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031A - Combined sensor unit for surface wave and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 Google Patents
Combined sensor unit for surface wave and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14031A KR20110014031A KR1020090071783A KR20090071783A KR20110014031A KR 20110014031 A KR20110014031 A KR 20110014031A KR 1020090071783 A KR1020090071783 A KR 1020090071783A KR 20090071783 A KR20090071783 A KR 20090071783A KR 20110014031 A KR20110014031 A KR 201100140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surface wave
- sensor unit
- electrical resistivity
-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abstract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66 de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group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19 fig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1/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combining technique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1V1/00 - G01V9/00
- G01V11/002—Details, e.g. power supply systems for logging instruments, transmitting or recording data, specially adapted for well logging, also if the prospecting method is irreleva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62—Detai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16—Receiving elements for seismic signals;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receiving elements
- G01V1/18—Receiving elements, e.g. seismometer, geophone or torque detectors, for localised single point measure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propagation of electric curr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파 및 전기비저항 측정용 복합센서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센서유니트에는 하우징(10)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탐사대상물(e)에 대한 표면파를 측정하는 표면파센서(22)가 안착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12)의 내면에는 표면파센서(22)의 외면에 압착되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진 스페이서링(14)이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의 외면 하부에는 탐사대상물(e)에 대한 전기비저항을 측정하는 전극봉(26)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전극봉(26)이 설치된 하면에는 전극봉(26)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보조레그(28)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에는 핸들(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복합센서유니트를 탐사대상물에 설치하여 표면파와 전기비저항을 모두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지반조사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lex sensor unit for measuring surface waves and electrical resistivity. The complex sens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ousing (10). An accommodation space 12 is formed in the housing 10 in which the surface wave sensor 22 for measuring the surface wave with respect to the exploration object e is seate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r rings 14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crimp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rface wave sensor 22. An electrode bar 26 is installed below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o measure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object to be probed. A plurality of auxiliary legs 28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in which the electrode rods 26 are installed. The handle 20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easure both the surface wave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by installing one composite sensor unit on the object to be probed,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ground survey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표면파, 전기비저항, 센서, 측정 Surface wave, electrical resistivity, sensor, measure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파 및 전기비저항을 함께 측정할 수 있는 표면파 및 전기비저항 측정용 복합센서유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sensor unit for measuring surface waves and electrical resistivity, which can measure surface waves and electrical resistivity together.
현재 국내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지반조사 기법으로 전기비저항을 측정하는 방식과 표면파를 측정하는 방식이 있다. 건설 및 토목현장에서 지반조사는 지반문제에 대한 사전과 사후 관리의 일환으로 사용된다.Currently, the most widely used ground survey technique in Korea is to measure the electrical resistivity and the surface wave. Geotechnical surveys are used in construction and civil works as part of pre- and post-management of ground problems.
상기 지반조사 기법중 전기비저항 탐사는 지표면에서 터널, 철로, 도로 및 교량 등을 시공하기 위한 구간을 따라 탐사를 수행하여 지표하부의 지질 구조 이상대, 연약대, 파쇄대 등의 이상대를 파악한다.Electrical resistivity exploration of the ground survey technique is carried out along the section for the construction of tunnels, railroads, roads and bridges on the earth's surface to identify abnormal zones such as geological structures, fragile zones and fracture zones.
전기비저항 탐사는 불균질한 매질로 복잡하게 형성된 지층구조를 영상화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전류를 투과하여 전위차를 측정한 후 지하 매질의 전기적 물성을 이용하여 지질구조나 이상대를 파악하는 방법이다.Electrical resistivity exploration is a method of figuring geological structure or ideal zone by using electric properties of underground medium after measuring potential difference by artificially passing electric current to image complicated geological structure formed by heterogeneous medium.
그리고, 비파괴 표면파를 측정하는 방식은 SASW(Spectral Analysis of surface waves)기법, MASW(Multi-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s)기법 등의 여러가지 기법이 있다.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서 발생한 응력파는 지반이나 구조물의 매체를 통하여 사방으로 전파되어 나가는데, 발진원에서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지표면에 설치한 진동 감지기에 의해 지반이나 구조물의 진동을 측정하게 된다. 이렇게 지표면에서 응력파를 발생시키고 일정 위치만큼 떨어진 곳에서 진동에 의한 지반의 진동을 측정하여 하부지반의 지층구조와 깊이에 따른 S--파 속도분포를 구하는 것이 SASW기법이다.The non-destructive surface waves may be measured by various techniques such as a specific analysis of surface waves (SASW) technique and a multi-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s (MASW) technique. The stress wave generated by the impact or vibration propagates in all directions through the ground or the medium of the structure, and the vibration of the ground or the structure is measured by the vibration sensor installed on the ground surface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scillation source. In this way, the SASW method is used to generate stress waves on the ground surface and measure the ground vibrations caused by the vibrations at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each other.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측정방식들은 각각 그 이론의 특징으로 인하여 나름대로의 한계와 단점이 존재한다. 특히, 도심지와 같은 복잡한 환경에서는 시험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시험을 수행하더라도 획득되는 결과에 대한 정확도와 신뢰성이 매우 낮은 편이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measurement methods each have their own limitations and disadvantag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ory. In particular, in a complex environment such as downtown, the test itself is impossible or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obtained results are very low even if the test is performed.
