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885A - Livestock Sterilizer - Google Patents
Livestock Steriliz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20885A KR20110020885A KR1020110005150A KR20110005150A KR20110020885A KR 20110020885 A KR20110020885 A KR 20110020885A KR 1020110005150 A KR1020110005150 A KR 1020110005150A KR 20110005150 A KR20110005150 A KR 20110005150A KR 20110020885 A KR20110020885 A KR 201100208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infection
- livestock
- disinfecting
- tunnel
- steriliz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3330 chicken m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ODINCKMPIJJUCX-UHFFFAOYSA-N Calcium oxide Chemical compound [Ca]=O ODINCKMPIJJUC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2255 calcium ox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292 calcium 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0951498 Brachypteraciid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08000007212 Foot-and-Mouth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0
- 241000710198 Foot-and-mouth disease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6010022000 influenz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03 hoof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486 vacc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12 vir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72517 Anser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1566 Av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143 Bacteri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994 Cerv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642 Drool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979 Influenza in Bird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630 Sialo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6142 Vir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2531 ano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4097 avian influenz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2362 bacterial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8 dead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428 decreased appeti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1760 high fe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8 infecti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385 viral infe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사나 돈사 계사 등 각종 축사에 적용할 수 있는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치가 쉽고 외부 공기를 통해서 유입되는 각종 세균을 소독하여 청정 축사를 최소 인원으로 상시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축사용 소독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소나 돼지, 닭과 같은 각종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1)용 소독장치에 있어서, 축사(1)의 벽면(2) 개방부위에 커튼형 소독장치(10)를 설치하되, 상기 커튼형 소독장치(10)는 벽면(2)에 사각틀 형상의 지지체(11)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11)에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횡방향으로 축봉(12a)(13a)을 설치하여 소독커튼(12b)(13b)을 무한궤도 타입으로 걸어서 모터(16)의 구동으로 일괄 회전하는 1소독부(12)와 2소독부(13)를 조합한 제1,2,3소독부 어셈블리(14)(14')(14")를 적어도 하나이상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출입구(3)에 터널형 소독장치(30)를 설치하되, 상기 터널형 소독장치(30)는 가축과 관리자가 이동하는 터널(31) 내측으로 분사노즐(32)을 설치하고, 상기 터널(31) 바닥의 집수부(33)와 배관 연결된 소독약액이 담겨지는 소독수조(34)를 터널(31) 외부에 설치하며, 상기 분사노즐(32)과 소독수조(34)를 가압펌프(35)가 중도에 배관된 공급관(36)으로 연결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infection apparatus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barns, such as barn or pig house, more specifically, easy to install and sterilizes various bacteria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to maintain a clean barn with minimum personnel at all times. It is to provide a livestock sterilizer.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sinfection device for barns (1) for raising various livestock such as cattle, pigs, chickens, the curtain type disinfection device 10 is installed on the wall (2) opening of the barn (1), Curtain-type disinfection device 10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2) of the rectangular frame-shaped support 11, the support 11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end shafts 12a, 13a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spectively, disinfection curta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erilizing unit assemblies 14 in which the first sterilizing unit 12 and the second sterilizing unit 13 are combined by walking the 12b and 13b in an endless track type, and collectively rotating by driving the motor 16. At least one 14 'or 14' is provided.
And install the tunnel-type disinfection device 30 in the entrance (3), the tunnel-type disinfection device 30 is installed a spray nozzle 32 into the tunnel 31 to move the livestock and the manager, the tunnel ( 31) The disinfection tank 34 containing the disinfectant solution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collecting part 33 is installed outside the tunnel 31, and the injection nozzle 32 and the disinfection tank 34 are pressurized pumps 35. It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36 piped in the midd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우사나 돈사, 계사 등 각종 축사에 적용할 수 있는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필요시 설치와 보관이 쉽고 외부 공기를 통하거나 가축등에 의하여 유입되는 각종 바이러스(병균)를 소독하여 축사 실내외 유해 바이러스의 침범을 원천적으로 막아 청정 축사를 최소 인원으로 상시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축사용 소독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infection apparatus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barns such as barns, pigs, cages, etc. More specifically, it is easy to install and store when necessary, and sterilizes various viruses (germs) introduced through outside air or by livestock. It is to provide a livestock sterilizer that prevents the invasion of indoor and outdoor harmful viruses at the source to maintain the clean house with the minimum number of people at all times.
최근 소나 돼지와 같은 가축 전염병 구제역과, 닭이나 오리 등 조류관련 전염병인 인플루엔자(influenza) 등의 급성 바이러스로 인해서 국가 전체의 축산업에 재난사태를 맞고 있다.Recently, livestock epidemics such as cattle and pigs, and acute viruses such as influenza, a bird-related epidemic such as chickens and ducks, are facing disasters in animal husbandry throughout the country.
