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970A - Emergency water tank - Google Patents
Emergency water tan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18970A KR20110018970A KR1020090076470A KR20090076470A KR20110018970A KR 20110018970 A KR20110018970 A KR 20110018970A KR 1020090076470 A KR1020090076470 A KR 1020090076470A KR 20090076470 A KR20090076470 A KR 20090076470A KR 20110018970 A KR20110018970 A KR 201100189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tank
- water
- emergency water
- emergency
- side w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56—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for liq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설치와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나 운반, 보관이 간편한 비상용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 하게는 방수포로 물탱크를 제작하되, 측면은 바닥과 각을 이루어 경사지게 하면 그 물탱크의 중심은 도심 아래로 옮겨지게 되고, 물로 채우면 지지틀이나, 지지대와 고정줄, 그리고 앵커를 설치 하지 않아도 자립하게 되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거나 둘둘 말아서 수송 하거나 창고에 보관하게 할수 있도록 간편한 비상용 물탱크를 제공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water tank that is easy to install and use, easy to carry, transport, and store, and more specifically, to produce a water tank with a tarpaulin, the side of which is inclined at an angle to the bottom of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Is moved down the center of the city, filled with water, it is self-supporting without the need for support frames, supports, anchorages, and anchors. Will be provided.
종래의 비상용 물탱크 즉 공사용이나, 군에서 사용하는 야전용 물탱크는 방수천으로 제작되며, 물을 채울때에 방수포 물탱크가 자립 할수 있도록 측벽면에 일정간격으로 물탱크의 높이에 맞추어 지지대를 장치하고 줄로 앵커에 고정 하거나, 지지틀로 고정한 것을 사용 하였다.Conventional emergency water tanks, that is, field tanks for construction or military use, are made of waterproof cloth, and the supports are mad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ater tank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walls so that the tarpaulin water tanks can be self-supporting when water is filled. It was used to fix it with anchors with strings or with a support frame.
종래의 비상용 물탱크 즉 공사용이나, 군에서 사용하는 야전용 물탱크는 방수포으로 제작되며, 물을 채울때에 방수천 물탱크가 자립 할수 있도록 측벽면에 일 정간격으로 물탱크의 높이에 맞추어 지지대와 고정로프 그리고 앵커를 장치한 물탱크가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설치에 시간이 소요되고, 이동시에는 철거와 수송에 비용과 부품 망실의 우려가 크고, 보관에도 부품수가 많아서 어려움이 뒤 따르고, 부품을 일부라도 망실되면 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 하였다.Conventional emergency water tanks, that is, field tanks for construction or military use, are made of tarpaulin, and the supports are mad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ater tank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wall so that the waterproof cloth tank can stand on its own when filling the water. And water tanks with fixed ropes and anchors have been used. Therefore, it takes time to install, and there is a great concern about cost and parts loss in dismantling and transportation during transportation, followed by difficulties due to the large number of parts in storage, and when some parts are lost, they often failed to function properly. .
본 발명은 방수포 비상용 물탱크를 제작, 사용함에 있어서, 물을 채우며 사용할 때에 측면지지대 장치 없이도 방수포 물탱크가 자립 할수 있도록 상단면에는 그 내주면에 원형 공기튜브를 장치하고, 바닥면과 측벽면이 일정 각도를 유지시켜 물탱크 내부의 수위가 오르락 내리락 해도 자력으로 자립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duction and use of a waterproof tarpaulin emergency water tank, the upper surface is equipped with a circular air tube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tarpaulin water tank can be self-supporting without using a side support device when filling and using water, the bottom surface and side wall surface is constant By maintaining the angle, even if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rises and falls, so that it can stand on its own.