따라서, 최근에는 전기비저항을 측정하는 방식과 표면파를 측정하는 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데이터를 획득하여 해석을 통해 결과를 얻어내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동일한 시험측선에 대하여 표면파 시험과 전기비저항 시험을 각각 수행하여야 한다.Therefore, recently, a method of acquiring data using both a method of measuring electrical resistivity and a method of measuring surface waves to obtain data through analysis is used. However, for this purpose, the surface wave test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test should be performed on the same test line.
즉, 표면파 탐사에 이어서 전기 비저항 탐사를 수행하는 경우, 표면파 센서를 제거하고 동일 위치에 정확하게 전기비저항 시험용 전극봉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추가적인 설치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performing electrical resistivity exploration subsequent to surface wave explo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surface wave sensor and to install the electrode for the electrical resistivity test accurately at the same position, and additional installation time is required.
그리고, 표면파 탐사와 전기비저항 탐사에 사용되는 케이블이 다르기 때문에 매번 케이블을 바꿔가며 각 시험준비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추가적인 설치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bles used for surface wave and electrical resistivity exploration are differ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each test by changing cables each time and additional installation time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탐사대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표면파탐사와 전기비저항탐사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복합센서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complex sensor unit capable of performing surface wave detection and electrical resistivity detection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on an object to be prob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탐사대상물에 대한 표면파를 측정하는 표면파센서가 안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탐사대상물에 대한 전기비저항을 측정하는 전극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surface wave sensor for measuring the surface wave for the object to be probed therein, and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ectrode for measuring the electrical resistivity for.
상기 전극봉은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에 대응되는 하우징의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The electrode rod is detachably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수용공간의 내면에는 상기 표면파센서의 외면에 압착되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진 스페이서링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At least one spacer ring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compress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urface wave sensor.
상기 하우징의 전극봉이 설치된 하면에는 전극봉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보조레그가 설치된다.A plurality of auxiliary legs are installed around the electrod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전극봉과 보조레그를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이 더 형성된다.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receiving hole for storing the electrode and the auxiliary leg.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는 핸들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A handle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파센서를 사용한 표면파탐사와 전극봉을 사용한 전기비저항탐사를 하나의 복합센서유니트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지반조사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surface wave detection using the surface wave sensor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detection using the electrode can be performed using a single sensor unit, so that the ground inspection work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The effect can be obtain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표면파 및 전기비저항 측정용 복합센서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composite sensor unit for measuring surface waves and electrical resis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표면파 및 전기비저항 측정용 복합센서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posite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surface wave and electrical resis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shown in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10)은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는 통형상이다. 상기 하우징(10)의 외관은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상인데,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으나 탐사대상물에 하우징(10)을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원통형이 상대적으로 좋다. 상기 하우징(10)의 재질은 합성수지로 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상기 수용공간(12)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12)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표면파센서(22)가 안착된다. 상기 수용공간(12)의 내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링(14)이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 링(14)은 그 내경이 상기 수용공간(12)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내벽에서 일부가 돌출된다. 상기 스페이서링(14)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져 표면파센서(22)가 수용공간(12)에 삽입되면 표면파센서(22)의 외면에 의해 눌러져 압착된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링(14)은 표면파센서(22)가 상기 수용공간(12)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하우징(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플랜지(16)가 소정 폭만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6)의 상면으로 개구되게 전극봉수용공(18)이 형성된다. 상기 전극봉수용공(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극봉(26)을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전극봉(26)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복합센서유니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전극봉수용공(18)의 내부에 집어넣어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상기 하우징(10)의 플랜지(16)에는 핸들(20)이 설치된다. 상기 핸들(20)은 그 양단부가 상기 플랜지(16)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12)으로 표면파센서(22)를 삽입할 때는 핸들(20)을 회전시켜 상기 플랜지(16) 상면에 안착시키면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을 탐사대상물에서 분리해 낼 때는 상기 핸들(20)을 회전시켜 잡고 들어올리면 된다. 상기 핸들(20)의 형상은 상기 플랜지(16)의 상면에 일치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되는 것이 좋다.The