구제역은 소·돼지·양·사슴 등 발굽이 두개로 갈라진 동물(우제류)에서 발생하는 제1종 바이러스성 가축전염병으로 전염된 동물은 고열을 띠며 입과 발굽·유방 등에 물집(수포)이 생기고 다량의 침을 흘리는 증상을 나타낸다. 또한 식욕 부진 증상과 다리를 질질 끄는 행동을 보이다가 죽게 되는 치명적인 질병이다.Foot-and-mouth disease is a
구제역의 전염은 감염 동물 자체와 배설물, 관련 축산물은 물론 사료·차량·사람 및 황사 등 공기를 통해서도 급속히 전염돼 폐사율이 5∼55%에 이르며 현재로서는 전염되면 치료 방법도 없어 구제역에 걸린 가축은 가축전염 예방법에 따라 모두 도살·매립·소각하도록 돼 있다.The spread of foot-and-mouth disease is spread rapidly through the air, including feed animals, excreta, and related livestock products, as well as feed, vehicles, humans, and yellow dust, resulting in a mortality rate of 5 to 55%. All are slaughtered, buried and incinerated according to the Prevention Act.
특히 한번 발생하면 전염범위가 최대 반경 2백50㎞에 달하고 바이러스 종류가 다양해 동·축산물 국제교역시 최대의 규제대상이다.In particular, once infected, the range of infection reaches a maximum radius of 250 km and the variety of viruses is the largest regulation of international trade in animal and livestock products.
국제 수역사무국(OIE)에서 지정한 가축전염병 가운데 가장 위험한 A급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국제수역사무국의 법규상으로 구제역의 잠복기간은 14일이지만, 실제적으로는 3내지 5일정도로 매우 빠르다. 심급성의 경우에는 바이러스 감염후 18시간내에 증상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It is designated as the most dangerous class A viral epidemic among the livestock epidemics designated by the International Water Bureau (OIE), and under the regulations of the International Water Bureau, the incubation period of foot-and-mouth disease is 14 days, but in reality it is very fast, 3 to 5 days. In acute cases, it has been reported that symptoms may occur within 18 hours after viral infection.
구제역은 우제류에는 치명적이지만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고, 감염된 고기를 사람이 먹는다 하더라도 인체에 전혀 영향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Foot-and-mouth disease is deadly to cows, but it is not infected by humans, and even if humans eat infected meat, it has no effect on the human body.
구제역은 원래 유럽에 이어 남미와 동남아 국가에서 발생했으나 수년전부터 필리핀과 대만을 중심으로 동아시아로 급속히 확산되었다.Foot-and-mouth disease originated in Latin America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following Europe, but it has been rapidly spreading to East Asia for several years.
상기한 바와 같이 구제역이나 인플루엔자가 발생할 경우 예방백신 주사방법이 있으나, 접종 후 2주일이 지나야 효과가 있는데, 2주 동안 다른 축사로 전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현재까지는 해당지역 농가 뿐 아니라 법적으로 정해진 범위 내의 가축들을 살처분하여 매몰하고 있으며, 이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나 돼지 등 발굽이 있는 가축에게만 직접 예방 백신 주사와, 전염 우려지역 반경 내의 통행 차량을 소독하고, 농가에서는 수시로 축사 및 축사 주변을 소독하여 질병 발생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f foot-and-mouth disease or influenza occurs, there is a vaccine injection method, but it is effective only two weeks after the inoculation, and it is effective to prevent transmission to another barn for two weeks.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livestock within the range, they are directly prevented from spreading the vaccine directly to hoofed cattle such as cattle and pigs, and disinfecting traffic vehicles within the radius of the area of concern. Disinfection is prevented from spreading disease outbreaks.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들 질병은 접촉성 감염 또는 공기를 통한 감염되어 여러 곳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없었다.However, despite many efforts as described above, these diseases are caused by contact infection or airborne infections , and they cannot be effectively prevented due to the simultaneous occurrence in various places.
한편 이들 질병이 장기화함에 따라 축산 관련업종의 종사자들은 연일 계속되는 방역에 따라 피로 누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에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se diseases continue to prolong, workers in the livestock-related industries are suffering from the accumulation of fatigue due to their continued protection every day.
또한 축사를 소독하는 특허기술로는 축사용 자동 소독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50546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17296호 등에 제안되고 있으나, 이들의 경우 축사 면적의 크고 작음에 따라 용량 크기 조절이 어렵고 장소를 많이 차지해 불필요시 이동장비를 사용하여야 하고 축사내 온도조절과 공기유입량의 조절이 어렵고 유지 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patent technology for disinfecting the livestock barn is proposed as a technology related to an automatic livestock disinfection system for livestock barns.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size of the capacity and occupy a lot of pla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mobile equipment when it is not necessary.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가축의 구제역이나 조류 인플루엔자 등의 발명에 따른 소독관련 문제점을 해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필요시 언제든 설치와 보관이가 쉽고 외부 공기를 통해서 유입되는 각종 세균을 소독하여 청정 축사를 최소 인원으로 상시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구제역 등의 각종 질병을 막기 위한 축사용 소독장치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disinfection-related problems according to the invention, such as foot-and-mouth disease or avian influenza of the conventional livestock, in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and store at any time, and is easily introduced through the outside ai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with technical problems in providing a livestock disinfec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various diseases such as foot and mouth disease by disinfecting various germs so as to always maintain and maintain a clean house with a minimum number of people.
