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0832A - Steamer combined cookware - Google Patents
Steamer combined cookwa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30832A KR20110030832A KR1020090088453A KR20090088453A KR20110030832A KR 20110030832 A KR20110030832 A KR 20110030832A KR 1020090088453 A KR1020090088453 A KR 1020090088453A KR 20090088453 A KR20090088453 A KR 20090088453A KR 20110030832 A KR20110030832 A KR 201100308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aming plate
- main body
- steamer
- cookware
- pa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찜기 겸용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경이 크고 높이가 낮은 조리기구에 기존 조리기능 이외에 찜기로 활용이 가능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이 넓고 측벽 높이가 낮은 팬형 조리기구를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벽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그 수직단면형상이 계단형상을 이루는 중간턱부와, 상기 중간턱부 전체에 걸쳐 그 테두리가 얹힐 수 있는 넓이를 가지며, 천공구멍이 복수 형성된 찜판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적용된 조리기구는 넓은 바닥면과 낮은 측벽높이를 가진 후라이팬과 같은 팬형 조리기구에 적용되어 통상적인 볶음 및 튀김조리가 가능하면서, 비교적 큰 피조리물을 통째로 찜조리시에는 착탈가능한 중간 찜판을 부가하여 찜기로서도 기능하도록 하여 가정용으로 적정한 크기를 가지면서 복합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d steam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ware that can be utilized as a steamer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ooking function to a large diameter and low height cookwar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forming a pan-shaped cooking utensil having a wide bottom and a low side wall height, an intermediate jaw portion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side wall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the vertical cross section forming a step shape, and the entire middle jaw portion. The frame has a width that can be mounted, and consists of a steaming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 holes, and a cover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cookwa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pplied to a pan-type cookware such as a frying pan having a wide bottom surface and a low sidewall height, which enables conventional roasting and frying cooking, while being able to attach and remove relatively large cooks when steaming. The addition of a steamer to function as a steamer has the effect that can be used for a complex use while having a suitable size for home us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찜기 겸용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경이 크고 높이가 낮은 조리기구에 기존 조리기능 이외에 찜기로 활용이 가능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d steam coo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ware that can be utilized as a steamer in addition to the existing cooking function to a large diameter and low height cookware.
후라이팬과 같은 팬형 조리기구는 조리기구 본체의 낮은 측벽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바닥면을 갖는데, 이는 볶음조리와 같이, 단시간에 조리를 완성하도록 식용유와 같은 짧은 시간에 고온에 이르는 조리매개물을 이용하여 피조리물을 빈번히 이동시키는 조리방식에 접합하도록 형성된 것이다.Pan-type cookware, such as a frying pan, has a relatively large bottom surface compared to the low sidewall height of the cookware body, which uses cooking mediums that reach high temperatures in a short time such as cooking oil to complete cooking in a short time, such as stir cooking. It is formed so as to bond to the cooking method to move the cooking frequently.
그리고, 팬형 조리기구에 의해 조리되는 피조리물은 대체로 얇고 넓은 형태를 가진 것이 대부분인데, 중심까지 열이 도달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두꺼운 피조리물의 조리를 위해 덮개가 있는 팬형 조리기구도 시판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cooked foods cooked by the pan-type cooking utensils are generally thin and wide in shape, and a pan-type cookware with a cover is also commercially available for cooking thick cookware that takes time to reach the center.
한편, 찜기는 주로 물의 증기를 이용하여 피조리물을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증기열을 가하는 조리방식에 적합하도록, 찜기 본체는 높은 측벽높이과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바닥면을 가지고 있고, 바닥면과 평행하면서 일정간격을 띄워 설치되는 찜판이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eamer has a high sidewall height and relatively narrow bottom surface, an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steamer is suitable for a cooking method of applying steam heat over a relatively long time mainly using steam of water. While the steam plate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찜기를 이용하는 피조리물은 대체로 그 중심까지 열이 도달하는데 시간이 걸리거나 껍질이 단단한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상기한 찜기의 형상은, 찜기 바닥의 물이 증발하여 그 증기가 찜기의 높이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대류가 일어나면서 피조리물의 전면에 걸쳐 가열함에 접합하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 cooked product using the steamer usually takes a long time to reach the center of the heat, or the shell is hard. Therefore, the shape of the steamer is that the water at the bottom of the steamer evaporates and the steam i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teamer, that is, Convection occur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is joined to the heating box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workpiece.
