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10015025A - 발광 내장 트림 부재, 및 대응 도어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발광 내장 트림 부재, 및 대응 도어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5025A
KR20110015025A KR1020107029503A KR20107029503A KR20110015025A KR 20110015025 A KR20110015025 A KR 20110015025A KR 1020107029503 A KR1020107029503 A KR 1020107029503A KR 20107029503 A KR20107029503 A KR 20107029503A KR 20110015025 A KR20110015025 A KR 20110015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ight
light emitting
trim member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오뤼
클라우디우 바실레스쿠
데니 데스루스
위르겐 그리벨
야닉 고다드
Original Assignee
포레시아 인테리어 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레시아 인테리어 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포레시아 인테리어 인더스트리
Publication of KR20110015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02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17Doors, e.g. door sills;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60Q3/6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for a single ligh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트림 부재(1)는, 상기 자동차의 승객실(4)로부터 볼 수 있도록 의도된 외면(3)을 가진, 광을 통과시키는 제1 벽(2, 8), 상기 제1 벽(2)과 함께 공간(9)을 형성하며, 일면(7)은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는 제2 벽(8), 및 상기 제1 벽(2)을 배면 조명하도록 상기 공간(9) 내에 위치된 발광 부재(6)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부재(6)는 상기 제2 벽(8)으로 광선(L)의 빔을 보낸다. 상기 표면(7)은 광선을 확산 방식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제1 벽(2)의 내면(11)은, 상기 내면(11)에 입사된 광선이 부분적으로는 상기 제2 벽(8)으로 반사되고, 부분적으로는 상기 제1 벽(2)에 걸쳐 방출되도록, 광반사 성질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발광 내장 트림 부재, 및 대응 도어 및 자동차{LUMINOUS INTERIOR TRIM ELEMENT, AND CORRESPONDING DOOR AND MOTOR VEHICLE}
본 발명은,
- 자동차의 승객실로부터 볼 수 있도록 의도된 외면을 가지는, 광을 통과시키는 제1 벽,
- 제1 벽과 공간을 형성하며, 제1 벽에 대해 반대쪽에 있는 면은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는 제2 벽, 및
- 제1 벽을 배면 조명하도록 공간 내에 위치되는 발광 부재를 포함하는 광 점등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발광 내장 트림 부재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발광 내장 트림 부재는 FR 2 877 896 A1에 공지되어 있다. WO 2007/003 663은 발광 내장 트림 부재의 다른 예를 보여 준다.
FR 2 877 896 A1에 공지되어 있는 발광 내장 트림 부재는 자동차의 승객실을 조명할 수 있게 한다. 조명은 케이싱 내에 배치된 광원에 의해 확보된다. 케이싱은 후방벽, 및 승객실을 향한 벽을 포함한다. 광원은, 광선이 케이싱 내에서 방출되어 다음에는 전방벽을 통과하도록 후방벽에서 한번 이상 반사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광원은 광속(light flux)이 후방벽에 대해 실질적으로 접선이 되도록 케이싱 내에 배치되며, 이러한 후방벽은 광속이 전방벽을 향해 반사될 수 있게 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차량 승객실의 조명이 늘 균일하거나 충분하지 않다. 실제로, 어떤 상황에서는, 전방벽은 케이싱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배면 조명되지 않는다. 광속은 후방벽에 대해 실질적으로 접선이 되기 때문에, 광선 중 일부만 후방벽과 교차되어 후방벽에서 반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승객실의 더욱 양호한 조명을 보장하는 발광 내장 트림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시각적으로 균일 및 일정하고 점진적인 배면 조명을 얻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상기 발광 부재는 주로 상기 제2 벽으로 광선의 빔을 보낼 수 있고, 상기 제1 벽에 대해 반대인 상기 제2 벽의 상기 표면은 광선을 확산 방식으로 반사시킬 수 있으며, 상기 외면에 대해 반대인 상기 제1 벽의 내면은, 상기 내면에 입사된 광선이 부분적으로는 상기 제2 벽을 향해 반사되고, 부분적으로는 상기 승객실을 향해 상기 제1 벽을 통해 전달되도록, 광반사 특성을 가지고 있는, 상술한 형태의 트림 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광선이 실질적으로 제2 벽을 향해 보내어지도록 발광 부재를 배치하고, 제2 벽의 표면은 광을 확산 방식으로 반사시키도록 의도하며, 제1 벽의 내면이 부분적으로 반사시키게 함으로써, 광은 2개의 벽 사이에서 여러 번 반사되고, 발광 부재로부터 이격된 영역에서도, 제1 벽을 통해 상기 영역을 떠나기 전에 전체 공간을 통해 전파될 것이다. 따라서, 제1 벽의 전체 길이는 균일하게 배면 조명된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트림 부재는, 개별적으로 취하거나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다음의 특징을 포함한다.
