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18608A - Store management systems - Google Patents

Store management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608A
KR20110018608A KR1020090076153A KR20090076153A KR20110018608A KR 20110018608 A KR20110018608 A KR 20110018608A KR 1020090076153 A KR1020090076153 A KR 1020090076153A KR 20090076153 A KR20090076153 A KR 20090076153A KR 20110018608 A KR20110018608 A KR 20110018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reless
order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1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관
손병일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프.하이텍
Priority to KR1020090076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8608A/en
Publication of KR20110018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608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점 등의 매장에서 고객, 점원, 작업자 및 계산원 사이의 업무 처리를 무선 통신에 의해 처리하여 매장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저전력 저가형의 매장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power low-cost store management device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tore management and increase the customer satisfaction by processing the business process between customers, clerks, workers and cashiers in a store such as a restaurant by wireless communication.

매장, 호스트 제어기, 무선 주문 단말기, 무선 정보 단말기, 저전력 Store, Host Controller, Wireless Ordering Devic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Low Power

Description

매장 관리 시스템{SHOP MANAGEMENT SYSTEM}Store management system {SHOP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매장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점, 미용실 등의 매장에서 고객, 점원, 작업자 및 계산원 사이의 업무 처리를 무선 통신에 의해 처리하여 매장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장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e manage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in a restaurant such as a restaurant, a beauty salon, and the like, the business process between a customer, a cashier, a worker, and a cashier by wireless communication improves the efficiency of store management and improves customer satisfaction. It relates to a store management device that can be made.

레스토랑, 한식점, 주점, 카페 등의 요식업소에서는 주문 및 계산 시 주문서에 수기로 주문 내역을 기재하여 사용자(예컨대, 종업원) 또는 고객이 카운터에 제출하여 계산을 행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운터에서 주문 내역을 POS로 수동 입력해야 하므로 고객 대기시간이 발생되고, POS 입력 오류로 잘못된 가격이 청구될 수 있으며, 영업 종료 후 정산 시 주문서와 POS를 대조하여 누락항목 점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고객의 주문 내역을 종업원이 구두로 주방으로 통보하여 주문사항이 누락될 수 있고, 주방과 홀에서 서빙하는 종업원 사이의 오해가 발생하거나 종업원이 미숙할 경우 고객이 주문한 음식이 배달되지 않아서 고객의 불만을 살 수 있다. 이와 같이 홀서빙 업무가 복잡하게 진행되어 인력 수급 시 숙련도 있는 종업원을 고용하기 위하여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In restaurants, Korean restaurants, taverns, and cafes, restaurants (Korean restaurants, pubs, cafes, etc.) write orders by hand in the order form and calculate them by submitting them to the counter. Can be. For example, the counter must manually enter the order details into the POS, resulting in customer waiting time, incorrect price due to POS input errors, and checks for missing items by checking the order and POS at checkout after closing.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the order can be missed because the employee verbally informs the kitchen of the customer's order details, and if there is a misunderstanding between the employee serving in the kitchen and the hall or when the employee is immature, the food ordered by the customer is delivered. You can buy customer complaints.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abor costs are increased in order to hire a skilled worker when supplying the manpower is complicated.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현재 요식업소에서는 종업원이 고객으로부터 받은 주문을 통합 관리하는 POS (Point of Sale) 시스템이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POS 시스템은 각 종업원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는 주문단말기와 각 주문 단말기로부터 주문내역을 받아 이를 정산처리하는 카운터 단말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카운터에서 주로 종래의 금전등록기를 대체하여 사용될 뿐이다. 기존의 POS 시스템에서의 주문 단말기는 CDMA 등의 무선모뎀 방식을 사용하여 단말기 등의 구성요소의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크고 무거우며 구성도 복잡하여 고가이므로 중소 매장에서 도입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주방까지 연계되어 고객의 주문이 처리되지 못하고, 주방과 종업원 사이의 업무 처리는 종래의 방식으로 처리되어 고객 주문의 원활한 처리 및 서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restaurants (POS) are currently starting to use a Point of Sale (POS) system that integrates and manages orders received from customers. Such a POS system generally includes an order terminal which each employee carries and receives an order from a customer, and a counter terminal which receives an order history from each order terminal and processes it. The counter is mainly used in place of a conventional cash register. It is only. The order terminal in the existing POS system uses a wireless modem method such as CDMA, and the size of the components, such as the terminal, is larger and larger than necessary, and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expensive. In addition, it is linked to the kitchen, the customer's orders can not be processed, the business process between the kitchen and the employee is processed in a conventional manner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be efficiently processed and serving the customer order efficiently.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지그비(Zigbee) 기술을 이용하여 매장 내의 고객, 종업원, 조리사 등의 작업자, 계산원 등 사이의 주문, 서빙, 결재 등의 전체 단계를 통합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네트워크 매장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Zigbee (Zigbee) technology in the store, the order, serving, payment between customers, employees, such as cooks, cashiers,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network shop management device that enables integrated operation of all the step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장 관리 장치 내의 무선 단말기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저가에 구현이 가능한 매장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re management apparatus that can be implemented at low cost while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in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및 각 구성요소 사이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실장된 중앙정보처리부;A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mounted with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each component;