그런데, 크고 두꺼운 피조리물을 통째로 찜조리하는 경우에는 바닥면이 팬형 조리기구에 가까울 정도로 넓어야 하고, 증기가 골고루 피조리물의 표면과 접하면서 증기가 대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높이를 가져야 하는데, 이에 적합한 전용 조리기구가 있다고 하면 가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지나치게 크기가 큰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cooking a large and thick cooked whole, the bottom should be wide enough to be close to the pan-type cookware, and have a certain height in order for the steam to convex evenly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oked food. Most suitable cookware would be too large for home us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 크기가 통상적인 팬형 조리기구와 유사하여 가정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하고, 찜조리에 요구되는 증기의 대류작용효과가 전용 찜기와 동일한 정도로 기대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팬형 조리기구로서의 기능도 겸하는 조리기구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in size to a conventional pan-type cookware, which is suitable for home use, and the convection effect of steam required for cooking can be expected to the same degree as a dedicated steam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king utensil that also serves as a general pan cooking utensi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이 넓고 측벽 높이가 낮은 팬형 조리기구를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벽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그 수직단면형상이 본체 내부로 돌출된 계단형상을 이루는 중간턱부와, 상기 중간턱부 전체에 걸쳐 그 테두리가 얹힐 수 있는 넓이를 가지며, 천공구멍이 복수 형성된 찜판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체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forming a pan-shaped cookware having a wide bottom and low side wall height, and a continuous step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ide wall of the main body, the vertical cross-section protruding into the main body It has an intermediate jaw forming a shape, the width of the edge that can be mounted on the entire middle jaw portion, the steaming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and the cover body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찜판의 표면 및 이면이 불소수지로 코팅된다.In addition, the surface and the back of the steam plate is coated with a fluororesin.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면이 불소수지로 코팅된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is coated with a fluororesin.
또한, 상기 찜판의 중간에 상기 천공구멍보다 큰 크기를 갖는 중간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구멍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중간구멍을 덮는 중간구멍덮개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middle hole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perforated hole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steaming plate, and further comprises a middle hole cover detachably coupled to the middle hole to cover the middle hole.
또한, 상기 중간턱부에 복수의 배기구멍을 형성하되, 상기 배기구멍은 상기 찜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상기 천공구멍과 동일한 수와 직경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are formed in the intermediate jaw portion, and the exhaust holes are formed in the same number and diameter as the punched hole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teaming plate.
또한, 상기 찜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상기 천공구멍의 각각에 유연성 재질의 팩킹재가 끼워지되, 상기 팩킹재는 상기 찜판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찜판의 표면과 이면으로부터 각각 둥근 형상 또는 뽀족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acking material of the flexible material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perforated hole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teaming plate, the packing material has a shape symmetrical about the steaming plate, each rounded or pointed from the front and back of the steaming plate It is formed to protrude into a shape.
또한, 상기 찜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복수의 홈형태로 요철형 맞댐부가 구비되고, 상기 찜판의 요철형 맞댐부와 맞물림 대응되는 요철형 대응부가 중간턱부에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concave-convex butt por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grooves extending along the edge of the steam plate, and the concave-convex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ement with the concave-convex portion of the steam plate is formed in the middle jaw portion.
본 발명이 적용된 조리기구는 넓은 바닥면과 낮은 측벽높이를 가진 후라이팬과 같은 팬형 조리기구에 적용되어 통상적인 볶음 및 튀김조리가 가능하면서, 비교적 큰 피조리물을 통째로 찜조리시에는 착탈가능한 중간 찜판을 부가하여 찜기로서도 기능하도록 하여 가정용으로 적정한 크기를 가지면서 복합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okwa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pplied to a pan-type cookware such as a frying pan having a wide bottom surface and a low sidewall height, which enables conventional roasting and frying cooking, while being able to attach and remove relatively large cooks when steaming. The addition of a steamer to function as a steamer has the effect that can be used for a complex use while having a suitable size for home use.