- 상기 발광 부재는, 광 안내부의 무게중심 및 제2 벽의 표면과 제1 벽의 내면 사이의 결합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평면과 1과 90° 사이의 각도를 형성하고 있는 일방향으로 광선의 빔을 보낼 수 있다.
- 상기 각도는 1과 30° 사이에 놓인다.
- 상기 제2 벽의 상기 표면은 랑베르 확산 반사면(Lambertian diffusing reflector)에 가까운 반사면이다.
- 상기 내면의 광반사 특성은, CIE 1976 (L, a, b) (CIELAB) 색 공간에 따라, 상기 내면의 휘도 L이 엄밀히 말해서 60보다 크다.
- 상기 제1 벽의 상기 내면은 광을 확산 방식, 바람직하게 랑베르에 가까운 방식으로 반사시킨다.
- 상기 표면은 반사 코팅을 포함한다.
- 상기 제2 벽의 상기 표면 및/또는 상기 제1 벽의 상기 내면에, 하나의 패턴에 입사되는 광선을 반사에 의해 확산시킬 수 있는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돌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 상기 돌기는, 상기 표면 및/또는 상기 내면 중 하나 이상의 부분에 걸쳐 분포된 한 세트의 돌출 기하학적 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 복수의 상기 돌출 기하학적 형상 부재의 각각의 표면에 돌출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 상기 발광 부재는 상기 공간의 둘레부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 상기 발광 부재는 광학 섬유와 같은 원통형 광 안내부이다.
- 상기 광 디바이스는, 상기 발광 부재에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광원을 포함한다.
- 상기 발광 부재는 광학적 간섭을 발생시키는 릴리프(reliefs)를 포함한다.
- 상기 제1 벽의 상기 외면은 다공성 코팅 즉 다공성 직물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의 구멍들은 광선을 통과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트림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및 상술한 트림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지 예로서 제공되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진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더욱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림 부재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승객실로부터 볼 수 있도록 의도된 제1 벽이 생략된 상태의 도 1의 트림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트림 부재의 표면을 덮을 수 있는 돌출 기하학적 형상 부재의 여러 가지 실시예의 상세도이다.
도 1은, 트림 부재(1)가 구비되고 자동차의 외부(5)로부터 승객실(4)을 분리시키는 자동차 도어 패널을 도시하고 있다. 트림 부재(1)의 주요 기능은 승객실(4)을 위한 배경 조명을 제공하는 것이며, 조명은 균일하거나 점진적(예를 들면, 트림 부재의 주어진 방향을 따라 서서히 감소됨)이어야 한다.
도 1에 따른 내장 트림 부재(1)는, 사이에 폐쇄 공간(9)을 형성하는 2개의 측벽(2, 8)을 가진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원통형 형상을 가진 광 안내부(6)는 폐쇄 공간(9) 내에 배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원통형 광 안내부(6)는, 도 1에 따라, 폐쇄 공간(9)의 상부 단부에서 구석(13)에 위치된다.
광 안내부(6)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구성된다. 광 안내부(6)는 폐쇄 공간(9)의 둘레부(10)의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 연장된다.
특히 광섬유일 수 있는 원통형 광 안내부(6)는,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광원에 연결된다.
광원은 또한 다른 종류일 수 있다. 광원은, 백열등과 같은 램프일 수 있다.
또는, 광은 복수의 광원 예를 들면 1개 내지 3개의 광원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 안내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광 안내부(6) 대신, 전자발광 필름의 스트립을 구비할 수도 있다.
벽(2)은 광을 통과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벽(2)은 반투명, 투명 또는 다공성일 수 있다. 트림 부재(1)가 예를 들면 자동차의 도어 내에 통합될 때 승객실(4)로부터 볼 수 있는 것은 벽(2)이다.
또는, 트림 부재(1)의 벽(2)은 외부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은 광을 통과시키는 구멍들을 가진다. 코팅은 또한 투광성을 가진 채로 유지되면서 다른 형상을 채택할 수도 있다.