전염성 높은 우제류 가축등과 조류 바이러스 등의 급성전염병의 확산 및 방지, 예방을 위한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축사의 출입구와 벽면의 개방된 모든 부분에 터널형 소독장치와 커튼형 소독장치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이러스를 멸균할 수 있게 하였다.
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for the spread, prevention and prevention of acute infectious diseases such as high infectious cattle cows and avian viruse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tunnel-type disinfection device and a curtain-type disinfection device in all entrances and walls of the barn Viruses from outside can be sterilized.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축사용 소독장치를 사용할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When using a livestock steriliz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최소의 인력으로 수동 및 자동 소독 작업을 행할 수 있고, 필요시 언제든 신속하게 설치와 철수가 용이하며 설치비용이 저렴하다.1. Manual and automatic disinfection work with minimum manpower, easy installation and withdrawal whenever necessary and low installation cost.
2. 지면 쪽 소독조에 소독약액등을 보충하는 수고로움으로 24시간 소독 방역이 가능하다.2.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infection for 24 hours because of the effort of replenishing disinfectant solution on the ground side disinfection tank.
3. 접촉성 감염 또는 공기를 통한 비접촉성 감염이 축사내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3. Contact infection or non-contact infection through air can be completely blocked from entering the hous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축사의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축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서 축사의 벽면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는 커튼형 소독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축사용 소독장치의 소독부 배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축사용 소독장치의 소독부 배치상태의 다른 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축사용 소독장치의 소독부 배치상태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축사용 소독장치에서 축봉으로 소독약액 또는 스팀수가 분사되는 예를 보인 요부 발췌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서 축사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터널형 소독장치의 단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ar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bar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rtain type disinfection device installed on the wall open portion of the barn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sinfection unit arrangement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livestock sterilizer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disinfection unit arrangement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livestock sterilizer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disinfection unit arrangement state of the livestock livestock ster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tract of the main part showing an example of the disinfectant solution or steam water sprayed to the shaft in the present invention livestock sterilizer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unnel type disinf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entrance of the barn as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축사용 소독장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livestock steriliz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축사의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축사의 일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bar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bar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소나 돼지, 닭 등 각종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1)는 가축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지만 통풍이 가능하도록 벽면(2)의 일부를 개방하며, 가축 및 관리자가 출입하는 출입구(3)를 설치하고 천장에는 통풍구(4)를 설치한 구성으로 건축된다.The barn (1), which breeds various livestock such as cattle, pigs, and chickens, varies slightly depending on the livestock, but opens a part of the wall (2) to allow ventilation, and installs an entrance (3) for livestock and a manager to enter and a vent on the ceiling. It is built with the structure which installed (4).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축사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벽면(2)의 개방부위에는 커튼형 소독장치(10)를 좁은 폭으로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설치하고, 출입구(3)에는 터널형 소독장치(30)를 설치하며, 통풍구(4)에는 자외선 살균 또는 끓는 물 소독과 스팀분사장치(40) 등을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전이될 수 있는 열에 약한 구제역이나 인플루엔자 등과 같은 바이러스 균을 소독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barn, the opening part of the wall surface (2) is installed in a compact configuration of the curtai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서 축사의 천정 또는 벽면의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는 커튼형 소독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urtain type disinf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ceiling or the open part of the wall as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본 발명 제 1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커튼형 소독장치(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2)에 사각틀 형상의 지지체(11)를 설치하고, 지지체(11)에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횡방향으로 축봉(12a)(13a)을 설치하여 소독커튼(12b)(13b)을 무한궤도 타입으로 걸 고, 상단 또는 하단의 축봉(12a)(13a)을 체인(15)으로 상호 연결하여 모터(16)의 구동에 의해 일괄 구동도록 1소독부(12)와 2소독부(13)를 합하여 구성한 제1,2소독부 어셈블리(14)(14')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한다. 이때 상기 지지체(11)는 소독커튼(12b)(13b)의 단부를 감싸고 있는 구성이고, 상하측 축봉(12a)(13a)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되게 한다.Curtain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1소독부 어셈블리(14)는 1소독부(12)와 2소독부(13) 중 1소독부(12)의 하단은 지면쪽에 생석회가 감진 생석회조(17)와 하단이 접하도록 하고 상단에는 통기로(18)가 형성되며, 안쪽에 있는 2소독부(13)는 상부는 지지체(11)쪽에 설치된 접지롤러(19)와 면접하고, 하부에 통기로(18)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그리고 안쪽에 위치하는 제2소독부 어셈블리(14')는 1소독부(12)와 2소독부(13) 중 1소독부(12)의 하단은 지면쪽에 위치하는 소독약액이 담긴 약액조(20)에 하단이 침지되고 상단에는 통기로(18)가 형성되며, 안쪽에 있는 2소독부(13)는 상부는 지지체(11)쪽에 설치된 접지롤러(19)와 면접하고, 하부에 통기로(18)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cond
그리고 상기 제2소독부 어셈블리(14')의 2소독부(13)의 상단에는 약액조(20)와 중도에 가압펌프(21a)가 설치된 공급관(21)과 연결되는 분사노즐(22)을 배치하여 소독약액을 분사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소독커튼(12b)(13b)은 1~2m 폭으로 제공되는 것을 겹쳐 잇거나 겹친 상태로 넓게 사용하면 된다.The disinfecting curtain (12b) (13b) may be used in a wide or overlapping state that is provided with a width of 1 ~ 2m.
