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394U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11394U KR20110011394U KR2020100005796U KR20100005796U KR20110011394U KR 20110011394 U KR20110011394 U KR 20110011394U KR 2020100005796 U KR2020100005796 U KR 2020100005796U KR 20100005796 U KR20100005796 U KR 20100005796U KR 20110011394 U KR20110011394 U KR 2011001139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adle
- portable terminal
- hole
- shaft
- p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밑부분에는 밑으로 연장되는 좌우 양다리(121, 122)를 가지며 양다리(121, 122)의 끝에 양다리(121, 122)를 연결하는 연결핀(111)이 설치되고, 윗부분에는 앞뒤로 관통하는 축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120); 연결핀(111)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한쪽 모서리를 따라 핀 관통공이 형성되어 연결핀(111)을 축으로 양다리(121, 122) 사이에서 앞뒤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대(110); 및 상기 축 관통공에 삽입되는 회동축(140)을 가지고, 회동축(14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축(140)에 수직하게 양옆으로 연장되어 회동축(140)이 회전할 때 이에 따라 옆으로 회전하도록 몸체(120)의 앞쪽에 설치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체결대(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에 의하면, 아이패드와 같이 주변 테두리를 제외한 전체가 화면 역할을 하고, 화면이 옆으로 돌아가며,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을 탑재시킬 수 있어 테스크탑이나 노트북처럼 키보드를 사용할 상황이 많은 휴대용 단말기를 단순히 거치하는 것이 아니라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 유용하다. 나아가 접어서 납작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기에 매우 편하다. The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ft and right legs (121, 122) extending downwards at the bottom and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in (111) connecting the legs (121, 122) at the ends of the legs (121, 122). The upper portion, the body 120 is formed through the shaft through hole penetrating back and forth; A pedestal 110 formed with a pin through hole along one edge to insert and connect the connection pins 111 so as to be rotatable back and forth between the legs 121 and 122 about the connection pins 111; And a rotation shaft 140 inserted into the shaft through hole, and extends to both sides perpendicularly to the rotation shaft 140 about the rotation shaft 140 so that the rotation shaft 140 rotates accordingly. It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ody 120 to rotate the fastener 130 for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ccording to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screen except the peripheral borders, such as the iPad, the screen is turned to the side, and can be equipped with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desktop or a laptop, a portable terminal with a lot of situations that use a keyboard simply This is useful when you want to use it instead of mounting it. Furthermore, it is very convenient to carry around because it can be folded to maintain a flat shape.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체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 가지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가능한 아이패드(i-pad)와 같은 태블릿형 휴대용 컴퓨터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또한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기에 편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a tablet-type portable computer such as an iPad (i-pad) capable of driving various applications based on its own operating system (OS) can be u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suitable for use in a state and is convenient to carry and carry.
핸드폰, PDA,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기기의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휴대용 기기를 고정시켜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의 사용도 증가되고 있다. As users of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and MP3 players increase, the use of cradles for fixing and mounting portable devices is also increasing.
도 1 내지 도 3은 등록실용신안 제345385호(2004.03.08.)에 개시된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11)의 하부는 거치대의 몸체(15) 내에 삽입되고 디스플레이 화면이 있는 상부는 노출된다. U자형 지지대(17)의 양단은 거치대 몸체(15)의 좌우 측면에 회전나사(19)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나사(19)를 중심으로 지지대(17)와 몸체(15)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진다. 회전나사(19)를 중심으로 지지대(17)를 회전시켜 삼각 형태로 거치시키면 몸체(15))에 삽입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11)도 기울어져 사용자가 편하게 디스플레이 화면을 볼 수 있다. 1 to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older disclos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5385 (2004.03.08.).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lower part of the
지지대(17)의 폭은 몸체(15)의 폭과 동일하며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대(17)를 몸체(15)와 평행하게 접으면 지지대(17)가 휴대 단말기(11)의 정면을 제외한 노출부분을 모두 감싼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로 휴대하거나 보관하면 휴대 단말기(11)의 측면에 돌출되어 있는 조작버튼(13) 등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이는 것이 방지되고, 휴대 단말기(11)의 외장이 보호된다. The width of the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거치대는 최근 미국 애플사가 만들어서 혁신적인 평가와 인기를 얻고 있는 아이패드(i-pad)와 같은 태블릿형 컴퓨터에는 아래와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적합하지 않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radle is not suitable for tablet-type computers such as the iPad (i-pad), which is recently made by the US Apple and is gaining innovative evaluation and popularity.
(ⅰ) 아이패드는 도 4a에서와 같이 주변 테두리를 제외한 전체가 화면 역할을 하여 화면크기가 9.7인치 정도나 된다.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은 거치대는 전체 화면을 보여주는데 적합하지 않다. (I) The iPad has a screen size of about 9.7 inches except for a peripheral border as shown in FIG. 4A. Therefore, the cradle as shown in Figure 1 is not suitable for showing the entire screen.