상기 중앙정보처리부에 연결되고, 각 무선 주문 단말기에서 받은 주문 관련 정보를 중앙정보처리부로 전송하며 중앙정보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 정보 단말기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호스트 제어기; A host controller connected to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ransmitting order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wireless ordering terminal to a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상기 호스트 제어기와 양방향 무선통신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주문 내용을 저장하고, 표시하고, 호스트 제어기 및 무선 정보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주문 단말기; A wireless ordering terminal which bidirectionally communicates with the host controller, stores, displays, and transmits the order contents input by the user to the host controller and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입출력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 제어기에서 보낸 고객 주문 정보를 작업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작업자의 연락 사항을 상기 무선 주문 단말기 또는 상기 호스트 제어기로 전송하는 무선 정보 단말기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store management device having an input and output device, and displays the customer order information sent from the host controller to the worker, and transmits the operator's contact information to the wireless ordering terminal or the host controller.

본 발명의 매장 관리 장치에 의하면, 매장의 전체적인 서비스 처리가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처리되므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여 매장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면서도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verall service processing of the store is processed by the wireless network,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aster and more accurate service,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store management and increasing customer satisfaction.

또한 본 발명의 매장 관리 장치는 저가로 구현이 가능하고 저전력 소모로 유지 관리도 용이하며, 매장에 고임금의 숙련된 점원을 고용하지 않고도 매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인건비 등의 매장 운영 비용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t low cost, easy to maintain and low power consumption, and can efficiently manage the store without hiring a high-skilled clerk in the store, significantly reducing the store operating costs such as labor costs. Can be reduced.

더욱이, 주방에서 구두 또는 서면에 의해 점원 또는 카운터에 연락하지 않고, 무선으로 연락이 가능하므로 주문품(음식)의 신속정확한 서빙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kitchen can be contacted wirelessly orally or in writing without contacting the clerk or the counter, a quick and accurate serving of the ordered food can be achiev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general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매장 관리 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장 관리 장치는 음식점 등의 매장에서 고객의 주문, 서비스 준비(음식의 조리), 서비스 제공(예컨대, 음식의 서빙), 결재 등의 전 과정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처리함으로써 매장 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고객의 주문을 접수하여 주문 내역을 무선으로 카운터 및 주방으로 전송하고, 주방에서 주문 내용을 확인한 후 주문 내역에 따라서 조리하고 조리 완료 후 다시 사용자와 카운터에 이러한 내용을 별도의 디스플레이 또는 무선으로 통보하면, 이에 따라서 테이블 번호 확인후 주문된 음식을 서빙하도록 하는 종합적인 관리 시스템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a store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 network for the entire process of ordering, service preparation (cooking food), service provision (for example, food serving), payment, etc. of the customer in the store, such as restaurants Through the treatmen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store management. The user receives the customer's order and transmits the order details wirelessly to the counter and the kitchen, checks the order contents in the kitchen, cooks them according to the order details, and displays them on a separate display or wirelessly after the cooking is completed. If notified, it is a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to serve the food ordered after confirming the table number accordingly.

도 2를 참조하자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매장 관리 장치는 2,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및 각 구성요소 사이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실장된 중앙정보처리부(40);A central information processor (40) mounted with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each component;

상기 중앙정보처리부에 연결되고, 각 무선 주문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주문 관련 정보를 중앙정보처리부로 전송하고, 상기 중앙정보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 정보 단말기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호스트 제어기(20); A host controller 20 connected to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ransmitting the order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wireless ordering terminal to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상기 호스트 제어기와 양방향 무선통신하고, 각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아 주문 정보를 상기 호스트 제어기 및 무선 정보 단말기로 전송하는무선 주문 단말기(10); A wireless ordering terminal (10) for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ost controller, each user carrying an order and receiving an order from a customer and transmitting order information to the host controller and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입출력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 제어기에서 보낸 고객 주문 정보를 작업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작업자의 연락 사항을 상기 무선 주문 단말기 또는 중앙정보처리부로 전송하는 무선 정보 단말기(30)를 포함한다. And a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30 including an input / output device, displaying customer order information sent from the host controller to a worker, and transmitting contact information of the worker to the wireless order terminal or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중앙정보처리부(40)는 컴퓨터(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능력을 구비하는 임의의 장치로서, 상기 중앙정보처리부(40) 내에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및 각 구성요소 사이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 및 매장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 is any device hav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such as a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a laptop computer, etc. In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system and each component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elements and a program for store management can be installed.