상기 소독커튼(12b)(13b)은 흡착성이 있는 일반적인 섬유와 기능성 섬유등을 사용하여 축사 지붕이나 벽면 등에 설치되게 하고, 창문을 통해서 유입되는 햇빛 등에 의해 축사 내부가 어두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없도록 한다.The disinfecting curtains (12b) and (13b) are installed on the roof or wall of the barn using general fibers and functional fibers with adsorption, and there is no problem such as darkening of the inside of the barn by sunlight entering through the window. .
상기한 커튼형 소독장치(10)는 주로 바이러스의 활동하는 동절기에 사용하므로 한겨울 축사의 보온 문제를 해소하는 기능성도 제공하게 된다.The curtain
상기 생석회조(17)와 약액조(20)에는 생석회나 구제역을 담아서 인플루엔자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소독약액을 담아둔다.The quicklime
상기 소독커튼(12b)(13b)은 하절기 지지체 하측 축봉(12a)(13a)을 분리한 상태에서 상측 축봉(12a)(13a) 쪽으로 말아서 고정한다.The disinfecting
도 5는 본 발명 축사용 소독장치의 소독부 배치상태의 다른 예를 보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disinfection unit arrangement state of the livestock livestock ster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는 상기와 같이 커튼형 소독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1소독부 어셈블리(14) 상단의 지지체(11)에는 자외선 살균기(23)를 설치하여 1소독부(12)와 2소독부(13)를 조사할 수 있게 하고, 안쪽에 위치하는 제2소독부 어셈블리(14') 상단의 지지체(11)에는 스팀 살균기(24)를 설치하여 1소독부(12)와 2소독부(13)를 스팀 살균할 수 있게 하여 통기로(18)를 통해서 이동하는 공기를 다중으로 살균되게 한다.In forming the curtain-
상기 자외선 살균기(23)와 스팀 살균기(24)는 구매품을 사용하며, 자외선 살균기(23)는 자외선 등을 조사하여 살균토록 하는 것이고, 스팀 살균기(24)는 100도 이상의 고온의 스팀을 분사토록 한 것이다.The
도 6은 본 발명 축사용 소독장치의 소독부 배치상태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disinfection unit arrangement state of the livestock livestock ster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는 상기 도 3, 4와 같은 커튼형 소독장치(10)를 기본으로 하고, 실내쪽으로 제3소독부 어셈블리(14")를 더 설치한 구성이다.This is based on the curtain-
상기 제3소독부 어셈블리(14")는 안쪽에 위치하는 1소독부(12)의 하단을 지면쪽에 위치하는 전기히터(25a)가 내장된 끓는 물이 담긴 스팀조(25)에 하단이 침지되고 상단에는 통기로(18)가 형성되며, 안쪽에 있는 2소독부(13)는 상부는 지지체(11)쪽에 설치된 접지롤러(19)와 면접하고, 하부에 통기로(18)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third
그리고 상기 제3소독부 어셈블리(14")의 2소독부(13) 상단에는 스팀조(25)와 중도에 가압펌프(26a)가 설치된 공급관(26)과 연결되는 분사노즐(27)을 배치하여 소독약액을 분사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또한 제1 내지 제3소독부 어셈블리(14)(14')(14")의 1소독부(12) 상단에 자외선 살균기(23)를 설치하여 1소독부(12)와 2소독부(13)를 살균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n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소독부 어셈블리를 설치한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들의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 가능하며, 바람직한 예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러한 제1,23소독부 어셈블리(14)(14')(14")의 배치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 example of installing three disinfection unit assembly, it can be installed in a variety of methods, a preferred example is shown in Figure 7, such as the first, 23
상기와 같은 커튼형 소독장치(10)를 설치할 경우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가 축사(1) 내로 유입될 때 제1,2소독부 어셈블리 사이의 좁은 통기로(18)를 통해서 이동되는데, 이때 생석회에 노출되거나 소독약액에 젖어 있는 제1,2소독부 어셈블리의 소독커튼(12b)(13b)에 세균등을 포함하는 먼지들이 흡착 처리되며, 제1,2소독부 어셈블리 사이의 통기로(17)상에 설치되어 있는 자외선 살균기(23)와 스팀 살균기(24)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가 순간적으로 살균되어 청정 상태의 공기가 축사(1)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installing the curtain
또한 도 6과 같이 제3소독부 어셈블리(14")를 설치할 경우 1차 생석회, 2차 자외선, 3차 소독약액, 4차 자외선, 5차 스팀 등 여러 차례의 살균처리가 동시 다발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의 기능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third
본 발명에서 별도 도시 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2,3소독부 어셈블리(14)(14')(14")는 각각 단독 또는 2가지 이상 복합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disinfecting
도 7은 본 발명 축사용 소독장치에서 축봉으로 소독약액 또는 스팀수가 분사되는 예를 보인 요부 발췌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7 shows the main portion excerpts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disinfectant solution or steam water is sprayed to the shaft in the livestock steriliz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는 제2소독부 어셈블리(14') 또는 제3소독부 어셈블리(14")를 구성하는 2소독부의 축봉(13a)을 파이프로 구성하고, 축봉(13a)에 분사공(13a-1)을 형성하되, 축봉(13a)에는 약액조(20) 또는 스팀조(25)와 중도에 가압펌프(21a)(26a)가 설치된 공급관(21)(26)을 로터리조인터(28)로 연결하여 소독약액 또는 끓는 물이 소독커튼(13b)에 분사되게 한다.This constitutes a pipe of the
그리고 제2소독부 어셈블리(14') 또는 제3소독부 어셈블리(14")를 구성하는 1,2소독부의 소독커튼(12b)(13b) 측면에는 지지체(11)에 양단이 고정되는 브러시롤러(29)를 설치하여 소독커튼(12b)(13b)의 표면을 청소할 수 있게 한다.And both ends of the disinfection curtain (12b, 13b)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ion parts constituting the second disinfection unit assembly (14 ') or the third