본 발명의 비상용 물탱크는 부속품이 전무한 단일 제품으로, 물을 채우거나 사용할때에 수위가 오르락 내리락 하여도 그 자립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물 탱크로써의 기능이 100% 발휘되며, 다른 부속품이 전혀 없어 망실의 우려가 전혀 없으며, 설치와 철거, 이동과 보관이 아주 편리하며, 신속하게 설치와 철거 그리고 이동과 보관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Emergency water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ngle product with no accessories, even when the water level rises and falls when filling or using, the self-supporting form is maintained as it is, 100% of the function as the water tank, there is no other accessories at all There is no fear of loss, it is very convenient to install and dismantle, move and store, and it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and to move and store quickly.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비상용 물탱크를 지상 평면에 펼쳐 놓고, 공기튜브(10)에 공기 주입구(40)을 통해 공기를 충전한다. 그리고 발브(50)을 통해 비상용 물탱크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 비상용 물탱크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면, 공기튜브(10)에 의해 비상용 물탱크의 측벽(20)이 상부로 상승 하면서 물이 채워진다. 비상용 물탱크에 만수위가 되면 측면은 완만한 공선을 이루며 지지대 없이 자립하게 된다. 이는 비상용 물탱크 내부의 무게심이 도심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됨으로 보조 장치인 지지대나 앵커에 달린 동아줄이 없이도 자립이 가능하게 된다.Unfold the emergency water tank on the ground plane, and fills the air through the
경사각도 θ°는 30°∼ 85°가 적당하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술 한다.The inclination angle θ ° is preferably 30 ° to 85 °.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비상용 물탱크의 단면도로써, 밑면(30)은 직경이 D이고, 상면(60)은 직경이 d이고, 측벽(20)의 높이는 H, 밑면(30)과 측벽(20)면 사이의 각이 θ°로써, 상면(60)과 밑면(30)은 밀폐하거나, 또는 상면(60)은 개방하되, 그 상면(60) 내주면에 공기튜브(10)을 내장한다. 공기튜브(10)에는 공기주입구(40)으로 공기를 넣거나, 배기한다. 그리고 상면 카바(60)에 통기공(70)을 장착 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ergency water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비상용 물탱크에 발브(50)을 열고 급수관을 연결하여 물을 공급하면, 공기는 통기공(70)을 통하여 배기 되면서 서서히 물이 차 오른다When the
도2에서와 같이 물이 차 오르면 밑면(30)의 직경이 윗면(60)보다 크고, 측면(20)의 경사각 때문에 비상용 물탱크는 원추대나 다각뿔대 등의 형태로 물이 차 오르며, 물탱크의 무게중심이 도심보다 아래에 위치 하기 때문에 전도되지 않고 자립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water rises, the diameter of the
물이 어느정도 차 오르면 비상용 물탱크 내부의 수면은 공기튜브(10)과 접촉하게 되고, 수위가 계속 상승하게 되면 공기튜브(10)은 측벽(20)을 끌어 올리며 자립하게 된다.When the water rises to some extent, the water surface inside the emergency water tank is in contact with the
도3과 같이 비상용 물탱크에 만수위가 되면, 발브(50)을 잠그고, 급수관을 철거하며, 물을 저장한 채로 보관하게 된다.When the emergency water tank becomes full, as shown in Figure 3, the
물이 필요한 때에는 발브(50)에 파이프나 호스를 연결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 할수 있다. 물을 뽑아쓰면 비상용 물탱크내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는데, 공기튜브(50)은 낮아지는 수면에 그대로 위치하게 되며, 수위에 관계없이 비상용 물탱크의 무게심은 도심보다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어떠한 경우에도 전도되지 아니한다.When water is required, pipes or hoses can be connected to the
상면 카바(60)과 공기튜브(10)이 없는 경우에는, 물을 채울 때에 측벽(20)의 높이를 관찰하여야 하며, 높이를 일정하게 수시로 조정하지 않으면 그 부분으로 물이 넘쳐흘러 내리게 된다. 배수 할 경우에도 동일한 주의가 필요하다.If there is no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튜브(10)을 비상용 물탱크 상단 내주면에 장착 하였으며, 관리인이 일일이 측벽(20)의 높이를 조절하지 않아도 무방하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도 4는 상면 카바(60)을 제거한 상태이며, 먼지나 낙엽이 없는 지역에서는 무난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산불 진화시 헬리콥터로 소화수를 운반하고 살포할 때에는 상면 카바(60)이 없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4 is a state in which the
발브(50)을 통해 저장된 물을 사용하면, 수위는 낮아지는 동시에 비상용 물탱크의 높이 H도 h로 낮아지는데, 이 경우에도 도 3과 같이 변화된 수위 h의 높이에 공기튜브(10)가 위치해 수위는 변해도 무게심이 도심보다 낮게 위치하게 됨으로 비상용 물탱크는 전도되지 아니하고 자립하게 된다.When the water stored through the
사용이 끝나면 빈 비상용 물탱크를 일정한 크기로 접거나 말아서 수송 하거나 저장 할수 있게 되고 여타 부속품이 전무 함으로 아주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다.After use, the empty emergency water tank can be folded or rolled up to a certain size for transportation or storage, and no other accessories can be used.
