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6360A - 영상 출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출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26360A KR20110026360A KR1020090084227A KR20090084227A KR20110026360A KR 20110026360 A KR20110026360 A KR 20110026360A KR 1020090084227 A KR1020090084227 A KR 1020090084227A KR 20090084227 A KR20090084227 A KR 20090084227A KR 20110026360 A KR20110026360 A KR 201100263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output
- image
- output device
- projector
- output apparatu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영상 출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영상출력장치의 제어 방법은, 입력된 영상출력장치의 위치에 따라, 영상을 조절하여 출력한다. 이에 의해, 다수개의 영상출력장치를 이용해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때, 입력받은 장치의 갯수와 각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출력 영상의 크기 또는 해상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출력장치, 위치, 개수, 메뉴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영상 출력장치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사용자가 일일히 각 영상장치의 출력 영상을 조절하지 않고 메뉴를 이용하여 설정하면 자동으로 각 영상 출력장치의 출력되는 영상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보다, 복수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하면 더욱 밝고 선명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프로젝터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다수개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각 프로젝터 마다 출력되는 영상의 크기를 조절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각 프로젝터마다 눈으로 확인하면서 일일히 크기를 조절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에 따른 불편함은, 휴대가 용이한 프로젝터가 설치 환경이 바뀔때마다 조절을 수행할 필요가 있어 불편함이 더욱 가중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영상출력장치를 이용해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때 장치의 갯수와 각 장치의 위치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값에 기반하여 출력 영상의 크기 또는 해상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영상출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영상출력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에 따라, 영상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출력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달성 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는,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를 입력받는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메뉴를 통해,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영상출력장치와의 상대적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는 1개이고,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는, 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는 2개이고,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는, 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상부, 가운데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좌측, 가운데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일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장치를 포함한 영상출력장치의 개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에 및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개수에 따라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에 있어서, 광원부;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영상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및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에 따라, 영상을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영상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출력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영상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를 입력받는 메뉴를 출력하도록 상기 영상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영상출력장치와의 상대적 위치인 일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는 1개이고,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는, 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는 2개이고,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는, 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상부, 가운데 및 하부 중 어느 하 나이거나, 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좌측, 가운데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영상출력장치를 포함한 영상출력장치의 개수를 입력받을수 있다.
상기 영상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에 및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개수에 따라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영상 출력부를 제어할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영상출력장치를 이용해 하나의 영상을 표시할 때, 입력받은 장치의 갯수와 각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출력 영상의 크기 또는 해상도를 자동적으로 조절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영상출력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두 개의 영상출력장치(110, 120)를 이용해 하나의 영상을 출력하고자 할 때, 두 개의 영상출력장치(110, 120)를 세로로 쌓으면 아래쪽에 위치한 제 1 영상출력장치(1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윗부분과 위쪽에 위치한 제 2 영상출력장치(2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아래부분의 일부 영역이 겹치게 된다. 영상출 력 장치와 해당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위치와의 거리와 무관하게 겹치는 영역은 일정하다. 각 영상 출력장치는 상기 겹치는 영역에 동일한 영상을 투사하기 위해 출력되는 영상의 해상도 및 투사위치를 변경해야 한다. 도2a는 위쪽에 위치한 제 2 영상 출력장치(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해상도 및 투사위치를 변경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위쪽에 위치한 제2 영상출력장치(1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아래쪽 이미지영역이 겹치는 영역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미지의 해상도를 변경하고 투사위치를 변경해야 한다. 도2b는 아래쪽에 위치한 제 1 영상 출력장치(1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해상도 및 투사위치를 변경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쪽에 위치한 제1 영상출력장치(1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윗쪽 이미지영역이 겹치는 영역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미지의 해상도와 투사 위치를 변경해야 한다.
도3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출력장치 각각의 출력 해상도 및 투사위치 변경 후 겹쳐진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의 이미지는 제1 및 제 2 영상출력장치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보다 밝은 이미지이다.