이러한 구성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분진 등이 소독커튼(13b)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소독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This configuration is to prevent the dust and the lik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o stick to the disinfection curtain (13b) serves to increase the disinfection effect.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서 축사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터널형 소독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8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unnel disinfection device installed in the entrance of the house as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터널형 소독장치(30)는 일자형 또는 ㄱ자형 등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축사(1)의 출입구(3)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Tunnel-
바람직한 예로는 가축과 관리자가 이동하는 터널(31) 내측으로 분사노즐(32)을 설치하고, 터널(31) 바닥의 집수부(33)와 배관 연결된 소독약액이 담겨지는 약액수조(34)를 터널(31)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한다.As a preferred example, the injection nozzle 32 is installed inside the tunnel 31 where the livestock and the manager move, and the chemical liquid tank 34 containing the disinfectant solution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33 at the bottom of the tunnel 31 is tunneled. (31) To be installed inside or outside.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32)과 소독수조(34)를 가압펌프(35)가 중도에 배관된 공급관(36)으로 연결한다.The injection nozzle 32 and the disinfection tank 34 are connected to a supply pipe 36 in which a pressure pump 35 is piped in the middle.
또한 상기 터널(31)에는 양측으로 가압펌프(35)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감지센서(37)를 설치하여 터널(31)로 가축이나 관리자가 이동할 때 가압펌프(35)의 구동이 이루어져 소독약액이 터널(31) 내부에 분사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tunnel 31 is equipped with a sensing sensor 37 for determining whether to drive the pressure pump 35 on both sides to drive the pressure pump 35 when the livestock or the manager moves to the tunnel 31 is disinfectant solution It can be injected into the tunnel 31.
그리고 터널(31)의 양단에는 자동문(38)을 설치하여 가축과 관리자가 근접할 때 자동문(38)이 개폐될 수 있게 한다. And the automatic door 38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tunnel 31 so that the automatic door 38 can be opened and closed when the livestock and the manager are in close proximity.
이러한 구성은 축사(1)를 수시로 출입하는 관리자 등으로부터 세균 감염을 확실하게 예방하여 축사(1) 내부를 청정지역으로 유지하여 질병으로부터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This configuration ensures safety from diseases by keeping the inside of th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equivalent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1:축사 2:벽면
3:출입구 4:통풍구
10:커튼형 소독장치 11:지지체
12:제1소독부 12a,13a:축봉
12b,13b:소독커튼 13:제2소독부
14,14',14":제1,제2,제3소독부 어셈블리
15:체인 16:모터
17:생석회조 18:통기로
19:접지롤러 20:약액조
21:공급관 21a:가압펌프
22:분사노즐 23:자외선 살균기
24:스팀 살균기 25:스팀조
25a:전기히터 26:공급관
26a:가압펌프 27:분사노즐
28:로터리조인터 29:브러시롤러
30:터널형 소독장치 31:터널
32:분사노즐 33:집수부
34:소독수조 35:가압펌프
36:공급관 37:감지센서
38:자동문 40:자외선 살균등1: Barn 2: Wall surface
3: Entrance 4: Ventilation
10: curtain type disinfection device 11: support
12:
12b, 13b: Disinfection curtain 13: second disinfection unit
14,14 ', 14 ": first, second, third disinfection assembly
15: Chain 16: Motor
17: Quick sack 18: By aeration
19: Grounding roller 20: Chemical solution tank
21:
22: spray nozzle 23: ultraviolet sterilizer
24: steam sterilizer 25: steam
25a: Electric heater 26: Supply pipe
26a: Pressure pump 27: Injection nozzle
28: rotary joint 29: brush roller
30: tunnel type disinfection device 31: tunnel
32: spray nozzle 33: collecting part
34: disinfection water tank 35: pressure pump
36: supply pipe 37: detection sensor
38: Automatic door 40: Ultraviolet sterilization lamp
Claims (11)
축사(1)의 벽면(2) 개방부위에 커튼형 소독장치(10)를 설치하되,
상기 커튼형 소독장치(10)는 벽면(2)에 사각틀 형상의 지지체(11)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11)에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횡방향으로 축봉(12a)(13a)을 설치하여 소독커튼(12b)(13b)을 무한궤도 타입으로 걸어서 모터(16)의 구동으로 일괄 회전하는 1소독부(12)와 2소독부(13)를 조합한 제1소독부 어셈블리(14)를 설치하되,
상기 제1소독부 어셈블리(14)는 1소독부(12)와 2소독부(13) 중 1소독부(12)의 하단은 지면쪽에 생석회가 감진 생석회조(17)와 하단이 접하도록 하고 상단에는 통기로(18)가 형성되며, 안쪽에 있는 2소독부(13)는 상부는 지지체(11)쪽에 설치된 접지롤러(19)와 면접하고, 하부에 통기로(18)가 형성되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소독장치.
