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740A - 자연 친화적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연 친화적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11740A KR20110011740A KR1020110004774A KR20110004774A KR20110011740A KR 20110011740 A KR20110011740 A KR 20110011740A KR 1020110004774 A KR1020110004774 A KR 1020110004774A KR 20110004774 A KR20110004774 A KR 20110004774A KR 20110011740 A KR20110011740 A KR 201100117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 vehicle
- connection part
- coil connection
- parking
- power gene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81 potential ener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 친화적 전기 자동차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자 유도 원리에 의한 발전과 동시에 충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충전 시스템은 무접점 충전 시스템과 전자 유도 원리를 이용하고 구성방식은 자속의 변화에 따른 코일에 유도전류가 발생되고 상기 유도전류를 충전컨트롤러가 축전지에 저장하고 축전기에 저장된 전류로 전기모터를 구동하는 방식이다.
상기 충전 시스템은 무접점 충전 시스템과 전자 유도 원리를 이용하고 구성방식은 자속의 변화에 따른 코일에 유도전류가 발생되고 상기 유도전류를 충전컨트롤러가 축전지에 저장하고 축전기에 저장된 전류로 전기모터를 구동하는 방식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연 친화적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기자동차 운동에너지에 따른 도로에 설치된 하나 이상 배열로 분포된 영구자석의 자속변화에 따른 전자유도작용을 응용한 자연 친화적인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및 환경 관련규제의 흐름으로 전기자동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전기 자동차 시장이 활기를 띄고 있음에도 아직 성숙단계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전기 자동차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들이 있겠지만, 충전 인프라와 축전지, 그리고 전력소자 및 전력 변환용 인버터가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종래 기술로는 풍력을 이용한 풍력 발전 전기 자동차, 오르막길에서는 기존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구동하고 내리막길에서는 위치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시스템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가 제안되었지만 근본적인 충전 인프라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기존 전기자동차가 지닌 문제점인 충전 인프라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도로(10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하나 이상 배열된 영구자석(21)과 전기자동차(10) 하부에 자속의 변화에 따른 전자 유도 전류를 발생할 수 있는 하나 이상 배열된 코일 결선부(32)를 갖는 자연 친화적인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 친화적인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이란 도로(100)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하나 이상 배열된 영구자석(21)과 전기자동차(10) 이동에 따른 운동에너지가 발생하고 그에 따른 자속 변화에 의해 상기 자동차 하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 배열된 코일 결선부(32)에 전자 유도 현상에 의해 유도전류가 발생되어 전기가 생산되는 원리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도로(100)에 설치된 영구자석(21) 수명까지 자가 발전할 수 있어 가장 효율적이고 무공해적이며, 지속적으로 발전이 가능하여 별도로 충전 인프라가 불필요한 자연친화적인 전기 자동차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은 도로에 설치된 영구자석(21) 수명까지 자가 발전할 수 있어 가장 효율적이고 무공해적이며, 지속적으로 발전이 가능하므로 자연 친화적이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의 전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의 전기자동차 상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의 주차시 무접전 급속 충전이 가능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의 전기자동차 상세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의 주차시 무접전 급속 충전이 가능한 구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친화적인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은 도로에 설치된 영구자석으로부터 전기자동차(10) 운동에너지에 따른 자속 변화로부터 전기자동차(10) 하부에 설치된 코일 결선부(32)에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인버터를 거쳐 충전컨트롤러에 의해 축전지에 충전하고 상기 축전지에 충전된 전류로 전기모터를 가동시켜, 전기자동차를 운행하는 시스템이다. 이에 관련하여 더욱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자연친화적인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전기자동차(10)의 운동에너지에 따른 자속 변화를 발생시키는 도로(100)에 설치된 N극과 S극이 하나 이상 교번으로 일정 거리에 다수 배열된 영구자석(21)과, 다수 배열된 영구자석을 보호하는 영구자석 보호판(20), 상기 도로의 영구자석(21)의 자속 변화에 따른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자가 발전이 가능하게 하는 전기자동차 하부에 설치되고 일정 굵기의 전기 전도도가 뛰어난 전도성 물질로 여러번 감은 코일을 하나 이상 다수 배열된 코일 결선부(32), 다수 배열된 상기 코일 결선부를 보호하는 코일 결선부 보호판(31), 코일 결선부(32)에 발생된 전류를 축전지(51)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전류 변환시켜주는 인버터(40), 인버터에서 나온 전류를 축전지에 충전시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컨트롤러(50), 축전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전기자동차를 구동시키는 모터(60),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함(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된 "자연친화적인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은 모든 도로에 시설이 곤란하므로 교통량이 드문 지역이나 기타 지역은 급속충전이 가능한 장소가 필요하게 되고 상기 급속 충전 장소의 일례로 주차장(200)을 보면 전기자동차(10) 하부에 설치된 코일결선부(32)와 주차장(200)에 설치된 주차 코일 결선부(32')와 주차 코일 결선부(32)를 보호하는 주차코일 결선부 보호판(31')을 구비하여 무접점 충전이 가능한 형태로 주차 코일 결선부(32')는 상용전원을 인가하여 전자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전기자동차(10) 하단부에 설치된 코일 결선부(32)에 무접점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결선부(32)와 주차코일결선부(32')의 형태는 전자 유도가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나선형 등 여러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는 것은 소정의 기술을 가진 사람은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전기자동차, 20: 영구자석 보호판, 21: 영구자석(N극, S극),