(ⅱ) 아이패드는 도 4b에서와 같이 가로든 세로든 옆으로 돌리는 데로 화면도 함께 돌아간다. 따라서 도 1에서와 같은 거치대는 옆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하여 이러한 기능을 수행시키는데 부적합하다. (Ii) The iPad also rotates with the screen turn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as shown in FIG. 4B. Therefore, the cradle as shown in Figure 1 is not possible to rotate sideways is not suitable for performing this function.
(ⅲ) 아이패드는 도 4c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는데, 도 1에서와 같은 거치대는 거치 상태에서 터치스크린 키보드를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I) The iPad may use a touch screen keyboard as shown in FIG. 4C, but the cradle as shown in FIG. 1 is not suitable for using the touch screen keyboard in a mounted state.
(ⅳ) 도 1에서와 같은 거치대는 보관이나 휴대를 위해서는 적합할지 몰라도 거치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하는 데에는 부적합하다.
(Iii) The cradle, as shown in FIG. 1, may be suitable for storage or portability, but is inadequate for use of the functionality of the mobile terminal in a stationary state.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펼쳤을 때에는 아이패드(i-pad)와 같은 태블릿형 휴대용 컴퓨터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또한 접었을 때에는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기에 적합한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suitable for use in a state where the tablet-type portable computer such as an iPad (i-pad) when unfolded, and carrying around when folded There is.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는, 밑부분에는 밑으로 연장되는 좌우 양다리를 가지며 상기 양다리의 끝에 상기 양다리를 연결하는 연결핀이 설치되고, 윗부분에는 앞뒤로 관통하는 축 관통공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연결핀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한쪽 모서리를 따라 핀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을 축으로 상기 양다리 사이에서 앞뒤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축 관통공에 삽입되는 회동축을 가지고,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동축에 수직하게 양옆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동축이 회전할 때 이에 따라 옆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몸체의 앞쪽에 설치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체결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left and right legs extending downwards at the bottom and the connecting pin is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legs connecting the two legs, the upper part through the shaft through hole penetrating back and forth Body formed; A pedestal through which a pin through hole is formed along one edge to insert and insert the connection pin so that the connection pin is rotat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etween the legs; And a rotation shaft inserted into the shaft through-hole, and extending to both sides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shaft about the rotation shaft so as to rotate laterally when the rotation shaft is rotated. And a fastening table for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체결대는 제1체결대와 제2체결대로 구분되고, 이 때 상기 제1체결대는 상기 제2체결대의 안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상기 체결대의 전체 폭이 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체결대의 바깥쪽 끝단과 상기 제2체결대의 바깥쪽 끝단은 휴대용 단말기의 양쪽 모서리에 대향하여 각각 끼워지도록 절곡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 내측에는 고무재질의 완충층이 부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astening stand is divided into a first fastening stand and a second fastening stand. At this time, the first fastening stand is slidably fitted inside the second fastening stand and is installed to change the overall width of the fastening stand according to the sliding direction. Preferably, the outer end of the first fastening stand and the outer end of the second fastening stand have bent portions so as to be fitted opposite to both edges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referable that a rubber buffer layer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bent portion.
상기 연결핀의 외면과 상기 받침대의 핀 관통공 내면에 서로 핑거형태로 합치되도록 요철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상기 연결핀의 외면과 상기 받침대의 핀 관통공 내면에 형성되는 요철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회동축의 외면과 상기 몸체의 축 관통공 내면에 서로 핑거형태로 합치되도록 요철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상기 회동축의 외면과 상기 몸체의 축 관통공 내면에 형성되는 요철링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cave and convex ring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in through hole of the pedestal so that the concave and convex ring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n. At least one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imilarly, it is preferable that an uneven ring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vot shaf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haft through hole of the body so as to be coincident with each other in a finger shape, wherein the uneven ring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vot shaf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haft through hole of the body. At least one of them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받침대의 핀 관통공이 형성되는 모서리의 외측단에 키보드 연결단자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체결대의 절곡부 안쪽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keyboard connection terminal may be installed at an outer end of a corner where the pin through hole of the pedestal is formed, an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is installed inside the bent portion of the fastening table.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에 의하면, 아이패드와 같이 주변 테두리를 제외한 전체가 화면 역할을 하고, 화면이 옆으로 돌아가며,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을 탑재시킬 수 있어 테스크탑이나 노트북처럼 키보드를 사용할 상황이 많은 휴대용 단말기를 단순히 거치하는 것이 아니라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 유용하다. 나아가 접어서 납작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기에 매우 편하다.