종래에 복수개의 영상출력장치를 이용하여 한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각 영상장치의 출력되는 이미지의 해상도 및 투사위치를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하면서 일일히 변경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출력장치의 갯수 및 위치를 입력받는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메뉴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출력장치의 갯수 및 위치에 따라 각 영상 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해상도와 출력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장치들이 배치된 환경에서, 영상출 력장치의 갯수 및 위치를 입력받는 메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영상출력장치(210, 220)를 좌우로 배열하여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두개의 영상출력장치(210, 220)를 이용해 하나의 영상을 출력하고자 할때, 두개의 영상출력장치(210, 220)를 가로로 배열하면 왼쪽에 위치한 제 1 영상출력장치(2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오른쪽부분과 오른쪽에 위치한 제 2 영상출력장치(22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왼쪽부분의 일부 영역이 겹치게 된다. 각 영상 출력장치는 상기 겹치는 영역에 동일한 영상을 투사하기 위해 출력되는 영상의 해상도 및 투사위치를 변경해야 한다. 도6a는 왼쪽에 위치한 제 1 영상 출력장치(2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해상도 및 투사위치를 변경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왼쪽에 위치한 영상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오른쪽 이미지영역이 겹치는 영역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미지의 해상도를 변경하고 투사위치를 변경해야 한다. 도6b는 오른쪽에 위치한 제 2 영상 출력장치(22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해상도 및 투사위치를 변경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오른쪽에 위치한 영상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의 왼쪽 이미지영역이 겹치는 영역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미지의 해상도와 투사 위치를 변경해야 한다. 도7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상출력장치(210, 220) 각각의 출력 해상도 및 투사위치 변경 후 겹쳐진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장치들이 배치된 환경에서, 영상출력장치의 갯수 및 위치를 입력받는 메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영상출력장치를 이용하는 경 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영상출력장치가 3개인 경우는 물론 4개 이상인 경우도 적용가능하다.
3개의 영상출력장치가 좌우로 나란히 배열되어도 무방하고, 세로로 적층되어 배열되어도 무방하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영상출력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장치는 영상 출력부(1010), 광원부(1020), 제어부(1030) 및 입력부(1040)를 구비한다.
영상 출력부(1010)는 광원부(1020)에서 출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영상을 출력한다.
입력부(1040)는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제어부(1030)는 입력된 영상출력장치의 위치에 따라, 영상을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영상 출력부(1010)를 제어하는 바, 이하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30)는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를 입력받는다(S1110). 그러면, 제어부(1030)는 S1110단계를 통해 입력된 영상출력장치의 위치에 따라, 영상을 조절하여 출력한다(S1120).
S1110단계에서의 영상출력장치의 위치 입력은, 메뉴를 통해 입력가능함은 물론 입력부(1040)를 통해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S1110단계에서 입력받는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는, 다른 영상출력장치와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다른 영상출력장치가 1개라면,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는,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이거나,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이다.
한편, 다른 영상출력장치는 2개라면,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는,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상부, 가운데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이거나,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좌측, 가운데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이다.
한편, 제어부(1030)는 영상출력장치를 포함한 영상출력장치의 개수를 더 입력받고, 입력된 영상출력장치의 위치에 및 영상출력장치의 개수에 따라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영상출력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2a및 도2 b는 영상 출력장치의 해상도 및 투사위치를 변경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3은 출력 해상도 및 투사위치 변경 후 겹쳐진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장치들이 배치된 환경에서, 영상출력장치의 갯수 및 위치를 입력받는 메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영상출력장치를 좌우로 배열하여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6a및 도6b는 영상 출력장치의 해상도 및 투사위치를 변경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7은 출력 해상도 및 투사위치 변경 후 겹쳐진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장치들이 배치된 환경에서, 영상출력장치의 갯수 및 위치를 입력받는 메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영상출력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영상출력장치의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출력장치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Claims (16)
- 영상출력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및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에 따라, 영상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출력장치의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입력단계는,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를 입력받는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및상기 메뉴를 통해,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의 제어방법.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는,적어도 하나의 다른 영상출력장치와의 상대적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의 제어방법.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는 1개이고,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는,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이거나,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의 제어방법.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는 2개이고,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는,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상부, 가운데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이거나,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좌측, 가운데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의 제어방법.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영상출력장치를 포함한 영상출력장치의 개수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의 제어방법.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영상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단계는,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에 및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개수에 따라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의 제어방법.