그리고, 상기 중간 찜판에 천공구의 개수를 제한하여 찜조리시의 증기가 일부는 천공구를 통해 찜판 상부로 올라가고 나머지는 찜판의 저면을 따라 유동하여 찜판 둘레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찜판 상부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피조리물의 전체에 걸쳐 증기가 골고루 접하도록 하여 조리기구 본체의 낮은 측벽높이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증기의 대류작용을 발휘할 수 있어 찜기로서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limiting the number of drilling tools in the middle steaming plate, steam of the cooking steam rises to the upper part of the steaming plate through the drilling tool, and the rest flows along the bottom of the steaming plate to flow to the upper part of the steaming plate through the gap formed around the steaming plate. Therefore, the steam is evenly contacted with the whole to be cooked to exert an effective convection of steam despite the low side wall height of the main body of the cookware, which is excellent as a steamer.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이 적용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1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는 구체적인 예에 불과하고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사항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first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this is only a specific example and the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a description of claim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팬형 조리기구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측부에 편지지 손잡이(5)가 장착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냄비형 조리기구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양쪽지지 손잡이(5')가 장착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팬형 조리기구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팬형 조리기구에 찜판이 결합되는 양상을 도시한 사시분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팬형 조리기구의 종단면도과, 찜판에 중간구멍덮개가 결합된 양상을 도시한 확대 종단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an-type cookwa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
제1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팬형 조리기구에 적용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팬행 조리기구(1)의 본체(2)는 넓은 바닥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낮은 측벽 높이를 가지고 있으며, 본체(2) 상부의 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체(3)를 추가할 수 있는데, 상부의 큰 개구를 통해 피조리물의 수용가능 크기가 다른 냄비형 조리기구에 비해 큰 것이 특징이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an-type cooking utensil. In general, the
한편, 본체(2)의 재질로서는 내구성 및 내부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나 가공이 용이한 알루미늄합금이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바닥면은 필요에 따라 불소수지로 코팅처리하여 피조리물의 눌러붙음과 긁힘파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material of the
그리고, 상기 본체(2)의 측벽에는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본체(2)의 수직 단면형상이 계단을 형상을 이루도록 중간턱부(4)를 형성하였다.In addition, the
상기 중간턱부(4)는 후라이팬 등 기존 팬형 조리기구의 역할을 유지하기 위해 본체(2)의 중심방향으로 들어오는 정도를 둥근 판 형상의 팬형 조리기구 직경의 2~5%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iddle jaw portion (4) is preferably formed to about 2 to 5% of the diameter of the round plate-shaped pan-shaped cookware in order to maintain the role of the existing pan-type cookware, such as a frying pan. .
한편, 상기 중간턱부(4)에는 찜판(10)이 얹히게 되는데, 상기 찜판(10)의 직경을 상기 중간턱부(4)의 내향 턱단부 둘레보다 약간 크게 하여 상기 중간턱부(4)에 걸리는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면 상기 본체(2)로부터 찜판(10)의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리고, 상기 중간턱부(4)의 상부면에 그 둘레를 따라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패킹재를 끼움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본체(2)의 바닥의 물이 끓어 증기압에 의해 찜판(10)이 들어올려져서 덜거덕거리게 되는 경우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nd, forming a groove alo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아울러, 상기 찜판(10)과 상기 중간턱부(4)의 맞춤구조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일부 예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In addition, the customized structure of the
도 10은 본 발명에서 찜판(10)과 중간턱부(4)의 맞춤구조를 다양화하여 도시한 부분단면도로서, (a)는 찜판(10) 가장자리의 천공구멍(7)에 둥근형상의 실리콘쿠션부(11)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고, (b)는 찜판(10) 가장자리의 천공구멍(7)에 뽀족한 형상의 실리콘쿠션부(11)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며, (c)는 찜판 둘레에 요철형 맞댐부(12)가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고, (d)는 (c)의 요철형 맞댐부(12)와 맞물림 대응되는 요철형 대응부(13)가 형성된 중간턱부(4)를 나타낸다.Figure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ariety of custom structure of the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실리콘쿠션부(11)는 그 재질이 유연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찜판(10)의 천공구멍(7)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0 (a) and 10 (b), it is preferable that the