According to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screen except the peripheral borders, such as the iPad, the screen turns to the side, and can be equipped with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a desktop or a laptop, a portable terminal with a lot of situations using a keyboard simply This is useful when you want to use it instead of mounting it. Furthermore, it is very convenient to carry around because it can be folded to maintain a flat shape.
도 1 내지 도 3은 등록실용신안 제345385호에 개시된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는 아이패드(i-pad)의 유용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가 펼쳐져 있을 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은 도 5a의 체결대(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9는 받침대(110) 및 체결대(130)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holder for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disclosed in the Utility Model No. 334585;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usefulness of an i-pad;
5a to 5c are views for explaining when the cradle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crad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otation of the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presented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가 펼쳐져 있을 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우측면도이고, 도 5c는 도 5a의 배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100)는 받침대(110), 몸체(120), 및 체결대(130)로 구분된다. 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when the cradle for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Figure 5b is a right side view of Figure 5a, Figure 5c is a rear view of Figure 5a. 5A to 5C, the
몸체(120)의 밑부분에는 밑으로 연장되는 좌우 양다리(121, 122)를 가지며 양다리의 끝에는 양다리(121, 122)를 연결하도록 연결핀(111)이 관통하여 꼽힌다. 받침대(110)는 연결핀(111)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한쪽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핀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핀 관통공을 축으로 양다리(121, 122) 사이에서 앞뒤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몸체(120)의 윗부분에는 앞뒤로 관통하는 축 관통공이 형성된다. 체결대(130)는 상기 축 관통공에 삽입되는 회동축(140)을 가지고, 회동축(14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축(140)에 수직하게 양옆으로 연장되어 회동축(140)이 회전할 때 이에 따라 옆으로 회전하도록 몸체(120)의 앞쪽에 설치된다. The upper portion of the
연결핀(111)이 겉돌면 받침대(110)가 펴졌을 때 몸체(120)와 받침대(110)의 각도 유지가 어려우므로 도 9a에서와 같이 연결핀(111)이 걸림턱에 걸리면서 돌도록 연결핀(111)의 외면과 상기 받침대(110)의 핀 관통공의 내면에는 서로 핑거형태로 합치되도록 완만한 요철링(111a, 110a)이 각각 설치된다. 이 때 두 개의 요철링(111a, 110a)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연결핀(111)이 무리없이 회전하는데 바람직하다. 회동축(140)의 외면과 몸체(120)의 축 관통공 내면에도 마찬가지로 이유로 도 9b에서와 같이 서로 핑거형태로 합치되도록 요철링(140a, 120a)이 각각 설치된다. When the
받침대(110)가 연결핀(111)을 축으로 뒤로 회전하여 젖혀져 몸체(12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펴졌을 때 키보드(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받침대(110)에는 상기 핀 관통공이 형성되는 모서리의 외측단에 키보드 연결단자(112)가 설치된다. When the
도 6은 도 5a의 체결대(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대(130)는 제1체결대(130a)와 제2체결대(130b)로 구분되고, 제1체결대(130)는 제2체결대(130b)의 안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서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체결대(130)의 전체 폭이 변하도록 설치된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astening table 130 of FIG. As shown in FIG. 6, the
제1체결대(130a)의 바깥쪽 끝단과 제2체결대(130b)의 바깥쪽 끝단은 아이패드(300)의 대향하는 양쪽 모서리 부분이 앞뒤방향으로 압착력을 받으면서 강제 끼움되도록 이단 절곡부(A, B)가 형성된다. 절곡부(A, B)의 내측에는 아이패드(300)가 물리적 손상을 입지 않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탄성재질이면서 마찰계수가 큰 고무재질, 예컨대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완충층(131)이 설치된다.The outer end of the first fastening stand 130a and the outer end of the second fastening
거치대(100)와 아이패드(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키보드(200)와 아이패드(300)가 거치대(100)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연동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체결대(130a)와 제2체결대(130b)의 절곡부(A, B) 중 적어도 어느 한 군데에는 아이패드(300)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접속단자(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완충층(131)에는 상기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부위에 구멍이 형성된다. 무선방식의 키보드나 마우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구성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을 것이다. Since the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대(130)의 양단이 위 아래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아이패드(300)를 도 6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체결대(130)에 끼운 다음에(도 7a), 받침대(110)를 연결핀(111)을 축으로 하여 뒤로 회전시켜 젖힌다(도 7a, 도 7b). 그러면 키보드 연결단자(112)가 앞쪽을 향하게 되고 여기에 키보드(200)를 연결시킨다. 아이패드(300)를 사용하다가 화면을 돌려보고 싶으면 도 8에서와 같이 체결대(300)를 회동축(140)을 축으로 하여 옆으로 회전시킨다.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iPad 300 is inserted into the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는, 아이패드와 같이 주변 테두리를 제외한 전체가 화면 역할을 하고, 화면이 옆으로 돌아가며,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을 탑재시킬 수 있어 테스크탑이나 노트북처럼 키보드를 사용할 상황이 많은 휴대용 단말기를 단순히 거치하는 것이 아니라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나아가 접어서 납작한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휴대하여 가지고 다니기에 매우 편하다.
