, 쿨런트 냉각기(30′)는 냉매 유로(30a″)가 팽창기(13)와 쿨런트 냉각기 입구 배관(18″)으로 연결된다.
쿨런트 냉각기(30″)는 쿨런트 유로(30b″)가 쿨런트 공급 유로(40)와 연결되고, 쿨런트 회수 유로(60)와 연결된다.
쿨런트 냉각기(30″)는 냉매 유로(30a″)와 쿨런트 유로(30b″) 중 하나가 내부에 위치되는 내부관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가 외부관의 외측을 둘러싸는 외부관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냉매 유로(30a″)와 쿨런트 유로(30b″)가 판상의 전열부재를 사이에 두고 교차 형성된 판형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급속 냉각 운전시 냉매(L)가 압축기(11)와 응축기(12)와 팽창기(13)를 차례로 통과한 후 쿨런트 냉각기(30″)의 냉매 유로(30a″)를 통과하면서 쿨런트 냉각기(30″)를 냉각시키고, 이후 증발기(14)를 통과하면서 증발기(14)를 냉각시키며, 압축기(11)로 회수된다.
쿨런트(W)는 쿨런트 회수 유로(60)에서 쿨런트 냉각기(30″)의 쿨런트 유로(30b″)로 유동되어 냉매(L)로 열을 빼앗기고, 이후 쿨런트 공급 유로(40)를 통해 급속 냉각 바디(50)로 유동되고, 급속 냉각 바디(50)에서 음료(C)를 냉각시킨 후 쿨런트 회수 유로(60)로 회수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음료 이외에 빙과류나 육류 등의 피냉각물이 급속 냉각기(20)로 투입되어 급속 냉각될 수 있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냉매 흐름과 쿨런트 흐름이 도시된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종단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급속 냉각 바디의 확대 종단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급속 냉각 바디의 확대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다른 실시예의 냉매와 쿨런트 흐름이 도시된 개략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또 다른 실시예의 냉매와 쿨런트 흐름이 도시된 개략 구성도이다.

Claims (11)

  1.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동 사이클 장치와;
    쿨런트가 통과하는 쿨런트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쿨런트가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의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되는 쿨런트 냉각기와;
    상기 쿨런트 냉각기에서 냉각된 쿨런트가 안내되는 쿨런트 공급 유로와;
    음료가 수용되는 음료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쿨런트 공급 유로로 안내된 공급된 쿨런트를 상기 음료의 용기 외면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홀을 갖는 급속 냉각 바디와;
    상기 급속 냉각 바디에서 유출된 쿨런트를 상기 쿨런트 냉각기로 안내하는 쿨런트 회수 유로와;
    상기 쿨런트 공급 유로와 쿨런트 회수 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쿨런트를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냉각 바디는 복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되고 내부가 상기 음료 수용부를 형성하는 내통체와,
    상기 내통체를 둘러싸고 상기 내통체와의 사이에 쿨런트가 통과하는 내부 유로가 형성된 외통체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냉각 바디는 상기 내통체와 외통체 사이의 상단을 막는 상판체과,
    상기 외통체의 하단을 막는 하판체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 공급 유로는 상기 상판체에 연결된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 회수 유로는 상기 하판체 중 음료 수용부의 하부에 연결된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 공급 유로는 상기 쿨런트 냉각기에 연결된 공용 유로와, 상기 공용 유로에 연결되고 상기 급속 냉각 바디에 연결된 복수개의 분지 유로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냉각 바디를 가진시키게 상기 급속 냉각 바디에 설치된 가진기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냉각 바디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급속 냉각 바디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 냉각기는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의 증발기 표면에 접촉되게 설치된 열교환기인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 냉각기는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의 증발기와 병렬로 설치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와 쿨런트 유로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인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런트 냉각기는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의 증발기와 직렬로 설치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 유로와 쿨런트 유로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인 냉장고.
KR1020090090182A 2009-09-23 2009-09-23 냉장고 Withdrawn KR20110032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182A KR20110032609A (ko) 2009-09-23 2009-09-23 냉장고
PCT/KR2010/006104 WO2011037340A2 (en) 2009-09-23 2010-09-08 Refrigerator
US13/497,593 US20130008202A1 (en) 2009-09-23 2010-09-0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182A KR20110032609A (ko) 2009-09-23 2009-09-2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609A true KR20110032609A (ko) 2011-03-30

Family

ID=4379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182A Withdrawn KR20110032609A (ko) 2009-09-23 2009-09-23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008202A1 (ko)
KR (1) KR20110032609A (ko)
WO (1) WO201103734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02014013038B1 (pt) * 2014-05-29 2022-07-26 Ambev S/A Refrigerador automático para bebidas e método de refrigeração de bebidas
JP6326708B2 (ja) * 2015-05-14 2018-05-23 Ph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冷凍装置
US20160209112A1 (en) * 2016-03-26 2016-07-21 Scott Bayless Portable Beverage Chilling Device
JP6300970B2 (ja) * 2016-09-08 2018-03-28 株式会社中温 多重管冷却保冷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693Y2 (ko) * 1987-07-29 1993-04-02
US4982577A (en) * 1990-03-19 1991-01-08 I.Q.F. Inc. Cryogenic apparatus
DE60233306D1 (de) * 2001-03-01 2009-09-24 Revolutionary Cooling Systems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chnellen erwärmen und kühlen von fluid
ES2222812B1 (es) * 2003-07-23 2006-03-16 Jose Ramon Conde Hinojosa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enfriamiento rapido de bebidas envasadas.
JP2009058212A (ja) * 2007-08-30 2009-03-19 Shinyo Industries Co Ltd 冷凍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08202A1 (en) 2013-01-10
WO2011037340A2 (en) 2011-03-31
WO2011037340A3 (en)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2165B2 (en) Rapid cryocooler utilizing spray holes to cool a beverage
EP3745056B1 (en) Refrigerator
US10302345B2 (en) Refrigerator
CN106152701B (zh) 喷淋式制冷设备及控制方法
CN1648562A (zh) 冰箱
CN102378885A (zh) 具有制冰室的冰箱
KR20170115842A (ko) 냉장고
US20070214823A1 (en) Heat exchang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20110032609A (ko) 냉장고
KR20110021128A (ko) 냉장고
KR20110086413A (ko) 냉장고
KR100981447B1 (ko) 제상기능을 개선한 절전형 냉장냉동창고
KR101097974B1 (ko) 에너지 절약형 냉장냉동창고
KR101361932B1 (ko) 제상장치를 구비한 냉동기
KR101233778B1 (ko) 냉온장고
CN216745078U (zh) 一种具有冷风和冷藏功能的制冷装置
KR101624936B1 (ko) 냉장고
KR100305321B1 (ko) 에어커튼 냉장고
KR20030042757A (ko) 냉장고의 냉기 공급장치
KR101655798B1 (ko) 냉장고
JP2006189209A (ja) 冷却庫
KR19980073158A (ko) 냉장고의 급속냉각보관장치
CN117346434A (zh) 一种冰箱及其饮水装置出水冷却控制方法
KR100569894B1 (ko) 냉장고
KR200151085Y1 (ko) 제상수를 이용한 압축기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