도 10(c) 및 도 10(d)는 찜판(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동심원 형상으로 볼록부와 오목홈이 교대로 이웃된 요철형 맞댐부(12)가 형성되고 이 요철형 맞댐부(12)와 닮은 형상으로 치합되는 요철형 대응부(13)가 상기 중간턱부(4)에 형성됨으로써, 찜판(10)이 상기 중간턱부(4)에 안착되어 끓음에 따른 소음이 방지되고 안정적인 찜조리를 가능하게 한다.10 (c) and 10 (d) show an
또한, 상기 중간턱부(4)의 상부면에 통기공(도시생략)을 천공하여 상기 찜판(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천공구멍(7)과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증기를 상기 통기공을 통해 방출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by drilling a vent (not shown) in the upper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중간턱부(4)의 상부면에 상부로 돌출형성된 볼록부를 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찜판(10)이 상기 중간턱부(4)에 얹힌 상태에서 상기 찜판(10) 저부와 상기 중간턱부(4) 상부면 사이에 틈을 형성시켜 증기가 상기 찜판(10)저부와 상기 중간턱부(4) 상부면 사이를 지나 상기 찜판(10)상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찜판(10)의 둘레로부터 증기의 대류를 촉진시킬 수 있다. Further, by forming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protruding upwar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한편, 상기 찜판(10)에는 천공구멍(7)이 넓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방사상으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40개의 천공구멍(7)을 배열하였는 바,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열형상 과 구멍의 직경을 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찜판(10)의 표면 및 이면을 불소수지 등으로 코팅처리하면, 껍질이 약한 피조리물을 조리할 때 껍질이 눌러붙지 않고, 피조리물이 찜판(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게 할 수 있다.When the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그리고, 찜판(10)의 중심에는 상기 천공구멍(7)보다 큰 중간구멍(6)을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중간구멍(6)에는 착탈가능한 중간구멍덮개(8)가 결합된다.In the center of the
상기 중간구멍(6)을 상기 천공구멍(7)보다 크게 형성한 것은 하부의 증기를 천공구멍(7)보다 중간구멍(6)으로 더 많이 상승시켜 상기 중간구멍(6)을 중심으로 피조리물을 배열한 경우, 피조리물이 상기 천공구멍(7)으로부터 상승하는 증기와 상기 중간턱부(4)와 찜판(10) 사이를 통해 상승한 증기와 함께 상기 중간구멍(6)으로부터의 증기가 부가되어 피조리물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게 된다.The formation of the
그리고, 상기 중간구멍(6)의 다른 기능은 상기 중간구멍덮개(8)를 제거하고 상기 중간구멍(6)에 별도의 손잡이를 끼워 고온상태의 상기 찜판(10)을 들어올리기 용이하도록 함에 있어 이용할 수 있다.Another function of the
이하 제1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s briefly described below.
상기 본체(2)의 개구를 통해 피조리물이 유입시켜 통상적인 볶음조리나 튀김조리가 가능한 한편, 상기 찜판(10)을 상기 중간턱부(4)에 얹혀 장착하고 본체(2) 하부에 물을 부워넣은 다음 큰 피조리물을 통째로 집어넣고 덮개체(3)를 덮어 찜조리를 행할 수 있다.The cooked material flows in through the opening of the
본체(2)가 찜기로 전환되면, 본체(2)저부의 물이 끓는 점에 이르러 발생된 증기가 상기 찜판(10)의 둘레와 찜판 상의 천공구멍(7), 그리고, 필요에 따라 개방되는 중심구멍(6)을 통해 찜판(10) 상부로 유입되어 피조리물 전체에 걸쳐 증기와 접하게 되어 본체(2)의 측벽높이가 낮더라도 본체(2) 내부에서 충분한 증기의 대류가 발생하여 피조리물의 찜조리가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그리고, 열원으로부터 본체(2)에 가해진 열이 상기 중간턱부(4)를 거쳐 상기 찜판(10)에 전달되도록 하면 조리상의 필요에 따라 통상적인 찜기보다 찜판(10)의 온도를 더 높일 수 있어 조리의 편의성을 더할 수 있다.And, if the heat applied to the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2 실시예에서 팬형 조리기구에 찜판이 결합되는 양상을 도시한 사시분해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2 실시예에서의 팬형 조리기구의 종단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exploded view showing an aspect in which the steaming plate is coupled to the pan-type cooking utensil in the secon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and FIG.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n-type cooking utensil in the secon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It is also.
제2 실시예는 상기 중간턱부(4)의 상부면에 그 둘레를 따라 배기구멍(9)을 형성하되, 상기 찜판(10)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천공구멍(7)의 위치와 크기에 일치시켜 형성하였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상기 중간턱부(4)에 배기구멍(9)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요리의 종류나 그 사용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상기 배기구멍(9)과 상기 천공구멍(7)을 일치시킴으로써 본체(2) 내부에 충만한 증기가 상기 배기구멍(9) 및 천공구멍(7)을 통해 배출이 촉진될 수 있고, 그 반대로 배기구멍(9)과 천공구멍(7)이 일치되지 않도록 하여 증기의 배출을 저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배기구멍(9)의 개방정도를 그 직 경의 1/2이나 1/3등으로 변경해가며 피조리물에 대한 조리를 진행할 수 있다.As the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8은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3 실시예에서 팬형 조리기구에 찜판이 결합되는 양상을 도시한 사시분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3 실시예에서의 팬형 조리기구의 종단면도이다.8 is a perspective exploded view showing an aspect in which the steaming plate is coupled to the pan-type cooking utensil in the thir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and FIG. 9 is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pan-type cooking utensil in the thir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It is also.