상기 호스트 제어기(20)는 상기 무선 주문 단말기 및 상기 무선 정보 단말기와 무선으로 양방향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때, 무선 통신은 불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 서비스에 적합한 임의의 무선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주문 단말기(10)와 상기 중앙정보처리부(40)는 상기 호스트 제어기(20)를 통해서 무선으로 통신한다. 바람직하게, 지그비(Zigbee)는 1∼100m의 짧은 거리에서 20∼250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로서, 지그비 모듈은 작은 크기로 전력 소모량이 적고 값이 싸, 지그비 모듈을 도입할 경우 본 발명의 매장 관리 장치에서 상기 무선 주문 단말기는 저가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The host controller 20 has a function of wirelessly bidirectionally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ordering terminal and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use any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itable for a service such as Bluetooth, Zigbee, or the like. The wireless ordering terminal 10 and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 communicate wirelessly through the host controller 20. Preferably, Zigbee is a technology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at a speed of 20 to 250 Kbps at a short distance of 1 to 100 m. A Zigbee module is small in size, low in power consumption, and inexpensive. In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order terminal may be implemented at low cost.

상기 무선 정보 단말기(30)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 제어기(20)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호스트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처리해서 주방 및 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고객의 주문 내역, 처리 순서, 특이사항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30 includes a display unit, and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host controller 20 to pro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st controller and display the information in the kitchen and hall. The order of processing, features, etc. are display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주문 단말기(10)는 상기 중앙정보처리부(40) 및 상기 무선 정보 단말기(30)로부터의 모든 정보를 총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MCU, 140);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140)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정보처리부(40) 및 상기 무선 정보 단말기(30)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부(180);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140)에 연결되고, 어두운 환경에서도 식별 가능하도록 조명 장치가 내장된 주문 및 결재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출력 부(130);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140)에 연결되고, 서비스 제공 내역, 고객의 주문 내역, 및 결재 처리를 위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백라이트가 장착된 디스플레이부(120); 상기 디스플레이부(120) 및 상기 입출력부(130)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입출력부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주변 광량을 측정하는 광센서(110); 주문 고객 및 주문 메뉴를 식별하기 위해 RFID 리더(160) 또는 바코드 리더(150); 및 상기 무선통신부(180)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140)에 연결되고,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부(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wireless ordering terminal 10 includes a microprocessor unit (MCU) 140 that collectively controls and controls all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 and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3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80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unit 140 and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 and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30; An input / output unit (130)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unit (140) for inputt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related to ordering and payment in which a lighting device is built so as to be distinguishable even in a dark environment; A display unit 120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unit 140 and equipped with a backlight for displaying service provision details, customer order details, and information for payment processing; An optical sensor (110)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120) and the input / output unit (130) and measuring an amount of ambient light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and the input / output unit; An RFID reader 160 or barcode reader 150 to identify the ordering customer and order menu; And a power supply unit 170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80 and the microprocessor unit 140 for supplying power.

상기 입출력부(130)에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식별 가능하도록 조명 장치가 내장된다. 이러한 입출력부(130)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로 키입력부, 터치패드, 햅틱장치 등일 수 있다.The input / output unit 130 has a built-in lighting device to be distinguishable even in a dark environment. The input / output unit 130 may be a key input unit, a touch pad, a haptic device, or the like as an arbitrary device capable of inputting numbers or letters.

상기 무선 주문 단말기(10)는 전력 절감을 위하여, 주변 광량을 인식하여 디스플레이부(120)의 백라이트 밝기를 조절하고, 또한 주변 광량을 인식하여 입출력부(130)의 조명을 조절하며, 무선통신부(180)를 최종 주문 시에만 활성화하여 단시간 무선통신 후 다시 대기모드로 복귀하며, 실시간으로 전원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전원상태를 표시 및 베터리 충전 및 교체시기를 표시하도록 구현된다. 필요시 즉각 사용할 수 있는 응답성을 높이기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140)는 대기상태로 유지하다가 필요시 활성화되고, 상기 무선통신부(180)는 호스트 제어기(20)와 무선 접속 후 대기상태로 유지하다가 필요시 즉각 정보를 전송한다.The wireless ordering terminal 10 adjusts the backlight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120 by recognizing the amount of ambient light, and also adjusts the illumination of the input / output unit 130 by recognizing the amount of ambient light to reduce power. 180) is activated only in the final order, and returns to the standby mode after short-term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nitors the power status in real time to display the power status and to display the battery charging and replacement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responsiveness that can be immediately used when necessary, the microprocessor unit 140 is kept in a standby state and activated when necessary,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80 is required to maintain a standby state after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host controller 20. Send information immediately upon arrival.