In the disinfection apparatus for barns (1) for raising various livestock such as cattle, pigs, chickens,
Install the curtain type disinfection device (10) in the opening of the wall (2) of the barn (1),
The curtain type disinfection device 10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2, the support frame 11 of the rectangular frame shape,
The sterilization curtains 12a and 13a are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11, respectively, so that the disinfecting curtains 12b and 13b are hung in the orbital type to be rotated by the drive of the motor 16. Install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assembly 14 combining the part 12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13,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assembly 14 is the lower end of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2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13 of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2 is in contact with the quicklime quicklime tank 17, the bottom of the quicklime is wound on the ground side and the top An aeration passage 18 is formed therein, and the two sterilization portions 13 inside the upper portion are interviewed with a ground roller 19 installed at the support 11 side, and the aeration passage 18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Livestock disinfection apparatus.
축사(1)의 벽면(2) 개방부위에 커튼형 소독장치(10)를 설치하되,
상기 커튼형 소독장치(10)는 벽면(2)에 사각틀 형상의 지지체(11)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11)에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횡방향으로 축봉(12a)(13a)을 설치하여 소독커튼(12b)(13b)을 무한궤도 타입으로 걸어서 모터(16)의 구동으로 일괄 회전하는 1소독부(12)와 2소독부(13)를 조합한 제2소독부 어셈블리(14')를 설치하되,
상기 제2소독부 어셈블리(14')는 1소독부(12)와 2소독부(13) 중 1소독부(12)의 하단은 지면쪽에 위치하는 소독약액이 담긴 약액조(20)에 하단이 침지되고 상단에는 통기로(18)가 형성되며, 안쪽에 있는 2소독부(13)는 상부는 지지체(11)쪽에 설치된 접지롤러(19)와 면접하고, 하부에 통기로(18)가 형성되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소독장치.
In the disinfection apparatus for barns (1) for raising various livestock such as cattle, pigs, chickens,
Install the curtain type disinfection device (10) in the opening of the wall (2) of the barn (1),
The curtain type disinfection device 10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2, the support frame 11 of the rectangular frame shape,
The sterilization curtains 12a and 13a are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11, respectively, so that the disinfecting curtains 12b and 13b are hung in the orbital type to be rotated by the drive of the motor 16. Install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assembly 14 'combining the unit 12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13,
The second disinfecting unit assembly 14 ′ has a lower end of the first disinfecting unit 12 and the second disinfecting unit 13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first disinfecting unit 12 contains a disinfecting chemical solution 20 located on the ground side. The upper part is immersed and an aeration passage 18 is formed, and the two disinfection portions 13 inside the upper portion are interviewed with the ground roller 19 installed at the support 11 side, and the aeration passage 18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Livestock steriliz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축사(1)의 벽면(2) 개방부위에 커튼형 소독장치(10)를 설치하되,
상기 커튼형 소독장치(10)는 벽면(2)에 사각틀 형상의 지지체(11)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11)에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횡방향으로 축봉(12a)(13a)을 설치하여 소독커튼(12b)(13b)을 무한궤도 타입으로 걸어서 모터(16)의 구동으로 일괄 회전하는 1소독부(12)와 2소독부(13)를 조합한 제3소독부 어셈블리(14")를 설치하되,
상기 제2소독부 어셈블리(14")는 1소독부(12)와 2소독부(13) 중 1소독부(12)의 하단은 지면쪽에 위치하는 전기히터(25a)가 내장된 끓는 물이 담긴 스팀조(25)에 하단이 침지되고 상단에는 통기로(18)가 형성되며, 안쪽에 있는 2소독부(13)는 상부는 지지체(11)쪽에 설치된 접지롤러(19)와 면접하고, 하부에 통기로(18)가 형성되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소독장치.