제3 실시예는 상기 중간턱부(4)가 본체(2)의 내부쪽으로만 돌출형성되고 본체(2)의 외부에서는 들어간 형상이 확인되지 않도록 하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며, 나머지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을 갖는다.The thir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팬형 조리기구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an type cookwa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냄비형 조리기구의 일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ot-type cookwa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1 실시예의 팬형 조리기구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pan-type cooking utensil of the first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1 실시예에서 팬형 조리기구에 찜판이 결합되는 양상을 도시한 사시분해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exploded view showing an aspect in which the steam plate is coupled to the pan-type cooking utensils in the first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도 5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1 실시예에서의 팬형 조리기구의 종단면도과, 찜판에 중간구멍덮개가 결합된 양상을 도시한 확대 종단면도이다.Figure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pan-shaped cooking utensil in the first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and an aspect in which the middle hole cover is coupled to the steaming plate.
도 6은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2 실시예에서 팬형 조리기구에 찜판이 결합되는 양상을 도시한 사시분해도이다.6 is a perspective exploded view showing an aspect in which the steaming plate is coupled to the pan-type cooking utensil in the secon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도 7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2 실시예에서의 팬형 조리기구의 종단면도이다.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an-type cooking utensil in the secon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도 8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3 실시예에서 팬형 조리기구에 찜판이 결합되는 양상을 도시한 사시분해도이다.8 is a perspective exploded view showing an aspect in which a steaming plate is coupled to a pan-type cooking utensil in a thir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도 9는 본 발명이 바람직하게 적용된 제3 실시예에서의 팬형 조리기구의 종단면도이다.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an-type cooking utensil in the third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도 10은 본 발명에서 찜판과 중간턱부의 맞춤구조를 다양화하여 도시한 부분단면도로서, (a)는 찜판 둘레에 둥근형상의 실리콘쿠션부가 구비된 경우를, (b)는 찜판 둘레에 뽀족한 형상의 실리콘쿠션부가 구비된 경우를, (c)는 찜판 둘레에 요 철형 맞댐부가 구비된 경우를, (d)는 (c)의 요철형 맞댐부와 맞물림 대응되는 요철형 대응부가 형성된 중간턱부를 나타낸다. Figure 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versified structure of the steaming plate and the middle jaw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case where a round silicone cushion is provided around the steaming plate, (b) is pointed shape around the steaming plate (C) shows the case where the uneven type butt is provided around the steaming plate, and (d) shows the intermediate jaw formed with the uneven type corresponding part engaged with the uneven type butt of (c). .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8453A KR20110030832A (en) | 2009-09-18 | 2009-09-18 | Steamer combined cookwa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8453A KR20110030832A (en) | 2009-09-18 | 2009-09-18 | Steamer combined cookwa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0832A true KR20110030832A (en) | 2011-03-24 |
Family
ID=43936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8453A Abandoned KR20110030832A (en) | 2009-09-18 | 2009-09-18 | Steamer combined cookwa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3083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30227A (en) * | 2013-05-22 | 2013-08-07 | 太仓华众金属制品有限公司 | Stainless steel steaming tray |
-
2009
- 2009-09-18 KR KR1020090088453A patent/KR20110030832A/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230227A (en) * | 2013-05-22 | 2013-08-07 | 太仓华众金属制品有限公司 | Stainless steel steaming tra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48883Y1 (en) | Grill combined use pot of dual structure | |
CN101038090B (en) | Microwave cooking device | |
US8960081B2 (en) | Steam cooking apparatus | |
KR101667013B1 (en) | Cooking vessel for induction range | |
JP4727481B2 (en) | kitchenware | |
KR20120121497A (en) | Steamed and Barbecue combined pot | |
KR20110040069A (en) | Multi-stage steamer | |
JP3194420U (en) | Multi-function cooker | |
KR100847603B1 (en) | Cookware | |
KR101530070B1 (en) | Multipurpose cookware for roasting and soup | |
KR20110030832A (en) | Steamer combined cookware | |
JP2025516412A (en) | household cooking utensils | |
US20200297162A1 (en) | Apparatus for cooking food | |
CN204797639U (en) | Multi -functional deep fryer | |
KR101230419B1 (en) | double boil cooker | |
KR200393644Y1 (en) | Steamed and Barbecue combined pot | |
KR20110000512U (en) | Direct flame type fry pan | |
WO2009066846A1 (en) | Multi-layer cooker | |
KR100720380B1 (en) | Steamed | |
JP3160143U (en) | Steamer for microwave oven | |
KR200431918Y1 (en) | Roasting | |
CN211155248U (en) | Rice soup container | |
JP3203119U (en) | Multi-functional cooking utensil having a steaming plate and a steaming plate | |
JP2009000184A (en) | Grill pan also serving for steaming vegetable | |
KR200366225Y1 (en) | multipurpose cook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1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