상기 무선 주문 단말기에는 주문자 식별 및 주문항목 식별을 위한 RFID 리더(160) 또는 바코드 리더(150)가 내장되어 사용자의 수동 입력으로 인한 오류를 최소화한다. The wireless ordering terminal has a built-in RFID reader 160 or barcode reader 150 for orderer identification and order item identification to minimize errors due to manual input by the user.

RFID 리더(160)와 바코드 리더(150)는 선택적으로 장착되거나 모두 장착될 수 있다. 고객의 주문을 자동입력하기 위해서는 메뉴판에 RFID 또는 바코드가 인쇄되어야 한다. The RFID reader 160 and the barcode reader 150 may be selectively mounted or both may be mounted. In order to automatically enter a customer's order, RFID or barcode should be printed on the menu board.

전원공급부(170)는 무선 주문 단말기의 휴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터리 또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be implemented as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to facilitate the portable ordering device.

상기 무선 주문 단말기(10)의 동작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무선 주문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요청시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140)가 대기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변경되어 입력대기상태를 표시 및 유지한다. 주문처 (고객 테이블 번호)는 키패드, RFID 리더(160) 및 바코드 리더 (150) 중 한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식별하여 입력을 받는다(S1). 고객 번호가 입력되면 주문 내용(주문 메뉴) 입력모드로 진행되며, 이어서 패드, RFID 리더(160) 및 바코드 리더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주문 번호를 입력 받는다(S2). 주문 내용의 입력이 완료되면 주문수량 입력 모드로 진행되는데, 키패드로 수량을 입력 받는다(S3). 주문 수량 입력후 완료 버튼을 누를 때까지 상기 S2 및 S3 단계가 수차례 반복될 수 있다. 주문 과정이 완료되면 주문 완료 버튼을 누르고(S4), 송신 버튼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 제어기(30)로 전송한다(S5). 주문 내용의 수정을 위해서는 주문 번호 입력 단계(S2)에서 기존 주문내용 항목을 반복하여 입력한 후 주문 수량 입력 단계(S3)에서 수정된 주문 수량을 입력한다. 주문 내용의 취소를 위해서는 주문 번호 입력 단계(S2)에서 기존 주문 내용 항목을 반복하여 입력한 후 주문 수 량 입력 단계(S3)에서 수량을 0으로 입력한다. 확인버튼 및 스크롤 버튼을 이용하여 주문 내용을 전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고객 번호를 누른 후 송신 버튼을 누르면 해당 고객의 주문 내용이 호스트 제어기 및 무선 정보 단말기로 전송된다.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order terminal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Referring to FIG. 4, the wireless order terminal 10 displays and maintains an input standby state by changing the microprocessor unit 140 from a standby state to an operating state when a user requests it. The ordering destination (customer table number) is identified and received in one or more ways of the keypad, the RFID reader 160 and the barcode reader 150 (S1). If the customer number is entered, the order proceeds to the order content (order menu) input mode, and then receives the order number in one or more ways of the pad, the RFID reader 160 and the barcode reader (S2). When the input of the order contents is completed, the order quantity input mode is performed, and the quantity is input by the keypad (S3). Steps S2 and S3 may be repeated several times until the completion button is pressed after entering the order quantity. When the order process is completed, the order complete button is pressed (S4), and data is transmitted to the host controller 30 by using the transmit button (S5). In order to modify the order content in the order number input step (S2) to repeat the existing order content items, and then enter the order quantity modified in the order quantity input step (S3). In order to cancel the order contents, the existing order contents items are repeatedly entered in the order number input step (S2), and the quantity is input as 0 in the order quantity input step (S3). The confirmation button and scroll button can be used to check the entire order. After pressing the customer number and pressing the send button, the customer's order is sent to the host controller and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호스트 제어기(20)는 상기 중앙정보처리부와의 연결을 위한 중앙정보처리부 인터페이스부(230); 상기 중앙정보처리부의 입출력포트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호스트 제어기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40); 상기 무선 주문 단말기 및 상기 무선 정보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210); 및 전체적인 데이터 처리 및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MCU, 2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host controller 20 includes a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nterface unit 230 for connecting to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 power supply unit 240 receiving power from the input / output port of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o supply power to the entire host controlle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ordering terminal and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And a microprocessor unit 220 for overall data processing and control.