- 영상출력장치에 있어서,광원부와;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를 입력받는 입력부와;영상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와;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에 따라, 영상을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영상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출력장치.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를 입력받는 메뉴를 출력하도록 상기 영상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
-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는,적어도 하나의 다른 영상출력장치와의 상대적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는 1개이고,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는,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이거나,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는 2개이고,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는,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상부, 가운데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이거나,상기 다른 영상출력장치의 좌측, 가운데 및 우측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의 제어방법.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입력부는, 상기 영상출력장치를 포함한 영상출력장치의 개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위치에 및 상기 영상출력장치의 개수에 따라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영상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출력장치.
- 제1 프로젝터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상기 1프로젝터에서, ‘상기 1프로젝터와 상기 2프로젝터와의 상대적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상기 2프로젝터에서, ‘상기 2프로젝터와 상기 1프로젝터와의 상대적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상기 1프로젝터에서 입력받은 상기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1프로젝터의 영상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단계;및상기 2프로젝터에서 입력받은 상기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2프로젝터의 영상을 조절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프로젝터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
- 제1 프로젝터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젝터는,상기 1프로젝터와 상기 2프로젝터와의 상대적 위치를 입력받는 제1 입력부; 및상기 1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1프로젝터의 영상을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1제어부를 포함하고,상기 제2 프로젝터는,상기 2프로젝터와 상기 1프로젝터와의 상대적 위치를 입력받는 제2 입력부; 및상기 2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상대적 위치에 따라, 상기 1프로젝터의 영상을 조절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 2제어부를 포함하는. 제1 프로젝터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프로젝션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4227A KR20110026360A (ko) | 2009-09-07 | 2009-09-07 | 영상 출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12/784,561 US20110058043A1 (en) | 2009-09-07 | 2010-05-21 | Image out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4227A KR20110026360A (ko) | 2009-09-07 | 2009-09-07 | 영상 출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6360A true KR20110026360A (ko) | 2011-03-15 |
Family
ID=4364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4227A KR20110026360A (ko) | 2009-09-07 | 2009-09-07 | 영상 출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10058043A1 (ko) |
KR (1) | KR2011002636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66734A1 (ko) * | 2016-10-07 | 2018-04-12 | 전자부품연구원 | 프로젝터 자세에 연동하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54238B2 (en) * | 2016-11-11 | 2018-12-11 | Roland Dg Corporation | Projection system and modeling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26659B2 (ja) * | 2000-03-27 | 2006-09-27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投写表示システム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
US6811264B2 (en) * | 2003-03-21 | 2004-11-02 |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 Geometrically aware projector |
-
2009
- 2009-09-07 KR KR1020090084227A patent/KR2011002636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
- 2010-05-21 US US12/784,561 patent/US20110058043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66734A1 (ko) * | 2016-10-07 | 2018-04-12 | 전자부품연구원 | 프로젝터 자세에 연동하는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10058043A1 (en) | 2011-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93246B2 (en) | Projection system and automatic setting method thereof | |
US20170229099A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 |
CN105247414B (zh) | 影像投射装置 | |
US10630949B2 (en) | Projection system and automatic setting method thereof | |
US10652510B2 (en) | Projection system and automatic setting method thereof | |
US9280936B2 (en) | Image display unit, mobile phone and method with image adjustment according to detected ambient light | |
EP1821534A3 (en) |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thereof | |
EP2824936B1 (en) | Projector, projector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jector control program | |
KR20130035682A (ko) | 프로젝터 장치에서 영상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
KR20210157390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최적화 방법 | |
JP2008299066A (ja) | 表示装置の表示調整方法 | |
US20180300017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 |
WO2012120586A1 (ja) | 投写型画像表示装置及び光量調整方法 | |
KR20110026360A (ko) | 영상 출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JP6583932B2 (ja) |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 |
CN110770650A (zh) | 投影型影像显示装置 | |
JP2012047850A (ja) | 投射型表示装置 | |
KR20110080784A (ko) | 멀티비전 시스템 및 멀티비전 화면의 화이트 밸런스 방법 | |
KR101575313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방법 | |
US20150247905A1 (en) |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Control Device of Medical Equipment | |
JP2012078393A (ja) |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映像信号発生装置 | |
KR102735461B1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212565B1 (ko) | 모니터 프라이버시 보호 장치 | |
JP2015052874A5 (ko) | ||
JP6552217B2 (ja) | 投影装置、投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