In the disinfection apparatus for barns (1) for raising various livestock such as cattle, pigs, chickens,
Install the curtain type disinfection device (10) in the opening of the wall (2) of the barn (1),
The curtain type disinfection device 10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2, the support frame 11 of the rectangular frame shape,
The sterilization curtains 12a and 13a are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11, respectively, so that the disinfecting curtains 12b and 13b are hung in the orbital type to be rotated by the drive of the motor 16. Install a third disinfection unit assembly 14 "combining the portion 12 and the two disinfection sections 13,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assembly 14 ″ includes boiling water in which an electric heater 25a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sterilization unit 12 and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13 has a built-in electric heater 25a. The lower end is immersed in the steam tank 25 and the aeration passage 18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two sterilization parts 13 in the inner side are interviewed with the ground roller 19 installed on the support 11 side, Livestock disinf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ssage is formed 18.
상기 지지체(11)에는 제1소독부 어셈블리(14)와, 제2소독부 어셈블리(14')와, 제3소독부 어셈블리(14")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함께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소독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t least two or more of the first disinfecting unit assembly 14, the second disinfecting unit assembly 14 ′, and the third disinfecting unit assembly 14 ″ are installed together on the support 11. Use disinfection device.
상기 지지체(11)에는 제1소독부 어셈블리(14)와, 제2소독부 어셈블리(14')와, 제3소독부 어셈블리(14")를 구성하는 1소독부(12)와 2소독부(13)의 사이의 통기로(18) 상부에는 자외선 살균기(23) 또는 스팀 살균기(24) 중 하나를 설치하여 통기로(18)를 통해서 이동하는 공기를 재차 소독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소독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upport 11 has a first disinfection unit assembly 14, a second disinfection unit assembly 14 ′, a first disinfection unit 12 and a second disinfection unit constituting the third disinfection unit assembly 14 ″ ( 13, the shaft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the ultraviolet sterilizer 23 or steam sterilizer 24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air passage 18 between the air passages 18 to disinfect the air moving through the air passage 18 again. Use disinfection device.
상기 제2소독부 어셈블리(14') 또는 제3소독부 어셈블리(14")를 구성하는 2소독부(13)의 상단에는 약액조(20) 또는 스팀조(25)와 배관 연결된 분사노즐(22)(27)을 설치하여 소독약액을 수시로 분사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소독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 injection nozzle 22 connected to the chemical liquid tank 20 or the steam tank 25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sterilization unit 13 constituting the second disinfection unit assembly 14 ′ or the third disinfection unit assembly 14 ″. ) 27, disinfecting equipment for livest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infectant solution can be sprayed at any time.
상기 제2소독부 어셈블리(14') 또는 제3소독부 어셈블리(14")를 구성하는 2소독부의 축봉(13a)을 파이프로 구성하고, 축봉(13a)에 분사공(13a-1)을 형성하되,
상기 축봉(13a)에는 약액조(20) 또는 스팀조(25)와 중도에 가압펌프(21a)(26a)가 설치된 공급관(21)(26)을 로터리조인터(28)로 연결하여 소독약액 또는 끓는 물이 소독커튼(13b)에 분사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소독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 shaft 13a of the second sterilizing portion constituting the second sterilizing portion assembly 14 'or the third sterilizing portion assembly 14''is formed of a pipe, and a spray hole 13a-1 is formed in the shaft 13a. But
The axial rod (13a) is connected to the chemical solution tank (20) or the steam tank (25) and the supply pipes (21) and (26a) in which the pressure pumps (21a) and (26a) are installed in the middle by a rotary jointer (28). Livestock disinf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iling water is sprayed on the disinfection curtain (13b).
상기 제2소독부 어셈블리(14') 또는 제3소독부 어셈블리(14")를 구성하는 1,2소독부의 소독커튼(12b)(13b) 측면에는 지지체(11)에 양단이 고정되는 브러시롤러(29)를 설치하여 소독커튼(12b)(13b)의 표면을 청소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소독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Brush rollers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support 11 on side surfaces of the disinfecting curtains 12b and 13b of the first and second disinfecting parts constituting the second disinfecting part assembly 14 'or the third disinfecting part assembly 14''. 29) The livestock sterilizer, characterized in that to clean the surface of the disinfection curtain (12b) (13b) by installing.
출입구(3)에 터널형 소독장치(30)를 설치하되,
상기 터널형 소독장치(30)는 가축과 관리자가 이동하는 터널(31) 내측으로 분사노즐(32)을 설치하고,
상기 터널(31) 바닥의 집수부(33)와 배관 연결된 소독약액이 담겨지는 소독수조(34)를 터널(31) 외부에 설치하며,
상기 분사노즐(32)과 소독수조(34)를 가압펌프(35)가 중도에 배관된 공급관(36)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소독장치.
In the disinfection apparatus for barns (1) for raising various livestock such as cattle, pigs, chickens,
Install the tunnel-type disinfection device 30 in the doorway (3),
The tunnel disinfection device 30 is installed to the injection nozzle 32 into the tunnel 31 to move the livestock and the manager,
A disinfection tank 34 containing a disinfectant solution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part 33 at the bottom of the tunnel 31 is installed outside the tunnel 31.
Livestock disinf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nozzle 32 and the disinfection tank 34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36, the pressure pump 35 is piped in the middle.