In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screen except the peripheral borders, such as the iPad, the screen is turned to the side, and can be loaded with various applications simply mount the portable terminal with a lot of situations using the keyboard, such as desktop or laptop It is very suitable for use in a stationary state. Furthermore, it is very convenient to carry around because it can be folded to maintain a flat shape.
100: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110: 받침대
110a, 111a, 120a, 140a: 요철링
111: 연결핀
112: 키보드 연결단자
120: 몸체
121, 122: 다리
130: 체결대
131: 완충층
140: 회동축
200: 키보드
300: 아이패드
A, B: 절곡부100: holder for mobile terminal
110: pedestal
110a, 111a, 120a, 140a: uneven ring
111: connecting pin
112: keyboard connector
120: body
121, 122: legs
130: fastener
131: buffer layer
140: rotating shaft
200: keyboard
300: iPad
A, B: bend
Claims (6)
상기 연결핀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한쪽 모서리를 따라 핀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을 축으로 상기 양다리 사이에서 앞뒤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대; 및
상기 축 관통공에 삽입되는 회동축을 가지고,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동축에 수직하게 양옆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동축이 회전할 때 이에 따라 옆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몸체의 앞쪽에 설치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지지하는 체결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A body having left and right legs extending downwards at a bottom thereof, and a connecting pin connecting the two legs at the ends of the two legs, and a shaft through-hole penetrating back and forth;
A pedestal through which a pin through hole is formed along one edge to insert and insert the connection pin so as to be rotatable back and forth between the two legs with the connecting pin as an axis; And
It has a rotating shaft inserted into the shaft through-hole, extends to both sides perpendicular to the rotating shaft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ody to rotate laterally when the rotating shaft rotates A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fastening table for supporting the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5796U KR200459667Y1 (en) | 2010-06-03 | 2010-06-03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5796U KR200459667Y1 (en) | 2010-06-03 | 2010-06-03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1394U true KR20110011394U (en) | 2011-12-09 |
KR200459667Y1 KR200459667Y1 (en) | 2012-04-06 |
Family
ID=4660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5796U KR200459667Y1 (en) | 2010-06-03 | 2010-06-03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9667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3763B1 (en) * | 2012-07-16 | 2013-04-11 | 노선수 | Multifunctional accessories for portable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9463Y1 (en) | 2012-02-02 | 2013-10-14 | (주) 엑토 | Portable folding stand |
KR101902827B1 (en) * | 2017-03-29 | 2018-10-01 | (주)에이스 힌지텍 | Supporting bracket for non-vesa monitor |
KR200485999Y1 (en) | 2017-07-14 | 2018-05-04 | 전영수 | Spare battery with cradle of portable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5567Y1 (en) | 2003-03-19 | 2003-06-09 | 이창훈 | A shoulder holder for a cellular phone |
KR100759993B1 (en) * | 2005-09-15 | 2007-09-19 | 이순행 | DMB phone holder |
-
2010
- 2010-06-03 KR KR2020100005796U patent/KR200459667Y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3763B1 (en) * | 2012-07-16 | 2013-04-11 | 노선수 | Multifunctional accessories for portable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9667Y1 (en) | 2012-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82771U (en) | Protective sheath | |
CN105874400B (en) | Stand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 | |
CN202233549U (en) | Protective sleeve | |
KR101154541B1 (en) | Wireless Keyboard For Tablet PC With Stand | |
TWI498866B (en) |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 |
CN103163960B (en) | Supporting seat and electronic device with same | |
US20110050606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TWI531887B (en) | Dock station and electronic device assembly using the same | |
US8820695B2 (en) | Soft cover for tablet PC | |
US20180340648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supporting component | |
US8783641B2 (en) | Foldable supporting bracket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 |
US20230346094A1 (en) | Support board structure | |
TWI432128B (en) | Supporting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 |
TWM415545U (en) | Hand-held buckling Plate computer screen Cover Pivot cap of | |
US20120074286A1 (en) | Foldable support base | |
KR20130094402A (en) | Desk top-type universal dock | |
TWM464715U (en) | Fixing device for fix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therewith | |
TW201318510A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9042091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structure | |
US20130314858A1 (en) | Electronic device | |
KR200459667Y1 (en)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
JP3182628U (en) | Protective bag | |
JP4980317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TWI433540B (en) | Panel fixing mechanism and display device thereof | |
CN201820167U (en) | Tablet e-reader stand leather case with swivel co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603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715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1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03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40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01203 |