호스트 제어기(20)는 중앙정보처리부(40)와 표준 인터페이스인 UART, RS-232, USB등을 지원하여 별도의 전용 장비 없이 중앙정보처리부(4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 제어기(20)는 다중접속기술이 접목되어 있어 다수의 무선 주문 단말기(10)과 무선으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The host controller 20 supports the UART, RS-232, USB, etc., which are standard interfaces with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or 40, so that the host controller 20 can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or 40 without any dedicated equipment. The host controller 20 is a multi-access technology is combined to enable two-way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wireless ordering terminal 10 wirelessly.

상기 호스트 제어기(20)와 같이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중앙정보처리부(40)의 기존 주문 시스템에 주문항목 업데이트 시 주문단말에 부착할 수 있는 라벨 출력기능, 주문항목 업데이트 시 무선 주문 단말기(10)과 유선으로 연결하여 단말기 SW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기능, 단말기 위치를 찾기 위하여 개별 단말기를 호출할 수 있는 호출기능과 같은 부가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Label output function that can be attached to the order terminal when the order item is updated to the existing order system of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 using the software provided with the host controller 20, the wireless order terminal 10 when the order item update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the ability to upgrade the terminal SW by wired connection with a wire and a call function to call individual terminals to find the terminal location can be added.

상기 호스트 제어기는 주문항목 업데이트시 주문 단말에 부착할 수 있는 라벨 출력부; 및 무선 주문 단말기 위치를 찾기 위하여 개별 무선 주문 단말기를 호 출하는 무선 호출부에 관한 부가 SW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st controller may include a label output unit attachable to the order terminal when the order item is updated; And an additional SW relating to a wireless caller that calls an individual wireless ordering terminal to locate the wireless ordering terminal.

도 6을 참조하며, 상기 호스트 제어기(20)는 주문이 접수되어 무선 주문 단말기로부터 주문 관련 정보가 수신되기 전까지는 전력 절감을 위해 대기 모드로 동작한다(S51). 무선 주문 단말기로부터 주문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데이터의 종류를 판별하여 중앙정보처리부(40)로 전송하고(S52 및 S53), 수신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중앙정보처리부(40)의 확인을 거쳐 주문내역을 주방 및 홀 쪽의 무선 정보 단말기로 전송한다(S54). 상기 호스트 제어기(20)는 표준 중앙정보처리부 인터페이스(230)를 이용하므로 기존 구축된 시스템에 최소한의 변경으로 손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매장 관리 장치는 시스템 적응성이 뛰어나므로 무선주문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비용이 최소화 된다.Referring to FIG. 6, the host controller 20 operates in a standby mode for power saving until an order is received and order related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order terminal (S51). When the order data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ordering terminal, the type of data is determined and transmitted to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 (S52 and S53), and the order details are confirmed by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40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type. To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of the kitchen and hall side (S54). Since the host controller 20 uses the standard central information processor interface 230, i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existing system with minimal changes. Therefore,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system adaptability, thereby minimizing the cost for adding a wireless ordering function.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무선 정보 단말기(30)는 상기 호스트 제어기와 양방향으로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310); 상기 호스트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며 상기 무선 정보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MCU, 320);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의 제어를 받아 일반 모니터 신호로 변환하여 주방용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제 1신호변환부(330);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의 제어를 받아 일반 모니터 신호로 변환하여 홀용 디스플레이부로로 전송하는 제 2 신호변환부(360);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에 연결된 주방용 입출력 포트(350)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신호변환부(330)로부터 주문 관련 정보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주문의 처리 완료 후 상기 호스트 제어기에 완료 내용을 전송하는 주방용 디스플레이부(380); 상기 마이크로프 로세서 유니트에 연결된 홀용 입출력 포트(370)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신호변환부(360)로부터 주문 관련 정보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처리된 주문 내용과 주문처를 표시하는 홀(hall)용 디스플레이부(390);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340)는 상기 무선 주무 단말기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터리 또는 충전형 배터리로 구현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3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0 which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in both directions with the host controller; A microprocessor unit (MCU) for proces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st controll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A first signal converting unit 330 which is converted into a general monitor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unit and transmitted to a kitchen display unit; A second signal converter 360 which is controlled by the microprocessor unit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a general monitor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hall display unit; The kitchen input and output port 350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unit, and receives the order-related information from the first signal converting unit 330, a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order for the kitchen for transmitting the completion contents to the host controller A display unit 380; Hall for input and output port 370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unit, receiving the order-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econd signal conversion unit 360, and displays the processed order content and order destination A display unit 390; And a power supply unit 340 for supplying power. The power supply unit 340 is implemented as a battery or a rechargeable battery to improve the portability of the wireless sleeping terminal.