벽(2)은 내면(11)을 가지며, 즉 트림 부재(1)의 외부에 대해 반대인 내부를 향해 배치된다. 내면(11)은 부분적으로 반사시키고 부분적으로 통과시키며, 즉 입사광의 일부를 통과시키고 다른 일부는 벽(8)을 향해 반사된다.
바람직하게, 내면(11)은, CIE 1976 (L, a, b) (CIELAB) 색 공간에 따라, 내면(11)의 휘도 L이 엄밀히 말해서 60보다 크고 바람직하게 70보다 크도록, 광반사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벽(2)은 완전히 투광성은 아니고, 광을 부분적으로 반사시키며, 그것은, 광의 일부가 폐쇄 공간(9)을 떠나기 전에, 여러 번의 반사에 의해, 광 안내부(6)로부터 이격되는 폐쇄 공간(9)의 영역에 도달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또는, 내면(11)은 광확산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즉 입사광은 1개의 방향만이 아니라 여러 방향으로 반사된다. 특히, 이러한 확산 반사는 랑베르에 가까운 종류(near-Lambertian kind)일 수 있다. 그러한 확산 반사는 공간(9) 내의 광 분포를 더욱 균일화시킬 수 것이다.
다른 벽(8)에 대해서는, 벽(8)은 불투명성이다. 벽(8)의 내부 표면(7)은 폐쇄 공간(9)을 형성하며, 광선을 확산 방식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내부 표면(7)은 그러한 광학적 특성을 가진 재료로 덮일 수 있다. 재료는 다른 방법으로 표면(7) 상에 페인트 또는 침착될 수 있다. 따라서, 표면(7)은 역시 조명의 균일화의 관점에서 광을 분산 방식으로 반사시킨다. 바람직하게, 표면(7)은 랑베르 확산 반사면에 가까운 반사면이다.
표면(11)과 유사하게, 표면(7)은, CIE 1976 (L, a, b) (CIELAB) 색 공간에 따라, 내면(7)의 휘도 L이 엄밀히 말해서 60보다 크고 바람직하게 70보다 크도록, 광반사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광원에 의해 발생된 광은, 광 안내부(6)의 내부 표면 상에서 광학적 간섭을 발생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릴리프(reliefs)로 인해, 측방향으로 떠나도록, 원통형 광 안내부(6)에 의해 안내된다.
광 안내부(6)는 광을 바람직하게 주방향(B)으로 방출시킨다. 이러한 방향(B)은, 광 안내부(6)의 무게중심(G) 및 제2 벽(8)의 표면(7)과 제1 벽(2)의 내면(11) 사이의 결합 세그먼트(F)를 포함하는 평면(P)과 각도(α)를 형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결합 세그먼트(F)는, 공간(9)의 하단부에서의 표면(7, 11)들 사이의 접촉점이다. 세그먼트(F)는 공간(9)의 하부 부분을 경계짓는다. 도 1에서, 세그먼트(F)는, 도 1이 트림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기 때문에, 단지 1개의 점으로 구성된다.
각도(α)는 1과 90° 사이에, 바람직하게 1과 30° 사이에 놓일 수 있다.
광원으로부터 오고 점(A)에서 내부 표면(7)과 교차되는 광선(L)은 여러 번 반사된다. 점(A)에서의 광선(L)의 교차시에, 광선(L')을 포함하여 복수의 광선(L")은, 예를 들면 랑베르의 법칙에 따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폐쇄 공간(9)을 향해 표면(7)에 대해 반대인 모든 방향으로 재방출된다.
광선(L')은 점(C)에서 내면(11)과 교차된다. 점(C)에서 벽(2)의 내면(11)과 충돌되면, 광선(L')은 2개의 성분 즉 광선(L1, L2)들로 분리된다. 광선(L1)은, 승객실(4)의 내부를 조명하기 위해, 굴절되면서 벽(2)을 통과한다. 광선(L2)은 반사된 성분에 대응하며, 점(A)에서의 광선(L)의 동작과 유사한 동작을 보이도록, 점(D)에서 표면(7)을 타격할 것이다. 표면(7)에 대한 충격 지점(E)에서, 광선(L2)은 상술한 광선(L)과 유사하게 2개의 광선(L3, L4)으로 분리된다. 다른 광선(L")들 역시 표면(7)과 교차되고, 상술한 광선(L)과 유사한 동작을 가진다.