상기 터널(31)에는 양측으로 가압펌프(35)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는 감지센서(37)를 설치하여 터널(31)로 가축이나 관리자가 이동할 때 가압펌프(35)의 구동이 이루어져 소독약액이 터널(31) 내부에 분사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소독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tunnel 31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37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essurized pump 35 is driven to both sides, so that when the livestock or the manager moves to the tunnel 31, the pressurized pump 35 is driven so that the disinfectant solution is formed. Livestock disinf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be injected into the tunnel (31).
상기 터널(31)에는 양측으로 자동문(3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소독장치.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Livestock disinf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tomatic door 38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unnel (3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5150A KR101335703B1 (en) | 2011-01-18 | 2011-01-18 | disinfection device for livestock bar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5150A KR101335703B1 (en) | 2011-01-18 | 2011-01-18 | disinfection device for livestock bar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0885A true KR20110020885A (en) | 2011-03-03 |
KR101335703B1 KR101335703B1 (en) | 2013-12-06 |
Family
ID=4392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515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5703B1 (en) | 2011-01-18 | 2011-01-18 | disinfection device for livestock bar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570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0953B1 (en) * | 2018-03-21 | 2019-03-22 | 지랜드 주식회사 | Poultry domestication system |
RU2708463C1 (en) * | 2018-10-04 | 2019-12-09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р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академия имени И.И. Иванова" | Method for preventing digestive disorders in newborn calves |
US20210298264A1 (en) * | 2019-12-27 | 2021-09-30 | Jiangsu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 Pig production method by using detachable and washable wet curtai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176278U1 (en) * | 2017-12-01 | 2018-01-15 | Владимир Петрович Сизиков | UV BATTERICIDAL IRRADIATOR-RECIRCULATOR |
KR102350135B1 (en) * | 2019-11-20 | 2022-01-11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portable curtain disinfectio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9497Y1 (en) * | 1996-10-17 | 1999-03-20 | 조재연 | Automatic sterilization for livestock entry and exit |
KR100480006B1 (en) * | 2004-05-10 | 2005-03-31 | 바이오에어텍(주) | Air-house |
US20080184625A1 (en) | 2007-02-06 | 2008-08-07 | Radio Systems Corporation | Insulated Animal Door |
KR101207709B1 (en) * | 2010-05-04 | 2012-12-03 | 정무영 | The stable which can supply clean air by sterilization and can cut off disease |
-
2011
- 2011-01-18 KR KR1020110005150A patent/KR10133570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0953B1 (en) * | 2018-03-21 | 2019-03-22 | 지랜드 주식회사 | Poultry domestication system |
RU2708463C1 (en) * | 2018-10-04 | 2019-12-09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р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академия имени И.И. Иванова" | Method for preventing digestive disorders in newborn calves |
US20210298264A1 (en) * | 2019-12-27 | 2021-09-30 | Jiangsu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 Pig production method by using detachable and washable wet curtain |
US11700830B2 (en) * | 2019-12-27 | 2023-07-18 | Jiangsu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 Pig production method by using detachable and washable wet curtai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5703B1 (en) | 2013-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5703B1 (en) | disinfection device for livestock barn | |
KR101186045B1 (en) | Human body disinfection device for entrance to Domestic Animals Shed | |
KR101408941B1 (en) | Vehicle disinfection system using UV germicidal lamp. | |
JP5246472B2 (en) | Sanitization cleaning system | |
KR100817296B1 (en) | Barn Automatic Sterilization System | |
KR20130090961A (en) | Turnnel type sterilization apparatus | |
CN204745048U (en) | Degassing unit that poultry feeders business turn over plant used | |
KR20160122461A (en) | Device for prevention of disease for use in cattle shed | |
KR101860078B1 (en) | Disinfection apparatus for bacteria of infectious diseases in building facilities | |
CN1926966A (en) |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and its usage | |
Samberg et al. | Application of disinfectants in poultry hatcheries | |
KR20180095145A (en) | Methods for the control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virus by UV-C | |
WO2009046561A3 (en) | Method for the disinfection of poultry barns and livestock sheds using ozone, electrolytically oxidative radicals, uv-c radiation, electrostatic spray technology, excess pressure ventilation and air-humidification technology | |
CN108096614A (en) | Experimental animal disinfection unit | |
CN115885867A (en) | Livestock-raising house trench sewage discharge channel atomizing, disinfecting and air extracting device | |
KR101270600B1 (en) | Disinfecting system for visitor and the disinfecting method for visitor of farm and hatchery using it. | |
CN111328719B (en) | Pig farm biosecurity system | |
GB254577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killing pathogens | |
JP2012239469A (en) | Collapsible shed for preventing animal bacterial disease | |
CN205379480U (en) | Automatic response disinfecting equipment | |
CN112640793A (en) | Ventil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of pig house | |
WO2020254557A1 (en) | Method, device and ventilation system for reducing the microbial pressure in an animal farm production facility | |
CN110506642A (en) | A kind of raising pig house with excrement clearing function | |
CN214385468U (en) | Ventil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of pig house | |
WO2022090586A1 (en) | Air recirculation and/or conditioning system for use as vaccin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12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