상기 무선 정보 단말기(30)는 범용 디스플레이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신호변환부를 내장하여 범용성이 우수하고, 디스플레이부는 용도에 따라 주방용과 홀용으로 나뉜다. 주방용 디스플레이부(380)에는 주문 번호와 주문 내용이 표시된다. 해당 주문의 처리가 완료되면 주방용 입출력 포트(350)를 이용하여 호스트 제어기(20)에 완료 내용을 송신한다. 주방용 입출력 포트(350)는 방수기능을 지원하며 손쉽게 터치가 가능한 큰 버튼 등의 형태로 구성된다. 한편, 홀용 디스플레이부(390)에는 처리된 주문내용과 주문처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주문내용과 주문처(고객 테이블)를 확인하여 주문품(주문 음식)을 픽업할 때 홀용 입출력 포트(370)를 이용하여 호스트 제어기(20)에 픽업사실을 통보한다. 홀용 디스플레이부(390)에는 테이블 번호가 표시되고, 홀 담당 사용자는 테이블 번호 확인 후 조리된 음식을 서빙한다.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30 has a built-in signal conversion unit that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general-purpose display, excellent in versatility, and the display unit is divided into kitchen and hall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kitchen display unit 380 displays the order number and the order contents. When the processing of the order is completed, the completion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host controller 20 using the kitchen input / output port 350. The kitchen input / output port 350 supports a waterproof function and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arge button that can be easily touched. On the other hand, the hall display unit 390 displays the processed order content and the order destination. When the user checks the order contents and the order table (customer table) to pick up the ordered product (order food), the host controller 20 is notified of the pickup fact using the hall input / output port 370. The hall display unit 390 displays a table number, and the user in charge of the hall serves the cooked food after checking the table number.

도 8을 참고하면, 무선 정보 단말기(30)는 평소 수신 대기 상태로 준비되고 (S71)데이터가 수신되면 활성화된다(S72). 호스트 제어기(20)에서 수신된 정보를 주방용 디스플레이부(380)에 표시한다(S73). 주문내용의 처리가 완료되어 사용자가 주방용 입출력 포트(350)를 이용하여(S74), 완료 신호를 보낸 경우 해당 내용을 호스트 제어기(20)로 송신한다(S75). 호스트 제어기(20)의 확인 후 홀용 디스플레이부(390)에 해당 내용을 표시된다(S76). 사용자가 주문품의 픽업을 완료한 후 홀 입출력 포트(370)를 이용하여(S77), 완료 신호를 전송하고, 홀 완료 데이터를 호스트 제어기(20)에 송신한다(S78). 홀용 입출력 포트(370)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호출음을 삽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30 is prepared in a normal reception standby state (S71) and is activated when data is received (S72).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st controller 20 is displayed on the kitchen display unit 380 (S73). When the processing of the order is completed and the user uses the kitchen input and output port 350 (S74), when the completion signal is sent to the host controller 20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ntent (S75). After checking the host controller 20,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isplayed on the hall display unit 390 (S76). After the user completes the pickup of the order product, the hall input / output port 370 is used (S77) to transmit a completion signal, and the hall comple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host controller 20 (S78). The hall input / output port 370 may insert a ring tone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고객이 결재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예컨대, 홀 서빙하는 종업원)이 휴대하는 무선 주문 단말기를 이용해서 카운터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테이블 번호 확인 후 즉시 계산할 수 있어, 수동 입력 대기 시간 없이 즉시 결제할 수 있다. When a customer makes a payment, he / she can calculate the table number immediately after checking the table number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unter using a wireless ordering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for example, a hall serving employee), so that payment can be made immediately without waiting for manual input. have.

본 발명의 매장 관리 장치는 프로그램의 수정에 의해서 매장의 매출관리, 직원의 근태관리, 식자재 조달관리 등의 관리가 일괄하여 관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등을 통하여 본점 또는 기타 관련 매장과 연계 관리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collectively manage the management of the sales of the store, the attendance of the employee, the management of procurement of food materials and the like by modifying the program. In addition, it may be implemented to be managed in connection with the main office or other related stores via the Internet.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컨대, 이상의 설명에서는 주로 음식점에서의 매장 관리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매장 관리 장치는 음식점 이외에, 미용실, 피부관리실, 병원 등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se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substitutions, and alter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above description mai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tore management in a restaurant, such a store management device may be used in beauty salons, skin care rooms, hospitals, etc. in addition to restaura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매장 관리 장치의 개념도이고,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or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매장 관리 장치의 개략불럭도이고, 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store management apparatu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매장 관리 장치의 무선 주문 단말기의 개략블럭도이고,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wireless ordering terminal of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도 4는 상기 무선 주문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ordering terminal;