표면파센서(22)는 상기 하우징(10)의 수용공간(12)내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표면파센서(22)로는 일반적으로 지오폰(Geophon)이라는 것이 사용된다. 상기 표면파센서(22)는 상기 수용공간(12)의 내면 형상에 그 외면형상이 대응되게 형성 되어 상기 스페이서링(14)을 압착시키면서 수용공간(12)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표면파센서(22)의 상단에는 케이블(24)이 연결된다.The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는 전극봉(26)이 설치된다. 상기 전극봉(26)은 구리심지에 크롬도금을 하여 만든 것이다. 상기 전극봉(26)은 상기 하우징(10)의 수용공간(12)의 중심과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에 설치된다. 상기 전극봉(26)은 상기 하우징(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복합센서유니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전극봉(26)을 빼내어 상기 수용공(18)에 삽입해 두면 된다. 상기 전극봉(26)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선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통해 연장되어, 예를 들면 상기 플랜지(16) 일측에서 외부 케이블과 연결된다.An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는 또한 다수개의 보조레그(28)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레그(28)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보조레그(28)는 상기 하우징(10)을 탐사대상물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가장 좋기로는 3개의 보조레그(28)가 상기 전극봉(26)을 중심으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레그(28)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보조레그(28)도 상기 하우징(12)의 하면에서 분리해서 별도의 수용공에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표면파 및 전기비저항 측정용 복합센서유니트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surface sensor and the composite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electrical resis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복합센서유니트를 탐사대상물에 설치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3 illustrates a process of installing the complex sensor uni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n exploration target.
먼저,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봉(26)과 보조레그(28)가 부착되어 있는 하우징(10)을 탐사대상물(e)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전극봉(26)의 선단은 탐사대상물(e)에 약간 삽입되어 상기 보조레그(28)가 탐사대상물(e)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First, as shown in FIG. 3A, 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수용공간(12)에 모루(30)를 놓고 망치로 모루(30)를 타격하여 상기 전극봉(26)과 보조레그(28) 및 하우징(12)의 일부가 탐사대상물(e) 내부로 들어가게 한다.Then, the
도 3b에는 상기 하우징(10)이 탐사대상물(e)내의 원하는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이 탐사대상물(e)에 설치되면, 상기 연결선(27)에 케이블을 연결하고 상기 전극봉(26)을 사용하여 전기비저항을 측정하여 지표탐사를 하게 된다. 여기서 전극봉(26)을 사용한 전기비저항을 측정하여 지표탐사를 하는 구체적인 과정의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다음으로 표면파를 탐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종래와는 달리 상기 전극봉(26)을 탐사대상물(e)에서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표면파를 탐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수용공간(12) 내에 상기 표면파센서(22)를 안착시킨다. 상기 표면파센서(22)는 상기 수용공간(12) 내에서 상기 스페이서링(14)에 외면이 밀착되어 유동되지 않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표면파센서(22)에 케이블(24)을 연결하여 표면파를 측정하게 된다.Next, a process of exploring surface waves is performed. At this time, unlike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probe the surface wave as it is without separating the
한편, 전기비저항과 표면파를 사용한 탐사가 끝나면 상기 표면파센서(22)를 상기 하우징(10)내에서 제거하고, 상기 핸들(20)을 잡아 상기 하우징(10)을 탐사대 상물(e)에서 빼낸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xploration using the electrical resistivity and the surface wave is finished, the
그리고, 상기 전극봉(26)을 상기 하우징(10)에서 분리하여 상기 플랜지(16)의 수용공(18) 내에 삽입하여 보관한다. 물론, 상기 보조레그(28)들도 분리하여 별도의 수용공내에 넣어둘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보조레그(28)는 다수개가 같은 길이만큼 하우징(10)에서 돌출되어 있어, 바닥에 하우징(10)을 안정되게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조레그(28)를 반드시 분리하여 보관할 필요는 없다.In addition, the
참고로, 본 발명의 복합센서유니트는 지하철공사, 도심지재개발, 도심지 증개축 등과 같은 도심지 건설을 위한 지반조사에 사용할 수 있고, 또, 다짐시공, 철도노반, 도로 노상 등과 같은 지반구조물의 시공품질 관리에 사용할 수 있으며, 비파괴방식으로 지반하부 조사를 요하는 고고학 탐사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composite senso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ground surve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downtown, such as subway construction, urban redevelopment, urban expansion and reconstruction, etc. It can also be used in archeological exploration applications where non-destructive methods require subsurface investigation.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예를 들면, 상기 보조레그(28)는 본 발명의 복합센서유니트의 탐사성능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설치작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는 핸들(2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For example, th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표면파 및 전기비저항 측정용 복합센서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posite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surface wave and electrical resis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에서 도3c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센서유니트를 사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용상태도.Figure 3a Figure 3c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using the composite sensor uni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sequenc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하우징 12: 수용공간10