31: 코일 결선부 보호판, 31': 주차 코일 결선부 보호판,
32: 코일 결선부, 32': 주차 코일 결선부, 40: 인버터, 50: 충전컨트롤러
51: 축전지, 60: 모터, 70: 제어함 100: 도로, 200: 주차장
31: 코일 결선부 보호판, 31': 주차 코일 결선부 보호판,
32: 코일 결선부, 32': 주차 코일 결선부, 40: 인버터, 50: 충전컨트롤러
51: 축전지, 60: 모터, 70: 제어함 100: 도로, 200: 주차장
Claims (2)
- 도로(100)에 설치된 N극과 S극이 하나 이상 교번으로 일정 거리에 다수 배열된 영구자석(21)과, 다수 배열된 영구자석(21)을 보호하는 영구자석 보호판(20), 상기 도로의 영구자석(21)의 자속 변화에 따른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자가 발전이 가능하게 하는 전기자동차(10) 하부에 설치되고 일정 굵기의 전기 전도도가 뛰어난 전도성 물질로 여러번 감은 코일을 하나 이상 다수 배열된 코일 결선부(32), 다수 배열된 코일 결선부(32)를 보호하는 코일 결선부 보호판(31)을 갖는 전기자동차(10)
- 전기자동차(10) 하부에 설치된 코일결선부(32)와 주차장(200)에 설치된 주차 코일 결선부(32')와 주차 코일 결선부(32)를 보호하는 주차코일 결선부 보호판(31')을 구비하여 무접점 충전이 가능하도록 주차 코일 결선부(32')는 상용전원을 인가하여 전자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전기자동차(10) 하단부에 설치된 코일 결선부(32)에 무접점 충전이 가능한 전기자동차(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4774A KR20110011740A (ko) | 2011-01-18 | 2011-01-18 | 자연 친화적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4774A KR20110011740A (ko) | 2011-01-18 | 2011-01-18 | 자연 친화적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1740A true KR20110011740A (ko) | 2011-02-08 |
Family
ID=4377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4774A Withdrawn KR20110011740A (ko) | 2011-01-18 | 2011-01-18 | 자연 친화적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11740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9422B1 (ko) * | 2013-01-23 | 2013-12-10 | 문현철 | 운송기기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
CN103683449A (zh) * | 2013-12-23 | 2014-03-26 | 江苏大学 | 应用于电动车的发电反馈装置 |
WO2014116046A1 (ko) * | 2013-01-23 | 2014-07-31 | Moon Hyeon Cheol | 운송기기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
CN105406571A (zh) * | 2015-12-08 | 2016-03-16 | 辽宁石油化工大学 | 利用密度差的充电装置 |
-
2011
- 2011-01-18 KR KR1020110004774A patent/KR20110011740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9422B1 (ko) * | 2013-01-23 | 2013-12-10 | 문현철 | 운송기기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
WO2014116046A1 (ko) * | 2013-01-23 | 2014-07-31 | Moon Hyeon Cheol | 운송기기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
US10164503B2 (en) | 2013-01-23 | 2018-12-25 | Hyeon Cheol Moon |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vehicle |
CN103683449A (zh) * | 2013-12-23 | 2014-03-26 | 江苏大学 | 应用于电动车的发电反馈装置 |
CN105406571A (zh) * | 2015-12-08 | 2016-03-16 | 辽宁石油化工大学 | 利用密度差的充电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Zhang et al. | Design, modelling and practical tests on a high-voltage kinetic energy harvesting (EH) system for a renewable road tunnel based on linear alternators | |
RU2567497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и зарядки для продолжи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я автомобиля | |
GB2497823A (en) | Shielded inductive power coupling for an electric vehicle | |
US20070289793A1 (en) | Energy recovery system | |
US2009017358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ity from Automobile Traffic | |
CN103003568A (zh) | 用于从车辆的经过回收能量的压电机械装置 | |
KR20110011740A (ko) | 자연 친화적 전기자동차 발전 시스템 | |
KR20170143167A (ko) | 효율적인 전기자동차용 비접촉 전력전송장치 | |
CN102022291A (zh) | 高速公路下坡行车惯性发电系统 | |
KR20210135904A (ko) | 전동기발전기 | |
CN101626193A (zh) | 一种利用行驶汽车进行发电的装置 | |
CN102761229A (zh) | 减速带发电装置 | |
RU2657790C1 (ru) |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 |
CN203286440U (zh) | 新型噪音发电led路灯 | |
CN217863725U (zh) | 一种利用制动动能的电动汽车自动充电装置 | |
Fathabadi | Recovering waste vibration energy of an automobile using shock absorbers included magnet moving-coil mechanism and adding to overall efficiency using wind turbine | |
Santhosh et al. | Energy harvesting using speed breaker mechanism | |
CN106356971B (zh) | 基于压力发电的电容公交车充电装置 | |
KR20110074067A (ko) | 자가 발전형 차량 | |
JP2011152024A (ja) | 道路と自動車を利用した発電方法 | |
CN202197203U (zh) | 基于直线脉冲发电的路面发电系统 | |
CN102957282A (zh) | 一种特种电动车有刷无刷主电机 | |
CN102332745A (zh) | 一种电动自行车反充电装置 | |
KR20210134459A (ko) | 전동기발전기 | |
RU74530U1 (ru) | Электропривод колес автомобил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