도 5는 상기 매장 관리 장치의 호스트 제어기의 개략블럭도이고,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host controller of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도 6은 상기 호스트 제어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고,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host controller;

도 7은 상기 매장 관리 장치의 무선 정보 단말기의 개략블럭도이고,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of the store management apparatus;

도 8은 상기 무선 정보 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무선 주문 단말기 20: 무선 정보 단말기10: wireless order terminal 20: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30: 호스트 제어기 40: 중앙정보처리부30: host controller 40: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10: 광센서 120: 디스플레이부 110: light sensor 120: display unit

130: 입출력부 140: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130: input and output unit 140: microprocessor unit

150: 바코드 리더 160: RFID 리더150: barcode reader 160: RFID reader

170: 전원공급부 180: 무선통신부170: power supply unit 18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무선통신부 220: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2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microprocessor unit

230: 중앙정보처리부 인터페이스 240: 전원공급부230: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nterface 240: power supply unit

310: 무선통신부 · 320: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3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320: microprocessor unit

330: 제 1 신호변환부 340: 전원공급부 330: first signal conversion unit 340: power supply unit

350: 주방용 입출력 포트 360: 제 2 신호변환부350: input / output port for kitchen 360: second signal conversion unit

370: 홀용 입출력 포트 380: 주방용 디스플레이부370: input / output port for the hall 380: kitchen display unit

390: 홀(hall)용 디스플레이부390: hall display unit

Claims (7)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및 각 구성요소 사이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실장된 중앙정보처리부;A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mounted with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each component; 상기 중앙정보처리부에 연결되고, 각 무선 주문 단말기에서 받은 주문 관련 정보를 중앙정보처리부로 전송하며 중앙정보처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 정보 단말기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호스트 제어기; A host controller connected to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ransmitting order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wireless ordering terminal to a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상기 호스트 제어기와 양방향 무선통신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주문 내용을 저장하고, 표시하고, 호스트 제어기 및 무선 정보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주문 단말기;A wireless ordering terminal which bidirectionally communicates with the host controller, stores, displays, and transmits the order contents input by the user to the host controller and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입출력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 제어기에서 보낸 고객 주문 정보를 작업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작업자의 연락 사항을 상기 무선 주문 단말기 또는 싱기 호스트 제어기로 전송하는 무선 정보 단말기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장치.And a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having an input / output device, displaying customer order information sent from the host controller to a worker, and transmitting contact information of the worker to the wireless ordering terminal or the singer host controll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문 단말기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order terminal 상기 중앙정보처리부 및 상기 무선 정보 단말기로부터의 모든 정보를 총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 A microprocessor unit which collectively controls and controls all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정보처리부 및 상기 무선 정보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부;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unit and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에 연결되고, 어두운 환경에서도 식별 가능하도록 조명 장치가 내장된 주문 및 결재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출력부; An input /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unit and configured to inpu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related to ordering and payment in which a lighting device is built so as to be distinguishable even in a dark environment;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에 연결되고, 서비스 제공 내역, 고객의 주문 내역, 및 결재 처리를 위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백라이트가 장착된 디스플레이부;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unit and equipped with a backlight for displaying service provision details, customer order details, and information for payment processing;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입출력부에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입출력부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주변 광량을 측정하는 광센서; An optical sensor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and the input / output unit and configured to measure an amount of ambient light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and the input / output unit; 주문 고객 및 주문 메뉴를 식별하기 위해 메뉴판에 부착되는 RFID 리더 또는 바코드 리더; 및 An RFID reader or barcode reader attached to the menu board to identify the ordering customer and the ordering menu; And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에 연결되고,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관리 장치. And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microprocessor unit and configured to be chargea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주문 단말기는 평상 시에는 대기 모드로 있다가 고객의 최종 주문 시에만 활성화되고, 단시간 무선통신 후 다시 대기모드로 복귀하며, 실시간으로 전원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전원상태를 표시 및 베터리 충전 및 교체시기를 표시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ordering terminal is normally in the standby mode is activated only when the customer's final order, and after a short time wireless communication returns to the standby mode, and monitors the power status in real time to display the power status And Store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to display the battery charging and replacement ti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제어기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st controller is 상기 중앙정보처리부와의 연결을 위한 중앙정보처리부 인터페이스부;A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with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상기 중앙정보처리부의 입출력포트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호스트 제어기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A power supply unit receiving power from an input / output port of the central information processing unit to supply power to the entire host controller; 상기 무선 주문 단말기 및 상기 무선 정보 단말기와 통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wireless ordering terminal and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And 전체적인 데이터 처리 및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관리 장치.A store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microprocessor unit for overall data processing and contro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제어기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ost controller 주문항목 업데이트시 주문 단말에 부착할 수 있는 라벨 출력부; 및 Label output unit that can be attached to the order terminal when the order item updates; And 무선 주문 단말기 위치를 찾기 위하여 개별 무선 주문 단말기를 호출하는 무선 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관리 장치.And a wireless calling unit for calling an individual wireless ordering terminal to locate a wireless ordering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정보 단말기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상기 호스트 제어기와 양방향으로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ich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in both directions with the host controller; 상기 호스트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며 상기 무선 정보 단말기의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A microprocessor unit for proces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st controll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의 제어를 받아 일반 모니터 신호로 변환하여 주방용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제 1신호변환부; A first signal converter converting the general monitor signal into a kitchen display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unit;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의 제어를 받아 일반 모니터 신호로 변환하여 홀용 디스플레이부로로 전송하는 제 2 신호변환부; A second signal converter converting the general monitor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processor unit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signal to a hall display unit;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에 연결된 주방용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신호변환부로부터 주문 관련 정보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주문의 처리 완료 후 상기 호스트 제어기에 완료 내용을 전송하는 주방용 디스플레이부;A kitchen display unit having a kitchen input / output port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unit, receiving and displaying order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first signal convert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completed contents to the host controller after processing of the order;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니트에 연결된 홀용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신호변환부로부터 주문 관련 정보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처리된 주문 내용과 주문처를 표시하는 홀(hall)용 디스플레이부; 및A hall display unit having an input / output port for a hole connected to the microprocessor unit, receiving and displaying order-related information from the second signal conversion unit, and displaying a processed order content and an order destination; And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관리 장치.Store management apparatus compris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관리 장치가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re management device 고객이 상기 무선 주문 단말기 및 상기 무선 정보 단말기와 무선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고객 단말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관리 장치. And a wireless customer terminal for allowing a customer to communicate wirelessly with the wireless ordering terminal and the wireless information terminal.
KR1020090076153A 2009-08-18 2009-08-18 Store management systems Ceased KR201100186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153A KR20110018608A (en) 2009-08-18 2009-08-18 Store management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153A KR20110018608A (en) 2009-08-18 2009-08-18 Store management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608A true KR20110018608A (en) 2011-02-24