도 2는 트림 부재(1)를 승객실(4) 내의 승객이 볼 수 있도록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는데, 단지, 트림 부재(1)는 폐쇄 공간(9)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제거되었다.
광 안내부(6)는 폐쇄 공간(9)의 전체 상부 둘레부에 걸쳐 연장되고 약간의 곡률을 가진다. 이러한 곡률은 광 안내부(6)의 단부(19, 20)에 특히 크다. 광은 단부(20)에서 입사되고, 도 2의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림 부재(1)의 하부 에지(12)를 향해 광 안내부(6)를 떠난다. 특히, 화살표(14)는, 표면(7)을 향해 이동되고 다음에는 표면(7)에 의해 확산되는, 즉 화살표(21)에 의해 표시된 복수의 방향으로 복귀되는 빔이다.
큰 곡률로 인해, 단부(19, 20)에서, 광은 평면(17)을 따라 광 안내부(6)를 떠날 것이다. 그 결과, 광은 폐쇄 공간(9)의 영역(16)에 충분히 도달하지 않고 동시에 이러한 공간(9)의 영역(15)에 집중된다. 이러한 것이 수정되지 않으면, 광의 이러한 불균일한 분포는 트림 부재의 가시 표면에 어두운 스폿과 밝은 스폿을 발생시킬 것이다. 그러한 스폿은 트림 부재(1)에 의해 발생되는 배경을 불쾌하게 만든다. 그러한 스폿들은 표면(7)의 관련 영역(15, 16)에 돌기부들을 첨가함으로써 피한다.
그러한 돌기부들은 바람직하게 한 세트의 돌출 기하학적 형상 부재들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릴리프가 얻어지는데, 릴리프는, 과도하게 조명된 영역(15)의 광을 불량하게 조명된 영역(16)으로 재분배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트림 부재(1)에 의해 제공되는 배면 조명은 균일하게 되고, 불쾌한 스폿의 형성이 방지된다.
도 3은, 영역(15, 16)을 덮을 수 있는 돌출 기하학적 형상 부재(18)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기하학적 형상 부재(18)의 단면은 예를 들면 사다리꼴, 삼각형, 반원 또는 둥근 구석을 가진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방금 설명한 트림 부재에 의해, 승객실(4)의 조명은, 소위 감소된 수의 광원에 의해 균일화되고 향상된다. 실제로, 벽(2)에서의 복수의 부분 반사 및 표면(7)의 확산 성질로 인해, 광은 공간(9)의 볼륨을 통해 분포되고 벽(2)의 전체 길이에 걸쳐 공간(9)의 볼륨을 떠날 것이다. 따라서, 승객실(4)로부터 볼 때, 벽(2)은 승객실(4)의 전체 겉보기 표면에 걸쳐 균일하게 방출한다.
어떤 변경예에서는, 트림 부재(1)의 표면(7) 상에 돌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1: 발광 내장 트림 부재
2, 8: 벽
4: 승객실
6: 발광 부재

Claims (17)

  1. 발광 내장 트림 부재(1), 즉 자동차용 발광 내장 트림 부재로서,
    상기 자동차의 승객실(4)로부터 볼 수 있게 되어 있는 외면(3)을 가진, 광을 통과시키는 제1 벽(2, 8),
    상기 제1 벽(2)과 함께 공간(9)을 경계지으며, 상기 제1 벽(2)과 마주하여 배치된 그 일면(7)이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는 제2 벽(8), 및
    상기 제1 벽(2)을 배면 조명하도록 상기 공간(9) 내에 위치된 발광 부재(6)를 포함하는 점등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부재(6)는 주로 상기 제2 벽(8)에 광선(L)의 빔을 보낼 수 있고,
    상기 제1 벽(2)에 대해 반대인 상기 제2 벽(8)의 상기 표면(7)은 광선을 확산 방식으로 반사시킬 수 있으며,
    상기 외면(3)과 마주하는 상기 제1 벽(2)의 내면(11)은, 상기 내면(11)에 입사된 광선이 부분적으로는 상기 제2 벽(8)을 향해 반사되고, 부분적으로는 상기 승객실(4)을 향해 상기 제1 벽(2)을 통해 전달되도록, 광반사 특성을 가지고 있는,
    트림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부재(6)는, 광 안내부(6)의 무게중심(G) 및 제2 벽(8)의 표면(7)과 제1 벽(2)의 내면(11) 사이의 결합 세그먼트(F)를 포함하는 평면(P)과 1과 90° 사이의 각도(α)를 형성하고 있는 일방향(B)으로 광선(L)의 빔을 보낼 수 있는, 트림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는 1과 30° 사이에 있는, 트림 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벽(8)의 상기 표면(7)은 랑베르 확산 반사면에 유사한 반사면, 트림 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면(7)의 광반사 성질은, CIE 1976 (L, a, b) (CIELAB) 색 공간에 따라, 상기 내면(7)의 휘도 L이 엄밀히 말해서 60보다 큰, 트림 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2)의 상기 내면(11)은 광을 확산 방식, 바람직하게 랑베르에 가까운 방식으로 반사시키는, 트림 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7)은 반사 코팅을 포함하는, 트림 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벽(8)의 상기 표면(7) 및/또는 상기 제1 벽(8)의 상기 내면(11)에, 하나의 패턴에 입사되는 광선을 반사에 의해 확산시킬 수 있는 패턴을 형성하고 있는 돌기(18)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트림 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표면(7) 및/또는 상기 내면(11) 중 하나 이상의 부분에 걸쳐 분포된 한 세트의 돌출 기하학적 형상 부재(18)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트림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돌출 기하학적 형상 부재(18)의 각각의 표면에 돌출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트림 부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부재(6)는 