14: 스페이서링 16: 플랜지14: spacer ring 16: flange
18: 수용공 20: 핸들18: hole 20: handle
22: 표면파센서 24: 케이블22: surface wave sensor 24: cable
26: 전극봉 28: 보조레그26: electrode 28: auxiliary leg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1783A KR20110014031A (en) | 2009-08-04 | 2009-08-04 | Combined sensor unit for surface wave and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1783A KR20110014031A (en) | 2009-08-04 | 2009-08-04 | Combined sensor unit for surface wave and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4031A true KR20110014031A (en) | 2011-02-10 |
Family
ID=4377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1783A Ceased KR20110014031A (en) | 2009-08-04 | 2009-08-04 | Combined sensor unit for surface wave and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14031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27927B1 (en) * | 2012-11-28 | 2013-01-30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Geophone comprising removable geophone cone with sliding type |
WO2012111948A3 (en) * | 2011-02-15 | 2013-03-21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Electrical probing electrode |
KR101714647B1 (en) * | 2016-04-29 | 2017-03-09 | (주)주성지앤비 | Seismoelectric survey system using electrode-bar and geophone |
KR102126368B1 (en) * | 2018-12-28 | 2020-07-09 | 주식회사 캡스지오텍 | Transmitter for automatic ground behavoir measurement system |
-
2009
- 2009-08-04 KR KR1020090071783A patent/KR20110014031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11948A3 (en) * | 2011-02-15 | 2013-03-21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Electrical probing electrode |
CN103180759A (en) * | 2011-02-15 | 2013-06-26 | 韩国地质资源研究院 | Electrode for electrical detection |
CN103180759B (en) * | 2011-02-15 | 2016-06-08 | 韩国地质资源研究院 | Electric detection electrode |
KR101227927B1 (en) * | 2012-11-28 | 2013-01-30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Geophone comprising removable geophone cone with sliding type |
KR101714647B1 (en) * | 2016-04-29 | 2017-03-09 | (주)주성지앤비 | Seismoelectric survey system using electrode-bar and geophone |
KR102126368B1 (en) * | 2018-12-28 | 2020-07-09 | 주식회사 캡스지오텍 | Transmitter for automatic ground behavoir measurement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62877B2 (en) | Evaluation tool for concentric wellbore casings | |
CA2943564C (en) | Probe, sonde and method for producing signals indicative of local phase composition of a fluid flowing in an oil well | |
CA2921822C (en) | Borehole electric field survey with improved discrimination of subsurface features | |
Schmidt-Hattenberger et al. | Application of a Vertical Electrical Resistivity Array (VERA) for monitoring CO2 migration at the Ketzin site: First performance evaluation | |
KR20110014031A (en) | Combined sensor unit for surface wave and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 |
CN105137504B (en) | A kind of advanced geology prediction system under rock tunnel(ling) machine execution conditions and its method | |
US719652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conductive members employing electromagnetic back scattering | |
KR20100113010A (en) | Cone penetrometer for measuring impedance of ground | |
EP293881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ownhole in-situ determination of the speed of sound in a formation fluid | |
KR101872695B1 (en) | Device and method for predicting location of structural damage | |
RU2330276C2 (en) | Method of electromagnetic flaw detection for casing pipes in well and electromagnetic flaw detector for implementation of method | |
KR102237693B1 (en) | Method for measuring thickness of tunnel lining | |
CN108570978A (en) | Hollow side wall wiring formula static cone penetration equipment | |
Demuth et al. | Evaluation of direct push probes: sensor interface analysis of DC resistivity probes | |
CN117538942A (en) | Broadband magnetotelluric data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 |
KR101227927B1 (en) | Geophone comprising removable geophone cone with sliding type | |
Lunne et al. | Offshore site characterization of small strain shear modulus using a seabed based drilling system | |
KR101714647B1 (en) | Seismoelectric survey system using electrode-bar and geophone | |
CN103675892B (en) | A kind of high time precision focus hammer | |
JP2011133301A (en) | Method for surveying bottom depth of underground base structure | |
RU2702408C1 (en) | Method and device for scanning flaw detection of internal protective-insulating coatings of pipelines | |
RU2263333C2 (en) | Method for detection of disruptions of insulating cover of underground pipeline | |
RU52188U1 (en) | DEVICE FOR MEASURING SPECIFIC ELECTRICAL RESISTANCE OF SOIL SAMPLES | |
CN208309555U (en) | Hollow side wall wiring formula static cone penetration equipment | |
Plotnikov et al. | Development of an electromagnetic imaging system for well bore integrity insp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5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