Family

ID=4377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153A Ceased KR20110018608A (en) 2009-08-18 2009-08-18 Store management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8608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558A (en) * 2011-08-31 2013-03-08 채수길 Kitchen work order automatic processing system by searching for keywords that kitchen order
WO2016159667A1 (en) * 2015-03-31 2016-10-0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Commercial communication system using communication-type wireless charger
KR20180021976A (en) * 2016-08-23 2018-03-0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Calling apparatus and method
JP2020201597A (en) * 2019-06-06 2020-12-17 株式会社Showcase Gi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558A (en) * 2011-08-31 2013-03-08 채수길 Kitchen work order automatic processing system by searching for keywords that kitchen order
WO2016159667A1 (en) * 2015-03-31 2016-10-0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Commercial communication system using communication-type wireless charger
KR20180021976A (en) * 2016-08-23 2018-03-0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Calling apparatus and method
JP2020201597A (en) * 2019-06-06 2020-12-17 株式会社Showcase Gi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0501B1 (en) Personal shopping system
US20140249947A1 (en) Store mobile cloud application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and customer order fulfillment and method for retail establishment
US20030088469A1 (en) Restaurant management system
CN104240411A (en) Intelligent shopping device for supermarket commodities in bulk
JP6019926B2 (en) POS register
US20120130920A1 (en) Commodity processing supporting system and commodity processing supporting method
JP2015087779A (en) Merchandise registration device and accounting system having the same merchandise registration device
KR20110018608A (en) Store management systems
JP2015087821A (en) Commodity registration device, and accounting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JP2017102850A (en) Ordering system
JP6264835B2 (en) Weighing device and weighing system
JP6757081B2 (en) Goods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9029668B (en) Automatic weighing system for article identification
CN201298235Y (en) Electronic scanning type device for ordering dishes
KR20140000520A (en) Real-time order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phones
KR102524850B1 (en) Method And System for Ordering Menu by using Robot
KR102428310B1 (en) Cater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Catering service providing device
CN107818645A (en) Dining room self-service is had dinner devices and methods therefor
KR20200005250A (en) Order and payment apparatus
CN210691391U (en) Ordering equipment supporting face-brushing payment operation
JP7297288B2 (en) Weighing device, product data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KR100489524B1 (en) Wireless hand terminal on a Point Of Sale system
JP6737361B2 (en) Order entry terminal, ordering system, order entry method, and program
KR20020093405A (en) A Hand Point of Sales with Telephone Function and Settling Accounts Function with Credit Card
JP718021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9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8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6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4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