상기 공간(9)의 둘레부(10)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트림 부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부재(6)는 광학 섬유와 같은 원통형 광 안내부인, 트림 부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디바이스는, 상기 발광 부재(6)에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광원을 포함하는, 트림 부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부재(6)는 광학적 간섭을 발생시키는 릴리프(reliefs)를 포함하는, 트림 부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2)의 상기 외면(3)은 다공성 코팅 즉 다공성 직물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의 구멍들은 광선(L1, L3)을 통과시키는,
    트림 부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트림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트림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107029503A 2008-05-29 2009-05-22 발광 내장 트림 부재, 및 대응 도어 및 자동차 Withdrawn KR201100150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3549A FR2931748B1 (fr) 2008-05-29 2008-05-29 Element d'habillage interieur lumineux, porte et vehicule automobile correspondant.
FR0853549 2008-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025A true KR20110015025A (ko) 2011-02-14

Family

ID=3986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503A Withdrawn KR20110015025A (ko) 2008-05-29 2009-05-22 발광 내장 트림 부재, 및 대응 도어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41760A1 (ko)
EP (1) EP2303637B1 (ko)
KR (1) KR20110015025A (ko)
CN (1) CN102089187B (ko)
FR (1) FR2931748B1 (ko)
WO (1) WO2009156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3435A1 (de) * 2011-09-09 2013-03-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Innenverkleidungsteil
JP5282133B2 (ja) * 2011-10-13 2013-09-0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照明装置
DE102011085226A1 (de) * 2011-10-26 2013-05-02 Lisa Dräxlmaier GmbH Beleuchtungselement
JP5867365B2 (ja) * 2012-10-25 2016-02-24 豊田合成株式会社 照明付収容箱
DE102013015745A1 (de) * 2013-09-21 2015-03-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Fahrzeug mit Leuchtanzeigeninstrument
US9469244B2 (en) 2013-11-21 2016-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uminescent vehicle seal
US9212809B2 (en) 2013-11-21 2015-12-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dynamic lighting
ES2565877B1 (es) * 2015-12-24 2016-11-10 Seat, S.A. Dispositivo de iluminación para panel interior de vehículo
US20200139883A1 (en) * 2018-11-05 2020-05-07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Smart illumination door panel-background
US10807526B2 (en) * 2019-02-14 2020-10-20 Volvo Car Corporation Vehicle interior lighting system
DE102024200621A1 (de) * 2024-01-24 2025-07-24 Stellantis Auto Sas Leuchtvorrichtung für einen Innenraum eines Fahrzeugs sowie die Leuchtvorrichtung aufweisendes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4008A (ja) * 1993-09-24 1995-04-07 Chiyatani Sangyo Kk 面照明装置
EP0813026A3 (de) * 1996-06-14 1999-12-22 BARTENBACH Christian Beleuchtungseinrichtung
JPH11237629A (ja) * 1998-02-20 1999-08-31 Stanley Electric Co Ltd 照明用面光源装置
JP3434465B2 (ja) * 1999-04-22 2003-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
US6893135B2 (en) * 2000-03-16 2005-05-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 guides suitable for illuminated displays
GB0006327D0 (en) * 2000-03-16 2000-05-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 Light guides suitable for illuminated displays