도 1은 본 발명의 비상용 물탱크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ergency water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비상용 물탱크의 저수위시 단면도Figure 2 is a low water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ergency water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비상용 물탱크의 만수위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ull water of the emergency water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카바를 제거한 상태의 비상용 물탱크의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ergency water tank with the cover removed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6470A KR20110018970A (en) | 2009-08-19 | 2009-08-19 | Emergency water tan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6470A KR20110018970A (en) | 2009-08-19 | 2009-08-19 | Emergency water tan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8970A true KR20110018970A (en) | 2011-02-25 |
Family
ID=43776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6470A Ceased KR20110018970A (en) | 2009-08-19 | 2009-08-19 | Emergency water tan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18970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14869A (en) | 2014-03-27 | 2018-02-09 |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 Tantalum sputtering targ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
KR20210077181A (en) * | 2019-12-17 | 2021-06-25 |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 Oil recovery storage container |
-
2009
- 2009-08-19 KR KR1020090076470A patent/KR20110018970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14869A (en) | 2014-03-27 | 2018-02-09 |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 Tantalum sputtering targ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
KR20210077181A (en) * | 2019-12-17 | 2021-06-25 |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 Oil recovery storage contain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94170B2 (en) | Portable vertical fluid storage tank | |
US8061552B2 (en) | Storage tank with self-draining full-contact floating roof | |
FR2852917A1 (en) | SEALED COMPARTMENT RECEPTACLE AND METHOD OF PLACING IT TO RECOVER POLLUTANT EFFLUENTS FROM A EPAVE | |
JP6615377B2 (en) | Method and device for collecting water | |
CN101538937A (en) | Access apparatus | |
JP2014095265A (en) | Construction method of cylindrical tank | |
US7487619B2 (en) | Water tank | |
US20120269585A1 (en) | Pumpable Crib | |
KR20110018970A (en) | Emergency water tank | |
US20140227096A1 (en) | Floating support platform for wind turbine | |
JP2001280055A (en) | Methane hydrate collecting device | |
US6758361B2 (en) | Relocatable storage tanks for liquids and granular materials | |
CA2959167A1 (en) | Bladder for containment vessel | |
CN207253603U (en) | A kind of portable now mixed medium expansion foam boat-carrying fire extinguisher | |
JPH09217394A (en) | Water storage tank | |
GB2479391A (en) | Combined water butt stand and watering can filler | |
JPH09314173A (en) | Installation method of aeration device and aeration device for reservoir etc. | |
CN112978115B (en) | Climbing device used in spherical tank | |
JP4341767B2 (en) | Dustproof device for construction | |
RU2305654C2 (en) | Reservoir with floating surface for technological operations with oil or oil products | |
RU2264343C1 (en) | Complex for use of associated gas | |
JP2913331B2 (en) | A method of mounting and supporting a flexible membrane having a dome roof shape and a work platform | |
JP2004092365A (en) | Rainwater storage vessel disposed under floor | |
JPS59180446A (en) | Testing water tank | |
CN202863927U (en) | Variable capacitance type temporary water recei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9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0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8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