DE10123263B4 (de) * 2001-05-12 2005-12-08 Daimlerchrysler Ag Lichtleitsystem für d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DE10129953A1 (de) * 2001-06-21 2003-01-16 Hella Kg Hueck & Co Leuchte für Fahrzeuginnenräume
US6644685B2 (en) * 2001-09-07 2003-11-1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eamless passenger side airbag door
US6663262B2 (en) * 2001-09-10 2003-12-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cklighting transmissive displays
KR20050000557A (ko) * 2002-05-21 2005-01-0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광 가이드 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US20040119267A1 (en) * 2002-12-19 2004-06-24 Lear Corporation Natural fiber tether for an airbag system
JP4705470B2 (ja) * 2003-06-16 2011-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KR100580466B1 (ko) * 2003-11-27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힌지를 적용한 이음매가 없는 승객용 에어백의전개 구조
US7160404B2 (en) * 2003-12-10 2007-01-09 Lear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irbag assembly and vehicle trim component
US20050280524A1 (en) * 2004-06-18 2005-12-22 Applied Digital, Inc. Vehicle entertainment and accessory control system
JP4444032B2 (ja) * 2004-08-06 2010-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車室内照明装置
FR2877896A1 (fr) * 2004-11-16 2006-05-19 Cera Element de garnissag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medaillon retroeclaire
ATE441916T1 (de) * 2005-05-31 2009-09-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ichtquelle mit stoff-diffusionsschicht
KR100638874B1 (ko) * 2005-07-06 2006-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Led 광원이 도광판에 삽입된 백라이트 장치의광원-도광판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US7284886B2 (en) * 2005-11-23 2007-10-23 Volkswagen Ag Moonroof for a motor vehicle
DE102006017960A1 (de) * 2006-04-13 2007-10-25 Hella Kgaa Hueck & Co. Innen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7370995B2 (en) * 2006-05-04 2008-05-13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Console and light assembly
TWI354164B (en) * 2006-10-03 2011-12-1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back light module there
FR2929569B1 (fr) * 2008-04-03 2010-09-17 Faurecia Interieur Ind Dispositif de fixation d'un volet de coussin gonfl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89187A (zh) 2011-06-08
WO2009156630A1 (fr) 2009-12-30
FR2931748B1 (fr) 2010-12-10
CN102089187B (zh) 2015-09-16
EP2303637B1 (fr) 2016-04-13
FR2931748A1 (fr) 2009-12-04
EP2303637A1 (fr) 2011-04-06
US20110141760A1 (en)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5025A (ko) 발광 내장 트림 부재, 및 대응 도어 및 자동차
KR101114183B1 (ko) 조명 조립체
CN102121655B (zh) 具有3维光学效果的车辆信号设备
KR101957390B1 (ko) 오버 헤드 콘솔, 및 차체 상부 구조
JP6696793B2 (ja) 車両用灯具
KR101684117B1 (ko) 차량용 무드등
JP5581824B2 (ja) 車両用灯具
KR20210047269A (ko) 자동차를 위한 시그널링 디바이스
JP2015505637A (ja) モータビークル信号光の出現を一様にするデバイス
JP2019050132A (ja) 車両用灯具
CN105202439A (zh) 车辆用灯具
JP6343601B2 (ja) 車両用灯具
JP4733064B2 (ja) 車両用ランプ
KR20160035011A (ko) 통합된 led들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 조명 부품용 조명 시스템
KR101917209B1 (ko) 차량용 램프
JP6360951B2 (ja) 自動車のための照明要素および拡声器
JP2020087624A (ja) 車両用灯具
JP2009252695A (ja) 自動車用ランプ
JP2016517158A (ja) 散乱システムを有する3d効果照明デバイス
JP2014071978A (ja) 照明装置
KR101791127B1 (ko) 차량용 램프
KR200483959Y1 (ko) 차량용 램프
JP6292369B2 (ja) 自動車室内灯用照明装置
JP2019067660A (ja) 車両用灯具
JP2012048991A (ja) 発光体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